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75449B1 -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449B1
KR101575449B1 KR1020140018204A KR20140018204A KR101575449B1 KR 101575449 B1 KR101575449 B1 KR 101575449B1 KR 1020140018204 A KR1020140018204 A KR 1020140018204A KR 20140018204 A KR20140018204 A KR 20140018204A KR 101575449 B1 KR101575449 B1 KR 101575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battery
vehicle
gas
electroly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077A (ko
Inventor
양희태
최제훈
고기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44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44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6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or in or below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로부터 유출되는 전해액 가스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각 배터리 셀 간의 전압 편차를 측정하여 증가율이 기준치 이상이 되면 전해액 누출로 판단하여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의 연결덕트를 폐쇄시키거나, 또는 배터리 모듈내의 과충전에 따른 이산화탄소 기체를 검출하여 기준치 이상이 되면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의 연결덕트를 폐쇄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FLOW OF ELECTROLYTE GAS}
본 발명은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로부터 유출되는 전해액 가스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친환경 차량의 일종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 등의 트렁크 공간에는 주행용 모터 등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의 각 배터리 셀의 충방전 과정 중, 배터리의 온도가 적정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배터리 내부 저항의 변화 및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되므로, 배터리 모듈을 적정 수준으로 냉각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공냉식 또는 수냉식의 배터리 냉각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공랭식의 배터리 냉각 시스템은 냉각공기를 트렁크 룸내의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쪽으로 송풍하기 위한 흡입측 냉각덕트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의 출구에 장착되어 냉각을 마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측 냉각덕트와, 냉각공기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내의 배터리 모듈로 송풍되도록 흡입측 냉각덕트 혹은 배출측 냉각덕트에 장착되는 송풍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측 냉각덕트가 차량의 실내와 연결되어, 실내공기가 흡입측 냉각덕트를 통하여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으로 냉각을 위하여 송풍되고, 배터리 모듈을 냉각시킨 공기는 배출측 냉각덕트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배터리 모듈이 탑재된 배터리 탑재공간과 실내가 덕트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 경우,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된 전해액 관련 가스(HF, EC, DME, EMC, LiPF6, VC 등)가 흡입측 또는 배출측 냉각덕트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전해액 가스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므로, 유사시 배터리 셀로부터 전해액 가스가 유출되었음을 승객에게 알리고, 더 나아가 가스가 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배터리 모듈의 각 배터리 셀 간의 전압 편차를 측정하여 증가율이 기준치 이상이 되면 전해액 누출로 판단하여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의 연결덕트를 폐쇄시키거나, 또는 배터리 모듈내의 과충전에 따른 이산화탄소 기체를 검출하여 기준치 이상이 되면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의 연결덕트를 폐쇄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을 연결하는 덕트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내에 부착되어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각 배터리 셀 간 전압편차를 측정하는 셀 전압 측정수단과; 상기 농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셀 전압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 간의 전압 편차 증가율이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개폐수단을 닫힘으로 작동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의 실내에는 덕트의 개폐 상태 및 유해가스 배출 경고를 안내하는 표시수단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에 대한 과충전 방지를 위한 과충전 방지장치의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충전 방지장치 모니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각 배터리 셀 간 전압편차를 측정하는 전압편차 증가율 측정 단계와; 배터리 셀 간의 전압편차 증가율이 기준치 이상이면, 차량의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을 연결하는 덕트의 개폐수단을 닫아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배터리 셀 간의 전압편차는 정상 셀과 정상 열화 셀 간의 전압편차와, 정상셀과 전해액이 누출된 열화 셀 간의 전압편차 간의 증가율을 측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내의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차량의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을 연결하는 덕트의 개폐수단을 닫아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덕트의 개폐수단 닫힘시 실내의 표시수단을 통하여 유해가스 배출 경고를 안내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에 대한 과충전 방지를 위한 과충전 방지장치의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과충전 방지장치가 작동된 것을 판정되면, 차량의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을 연결하는 덕트의 개폐수단을 닫아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차량의 실내와 배터리 모듈이 탑재된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이 덕트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 경우, 배터리 모듈의 각 배터리 셀로부터 전해액 가스가 기준치 이상 발생하거나, 이산화탄소가 기준치 이상 발생하면, 덕트의 개폐수단을 차단하여 유해가스(전해액 가스 또는 이산화탄소)가 차량의 실내(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과충전 등의 극단적인 상황(전해액 가스 다량 방출) 이외에도 소량의 전해액 가스 유출의 위험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항상 쾌적한 실내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과충전 방지 장치와 연계하여, 과충전 방지 장치의 작동시에도 덕트를 폐쇄하여 전해액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를 위하여 배터리 셀 간의 전압편차를 측정하는 원리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이 덕트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 경우, 배터리 모듈의 각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전해액 가스 또는 이산화탄소)가 차량의 실내(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차량의 실내공간(20)와 배터리 모듈이 탑재된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 예를 들어 트렁크 룸의 바닥쪽 공간)이 흡입측 냉각덕트(22)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다.
