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78479B1 -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 - Google Patents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479B1
KR101578479B1 KR1020140053897A KR20140053897A KR101578479B1 KR 101578479 B1 KR101578479 B1 KR 101578479B1 KR 1020140053897 A KR1020140053897 A KR 1020140053897A KR 20140053897 A KR20140053897 A KR 20140053897A KR 101578479 B1 KR101578479 B1 KR 101578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member
steel plate
ceramic
protruding
disp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317A (ko
Inventor
신충근
Original Assignee
신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충근 filed Critical 신충근
Priority to KR102014005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47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4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H05B3/265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the insulating bas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e.g. ceram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소재의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경량이면서 내구성이 강하고, 열전도율이 뛰어난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발열 장치는 제1 열전도율을 가지는 제1 강판; 제1 강판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열전도율보다 낮은 전도율인 제2 전도율을 가지는 제2 강판; 및 제1 강판과 제2 강판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강판과 제2 강판에 발열되는 열이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발열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CERAMIC HEATING DEVICE COMPRISING NATURAL BINDING MATERIALS}
본 발명은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소재의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경량이면서 내구성이 강하고, 열전도율이 뛰어난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열기판은 부도체 기판에 전기전도성을 가진 발열물질을 입히고 그 위에 전극을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전극의 양단에 직류 또는 교류 전압을 걸어주면 전기전도성 발열물질로 전류가 흐르면서 열이 발생된다.
전기전도성 발열물질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은 전기전도성 발열물질의 전기 저항에 의해서 제한된다. 보다 많은 발열량을 내야 하는 발열장치에 있어서 전기저항에 의해서 발열량이 제한되는 것은 결정적인 문제점이 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979538, 발명의 명칭(도전성 박막과 전극을 구비한 발열기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천연소재의 접착제물질을 이용하여 경량이면서 내구성이 강하고, 열전도율이 뛰어난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발열 장치는 제1 열전도율을 가지는 제1 강판; 제1 강판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열전도율보다 낮은 전도율인 제2 전도율을 가지는 제2 강판; 및 제1 강판과 제2 강판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강판과 제2 강판에 발열되는 열이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발열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망부는, 전류가 흐르는 물질로 형성되는 제1 라인부재, 상기 제1 라인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전류가 흐르는 물질로 형성되는 제2 라인부재, 상기 제1 라인부재와 상기 제2 라인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라인부재에서 상기 제2 라인부재 전류가 흐르면서 발열이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열전도부재, 및 상기 제1 라인부재와 상기 제2 라인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도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열전도부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에 전달하되, 전류가 흐르지 않는 물질로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부재의 상단에는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의 하단에 체결되도록 돌출되는 제1 돌출단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라인부재의 하단에는 순차적으로 나중에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의 상단과 체결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삽입단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2 라인부재의 상단에는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2 라인부재의 하단에 체결되도록 돌출되는 제2 돌출단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 라인부재의 하단에는 순차적으로 나중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단은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의 하단과 체결되는 동안 상기 제1 돌출단이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망부는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천연소재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천연소재의 접착제는 (1) 규산나트륨, (2) 황토, 장석, 붕사, 카제인 및 견운모 중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및 (3) 효소 조성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이고, 상기 효소 조성물은 쌀겨 또는 보릿겨, 효모 또는 누룩 및 설탕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접착제는 (1) 규산나트륨 60-80 중량%, (2) 황토, 장석, 붕사, 카제인 및 견운모 중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10-30 중량% 및 (3) 효소 조성물 10-20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이 될 수 있다.
