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58020B1 -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 - Google Patents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020B1
KR101558020B1 KR1020107027420A KR20107027420A KR101558020B1 KR 101558020 B1 KR101558020 B1 KR 101558020B1 KR 1020107027420 A KR1020107027420 A KR 1020107027420A KR 20107027420 A KR20107027420 A KR 20107027420A KR 101558020 B1 KR101558020 B1 KR 101558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conduction microphone
housing
ear
suppor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422A (ko
Inventor
미키오 후쿠다
토모야 아츠미
쇼우지 후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Publication of KR2011006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02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고소음 하에 있어서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 소음이 혼입할 우려가 없고, 뛰어난 차음 특성을 가지는 동시 쌍방향 통화 또는 교호 쌍방향 통화를 행하기 위한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개구부 끝테두리에 환상 패드(2)를 부착한 공기형 하우징(1)을 한 쌍, 헤드 밴드(3)를 개재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1)에, 완충재(4)에 지지된 음향형 스피커(5)를 배치하고, 또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1)에, 장착시에 있어서 선단이, 귀 또는 그 주변부에 맞닿도록 완충재(4)에 지지된 골전도 마이크로폰(6)을 배치하였다.

Description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HEADSET FOR EAR MUFF TYPE BILATERAL SPEECH}
본 발명은 방한용 귓집(ear muff)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headset),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고소음 하에 노출되는 공사 현장이나 재해 현장, 혹은 작업장이나 비행장 등에 있어서, 외부 소음에 방해되지 않고, 동시 쌍방향 통화 또는 교호 쌍방향 통화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고소음 하에 있어서 동시 쌍방향 통화 또는 교호 쌍방향 통화를 행하기 위한 헤드셋으로서는, 개구부 끝테두리에 환상 패드(pad)(32)를 부착한 밀폐 타입의 공기형 하우징(housing)(31)을 한 쌍, 헤드 밴드(head band)(33)를 개재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31)에 음향형 스피커(speaker)(34)를 배치하고, 일방의 하우징(31)에, 입가까지 뻗어있는 접화(接話) 타입의 붐 마이크(boom microphone)(35)를 설치한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도 5, 일본 실용신안공개 1987-186585호 공보 등).
또, 붐 마이크(35) 대신에 골전도 마이크로폰(bone conduction microphone)(36)을 이용하는 것도 있다. 이것은 하우징(31)의 일부를 연장하여 형성한 골전도 마이크로폰 설치용 돌출부(35)에 골전도 마이크로폰(36)을 매설한 것이다(도 6 참조).
그런데, 상기 붐 마이크(35)를 이용하는 타입의 경우는, 붐 마이크(35)의 세트(set) 위치에 의해 성능이 변화하기 쉽고, 작업자가 마스크(mask)를 필요로 하는 것 같은 환경에 있어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골전도 마이크로폰(36)을 이용하는 타입의 경우는, 골전도 마이크로폰 설치용 돌출부(35)가, 차음성(遮音性)이 있는 환상 패드(32)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외부 소음이 혼입되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1987-186585호 공보
상술한 것처럼, 종래의 동시 쌍방향 통화 또는 교호 쌍방향 통화를 행하기 위한 헤드셋으로, 붐 마이크를 이용하는 타입의 경우는, 붐 마이크 세트 위치에 의해 성능이 변화하기 쉽고, 작업자가 마스크를 필요로 하는 것 같은 환경에 있어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고,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이용하는 타입의 경우는, 골전도 마이크로폰 설치용 돌출부가 차음성이 있는 환상 패드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 소음에 대해서 불리하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어, 모두 고소음 하에 있어서의 쌍방향 통화용으로 이용하는 헤드셋으로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동시 쌍방향 통화 또는 교호 쌍방향 통화를 행하기 위한 헤드셋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소음 하에 있어서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 소음이 혼입할 우려가 없는, 뛰어난 차음 특성을 가지는 동시 쌍방향 통화 또는 교호 쌍방향 통화를 행하기 위한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개구부 끝테두리에 환상 패드(pad)를 부착한 공기형 하우징(housing)을 한 쌍, 헤드 밴드(head band)를 개재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에, 완충재에 지지된 음향형 스피커를 배치하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에, 장착시에 있어서 선단이, 귀 또는 그 주변부에 맞닿도록 완충재에 