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65988B1 -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988B1
KR101565988B1 KR1020090101439A KR20090101439A KR101565988B1 KR 101565988 B1 KR101565988 B1 KR 101565988B1 KR 1020090101439 A KR1020090101439 A KR 1020090101439A KR 20090101439 A KR20090101439 A KR 20090101439A KR 101565988 B1 KR101565988 B1 KR 101565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delete delete
led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616A (ko
Inventor
류정호
윤철수
원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988B1/ko
Priority to EP10188129.0A priority patent/EP2314658B1/en
Priority to TW099135688A priority patent/TWI414585B/zh
Priority to EP12004879.8A priority patent/EP2530133B1/en
Priority to JP2010237961A priority patent/JP5678303B2/ja
Priority to US12/910,514 priority patent/US8652357B2/en
Priority to CN2010105340020A priority patent/CN102041002A/zh
Publication of KR2010012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616A/ko
Priority to US14/158,693 priority patent/US87730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83Arsenides; Nitrides; Phosph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54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up, converted, or stored; Luminescent coatings on vessels
    • H01J1/62Luminescent screens; Selection of materials for luminescent coatings on vessels
    • H01J1/63Luminescent screens; Selection of materials for luminescent coatings on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luminesc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2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europium
    • C09K11/77347Silicon Nitrides or Silicon Oxynit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2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europium
    • C09K11/77348Silicon Aluminium Nitrides or Silicon Aluminium Oxynitr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4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means distinct or spaced from the light-generating element, e.g. a remote phosphor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5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die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909Post-treatment of the connector or wire bonding area
    • H01L2224/8592Applying permanent coating, e.g. protective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46Mixed devices
    • H01L2924/1461M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41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5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late or f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7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in intimate contact with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body or integrated with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8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having a non-uniform spatial arrangement or non-uniform concentration, e.g. patterned wavelength conversion layer, wavelength conversion layer with a concentration gradient of the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면광원장치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적색형광체는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을 갖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원소이며, x는 0<x<4, y는 y=2x/3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리케이트, 적색형광체,

Description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조명장치 {Red phospho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Red Phosphor}
본 발명은 적색형광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발광특성과 우수한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는 장파장의 적색광을 발광할 수 있는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면광원장치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물질은 다양한 광원의 특정 파장광을 원하는 파장광으로 변환시키는 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광원 중 LED는 저전력 구동 및 우수한 광효율로 인해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와 가로등, 자동차 조명 및 가정용 조명장치로서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형광물질은 백색 LED를 제조하기 위한 핵심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형광물질의 효율은 디스플레이의 구동에 필수적인 요소인 동시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광원 제품의 효율과 직접 연관되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CIE 색조표에서 정의된 자연광에 가 까운 백색광을 구현하는 기술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백색광을 방출하기 위한 백색 LED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백색 LED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청색 LED에 황색 형광체 및 녹색형광체를 코팅하여 사용하는 방법, 자외선 LED에 적색, 녹색 및 청색 형광체를 코팅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고휘도의 백색광을 얻을 수 있어 현재 가장 널리 연구되고 있는 방법이다. 이 경우 사용되는 황색 형광체로는 YAG(Y3Al5O12)계 또는 TAG계 황색 형광체가 있으나, 적색성분의 부족으로 푸르스름한 백색발광이 되어 연색성(color rendering)이 낮고, 장시간 사용에 의해 작동온도가 증가되면, 황변현상(yellowing)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후자의 경우, 자외선을 삼원색 형광 물질에 투과시켜 삼파장 백색광을 만들어 내는 방법으로, 황변현상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연색지수(color rendering index: CRI)가 우수하고, 나아가, 폭넓은 색분포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적색 형광체는 녹색 또는 청색 형광체에 비해 효율이 낮으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60wt%이상)로 혼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적색형광체의 낮은 효율은 다른 형광체에 비해 원하는 자외선 대역 또는 청색대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여기스펙트럼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색 LED 및 자외선 LED를 여기원으로 하는 백색 LED에 있어서, 높은 효율을 가지며, 연색성 향상을 위한 적색형광체의 조 성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색 및 자외선 파장영역을 여기원으로 하여 적색광을 발광하고 높은 휘도를 가지며,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적색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색 및 자외선 파장영역을 여기원으로 하여 적색광을 발광하는 적색형광체를 포함하여 자연광에 가까운 연색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 면광원장치 및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형태는,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금속 원소이고, 0<x<4, y=2x/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형광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적색형광체는 청색 또는 자외선 파장영역을 여기원으로 하여 600 ~ 700nm의 파장대역의 발광피크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600 ~ 620 nm의 파장대역의 발광피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x는 0.15≤x≤3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며, 상기 x는 0.43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x는 1.56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은 Mg, Ca, Sr 및 Ba으로 구성되는 제2족 원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포함하거나, 상기 M은 Li, Na, K, Rb 및 Cs로 구성되는 제1족 원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식에서 Si 중 일부는 B, Al, Ga 및 In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로 치환되거나, 상기 조성식에서 Si 중 일부는 Ti, Zr, Sn 및 Pb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Si가 상기 원소로 치환되는 비는 1/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색형광체는 M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화합물은 사방정계 결정의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사방정계 결정의 무기화합물은 전체 무기화합물 중 50 질량%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Sr-함유 화합물 및 M-함유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Eu-함유 화합물, Si-함유 산화물 및 Si-함유 질화물을 포함하는 원료물질들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소성하여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고, 0<x<4 이며, y=2x/3인 적색형광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Eu-함유 화합물은 산화유로피움(Eu2O3)일 수 있으며, 상기 원료물질들을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망간 탄산염을 더 혼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원료물질들을 혼합하는 단계는, B, Al, Ga 및 In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의 화합물 더 혼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원료물질들을 혼합하는 단계는, Ti, Zr, Sn 및 Pb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의 화합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r-함유 화합물은 스트론튬(Sr)의 금속, 수용성 금속염, 산화물, 질산염, 산화염, 황산연 또는 탄산염일 수 있으며, 상기 M-함유 화합물은 M의 금속, 수용성 금속염, 산화물, 질산염, 산화염, 황산연 또는 탄산염일 수 있으며, 상기 Si-함유 산화물은 산화규소(SiO2)이며, 상기 Si-함유 질화물은 질화규소(Si3N4)일 수 있다.
상기 원료물질들을 혼합하는 단계는, 용매를 이용하여 습식 혼합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적색형광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습식 혼합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성은 1000-1800℃ 온도 범위에서 1-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소성은 질소 가스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여기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여기광을 흡수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는 파장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장변환부는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는 적색형광체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적색형광체는 상기 여기광에 의해 여기되어 600 ~ 700 nm 파장대역의 발광 피크를 방출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600 ~ 620nm 파장대역의 발광 피크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이고, 청색형광체 및 녹색형광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최종 출력광은 백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장변환부는 상기 발광소자 위에 형성되며 상기 적색형광체를 함유하여 적색광을 방출하는 제1 형광층과, 상기 제1 형광층 위에 적층되어 녹색광을 방출하는 제2 형광층과, 상기 제2 형광층 위에 적층되어 청색광을 방출하는 제3 형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장변환부는 상기 발광소자 위에 형성되며 상기 적색형광체를 함유하여 적색광을 방출하는 제1 형광층과, 상기 제1 형광층 위에 적층되어 녹색광과 청색광을 함께 방출하는 제2 형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가 청색 발광다이오드이고, 녹색형광체 또는 황색형광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최종 출력광은 백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파장변환부는 상기 발광소자 위에 형성되며 상기 적색형광체를 함유하여 적색광을 방출하는 제1 형광층과, 상기 제1 형광층 위에 적층되어 녹색광을 방출하는 제2 형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장변환부는 상기 발광소자 위에 형성되며 상기 적색형광체를 함유하여 적색광을 방출하는 제1 형광층과, 상기 제1 형광층 위에 적층되어 황색광을 방출하는 제2 형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장변환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외부면을 상기 적색형광체가 함유된 수지재로 균일하게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파장변환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상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파장변환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상면 및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장변환부는 상기 발광소자를 봉지하는 수지포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적색형광체가 상기 수지포장부에 분산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파장변환부는 청색형광체, 녹색형광체 및 황색형광체 중 적어도 2종 이상의 형광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최종 출력광은 백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여기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여기광을 흡수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는 파장변환부로 이루 어지며, 상기 파장변환부는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는 적색형광체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발광소자 패키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파장변환부는 청색형광체, 녹색형광체 및 황색형광체 중 적어도 2종 이상의 형광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최종 출력광은 백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된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된 광학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 및 상기 복수의 광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여기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여기광을 흡수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는 파장변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장변환부는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는 적색형광체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기판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상부로 반사시키는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파장변환부는 청색형광체, 녹색형광체 및 황색형광체 중 적어도 2종 이상의 형광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최종 출력광은 백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흡수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며,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임)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는 적색형광체를 적어도 포함하는 파장변환부로 이루어지는 발광소자 패키지;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를 통해 반사되는 광의 경로상에 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파장변환부는 청색형광체, 녹색형광체 및 황색형광체 중 적어도 2종 이상의 형광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최종 출력광은 백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Sr, M)2SiO4 - xNy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포 함함으로써, 높은 발광특성과 우수한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는 장파장의 적색광을 발광할 수 있는 적색형광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적색형광체를 이용함으로써 고출력/고신뢰성을 가지며, 청색 및 자외선 파장대역을 여기원으로 하여 자연광에 가까운 백색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적색형광체는 (Sr, M)2SiO4 - xNy의 조성식을 갖는 무기결정을 모체로 하여, 적색에너지 준위를 만드는 활성제로서 Eu를 사용함으로써 600nm 이상 700nm 이하 범위의 발광피크를 갖는 장파장의 적색광을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모체를 구성하는 주된 금속원소는 스트론튬(Sr)이며, 스트론튬을 대체할 수 있는 금속원소 M은 1가 및 2가 원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이다. 그리고, 발광중심원소 Eu 주위의 전자상태에 따라 발광색과 휘도가 변화되므로, 무기결정 모체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적색형광체의 발광 특성 및 물리적인 특성들 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적색형광체는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원소이고, x는 0<x<4의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선택되며, Sr2SiO4 - xNy의 총전하가 0이 되어야 하므로, y는 y=2x/3을 만족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휘도의 적색광을 얻기 위해서 x는 0.15≤x≤3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으며, x가 0.15 이하이거나, 3이상일 경우 원하는 휘도와 발광피크를 갖는 적색광을 얻기 어렵다.
여기서, M은 Li, Na, K, Rb 및 Cs로 구성되는 제1족 원소 그룹 또는 Mg, Ca, Sr 및 Ba으로 구성되는 제2족 원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포함함으로써 적색형광체의 발광피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성식에서 Si 중 일부는 B, Al, Ga 및 In으로 구성된 그룹 또는 Ti, Zr, Sn 및 Pb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로 치환함으로써 적색형광체의 발광피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Si가 상기 원소로 치환되는 비는 1/10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 알려진 산화규소, 질화규소, 산질화물과 다른 결정을 모체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정을 모체로 하여 적색파장, 예컨대 600nm ~ 700nm 파장범위의 발광 피크를 가지는 장파장의 적색형광체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식에서 적절한 범위로 산소를 질소로 치환함으로써, 600 ~ 620nm 파장범위의 발광 피크를 갖는 고휘도의 적색형광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색형광체는 종래 산화물 형광물질과 비교하여 높은 발광특성과 우수한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며, 이는 산소에 비해 질소의 높은 공유결합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다 강한(stiff) 결정구조를 통해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질소에 의한 강한 결정구조를 통하여 란탄원소들의 결정내 에너지 준위의 분열(splitting)을 증가시켜 산화물 형광물질보다 장파장의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적색형광체는 높은 발광특성과 우수한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가짐으로써, 고출력/고신뢰성의 백색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적색형광체의 제조방법은 원료물질로서 Sr-함유 화합물 및 M-함유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Eu-함유 화합물과, Si-함유 산화물과, Si-함유 질화물을 준비하고, 각 원료물질들을 원하는 화학양론에 맞게 칭량하여 혼합할 원료물질들을 준비한다. 원료물질들의 혼합은 건식과 습식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습식혼합 방식에 따르면, 상기 칭량된 혼합물과, 원료물질의 혼합과정 및 분쇄를 도와주는 볼(ball)과 용매를 삽입하여 혼합한다. 이때 볼은 산화규소(Si3N4) 혹은 지르코니아 (ZrO2) 재질 혹은 일반적으로 원료혼합시에 사용되는 볼 을 사용한다. 용매는 D.I.Water,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혹은 n-Hexane 등의 유기용매 모두 사용 가능하다. 즉, 원료물질과 용매 및 볼을 삽입한 후 용기를 밀폐시키고, 밀러(miller)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1-24 시간 정도 원료물질을 균질하게 혼합시킨다. 혼합과정이 완료된 후, 혼합된 원료물질과 볼을 분리시키고, 건조로(oven)에서 1 - 48 시간 정도의 건조과정을 통하여 용매를 대부분 건조시킨다. 건조가 완료된 분말을 금속 혹은 폴리머 재질의 체(sieve)를 이용하여 100 마이크로미터 사이즈 이하로 균일하게 분급한다.
한편, 건식혼합 방식에 따르면,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용기에 원료물질들의 삽입하고 밀링 머신(milling machine)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물질들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혼합시간은 1 ~ 24 시간 정도이며 이때 볼을 원료물질과 같이 삽입하여, 혼합을 좀더 용이하게 하여 혼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건식혼합 방식은 습식에 비해 용매의 건조과정이 필요 없는 관계로 전체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료물질의 혼합이 완료되면, 습식혼합과 마찬가지로 혼합과정이 완료된 분말을 금속 혹은 폴리머 재질의 체(sieve)를 이용하여 100 마이크로미터 사이즈 이하로 균일하게 분급한다.
최종적으로 분급된 혼합분말을 질화붕소(BN) 도가니에 충진시키고 소성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소성공정은 가열로를 이용하여 1000 ~ 1800℃ 의 온도에서 1 24 시간 정도 이루어진다. 소성과정 중의 분위기는 질소(N2) 100% 혹은 수소를 1 10 % 포함된 혼합 질소 가스를 이용한다. 합성된 형광체 분말을 유발 혹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균질하게 분쇄한 후 상기에 설명한 합성공정과 유사하게 후열처리 공정을 1회 내지 3회 반복 실시하여 형광체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하여 (Sr, M)2SiO4 - xNy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함유하는 최종 적색형광체가 제조된다. 여기서,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 조건을 만족한다.
최종적으로 소성된 형광체 분말을 유발 혹은 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하고 최적의 입도를 구현하기 위해 분급 공정을 통하여 입도를 제어한다. 이때 대표적으로 16 마이크로미터 사이즈의 체를 이용하여 16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균질한 크기의 적색형광체를 얻는다. 여기서 얻어진 형광체 분말을 D.I. Water, 무기산, 유기산, 염기를 이용하여 후처리하는 것에 의해, 형광체에 포함되어 있는 여분의 유리상, 미반응 금속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O.1 ~ 60 % 농도의 질산을 가하여, 1 ~ 10시간 교반하는 것에 의해 여분의 불순물을 용출 및 제거할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질산 이외에, 황산, 염산, 불소산, 또는 이들 무기산의 혼합 용액을 사용한다. 한편, 산처리를 통해 제거하지 못한 불순물은 염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염기로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등의 무기 염기 혹은 이들 무기염기들의 혼합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산처리 및 염처리 후의 형광체 슬러리는, 잔존하는 산 혹은 염을 D.I. water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습식 분급, 여과, 건조를 실시하여 최종의 소망하는 형광체 분말을 얻는다. 이때 건조는 50 ~ 150℃ 에서 충분히 실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Sr-함유 화합물은 SrCO3이며, Eu-함유 화합물은 산화유로피움(Eu2O3)일 수 있으며, Si-함유 산화물은 산화규소(SiO2)일 수 있으며, Si-함유 질화물은 질화규소(Si3N4)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적색형광체는 SrCO3-SiO2-Si3N4의 조성에 Eu2O3을 첨가하여 EuzSr2 - zSiO4 - xNy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얻는다. 이때, z는 0.01≤z≤0.2의 조건을 만족하는 값으로부터 선택된다. z값이 0.2 이상의 농도에서는 농도 소광현상에 의해, 0.01 이하의 농도에서는 발광중심원소로 작용하는 활성제의 농도부족으로 인해 발광세기가 감소한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원료물질로 SrCO3, SiO2, Eu2O3, Si3N4를 화학양론비로 볼밀을 이용하여 에탄올 용매와 혼합한다. 원료혼합물을 건조기를 사용하여 에탄올 용매를 휘발시키고, 질화붕소 도가니에 건조된 원료혼합물을 충진한다. 원료혼합물이 충진된 질화붕소 도가니를 가열로에 삽입하고, N2 분위기의 가스상태에서 1600℃로 10시간 동안 소성하여 (Sr, M)2SiO4 - xNy:Eu의 형광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Sr, M)2SiO4 - xNy:Eu의 형광체의 베이스 결정구조는 스트론튬실리케이트(Sr2SiO4)이며, 스트론튬을 금속원소 M으로 대체하여 모체의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Sr, M)2SiO4-xNy:Eu의 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 XRD 스펙트럼 및 EDX 성분분석 결과를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적색형광체는 200nm 이상 500nm 이하의 파장영역을 여기원으로 하여 613nm의 발광 피크를 갖는 적색 발광 특성(①)을 보이며, 종래 스트론튬실리케이트(Sr2SiO4) 형광체와 동일한 사방정계(Orthorhombic) 결정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EDX 성분분석 결과, 산소원자와 질소원자가 44.91At%:04.58At%의 비로 함유되어 있으며, 산소 원자가 질소 원자로 일부 치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2 및 3)
질소의 첨가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Sr, M)2SiO4-xNy:Eu의 형광체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Sr, M)2SiO4 - xNy:Eu 형광체에 대해 200nm 내지 500nm 이하의 파장영역의 여기광원을 이용하여 측정한 발광 스펙트럼 및 EDX 성분분석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②는 산소:질소의 At%가 56.82:4.58(x=0.43)인 경우(실시예2), ③은 산소:질소의 At%가 42.91:25(x=1.86)인 경우(실시예2)의 발광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으로, 산소가 질소로 치환되는 값이 x=0.43인 경우인 실시예2의 발광 피크는 610nm 이며, 산소가 질소로 치환되는 값이 x=1.86인 실시예3의 발광 피크는 620nm 이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Sr, M)2SiO4 - xNy:Eu 형광체는 질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발광 피크가 더욱 장파장화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4 내지 6)
유로피움의 첨가량(z)을 0.04에서 0.06까지 0.01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Sr, M)2SiO4 - xNy:Eu 형광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적색형광체는 EuzSr2 - zSiO4 - xNy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며, 유로피움이 스트론튬을 대체하여 치환되어, 발광중심원소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Sr, M)2- zSiO4 - xNy:Euz 형광체에 대해 200nm 내지 500nm 이하의 파장영역을 여기광원으로 하여 측정한 발광 스펙트럼을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④는 z=0.04(실시예4), ⑤는 z=0.05(실시예5), ⑥은 z=0.06(실시예6)인 경우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실시예4의 발광 피크는 610nm 이며, 실시예5의 발광 피크는 612nm 이고, 실시예6의 발광 피크는 614nm 이다. 즉, 본 발명의 적색형광체는 유로피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장파장화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7 및 8)
Ba, Ca 등의 2가 금속원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Sr, M)2SiO4 - xNy:Eu 형광체를 제조하였다. 이로써 Sr을 Ba, Ca의 2가 금속원소로 일부 치환시킬 수 있으며, 그 치환 정도를 Sr: (Ba, Ca) 의 첨가비가 9:1의 비율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Sr, M)2SiO4 - xNy:Eu 형광체에 대해 200nm 내지 500nm 이하의 파장영역의 여기광원을 이용하여 측정한 발광 스펙트럼을 도 7(a)에 나타내었다. 도 7(a)에서 알 수 있듯이, Sr이 100%인 경우(①) 613nm의 발광 피크를 가지며, Sr:Ba이 각각 90%:10%로 첨가된 경우(⑦), 610nm의 발광 피크를 가지며, Si:Ca가 90%:10%로 첨가된 경우(⑧) 615nm의 발광 피크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9 및 10)
Al, Ga 등의 3가 금속원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Sr, M)2SiO4 - xNy:Eu 형광체를 제조하였다. 이로써 Si을 Al, Ga의 3가 금속 원소로 일부 치환시킬 수 있으며, 그 치환 정도를 Si: (Ba, Ca) 의 첨가비가 9:1의 비율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Sr, M)2SiO4 - xNy:Eu 형광체에 대해 200nm 내지 500nm 이하의 파장영역의 여기광원을 이용하여 측정한 발광 스펙트럼을 도 7(b)에 나타내었다. 도 7(b)에서 알 수 있듯이, Si:Ga이 각각 90%:10%로 첨가된 경우(⑨) 610nm의 발광 피크를 가지며, Si:Al가 90%:10%로 첨가된 경우(⑩) 615nm의 발광 피크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7 내지 10에서 알 수 있듯이, 유로피움 원소 주위에 원자반경이 작은 원소인 Ca 및 Al이 치환되면 장파장화가 되고, 원자반경이 큰 원소인 Ba 및 Ga가 치환되면 단파장화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11)
유로피움과 함께 망간(Mn)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Sr, M)2SiO4 - xNy:Eu 형광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유로피움의 첨가량(z)은 0.05로 고정되며, Mn의 첨가량은 0.1로 한다. 이렇게 제조된 (Sr, M)2SiO4 - xNy:Eu 형광체에 대해 200nm 내지 500nm 이하의 파장대역의 여기광원을 이용하여 측정한 발광 스펙트럼을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⑤는 유로피움의 첨가량이 z=0.05이며, Mn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 ⑪은 유로피움의 첨가량에 대해 z=0.05, Mn 첨가량이 0.1인 경우 모두 613nm의 발광 피크를 가지나, Mn이 첨가된 경우(⑪) 발광 세기가 유로피움만을 첨가한 경우(⑤)보다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11에 따른 적색형광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면광원장치 및 조명장치에 대하여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 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 패키지(900)는 패키지 본체(910), 패키지 본체(910)에 몰딩되며 서로 이격된 리드프레임들(920), 적어도 하나의 리드프레임 상에 실장된 발광소자(930), 발광소자(930)와 리드프레임(9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딩와이어(940) 및 발광소자(930)를 봉지하는 수지포장부(9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발광소자 패키지(900)는 발광소자(900)를 둘러싸도록 홈부가 형성된 반사컵(970)이 리드프레임의 위치를 기준으로 패키지 본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사컵(970)은 패키지 본체 상에 환상으로 형성되고, 반사컵의 홈부에 의해 발광소자(900)의 실장영역이 정의되며, 적어도 하나의 리드프레임이 홈부 바닥에 노출되어 실장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반사컵의 측벽은 발광소자(900)에서 방출된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경사진 반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키지 본체(910)는 반사컵(97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930)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리드프레임(920) 상에 본딩될 수 있으며, 본딩와이어(940)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입력받아 미리 정해진 파장의 빛을 생성한다. 이러한 발광소자(930)는 200 ~ 500nm의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청색광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반도체 적층 구조를 갖는 청색 발광다이오드 또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의 반도체 적층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하기 도 10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지포장부(950)는 반사컵 내측으로 발광소자(930), 본딩와이어(940) 및 리드프레임(920)을 덮도록 채워진다. 또한, 수지포장부(950)는 발광소자의 방출 파장을 다른 파장의 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96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광체(960)는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적색형광체와 녹색, 청색 및 황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광체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수지포장부(950)는 형광체 혼합물과,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실리콘에폭시 혼합수지와 같은 경화성 투명수지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된다.
여기서, 백색광 출력을 위한 적색형광체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에서 합성한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을 만족하는 N을 포함하는 질화물(Nitride)계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화물계 적색형광체는 황화물(Sulfide)계 형광체보다 열, 수분 등의 외부 환경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변색 위험이 작다. 특히, 고색재현성을 얻기 위해 특정 범위(430 ~ 465nm)로 한정한 청색 LED 칩의 주파장에서 높은 형광체 여기 효율을 갖는다.