상기 효소 조성물은 쌀겨 또는 보릿겨 65-75 중량%, 효모 또는 누룩 5-15 중량% 및 설탕 20-35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강판은 견운모, 세피오라이트, 제오라이트, 카올린, 황토 및 장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강판은 입자 크기 0.1 mm-1 mm의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강판은 견운모, 세피오라이트, 제오라이트, 카올린, 황토 및 장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50-60 중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강판은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30-4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 접착제는 10-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소재인 곡물껍질 등을 이용한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제조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라믹 발열 장치는 천연소재인 곡물껍질 등을 이용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발열망부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보온 단열효과가 있고, 경량이면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라믹 발열 장치는 발열망부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열전도율이 다른 강판에서 제공함으로써, 열전도율에 따라 보온 단열효과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라믹 발열 장치는 천연소재인 곡물껍질 등을 이용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발열망부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뛰어난 흡음 및 방음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불연성으로 형성되어 안정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세라믹 발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세라믹 발열 장치의 발열망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세라믹 발열 장치가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세라믹 발열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발열 장치(100)는 제1 강판(110), 제2 강판(120) 및 발열망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강판(110)은 제1 열전도율을 갖는다. 제2 강판(120)은 제1강판(110)과 소정간격 이격되며, 제2 열전도율을 갖는다. 발열망부(130)는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 사이에 개재되며, 발열되는 열이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강판(110)이 외부를 향하는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이 되고, 제2 강판(120)이 내면을 향하는 하면에 배치되는 하판이 될 수 있으며, 제1 강판(110)의 열전도율이 제2 강판(120)의 열전도율보다 더 좋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발열장치(100)는 열효율이 우수하고, 열의 낭비가 없는 세라믹 발열장치(1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세라믹 발열장치(100)는 방바닥 또는 마루바닥 등에 배치되어 일면으로 발열망부(130)에서 발열되는 열이 위에 배치되는 면으로 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방바닥 또는 마루 바닥을 데울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세라믹 발열장치(100)는 데우고자 하는 상판 쪽으로는 열이 잘 전달되고, 그 반대면인 하판 쪽으로는 열이 거의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거의 대부분의 열(대략 발열망부(130)에서 발열되는 모든 열)이 데우고자 하는 면으로만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열효율이 우수하고, 필요없는 부분으로 방출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실시예의 세라믹 발열장치(100)에는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세라믹 발열장치(200)의 기술적 특징이 그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세라믹 발열장치(200)에는 제1 실시예의 세라믹 발열장치(100)의 기술적 특징이 그대로 포함될 수 있다.
제1 강판(110)은 일정한 너비와 길이를 가지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강판(110)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광물질을 포함한다. 제2 강판(120)은 제1 강판(110)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강판(120)은 제1 강판(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열전도율을 가지는 광물질을 포함한다.
발열망부(130)는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에 발열되는 열이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발열망부(130)는 제1 라인부재(131), 제2 라인부재(132), 열전도부재(133) 및 지지부재(134)를 포함한다.
제1 라인부재(131)는 전류가 흐르는 물질인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라인부재(131)는 제1 강판(1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강판(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라인부재(131)는 외부전원의 일 극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라인부재(131) 내에 있는 전류가 열전도부재(133)에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라인부재(131)의 상단에는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131)의 하단에 체결되도록 돌출되는 제1 돌출단(131a)이 형성되면서 제1 라인부재(131)의 하단에는 순차적으로 나중에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131)의 상단과 체결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삽입단(131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라인부재(131)의 상단에는 제1 돌출단(131a)이 형성되어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131)의 하단과 체결되고, 제1 라인부재(131)의 하단에는 제1 삽입단(131b)이 형성되어 나중에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131)의 상단과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라인부재(131)의 상단에는 제1 돌출단(131a)이 돌출되고, 제1 라인부재(131)의 하단에는 제1 삽입단(131b)이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삽입단(131b)이 제1 라인부재(13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고,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단(131a)이 제1 라인부재(13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라인부재(131)와 이웃하는 제1 라인부재(131)들과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제1 