KR101572206B1 -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이를 기반으로 한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이를 기반으로 한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2206B1 KR101572206B1 KR1020140116334A KR20140116334A KR101572206B1 KR 101572206 B1 KR101572206 B1 KR 101572206B1 KR 1020140116334 A KR1020140116334 A KR 1020140116334A KR 20140116334 A KR20140116334 A KR 20140116334A KR 101572206 B1 KR101572206 B1 KR 1015722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ion
- camera motion
- graph
- camera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PUAQLLVFLMYYJJ-UHFFFAOYSA-N 2-aminopropiophenone Chemical compound CC(N)C(=O)C1=CC=CC=C1 PUAQLLVFLMYY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00235075 Cicer arietinum leg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65753 LEG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3—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the player, e.g. authoring using a level edit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가 모션 프레임에 대한 수정 요청에 따라 생성된 CMF 파일에서 모션 프레임의 X축 회전값인 "rot_interval_x"에 대한 값을 모션 프레임의 X축 회전 그래프 데이터로 적용하여 X축 그래프에 대한 에디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가 생성된 CMF 파일에서 모션 프레임의 Y축 회전값인 "rot_interval_x"에 대한 값을 모션 프레임의 X축 회전 그래프 데이터로 적용하여 X축 그래프에 대한 에디팅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가 생성된 CMF 파일에서 모션 프레임의 Z축 회전값인 "rot_interval_z"에 대한 값을 모션 프레임의 Z축 회전 그래프 데이터로 적용하여 Z축 그래프에 대한 에디팅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가 생성된 CMF 파일에서 "up_down_pos"에 대한 값을 모션 프레임의 업·다운(Up·Down) 그래프 데이터로 적용하여 업·다운(Up·Down) 그래프에 대한 에디팅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및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가 생성된 모션 데이터의 X축, Z축, 업·다운(Up·down) 3종류의 그래프에 대해서 3종의 최종 변이값을 산출하여 오일러 연산에 의한 회전값과 위치변화값을 적용하여 해당 프레임의 최종결과물에 해당하는 모션 프레임 에디팅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기반의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대화형(체감형) 라이드 게임 콘텐츠를 비롯한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시 카메라의 X, Y, Z 등의 각 좌표에 대한 UI 화면의 움직임을 직접 보며 생성 및 수정 작업들을 할 수 있고, 마우스 드로잉 방식의 입력동작에 의해 에디팅이 수행됨으로 개발 공정의 간소화로 인한 개발 시간의 단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 연출을 위한 빠른 수정 작업이 가능함으로 게임서비스를 비롯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10) 중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생성부(11)에 의한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생성의 대상이 되는 체어 게임 오브젝트(Chair Game Object)에 대한 씬(Scene)과 모션 프레임(Motion Frame)이 구현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10) 중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에 의해 구현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10) 중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저장부(13)에 의한 모션 프레임 내의 모션 라이더 데이터의 추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10) 중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가변부(14)에 의해 구현된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을 기반으로 한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float timeInterval - int frameCount - int _resetRotationForStart : 1 or 0 - [LOOP frameCount] float pos_x, pos_y, pos_z float rot_x, rot_y, rot_z int reset float rot_interval_x.rot_interval_y.rot_interval_z float up_down_pos float SmallVibPos float play_time_point - [LOOP end] |
- float timeInterval - int frameCount - int _resetRotationForStart : 1 or 0 - [LOOP frameCount] float leg1_y, leg2_y, leg3_y float norTimeLine - [LOOP end] |
제 1 함수: rot_floor = Quaternion.Euler(rot_interval_x, rot_interval_y, rot_interval_z ); 제 2 함수: transform.position += updown; |