그리고, 청색 형광체로는 (Ba, Sr, Ca)5(PO4)3Cl:(Eu2 +, Mn2 +) 또는 Y2O3:(Bi3 +, Eu2+) 들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녹색 형광체는 실리케이트계, 설파이드계 및 나이트라이드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케이트계 녹색 형광체로는 2,1,4 조성을 가진 A2SiO4 또는 3,1,5 조성을 가진 A3SiO5 실리케이트계, 또는 SrGa2S4:Eu 조성의 설파이드계 또는 Beta-SiAlON 조성의 나이트라이드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Sr, Ba, Ca, Mg일 수 있으며 Sr은 필수 성분이며 Ba, Ca, Mg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0≤Ba,Ca,Mg≤1). 나이트라이드계의 녹색 형광체로는 β형 Si3N4 결정 구조를 가지는 결정 중에 Eu이 고용된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의 결정을 포함하고 Si6 - zAlzOzN8 -z : Euy, Srx (0.009<x<0.011, 0.018 < y < 0.025, 0.23 < z < 0.35) 또는 Si6 - zAlzOzN8 -z(0.24 ≤ y ≤ 0.42, Eu 함유량은 0.05at%∼0.25at%)으로 표시되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황색 형광체로는 YAG 또는 TAG계열의 가넷계 형광체 또는 2,1,4 조성을 가진 A2SiO4 또는 3,1,5 조성을 가진 A3SiO5 실리케이트계, 또는 알파-SiAlON 조성의 나이트라이드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A는 Sr, Ba, Ca, Mg일 수 있으며 Sr은 필수 성분이며 Ba, Ca, Mg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0≤Ba,Ca,Mg≤1)). 상기 나이트라이드계 형광체는 CaXSi12 -(m+2)Al(m+n)OnN16 -n : Euy으로 나타나는 Ca-α―사이알론 형광체(0.01<y<0.7, 0.6<m<3.0 and 0≤n<1.5)를 사 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 10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의 반도체 적층 구조는 하기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Si-Al 합금으로 이루어진 기판(이하, 'Si-Al 합금 기판'이라 함)(101) 및 Si-Al 합금 기판(101)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보호층(120), 보호층(120) 상에 접합금속층(102), 반사 금속층(103), p형 반도체층(104), 활성층(105) 및 n형 반도체층(10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p형 및 n형 반도체층(104, 106)과 활성층(106)은 GaN계 반도체, 즉 AlxGayIn(1-x-y)N(0≤x≤1, 0≤y≤1, 0≤x+y≤1) 반도체 재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광구조물을 형성한다.
그리고, n형 반도체층(106) 상에는 n측 전극(107)이 형성되어 있다. 접합 금속층(102)과 p형 반도체층(104) 사이에 개재된 반사 금속층(103)은 반도체층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상방향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발광소자의 휘도를 더욱 증가시킨다. 반사금속층(103)은 고반사율의 금소, 예를 들어 Au, Ag, Al, Rh 및 이들 중 둘 이상ㅇ의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사 금속층(103)은 필요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접합금속층(102)은 Si-Al 합금 기판(101)을 발광 구조물에 접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Au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발광소자(100)가 접합금속층(102)을 포함하 고 있지만, 이러한 접합 금속층(102) 없이 Si-Al 합금(101)이 p형 반도체층(104) 상에 직접 접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광소자(100)는 Si-Al 합금기판(101)을 도전성 기판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Si-Al 합금은 Si-Al 합금은 열팽창 계수, 열전도도, 기계적 가공성 및 가격의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다. 즉, Si-Al 합금 기판(101)의 열팽창 계쑤는 사파이어 기판의 열팽창 계수와 유사하다. 따라서, Si-Al 합금 기판(101)을 사용하여 발광소자(100)을 제조하는 경우, 기존의 Si로 이루어진 도전성 기판의 접합 공정과 레이저 조사에 의한 사파이어 기판의 분리 공정시 발생하였던 기판의 휨 현상과 발광구조물에서의 크랙 발생 현상을 크게 감소시켜 결함이 적은 고품질의 발광소자(10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Si-Al 합금 기판(101)의 열전도도는 약 120 내지 180 W/mㆍK로서 열방출 특성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고압에서 Si와 AL을 용융시킴으로써 Si-Al 합금기판(10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Si-Al 합금기판(10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Si-Al 합금 기판을 낮은 비용으로 손쉽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발광소자(100)는 Si-Al 합금 기판(101)의 상하면에 Si-Al 합금 기판(101)으로의 클리닝(cleaning)공정시 케미칼 침투를 막아주는 보호층(12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호층(120)은 금속 또는 전도성 유전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보호층(120)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Ni, Au, Cu, W, Cr, Mo,Pt, Ru, Rh, Ti 및 Ta 중 어느 하나, 또는 금속군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층(120)은 무전해 도금 방식, 금 속 증착, 스프터(sputter) 또는 CVD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때, Si-Al 합금 기판(101)과 금속 재질의 보호층(120) 사이에는 보호층(120)의 도금 공정에서 씨드(seed) 역할을 하는 씨드 금속층(1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씨드 금속층(110)은 Ti/Au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호층(120)이 전도성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도성 유전체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CIO(Copper Indium Ox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층(120)은 증착 또는 스퍼터 방식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120)은 0.01㎛ 이상 2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이상 1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장용 기판으로서 사파이어 기판(150)을 준비한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파이어 기판(150) 상에 n형 반도체층(106), 활성층(105) 및 p형 반도체층(10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형 반도체층(104) 상에 고 반사율의 금속재료, 예컨대 Au, Al, Ag 또는 Rh 등을 이용하여 반사 금속층(10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 금속층(103)은 필요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Al 합금 기판(101)의 표면에 보호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층(120)은 금속 또는 전도성 유전체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층(120)이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호층(120)은 Ni, Au, Cu, W, Cr, Mo, Pt, Ru, Rh, Ti 및 Ta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금속군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전해 도금, 금속 증착, 스퍼터(sputter) 또는 CVD 등의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 재질의 보호층(120)을 무전해 도금 방식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표면에 보호층(120)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보호층(120)의 도금 공정에서 씨드 역할을 하는 씨드(seed) 금속층(110)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20)이 전도성 유전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호층(120)은 ITO, IZO, 또는 CI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증착 또는 스퍼터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20)은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표면 전체에 걸쳐 0.01 ㎛ 이상 20 ㎛ 이하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 이상 10 ㎛ 이하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층(120)이 0.01㎛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호층(120)이 후술하는 HCl, HF, KOH 등의 케미칼 침투를 막는 역할을 제대로 하기 어렵고, 20 ㎛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열팽창 계수가 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호층(120)은 상기한 범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호층(120)을 형성한 다음, 상기 보호층(120)의 표면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처리하여 표면 조도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층(120)이 표면에 형성된 Si-Al 합금 기판(101)을 준비한 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금속층(102)을 이용하여 상기 반사 금속층(103) 상에, 상기 보호층(120)이 표면에 형성된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을 접합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합 금속층(102)을 이용하여 Si-Al 합금 기판(101)을 접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접합 금속층(102)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보호층(120)이 표면에 형성된 Si-Al 합금 기판(101)을 상기 반사 금속층(103) 상에 직접 접합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 Off; LLO) 공정으로 상기 사파이어 기판(150)을 상기 n형 반도체층(106)으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사파이어 기판(150)의 분리 후에는 HCl, HF 및 KOH 등의 케미칼을 사용한 클리닝(cleaning)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그 후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파이어 기판(150)의 분리에 의해 노출된 상기 n형 반도체층(106) 상에 복수개의 n측 전극(107)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n측 전극(107)을 형성하기 전에, 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n형 반도체층(106)의 표면에 KOH 등을 사용한 텍스처링(texturing)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측 전극(107) 사이의 n형 반도체층(106), 활성층(105), p형 반도체층(104), 반사 금속층(103), 접합 금속층(102), 보호층(120), 씨드 금속층(110) 및 Si-Al 합금 기판(101)을 다이 싱(dicing)하여 칩단위로 분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표면에 Ni과 같은 보호층(120)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사파이어 기판(150)의 분리 후에 진행되는 클리닝 공정에서 사용되는 HCl, HF, KOH 등의 케미칼이나, n형반도체층(106)의 표면 텍스처링(texturing) 공정에서 사용되는 KOH 등에 의해,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Al 금속이 에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막아, 상기 Si-Al 합금 기판(101) 상에 접합되는 발광 구조물이 벗겨지는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20)으로서 Ni 등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 Si-Al 합금 기판(101)의 표면 조도를 개선하여 상기 Si-Al 합금 기판(101)과 발광 구조물간의 접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Si-Al 합금 기판(101)이 접합 금속층(102) 형성 전에 자연산화막 제거를 위한 산(acid) 등의 화학물질을 이용한 클리닝 공정을 거치면서, Si-Al 합금 기판(101) 표면의 Al 금속이 에칭되면서 평균 200 내지 500 ㎚의 표면 요철이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Si-Al 합금 기판(101)의 표면에 보호층(120)으로서 Ni 등의 금속을 형성한 후, Ni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처리를 하면 표면 요철이 5 ㎚ 이하로 줄어들어 거울면과 같이 표면 조도가 개선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Si-Al 합금 기판(101)의 표면 조도가 개선됨으로써, 상기 Si-Al 합금 기판과 발광 구조물 간의 접합을 견고하게 하고, 접합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광소자(1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보호층(120)이 Si-Al 합금 기판(101)의 상면 및 하면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Si-Al 합금 기판(101)의 상면에 Si-Al 합금 기판(101)의 일부를 드러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층(120) 및 보호층에 의해 드러난 Si-Al 합금 기판(101)의 상면에는 도전층(122)이 더 형성되어 있고, Si-Al 합금 기판(101)의 하면에는 콘택 금속층(123)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만 제1 실시예와 다르다. 특히, 상기 보호층(120)은 금속이나 전도성 유전체가 아닌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상기 보호층(120)이 금속이나 전도성 유전체가 아닌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대신에, 상기 보호층(120)이 형성된 Si-Al 합금 기판(101)과 상기 보호층(120) 상부의 발광 구조물간의 통전을 위하여, 상기 보호층(120)이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상면 일부를 드러내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120)을 포함한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상면에 도전층(122)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전층(122)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제2 실시예에의 구성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2 실시예에서 달라지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앞서의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파이어 기판(150) 상에 n형 반도체층(106), 활성층(105), p형 반도체층(104) 및 반사 금속층(103)을 순차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 금속층(103)은 필요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Al 합금 기판(101)의 표면 전체에 보호층(1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층(120)은 절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보호층(120)은 CVD 또는 코팅 방식 등에 의해 0.01 ㎛ 이상 1 ㎛ 이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호층(120)을 형성한 다음, 상기 보호층(120)의 표면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처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120)의 일부를 식각 방식 등에 의해 제거하여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상면 일부를 드러낸다. 그 다음에,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120)을 포함한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상면에 도전층(122)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금속층(102)을 이용하여 상기 반사 금속층(103) 상에, 상기 Si-Al 합금 기판(101) 상면에 형성된 상기 도전층(122)을 접합한다.
그런 후에,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으로 상기 사파이어 기판(150)을 상기 n형 반도체층(106)으로부터 분리한다. 여기서, 상기 사 파이어 기판(150)의 분리 후에는 HCl, HF 및 KOH 등의 케미칼을 사용한 클리닝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표면에 상기 보호층(120) 및 상기 도전층(1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클리닝 공정에서 사용되는 케미칼에 의해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Al 금속이 에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에,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파이어 기판(150)의 분리에 의해 노출된 상기 n형 반도체층(106) 상에 복수개의 n측 전극(107)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n측 전극(107)을 형성하기 전에, 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n형 반도체층(106)의 표면에 KOH 등을 사용한 텍스처링(texturing)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표면에 보호층(120) 및 도전층(1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텍스처링 공정에서 사용되는 케미칼에 의해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Al 금속이 에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핑(lapping)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보호층(120)을 포함한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하면을 일정 두께만큼 제거한다. 그런 다음,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핑 공정에 의해 드러난 상기 Si-Al 합금 기판(101)의 하면에 콘택 금속층(123)을 형성한다.
그런 후에,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측 전극(107) 사이의 n형 반도체층(106), 활성층(105), p형 반도체층(104), 반사 금속층(103), 접합 금속층(102), 도전층(122), 보호층(120), Si-Al 합금 기판(101) 및 콘택 금속층(123)을 다이싱(dicing)하여 칩단위로 분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발광 소자(100)를 얻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수직구조의 발광소자와 달리, 전극의 배치구조를 변경하여 고전류 동작이 가능한 수직수평 구조의 발광소자일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수직수평 구조의 발광소자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도 30은 상기 도 29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200)는 도전성 기판(210), 제1전극층(220), 절연층(230), 제2전극층(240), 제2반도체층(250), 활성층(260) 및 제1반도체층(270)을 포함하며, 상기 각 층들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전성 기판(210)은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전성 기판(210)은 Au, Ni, Cu 및 W 중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성 기판 또는 Si, Ge 및 GaA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기판(210) 상에는 상기 제1전극층(220)이 적층되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제1전극층(220)은 상기 도전성 기판(210) 및 활성층(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 상기 도전성 기판(210) 및 활성층(260)과 접촉 저항이 최소화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전극층(220)은 상기 도전성 기판(210) 상에 적층되어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 30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그 일부 영역이 상기 절연층(230), 제2전극층(240), 제2반도체층(250) 및 활성층(260)을 관통하고, 상기 제1반도체층(270)의 일정 영역까지 관통한 콘택홀(280)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제1반도체층(270)과 접촉하여 상기 도전성 기판(210)과 제1반도체층(27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전극층(220)은 상기 도전성 기판(210)과 제1반도체층(2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콘택홀(28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써, 상기 콘택홀(280)의 크기, 더 정확하게는 상기 콘택홀(280)을 통해 상기 제1전극층(220)과 제1반도체층(270)이 접촉하는 면적인 접촉 영역(29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전극층(220) 상에는 상기 제1전극층(220)이 상기 도전성 기판(210) 및 제1반도체층(270)을 제외한 다른 층과는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층(22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절연층(220)은 상기 제1전극층(220)과 제2전극층(240)의 사이뿐만 아니라 상기 콘택홀(280)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2전극층(240), 제2반도체층(250) 및 활성층(260)의 측면들과 상기 제1전극층(220) 사이에도 구비된다. 또한, 상기 콘택홀(280)이 관통한 상기 제1반도체층(280)의 일정 영역의 측면에도 상기 절연층(220)을 구비하여 절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전극층(240)은 상기 절연층(220)상에 구비된다. 물론, 상기에서도 상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콘택홀(280)이 관통하는 일정 영역들에는 상기 제2전극층(240)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2전극층(240)은 도 30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반도체층(250)과 접촉하는 계면 중 일부가 노출된 영역, 즉 노출 영역(245)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다. 상기 노출 영역(245) 상에는 외부 전원을 상기 제2전극층(240)에 연결하기 위한 전극패드부(247)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출 영역(245) 상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제2반도체층(250), 활성층(260) 및 제1반도체층(270)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노출 영역(245)은 도 29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00)의 모서리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00)의 발광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제2전극층(240)은 Ag, Al 및 Pt 중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2전극층(240)이 상기 제2반도체층(25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제2반도체층(250)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는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활성층(260)에서 생성된 빛을 반사시켜 외부로 향하게 하여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층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반도체층(250)은 상기 제2전극층(240) 상에 구비되고, 상기 활성층(260)은 상기 제2반도체층(25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반도체층(270)은 상기 활성층(260) 상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반도체층(270)은 n형 질화물 반도체이고, 상기 제2반도체층(250)은 p형 질화물 반도체인 것이 바람하다. 한편, 상기 활성층(260)은 상기 제1반도체층(270) 및 제2반도체층(250)을 이루는 물질에 따라 다른 물질을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활성층(260)은 전자/전공의 재결합에 따른 에너지를 빛으로 변화하여 방출하는 층이므로 상기 제1반도체층(270) 및 제2반도체층(250)의 에너지 밴드 갭보다 적은 에너지 밴드 갭을 갖는 물질로 형성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4 실시예의 발광소자는 상기 제3 실시예의 발광소자와 같은 구조에서 변형되어 콘택홀과 연결된 제1전극층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300)는 도전성 기판(310) 상에 제2반도체층(350), 활성층(360) 및 제1반도체층(360)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2반도체층(350)과 도전성 기판(310) 사이에는 제2전극층(3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앞선 실시 형태와 달리 제2전극층(340)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반도체층(370)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390)을 갖는 컨택홀(380)은 제1전극층(320)과 연결되며, 제1전극층(320)은 외부로 노출되어 전기연결부(345)를 갖는다. 전기연결부(345)에는 전극패드부(34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극층(320)은 절연층(330)에 의하여 활성층(360), 제2반도체층(350), 제2전극층(340), 도전성 기판(310)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앞선 제3 실시형태에서, 콘택홀이 도전성 기판과 연결되었던 것과 달리 본 제4 실시형태의 경우, 콘택홀(380)은 도전성 기판(31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콘택홀(380)과 연결된 제1전극층(320)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도전성 기판(310)은 제2반도체층(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앞선 제3 실시형태에서와 극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수직수평 구조의 발광소자는 제1전극을 발광면 상에 일부 형 성하고, 나머지 일부는 활성층 하부에 배치시킴으로써, 발광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고, 발광면상에 배치된 전극을 균일하게 배치함으로써 높은 동작 전류를 인가하여도 전류의 균일한 분포가 가능하여 고전류 동작에서 전류집중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외부면을 수지재로 균일하게 덮는 파장변환부를 형성하여 칩코팅형 발광소자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
우선, 도 32를 참조하면, 발광소자(410)의 상부면에는 본디와이어(4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딩패드(402)를 구비하며, 이러한 본딩패드(402)는 수평형 또는 수직형으로 구비되는 칩다이(401)의 구조에 따라 단독 또는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본딩패드(402)는 상기 칩다이(401)의 구조에 따라 그 형성 개수가 변경되는데, 상기 칩다이(401)가 P극과 N극이 상,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수직형 구조 또는 수직 수평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본딩패드(402)는 상기 칩다이(401)의 상부면에 형성된 P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독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칩다이(401)가 P극과 N극이 상부면에 모두 형성되는 수평형 구조 또는 수직수평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본딩패드(402)는 상기 칩다이(401)의 상부면에 형성된 P극과 N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2개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장변환부(403)는 상기 서브 마운트(404)상에 다이 어태칭된 칩다이(401)의 외부면을 일정하게 덮도록 에폭시, 실리콘 및 레진등과 같은 투명한 수지재에 형광체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파장변환부(403)는 형광체가 혼합된 실리콘, 에폭시 등과 같은 투명성 수지를 일정 두께로 프린팅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칩다이(401)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인위적으로 제공되는 열이나 UV광에 의해서 경화된다.
여기서, 상기 파장변환부(403)에는 상기 칩다이에서 발생된 빛을 백색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YAG계, TAG계, Silicate계중 어느 하나의 파장변환수단인 형광물질이 포함되며, 특히, 적색형광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에서 합성한 (Sr, M)2SiO4-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프레임(420)은 상기 파장변환부(403)의 상부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본딩패드(402)와 본딩와이어(425)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33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칩다이(401')의 상부면에만 파장변환부(103')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32(g)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수지물로서 사출성형되는 수지구조물인 패키지 본체(미도시)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리드프레임(121)과, 제5 실시예의 발광소자(410)의 본딩패드(402)와 일단이 와이어 본딩되고, 상기 리드프레임(421)과 타단이 와이어 본딩되는 금속와이어(425)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제 6실시예의 발광소자(410')가 음극 리드와 양극리드를 갖는 리드 프레임(421)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421)은 상부로 개방된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수지재로 사출성형되는 패키지 본체(미도시)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패키지 본체의 캐비티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칩(410')은 본딩패드(402')에 일단이 본딩된 금속 와이어(425)를 매개로 리드 프레임(4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 패키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구조 또는 수직수평구조의 발광소자는 고출력용 발광소자 패키지에 이용도는 경우, 수직구조 또는 수직수평구조의 발광소자는 광방출면에 직접 형광체층이 접촉되어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형과체가 열화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적색형광체는 종래 황화물(Sulfide)계 형광체보다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열, 수분 등의 외부 환경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변색 위험이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적색형광체는 발광소자의 광방출면에 직접 파장변환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고출력/고신뢰성의 백색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조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제7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500)는 발광다이오드 칩(501)과 그 표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발광다이오드 칩(501)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파장을 변환하는 파장변환부(502)를 갖추어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파장변환부(502)는 투명 수지부 내에 형광체(P)가 분산된 구조로 채용될 수 있다. 파장변환부(502)에 의하여 변환된 빛과 발광다이오드 칩(501)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혼합되어 발광소자(500)는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칩(501)은 n형 반도체층, 발광층 및 p형 반도체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으며, 일면에는 제1 및 제2 전극(503a, 503b)이 형성되어 있다.
도 3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장변환부(502)는 발광다이오드 칩(501)에서 제1 및 제2 전극(503a, 503b)이 형성된 면을 제1 면이라 하고, 이에 대향하는 면을 제2 면이라 하며, 상기 제1 및 제2 면의 사이에 위치한 면을 측면으로 정의할 때, 발광다이오드 칩(501)의 제1 면(전극 형성 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발광다이오드 칩(501)의 빛이 도 34를 기준으로 상부 방향과 측 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본 2ㅔ7 실시예의 경우, 파장변환부(502)가 발광다이오드 칩(501)의 표면을 따라 얇게 코팅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며, 패키지 본체의 컵 내부에 형광체를 주입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빛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 칩(501)의 표면에 바로 파장변환부(502)를 적용하며 패키지 본체를 따로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소자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칩(501)의 전기 연결을 위한 구조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 프레임 대신 도금층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전기연결부(504a, 504b)를 사용한 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전극(503a, 503b)과 접속되도록 제1 및 제2 전기연결부(504a, 504b)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 전기연결부(504a, 504b)는 각각 도금층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전기연결부(504a, 504b)는 파장변환부(50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와이어 본딩 등을 위한 영역으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발광소자(500)는 종래의 통상적인 패키지에 비하여 간소화된 구조를 가지며, COB (Chip On Board)나 패키지 형태 등의 발광장치에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35는 도 34의 제7 실시예의 발광소자를 사용한 제4 실시형태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5의 제4 실시형태의 발광소자 패키지는 기판(505) 상에 앞서 설명한 제7 실시예의 발광소자가 실장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5에서는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도면 번호는 기재를 생략하였다. 기판(505)은 절연 기재상에 회로 패턴이 형성된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와 상기 회로 패턴을 연결하도록 와이어(W)가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는 상기 제1 면 및 측면을 통하여 빛이 방출되는 점에서, 발광소자의 실장 방향은 발광다이오드 칩의 제2 면이 기판(505)을 향하는 방향이 된다. 기판(505)에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방식 외에 따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발광소자는 리드 프레임 위에 실장되어 통상적인 패키지에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발광소자를 패키징하여 사용할 경우 패키지 본체의 컵에 형광체를 따로 주입할 필요가 없으며 전체적인 광 방출 방향에 대하여 균일한 색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은 각각 본 발명의 제8 및 제9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우선, 도 36을 참조하면, 발광소자(600)는 제7 실시 예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603a, 603b)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칩(601), 파장변환부(602), 제1 및 제2 전기연결부(604a, 604b)를 갖추어 구성된다. 도 34에 도시된 구조와 다른 점은 발광다이오드 칩(601)의 측면에 형성된 수지부(607)는 형광체가 제외된 투명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이는 발광다이오드 칩(601)의 측면으로 방출되는 빛은 제1 면으로 방출되는 빛에 비해 강도가 낮은 것을 고려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7에 도시된 발광소자(700)는 제7 실시예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703a, 703b)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칩(701), 파장변환부(702), 제1 및 제2 전기연결부(704a, 704b)를 갖추어 구성된다. 도 34에 도시된 구조와 다른 점은 발광다이오드 칩(701)의 제1 면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전극(703a, 703b)의 측면을 감싸는 영역에 형성된 언더필 수지부(706)는 형광체가 제외된 투명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한편, 도 38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UV 발광다이오드 칩 또는 청색 발광다이오드 칩 상에 형광체층이 다층 형태로 적층되는 파장변환부의 구조에 대해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먼저, 도 38 및 도 39는 각각 램프 형태와 칩 형태로 구현된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8에서와 같이, 램프 형태로 구현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대략 410㎚ 이하의 파장을 가진 UV 발광다이오드 칩(810)은 자외선 에 의해 여기되어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세 종류의 형광체가 각각 함유된 제1, 제2 및 제3 형광층(821, 822, 823))으로 이루어진 다층 형광층(820)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9에서와 같이, 칩 형태로 구현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UV 발광다이오드 칩(1010)이 기판(1005) 상에 케이싱(1006)의 홈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1006)의 홈 내부에는 세 종류의 형광물질이 각각 함유된 제1, 제2 및 제3 형광층(1021, 1022, 1023)이 형성되며, 이들은 상기 UV 발광다이오드 칩(1010)을 덮는 다층 형광층(1020)을 이루게 된다. UV 발광다이오드 칩(1010)의 n전극과 p전극은 와이어(1003)에 의해 기판(1005)에 형성된 금속도선(100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형광층은 UV 발광다이오드 칩 위에 형성되며, 적색광(R)을 방출하는 형광체와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색광(R)을 방출하는 형광체로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600㎚ ~ 700㎚ 범위의 발광피크를 가진 광을 방출하는 형광물질,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형광체를 사용한다.