돌출단(131a)은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131)의 하단과 체결되는 동안 제1 돌출단(131a)이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131)의 하단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단(미도시)은 제1 돌출단(131a)의 둘레에 배치되면서 일정한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단(미도시)은 탄력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제1 돌출단(131a)이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131)의 제1 삽입단(131b)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제1 돌출단(131a)이 이탈되지 않도록 변형되었다가 분리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탈방지단(미도시)은 제1 돌출단(131a)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1 삽입단(131b)에 형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 돌출단(131a)은 전류가 흐르는 물질인 도체로 형성되어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131)의 제1 삽입단(131b)에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라인부재(132)는 제1 라인부재(131)와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전류가 흐르는 물질인 도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라인부재(132)는 제1 강판(1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강판(1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라인부재(132)는 외부전원의 제1 라인부재(131)과 다른 극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도부재(133)에서 흐르는 전류를 공급받아 외부전원에 제공함으로써, 외부전원, 제1 라인부재(131), 열전도부재(133), 제2 라인부재(132) 및 외부전원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또는 제2 라인부재(132)의 상단에는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2 라인부재(132)의 하단에 체결되도록 돌출되는 제2 돌출단(132a)이 형성되면서 제2 라인부재(132)의 하단에는 순차적으로 나중에 배치되는 제2 라인부재(132)의 상단과 체결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삽입단(132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라인부재(132)의 상단에는 제2 돌출단(132a)이 형성되어 먼저 배치되는 제2 라인부재(132)의 하단과 체결되고, 제2 라인부재(132)의 하단에는 제2 삽입단(132b)이 형성되어 나중에 배치되는 제2 라인부재(132)의 상단과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라인부재(132)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 돌출단(132a)과 제1 라인부재(131)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돌출단(131a), 제2 라인부재(132)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삽입단(132b)과 제1 라인부재(131)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삽입단(131b)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기능 구성 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에 자세한 설명은 제1 돌출단(131a)과 제1 삽입단(131b)을 통해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지금까지 제1 라인부재(131)의 상단에는 제1 돌출단(131a)이 형성되고, 제2 라인부재(132)의 상단에는 제2 돌출단(132a)이 형성되거나 제1 라인부재(131)의 상단에는 제1 삽입단(131b)이 형성되고, 제2 라인부재(132)의 상단에는 제2 삽입단(132b)이 형성되는 것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라인부재(131)의 상단에는 제1 돌출단(131a)이 형성되고, 제2 라인부재(132)의 상단에는 제2 삽입단(132b)이 형성되거나 이와 반대로 제1 라인부재(131) 상단에는 제1 삽입단(131b)이 형성되고, 제2 라인부재(132)의 상단에는 제2 돌출단(13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단(미도시)도 제2 돌출단(132a) 또는 제2 삽입단(132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열전도부재(133)는 제1 라인부재(131)와 제2 라인부재(13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라인부재(131)에서 제2 라인부재(132) 전류가 흐르면서 발열이 발생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열전도부재(133)는 제1 라인부재(131)와 제2 라인부재(132)가 배치되는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열전도부재(13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제1 라인부재(131)와 제2 라인부재(132)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열전도부재(133)는 제1 라인부재(131) 또는 제2 라인부재(132)를 형성하는 물질인 도체(導體)보다 전도율이 낮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열전도부재(133)의 전도율이 제1 라인부재(131) 또는 제2 라인부재(132)의 전도율보다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열이 발생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134)는 제1 라인부재(131)와 제2 라인부재(132) 사이에 배치되어 열전도부재(133)를 지지하고, 열전도부재(133)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에 전달하되, 전류가 흐르지 않는 물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34)는 제1 라인부재(131)와 제2 라인부재(132)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도부재(133)가 휘어지거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열전도부재(133)를 보호하기 위해 하나의 열전도부재(13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34)는 제1 라인부재(131) 또는 제2 라인부재(1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열전도부재(133)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134)는 제1 라인부재(131) 또는 제2 라인부재(1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열전도부재(133)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34)는 열전도부재(133)에 피복 또는 전류가 흐르는 물질을 감싸고 있는 둘레면이 형성될 경우 열전도부재(133)에서 발열되는 열을 빠르게 제1 강판(110) 및/또는 제2 강판(120)으로 전달하기 위해 알루미늄과 열전도율이 좋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라믹 발열장치(100)는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 사이에 적층되는 발열망부(130)를 고정시키는 천연소재의 접착제(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천연소재의 접착제(140)는 쌀, 보리, 콩, 조 및 수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천연소재의 접착제(140)는 쌀, 보리, 콩, 조 및 수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곡물 껍질을 포함하고, 특히, 곡물 껍질 중 겨(bran)는 일반적으로 알곡의 외피(外皮)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쌀겨는 본 발명에 적합한 것으로, 백미(白米)를 만들기 위해 쌀알에서 제거되는 갈색층이다. 