지지된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headset)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면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신축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하우징의 내저면에 형성된 지지 베이스(base)와, 상기 완충재에 형성된 둥근 구멍 내를 상기 지지 베이스에 지지되어 슬라이딩(sliding)하는 외통과, 상기 지지 베이스와 외통의 사이에 끼여, 상기 외통을 정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작용하는 스프링(spring) 기타의 탄성체와, 상기 외통의 단부 내에 끼워맞춰지는 내통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상기 외통 내에 설치된 방진(防振)용 웨이트(weight) 및 이것에 고정된 탄성재를 개재하여, 상기 내통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보지(保持)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개구부 끝테두리에 환상 패드를 부착한 공기형 하우징을 한 쌍, 헤드 밴드를 개재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에, 장착시에 있어서 선단이, 귀 또는 그 주변부에 맞닿도록 완충재에 지지된 골전도 스피커를 배치하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에, 장착시에 있어서 선단이, 귀 또는 그 주변부에 맞닿도록 완충재에 지지된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 및/또는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면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신축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하우징의 내저면에 형성된 지지 베이스와, 상기 완충재에 형성된 둥근 구멍 내를 상기 지지 베이스에 지지되어 슬라이딩하는 외통과, 상기 지지 베이스와 외통의 사이에 끼여, 상기 외통을 정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작용하는 스프링 기타의 탄성체와, 상기 외통의 단부 내에 끼워맞춰지는 내통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상기 외통 내에 설치된 방진용 웨이트 및 이것에 고정된 탄성재를 개재하여, 상기 내통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보지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으로서 외부 소음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이용하고, 또한 당해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차음성이 있는 환상 패드의 내측의 하우징 내에 갖춘 구성이기 때문에, 고소음 하에 있어서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외부 소음이 혼입할 우려가 없고, 뛰어난 차음 특성을 발휘하고, 그로써 고소음 하에 있어서의 동시 쌍방향 통화 또는 교호 쌍방향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의 제2의 실시 형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headset)의 제1의 실시 형태는, 동시 쌍방향 통화용으로 구성한 헤드셋으로서, 도 1에 도시되듯이, 개구부 끝테두리에 환상 패드(pad)(2)를 장착한 공기형 하우징(housing)(1)을 한 쌍, 헤드 밴드(head band)(3)를 개재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1) 내에, 완충재(4)에 지지된 음향형 스피커(speaker)(5)를 배치함과 아울러,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1) 내에, 장착시에 있어서 선단이, 귀 또는 그 주변부에 맞닿도록 완충재(4)에 지지된 골전도 마이크로폰(6)을 배치하여 이루어진다(배선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하우징(1)은 일반의 것과 마찬가지로 헤드 밴드(3)의 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면서 하우징(1)의 내부 구성예에 대해서 상술한다. 통례로, 하우징(1)은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의 경질 수지제로, 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공기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그 개구단으로부터 조금 들어간 위치까지 완충재(4)가 충전된다. 완충재(4)는 적당한 경도의 발포 수지 등의 소재제이고, 도시한 예에서는, 완충재(4)의 주연부가, 하우징(1)의 개구 단부에 끼워맞춰진 누름 링(ring)(7)에 의해 눌려 고정되어 있고, 그 누름 링(7) 상에 환상 패드(pad)(2)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환상 패드(2)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의, 차음성을 가지고 있고 눌러서 들어가고 복원 가능한 발포 수지, 고무 등의 자재제이다.
완충재(4)에는 음향형 스피커(5)와 골전도 마이크로폰(6)이 매설된다. 음향형 스피커(5)는 완충재(4)로부터 돌출시킬 필요는 없지만, 골전도 마이크로폰(6)은 완충재(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시켜, 본 헤드셋 장착시에 있어서 그 선단이, 귀(이주(耳珠) 기타 각부를 포함한다)(21) 또는 귀 주변부에 맞닿도록 설치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골전도 마이크로폰(6)은 완충재(4)에 있어서 신축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비사용시에 있어서는, 골전도 마이크로폰(6)의 선단이 환상 패드(2)의 외표면과 동일하든지 그것보다 조금 돌출하거나 들어간 위치에 오도록 되고(펴진 상태), 사용시에 있어서는, 골전도 마이크로폰(6)의 선단이 그것이 맞닿는 귀 또는 귀 주변부에 눌림으로써, 그 맞닿음 상태를 유지한 채로 수축하게 된다.