상기 제2 형광층은 상기 제1 형광층 위에 적층되며, 녹색광(G)을 방출하는 형광체와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녹색광을 방출하는 형광체로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500㎚ ~ 550㎚ 범위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방출하는 형광물 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3 형광층은 상기 제2 형광층 위에 적층되며, 청색광(B)을 방출하는 형광체와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청색광을 방출하는 형광체로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420㎚ ~ 480㎚ 범위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방출하는 형광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UV 발광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제1, 제2 및 제3 형광층 내에 함유된 서로 다른 종류의 형광체들을 여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형광층으로부터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이 각각 방출되고, 이러한 세 가지 색상의 광이 조합되어 백색광(W)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자외선을 형광 전환하기 위한 형광층을 다층, 즉 3층으로 형성하되, 가장 긴 파장의 광, 즉 적색광(R)을 방출하는 제1 형광층을 UV 발광다이오드 칩 위에 먼저 적층하고, 그 위에 보다 짧은 파장의 광, 즉 녹색광(G)과 청색광(B)을 방출하는 제2 및 제3 형광층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와 같이 광전환 효율이 가장 낮은 적색광(R)을 방출하는 형광체가 함유된 제1 형광층이 UV 발광다이오드 칩에 가장 가까이 위치함으로써, 제1 형광층에서의 광전환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발광다이오드 칩의 전체적인 광전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0 및 도 41에는 본 발명의 제7 및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부분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들에는 발광다이오드 칩과 다층 형광층의 구조만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부분의 구성은 도 38 및 도 39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제7 및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도 램프 형태 또는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410㎚ 이하의 파장을 가진 UV 발광다이오드 칩(1110)을 덮도록 형성되는 다층 형광층(1120)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다층 형광층(1120)은 2층의 형광층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UV 발광다이오드 칩(1110) 위에 형성되는 제1 형광층(1121)은 적색광(R)을 방출하는 형광체와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적색광(R)을 방출하는 형광체로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600㎚ ~ 700㎚ 범위의 발광피크를 가진 광을 방출하는 형광물질,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형광체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형광층(1121) 위에 적층되는 제2 형광층(1122)은 수지에 녹색광(G)을 방출하는 형광체와 청색광(B)을 방출하는 형광체가 함께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UV 발광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제1 형광층(1121) 내에 함유된 형광체를 여기시켜 적색광(R)을 방출시키고, 제2 형광층(1122) 내에 혼합된 두 종류의 형광체들을 여기시켜 녹색광(G) 및 청색광(B)을 방출시킨다. 이러한 세 가지 색상의 광이 조합됨으로써 인간의 눈에는 백색광(W)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외선을 형광 전환하기 위한 형광층을 2층으로 형성하되, 가장 긴 파장의 적색광(R)을 방출하는 제1 형광층(1121)을 UV 발광다이오드 칩(1110) 위에 먼저 적층하고, 그 위에 보다 짧은 파장의 녹색광(G) 과 청색광(B)을 함께 방출하는 제2 형광층(1122)을 적층한다. 이와 같은 다층 형광층의 적층 구조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광전환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1에 도시된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여기광으로서 420㎚ ~ 480㎚ 범위의 파장을 가진 청색광(B)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 칩(1210)을 덮도록 형성되는 다층 형광층(1220)이 2층으로 구성되며, 이 경우 발광다이오드 칩(1210) 위에 형성되는 제1 형광층(1221)은 적색광(R)을 방출하는 형광체와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적색광(R)을 방출하는 형광체로는 청색광에 의해 여기되어 600㎚ ~ 700㎚ 범위의 발광피크를 가진 광을 방출하는 형광물질,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형광체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형광층(1221) 위에 적층되는 제2 형광층(1222)은 수지에 녹색광(G) 또는 황색광(Y)을 방출하는 형광체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청색광(B)은 제1 형광층 내에 함유된 형광체를 여기시켜 적색광(R)을 방출시키고, 제2 형광층 내에 함유된 형광체를 여기시켜 녹색광(G) 또는 황색광(Y)을 방출시킨다. 이와 같이 다층 형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색광(R)과 녹색광(G)(또는 황색광(Y))와 발광다이오 드 칩에서 발생되는 청색광(B)이 조합되어 백색광(W)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1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백색 발광원리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청색 광원으로부터 청색광이 방출된다. 상기 청색 광원은 420 내지 480nm의 피크 방출 파장을 가진다. 특히 상기 청색 광원으로는, 420 내지 480nm의 피크 방출 파장을 갖는 청색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녹색 및 적색 형광체는 청색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청색광에 의해 여기되어 각각 녹색 및 적색의 가시광을 방출한다. 방출된 녹색 및 적색의 가시광선은 상기 형광체를 투과한 청색광(상기 청색 광원의 방출광)과 혼색되어 백색광을 출력하게 된다.
녹색 형광체는 490 내지 550nm의 피크 방출 파장(peak emission wavelength)을 가지며, 적색 형광체는 청색광에 의해 여기되어 600㎚ ~ 700㎚ 범위의 발광피크를 가진 광을 방출하는 형광물질,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형광체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형광체들은 청색 광원의 특정 방출 파장에서 높은 광자 효율을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 형광체들은 다른 형광체에 의해 방출된 가시광에 대해 상당한 투광성을 갖는다. 적색 형광체는 청색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청색광에 의해 여기될 뿐만 아니라 녹색 형광체의 방출광(녹색광)에 의해서도 여기되어 적색광을 방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청색광 및 녹색광에 의해 충분히 효율적으로 여기될 수 있도록 상기 적색 형광체는 420 내지 500nm의 범위에서 피크 여기 파장(peak excitation wavelength)을 갖는다. 또한, 적색 형광체는 청색 광원뿐만 아니라 녹색 형광체에 의해서도 여기되므로(즉, 적색 형광체는 2중 여기됨), 적색 형광체의 양자 수율이 향상된다. 이러한 적색 형광체의 양자 수율 향상에 의해 전체적인 발광 효율, 휘도 및 연색 지수도 개선된다. 더욱이, 종래에 쓸데없이 버려지는 녹색광(예컨대, 출사면의 후방으로 빠져 나가는 녹색 방출광)이 적색 형광체를 여기시키는 데에 사용된다면, 전체적인 발광 효율은 더욱더 커지게 된다. 이러한 양자 수율의 증가에 의하여, 백색 발광 장치의 전체 휘도 및 연색 지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43은 제8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동작 원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청색 LED와 같은 청색 광원(1301)에 의해 청색광(1302)이 방출되어 형광체들(1330), 즉 제2 형광체(1331)와 제1 형광체(1332)에 입사된다. 이 형광체들(1330)은 서로 분리된 층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형광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보다 각각 분리된 층구조의 형광체를 이용하는 것이, 출사면 후방으로 방출되는 방출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에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
청색 광원(1301)에서 방출되는 청색광(1302)은 육안으로 감지되며, 예를 들 어 420 내지 480nm의 파장을 갖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색 광원(1301)은 420 내지 480nm의 피크 방출 파장을 갖는 청색 LED이다. 제2 형광체(1331)는 상기 청색광(1302)을 흡수한 후, 490 내지 550nm의 피크 방출 파장을 갖는 녹색광(1304, 1305)을 방출한다. 제1 형광체(1332)는 상기 청색광(1302)과 제2 형광체(1331)의 방출광(녹색광(1305))을 흡수한 후, 600 내지 700nm의 발광 피크를 갖는 적색광(1306, 1307)을 방출한다. 특히 제1 형광체(1332)는 420 내지 500nm의 범위에서 피크 여기 파장을 가질 경우, 상기 청색광(1302)과 녹색광(1305)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즉, 상기 청색광(1302)과 녹색광(1305)에 의해 효과적으로 여기될 수 있음). 적색광(1306)은 제2 형광체(1331)의 방출광(1305)의 흡수로 인해 제1 형광체(1332)에 의해 방출되는 적색광이다. 적색광(1307)은 청색 광원(1301)의 방출광(1302)의 흡수로 인해 제1 형광체(1332)에 의해 방출되는 적색광이다. 관찰자(1309)는 녹색광(1304), 청색광(1302) 및 적색광(1306, 1307)의 조합을 백색광(1308)으로 감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형광체(1332)는 청색 광원(1301) 및 제2 형광체(1331)에 의해 2중 여기되어 적색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적색 형광체(제1 형광체(1332))의 광자 수율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발광 장치의 전체적인 휘도가 증가하고 연색 지수가 개선된다. 상기 제2 형광체(1331)는, 청색 광원(1301)의 방출광(1302)에 응하여 490 내지 550nm의 피크 방출 파장을 갖는 녹색광을 방출하는 어떠한 형광체도 가능하다. 청색 광원(1301)으로서, 420 내지 480nm의 피크 방출 파장을 갖는 청색 LED를 사용할 경우, 상기 제2 형광체(1331)로는, 490 내지 550의 피크 방출 파장을 가지면서 상기 청색 LED의 방출광(420 내지 480nm의 피크 방출 파장을 갖는 청색광)에 대한 높은 양자 효율(quantum efficiency)을 갖는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형광체(1332)는, 청색 광원(1301)의 방출광(1302) 및 제2 형광체(1331)의 방출광(1305)에 응하여 600㎚ ~ 700㎚ 범위의 발광피크를 가진 광을 방출하는 형광물질,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형광체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형광체(1332)는 420 내지 480nm의 청색 LED광 뿐만 아니라 490 내지 550nm의 제2 형광체(31)의 방출광도 함께 흡수하여 600 내지 700nm의 발광피크를 갖는 적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들 형광체는 청색광(2)과 녹색광(5)에 의해 2중 여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색 형광체(제1 형광체(32))의 양자 수율이 높아지고 전체적인 발광 효율, 휘도 및 연색 지수가 개선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의 발광소자 패키지에 사용되는 녹색 형광체(제2 형광체)와 적색 형광체(제1 형광체) 간의 에너지 전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제2 형광체는 460nm 정도의 청색광에 의해 여기되어 530nm 정도의 녹색광을 방출한다. 또한, 제1 형광체는 460nm 정도의 청색광뿐만 아니라 제1 형광체의 방출광(녹색광) 일부를 흡수하여 620nm 정도의 적색광을 방출 한다. 이와 같이 제1 형광체는 2중 여기에 의해 적색광을 방출한다. 즉, 제1 형광체(1332)는 청색 LED 등의 청색 광원(1301) 위에 배치되고, 제2 형광체(1331)는 제1 형광체(1332) 위에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형광체(1331)로부터 후방으로 방출된 빛(1305)은 제1 형광체(1332)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되어 적색광(1306)을 방출한다. 이에 따라, 제1 형광체(1332)의 추가적인 방출광(1306)은 발광 장치의 전체 휘도를 더욱 높이고 연색 지수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후방으로 방출되어 버려질 빛(1305)은 제1 형광체(1332)에 의해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층 구조의 형광체 배치는, 각각의 형광체가 분산되어 있는 몰딩 수지의 층을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5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1430)는 패키지기판(1431)과 상기 패키지기판(1431)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 칩(1435)을 포함한다. 상기 패키지기판(1431)은 2개의 리드프레임(1432a,1432b)이 형성된 하부 패키지기판(1431a)과 상기 캐비티가 마련된 상부 패키지 기판(143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비티영역 내에는 발광다이오드 칩(1435)이 실장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1435)의 양전극(미도시)은 각각 상기 리드프레임(1432a,1432b)의 상단에 와이어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1435)을 둘러싸도록 저굴절률영역(1436)이 제공된다. 상기 저굴절률영역(1436)은 빈공간일 수 있으나, 비교적 낮은 굴절률을 갖는 투명수지로 충전된 영역일 수 있다. 저굴절률영역(1436)이 빈공간일 경우에는 대기와 유사한 굴절률(n=1)을 갖는다. 또한, 투명수지로 저굴절률영역(1436)을 형성할 경우에는 통상의 에폭시, 실리콘 또는 그 혼합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저굴절률영역(1436)의 굴절률은 대략 1.7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저굴절률영역(1436) 상에는 고굴절률층(1437)이 형성된다. 상기 고굴절률층(1437)은 적어도 상기 저굴절률영역(1436)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지며, 상면에는 요철패턴(1437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굴절률층(1437) 상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435)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파장을 변환시키기 위한 형광체(1439)가 함유된 파장변환층(1438)이 형성된다. 상기 파장변환층(1438)은 형광체가 함유된 수지층으로, 적어도 상기 고굴절률층(1437)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파장변환층(143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을 만족하며, 발광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을 흡수하여 600㎚ ~ 700㎚ 범위의 발광피크를 가진 광을 방출하는 적색형광체를 적어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채용된 고굴절률층(1437)은 자체가 높은 굴절률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거나, 높은 굴절률 입자가 함유된 통상의 투명수지층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고굴절률 입자는 GaP, Si, TiO2, SrTiO3, SiC, 큐빅 또는 비정질 카본, 카본나노튜브, AlGaInP, AlGaAs, SiN, SiON, ITO, SiGe, AlN 및 GaN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층(1437)은 형광체 입자(1439)에서 산란된 광자가 상기 저굴절률영역(1436)과의 계면에서 전반사될 수 있도록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고굴절률층(1437)은 1.8이상의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저굴절률영역(1436)을 특정 굴절률을 갖는 수지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특정 수지와의 충분한 굴절률 차이를 갖도록 더욱 높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고굴절률층(1437)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파장변환층(1438)과의 계면에서 비교적 높은 광추출임계각을 갖더라도 상기 고굴절률층(1437) 상에 형성된 요철패턴(1437a)에 의해 파장변환층(1438)으로의 광추출이 보다 용이하게 실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요철(1437a)의 형성주기는 약 0.001∼500㎛범위일 수 있다. 또한, 고굴절률층(1437)과 파장변환층(1438)의 굴절률 차이가 지나치게 클 경우에, 요철(1437a)에 의해서도 충분한 광추출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고굴절률층(1437)의 굴절률은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6는 도 45에 도시된 제9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광추출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5과 함께 도 46을 참조하면, 발광다이오드 칩(1435)으로부터 방출되는 광(①)은 저굴절률영역(1436)과 고굴절률층(1437)를 지나 파장변환층(1438)으로 진행된다. 통상적으로, 저굴절률영역(1436)은 발광다이오드 칩(1435)을 구성하는 질화물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지만, LED 표면에 요철패턴(미도시)이 형성되므로, LED(1435)로부터 발생된 광은 저굴절률영역(1436)으로 효과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저굴절률영역(1436)에서 고굴절률층(1437)으로 향 하는 광은 높은 굴절률 물질로 진행되므로, 효과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파장변환층(38)은 고굴절률층보다 낮은 굴절률이 가지므로, 제한된 광추출임계각을 갖지만, 고굴절률층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효과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이어, LED의 방출광(①)은 형광체 입자(1439)에서 여기되고, 그 여기된 일부 광(②)은 원하는 방향, 즉 패키지 상부를 향해 추출될 수 있다. 반면에, 다른 일부의 여기광(③)은 패키지 내부로 향하여 파장변환층(1438)에서 고굴절률층(1437)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파장변환층(1438)은 고굴절률층(1437)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지므로, 패키지 내부로 향하는 광(③)은 거의 소실되지 않고 고굴절률층(1437)으로 진입될 수 있다. 고굴절률층에 진입된 광(③)은 저굴절영역(1436)과의 계면에서는 높은 굴절률차이에 의해 대부분 전반사된다. 전반사된 광(④)은 고굴절률층(1437)의 상부로 진행되며, 고굴절률층(1437)과 파장변환층(1438)의 계면을 통과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추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굴절률층(1437)과 파장변환층(1438)은 굴절률차이에 의해 그 계면에서 제한된 광추출임계각을 갖지만, 고굴절률층(1437)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1437a)에 의해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광체 입자(1439)에 의해 산란되어 패키지 내부로 진행되는 광(③)은 상면에 요철(1437a)이 형성된 고굴절률층(1437)과 저굴절률영역(1436)에 의해 원하는 상부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전반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형광체 입자를 함유한 파장변환층을 상부에 배치하고, 그 하부에 요철면을 갖는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영역으로 이루어진 광학적 구조를 도입함으로 써 형광체 입자에서 전반위로 산란된 광의 진행방향을 광추출효율이 개선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재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7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제10 내지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5의 제9 실시형태의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파장변환층을 개선한 구조이며, 도 48은 패키지기판의 구조를 개선한 구조이며, 도 49는 고굴절률층을 개선한 구조로 구체적으로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을 통상의 몰딩공정이나 에칭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고굴절률입자 자체의 형상만을 이용하여 형성한 구조이다.
우선, 도 47에 도시된 발광소자 패키지(1540)는 도 45와 유사하게 패키지기판(1541)과 상기 패키지기판(1541)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1545)를 포함한다. 상기 패키지기판(1541)은 2개의 리드프레임(1542a,1542b)이 형성된 하부 패키지기판(1541a)과 상기 캐비티가 마련된 상부 패키지 기판(154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1545)의 양전극(미도시)은 각각 상기 리드프레임(1542a,1542b)의 상단에 와이어로 연결된다.
저굴절률영역(1546)은 상기 발광다이오드(1545)를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상기 저굴절률영역(1546)은 빈공간 또는 에폭시 또는 실리콘 수지와 같은 비교적 낮은 굴절률을 갖는 투명수지로 충전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저굴절률영역(1546)을 빈공간영역으로 형성하되, 그 빈공간영역에 낮은 굴절률을 갖는 수지로 형성된 렌 즈(미도시)를 발광다이오드 칩(1545)을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방식으로 저굴절률영역(1546)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저굴절률영역(1546) 상에는 고굴절률층(1547)이 형성된다. 상기 고굴절률층(1547)은 적어도 상기 저굴절률영역(1546)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지며, 상면에는 요철패턴(1547a)이 형성된다. 상기 고굴절률층(1547) 상에 형성된 요철패턴(1547a)은 비교적 낮은 파장변환층(1548)으로의 광추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요철(1547a)의 형성주기는 약 0.001∼500㎛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고굴절률층(1547)의 하면, 즉 고굴절률층(1547)과 저굴절률영역(1546) 계면에 무반사층(1547b)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반사층(1547b)은 발광다이오드칩(1545)의 광파장대역에서 무반사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발광다이오드칩(1545)으로부터 생성된 광이 고굴절률층(1547)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층(1547) 상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칩(1545)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파장을 변환시키기 위한 형광체(1549)가 함유된 파장변환층(1548)이 형성된다. 상기 파장변환층(1548)은 적어도 상기 고굴절률층(1547)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파장변환층(1548)은 통상적인 투명수지영역을 형성한 후에 그 상면에 형광체(1549)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예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형광체 입자(1549)로 이루어진 층이 고굴절률층(1547) 및 저굴절률영역(1546)으로 이루어진 광학구조 상에 위치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광추출효율의 개선효과를 충 분히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굴절률층(1547)은 자체가 높은 굴절률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거나, 높은 굴절률 입자가 함유된 통상의 투명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굴절률층(1547)은 형광체 입자(1549)에서 산란된 광자가 상기 저굴절률영역(1546)과의 계면에서 전반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1.8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며, 파장변환층(1548)으로의 광추출이 용이하도록 10이하의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의 제조공정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저굴절률영역(1546)을 에폭시 또는 실리콘 수지와 같은 투명수지로 형성할 경우에는 고굴절률층(1547)과 파장변환층(1548)을 연속적인 도포 및 경화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굴절률층(1547) 상에 형성된 요철(1547a)은, 경화공정 후에 기계적 또는 화학적 식각을 적용하거나, 경화 전에 몰딩프레임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8에 도시된 발광소자 패키지(1650)는 패키지기판(1651)과 상기 패키지기판(1651) 상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1655)를 포함한다. 상기 패키지기판(1651)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그 상면에 형성된 2개의 리드프레임(1652a,1652b)과, 그 하면에 형성된 2개의 접속패드(1654a,1654b)와, 각각을 연결하는 도전성 비아홀(1653a,1653b)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1650)는 다른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상기 발광다이오드(1655)를 둘러싸는 반구형 저굴절률영역(1656)과, 상기 저굴절률영역(1656) 상에 형성된 고굴절률층(1657)과, 상기 고굴절률층(1657) 상에 형성된 파장변환층(1658)을 포함한다. 상기 고굴절률층(1657)은 적어도 상기 저굴절률영역(1656)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지며, 상면에는 요철패턴(1657a)이 형성된다. 상기 파장변환층(1658)은 적어도 상기 고굴절률층(1657)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반구형인 저굴절영역(1656)을 투명수지층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트랜스퍼 몰딩공정과 같은 종래의 몰딩공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른 층(1657,1658)의 공정도 유사한 몰딩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굴절영역(1656)은 빈공간으로 제공할 경우에는, 고굴절률층(1657) 및/또는 파장변환층(1658)을 별도의 몰딩공정을 통해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한 후에, 패키지기판(1651) 상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고굴절률층(1657) 및 파장변환층(1658)은 반구형이 예시되어 있으나, 단면이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다양성은 도 47의 구조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7의 실시형태에서는 고굴절률층(1447)이 평탄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48과 유사하게 반구형 또는 다른 형상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 49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1760)는 도 45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패키지기판(1761)과 상기 패키지기판(1761)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칩(1765)을 포함하며, 상기 패키지기판(1761)은 2개의 리드프레 임(1762a,1762b)이 형성된 하부 패키지기판(1761a)과 상기 캐비티가 마련된 상부 패키지 기판(176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비티영역 내에는 발광다이오드 칩(1765)이 실장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칩(1765)의 양전극(미도시)은 각각 상기 리드프레임(1762a,1762b)의 상단에 와이어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765)를 둘러싸도록 저굴절률영역(1766)이 제공된다.