float leg1 = ( floor_leg1.transform.position.y )-parent_YPOS; float leg2 = ( floor_leg2.transform.position.y )-parent_YPOS; float leg3 = ( floor_leg3.transform.position.y )-parent_YPOS; |
제 3 함수: small_vibration_start(shake_base,shake_rnd); //미세진동을 시작한다. 제 4 함수: small_vibration_enable( 0 ); //미세진동을 정지한다. |
11: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생성부
12: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
13: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저장부
14: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가변부
Claims (6)
-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생성부(11),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저장부(13) 및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가변부(14)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10)에 있어서,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는,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모션 데이터의 X축, Z축, 업·다운(Up·down) 3종류의 그래프에 대해서 3종의 최종 변이값을 산출하여 오일러 연산에 의한 회전값과 위치변화값을 적용하여 모션 프레임의 최종결과물에 해당하는 모션 프레임 에디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 청구항 1에 있어서,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는,
모션 프레임에 대한 수정 요청에 따라 생성된 CMF 파일에서 모션 프레임의 X축 회전값인 "rot_interval_x"에 대한 값을 모션 프레임의 X축 회전 그래프 데이터로 적용하여 X축 그래프에 대한 에디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 청구항 1에 있어서,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는,
생성된 CMF 파일에서 모션 프레임의 Z축 회전값인 "rot_interval_z"에 대한 값을 모션 프레임의 Z축 회전 그래프 데이터로 적용하여 Z축 그래프에 대한 에디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 청구항 1에 있어서,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가,
생성된 CMF 파일에서 "up_down_pos"에 대한 값을 모션 프레임의 업·다운(Up·Down) 그래프 데이터로 적용하여 업·다운(Up·Down) 그래프에 대한 에디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가 모션 프레임에 대한 수정 요청에 따라 생성된 CMF 파일에서 모션 프레임의 X축 회전값인 "rot_interval_x"에 대한 값을 모션 프레임의 X축 회전 그래프 데이터로 적용하여 X축 그래프에 대한 에디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가 생성된 CMF 파일에서 모션 프레임의 Y축 회전값인 "rot_interval_x"에 대한 값을 모션 프레임의 X축 회전 그래프 데이터로 적용하여 X축 그래프에 대한 에디팅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가 생성된 CMF 파일에서 모션 프레임의 Z축 회전값인 "rot_interval_z"에 대한 값을 모션 프레임의 Z축 회전 그래프 데이터로 적용하여 Z축 그래프에 대한 에디팅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가 생성된 CMF 파일에서 "up_down_pos"에 대한 값을 모션 프레임의 업·다운(Up·Down) 그래프 데이터로 적용하여 업·다운(Up·Down) 그래프에 대한 에디팅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및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수정부(12)가 생성된 모션 데이터의 X축, Z축, 업·다운(Up·down) 3종류의 그래프에 대해서 3종의 최종 변이값을 산출하여 오일러 연산에 의한 회전값과 위치변화값을 적용하여 해당 프레임의 최종결과물에 해당하는 모션 프레임 에디팅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기반의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생성부(11)가 CMF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생성부(11)가 CMF 파일을 이용해 MOT(MOTion data)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5 단계 이후,
카메라 모션 그래프 정보 저장부(13)가 CMF 파일의 CMF 데이터 수정에 따라 모션 데이터 파일인 MOT(MOTion data) 파일을 수정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기반의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6334A KR101572206B1 (ko) | 2014-09-02 | 2014-09-02 |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이를 기반으로 한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6334A KR101572206B1 (ko) | 2014-09-02 | 2014-09-02 |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이를 기반으로 한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2206B1 true KR101572206B1 (ko) | 2015-11-27 |
Family
ID=54847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6334A Active KR101572206B1 (ko) | 2014-09-02 | 2014-09-02 |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이를 기반으로 한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220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5173B1 (ko) | 2017-02-03 | 2018-06-07 | (주)플레이솔루션 |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 분석을 통한 모션 시뮬레이터의 운동 생성 방법 |