쌀겨가 본 발명에 바람직한 것으로 사용되지만 다른 곡류의 겨도 적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물 껍질을 포함하는 천연소재의 접착제(140)에 효모와 설탕을 포함하여 발효시킨 발효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효 생성물은 천연소재의 접착제(140)에 효모 5 내지 15 중량%와 설탕 25 내지 35 중량%을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효모는 맛이 달고 액체에 잘 녹는 결정체인 설탕과 만나서 화학 반응을 활발하게 일으킨다. 즉, 효모와 설탕이 발효되면서 곡물 껍질이 발효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발효 생성물은 25도 이상 45도 이하의 온도에서 5일 이상 10일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발효 생성물은 25도 이상 45도 이하의 온도에서 효모와 설탕 간의 반응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효모와 설탕이 25도 이상 45도 이하의 온도에서 5일 이상 10일이하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가장 활발하게 발효되기 때문에 곡물 껍질을 빠르게 발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발효 생성물이 포함되는 천연소재의 접착제(140)는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 사이에 적층되는 발열망부(130)을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이러한 발효 생성물이 포함되는 천연소재의 접착제(140)에 의해 접착력이 강해짐으로써 전체적인 강도가 증가되어 더욱 단단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연소재의 접착제(140)에 발효 생성물을 포함함으로써, 접착성질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어 더욱 단단하게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을 고정하면서 발열망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천연소재의 접착제(140)를 이용하여 제1 강판(110)의 상부면에 닥나무를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강판(110)에 천연소재의 접착제(140)를 도포한 후 닥나무를 압착하여 제1 강판(110)에 부착하여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발열 장치(200)는 제1 강판(210), 제2 강판(220) 및 발열망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세라믹 발열장치(100)에는 제2 실시예의 세라믹 발열장치(200)의 기술적 특징이 그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의 세라믹 발열장치(200)에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세라믹 발열장치(100)의 기술적 특징이 그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견운모, 세피오라이트, 제오라이트, 카올린, 황토 및 장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1 강판(210); 입자 크기 0.1mm-1mm의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2 강판(22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망부(230)를 천연 접착제로 고정하는 세라믹 발열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천연 접착제는 (1) 규산나트륨, (2) 황토, 장석, 붕사, 카제인 및 견운모 중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및 (3) 효소 조성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이고, 상기 효소 조성물은 쌀겨 또는 보릿겨, 효모 또는 누룩 및 설탕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 접착제는 규산나트륨과, 황토, 장석, 붕사, 카제인 및 견운모 중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과, 쌀겨 또는 보릿겨, 효모 또는 누룩 및 설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인 효소 조성물이 함께 발효되어 생성된 접착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례에 있어서, 세라믹 발열장치(100)는 견운모, 세피오라이트, 제오라이트, 카올린, 황토 및 장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50-60 중량%를 포함하는 제1 강판(210);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30-40 중량%을 포함하는 제2 강판(220); 및 천연 접착제 10-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구체례에 있어서, 상기 천연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1) 규산나트륨 60-80 중량%, (2) 황토, 장석, 붕사, 카제인 및 견운모 중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10-30 중량% 및 (3) 효소 조성물 10-20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함께 발효시켜 얻은 접착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구체례에 있어서, 상기 천연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1) 규산나트륨, (2) 황토, 장석, 붕사, 카제인 및 견운모 중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및 (3) 효소 조성물을 혼합하고, 35-40에서 5-10일 동안 발효시켰을 때 얻어지는 발효 생성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구체례에 있어서, 상기 효소 조성물은 쌀겨 또는 보릿겨 65-75 중량%, 효모 또는 누룩 5-15 중량% 및 설탕 20-35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구체례에 있어서, 상기 효소 조성물은 쌀겨 또는 보릿겨, 효모 또는 누룩 및 설탕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25 내지 45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켰을 때 얻어지는 생성물이 될 수 있다.
제1 강판(210)은 제1 열전도율을 가진다. 이러한 제1 강판(210)은 일정한 너비와 길이를 가지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강판(210)은 소정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광물질인 견운모, 제오라이트, 세피오라이트, 카올린, 황토 및 장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견운모는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것일 수 있다. 견운모는 칼륨, 알루미늄을 함유한 함수 규산염 광물로 필수 미네랄과 미량원소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천연 광물이며, 세리사이트(Sericite)라고도 한다. 견운모는 항균, 탈취,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 방출, 전자파 차폐 등에 효율적이다. 이에 따라, 친환경 유기농자재, 친환경 건축자재, 친환경 축산 자재, 기능성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 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로 각광 받고 있다.