상기 저굴절률영역(1766)은 빈공간일 수 있거나, 비교적 낮은 굴절률을 갖는 투명수지로 충전된 영역일 수 있다. 저굴절률영역(1766)이 빈공간일 경우에는 대기와 유사한 굴절률(n=1)을 갖는다. 또한, 투명수지로 저굴절률영역(1766)을 형성할 경우에는 통상의 에폭시, 실리콘 또는 그 혼합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저굴절률영역(1766)의 굴절률은 대략 1.7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저굴절률영역(1766) 상에는 고굴절률층(1767)이 형성된다. 상기 고굴절률층(1767)은 적어도 상기 저굴절률영역(1766)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고굴절률 입자로 형성되며, 그 상면의 요철패턴(1767a)은 상기 입자의 형상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요철패턴(1767a)의 형상이나 주기는 상기 고굴절률 입자의 입경이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고굴절률 입자는 GaP, Si, TiO2, SrTiO3, SiC, 큐빅 또는 비정질 카본, 카본나노튜브, AlGaInP, AlGaAs, SiN, SiON, ITO, SiGe, AlN 및 GaN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고굴절률층(1767)은 별도의 공정에서 적어도 상부표면 이 상기한 고굴절률입자로 배열된 막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캐비티영역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저굴절률영역(1766)을 특정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수지 상부면에 상기한 고굴절률입자는 조밀하게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굴절률층(1767) 상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765)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파장을 변환시키기 위한 형광체(1769)가 함유된 파장변환층(1768)이 형성된다. 상기 파장변환층(1768)은 적어도 상기 고굴절률층(1767)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고굴절률층(1767) 상에 형성된 요철패턴(1767a)은 비교적 낮은 굴절률을 갖는 파장변환층으로 광추출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고굴절률층(1767)과 파장변환층(1768)의 굴절률 차이가 지나치게 클 경우에, 요철(1767a)에 의해서도 충분한 광추출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고굴절률층(1767)의 굴절률은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1은 도 50에 도시한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파장변환부 및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50 및 도 5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1801)는 본체(1810), 발광소자(1820), 파장변환부(1830), 제어부(1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810)는 플라스틱이나 수지 또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이 개방된 캐비티(1811)를 구비하여 추후 설명하는 발광소자(1820)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구비한다. 상기 캐비티(1811)는 발광소자(182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확산을 위해 내주면이 전방을 향해 경사진 구조를 형성하며, 내측보다 전면 외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크기가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면과 같이 상기 캐비티(1811)가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원형 또는 타원형의 수평단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캐비티(1811)는 내측의 내경보다 외측의 내경이 더 넓은 원추 형상을 가진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캐비티(1811)가 사각형의 수평단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캐비티(1811)는 내측의 단면보다 외측의 단면이 더 넓은 피라미드 형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810)는 상기 캐비티(1811)가 개방되는 전면(상단)에 추후 설명하는 파장변환부(1830)를 장착하기 위한 단차구조를 가지는 장착부(1812)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1812)는 상기 본체(1810)의 전면인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파장변환부(18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장착부(1812)는 상기 캐비티(1811)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810)는 일단이 상기 캐비티(1811) 저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1810)상에 실장되는 발광소자(18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메인 단자(1814, 1815)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소자(18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 파장의 광을 방사하는 반도체소자의 일종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색온도를 가변하는데 있어 복수개의 발광소자가 사용되는 종래와 달리 단일의 발광소자가 구비되는데 구조적 특징이 있다. 상기 발광소자(1820)는 상기 캐비티(1811) 내에 수용되어 상기 본체(18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메인 단자(1814, 18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1810)상에 실장된다.
한편, 상기 파장변환부(1830)는 상기 캐비티(1811)를 덮도록 상기 본체(1810)의 장착부(1812)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소자(1820)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을 변환시킨다. 상기 파장변환부(1830)는 상기 발광소자(1820)에서 방출되는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는 유체 수용부(1831)와, 상기 유체 수용부(1831) 내에 유입된 투명 유체(1832)와, 상기 투명 유체(1832) 내에 분산된 형광물질(183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파장변환부(1830)는 형광물질(1833)을 함유하여 상기 유체 수용부(1831) 내에 유입된 투명 유체(1832)의 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유체 수용부(1831)의 용적을 조절하여 색온도를 제어한다. 상기 파장변환부(1830)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을 만족하며, 발광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을 흡수하여 600㎚ ~ 700㎚ 범위의 발광피크를 가진 광을 방출하는 적색형광체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유체 수용부(1831)는 수축 및 팽창 등의 변형과 이에 따른 복원력이 우수한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이나 러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색온도에 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광 투과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 수용 부(1831)는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투명 유체(1832)를 수용하도록 소정 크기의 용적을 가지는 중공형 튜브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유체 수용부(1831)가 원반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캐비티(1811)의 외측 단면 형상에 따라서 사각형 등의 다각형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 튜브(1831) 내에 유입되는 상기 투명 유체(1832)는 유동성을 가지도록 물, 오일 또는 수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균일하게 분산된 형광물질(1833)을 내부에 함유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40)는 상기 파장변환부(1830)와 연결되며, 상기 투명 유체의 용량을 변화시켜 상기 유체 수용부(1831)의 용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광의 색온도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40)는 상기 유체 수용부(1831)와 연통하여 상기 투명 유체(1832)를 수용하는 리저버(1841)와, 상기 리저버(1841)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 수용부(1831) 내의 상기 투명 유체(1832)의 용량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1842)를 구비한다. 상기 리저버(1841)는 상기 유체 수용부(1831)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 수용부(1831) 내에 채워지는 상기 투명 유체(1832)를 일부 수용한다. 따라서, 유동성을 가지는 상기 투명 유체(1832)는 상기 유체 수용부(1831) 내에 채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유체 수용부(1831)와 상기 리저버(1841)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유체 수용부(1831) 내의 상기 투명 유체(1832)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리저버(1841)는 상기 유체 수용부(183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 수용부(183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추에이터(1842)는 상기 리저버(1841)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 수용부(1831) 내에 채워지는 상기 투명 유체(1832)의 용량을 조절한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1842)의 팽창 또는 수축 작용을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1842)와 연결되는 상기 리저버(1841) 내의 투명 유체(1832)를 상기 유체 수용부(1831)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유체 수용부(1831)로부터 상기 리저버(1841)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체 수용부(1831)내의 투명 유체(1832)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액추에이터(1842)로는 피에조 액추에이터(PZT), MEMS 소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추에이터(1842)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구동하는데, 이를 위해 일단이 상기 액추에이터(18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보조 단자(1844, 184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18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842)와 상기 보조 단자(1844,1845)와의 구체적인 연결구조는 생략하며, 도면에서는 상기 보조 단자(1844,1845)가 상기 본체(1810)의 하단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본체(181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저버(1841)와 상기 액추에이터(1842)는 상기 캐비티(1811)와 인접하여 상기 본체(1810)의 내부에 매립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810)에는 상기 리저버(1841)와 상기 액추에이터(184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미도시)을 함몰형성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리저버(1841)와 상기 액추에이터(1842)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에서는 상기 리저버(1841)와 상기 액추에이터(1842)가 상기 본체(1810)의 단축방향을 따라서 광축과 나란히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1810)의 장축방향을 따라서 광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본체(18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저버(1841)와 액추에이터(1842)를 보다 효율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수용부(1831)는 상기 장착부(1812)의 단차면상에 안착되어 상기 캐비티(1811)를 덮도록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1810)의 상기 캐비티(1811)에는 투명 수지가 채워져 상기 캐비티(1811) 내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소자(1820)를 밀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1811)는 공기로 채워져 상기 캐비티(1811) 내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소자(20)를 에워싸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캐비티(1811)를 덮도록 장착되는 상기 유체 수용부(1831)에 의해 밀봉되게 된다.
한편,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여 파장변환부(1830)와 제어부(1840)의 작동을 통한 색온도를 가변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조 단자(1844,1845)를 통해 외부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액추에이터(1842)가 팽창 작용을 하게 되면, 상기 액추에이터(1842)와 연결되는 상기 리저버(1841)는 상기 액추에이터(1842)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리저버(1841)의 용적은 작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리저버(1841) 내에 저장되어 있던 투명 유체(1832)는 상기 유체 수용부(1831)로 이동하여 상기 유체 수용부(1831)를 채우는 상기 투명 유체(1832)의 유량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 수용부(1831)는 유입된 투명 유체(1832)에 의해 팽창하여 용적이 증가하게 되며, 광축상에 배치되는 형광 유체층은 그만큼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발광소자(1820)에서 발생되는 광은 두께가 두꺼워진 형광 유체층을 통과하게 되어 방출되는 광의 색온도는 낮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1842)가 반대로 수축 작용을 하게 되면, 상기 액추에이터(1842)와 연결되는 상기 리저버(1841)는 상기 액추에이터(1842)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리저버(1841)의 용적은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체 수용부(1831) 내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투명 유체(1832)는 상기 리저버(1841)로 이동하여 상기 유체 수용부(1831)를 채우는 상기 투명 유체(1832)의 유량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 수용부(1831)는 상기 리저버(1841)로 이동된 투명 유체(1832)에 의해 수축하여 용적이 감소하게 되며, 광축상에 배치되는 형광 유체층은 그만큼 두께가 감소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발광소자(1820)에서 발생되는 광은 두께가 얇아진 형광 유체층을 통과하게 되어 방출되는 광의 색온도는 높아지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유체 수용부(1831)의 전면(상면)이 평평한 상태로 팽창 및 수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볼록한 돔 형상으로 중심부가 돌출된 상태로 변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색온도의 가변은 상기 액추에이 터(1842)를 제어하는 미도시된 전자장치를 통해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과 달리 단일의 발광소자만으로도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색 혼합을 위한 거리 확보가 필요 없어 광원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구비하는 면광원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장치는 상술한 제1 내지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실장하는 발광소자 패키지는 백라이트장치와 같은 면광원장치 이외에 조명장치, 차량용 헤드라이트등 다른 다양한 장치의 광원으로도 응용될 수 있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에서 발광모듈들의 배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5는 도 54에서 발광모듈들의 회전 배치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54를 참조하면, 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1900)는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1901a ~ 1901d)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1901a ~ 1901d)은 각각 복수의 발광소자(1903) 및 커넥터(1904a ~ 1904d)를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1903)는 행과 열로 2차원 배열됨으로써 발광 영역을 이룰 수 있으며, 특히, 백색광을 발광할 수 있는 LED를 사용하는 경우, 상 기 면광원장치(1900)는 백라이트 유닛, 조명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1901a ~ 1901d)은 정사각형 구조로서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은 절연성 기판 상에 복수의 발광소자(1903) 및 커넥터(1904a ~ 1904d)가 배치된 구조에 해당한다.
상기 제1 발광모듈(1901a)에 포함된 커넥터(1904a)는 상기 제1 발광모듈(1901a)의 일 꼭지점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발광모듈(1901a)의 상기 꼭지점은 도 54에서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이 이루는 정사각형, 즉, 전체 면 광원 장치(1900)의 중심점(이하, 중심점이라 함)에 해당한다. 또한, '인접'이라 함은 상기 커넥터(1904a)가 상기 제1 발광모듈(1901a)을 이루는 4개의 꼭지점 중에서 특정 꼭지점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특정 꼭지점은 발광모듈의 회전 중심점이 된다.
제2 내지 제4 발광모듈(1901b ~ 1901d)은 상기 제1 발광모듈(1901a)이 회전 중심점을 축으로 하여 90°의 각도로 순차적으로 회전된 구조이다. 즉, 상기 제2 발광모듈(1901b)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1903) 및 커넥터(1904b)는 상기 제1 발광모듈(1901a)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1903) 및 커넥터(1904a)가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된 배열 구조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 발광모듈(1901c)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1903) 및 커넥터(1904c)는 상기 제2 발광모듈(301b)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1903) 및 커넥터(1904b)가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된 배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4 발광모듈(1901d)도 같은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배치 방식은 도 55(a)에 도시된 것과 같다. 다만,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이 아닌 도 55(b)와 같이 반시계 방향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1901a ~ 1901d) 각각에 포함된 커넥터들(1904a ~ 1904d)은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서로 간의 거리도 매우 가깝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 연결을 위한 배선 구조가 간결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1901a ~ 1901d)이 순차적 90° 회전 배치 구조를 가짐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면 광원 장치(1900)는 한 종류의 발광모듈만 가지고도 구성될 수 있다. 회전 배치 구조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커넥터들(1904a ~ 1904d)이 중심점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1901a ~ 1901d)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져야 한다. 즉, 본 제1 실시형태와 달리, 4종류의 발광모듈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형태의 면광원장치의 경우, 커넥터들(1904a ~ 1904d) 간의 거리가 짧아져 전기 배선 구조가 간결하게 되면서도 하나의 발광모듈만이 요구되어 발광모듈의 규격화 및 생산성 향상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에서 발광모듈들의 배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6을 참조하면, 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2000)는 이전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2001a ~ 2001d)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2001a ~ 2001d)은 각각 복수의 발광소자(2003) 및 커넥터(2004a ~ 2004d)를 갖추어 구성된다. 본 제2 실시형태의 면광원장치의 경우, 도 54 의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상기 커넥터(2004a ~ 2004d)가 상기 발광소자(2003)와 별개의 영역에 형성된다. 즉, 도 56은 면광원장치(2000)를 커넥터(2004a ~ 2004d)가 배치된 방향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2004a ~ 2004d)는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2001a ~ 2001d)에서 상기 발광소자(2003)의 반대 편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2003)를 커넥터(2004a ~ 2004d)에 제약을 받지 않고 배치할 수 있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에서 발광모듈들의 배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7을 참조하면, 본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2100)는 제1 내지 제3 발광모듈(2101a ~ 2101c)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모듈(2101a ~ 2101c)의 외부 경계 선이 이루는 형상, 즉, 발광영역은 원형을 이룬다. 도 54의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모듈(2101a ~ 2101c)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공유하는 꼭지점, 즉, 회전 중심점과 이루는 각도가 120°(즉, 360°/3)인 부채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발광모듈(2101a)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2103)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2차원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방향은 120°를 이룬다. 이 경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발광모듈(2101a)과 상기 제2 발광모듈(2101b)의 경계 선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발광모듈(2101a)과 상기 제3 발광모듈(2101c)의 경계 선과 같은 방향에 해당한다.
상기 제2 발광모듈(2101b)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2103) 및 커넥 터(2104b)는 상기 제1 발광모듈(501a)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2103) 및 커넥터(2104a)가 상기 중심점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120° 회전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3 발광모듈(2101c)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2103) 및 커넥터(2104c)는 상기 제2 발광모듈(2101b)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2103) 및 커넥터(2104b)가 상기 중심점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120° 회전된 구조를 갖는다. 본 제3 실시형태에서는 원형의 면광원장치(2100)의 3등분 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면 광원 장치의 형상은 정삼각형, 정오각형 등과 같은 정n각형(n은 3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n개의 발광모듈은 1/n×360°의 회전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도 5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에서 발광모듈들의 배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본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2200)는 도 54에서 설명한 면광원장치(1900)와 유사한 구조로서,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2201a ~ 2201d)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모듈(2201a ~ 2201d)은 각각 복수의 발광소자(2203) 및 커넥터(2204a ~ 2204d)를 갖추어 구성되며, 상기 제2 내지 제4 발광모듈(2201b ~ 2201d)은 상기 제1 발광모듈(2201a)을 90°씩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제4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제1 발광모듈(2201a)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2203)는 행과 열, 즉, x 및 y 방향으로 배열되되, x방향의 피치(x)와 y방향의 피치(y)는 서로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y방향의 피치(y)를 일반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 크기에 해당하는 x방향의 피치(x)보다 크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체 사용되는 발광소자(2203)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x방향의 피치(x)는 약 26 ~ 27㎜ 정도가 되며, 상기 y방향의 피치(y)는 약 29 ~ 37㎜ 정도가 된다. 다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y방향의 피치(y)를 x방향의 피치(x)보다 크도록 하였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x방향의 피치(x)가 y방향의 피치(y)보다 더 클 수도 있다. 즉, x방향의 피치(x)와 y방향의 피치(y)가 서로 다르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피치는 일 방향으로 이격 된 인접한 발광소자(2203)의 중심 간 거리에 해당한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x 및 y 방향 피치가 서로 상이한 발광소자 배열 구조의 경우, y 방향 피치가 커짐에 따라 휘도 불균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발광모듈(2201a)에서는 y방향의 피치(y)가 x방향의 피치(x)보다 크지만, 제2 발광모듈(2201b)은 이와 반대가 되며, 제3 발광모듈(2201c)은 제2 발광모듈(2201b)과 반대가 된다. 또한, 제3 발광모듈(2201c)이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되어 형성된 제4 발광모듈(2201d)은 제2 발광모듈(2201b)과 동일한 피치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인접한 발광모듈과 반대되는 배열 구조를 가짐에 따라 x방향 및 y방향 피치가 상이함으로써 야기되는 휘도 불균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면 광원 장치(2200)는 휘도 분포의 균일성을 유지하면서도 발광소자(2202)의 개수가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소자(2202)의 개수가 줄어들면서 생기는 휘도의 저하의 문제는 주입 전류를 증가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발광모듈(2201a)의 배치 방식과 전체 발광 영역에서 차지하는 영역이 결정된다면, 상기 제1 발광모듈(2201a)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나머지 발광모듈들의 배치 방식을 결정할 수 있으며,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휘도 균일도 및 발광소자 개수의 감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에서는 면광원장치의 전체 형상이 정사각형, 원형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면 광원 장치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도 5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면광원장치(2300)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도 54의 실시 형태의 면광원장치(1900)를 옆으로 4개 이어 붙여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면 광원 장치는 300*300, 600*600의 사이즈 외에도 300*1200, 600*1200 등의 사이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구조를 갖는 면 광원 장치는 LCD 패널의 후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등에 채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3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채용하고 있으며, 각 발광소자 패키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을 만족하며, 발광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을 흡수하여 600㎚ ~ 700㎚ 범위의 발광피크를 가진 광을 방출하는 적색형광체를 적어도 포함하는 파장변환부를 구비한다.
도 6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를 채용한 제1 실시형태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0을 참조하면, 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400)은 앞서 설명한 구조의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의 면광원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중 하나의 실시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면광원장치는 기판(2401)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2402)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소자(2402)는 서로 다른 피치(P1, P2)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면광원장치의 발광 영역은 n등분되어 형성된 제1 내지 제n 발광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발광모듈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360°/n의 각도로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제2 내지 제n 발광모듈이 형성된다. 나아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2402)에 전원 공급을 하기 위한 커넥터는 상기 제1 내지 제n 발광모듈의 회전 중심에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전원 배선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
상기 면광원장치의 상부에는 입사된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또 는 확산판과 상기 확산시트 또는 확산판 상부에 배치되어 입사된 광을 수직 방향으로 집광하는 집광 시트 등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2414)가 배치된다. 상기 광학 시트(2414)는 상기 집광 시트 상부에 배치되어 하부의 광학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2401) 상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발광소자(2402)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2402)가 배치된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는 측벽(24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2401) 상면에는 상기 발광소자(2402)에서 방출된 빛을 상부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층(241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소자(2402)들의 배열 간격인 피치(P1, P2)는 광학 거리(ℓ)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면광원장치의 휘도 균일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핫 스팟(hot spot)이 보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광학 거리(ℓ)는 발광소자(801)의 광 방출 면으로부터 상기 광학 시트(2414)까지의 거리, 즉, 수직방향으로 광이 진행한 거리로 이해할 수 있다.
도 6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광원장치(2500)는 하부 프레임(2510), 발광소자 패키지(2520), 도광판(2530), 광학시트(2540)를 포함한다. 이때, 면광원장치(2500)는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2550)과 함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시트(2540)는 도광판(2530)의 상부에 장착되며, 확산판,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2530)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도광판이 하부 프레 임(2510)의 수납 공간에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발광소자 패키지(2520)는 도광판(2530)의 측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광판(2530)은 복수개가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복수개가 일체화되도록 연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 패키지(2530)는 본 발명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적색형광체와, 청색형광체, 녹색형광체 및 황색형광체들이 수지재에 적절히 혼합된 파장변환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광판(2530)의 하부에 반사판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면광원장치는 하부 프레임(251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장치는 탠덤형 면광원장치이며, n개의 LED 광원과, n개의 평판형 도광판을 갖는다. LED 광원은 기판(2630)위에 복수개의 LED 패키지(2631)가 일렬로 배열되고, 이렇게 구성된 n개의 LED 광원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들 n개의 LED 광원을 따라 한 측에 각각 배열 설치되는 평판형 도광판(2632, 2635)을 구비한다.
또한, 면광원장치는 LED 패키지(2631, 2634)의 하부 및 평판형 도광판(2632, 2635)의 하부에 배치되어 LED 광원에서 출광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자부재(미도시)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평판형 도광판의 상부에는 반사부재에서 반사되고, 평판형 도광판에서 굴절되어 액정패널측으로 출사되는 광을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나 확산시트를 통과한 광을 정면 시야각 안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프리즘 시트와 같은 광학시트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LED 광원은 탑 뷰(Top View) LED가 각각 실장된 복수개의 LED 패키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평판형 도광판(2632, 2635)은 평판형(plate-type)으로, LED 광원에서 광이 방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광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평판형 도광판은 웨지형 도광판과 비교하여 그 형상이 간단하여 양산이 용이하며, LED 광원위에 도광판의 위치를 맞추는 것 또한 용이하다.
또한, 평판형 도광판(2632, 2635)은 LED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LED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조명광으로 액정패널측에 출사하는 출사면을 갖는 출사부 및 상기 출사부를 기준으로 입광부의 맞은 편에 형성되고, 입광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의 선단부을 구비하며, 평판형 도광판(2632)의 선단부가 LED 패키지(2634)의 위를 덮도록 배치된다. 즉, n번째 평판형 도광판의 선단부의 하부에 n+1번째 LED 광원이 위치한다. 그리고 평판형 도광판(2632)의 선단부는 하면에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도 6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패키지(2634)로부터 나온 광은 도광판(2632)에 직접 출사되지 않고, 평판형 도광판(2632)의 선단부의 하면에 구비된 프리즘 형상에 의해 산란되어 분산된다. 이에 의해 LED 광원 위의 도광판에 생기는 핫 스팟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3은 도 62에 도시된 평판형 도광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 도광판(2740)은 복수개의 LED 패키지로 이루어진 LED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2741), 균일한 두께의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입광부(2741)로 입사된 광을 조명광으로 액정패널측에 출사하는 출사면(2744)을 갖는 출사부 및 출사부를 기준으로 입광부(2741)의 맞은 편에 형성되고, 입광부(2741)의 입사단면보다 좁은 두께의 단면을 갖는 선단부(2742)를 구비한다.
선단부(2742)는 자신의 하부에 배열되는 LED 패키지로부터 나온 광의 일부를 분산하기 위해 프리즘 형상(2743)을 구비한다. 이러한 프리즘 형상(2743)은 입사된 광을 분산 및 산란시킬 수 있는 삼각형 프리즘, 원뿔형 프리즘 및 반구형 프리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선단부(2742)의 프리즘 형상은 선단부(2742)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LED 패키지 상부에만 일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리즘 형상에 의해 LED 패키지 위의 도광판에 발생 되는 핫 스팟의 제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판형 도광판에 있어서, 선단부의 하면에 프리즘 형상을 가공함으로써 LED 패키지로부터 나온 광의 일부에 의해 LED 패키지 상의 도광판에 발생되는 핫 스팟을 분산시키기 위해, LED 패키지와 도광판 사이에 별도의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를 가공하는 공정이 불필요하여 제조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 다.
도 6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5는 도 641에 도시된 백라이트장치의 적층후 I-I'선을 따라 본 절단면도이다. 여기서, 백라이트장치는 다수의 도광판들을 구비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2개의 도광판만을 도시하였다.
도 64 및 도 65를 참조하면, 백라이트장치는 하부커버(2810), 도광판(2820), 광원장치(2830) 및 고정수단(284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커버(2810)는 수납공간을 가진다. 예컨대,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하부커버(2810)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레이트(plate) 및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측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2810)는 후술 될 고정수단(2840)이 체결되는 체결구 혹은 체결부(281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 혹은 체결부(2811)는 후술될 고정수단(2840)이 관통되는 관통홀부 또는 상기 고정수단이 삽입되기 위한 홈부일 수 있다.
상기 도광판(2820)은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다. 다수개로 분할된 상기 도광판(2820)은 상기 하부커버(2810)의 수납공간에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도광판(2820)은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홀(2821)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2821)은 상기 도광판(2820)의 에지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홀(2821)의 위치 및 개수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관통홀(2821)은 상기 체결부(2811)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광판(2820)의 형태는 사각형 형 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육각형등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도광판(2820)의 일측에는 상기 도광판(120)으로 광을 제공하는 복수의 광원장치(283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광원장치(2830)는 광을 형성하는 광원, 즉 LED 패키지(2831) 및 상기 LED 패키지(2831)의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다수의 회로패턴을 구비하는 기판(28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LED 패키지(2831)는 청색, 녹색 및 적색을 각각 구현하는 서브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발광다이오드는 청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청색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청색광의 일부를 적색 및 녹색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색과 상기 적색 및 녹색이 혼색되어 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적색형광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형광물질이다.