골전도 마이크로폰(6)을 신축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은, 하우징(1)의 내저면에 형성된 지지 베이스(base)(8)와, 완충재(4)에 형성된 둥근 구멍(9) 내를 지지 베이스(8)에 지지되어 슬라이딩(sliding)하는 외통(11)과, 지지 베이스(8)와 외통(11)의 사이에 끼여 외통(11)을 정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작용하는 스프링(spring) 등의 탄성체(10)와, 외통(11)의 단부 내에 끼워맞춰지는 내통(1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구성의 경우, 골전도 마이크로폰(6)은, 외통(11) 내에 설치된 방진(防振)용 웨이트(weight)(13) 및 이것에 고정된 탄성재(14)를 개재하여, 내통(12)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보지(保持)된다. 그 때의 골전도 마이크로폰(6)의 선단은, 환상 패드(2)의 외표면과 동일하든지 그것보다 조금 돌출하거나 들어간 위치에 오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헤드셋의 경우, 사용시에는, 헤드 밴드(3)의 탄성에 의해 하우징(1)이 가볍게 머리 측부로 밀어붙여지고, 환상 패드(2)가 약간 눌려서 들어가는 결과, 골전도 마이크로폰(6)의 선단부가 귀(21) 또는 귀 주변부에 닿게 된다. 그 때 골전도 마이크로폰(6)의 선단부는 그 맞닿음부로부터의 반작용으로 눌리는데, 탄성체(10)가 눌려 수축됨으로써 골전도 마이크로폰(6)은 안쪽으로 변위하고, 귀(21) 또는 귀 주변부에 대해서 적당한 정도의 접압력(接壓力)을 가지고 계속 맞닿아, 그 사용 가능 상태를 유지한다(도 3 참조). 또 그 때 음향형 스피커(5)는 귓구멍 대응부에 위치하여,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골전도 마이크로폰(6)을 신축 가능 구조로 하는 것의 장점으로서는, 장착자의 피부에 꼭 맞게 하기 쉽게 하는 것 외에, 불필요한 진동의 픽업(pickup)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고 하는 점을 들 수가 있다. 즉, 큰 소음으로 되면, 하우징(1) 자체가 진동을 일으켜, 골전도 마이크로폰(6)이 그 진동을 픽업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골전도 마이크로폰(6)을, 상기와 같이 탄성체(10), 방진용 웨이트(13) 및 탄성재(14)를 개재한 신축 가능 구조로 함으로써, 골전도 마이크로폰(6)이 하우징(1) 자체의 진동을 픽업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도 3에서는 골전도 마이크로폰(6)의 맞닿음 위치의 예를 2개소 나타내고 있지만, 골전도 마이크로폰(6)의 맞닿음 위치는 그 쌍방이 아니라 그 어느쪽이든 일방이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동일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에 의한 동시 쌍방향 통화에 즈음하여 발생할 우려가 있는 하울링(howling) 작용의 문제는, 스피커로서 음향형(기도(氣導)형) 스피커(5)를 채용하고, 이것에 골전도 마이크로폰(6)을 조합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의 제2의 실시 형태는, 교호 쌍방향 통화용의 헤드셋으로서, 주연부에 차음성을 가지는 환상 패드(2)를 장착한 공기형 하우징(1)을 한 쌍, 헤드 밴드(3)를 개재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1) 내에, 장착시에 있어서 선단이 귀(21) 또는 귀 주변부에 맞닿도록 완충재(4)에 지지된 골전도 스피커(15)를 배치함과 아울러,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1)에, 장착시에 있어서 선단이 귀(21) 또는 귀 주변부에 맞닿도록 완충재(4)에 지지된 골전도 마이크로폰(6)을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이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골전도 마이크로폰(6)은,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마찬가지로 하여 설치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골전도 스피커(15)도, 골전도 마이크로폰(6)과 마찬가지의 신축 가능 구조로 하고, 마찬가지로 하여 설치된다. 이 경우는 골전도 마이크로폰(6)과 골전도 스피커(15)가 모두, 귀(21) 또는 귀 주변부에 맞닿게 된다(도 4 참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골전도 스피커(15)는 이주(耳珠)(20)에 맞닿도록 배치하고, 골전도 마이크로폰(6)은 골전도 스피커(15)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맞닿도록 배치한다. 또한, 도 4에서는, 골전도 마이크로폰(6)의 맞닿음 위치의 예가 2개소 도시되어 있지만, 골전도 마이크로폰(6)의 맞닿음 위치는, 그 어느쪽이든 일방에서 골전도 스피커(15)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동시 쌍방향 통화는 어렵지만, 특히 귓구멍에 방음용 플러그(plug)의 장착 등을 하면, 본 헤드셋이 방한용 귓집 타입인 것과 더불어, 고소음 하에 있어서의 교호 쌍방향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이크로폰으로서 외부 소음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골전도 마이크로폰(6)을 이용하고, 또한 골전도 마이크로폰(6)을 차음성이 있는 환상 패드(2)의 내측의 하우징(1) 내에 갖춘 방한용 귓집 구조이기 때문에, 고소음 하에 있어서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외부 소음이 혼입할 우려가 없고, 뛰어난 차음 특성을 발휘하고, 그로써 고소음 하에 있어서의 동시 쌍방향 통화 또는 교호 쌍방향 통화를 행하는데 매우 적합한 헤드셋이 얻어지게 된다.