또한, 견운모는 특정방사성 물질에 대한 흡착/분해 능력이 뛰어나며, 물, 토양, 대기 중에서 각종 중금속 및 유독가스를 흡착 탈취 분해할 수 있다. 게다가 축열/단열 기능이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아 뛰어난 열에 안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견운모는 다음 표 1과 같은 시험성적표를 가질 수 있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SiO % KS E 3808:1993 20.2
FeO % KS E 3808:1993 2.8
AlO % KS E 3808:1993 11.0
CaO % KS E 3808:1993 38.2
MgO % KS E 3808:1993 1.0
KO % KS E 3808:1993 2.5
NaO % KS E 3808:1993 4.5
강열강량 % KS E 3808:1993 3.3
수분 % KS L 5405:2009 0.23
pH(측정온도: 25) - KS F 2103:2013 7.62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오라이트는 흡착, 촉매, 이온효과 작용이 뛰어나다. 이러한 제오라이트는 각종 금속이온을 흡착하여 냄새를 제거하므로,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오라이트는 다음 표 2와 같은 시험성적표를 가질 수 있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SiO % KS E 3808:1993 65.2
FeO % KS E 3808:1993 2.8
AlO % KS E 3808:1993 14.0
CaO % KS E 3808:1993 2.2
MgO % KS E 3808:1993 1.8
KO % KS E 3808:1993 3.8
NaO % KS E 3808:1993 2.8
강열강량 % KS E 3808:1993 6.7
수분 % KS L 5405:2009 2.67
pH(측정온도: 25) - KS F 2103:2013 7.61
또한, 세피오라이트는 방사능을 차단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며, 카올린은 고령도로써 미네랄이 풍부하고, 원적외선 방출한다. 이러한 세피오라이트는 다음 표 3과 같은 시험성적표를 가질 수 있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SiO % KS E 3808:1993 26.1
FeO % KS E 3808:1993 0.6
AlO % KS E 3808:1993 0.6
CaO % KS E 3808:1993 33.2
MgO % KS E 3808:1993 13.8
KO % KS E 3808:1993 0.3
NaO % KS E 3808:1993 0.3
강열강량 % KS E 3808:1993 25.0
수분 % KS L 5405:2009 1.08
pH(측정온도: 25) - KS F 2103:2013 7.90
본 발명에서는 다음 표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시험 성적표를 자는 카올린을 사용할 수 있다.
시험 항목 단위 시험 방법 시험 결과
SiO % KS E 3808:1993 62.7
FeO % KS E 3808:1993 2.3
AlO % KS E 3808:1993 20.3
CaO % KS E 3808:1993 1.1
MgO % KS E 3808:1993 1.8
KO % KS E 3808:1993 7.3
NaO % KS E 3808:1993 0.3
강열강량 % KS E 3808:1993 3.5
수분 % KS L 5405:2009 0.14
pH(측정온도: 25) - KS F 2103:2013 6.58
황토는 점토 광물로서, 주성분이 산화규소(SiO2)이고, 산소 친화력이 높아 습도 조절 능력이 탁월하여 결로 방지 효과가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효과, 축열에 의한 에너지 절감 효과, 유해 곤충 또는 균의 서식을 억제하는 항균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 표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시험 성적표를 갖는 황토를 사용할 수 있다.
시험 항목 단위 시험 방법 시험 결과
SiO % KS E 3808:1993 51.9
FeO % KS E 3808:1993 10.8
AlO % KS E 3808:1993 22.2
CaO % KS E 3808:1993 0.2
MgO % KS E 3808:1993 1.1
KO % KS E 3808:1993 3.4
NaO % KS E 3808:1993 0.3
강열강량 % KS E 3808:1993 8.2
수분 % KS L 5405:2009 1.38
pH(측정온도: 25) - KS F 2103:2013 6.43
장석은 칼슘, 나트륨, 칼륨을 함유하는 알루미늄규산염 광물군이다. 장석은 무기 재료 공업에 있어서 융제(flux)의 대표적인 원료로서, 장석을 가열하면 용융하여 매우 강인한 융체가 되며, 이것을 냉각시켜도 결정화하지 않고 유리 상태로 남음으로써 결합제(binder)의 역할을 한다. 용융물의 점성이 크고, 결정화하기 어려운 특성을 이용하는 점결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제2 강판(220)은 제1 강판(210)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제1 열전도율과 다른 전도율 예를 들어 제1 전도율보다 낮은 제2 전도율을 가진다. 이러한 제2 강판(220)은 제1 강판(210)과 이격되며, 제1 강판(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강판(220)은 제1 강판(210)보다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광물질이면서도 발포성 물질을 포함하는 버미큘라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버미큘라이트(질석)는 흑운모가 풍화 또는 열수 변질에 의해 생성된 광물로서, 그 내부에 물분자가 결합되어 있어, 고온으로 가열되면 광물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형성되는 기포로 인해 내부에 무수한 기공이 형성되고 원석 부피의 20 ~ 40배까지 팽창한다. 이러한 버미큘라이트(질석, 골드)로는 다음 표 6과 같은 시험 성적표를 갖는 버미큘라이트 골드 또는 버미큘라이트 실버가 사용될 수 있다.