상기 광원장치(2830)에서 형성된 광은 상기 도광판(120)의 측면에 입사되고, 상기 도광판(2820)의 내부 전반사에 의해 상부로 출사된다. 상기 고정수단(2840)은 상기 도광판(28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120)을 상기 하부커버(28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수단(2840)은 상기 도광판(2820)의 관통홀(2821)에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2820)을 상기 하부커버(110)상에 고정시킨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수단(2840)은 상기 도광판(2820)의 관통홀(2821)을 경유하 여 상기 도광판(2820)의 체결부(2811), 예컨대 상기 관통홀부를 관통하거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840)은 몸통부(2842) 및 상기 몸통부(2842)로부터 연장된 머리부(2841)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2842)는 상기 도광판(2820)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상기 체결부(2811)에 체결된다. 즉, 상기 몸통부(2842)는, 상기 도광판(2820)과 상기 하부커버(2810)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도광판(2820)을 상기 하부커버(2810)상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머리부(2841)는 상기 몸통부(2842)보다 넓은 너비를 가짐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2840)이 상기 도광판(2820)의 관통홀(2821)을 통해 완전히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머리부(2841)는 여러 형태, 예컨대 반원형, 반타원형, 사각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머리부(2841)가 삼각형의 단면 형태를 가질 경우, 상기 고정수단(2840)과 후술 될 광학부재(2860)간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고정수단(2840)으로 인한 흑점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2820)과 상기 광학부재(286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짐에 따라, 상기 도광판(28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광학부재(2860)상에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머리부(2841)는 상기 광학부재(2860)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도광판(2820)과 후술 될 광학부재(2860)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광판(2820)과 상기 광학부재(2860)의 간격은 상기 머리부(2841)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840)는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광을 투과하는 재질, 예컨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각 도광판(2820)의 하부에 반사부재(28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850)는 상기 도광판(120)의 하부로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상기 도광판(2820)으로 재입사시킴으로써, 백라이트장치의 광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반사부재(2850)는 상기 관통홀(2821) 및 상기 체결부(2811)와 대응되는 관통부(285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840)은 상기 관통홀(2821) 및 상기 관통부(2851)를 경유하여 상기 체결부(28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반사부재(2850)가 상기 도광판(2820)과 같이 다수개로 분할될 경우, 상기 고정수단(2840)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2810)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백라이트장치는 상기 도광판(2820)상에 배치된 광학부재(28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재(2860)의 예로서는 상기 도광판(2840)에 배치된 확산판,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백라이트장치는 다수개로 분할된 도광판을 구비함에 따라, 부분 구동에 의한 로컬 디밍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개로 분할된 상기 도광판들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부커버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도광판의 유동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도광판과 상기 광학부재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균일한 광을 액정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LED 백라이트장치를 나타내는 평면 도이고, 도 67은 도 66에 나타낸 A영역의 기판 체결전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68은 도 66에 나타낸 A영역의 기판 체결후의 단면사시도이다. 또한, 도 69는 도 68의 절단선(II-II')을 따라 본 절단면도이다.
도 66 내지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LED 백라이트장치는 제1관통홀(2910a) 혹은 홈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구 혹은 체결부를 갖는 갖는 하부커버(2910)와, 상기 하부커버(2910)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광판(2920)과, 상기 각 도광판(2920)의 일측에서 하부커버(2910)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 배선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에 대응(혹은 대면)하는 제2관통홀(2931a)을 갖는 기판(2931)과, 상기 도광판(29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판(2931)상에 실장되어 빛을 제공하는 다수의 LED 패키지(2932), 및 상기 기판(2931)의 제2관통홀(2931a) 및/혹은 상기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에 체결되어 인접하는 도광판(2920)의 일측 가장자리영역을 압박하는 고정수단(294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바닥면을 이루는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원형, 직사각형 혹은 타원형 등의 형태를 이루는 제1관통홀(2910a)(혹은 플레이트상에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 홈)을 갖는 하부커버(2910)는 철(Fe) 혹은 전기아연도금강판(EGI) 등을 재질로 하여 하부 프레임을 이루며, 더 나아가서 하부커버(2910)는 바닥면을 이루는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영역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측벽, 즉 측면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부 프레임의 바닥면은 분할형 백라이트장치의 구성을 위하여 일렬로 형성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 데, 이때 그 복수의 영역은 예를 들어 일측영역에 형성된 오목한 홈에 의해 경계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여기서 복수의 영역을 구분짓는 오목한 홈은 이후 기술되는 기판(2931)의 수납 홈에 해당된다.
또한, 하부커버(2910)상의 제1관통홀(2910a)은 원형, 타원형 혹은 직사각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지만, 긴 방향의 폭을 갖는 관통홀, 더 정확하게는 서로 나란한 두개의 장변과 그 두 장변의 양끝에서 소정의 곡률을 갖고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두개의 단변을 가지는 관통홀의 형태를 띨 수 있으며, 이때 그 제1관통홀(2910a)의 장축방향(Y축)이 빛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도록 하부커버(2910)상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체결) 홈의 경우에도 위와 같은 동일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하부커버(2910)의 전체 바닥면, 혹은 기판(2931)이 수납되는 오목한 수납 홈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오목한 홈을 제외한 복수의 바닥면상에 반사판(미도시)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판은 보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금속(Ag, Al) 등이 코팅된 필름을 사용하게 되는데, 반사판에서의 가시광의 광 반사율은 90∼97%정도이며 코팅된 필름이 두꺼울수록 반사율이 높게 된다.
이때, 하부커버(2910)의 바닥면에서 복수개 구비되는 반사판은 각각 빛이 제공되는 LED 패키지(2932)와, 그 LED 패키지(232)의 배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도광판(29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광판(2920) 일측으로부터 제공되어 유도된 빛이 도광판(220) 타측에 배치된 LED 패키지(2932)의 간섭을 받지 않고 반사판에 의해 다시 반사된 후 상측에 구비되는 광학 부재(미도시)의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어 광의 반사효율이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커버(2910)의 오목한 수납 홈 혹은 도광판(220)의 일측에는 LED 광원(2930)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LED 광원(2930)은 예컨대 오목한 수납 홈에 구비되어 하부커버(2910)의 바닥면에 수평을 이루어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배선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10a)에 대응하는 제2관통홀(2931a)을 갖는 기판(2931), 즉 PCB와, 그 기판(2931)상에 실장된 LED 패키지(293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판(2931)은 LED 패키지(2932)와 LED 패키지(2932) 사이에 형성된 제2관통홀(2931a)을 가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제2관통홀(2931a)을 갖는 기판(2931)은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에 대응(혹은 대면)되도록 하여 그 하부커버(291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있고, 또 그 기판(2931)상에 형성된 제2관통홀(2931a)은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과 마찬가지로 원형 혹은 타원형 등을 이룰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긴 방향의 폭을 갖는 관통홀, 즉 서로 나란한 두개의 장변과, 그 두 장변의 양끝에서 소정의 곡률을 갖고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두개의 단변을 갖는 관통홀의 형태를 띠되, 그 제2관통홀(2931a)의 장축방향(X축)이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결국 기판(2931)의 제2관통홀(2931a)은 그 장축방향(X축)이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의 장축방향(Y축)과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기판(2931)상에 형성된 제2관통홀(2931a)의 크기, 더 정확히 말해서 두 장변간 간격(혹은 거리)은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수단(2940)의 몸체의 지름에 관계 될 수 있는데, 그 제2관통홀(2931a)의 크기는 빛을 제공하는 LED 패키지(2932)와 그 LED 패키지(2932)로부터 제공된 빛이 입사되어 유도되는 도광판(2920)과의 간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후에 좀더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LED 패키지(2932)는 다시 상기 기판(2931)상에 고정되어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고 수납 홈을 갖는 패키지 본체(2933)과, 패키지 본체(2933)의 수납 홈에 실장되어 빛을 제공하는 LED 칩(2935), 및 상기 수납 홈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LED 칩(2935)이 탑재되고 기판(2931)상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쌍의 제1 및 제2전극구조(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LED 패키지(2932)는 LED 칩(2935)이 청색의 발광다이오드 칩인 경우 백색광을 제공하기 위해 수납 홈에 형성된 수지포장부(2936)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수지포장부(2936)는 적색 및 녹색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그 수지포장부(2936)는 적색 및 녹색 형광체를 함유하는 젤 형태의 에폭시 수지 혹은 실리콘 수지를 패키지 본체(2933)의 수납 홈에 주입 한 후, UV(ultraviolet) 경화나 열경화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여기에서도 본 발명은 청색 발광다이오드 칩과 황색 형광체로 이루어지는 LED 패키지(2932)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가령 근자외선 칩과 그 근자외선 칩상에 구비되는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혼합된 수지포장부 혹은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각각 포함되어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된 수지포장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적색형광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1 내지 실 시예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인 형광물질이다.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하부커버(2910)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도광판(292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때 도광판(2920)의 측면은 패키지 본체(2933)의 수납 홈 내에 실장된 LED 칩(2935)으로부터 제공된 빛이 손실없이 도광판(29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패키지 본체(2933)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도광판(2920)은 PMMA를 재질로 하여 형성되며, 가시광선영역에서 광에 대한 흡수성이 고분자 재료 중 가장 적어 투명성 및 광택이 매우 크다. 이는 기계적 강도가 높아 깨지거나 변형되지 않으며, 가볍고 내화학성이 강하다. 또한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90∼91% 정도로 높고, 내부 손실이 대단히 적으며 인장 강도, 휨강도, 신장 강도 등의 기계적 성질과 화학성, 내성 등에도 강하다.
그리고, 도광판(2920)과 도광판(2920) 사이의 기판(2931)에는 고정수단(2940)이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294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나사와 같은 형태로서 LED 패키지(2932)의 양측, 즉 광이 출사되는 전면(前面)과 그 전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후면(後面)에 각각 구비되는 도광판(2920)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그 인접하는 도광판(2920)을 동시에 고정하기 위하여 기판(2931)의 제2관통홀(2931a) 및 그 제2관통홀(2931a)에 대응하는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고정수 단(2940)은 도광판(2920) 내에서 유도되는 빛이 간섭 없이 상측에 배치된 광학부재로 제공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을 이루되, 도광판(2920)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정수단(2940)은 실질적으로 원형 혹은 사각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머리부와, 그 머리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 혹은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고정수단(2940)의 몸체부 외부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기판(2931)의 제2관통홀(2931a) 및/혹은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여기에서 고정수단(2940)의 몸체부는 사각기둥의 형태를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머리부의 크기는 도광판(2920)과 도광판(2920) 사이의 간격과 도광판(2920)의 일측 가장자리영역을 일부 덮을 수 있도록 설계되므로 도광판(2920)과 도광판(292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조금 변경될 수 있고, 또 몸체부의 지름은 기판(2931)의 제2관통홀(2931a) 및/혹은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에서 서로 나란한 두 장변간 간격 혹은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 고정수단(2940)은 앞서 언급한 바 있는 기판(2931)의 제2관통홀(2931a)의 크기에 관계해서도 머리부의 크기나 몸체부의 지름의 길이가 조금 변경될 수 있는데, 가령 기판(2931)의 제2관통홀(2931a)의 크기가 작다는 것은 고정수단(2940)의 몸체부의 지름이 작아지는 것이며, 이는 결국 LED 패키지(2932)와 도광판(2920)간 간격을 좁힐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2940)은 기판(2931) 및/혹은 하부커버(2910)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시 LED 패키지(2932)가 고정되어 있는 기판(2931)상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도광판(2920)의 상측 모서리 영역을 헤드 부위로 압박하게 됨으로써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도광판(292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더 나아가서 고정수단(2940)은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는 추가적으로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그 힘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기판(2931)상에 체결되는 고정수단(2940)은 LED 패키지(2932)와 도광판(2920)간 스페이서(spacer)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LED 패키지(2932)와 도광판(2920)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도광판(2920)의 수축 및/혹은 팽창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의 고정수단(2910)이 반드시 나사산 형태를 이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했듯이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의 머리부와 대응하는 끝 부위에 형성된 갈고리부를 통해 기판(2931)의 제2관통홀(2931a)과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을 관통하여 체결된 후 하부커버(29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도광판(2920) 상측에는 도광판(2920)을 통해 제공된 빛의 광학적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광학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광학부재는 예를 들어 도광판(2920)을 투과하여 나온 빛의 불균일성을 완화시키기 위한 확산패턴이 형성된 확산판과, 빛의 정면 휘도를 높이기 위한 집광패턴이 형성된 프리즘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도광판(2920)과 도광판(2920) 사이에 구비된 고정수단(294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도광판(2920)을 고정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한 도광판(29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X축)으로의 도광판(2920) 수축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축방향과 단축방향을 갖도록 형성된 기판(2931)의 제2관통홀(2931a)에 의해 그 제2관통홀(2931a)의 장축방향(X축)으로 기판(2931)의 수축이 발생하더라도 이에 대응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축방향(Y축)을 갖는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과 그 제1관통홀(2910a)에 체결된 고정수단(2940)을 통해서는 도광판(2920)의 팽창 및/혹은 수축 발생시 하부커버(2910)의 제1관통홀(2910a)의 장축방향(Y축)을 따라 도광판(2920)과 고정수단(2940) 및/혹은 기판(2931)이 함께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도광판(2920)과 LED 패키지(2932)간 일정 간격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종래 대비) 휘점 및 휘선 현상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의 제2 및 제3 실시형태에 따른 LED 백라이트장치를 구비하고, 동시에 상기의 광학부재상에 구비된 액정패널(미도시)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때, 액정표시장치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표시장치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 서포트(main support)라는 몰드 구조물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데, 그 메인 서포트의 하측에는 백라이트장치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액정패널이 적재된다. 상기의 액정패널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 및 컬러필터기판이 합착된 것으로서, 그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상에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등의 신호배선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TFT는 게이트 라인을 통해 제공된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액정층의 액정셀에 전송될 비디오 신호, 즉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데이터 신호를 절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 사이의 화소영역에는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필터기판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의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에 대응하여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와, 블랙매트릭스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적색(R), 녹색(G), 청색(B)의 컬러를 제공하는 컬러필터, 그리고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상에 구비되어 있는 공통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컬러필터기판이 부착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의 가장자리영역에는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데이터 패드와,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게이트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 패드 및 게이트 패드에 각각 접속되어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 액정패널상에는 그 액정패널의 4면 가장자리영역을 덮는 동시에 하부커버(2910) 혹은 메인 서포트의 측벽에 고정되는 상부커버가 구비될 것이다. 물론 상부커버 또한 하부커버(291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7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1은 도 70에 도시된 LED 모듈에 실장되는 LED의 조합을 실시예 별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2는 순방향 전압에 따른 LED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0 내지 도 7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3000)은 복수의 LED(3020)를 구비하는 복수의 LED 모듈(3010)과, 상기 복수의 LED 모듈(3010)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3020)의 밝기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드라이버(3030)로 구성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3040)의 내측면을 따라서 도광판(3050)의 일 측면 또는 복수의 측면과 마주하는 선광원으로 채용되는 LED 모듈(3010)을 배치시키는 에지(edge)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직하(direct) 방식도 가능하지만 LED 모듈의 배치위치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LED 모듈(3010)은 복수의 LED(3020)를 포함하여 백색광을 방출함으로써 그 자체로서 일정면적을 갖는 면광원 또는 선광원으로 채용될 수 있는 단위가 되는 것으로, 기판과 같은 서브마운트와 그 위에 실장되는 복수의 LED(30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LED(3020)는 백색 LED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71에서와 같이, 상기 LED 모듈(3010)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LED(3020)는 기판상에 실장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때 각 LED 모듈(3010)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의 LED(3020)는 서로 직렬연결된 LED 어레이(array)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각 LED 모듈(3010)에 구비되는 LED 어레이를 형성하는데 있어 LED의 특성을 소정의 구간으로 세분화하여 이를 조합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LED 어레이를 형성하는데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LED 칩을 패키징하여 제조되는 LED 단품들은 특정 범위의 구간에 해당하는 색좌표, 휘도, 순방향 전압(Vf: Forward Voltage), 파장 등의 특성을 가지며, 각 특성이 가지는 값은 모든 LED 단품에 있어 일치하지 않고 약간의 차이를 가져 산포를 나타낸다. 즉, 각각의 LED 단품이 가지는 색좌표의 범위 구간과 순방향 전압의 범위 구간은 모든 LED 단품들에 있어 모두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한 값 또는 하한 값에서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LED(3020)를 복수개 실장하여 LED 어레이를 형성하는데 있어 특정 범위 구간에만 해당하는 특성을 갖는 LED 만을 실장하는 경우, 예를 들어 순방향 전압(Vf)이 높은 LED 만을 실장한 LED 모듈과 반대로 낮은 LED 만을 실장한 LED 모듈과의 사이에는 전압 차이(ΔV)가 크게 발생하여 휘도 균일도에 불량이 발생하여 화면상에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본 발명은 LED의 특성 중에서 복수의 LED가 가지는 순방향 전압(Vf)을 LED 분포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세분화하여 각 구간에 해당하는 순방향 전압을 가진 LED를 구간별로 교대로 실장하여 LED 어레이를 형성한다. 여기서 순방향 전압(Vf)은 순방향으로 연결된 LED 단자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지칭한다.
이에 대해 도 7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2(a) 및 도 72(b)는 순방향 전압에 따른 LED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2(a)에서와 같이, LED(3020)가 가지는 순방향 전압(Vf)의 범위가 좁은 경우에는 분포도의 중심을 기준으로 2개의 구간(A구간, B구간)으로 범위 구간을 세분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장되는 LED(3020)의 종류는 A구간에 해당하는 순방향 전압을 갖는 종류와 B구간에 해당하는 순방향 전압을 갖는 종류인 2가지 종류로 분류되며, 각각 교대로 실장되어 LED 어레이를 형성한다. 도 72(a)에서는 ABAB...순서로 조합되는 어레이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AABB, ABBA 등 다양한 조합방법으로 실장되어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2(b)에서와 같이 LED가 가지는 순방향 전압(Vf)의 범위가 넓은 경우에는 3개의 구간(A구간, B구간, C구간)으로 범위 구간을 세분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장되는 LED(3020)의 종류는 A구간에 해당하는 순방향 전압을 갖는 종류와 B구간에 해당하는 순방향 전압을 갖는 종류 그리고 C구간에 해당하는 순방향 전압을 갖는 종류인 3가지 종류로 분류되며, 각각 교대로 실장되어 LED 어레이를 형성한다. 도 72(b)에서는 ABCABC...순서로 조합되는 어레이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ABAC, ABBC 등의 다양한 조합으로 실장되어 어레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1 및 도 72에서는 순방향 전압(Vf)을 2개 또는 3개의 범위 구간으로 세분화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범위 구간으로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각 구간에 해당하는 순방향 전압(Vf)을 갖는 LED(3020)를 교대로 실장함으로써 이들을 포함하는 LED 모듈(3010)의 순방향 전압의 평균값을 예측할 수 있음은 물론 특정한 범위의 값을 가지도록 산포를 줄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모듈 내에서 직렬로 연결되는 LED(3020) 간의 순방향 전압(Vf)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각 LED 모듈(3010) 사이의 전압차(ΔV)가 줄어들게 되어 휘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드라이버(3030)는 상기 복수의 LED 모듈(301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LED(3020)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LED 모듈(30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미리 정해진 휘도 및 색감과 감지된 휘도 및 색감을 비교하여 보상을 해주도록 LED의 밝기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구동 드라이버(303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드라이버(303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 드라이버(3030)와 연결되는 상기 LED 모듈(3010)은 각각 하나의 구동 드라이버(3030)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드라이버 각각은 적어도 2개 이상의 LED 모듈(3010)과 연결된다. 이때, 동일한 구동 드라이버(3030)와 연결되는 LED 모듈(3010)들은 서로간의 전압차가 작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범위의 순방향 전압을 갖도록 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각 LED 모듈(3010)에 실장되는 복수의 LED(3020)에 대한 순방향 전압의 세분화에 따른 LED(3020)의 조합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LED 모듈(3010)은 동일한 구동 드라이버(3030)와 연결되는 다른 LED 모듈(3010)과의 사이에 병렬연결을 이루는 연결구조를 갖는다.
도 70을 참조하면, 전압차가 작은 제1 LED 모듈(3010a)과 제2 LED 모듈(3010b)은 제1 구동 드라이버(3030a)와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구조를 이루고, 제3 LED 모듈(3010c)과 제4 LED 모듈(3010d)은 제3 구동 드라이버(3030c)와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구조를 이루며, 제5 LED 모듈(3010e)과 제6 LED 모듈(3010f)은 제2 구동 드라이버(3030b)와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구조를 이룬다. 즉, 서로간의 전압차가 작은 적어도 2개 이상의 LED 모듈(3010)은 공통으로 하나의 구동 드라이버(3030)에 의해 일체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LED 모듈별로 각각 구동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LED를 구동하는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 비하여 구동 드라이버의 전체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백라이트 유닛의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 유닛에 소요되는 전기전자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구동 드라이버의 개수가 감소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광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전체 구동 드라이버의 제어가 보다 용이해져 화질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도 73 및 도 74에서는 LED 모듈(3010)과 구동 드라이버(3030)의 다양한 연결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3에서와 같이 제1 구동 드라이버(3030a)는 제1 LED 모듈(3010a) 및 제5 LED 모듈(3010e)과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구조를 이루고, 제2 구동 드라이버(3030b)는 제2 LED 모듈(3010b) 및 제6 LED 모듈(3010f)과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구조를 이루며, 제3 구동 드라이버(3030c)는 제3 LED 모듈(3010c) 및 제4 LED 모듈(3010d)과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구조를 이룬다.
도 74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제1 LED 모듈(3010a)과 제4 LED 모듈(3010d)이 제1 구동 드라이버(3030a)와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구조를 이루고, 제5 LED 모듈(3010e)과 제6 LED 모듈(3010f)이 제2 구동 드라이버(3030b)와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구조를 이루며, 제2 LED 모듈(3010b)과 제3 LED 모듈(3010c)이 제3 구동 드라이버(3030c)와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구조를 이룬다. 각 구동 드라이버(30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모듈(3010)은 이외에도 다양한 조합의 연결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복수의 LED 모듈(3010)들은 구동 드라이버(3030)를 공통으로 하는 LED 모듈(3010) 사이에서만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고, 다른 구동 드라이버(3030)와 연결되는 LED 모듈(3010)과는 전기적으로 연결을 이루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장치 및 백라이트유닛은 D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컨버젼 장치 없이 AC 전원에서 직접 사용가능한 LED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LED 구동회로에 따라 구현된 LED 어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LED 구동회로 및 LED 어레이 장치에 대해 도 75 내지 도 7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7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LED 구동회로를 나타낸다. 도 75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는 사다리망 LED 회로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다리망 LED 회로는 제1 및 제2 접점(a,b) 사이에서 제1 중간접점(c1,c2)에 의해 연결된 3개의 제1 브랜치와, 제1 및 제2 접점(a,b) 사이에서 제2 중간접 점(d1,d2)에 의해 연결된 3개의 제2 브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LED 구동회로는 순서대로 제1 및 제2 중간접점(c1와 d1, c2와 d2) 사이에 연결된 2개의 중간 브랜치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브랜치와 중간 브랜치에는 각각 LED 소자(3108, 3109, 3110, 3111, 3112, 3113, 3114, 3115)가 배치된다.