즉, 차량의 실내공간(20)내의 공기를 트렁크 룸내의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쪽으로 송풍하기 위하여 차량의 실내공간(20)와 배터리 모듈이 탑재된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이 흡입측 냉각덕트(22)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에는 배터리 모듈(12)이 탑재되고, 한쪽에는 배터리 모듈(12)을 냉각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측 냉각덕트(24)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측 냉각덕트(10)에는 배터리 모듈(12)의 각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전해액 가스 또는 이산화탄소)가 차량의 실내(승객룸)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개폐수단(26)이 장착되며, 이 개폐수단(26)의 일례로서 제어기(3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열림 또는 닫힘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내에 탑재된 배터리 모듈에는 각 배터리 셀 간 전압편차를 측정하는 셀 전압 측정수단(14)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내에는 배터리 모듈(12)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16)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셀 전압 측정수단(14)의 측정 결과 및 농도측정센서(16)의 측정 결과는 제어기(30)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농도측정센서(16)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셀 전압 측정수단(14)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 간의 전압 편차 증가율이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기(30)는 흡입측 냉각덕트에 장착된 개폐수단(26)을 닫힘으로 제어하여,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내의 전해액 가스 및 이산화탄소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되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기(30)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된 표시수단(28)을 통하여 덕트의 개폐 상태 및 유해가스 배출 경고를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팝업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셀 전압 측정수단(14)에서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내에 탑재된 배터리 모듈의 각 배터리 셀 간 전압편차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셀 간의 전압편차는 정상 셀과 정상 열화 셀 간의 전압편차와, 정상셀과 전해액이 누출된 열화 셀 간의 전압편차 간의 증가율을 측정하게 된다.
이에, 배터리 모듈의 각 배터리 셀 간 전압편차를 측정하는 전압편차 증가율이 기준치 이상이면, 제어기(30)에서 차량의 실내공간(20)과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 간을 연결하는 덕트내의 개폐수단(26)을 닫힘으로 제어하게 됨으로써,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내의 전해액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터리 셀 간의 전압편차 증가율을 측정하는 과정은 아이들 상태, 배터리 충전 상태, 배터리 방전 상태에서 진행된다.
차량의 아이들(Idle) 상태에서 배터리 전압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전해액이 공기과 접촉(전해액 누액)하면, 해당 셀(cell)은 급격히 열화 및 자가방전을 하여 전압강하가 발생된다.
이에, 도 3에서 보듯이 정상셀과 전해액 누액으로 인하여 급격하게 열화된 셀 간의 전압편차1와, 정상 셀과 정상적으로 열화된 셀 간의 전압편차2는 서로 다른 증가율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에서 배터리 방전이 이루어지면, 배터리의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배터리 방전에 따른 배터리 하한전압 관리가 이루어져 하한전압 도달 시 배터리 방전이 중지된다.
이때, 배터리가 많이 열화 될수록 방전시 전압강하가 크게 되며, 이는 전해액이 공기과 접촉(전해액 누액)함에 기인한다.
이에, 도 4에서 보듯이 정상셀과 전해액 누액으로 인하여 급격하게 열화된 셀 간의 전압편차1(배터리 하한전압 기준)와, 정상 셀과 정상적으로 열화된 셀 간의 전압편차2(배터리 하한전압 기준)는 서로 다른 증가율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배터리 방전 상태에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면, 배터리의 전압상승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배터리 충전에 따른 배터리 상한전압 관리가 이루어져 상한전압 도달 시 배터리 충전이 중지된다.
이때, 배터리가 많이 열화 될수록 충전시 전압상승이 크게 되며, 이는 전해액이 공기과 접촉(전해액 누액)함에 기인한다.
이에, 도 5에서 보듯이 정상셀과 전해액 누액으로 인하여 급격하게 열화된 셀 간의 전압편차1(배터리 상한전압 기준)와, 정상 셀과 정상적으로 열화된 셀 간의 전압편차2(배터리 상한전압 기준)는 서로 다른 증가율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압편차1과 전압편차2 간의 전압편차 증가율 차이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전해액 누액에 의한 비정상적으로 빠른 열화 발생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하여, 제어기(30)에서 전해액 가스의 실내 유입 방지를 위하여 개폐수단(26)을 닫힘으로 제어하게 됨으로써,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내의 전해액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모듈의 각 배터리 셀 간 전압편차를 측정함과 함께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내에 장착된 농도측정센서(16)에서 배터리 모듈(12)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한다.