시험 항목 단위 시험 방법 시험 결과
골드 실버
SiO % KS E 3808:1993 32.9 36.1
FeO % KS E 3808:1993 23.5 8.5
AlO % KS E 3808:1993 14.9 11.5
CaO % KS E 3808:1993 1.7 2.4
MgO % KS E 3808:1993 12.4 23.0
KO % KS E 3808:1993 6.5 5.2
NaO % KS E 3808:1993 0.2 1.6
강열강량 % KS E 3808:1993 4.9 9.3
수분 % KS L 5405:2009 1.06 3.42
pH(측정온도: 25) - KS F 2103:2013 7.60 6.79
펄라이트(진주암)는 화산암이 급속히 냉각될 때 형성되는 흑요석으로서, 그 내부에 함유된 수분은 고온으로 가열될 때 증발하고 부풀어 올라 미세한 다공질의 하얀 광물성이 되고 산도가 중성이며 양분 함량이 거의 없으며 잡초, 종자, 병원균 및 해충 등이 전혀 서식하지 않는다.
무공해인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는 3층 구조형 운보성 광물로서 층수간에 수분이 함유되어 가열하면 층수간에 탈수 현상이 일어나며 박리 팽창되어 무수히 많은 다공질의 보온 방음 무기질 단열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펄라이트(진주암)는 다음 표 7와 같은 시험 성적표를 가질 수 있다.
시험 항목 단위 시험 방법 시험 결과
SiO % KS E 3808:1993 72.1
FeO % KS E 3808:1993 1.4
AlO % KS E 3808:1993 12.5
CaO % KS E 3808:1993 0.9
MgO % KS E 3808:1993 0.4
KO % KS E 3808:1993 6.1
NaO % KS E 3808:1993 3.3
강열강량 % KS E 3808:1993 2.8
수분 % KS L 5405:2009 0.30
pH(측정온도: 25) - KS F 2103:2013 7.87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라믹 클레이는 벤토나이트(Bentonite)일 수 있다. 이러한 세라믹 클레이는 팽창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세라믹 클레이는 물과 반응하면 칼슘계 벤토나이트는 약 3배, 나트륨 벤토나이트는 약 15배까지 팽창하며 무게의 5배까지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팽창한 세라믹 클레이는 겔화가 되며 이 겔은 물을 배척하는 성질을 지닐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방수재의 원료로 쓰일 수 있다.
또한, 세라믹 클레이는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다른 물질을 서로 점결시키는 성질을 가진다. 이때 세라믹 클레이는 화학적으로 활성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점착되는 재료의 원래의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높은 온도에서도 이 성질은 변하지 않아 주물용 모래의 점착제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세라믹 클레이는 겔을 형성하므로 점성이 낮은 다른 재료들을 농축할 수 있다. 이때 세라믹 클레이를 이용한 현탁액은 장시간이 지나도 침전 등이 발생하지 않고 완벽한 콜로이드 상태를 이루므로 페인트 약품 흑연 등의 각종 공업 원료의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세라믹 클레이는 다음 표 8과 같은 시험 성적표를 가질 수 있다.
시험 항목 단위 시험 방법 시험 결과
SiO % KS E 3808:1993 55.4
FeO % KS E 3808:1993 11.6
AlO % KS E 3808:1993 19.6
CaO % KS E 3808:1993 3.3
MgO % KS E 3808:1993 2.8
KO % KS E 3808:1993 3.8
NaO % KS E 3808:1993 1.5
강열강량 % KS E 3808:1993 0.1
수분 % KS L 5405:2009 0.13
pH(측정온도: 25) - KS F 2103:2013 6.57
다음의 표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접착제를 함유하는 친환경 건축 자재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에 대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 성적서이다.