상기 LED 구동회로는, 교류전압의 서로 다른 반주기에 구동되도록 2개의 전류 루프(L1,L2)를 갖는다. 제1 전류루프(L1)는 교류전압의 제1 반주기에서 구동되도록 직렬로 연결된 LED 소자(3108,3109,3110,3111,3112)를 포함한다. 제2 전류루프(L2)는 교류전압의 제2 반주기에서 구동되도록 직렬로 연결된 LED 소자(3113,3111,3114,3109,311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AC 전압이 인가된 상태의 회로 동작은 LED소자(3109, 3111)가 양방향으로 모두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사다리망 회로에서의 LED 배열은 상기 제1 접점(a)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브렌치와 상기 중간 브랜치의 순서를 m으로 정의할 때에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상기 LED 소자(3108,3109,3110,3111,3112,3113,3114,3115)는 구동가능한 교류전압의 주기에 따라 제1 및 제2 LED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 LED 그룹은 홀수인 (2m-1)번째의 제1 브렌치와 모든 중간 브렌치 및 짝수인 2m 번째의 제2 브랜치에 속하는 LED(3108,3109,3110,3111,3112)로 구성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2 LED 그룹은 짝수인 2m 번째의 제1 브랜치와 모든 중간 브렌치와 홀수인 (2m-1) 번째의 제2 브랜치에 속하는 LED(3113,3111,3114,3109,3115)로 구성되며, 상기 제1 LED 그룹과 역극성 방향이 되도록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LED 그룹은 교류전압의 제1 반주기에서 구동되는 제1 전류 루프(L1)를 형성하며, 상기 제2 LED 그룹은 교류전압의 제2 반주기에서 구동되는 제2 전류 루프(L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에 따르면, 중간 브랜치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LED 그룹에 공통적으로 속하는 LED 소자(3109,3111)는 교류전압의 전체 주기에서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8개의 LED 소자(3108,3109,3110,3111,3112,3113,3114,3115)로 구성된 LED 구동회로에서 2개의 LED 소자(3110,3114)가 교류전압의 전체주기에서 구동될 수 있으므로, 실제 사다리망 회로에서 연속적으로 발광되는 LED 소자를 5개(사용 LED 개수 대비 구동 LED 개수: 62.5%)로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AC 구동형 LED 배열인 역극성 배열(50%) 또는 브리지 배열(통상 60%)보다 향상된 수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회로는, LED 소자(3109)와 LED 소자(3111)가 병렬 연결이 아닌 직렬 연결인 점에서 브리지 구조와 큰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회로에서는 LED 소자(3109)와 LED 소자(3111) 사이에 LED 소자(3110, 3114)를 삽입한 배열이므로, LED 소자(3109)와 LED 소자(3111)는 직렬 연결되고, 이러한 점에서 근본적으로 브리지 구조와는 다른 사다리망 구조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회로에서는, 교류전압의 전체 주기, 즉 양방향에서 모두 구동되는 LED의 연결은 LED 소자(3110, 3114)를 삽입하여 4개의 중간접점(c1,c2,d1,d2)을 연결하여 병렬이 아닌 직렬로 구성한다. 이러한 LED 배열 연결 구조상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데, 실제 구동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접점으로 구성된 루프 내에서는 LED 각각의 전위차가 다르기 때문에 전류 루프를 형성하지는 않고 하나의 직렬 형태로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도 75에 도시된 사다리망 구조에서 제1 및 제2 중간접점을 연결하는 루프를 하나의 단(stack)이라 할 때에, 복수의 단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LED 구동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중간접점은 각각 3개 이상의 동일한 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브랜치는 4개 이상의 동일한 수일 수 있다.
도 76(a)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예로서, 제1 및 제2 중간접점(c1,c2,c3,c4와 d1,d2,d3,d4)이 각각 4개인 LED 구동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6(a)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중간접점을 순서대로 연결하는 4개의 중간 브랜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회로는 3개의 단을 갖는 사다리망 회로로 이해할 수 있다. 도 76(a)에서는, 각 브랜치에는 한 개씩 LED 소자가 배치된다. 이러한 LED 소자의 배열은 교류전압의 다른 반주기에서 구동되는 제1 및 제2 전류루프를 갖도록 배열된다. 즉, 교류전압의 제1 반주기에서, A1-C1-B2-C2-A3-C3-B4-C4-A5를 따라 제1 전류루프를 갖도록 해당 LED 소자가 직렬로 배열되며, 교류전압의 제2 반주기에서, B1-C1-A2-C2-B3-C3-A4-C4-B5를 따라 제2 전류루프를 갖도록 해당 LED 소자가 직렬로 배열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구동회로에서는, 중간 브랜치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전류루프에 공통적으로 가담하는 4개의 LED 소자(C1,C2,C3,C4)는 교류전압의 전체 주기에서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총 14개의 LED 소자로 구성된 LED 구동회로에서 4개의 LED 소자(C1,C2,C3,C4)가 교류전압의 전체주기에서 구동될 수 있으므로, 실제 사다리망 회로에서 연속적으로 발광되는 LED 소자를 9개(LED 사용효율: 약 64%)로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선 실시형태보다 큰 LED 사용개수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75 및 도 76(a)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브랜치와 상기 중간 브랜치는 각각 1개의 LED 소자를 포함한 형태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1 및 제2 브랜치와 상기 중간 브랜치는 각각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동일한 브랜치에 속한 복수의 LED 소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중간 브랜치의 LED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 양방향에서 구동되는 LED 수가 상대적으로 증가되므로, 사용 LED 개수에 대한 발광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교류전압에서 원하는 발광수준을 얻는데 소모되는 LED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6(b)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는 도 76(a)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에서, 각 중간 브랜치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LED 소자를 배치한 형태이다. 교류전압의 제1 반주기에서, A1-C1-C1'-B2-C2-C2'-A3-C3-C3'-B4-C4-C4'-A5를 따라 제1 전류루프를 갖도록 해당 LED 소자가 직렬로 배열되며, 교류전압의 제2 반주기에서, B1-C1-C1'-A2-C2-C2'-B3-C3-C3'-A4-C4-C4'-B5를 따라 제2 전류루프를 갖도록 해당 LED 소자가 직렬로 배열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구동회로에서는, 중간 브랜치에 속하는 LED 소자(C1,C1',C2,C2',C3,C3',C4,C4')는 8개이다. 즉, 교류전압의 전체 주기에서 연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1 및 제2 전류루프에 공통적으로 가담하는 LED 소 자(C1,C1',C2,C2',C3,C3',C4,C4')는 도 76(a)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보다 2배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총 18개의 LED 소자로 구성된 LED 구동회로에서 8개의 LED 소자(C1,C1',C2,C2',C3,C3',C4,C4')가 교류전압의 전체주기에서 구동될 수 있으므로, 실제 사다리망 회로에서 연속적으로 발광되는 LED 소자를 13개(LED 사용효율: 약 72%)로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선 실시형태들보다 훨씬 향상된 LED 사용개수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76(c)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는 도 76(a)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에서, 첫번째 제1 브랜치와, 2번째 제2 브랜치와 3번째 중간 브랜치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LED 소자(A1',B2',C3')를 배치한 형태이다. 교류전압의 제1 반주기에서, (A1,A1')-C1-(B2,B2')-C2-A3-(C3,C3')-B4-C4-A5를 따라 제1 전류루프를 갖도록 해당 LED 소자가 직렬로 배열되며, 교류전압의 제2 반주기에서, B1-C1--A2-C2--B3-(C3,C3')-A4-C4-C4'-B5를 따라 제2 전류루프를 갖도록 해당 LED 소자가 직렬로 배열된다(단, 괄호로 표시된 소자는 서로 병렬로 연결됨). 중간 브랜치에 위치한 LED 소자의 숫자가 증가하는 것은 양방향에서 구동되는 소자의 수를 증가시키므로, LED 사용효율의 향상측면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중간 브랜치에 위치한 LED 소자의 숫자만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제1 및 제2 브랜치에 속하는 LED 소자에 인가되는 역방향 전압이 증가되므로, 각각의 LED 소자가 동일한 규격의 소자인 경우에, 중간 브랜치에 위치한 LED 수는 2개 또는 3개의 LED 소자로 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사다리망 회로는 복수이며, 복수의 사 다리망 회로는 일 사다리망 회로의 제2 접점과 다른 사다리망 회로의 제1 접점이 접속되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도 7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7을 참조하면, LED 구동회로는, 2개의 사다리망 회로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제1 사다리망 회로의 제2 접점(b1)과 제2 사다리망회로의 제1 접점(a2)이 연결되며, 제1 사다리망 회로의 제1 접점(a1)과 제2 사다리망 회로의 제2 접점은 AC 전원단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브랜치, 제2 브랜치 및 중간 브랜치에 각각 직렬로 연결된 2개의 LED 소자가 배치된 형태이다.
도 77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의 경우에, 교류전압의 제1 반주기에서, A1-A1'-C1-C1'-B2-B2'-C2-C2'-A3-A3'(이상, 제1 사다리망 회로)-B4-B4'-C3-C3'-A5-A5'-C4-C4'-B6-B6'(이상, 제2 사다리망 회로)를 따라 제1 전류루프를 갖도록 해당 LED 소자가 직렬로 배열되며, 교류전압의 제2 반주기에서, B1-B1'-C1-C1'-A2-A2'-C2-C2'-B3-B3'(이상, 제1 사다리망 회로)-A4-A4'-C3-C3'-B5-B5'-C4-C4'-A6-A6'(이상, 제2 사다리망 회로)를 따라 제2 전류루프를 갖도록 해당 LED 소자가 직렬로 배열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구동회로에서는, 중간 브랜치에 속하는 LED 소자(C1,C1',C2,C2',C3,C3',C4,C4')는 8개이다. 즉, 교류전압의 전체 주기에서 연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1 및 제2 전류루프에 공통적으로 가담하는 LED 소자(C1,C1',C2,C2',C3,C3',C4,C4')는 도 76(a)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보다 2배 증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망 구조의 AC 구동을 위한 LED 배열은 다 양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상술된 다양한 사다리망 구조의 LED 구동회로가 구현된 복수의 LED 소자를 갖는 LED 어레이 장치로 실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LED 어레이 장치에서는, K(여기서, K은 K≥3인 정수임)개의 제1 LED 소자가 제1 접점과 제2 접점 사이에 동일 극성의 전극이 접속된 n(여기서, n은 n≥2인 정수임)개의 제1 중간접점을 갖도록 나란히 연결된다. L(여기서, L은 L≥3인 정수임)개의 제2 LED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접점 사이에 동일 극성의 전극이 접속된 n개의 제2 중간접점을 갖도록 나란히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점에 연결된 제1 LED소자의 전극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의 전극이 상기 제1 및 제2 접점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한 회로의 중간 브랜치에 해당되는 M(여기서, M은 M≥n인 정수임)개의 제3 LED 소자는, 동일한 m 번째(여기서, m은 상기 제1 접점으로부터 상기 n개의 제1 및 제2 중간접점의 순서를 정의하는 양의 정수임)의 제1 및 제2 중간접점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LED 소자의 전극과 반대되는 극성의 전극이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LED 소자는 각각 중간접점 사이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3 LED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중간접점 사이에 각각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3 LED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중간접점 사이에 각각 복수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중간접점 사이의 제3 LED 소자는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도 76(b) 또는 도 76(c)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망 LED 구동회로의 LED 사용개수 절감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동일한 LED 소자를 이용하여 특정 출력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LED 소자 개수의 차이를 다른 종래의 AC 구동형 LED 회로(양극성 회로, 브리지망 회로)와 비교하였다.
도 78(a)는 종래의 일 예에 따른 LED 구동회로를, 도 78(b) 및 도 78(c)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LED 구동회로를 나타낸다.
도 78(a)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는 통상적인 AC 구동을 위한 역병렬 회로로서, 역병렬로 배열된 LED 소자(3130A,3130B)를 복수의 단(S)을 갖도록 직렬로 연결한 구조이다.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수를 증가시키더라도, 사용개수 대비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LED 수의 비율(LED 사용효율)은 50%이다.
도 78(b)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는 브리지 회로로서, 각 브랜치에 하나의 LED 소자를 배치한 구조이다. 하나의 단은 모두 5개의 LED 소자(3140A, 3140B, 3140C, 3140D, 3140E)로 구성되며, 원하는 출력을 갖도록 복수의 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브리지망 LED 회로의 사용효율은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수에 관계없이 60%가 된다. 이는 도 78(a)의 역병렬 배열과 달리 중간 브랜치에 배치된 LED 소자(3140E)가 양방향에서 연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8(c)에 도시된 사다리망 LED 구동회로의 경우에는, 도 76(a)에 설명된 바와 같이, 2개 단을 갖는 사다리망 회로에서는 총 사용 LED 개수가 8개이며,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LED 개수는 5개로서 62.5%의 높은 사용효율을 갖는다. 또한, 표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다리망 LED 구동회로는 단수의 증가에 따라 양방향에 구동되는 LED 수의 비율이 증가되는 구조이므로, LED 사용효율은 점차 증가된다.
단수 역병렬네트워크 브리지네트워크 사다리네트워크
Vf LED수 양방향턴온수 효율
(%)
Vf LED수 양방향턴온수 효율
(%)
Vf LED수 양방향턴온수 효율
(%)
1 ΔVf 2 0 50 3·ΔVf 5 1 60 5·ΔVf 8 2 62.5
2 2·ΔVf 4 0 50 6·ΔVf 10 2 60 7·ΔVf 11 3 63.6
3 3·ΔVf 6 0 50 9·Δ V f 15 3 60 9·Δ V f 14 4 64.3
4 5·ΔVf 8 0 50 12·ΔVf 20 4 60 11·ΔVf 17 5 64.7
5 5·ΔVf 10 0 50 15·ΔVf 25 5 60 13·ΔVf 20 6 65
6 6·ΔVf 12 0 50 18·ΔVf 30 6 60 15·ΔVf 23 7 65.2
7 7·ΔVf 14 0 50 21·ΔVf 35 7 60 17·ΔVf 26 8 65.4
8 8·ΔVf 16 0 50 24·ΔVf 40 8 60 19·ΔVf 29 9 65.5
9 9·Δ V f 18 0 50 27·ΔVf 45 9 60 21·ΔVf 32 10 65.6
10 10·ΔVf 20 0 50 30·ΔVf 50 10 60 23·ΔVf 35 11 65.7
21 21·ΔVf 42 0 50 63·Δ V f 105 21 60 45·ΔVf 68 22 66.2
30 30·ΔVf 60 0 50 90·ΔVf 150 30 60 63·Δ V f 95 31 66.3
63 63·Δ V f 126 0 50 - - - - - - - -
따라서, 9개의 LED 소자의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도 78(a)에 도시된 역병렬 LED 회로는 총 18개의 LED 소자가 요구되며, 브리지망 LED 회로는 3단을 연결하여 총 15개의 LED 소자가 요구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망 LED 회로에서는, 3단을 연결하여 총 14개의 LED로 원하는 광량(9개의 LED 소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브리지 LED 회로보다도 LED 소자의 사용개수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향상효과는 큰 출력사양에서 더욱 증가한다. 즉, 63개의 LED 소자의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역병렬 회로와 브리지 회로는 그 AC 구동회로의 구성을 위해서, 각각 126개, 105개가 요구되지만, 사다리망 LED 회로는 95개만이 사용되므로, 종래에 대비하여 31개, 10개의 LED 소자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브리지 LED 회로의 경우에는 양방향 공통으로 구동되는 LED 사이의 전류루프에서 최소 2개 이상의 LED 소자가 위치하는 반면에, 사다리망의 경우 공통으로 사용되는 LED 소자 사이에 최소 1개의 LED 소자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즉, 양방향 공통으로 사용되는 LED 사이에서 필요 LED의 최소 개수는 사다리망이 브리지망 회로에 비해 적은 개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다리망이 브리지 구조에 비해 전체적으로 더 많은 개수를 양방향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되기 때문이다.
도 79(a)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LED 구동회로를, 도 79(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LED 구동회로를 나타낸다.
도 79(a) 및 도 79(b)는 각각 도 78(b) 및 도 78(b)와 유사하지만, 중간 브랜치에 각각 서로 직렬로 연결된 2개의 LED 소자를 배치한 형태이다. 즉, 단일 단에서,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LED 소자의 수를 동일한 수준으로 증가시킨 경우이다. 도 79(b)에 도시된 사다리망 LED 구동회로는 도 76(b)에 도시된 형태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단수 역병렬 네트워크 브리지 네트워크 사다리 네트워크
Vf LED수 양방향턴온수 효율
(%)
Vf LED수 양방향턴온수 효율
(%)
Vf LED수 양방향턴온수 효율
(%)
1 ΔVf 2 0 50 4·ΔVf 6 2 66.7 7·ΔVf 10 4 70
2 2·ΔVf 4 0 50 8·ΔVf 12 4 66.7 10·ΔVf 14 6 71.4
3 3·ΔVf 6 0 50 12·ΔVf 18 6 66.7 13·ΔVf 18 8 72
4 5·ΔVf 8 0 50 16·Δ V f 24 8 66.7 16·Δ V f 22 10 72.7
5 5·ΔVf 10 0 50 20·ΔVf 30 10 66.7 19·ΔVf 26 12 73.1
6 6·ΔVf 12 0 50 24·ΔVf 36 12 66.7 22·ΔVf 30 14 73.3
7 7·ΔVf 14 0 50 28·ΔVf 42 14 66.7 25·ΔVf 34 16 73.5
8 8·ΔVf 16 0 50 32·ΔVf 48 16 66.7 28·ΔVf 38 18 73.7
9 9·ΔVf 18 0 50 36·ΔVf 54 18 66.7 31·ΔVf 42 20 73.8
10 10·ΔVf 20 0 50 40·ΔVf 60 20 66.7 34·ΔVf 46 22 73.9
13 13·ΔVf 26 0 50 52·Δ V f 78 26 66.7 43·ΔVf 58 28 74
16 16·Δ V f 32 0 50 64·ΔVf 96 32 66.7 52·Δ V f 70 34 74.3
52 52·Δ V f 104 0 50 - - - - - - - -
따라서, 16개의 LED 소자의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도 78(a)에 도시된 역병렬 LED 회로는 총 32개의 LED 소자가 요구되며, 도 79(a)에 도시된 브리지망 LED 회로는 4단을 연결하여 총 24개의 LED 소자가 요구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망 LED 회로에서는, 총 22개의 LED 소자로 원하는 광량(16개의 LED 소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브리지 LED 회로보다도 LED 소자의 사용개수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향상효과는 큰 출력사양에서 더욱 증가한다. 즉, 52개의 LED 소자의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역병렬 회로와 브리지 회로는 그 AC 구동회로의 구성을 위해서, 각각 104개, 78개가 요구되지만, 사다리망 LED 회로는 70개만이 사용되므로, 종래에 대비하여 34개, 8개의 LED 소자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다리망 LED 구동회로에 따르면, AC 구동을 위한 조건에서 기존의 역병렬 구조뿐 아니라 브리지 구조보다도 동일한 출력에 대한 LED 사용개수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가 채용된 면광원장치 및 백라이트유닛에서 LED의 밝기를 주변 밝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LED 자동 조광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0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자동 조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LED 자동 조광 장치는, 주변 밝기를 검출하는 주변밝기 검출부(3200)와, 상기 주변밝기 검출부(3200)의 검출에 의해 발생되는 검출전압(Vd)의 크기에 따라 구동을 제어하는 조광 제어부(3300)와, 상기 조광 제어부(3300)의 구동 제어에 따른 LED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조광 구동부(3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ED 자동 조광 장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조광 구동부(3400)로부터의 구동전류에 따라 구동되는 LED부(3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밝기 검출부(3200)는, 주변 밝기 검출용 검출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감도 설정부(3210)와, 상기 감도 설정부(3210)에 의해 설정된 검출감도로, 외부광을 수광하여 주변 밝기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부(3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토 센서부(3220)는, 상기 동작전원(Vcc)을 공급받는 전원단에 연결된 컬렉터와, 외부광을 수광받는 베이스와, 상기 감도 설정부(3210)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포토 트랜지스터(P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도 설정부(3210)는,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T)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가변저항과, 가변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주변밝기 검출부(3200)는 주변 밝기를 검출하여 검출전압(Vd)을 조광 제어부(330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주변밝기 검출부(3200)는, 감도 설정부(3210)와 포토 센서부(322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감도 설정부(3210)는, 상기 포토 센서부(3220)에 대해 주변 밝기 검출용 검출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포토 센서부(3220)는, 상기 감도 설정부(3210)에 의해 설정된 검출감도로, 외부광을 수광하여 주변 밝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토 센서부(3220)는, 상기 동작전원(Vcc)을 공급받는 전원단에 연결된 컬렉터와, 외부광을 수광받는 베이스와, 상기 감도 설정부(3210)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포토 트랜지스터(PT)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T)가 외부광을 받으면 도통되어 상기 동작전원(Vcc)에서 전류(I)가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T) 및 감도 설정부(3210)를 통해 흐르게 된다. 즉, 상기 감도 설정부(3210)에 의해 상기 전류(I)가 검출전압(Vd)으로 검출되는데, 이때, 상기 감도 설정부(3210)가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T)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가변저항 및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변저항의 저항값에 따라 흐르는 전류(I)에 의한 검출전압(Vd)의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조광 제어부(3300)는, 상기 주변밝기 검출부(3200)의 검출에 의해 발생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검출전압(Vd)을 디지털 형태의 검출전압으로 변환하는 A/D 컨버터(3310)와, 상기 A/D 컨버터(3310)로부터의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의 크기에 따라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3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3320)은, 상기 A/D 컨버터(3310)로부터의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이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준전압과 상기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의 차전압의 크기에 기설정된 구동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이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보다 작지 않을 경우에는 조명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조광 제어부(33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조광 제어부(3300)는, 상기 주변밝기 검출부(3200)의 검출에 의해 발생되는 검출전압(Vd)의 크기에 따라 조광 구동부(3400)에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광 제어부(3300)는, A/D 컨버터(3310)와 마이컴(3320)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A/D 컨버터(3310)는, 상기 주변밝기 검출부(3200)의 검출에 의해 발생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검출전압(Vd)을 디지털 형태의 검출전압으로 변환하여 마이컴(3320)으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3320)은, 상기 A/D 컨버터(3310)로부터의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의 크기에 따라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광 구동부(3400)는, 상기 조광 제어부(200)의 구동 제어에 따른 LED 구동전류를 생성하여 LED부(3500)에 공급한다. 결국, 상기 조광 구동부(3400)로부터의 구동전류는, 외부광량이 많을 경우에는 작은 구동전류가 생성되고, 이와 달리, 외부광량이 작을 경우에는 큰 구동전류가 생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LED부(3500)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복수의 LED는 상기 조광 구동부(3400)로부터의 구동전류에 따라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외부광량에 따라 LED의 밝기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전력소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1은 본 발명의 LED 자동 조광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1에서, S1은 검출전압(Vd)을 입력받는 단계이다. S2은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과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S3은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이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준전압과 상기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의 차전압의 크기에 기설정된 구동전류를 생성하여 조명밝기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S4은 상기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이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보다 작지 않을 경우에는 조명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S5은 동작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동작정지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S1단계에서 S3단계까지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동작정지인 경우에는 전체 과정을 종료한다.
여기서, 도 80 및 도 81을 참조하면, 상기 마이컴(3320)은, 상기 A/D 컨버터(3310)로부터의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을 입력받아(S1), 상기 A/D 컨버터(3310)로부터의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이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여(S2), 상기 A/D 컨버터(3310)로부터의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이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준전압과 상기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의 차전압의 크기에 기설정된 구동전류를 생성하여 조명밝기를 제어하고(S3), 상기 디지털형태의 검출전압(Vd)이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보다 작지 않을 경우에는 조명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4). 한편, 상기 마이컴(3320)은, 동작정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정지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S1단계에서 S3단계까지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동작정지인 경우에는 전체 과정을 종료한다(S5).
도 8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이다. 도 82에서는, 본 발명의 주변밝기 검출부(3200)에서의 동작 설명을 위한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를 보이고 있으며, 이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는 검출전압이 외부조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관계를 보이고 있다. 도 82에 도시된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를 참조하면, 상기 주변밝기 검출부(3200)에서의 검출전압은 외부조도가 높을수록 높게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3은 본 발명의 감도 설정에 따른 다양한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이다. 도 83에서는, 본 발명의 주변밝기 검출부(3200)의 감도 설정부(3210)에서의 감도 설정에 따라,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의 기울기가 서로 달라지는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83에 도시된 3개의 그래프 중, G1은 중간 기울기를 갖는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이고, G2는 가장 큰 기울기를 갖는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이고, G3은 가장 작은 기울기를 갖는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이다.