이 발명을 어느 정도 상세하게 그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이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반하지 않게 광범위하게 다른 실시 형태를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은 명백하므로, 이 발명은 첨부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한정한 외에는 그 특정의 실시 형태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개구부 끝테두리에 환상 패드를 부착한 공기형 하우징을 한 쌍 구비하고, 이들 하우징이 헤드밴드를 개재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에, 완충재에 지지된 음향형 스피커를 배치하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에, 장착시에 있어서 선단이, 귀 또는 그 주변부에 맞닿도록 완충재에 지지된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면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신축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하우징의 내저면에 형성된 지지 베이스와, 상기 완충재에 형성된 둥근 구멍 내를 상기 지지 베이스에 지지되어 슬라이딩하는 외통과, 상기 지지 베이스와 외통의 사이에 끼여, 상기 외통을 정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작용하는 탄성체와, 상기 외통의 단부 내에 끼워맞춰지는 내통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상기 외통 내에 설치된 방진용 웨이트 및 이것에 고정된 탄성재를 개재하여, 상기 내통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보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
  2. 삭제
  3. 삭제
  4. 개구부 끝테두리에 환상 패드를 부착한 공기형 하우징을 한 쌍 구비하고, 이들 하우징이 헤드밴드를 개재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에, 장착시에 있어서 선단이, 귀 또는 그 주변부에 맞닿도록 완충재에 지지된 골전도 스피커를 배치하고, 적어도 일방의 하우징에, 장착시에 있어서 선단이, 귀 또는 그 주변부에 맞닿도록 완충재에 지지된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배치한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와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면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신축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하우징의 내저면에 형성된 지지 베이스와, 상기 완충재에 형성된 둥근 구멍 내를 상기 지지 베이스에 지지되어 슬라이딩하는 외통과, 상기 지지 베이스와 외통의 사이에 끼여, 상기 외통을 정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작용하는 탄성체와, 상기 외통의 단부 내에 끼워맞춰지는 내통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상기 외통 내에 설치된 방진용 웨이트 및 이것에 고정된 탄성재를 개재하여, 상기 내통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보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
  5. 삭제
  6. 삭제
KR1020107027420A 2008-09-04 2009-09-02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 Expired - Fee Related KR101558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7238 2008-09-04
JPJP-P-2008-227238 2008-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422A KR20110065422A (ko) 2011-06-15
KR101558020B1 true KR101558020B1 (ko) 2015-10-06

Family

ID=4179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42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8020B1 (ko) 2008-09-04 2009-09-02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75897B2 (ko)
EP (1) EP2320674B1 (ko)
JP (1) JP5393688B2 (ko)
KR (1) KR101558020B1 (ko)
CN (1) CN102067625B (ko)
AU (1) AU2009287904B2 (ko)