이어서,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제어기(30)에서 차량의 실내공간(20)과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 간을 연결하는 덕트내의 개폐수단(26)을 닫힘으로 제어하게 됨으로써,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10)내의 이산화탄소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측 덕트의 개폐수단(26)을 제어기(30)에서 닫힘 제어할 때, 제어기의 제어로 인하여 실내의 표시수단(28)에서 유해가스 배출 경고를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배터리 셀 전압 측정 및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과 더불어 배터리 모듈에 대한 과충전 방지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첨부한 도 6의 순서도에서 보듯이 배터리 모듈에 대한 과충전 방지를 위한 과충전 방지장치의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참고로, 배터리 모듈에 대한 과충전으로 인한 스웰링(swelling)은 전해액과 관련된 가스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으므로, 과충전 방지장치가 작동된 것은 과충전으로 인한 스웰링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상기 과충전 방지장치의 동작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과충전 방지장치가 작동된 것으로 판정되면, 차량의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을 연결하는 덕트의 개폐수단(26)을 닫아줌으로써, 전해액과 관련된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10 :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12 : 배터리 모듈
14 : 셀 전압 측정수단
16 : 농도측정센서
20 : 실내공간
22 : 흡입측 냉각덕트
24 : 배출측 냉각덕트
26 : 개폐수단
28 : 표시수단
30 : 제어기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배터리 모듈의 각 배터리 셀 간 전압편차를 측정하는 전압편차 증가율 측정 단계와;
    배터리 셀 간의 전압편차 증가율이 기준치 이상이면, 차량의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을 연결하는 덕트의 개폐수단을 닫아주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셀 간의 전압편차 증가율에 있어서, 정상 셀과 전해액 누액으로 인하여 열화된 셀 간의 전압편차1과, 정상 셀과 정상적으로 열화된 셀 간의 전압편차2 간의 전압편차 증가율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전해액 가스의 실내 유입 방지를 위해 제어기가 상기 개폐수단을 닫힘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유입 방지 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내의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차량의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을 연결하는 덕트의 개폐수단을 닫아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방법.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개폐수단 닫힘시 실내의 표시수단을 통하여 유해가스 배출 경고를 안내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에 대한 과충전 방지를 위한 과충전 방지장치의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과충전 방지장치가 작동된 것을 판정되면, 차량의 실내와 배터리 모듈 탑재공간 간을 연결하는 덕트의 개폐수단을 닫아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방법.
KR1020140018204A 2014-02-18 2014-02-18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75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204A KR101575449B1 (ko) 2014-02-18 2014-02-18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204A KR101575449B1 (ko) 2014-02-18 2014-02-18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77A KR20150097077A (ko) 2015-08-26
KR101575449B1 true KR101575449B1 (ko) 2015-12-07

Family

ID=5405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2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5449B1 (ko) 2014-02-18 2014-02-18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908B1 (ko) 2015-09-14 2019-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스웰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27B1 (ko) * 2006-10-18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 유해가스 및 분진 자동배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27B1 (ko) * 2006-10-18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 유해가스 및 분진 자동배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77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908B1 (ko) 배터리 스웰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86842B1 (ko) Ess 배터리랙 화재확산방지 장치
JP4077775B2 (ja) 電池電源装置の制御方法
US20180022186A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in a vehicle, blockage of an airflow passage to a power storage unit
KR101526807B1 (ko)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 공급 제어방법
EP2613399B1 (en) Cool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pack
CN102056757B (zh) 电动车辆
KR101828657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공기계 이상 판정 방법
KR101628489B1 (ko)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17523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호장치
KR101583679B1 (ko) 차량용 이차전지 배터리팩의 냉각장치
KR20120069334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호장치
CN105510830B (zh) 用于监测机动车辆中电池的状态的方法
JP6350812B2 (ja) 電池の温調装置
JP6800758B2 (ja) 二次電池の制御装置及び二次電池の制御方法
KR20140012244A (ko) 배터리모듈의 가스배출 구조
JP699260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風速導出方法
KR102023716B1 (ko) 차량용 배터리시스템
CN206022563U (zh) 一种具有气压检测报警功能的汽车动力电池
KR102699195B1 (ko) 수냉식 통합 에너지 저장 장치
US12278345B2 (en) Arrangement for pressure monitoring within a battery housing,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battery system with an arrangement
KR20150044162A (ko) 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공기 냉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75449B1 (ko) 친환경 차량의 전해액 가스 실내 유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85858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cooling duct of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KR101770326B1 (ko) 공냉식 구조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10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