시험 항목 단위 시험 방법 시험 결과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온도 40,
측정 파장: 5-20)
KS E 3808:1993 0.925
원적외선 방사에너지
(측정온도 40,
측정 파장: 5-20)
W/㎡ KS E 3808:1993 3.73 x 102
[실시예]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를 분쇄기로 분쇄 가공한다. 즉,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를 0.1mm-1mm 크기로 곱게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제2 강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 분말을, 견운모, 세피오라이트, 제오라이트, 카올린, 황토 및 장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및 천연 접착제와 혼합하여 제1 강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강판과 제2 강판 상이에 발열망부(230)를 개재시키고, 혼합물을 금형에 주입하고, 다양한 반열 장치의 형상에 맞게 성형한다. 금형에 주입한 생성물을 자연 건조 또는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여 경화시켜 세라믹 발열 장치를 제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발열 장치와 그의 제조방법은 천연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경량성을 유지하므로, 성형 후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발열 장치와 그의 제조방법은 황토를 추가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고, 환경오염의 원인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발열 장치(200)는 입자 크기 0.1mm-1mm의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을 800-1200에서 급속히 가열하여 6-10배 크기로 팽창시키는 단계; 견운모, 세피오라이트, 제오라이트, 카올린, 황토 및 장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과,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천연 접착제를 배합하는 단계; 발열망부를 개재시키는 단계; 및 가열 가압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입자 크기 0.1mm-1mm의 분말 형태의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는 천연 접착제와 배합되어 교반될 때 용이하게 혼합되며, 교반물이 더욱 용이하게 경화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세라믹 발열 장치가 아주 견고하고, 표면이 매끈해질 수 있다.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을 800-1200에서 급속히 가열하여 6-10배 크기로 팽창시키고, 여기에 견운모, 세피오라이트, 제오라이트, 카올린, 황토 및 장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과,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천연 접착제를 배합하여 금형 내에 삽입하고 가열하면서 가압 성형하면, 견운모, 세피오라이트, 제오라이트, 카올린, 황토 및 장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과 천연 접착제가 함께 팽창된 광물 입자 사이에 끼어들면서 천연 접착제가 광물질 입자들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증진시킨다.
또한 팽창된 광물질에 의해 개방된 기공들의 표면이 천연 접착제에 의해 차단되면서 서로 결합하게 되므로, 성형품 내에 함유된 광물질들은 폐쇄된 기공을 갖는 형태로 되어 방음 효과와 단열 효과가 우수하게 된다. 특히 광물질 분말은 원적외선 방사 효능이 우수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므로, 실내의 장식용 판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제1 열전도율이 제2 열전도율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강판(210)의 제2 열전도율과 제2 강판(220)의 제2 열전도율을 다르게 함으로써, 주변 환경 또는 상황에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열전도율이 높으면, 주변을 빠르게 따뜻하게 할 수 있고, 열전도율이 낮으면, 서서히 따뜻해지나 따뜻함이 오랜 시간을 유지 또는 열전도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열이 발산되는 면에는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제1 강판(210)이 배치되고, 그 반대면에는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낮은 제2 강판(220)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발열망부(230)에서 발생되는 열의 대부분을 발열하고자 하는 면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발열 장치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발열망부(230)는 제1 강판(210)과 제2 강판(2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강판(210)과 제2 강판(220)에 발열되는 열이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발열망부는 도 1 내지 도 3에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열망부(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강판(210)과 제2 강판(220) 사이에 적층되어 발열망부(230)를 고정시키는 천연소재의 접착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천연소재의 접착제(240)는 도 1 내지 도 3에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연소재의 접착제(2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210 : 제1 강판
120, 220 : 제2 강판
130, 230 : 발열망부
131 : 제1 라인부재
131a : 제1 돌출단
131b : 제1 삽입단
132 : 제2 라인부재
132a : 제2 돌출단
132b : 제2 삽입단
133 : 열전도부재
134 : 지지부재
140, 240 : 천연소재의 접착제.