KR20180082257A (ko) * | 2017-01-10 | 2018-07-18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운동 물리량 측정기반 모션데이터 생성-편집시스템 및 모션데이터 편집 프로그램 장치 |
KR20200129354A (ko) * | 2019-05-08 | 2020-11-18 | 주식회사 모션하우스 | 모션 시뮬레이터를 위한 시뮬레이터 프로그램 제작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9365B1 (ko) | 2000-12-20 | 2005-03-28 | 에이알비전 (주) | 시뮬레이터 프로그램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시뮬레이터 시스템 |
KR101223040B1 (ko) | 2011-06-27 | 2013-01-17 | (주)브이아이앰 | 체험형 모션시뮬레이터의 모션데이터 생성장치 |
-
2014
- 2014-09-02 KR KR1020140116334A patent/KR10157220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9365B1 (ko) | 2000-12-20 | 2005-03-28 | 에이알비전 (주) | 시뮬레이터 프로그램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시뮬레이터 시스템 |
KR101223040B1 (ko) | 2011-06-27 | 2013-01-17 | (주)브이아이앰 | 체험형 모션시뮬레이터의 모션데이터 생성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2257A (ko) * | 2017-01-10 | 2018-07-18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운동 물리량 측정기반 모션데이터 생성-편집시스템 및 모션데이터 편집 프로그램 장치 |
KR101881565B1 (ko) * | 2017-01-10 | 2018-07-24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운동 물리량 측정기반 모션데이터 생성-편집시스템 및 모션데이터 편집 프로그램 장치 |
KR101865173B1 (ko) | 2017-02-03 | 2018-06-07 | (주)플레이솔루션 |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 분석을 통한 모션 시뮬레이터의 운동 생성 방법 |
KR20200129354A (ko) * | 2019-05-08 | 2020-11-18 | 주식회사 모션하우스 | 모션 시뮬레이터를 위한 시뮬레이터 프로그램 제작 장치 및 방법 |
KR102313993B1 (ko) * | 2019-05-08 | 2021-10-19 | 주식회사 모션하우스 | 모션 시뮬레이터를 위한 시뮬레이터 프로그램 제작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7429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sequence of views | |
CN109710357B (zh) | 一种基于Unity3D引擎实现服务器操作的方法及系统 | |
CN110796712A (zh) | 素材处理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存储介质 | |
KR101323148B1 (ko) | Ucr 융합 컨텐츠 에디터 장치 | |
KR101977893B1 (ko) | 영상컨텐츠 적용 디지털액터의 운용방법 | |
US1191534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2D film from immersive content | |
KR101572206B1 (ko) |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이를 기반으로 한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 | |
CN112734883B (zh) |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
US8363055B1 (en) | Multiple time scales in computer graphics | |
US9396574B2 (en) | Choreography of animated crowds | |
US20240404146A1 (en) | Techniques for model-based image operation in effect creation tools | |
CN110908649B (zh) | 一种可拆分及合并的图表绘制方法和系统 | |
CN103309444A (zh) | 基于Kinect的智能全景展示方法 | |
CN103295181B (zh) | 一种粒子文件与视频的叠加方法和装置 | |
KR101636890B1 (ko) |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유니티 게임엔진에서의 카메라 모션 프레임 생성 프로그램모듈을 이용한 cmf 파일 생성 방법 | |
CN113082720A (zh) | 提示信息确定方法、装置及电子设备 | |
CN103440876B (zh) | 媒体制作期间的资源管理 | |
KR100259951B1 (ko) | 시각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방법 | |
Abramova et al. | Real-time motion tracking for dance visualization using Kalman filters | |
CN119513239A (zh) | 用于特效创建工具中的基于模型的元素创建的技术 | |
Lee et al. | Efficient 3D content authoring framework based on mobile AR | |
HWANG et al. | AN EDITORIAL PLATFORM FOR SCREENPLAY OF INTERACTIVE ROBOTIC PUPPET SHOWS | |
Li et al. | An interactive authoring and simulation system for large-scale artistic performances | |
CN116774902A (zh) | 虚拟摄像机的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da Silva Meira | Rendering and Editing Tools for Interactive 360° Vide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