도 8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변밝기 검출부(3200)의 감도 설정부(3210)에서 가변저항을 조절하여 감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 도 83에 도시한 G1,G2 및 G3와 같이,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의 기울기가 서로 달라진다. 예를 들어, 보통 일반적인 경우에는 G1의 그래프에 해당되는 감도로 설정하고, 외부광량이 많고 변화가 심한 경우에는 G2의 그래프에 해당되는 감도로 설정하며, 외부광량이 적고 변화가 덜한 경우에는 G3의 그래프에 해당되는 감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소자 패키지를 광원으로 구비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를 도 84 내지 도 8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85는 도 84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라이트를 조립한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3600)는 발광소자 패키지(3610,3610-1,3610-2,3610-3), 반사부(3620), 렌즈부(3630), 방열부(3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10,3610-1,3610-2,3610-3)는 방열부(3640)의 상부에 장착되며, 외부전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시 빛을 발광하는 광원기능을 수행한다.
도 86 내지 도 89를 참조하여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10,3610-1,3610-2,3610-3)의 다양한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86 및 도 88을 참조하여 수지층이 형광체를 함유하는 구조에 관한 발광소자 패키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6(a)는 발광소자 패키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6(b)는 도 86(a)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6(c)과 도 86(d)는 도 86(a)의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발광소자 칩이 실장된 상태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87(a)는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7(b)는 도 87(a)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7(c)와 도 87(d)는 도 87(a)의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발광소자 칩이 실장된 상태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6 및 도 87에서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10,3610-1)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칩(3612)과, 상기 발광소자 칩(3612)을 실장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단자(3613)를 구비하는 기판(3611)과, 형광체가 함유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 칩(3612)과 상기 연결단자(3613)를 덮어 밀봉하는 수지층(36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소자 칩(3612)은 상기 기판(3611)의 상부면에 실장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 파장의 빛을 출사하는 반도체소자의 일종이며, 도 86(a)와 도 86(b) 및 도 87(a)와 도 87(b)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소자 칩(3612)이 상기 기판(3611)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소자 칩(3612)들은 청색 LED, 적색 LED 및 녹색 LED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어레이됨으로써 백색광을 출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86(c) 및 도 87(c)에서와 같이 단일의 발광소자 칩(3612')이 상기 기판(361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 칩(3612')은 청색 LED 또는 UV LED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후 설명하는 수지층(3614)의 형광체를 통해 백색광을 출사하도록 한다.
또한, 도 86(d) 및 도 87(d)에서와 같이 상기 기판(3611)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긴 길이의 발광소자 칩(3612'')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보다 짧은 길이의 발광소자 칩(3612)들이 대칭구조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중심부에 구비되는 발광소자 칩(3612'')은 그 양측에 구비되는 발광소자 칩(3612) 보다 1.5배 내지 2배 긴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녹색 LED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소자 칩(3612)은 금속 와이어(3619)를 통해 와이어 본딩 방식으로 상기 기판(3611)의 상부면에 패터닝되는 상기 연결단자(36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3600)를 도시하는 도 86(a) 및 도 86(b)에서와 같이, 상기 기판(3610)은 그 상부면에 상기 발광소자 칩(3612) 및 연결단자(3613)가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발광소자 칩(3612) 및 연결단자(3613)를 향해 하향경사지는 내주면을 따라 반사면(3616)을 이루는 캐비티(3618)를 구비한다. 상기 캐비티(3618)는 레이저 혹은 에칭(etching)을 통해 상기 기판(3611)의 상부면을 소정 크기로 함몰형성하여 구비되거나, 상기 기판(3611)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서 수지(3617)를 소정 높이로 몰딩함으로써 상기 반사면(3616)을 돌출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사면(3616)의 보다 효율적인 구현을 위해 상기 반사면(3616)의 표면에는 고반사율을 갖는 반사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3618)는 형광체를 함유하는 수지층(3614)에 의해 충진되어 상기 발광소자 칩(3612), 금속 와이어(3619), 연결단자(3613)와 함께 상기 기판(3611)의 상부면을 일체로 덮어 밀봉함으로써 상기 캐비티(3618) 내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소자 칩(3612) 등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00)는 상기 발광소자 칩(3612) 사이의 간격을 포함하여 상기 발광소자 칩(3612)의 상부면과 측면이 상기 수지층(3614)에 의해 밀봉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발광소자 칩의 상부면에만 형광체를 도포함으로써 칩들 사이의 간격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연속적이지 않고 불연속적으로 분리되어 보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3600-1)를 도시하는 도 87(a) 및 도 87(b)에서와 같이, 상기 기판(3611)의 편평한 상부면에는 상기 수지층(3614)이 소정 크기 및 높이로 몰딩되어 상기 발광소자 칩(3612)과 상기 연결단자(3613)를 일체로 덮어 밀봉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00-1)는 상기 발광소자 칩(3612) 사이의 간격을 포함하여 상기 발광소자 칩(3612)의 상부면과 측면이 상기 수지층(3614)에 의해 밀봉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88 및 도 89를 참조하여 수지층 상부에 형성되며, 형광체를 함유하여 상기 발광소자 칩에서 방출된 빛의 파장을 변환하는 형광층을 구비하는 구조에 관한 발광소자 패키지에 대해 설명한다.도 88(a)는 도 86(a)에서 도시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8(b)는 도 88(a)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8(c)는 도 88(b)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8에서 도시하는 발광소자 패키지(3600-2)는 그 구성이 도 86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형광체를 함유하는 형광층이 상기 수지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도 86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88의 실시예에서 달라지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술하기로 한다.
도 8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3618)에 충진되어 상기 발광소자 칩(3612), 금속 와이어(3619), 연결단자(3613)와 함께 상기 기판(3611)의 상부면을 일체로 덮어 밀봉하는 상기 수지층(3614)은 형광체를 함유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수지층(3614)은 도 86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발광소자 칩(3612) 사이의 간격을 포함하여 상기 발광소자 칩(3612)의 상부면과 측면을 상기 연결단자(3613)와 함께 일체로 밀봉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상기 수지층(3614)은 상부에 형광체를 함유하여 상기 발광소자 칩(3612)에서 방출된 빛의 파장을 변환하는 형광층(3615)을 구비한다. 상기 형광층(3615)은 상기 수지층(3614)의 상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수지층(3614)의 외측면에 도포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층(3614)의 외측면에 레이어 형태로 부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형광층(3615)은 하나 이상이 레이어가 적층되어 구비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8(b)에서와 같이, 상기 형광층(3615) 내에는 빛의 파장을 변환하기 위해 형광체가 분산되어 함유되는데, 상기 형광체는 청색, 녹색, 적색 및 황색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광체가 혼합되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도 88(c)에서와 같이 다층 구조(도면에서는 3개의 층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적층되는 형광층(3615)은 모두 동일한 형광체를 함유하거나 각 층별로 상이한 형광체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되는 형광층(3615)은 짧은 파장의 형광층이 상부에 위치하고, 긴 파장의 형광층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파장의 길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소자 칩(3612)이 UV 발광소자 칩인 경우 상기 발광소자 칩(3612)위에 형성되는 제1 형광층(3615'-1)은 적색광(R)을 방출하는 형광체와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색광(R)을 방출하는 형광체로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600㎚ ~ 700㎚ 범위의 발광피크를 갖는 광을 방출하는 형광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형광층(3615'-2)은 상기 제1 형광층(3615'-1) 위에 적층되며, 녹색광(G)을 방출하는 형광체와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녹색광을 방출하는 형광체로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500㎚ ~ 550㎚ 범위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방출하는 형광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3 형광층(3615'-3)은 상기 제2 형광층(3615'-2) 위에 적층되며, 청색광(B)을 방출하는 형광체와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청색광을 방출하는 형광체로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420㎚ ~ 480㎚ 범위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방출하는 형광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UV 발광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제1 형광층(3615'-1), 제2 형광층(3615'-2) 및 제3 형광층(3615'-3) 내에 함유된 서로 다른 종류의 형광체들을 여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각 형광층으로부터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이 각각 방출되고, 이러한 세 가지 색상의 광이 조합되어 백색광(W)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자외선을 형광 전환하기 위한 형광층을 다층, 즉 3층으로 형성하되, 가장 긴 파장의 광, 즉 적색광(R)을 방출하는 제1 형광층(3615'-1)을 UV 발광다이오드 칩(3612)위에 먼저 적층하고, 그 위에 보다 짧은 파장의 광, 즉 녹색광(G)과 청색광(B)을 방출하는 제2 형광층(3615'-2) 및 제3 형광층(3615'-3)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와 같이 광전환 효율이 가장 낮은 적색광(R)을 방출하는 형광체가 함유된 제1 형광층(3615'-1)이 UV 발광다이오드 칩(3612)에 가장 가까이 위치함으로써, 제1 형광층에서의 광전환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발광다이오드 칩(3612)의 전체적인 광전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발광소자 칩(3612)이 여기광으로서 420㎚ ~ 480㎚ 범위의 파장을 가진 청색광(B)을 방출하는 발광소자 칩인 경우, 상기 발광소자 칩(3612) 위에 형성되는 제1 형광층(3615'-1)은 적색광(R)을 방출하는 형광체와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고, 상기 제1 형광층(3615'-1) 위에 적층되는 제2 형광층(3615'-2) 및 제3 형광층(3615'-3)은 수지에 녹색광(G) 또는 황색광(Y)을 방출하는 형광체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발광소자 칩(3612)에서 방출된 청색광(B)은 제1 형광층(3615'-1) 내에 함유된 형광체를 여기시켜 적색광(R)을 방출시키고, 제2 형광층(3615'-2)과 제3 형광층(3615'-3) 내에 함유된 형광체를 여기시켜 녹색광(G) 또는 황색광(Y)을 방출시킨다. 이와 같이 다층 형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색광(R)과 녹색광(G)(또는 황색광(Y))과 발광소자 칩(3612)에서 발생되는 청색광(B)이 조합되어 백색광(W)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89(a)는 도 87(a)에서 도시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9(b)는 도 89(a)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9(c)는 도 89(b)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9에서 도시하는 발광소자 패키지(3600-3)는 그 구성이 도 87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형광체를 함유하는 형광층이 상기 수지층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도 87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89의 실시예에서 달라지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술하기로 한다.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3610)의 편평한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 칩(3612), 금속 와이어(3619), 연결단자(3613)와 함께 상기 기판(3611)의 상부면을 일체로 덮어 밀봉하는 상기 수지층(3614)은 형광체를 함유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수지층(3614)은 형광체를 함유하지 않고 상기 수지층(3614)의 상부에 구비되는 형광층(3615) 내에 상기 형광체가 함유되는 점에서 도 75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도 89(b)에서와 같이, 상기 형광층(3615) 내에 함유되는 형광체는 청색, 녹색, 적색 및 황색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광체가 혼합되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도 89(c)에서와 같이 다층 구조(도면에서는 3개의 층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적층되는 형광층(3615)은 모두 동일한 형광체를 함유하거나 각 층별로 상이한 형광체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되는 형광층(3615)은 짧은 파장의 형광층이 상부에 위치하고, 긴 파장의 형광층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파장의 길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형광층(3615)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88(b) 및 도 88(c)의 형광층(3615)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방열부(3640)는 히트싱크(3641)와 냉각팬(3642)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10,3610-1,3610-2,3610-3)가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10,3610-1,3610-2,3610-3)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트싱크(3641)는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10,3610-1,3610-2,3610-3)를 상부면에 실장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10,3610-1,3610-2,3610-3)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이때, 넓은 표면적을 가지도록 하부면에 복수개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3642)은 상기 히트싱크(3641)의 하부측에 장착되어 상기 히트싱크(3641)의 열 방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부(3620)는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10,3610-1,3610-2,3610-3) 및 방열부(364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10,3610-1,3610-2,3610-3)에서 출사되는 빛을 유도하여 반사시킨다. 도 84 및 도 85에서와 같이 상기 반사부(3620)는 단면이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 칩(3612)에서 발광되는 빛을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도록 안내하며, 전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반사된 빛이 외부로 출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3600)는 상기 방열부(3640) 및 상기 반사부(3620)를 고정시켜 지지하는 하우징(365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3650)은 일면에 상기 방열부(3640)가 결합하여 장착되기 위한 중앙홀(3653)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타면에 상기 반사부(3620)가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610,3610-1,3610-2,3610-3)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전방홀(3652)을 관통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반사부(3620)의 개방된 전방이 상기 전방홀(3652)과 대응되도록 상기 반사부(3620)가 상기 하우징(3650)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부(3620)를 통해 반사된 빛이 상기 전방홀(3652)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사되도록 한다.
상기 렌즈부(3630)는 상기 반사부(3620)를 통해 반사되어 출사되는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며, 중공형의 가이드(3632) 및 렌즈(336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3632)는 상기 하우징(3650)의 전방홀(3652)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반사부(3620)를 통해 반사되어 상기 전방홀(3652)을 통과하는 빛을 전방으로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3632)는 상기 렌즈(3631)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중공형의 원통구조를 가지며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플라스틱 사출물이다.
그리고, 상기 렌즈(3631)는 상기 가이드(3632)의 전방에 장착되어 빛을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도록 굴절시켜 분산시키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백라이트 유닛, 차량용 헤드라이트와 같은 조명장치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3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채용하고 있으며, 각 발광소자 패키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따라 합성한 (Sr, M)2SiO4 - 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적어도 하나의 1가 및 2가 원소이며, 0<x<4, y=2x/3을 만족하며, 발광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을 흡수하여 600㎚ ~ 700㎚ 범위의 발광피크를 가진 광을 방출하는 적색형광체를 적어도 포함하는 파장변환부 또는 수지포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Sr, M)2SiO4 - xNy의 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 XRD 스펙트럼 및 EDX 성분분석 결과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 및 3에 따른 (Sr, M)2SiO4 - xNy 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 및 EDX 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4 내지 6에 따른 (Sr, M)2SiO4 - xNy 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7 내지 10에 따른 (Sr, M)2SiO4 - xNy 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11에 따른 (Sr, M)2SiO4 - xNy 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 구조의 발광소자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수평 구조의 발광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제7 실시예의 발광소자를 사용한 제4 실시형태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6 및 도 37은 각각 본 발명의 제8 및 제9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8 및 도 39는 각각 램프 형태와 칩 형태로 구현된 본 발명의 제5 및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0 및 도 41에는 본 발명의 제7 및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부분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3은 제8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동작 원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의 발광소자 패키지에 사용되는 녹색 형광체(제2 형광체)와 적색 형광체(제1 형광체) 간의 에너지 전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6는 도 45에 도시된 제9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광추출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7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제10 내지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1은 도 50에 도시한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파장변환부 및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2 및 도 53은 도 50에 도시된 파장변환부와 제어부의 작동을 통한 색온도를 가변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에서 발광모듈들의 배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5는 도 54에서 발광모듈들의 회전 배치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에서 발광모듈들의 배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에서 발광모듈들의 배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에서 발광모듈들의 배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에서 발광모듈들의 배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를 채용한 제1 실시형태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면광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3은 도 62에 도시된 평판형 도광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5는 도 64에 도시된 백라이트장치의 적층후 I-I'선을 따라 본 절단면도이다.
도 6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LED 백라이트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7은 도 66에 나타낸 A영역의 기판 체결전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68은 도 66에 나타낸 A영역의 기판 체결후의 단면사시도이다. 또한, 도 69는 도 68의 절단선(II-II')을 따라 본 절단면도이다.
도 7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1은 도 70에 도시된 LED 모듈에 실장되는 LED의 조합을 실시예별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2는 순방향 전압에 따른 LED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3 및 도 74는 도 70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LED 모듈과 구동 드라이 버의 다양한 연결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5 내지 도 7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LED 구동회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0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자동 조광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81은 도 80에 도시된 LED 자동 조광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82는 도 80에 도시된 LED 자동 조광 장치의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이며, 도 83은 도 80에 도시된 LED 자동 조광 장치의 감도 설정에 따른 다양한 외부조도-검출전압 관계 그래프이다.
도 8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85는 도 84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라이트를 조립한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6 및 도 88은 도 84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라이트에 채용되는 수지층이 형광체를 함유하는 구조에 관한 발광소자 패키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9(a)는 도 87(a)에서 도시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9(b)는 도 89(a)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9(c)는 도 89(b)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49)

  1. (Sr, M)2SiO4-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금속 원소이고, 0<x<4, y=2x/3이며,
    상기 M은 Mg, Ca, Ba, Li, Na, K, Rb 및 Cs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형광체.
  2. 제1항에 있어서,
    청색 또는 자외선 파장영역을 여기원으로 하여 600 ~ 700 nm의 파장대역의 발광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형광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는 0.15≤x≤3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형광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형광체는 M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형광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화합물은 사방정계 결정의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사방정계 결정의 무기화합물은 전체 무기화합물 중 50 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형광체.
  6. (Sr, M)2SiO4-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며, 상기 M은 금속 원소이고, 0<x<4, y=2x/3이며,
    상기 조성식에서 Si 중 일부는 B, Al, Ga, In, Ti, Zr, Sn 및 Pb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로 치환되며, 상기 M은 Mg, Ca, 및 Ba로 구성되는 제2족 원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포함하거나, 상기 M은 Li, Na, K, Rb 및 Cs로 구성되는 제1족 원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형광체.
  7. Sr-함유 화합물 및 M-함유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Eu-함유 화합물, Si-함유 산화물 및 Si-함유 질화물을 포함하는 원료물질들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소성하여 (Sr, M)2SiO4-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0<x<4 이며, y=2x/3이며, 상기 M은 Mg, Ca, Ba, Li, Na, K, Rb 및 Cs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인 적색형광체의 제조방법.