Claims (10)

  1. 제1 열전도율을 가지는 제1 강판;
    상기 제1 강판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열전도율보다 낮은 전도율인 제2 전도율을 가지는 제2 강판; 및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에 발열되는 열이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발열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판은 견운모, 세피오라이트, 제오라이트, 카올린, 황토 및 장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강판은 입자 크기 0.1 mm-1 mm의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세라믹 발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망부는,
    전류가 흐르는 물질로 형성되는 제1 라인부재,
    상기 제1 라인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전류가 흐르는 물질로 형성되는 제2 라인부재,
    상기 제1 라인부재와 상기 제2 라인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라인부재에서 상기 제2 라인부재 전류가 흐르면서 발열이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열전도부재, 및
    상기 제1 라인부재와 상기 제2 라인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도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열전도부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에 전달하되, 전류가 흐르지 않는 물질로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세라믹 발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부재의 상단에는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의 하단에 체결되도록 돌출되는 제1 돌출단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라인부재의 하단에는 순차적으로 나중에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의 상단과 체결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삽입단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2 라인부재의 상단에는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2 라인부재의 하단에 체결되도록 돌출되는 제2 돌출단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 라인부재의 하단에는 순차적으로 나중에 배치되는 제2 라인부재의 상단과 체결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삽입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발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단은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의 하단과 체결되는 동안 상기 제1 돌출단이 순차적으로 먼저 배치되는 제1 라인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발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망부는 상기 제1 강판과 상기 제2 강판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천연소재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발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소재 접착제는 (1) 규산나트륨, (2) 황토, 장석, 붕사, 카제인 및 견운모 중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및 (3) 효소 조성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이고,
    상기 효소 조성물은 쌀겨 또는 보릿겨, 효모 또는 누룩 및 설탕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발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소재 접착제는 (1) 규산나트륨 60-80 중량%, (2) 황토, 장석, 붕사, 카제인 및 견운모 중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10-30 중량% 및 (3) 효소 조성물 10-20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발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조성물은 쌀겨 또는 보릿겨 65-75 중량%, 효모 또는 누룩 5-15 중량% 및 설탕 20-35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물의 발효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발열 장치.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판은 견운모, 세피오라이트, 제오라이트, 카올린, 황토 및 장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50-60 중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강판은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세라믹 클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 1종 이상 30-4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소재 접착제는 10-20 중량%가 포함되는 세라믹 발열 장치.
KR1020140053897A 2014-05-07 2014-05-07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78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897A KR101578479B1 (ko) 2014-05-07 2014-05-07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897A KR101578479B1 (ko) 2014-05-07 2014-05-07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317A KR20150127317A (ko) 2015-11-17
KR101578479B1 true KR101578479B1 (ko) 2015-12-28

Family

ID=5478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8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8479B1 (ko) 2014-05-07 2014-05-07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4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509Y1 (ko) * 2004-02-11 2004-05-17 정유식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저밀도 면상 발열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7617A1 (de) * 2007-02-13 2008-08-14 Tesa Ag Intrinsisch erwärmbare heißschmelzklebrige Flächengebilde
KR100979538B1 (ko) 2009-02-10 2010-09-01 한국기계연구원 도전성 박막과 전극을 구비한 발열기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509Y1 (ko) * 2004-02-11 2004-05-17 정유식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저밀도 면상 발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317A (ko)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943B1 (ko) 건축 내외장용 불연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21264B1 (ko) 천연 접착제 함유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49052B1 (ko) 왕겨를 포함하는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41414B1 (ko) 팽창성 광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KR101442710B1 (ko) 탄소섬유 면상발열체
KR101578479B1 (ko) 천연 접착제 함유 세라믹 발열 장치
JP2011084708A (ja) 耐熱性向上剤
KR20120021003A (ko) 기능성 나노소자 자연석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980630B1 (ko) 폐섬유와 석분을 이용한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112573891A (zh) 远红外养生硅藻泥板及其制备方法
KR19980065794A (ko) 건축용 내장벽체
KR101229107B1 (ko) 팽창성 광물과 중성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KR101621263B1 (ko) 천연 소재 함유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0647141B1 (ko) 팽창성 광물을 이용한 방화문 판재
CN110952740A (zh) 一种发热建材及其制备方法
KR20140131463A (ko) 미러형 퀀텀 에너지 조사 장치
KR101510131B1 (ko) 천연 소재 함유 텍스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372792Y1 (ko) 천연황토 염색 면직물을 이용한 생황토 침대
KR20130002842A (ko) 에너지 절감구조를 이룬 한지황토구들장 및 한지황토구들장을 이용한 보온방법
KR20170104685A (ko) 탄화왕겨를 이용한 단열재와 내장재를 겸한 복합 보드 및 이 보드의 제조방법
JP2008014626A (ja) 温熱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31881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친환경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511517B1 (ko) 천연 고기능 나노 광물을 융합한 내부용 점토 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85039A (ko) 복합효소-함유 기능성 광석분 및 그의 제조방법
CN202209721U (zh) 地暖结构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