  8. 여기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여기광을 흡수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는 파장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장변환부는 (Sr, M)2SiO4-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는 적색형광체를 적어도 포함하고, 여기서, 0<x<4, y=2x/3이고, 상기 M은 Mg, Ca, Ba, Li, Na, K, Rb 및 Cs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인 발광소자 패키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청색 발광다이오드이고, 녹색형광체 또는 황색형광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최종 출력광은 백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10. 기판;
    상기 기판상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 및
    상기 복수의 광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여기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여기광을 흡수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는 파장변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장변환부는 (Sr, M)2SiO4-xNy:Eu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무기화합물을 구비하는 적색형광체를 적어도 포함하고, 여기서, 0<x<4, y=2x/3이고, 상기 M은 Mg, Ca, Ba, Li, Na, K, Rb 및 Cs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KR1020090101439A 2009-10-23 2009-10-23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조명장치 KR10156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439A KR101565988B1 (ko) 2009-10-23 2009-10-23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조명장치
EP10188129.0A EP2314658B1 (en) 2009-10-23 2010-10-20 A phosphor, method for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red phosphor
TW099135688A TWI414585B (zh) 2009-10-23 2010-10-20 螢光體、製備及使用其之方法、發光裝置封裝件、表面光源設備及使用紅色螢光體之發光設備
EP12004879.8A EP2530133B1 (en) 2009-10-23 2010-10-20 A phosphor, method for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red phosphor
JP2010237961A JP5678303B2 (ja) 2009-10-23 2010-10-22 赤色蛍光体、赤色蛍光体の製造方法、発光素子パッケージ及び照明装置
US12/910,514 US8652357B2 (en) 2009-10-23 2010-10-22 Phosphor, method for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red phosphor
CN2010105340020A CN102041002A (zh) 2009-10-23 2010-10-25 磷光体及其制备方法、发光装置封装件、表面光源设备
US14/158,693 US8773012B2 (en) 2009-10-23 2014-01-17 Phosphor, method for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red phosph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439A KR101565988B1 (ko) 2009-10-23 2009-10-23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616A KR20100120616A (ko) 2010-11-16
KR101565988B1 true KR101565988B1 (ko) 2015-11-05

Family

ID=4321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439A KR101565988B1 (ko) 2009-10-23 2009-10-23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조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652357B2 (ko)
EP (2) EP2530133B1 (ko)
JP (1) JP5678303B2 (ko)
KR (1) KR101565988B1 (ko)
CN (1) CN102041002A (ko)
TW (1) TWI4145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206A1 (ko) * 2021-07-14 2023-01-19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발광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2711A1 (de) * 2009-07-11 2011-01-20 Merck Patent Gmbh Co-dotierte Silicooxynitride
KR101034054B1 (ko) * 2009-10-22 2011-05-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17668B1 (ko) * 2010-03-26 2017-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결정 형광체, 발광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장치
CN102559177B (zh) * 2010-12-28 2014-09-03 北京宇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氮氧化合物发光材料、其制备方法以及由其制成的照明光源
KR101214234B1 (ko) * 2011-02-14 2012-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형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8754440B2 (en) * 2011-03-22 2014-06-17 Tsmc Solid State Lighting Ltd. Light-emitting diode (LED) package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12199497A (ja) * 2011-03-23 2012-10-18 Panasonic Corp 発光装置
JP5968674B2 (ja) 2011-05-13 2016-08-10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素子パッケージ及びこれを備える紫外線ランプ
KR101793518B1 (ko) * 2011-05-19 2017-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색 형광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KR20120134375A (ko) * 2011-06-02 2012-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6004747B2 (ja) * 2011-06-28 2016-10-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発光モジュール
US8497146B2 (en) 2011-08-25 2013-07-30 Micron Technology, Inc. Vertical solid-state transducers having backside terminal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639143B1 (ko) * 2011-09-13 2016-07-12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발광 모듈
US9064979B2 (en) 2011-09-14 2015-06-23 Mtek-Smart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LED
KR101866228B1 (ko) * 2011-09-21 2018-06-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산질화물 형광체 및 그를 포함한 발광소자 패키지
JP2013072905A (ja) * 2011-09-26 2013-04-2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
US9312437B2 (en) * 2011-11-07 2016-04-12 Koninklijke Philips N.V. P-contact with more uniform injection and lower optical loss
KR101877423B1 (ko) * 2011-11-28 2018-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산질화물 형광체 및 그를 포함한 발광소자 패키지
TW201324877A (zh) * 2011-12-07 2013-06-16 Metal Ind Res & Dev Ct 發光二極體封裝結構及其螢光透鏡裝置
KR101886714B1 (ko) * 2011-12-13 2018-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산질화물 형광체 및 그를 포함한 발광소자 패키지
US8876334B2 (en) * 2012-01-16 2014-11-04 Paragon Semiconductor Lighting Technology Co., Ltd. Light-mixing multichip package structure
WO2013123128A1 (en) * 2012-02-17 2013-08-22 Intematix Corporation Solid-state lamps with improved emission efficiency and photoluminescence wavelength conversion components therefor
EP2637224B1 (en) * 2012-03-09 2019-04-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illumination apparatus and system using same
JP2013197530A (ja) * 2012-03-22 2013-09-30 Sharp Corp 光源、発光装置、バックライト用光源、表示装置、および光源の製造方法
WO2013163573A1 (en) 2012-04-26 2013-10-31 Intematix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color consistency in remote wavelength conversion
US20140042470A1 (en) * 2012-08-09 2014-02-13 Epistar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made thereof
TWI497167B (zh) * 2012-09-24 2015-08-21 Au Optronics Corp 直下式背光模組及其光源擴散結構
JP6074703B2 (ja) 2012-12-20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d照明装置及びled発光モジュール
KR20140099399A (ko) * 2013-02-01 2014-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US9565782B2 (en) 2013-02-15 2017-02-07 Ecosense Lighting Inc. Field replaceable power supply cartridge
DE102013105056A1 (de) * 2013-05-16 2014-11-20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uchtstoffs, Leuchtstoff und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WO2014189221A1 (ko) * 2013-05-23 2014-11-27 엘지이노텍주식회사 발광 모듈
KR20150025231A (ko) * 2013-08-28 2015-03-1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광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및 백라이트 유닛
US9142733B2 (en) * 2013-09-03 2015-09-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a high energy light source and a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illumin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vehicle
US9694743B2 (en) 2013-11-21 2017-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purpose lighting assembly
US9481297B2 (en) 2013-11-21 2016-1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steering assembly
US9499113B2 (en) 2013-11-21 2016-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grille bar assembly
US9839098B2 (en) 2013-11-21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 assembly operable as a dome lamp
US9464886B2 (en) 2013-11-21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hitch angle detection component
US9796304B2 (en) 2013-11-21 2017-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loor lighting system having a pivotable base with light-producing assembly coupled to base
US9434302B2 (en) 2013-11-21 2016-09-06 Ford Global Technologies,Llc Photoluminescent bin lamp
US9849831B2 (en) 2013-11-21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inted LED storage compartment
US9469244B2 (en) 2013-11-21 2016-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vehicle seal
US9409515B2 (en) 2013-11-21 201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seating assembly
US9463738B2 (en) 2013-11-21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lighting system
US9573517B2 (en) 2013-11-21 2017-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illumination and warning system
US9682651B2 (en) 2013-11-21 2017-06-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system with improved substrate
US9440579B2 (en) 2013-11-21 2016-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step handle
US9961745B2 (en) 2013-11-21 2018-05-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inted LED rylene dye welcome/farewell lighting
US10041650B2 (en) 2013-11-21 2018-08-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instrument panel storage compartment
US9463734B2 (en) 2013-11-21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seatbelt assembly
US10064256B2 (en) 2013-11-21 2018-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tivation of vehicle lighting
US9463739B2 (en) 2013-11-21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n visor with photoluminescent structure
US9464803B2 (en) 2013-11-21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speaker
US9539940B2 (en) 2013-11-21 2017-0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indicator
US9782504B2 (en) 2013-11-21 2017-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elf-disinfecting surface with printed LEDs for a surface of a vehicle
US9625115B2 (en) 2013-11-21 2017-04-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vehicle graphics
US9434304B2 (en) 2013-11-21 2016-09-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vehicle compartment
US9969323B2 (en) 2013-11-21 2018-05-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system employing a light strip
US9533613B2 (en) 2013-11-21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fuel filler door
US9688186B2 (en) 2013-11-21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ing decal for a vehicle
US9212809B2 (en) 2013-11-21 2015-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dynamic lighting
US9376058B2 (en) 2013-11-21 2016-06-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uid level indicator using photoluminescent illumination
US9434294B2 (en) 2013-11-21 2016-09-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vehicle badge
US9539939B2 (en) 2013-11-21 2017-0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logo for vehicle trim and fabric
US9797575B2 (en) 2013-11-21 2017-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producing assembly for a vehicle
US9587800B2 (en) 2013-11-21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vehicle molding
US9649877B2 (en) 2013-11-21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system with illuminating wheel assembly
US9492575B2 (en) 2013-11-21 2016-11-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lor changing and disinfecting surfaces
US9493113B2 (en) 2013-11-21 2016-11-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cargo area illumination
US9459453B2 (en) 2013-11-21 2016-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dshield display system
US9327643B2 (en) 2013-11-21 2016-05-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lift gate lamp
US10400978B2 (en) 2013-11-21 2019-09-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s
US10363867B2 (en) 2013-11-21 2019-07-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inted LED trim panel lamp
US9499090B2 (en) 2013-11-21 2016-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oiler using photoluminescent illumination
US9464776B2 (en) 2013-11-21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system with illuminating exhaust
US9464887B2 (en) 2013-11-21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hitch angle detection component
US9446709B2 (en) 2013-11-21 2016-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cklit assembly with photoluminescent structure
US9821708B2 (en) 2013-11-21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exterior strip
US9371033B2 (en) 2013-11-21 2016-06-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unshade assembly
US9440584B2 (en) 2013-11-21 2016-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vehicle console
US9682649B2 (en) 2013-11-21 2017-06-2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hotoluminescent winch apparatus
US9776557B2 (en) 2013-11-21 2017-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direction light producing assembly
US9931991B2 (en) 2013-11-21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tating garment hook
US9573516B2 (en) 2013-11-21 2017-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vehicle lighting system
US9789810B2 (en) 2013-11-21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vehicle panel
US9399427B2 (en) 2013-11-21 2016-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device holder
US9387802B2 (en) 2013-11-21 2016-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power distribution box
US9434297B2 (en) 2013-11-21 2016-09-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vehicle graphics
US9613549B2 (en) 2013-11-21 2017-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ing badge for a vehicle
US9538874B2 (en) 2013-11-21 2017-0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cupholder illumination
US9457712B2 (en) 2013-11-21 2016-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un visor providing luminescent lighting
US9434301B2 (en) 2013-11-21 2016-09-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dden photoluminescent vehicle user interface
US9950658B2 (en) 2013-11-21 2018-04-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ivacy window system
US9539937B2 (en) 2013-11-21 2017-0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ep lamp
US9809160B2 (en) 2013-11-21 2017-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ailgate illumination system
US9315145B2 (en) 2013-11-21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tailgate and step
US9598632B2 (en) 2013-11-21 2017-03-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deposit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US9586523B2 (en) 2013-11-21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assembly
US9796325B2 (en) 2013-11-21 2017-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erior light system for a vehicle
US9810401B2 (en) 2013-11-21 2017-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trim light assembly
US9868387B2 (en) 2013-11-21 2018-01-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printed LED molding
US9989216B2 (en) 2013-11-21 2018-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rior exterior moving designs
US9586518B2 (en) 2013-11-21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grille bar assembly
US9393904B2 (en) 2013-11-21 2016-07-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engine compartment lighting
US9487135B2 (en) 2013-11-21 2016-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me light assembly
US9487136B2 (en) 2013-11-21 2016-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to locate vehicle equipment
US9771019B2 (en) 2013-11-21 2017-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hotoluminescent vehicle illumination
US9583968B2 (en) 2013-11-21 2017-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disinfecting and charging bin
US9463736B2 (en) 2013-11-21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steering assembly
US9487128B2 (en) 2013-11-21 2016-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ing running board
US9452708B2 (en) 2013-11-21 2016-09-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dge
US9688192B2 (en) 2013-11-21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aving interior and exterior lighting on tailgate
US9463737B2 (en) 2013-11-21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seatbelt assembly
US9905743B2 (en) 2013-11-21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inted LED heat sink double lock
US9527438B2 (en) 2013-11-21 2016-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blind spot warning indicator
US9539941B2 (en) 2013-11-21 2017-0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cupholder illumination
US9495040B2 (en) 2013-11-21 2016-11-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ectively visible user interface
US9393905B2 (en) 2013-11-21 2016-07-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vehicle compartment light
US9393903B2 (en) 2013-11-21 2016-07-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engine compartment lighting
US9487127B2 (en) 2013-11-21 2016-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vehicle step lamp
US9499096B2 (en) 2013-11-21 2016-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vehicle reading lamp
US9764686B2 (en) 2013-11-21 2017-09-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producing assembly for a vehicle
US9902320B2 (en) 2013-11-21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color changing dome map lamp
US9440583B2 (en) 2013-11-21 2016-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me lighting system with photoluminescent structure
US9499092B2 (en) 2013-11-21 2016-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ing molding for a vehicle
US9487126B2 (en) 2013-11-21 2016-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puddle lamp
WO2015138495A1 (en) * 2014-03-11 2015-09-17 Osram Sylvania Inc. Light converter assemblies with enhanced heat dissipation
US9302616B2 (en) 2014-04-21 2016-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apparatus with multizone proximity control
TWI565108B (zh) 2014-08-21 2017-01-01 錼創科技股份有限公司 發光模組
US10217918B2 (en) * 2014-08-26 2019-02-26 Lg Innotek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US10477636B1 (en) * 2014-10-28 2019-11-12 Ecosense Lighting Inc. Lighting systems having multiple light sources
US9869450B2 (en) 2015-02-09 2018-01-16 Ecosense Lighting Inc. Lighting systems having a truncated parabolic- or hyperbolic-conical light reflector, or a total internal reflection lens; and having another light reflector
US11306897B2 (en) 2015-02-09 2022-04-19 Ecosense Lighting Inc. Lighting systems generating partially-collimated light emissions
US10801696B2 (en) 2015-02-09 2020-10-13 Ecosense Lighting Inc. Lighting systems generating partially-collimated light emissions
JP6156402B2 (ja) 2015-02-13 2017-07-0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US9746159B1 (en) 2015-03-03 2017-08-29 Ecosense Lighting Inc. Lighting system having a sealing system
US9651216B2 (en) 2015-03-03 2017-05-16 Ecosense Lighting Inc. Lighting systems including asymmetric lens modules for selectable light distribution
US9568665B2 (en) 2015-03-03 2017-02-14 Ecosense Lighting Inc. Lighting systems including lens modules for selectable light distribution
US9651227B2 (en) 2015-03-03 2017-05-16 Ecosense Lighting Inc. Low-profile lighting system having pivotable lighting enclosure
USD785218S1 (en) 2015-07-06 2017-04-25 Ecosense Lighting Inc. LED luminaire having a mounting system
USD782094S1 (en) 2015-07-20 2017-03-21 Ecosense Lighting Inc. LED luminaire having a mounting system
USD782093S1 (en) 2015-07-20 2017-03-21 Ecosense Lighting Inc. LED luminaire having a mounting system
US9651232B1 (en) 2015-08-03 2017-05-16 Ecosense Lighting Inc. Lighting system having a mounting device
KR102477353B1 (ko) * 2015-08-06 2022-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색 형광체, 백색 발광장치 및 조명 장치
US10168039B2 (en) 2015-08-10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badge for a vehicle
US9663967B2 (en) 2015-09-11 2017-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latch system
US9463735B1 (en) 2015-10-06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visor assembly with illuminating check assembly
US10081295B2 (en) 2015-10-13 2018-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badge for a vehicle
FR3042905B1 (fr) * 2015-10-23 2018-11-16 Vmicro Dispositif et systeme microelectromecanique avec transducteur resistif a faible impedance
US9694739B2 (en) 2015-11-10 2017-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sinfecting handle
US9889791B2 (en) 2015-12-01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badge for a vehicle
CN205229630U (zh) * 2015-12-10 2016-05-11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显示模组及显示设备
US10023100B2 (en) 2015-12-14 2018-07-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trim assembly
US9500333B1 (en) 2015-12-18 2016-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sphorescent lighting assembly
WO2017110737A1 (ja) * 2015-12-22 2017-06-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照明装置
JP6442423B2 (ja) * 2015-12-22 2018-1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照明装置
US9855799B2 (en) 2016-02-09 2018-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level indicator
US10235911B2 (en) 2016-01-12 2019-03-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ing badge for a vehicle
US10501007B2 (en) 2016-01-12 2019-12-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port illumination device
US10300843B2 (en) 2016-01-12 2019-05-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llumination assembly
US10011219B2 (en) 2016-01-18 2018-07-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badge
US9517723B1 (en) 2016-01-21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tie-down cleat
US9927114B2 (en) 2016-01-21 2018-03-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ion apparatus utilizing conductive polymers
US9586519B1 (en) 2016-01-27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ar illumination
WO2017131697A1 (en) * 2016-01-28 2017-08-03 Ecosense Lighting Inc Systems for providing tunable white light with high color rendering
US9623797B1 (en) 2016-02-04 2017-04-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ft gate lamp
US9499094B1 (en) 2016-02-08 2016-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ractable running board with long-persistence phosphor lighting
US9499093B1 (en) 2016-02-08 2016-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ractable running board with long-persistance phosphor lighting
US10189401B2 (en) 2016-02-09 2019-0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strip with optical element
US9664354B1 (en) 2016-02-11 2017-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ion assembly
US9656598B1 (en) 2016-02-23 2017-05-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dge
US9751458B1 (en) 2016-02-26 2017-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llumination system
WO2017146477A1 (ko) * 2016-02-26 2017-08-31 서울반도체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501025B2 (en) 2016-03-04 2019-12-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dge
US9688189B1 (en) 2016-03-09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license plate
US10118568B2 (en) 2016-03-09 2018-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dge having discretely illuminated portions
US9656592B1 (en) 2016-03-11 2017-05-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of calibrating a vehicle badge having a number of light sources
US9688190B1 (en) 2016-03-15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cense plate illumination system
TWI596851B (zh) * 2016-03-24 2017-08-21 國立中央大學 雷射激發之白光照明系統
US9963001B2 (en) 2016-03-24 2018-05-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heel illumination assembly us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US10081296B2 (en) 2016-04-06 2018-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exterior strip with photoluminescent structure and retroreflective layer
US9714749B1 (en) 2016-05-10 2017-07-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vehicle grille assembly
US9758088B1 (en) 2016-05-10 2017-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xiliary lighting roof rack
US10420189B2 (en) 2016-05-11 2019-09-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assembly
US9688215B1 (en) 2016-05-11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ridescent vehicle applique
US10064259B2 (en) 2016-05-11 2018-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vehicle badge
US9738219B1 (en) 2016-05-11 2017-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vehicle trim
US9821710B1 (en) 2016-05-12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decklid
US10631373B2 (en) 2016-05-12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windshield indicator
CN107403791B (zh) * 2016-05-18 2020-04-10 光宝光电(常州)有限公司 发光显示器以及形成发光显示器的方法
US9586527B1 (en) 2016-05-18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heel well step assembly of vehicle
US9821717B1 (en) 2016-05-18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ox step with release button that illuminates
US9896020B2 (en) 2016-05-23 2018-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assembly
US9994144B2 (en) 2016-05-23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automotive glazings
US9925917B2 (en) 2016-05-26 2018-03-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cealed lighting for vehicles
US9937855B2 (en) 2016-06-02 2018-04-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window glazings
US9803822B1 (en) 2016-06-03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llumination assembly
US10343622B2 (en) 2016-06-09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rior and exterior iridescent vehicle appliques
US10205338B2 (en) 2016-06-13 2019-0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vehicle charging assembly
US9604567B1 (en) 2016-06-15 2017-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trailer hitch plug
US10131237B2 (en) 2016-06-22 2018-1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vehicle charging system
US9855888B1 (en) 2016-06-29 2018-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vehicle appliques
DE102016212078A1 (de) * 2016-07-04 2018-01-04 Osram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US9840191B1 (en) 2016-07-12 2017-1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amp assembly
JP6740762B2 (ja) * 2016-07-13 2020-08-1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855797B1 (en) 2016-07-13 2018-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system for a vehicle
US9889801B2 (en) 2016-07-14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assembly
US9573518B1 (en) 2016-07-15 2017-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oor console IR bin light
US9840193B1 (en) 2016-07-15 2017-1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assembly
US9604569B1 (en) 2016-07-19 2017-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dow lighting system of a vehicle
US9587967B1 (en) 2016-08-04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tainer illumination
US9573519B1 (en) 2016-08-08 2017-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compartment lighting to moving parts
US9845047B1 (en) 2016-08-08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 system
US9573520B1 (en) 2016-08-09 2017-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console storage bin
US9827903B1 (en) 2016-08-18 2017-1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trim panel
US9616823B1 (en) 2016-08-22 2017-04-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badge for a vehicle
US10173604B2 (en) 2016-08-24 2019-0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vehicle console
US10047659B2 (en) 2016-08-31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engine indicium
US10047911B2 (en) 2016-08-31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emission system
US9604568B1 (en) 2016-09-01 2017-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system
US10075013B2 (en) 2016-09-08 2018-09-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pparatus for charging photoluminescent utilities
US10065555B2 (en) 2016-09-08 2018-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ional approach lighting
US10308175B2 (en) 2016-09-08 2019-06-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ion apparatus for vehicle accessory
KR102605472B1 (ko) * 2016-09-09 2023-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043396B2 (en) 2016-09-13 2018-08-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enger pickup system and method using autonomous shuttle vehicle
US9863171B1 (en) 2016-09-28 2018-0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mpartment
US9593820B1 (en) 2016-09-28 2017-03-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llumination system
US10137829B2 (en) 2016-10-06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mart drop off lighting system
US10046688B2 (en) 2016-10-06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taining sales bins
US9914390B1 (en) 2016-10-19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hade assembly
US9707887B1 (en) 2016-10-19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mirror assembly
US10086700B2 (en) 2016-10-20 2018-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switch
US9802534B1 (en) 2016-10-21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vehicle compartment
US10035473B2 (en) 2016-11-04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rim components
US9902314B1 (en) 2016-11-17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system
JP7155117B2 (ja) * 2016-11-17 2022-10-18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Uv ledを有する照明デバイス
KR101961031B1 (ko) * 2016-11-18 2019-03-22 효성화학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고휘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650341B1 (ko) * 2016-11-25 2024-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994089B1 (en) 2016-11-29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urtain
US10220784B2 (en) 2016-11-29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windshield display
US10118538B2 (en) 2016-12-07 2018-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rack
US10106074B2 (en) 2016-12-07 2018-10-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amp system
US10422501B2 (en) 2016-12-14 2019-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assembly
US10144365B2 (en) 2017-01-10 2018-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dge
US9815402B1 (en) 2017-01-16 2017-1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ailgate and cargo box illumination
US10173582B2 (en) 2017-01-26 2019-0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 system
US10053006B1 (en) 2017-01-31 2018-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assembly
US9849830B1 (en) 2017-02-01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ailgate illumination
US10427593B2 (en) 2017-02-09 2019-10-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assembly
US9896023B1 (en) 2017-02-09 2018-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ar lighting assembly
US9849829B1 (en) 2017-03-02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system
US9758090B1 (en) 2017-03-03 2017-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rior side marker
US10240737B2 (en) 2017-03-06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assembly
US10150396B2 (en) 2017-03-08 2018-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up holder assembly with photoluminescent accessory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available cup holders
US10195985B2 (en) 2017-03-08 2019-0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system
US10399483B2 (en) 2017-03-08 2019-09-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llumination assembly
US10611298B2 (en) 2017-03-13 2020-04-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cargo carrier
US10166913B2 (en) 2017-03-15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marker illumination
US10465879B2 (en) 2017-03-27 2019-1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light assemblies with LED-excited photoluminescent lightguide
US10483678B2 (en) 2017-03-29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lectrical connector
US10569696B2 (en) 2017-04-03 2020-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lluminated airflow control device
US10023110B1 (en) 2017-04-21 2018-07-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dge sensor assembly
US10035463B1 (en) 2017-05-10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retention system
US10399486B2 (en) 2017-05-10 2019-09-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removal and storage
US9963066B1 (en) 2017-05-15 2018-05-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unning board that provides light excitation
KR20180128151A (ko) * 2017-05-23 2018-1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장치
US10059238B1 (en) 2017-05-30 2018-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144337B1 (en) 2017-06-02 2018-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assembly
CN110121773B (zh) * 2017-06-27 2023-11-21 首尔半导体株式会社 发光装置
US10493904B2 (en) 2017-07-17 2019-12-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assembly
US10502690B2 (en) 2017-07-18 2019-12-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icator system for vehicle wear components
US10137831B1 (en) 2017-07-19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l assembly
US10160405B1 (en) 2017-08-22 2018-1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ecal assembly
US10790267B2 (en) * 2017-08-28 2020-09-29 Lumens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for pixel and LED display module
US10186177B1 (en) 2017-09-13 2019-0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ndshield lighting assembly
US10137825B1 (en) 2017-10-02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amp assembly
US10391943B2 (en) 2017-10-09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amp assembly
US10207636B1 (en) 2017-10-18 2019-0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stowage assembly
US10189414B1 (en) 2017-10-26 2019-0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orage assembly
US10723258B2 (en) 2018-01-04 2020-07-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amp assembly
US10723257B2 (en) 2018-02-14 2020-07-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color luminescent grille for a vehicle
US10281113B1 (en) 2018-03-05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grille
US10627092B2 (en) 2018-03-05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grille assembly
US10457196B1 (en) 2018-04-11 2019-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assembly
US10703263B2 (en) 2018-04-11 2020-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system
US10778223B2 (en) 2018-04-23 2020-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dden switch assembly
JP6801695B2 (ja) * 2018-08-03 2020-12-1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310197B1 (en) 2018-09-17 2019-06-04 Waymo Llc Transmitter devices having bridge structures
DE102018123037A1 (de) * 2018-09-19 2020-03-1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Kompakte mehrbandige optische messeinheit
US10534143B1 (en) 2018-09-20 2020-01-14 Waymo Llc Methods for optical system manufacturing
US10850462B2 (en) * 2018-10-03 2020-12-01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Optical element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576893B1 (en) 2018-10-08 2020-03-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assembly
US10720551B1 (en) 2019-01-03 2020-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amps
KR20210113870A (ko) * 2020-03-09 2021-09-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2272672B1 (ko) * 2020-09-16 2021-07-05 대성앤텍 주식회사 광원용 기판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CN114930445A (zh) 2020-12-03 2022-08-19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发光装置
US20240360980A1 (en) * 2021-06-28 2024-10-31 Minebea Mitsumi Inc. Planar illumination device
CN114001289B (zh) * 2021-11-24 2024-09-20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形变发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8068B2 (en) 2000-12-29 2004-05-18 Intel Corporation Entering and exiting power managed states without disrupting accelerated graphics port transactions
US6839846B2 (en) 2001-01-03 2005-01-04 Intel Corporation Embedding digital signatures into digital payloads
EP1413619A1 (en) 2002-09-24 2004-04-2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uminescent material, especially for LED application
KR100616513B1 (ko) * 2003-11-01 2006-08-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적색 led소자,백색 led 소자 및 능동 발광형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JP3921545B2 (ja) 2004-03-12 2007-05-30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蛍光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6213910A (ja) 2005-01-06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窒化物蛍光体及び発光装置
JP4756261B2 (ja) 2005-01-27 2011-08-24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蛍光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発光器具
US20100141172A1 (en) 2005-02-14 2010-06-10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Light Source, Solid State Light Emitting Element Module, Fluorescent Module, Light Orientation Element Module, Illumination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Light Source Adjustment Method
US7489073B2 (en) * 2005-04-15 2009-02-1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Blue to yellow-orange emitting phosphor, and light source having such a phosphor
WO2007041563A2 (en) * 2005-09-30 2007-04-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erium based phosphor materials for solid-state lighting applications
US20080054793A1 (en) * 2006-08-30 2008-03-06 Everlight Electronics Co., Ltd. White light-emitting apparatus
DE102007025679A1 (de) 2007-06-01 2008-12-04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Oxidonitridoalumosilikat, strahlungsemittierende Vorrichtung mit dem Oxidonitridoalumosilik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Oxidonitridoalumosilikats
KR101450785B1 (ko) * 2008-01-07 2014-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형광램프,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이를 갖는 표시장치
EP2275705B1 (en) 2008-03-13 2012-04-2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Transmission unit and wind power generator
KR101717668B1 (ko) 2010-03-26 2017-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결정 형광체, 발광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ied Physics; Lasers and Optics, 93 (4) 829-835 (2008.10.11)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154 (10) J320-J325 (2007.08.15)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155 (2) J58-J61 (2007.12.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206A1 (ko) * 2021-07-14 2023-01-19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발광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78303B2 (ja) 2015-03-04
US8773012B2 (en) 2014-07-08
US8652357B2 (en) 2014-02-18
TW201127936A (en) 2011-08-16
EP2530133A3 (en) 2014-08-20
CN102041002A (zh) 2011-05-04
JP2011089121A (ja) 2011-05-06
EP2530133A2 (en) 2012-12-05
EP2530133B1 (en) 2018-10-03
US20110096560A1 (en) 2011-04-28
KR20100120616A (ko) 2010-11-16
TWI414585B (zh) 2013-11-11
EP2314658A1 (en) 2011-04-27
US20140133146A1 (en) 2014-05-15
EP2314658B1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988B1 (ko)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조명장치
US11631791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101601621B1 (ko) 반도체 발광소자
CN100424902C (zh) 发光二极管
KR20110078319A (ko) 발광장치, 면광원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장치
US9680074B2 (en) Optical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same
US9989197B2 (en) Optical device and light source module including the same
US9890924B2 (en) Optical device and light source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2270627A (zh) 发光二极管封装结构
KR20070088848A (ko)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98318B1 (ko) 형광체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