WO (1) WO20100267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2717A1 (en) * 2020-06-23 2021-12-30 Synaptics Incorporated Headphone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8058B2 (en) * 2009-05-20 2013-09-17 Rolf Eberl Headset
CN102215440A (zh) * 2010-04-07 2011-10-12 包凤鸣 振动式耳机
EP2661055B1 (en) 2010-12-27 2019-10-09 FINEWELL Co., Ltd. Mobile telephone
JP5783352B2 (ja) 2011-02-25 2015-09-2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JP2013038455A (ja) * 2011-08-03 2013-02-21 Nittetsu Elex Co Ltd 騒音抑制イヤホンマイク
CN102348151B (zh) 2011-09-10 2015-07-29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噪声消除系统和方法、智能控制方法和装置、通信设备
KR101973346B1 (ko) 2012-01-20 2019-04-26 파인웰 씨오., 엘티디 연골 전도부를 갖는 휴대 전화
JP6178551B2 (ja) * 2012-07-04 2017-08-09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携帯電話および聴取装置
TWI724317B (zh) 2012-06-29 2021-04-11 日商精良股份有限公司 耳機及立體聲耳機
US8983096B2 (en) * 2012-09-10 2015-03-17 Apple Inc. Bone-conduction pickup transducer for microphonic applications
CN103905946B (zh) * 2012-12-28 2017-08-25 Gn奈康有限公司 金属耳垫
US9660336B2 (en) * 2013-02-07 2017-05-23 Kevan ANDERS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through a faraday cage
WO2015025829A1 (ja) 2013-08-23 2015-02-26 ローム株式会社 携帯電話
CN105684401B (zh) 2013-10-24 2018-11-06 罗姆股份有限公司 腕带型手持装置
JP6551919B2 (ja) 2014-08-20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検知装置および見守り通報装置
EP3236669A4 (en) 2014-12-18 2018-10-03 Rohm Co., Ltd. Cartilage conduction hear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type vibration unit, and electromagnetic-type vibration unit
WO2016187867A1 (zh) * 2015-05-28 2016-12-01 苏州佑克骨传导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振子的耳罩式降噪耳机
US10967521B2 (en) 2015-07-15 2021-04-06 Finewell Co., Ltd. Robot and robot system
JP6551929B2 (ja) 2015-09-16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受話機能を有する腕時計
JP6644965B2 (ja) * 2015-12-03 2020-02-12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狭指向性マイクロホン
US9900735B2 (en) 2015-12-18 2018-02-20 Federal Signal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s
US10021475B2 (en) * 2015-12-21 2018-07-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eadset
CN105451116B (zh) * 2016-01-15 2018-11-27 温州智宇翱华商务服务有限公司 一种头箍式骨传导耳机
KR102108668B1 (ko) 2016-01-19 2020-05-07 파인웰 씨오., 엘티디 펜형 송수화 장치
CN105796236A (zh) * 2016-03-08 2016-07-27 西北工业大学 一种船舶机舱多功能头盔式防噪音耳罩
KR101880578B1 (ko) * 2016-06-07 2018-07-23 주식회사 에이큐브스 고체전도 압전 스피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셋 장치
USD780378S1 (en) 2016-07-15 2017-02-28 Julia Chow Ear muff
WO2018094538A1 (en) 2016-11-28 2018-05-31 Innovere Medical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 in noisy environments
CN106804018A (zh) * 2017-03-17 2017-06-06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信息传输装置及传输方法
CN108882210B (zh) * 2018-06-05 2021-10-26 歌尔股份有限公司 通信控制方法、双耳无线耳机、通信设备、系统及介质
JP2020053948A (ja)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聴取装置
USD968365S1 (en) * 2019-10-18 2022-11-01 Jsp Limited Ear defender
JP7473673B2 (ja) * 2020-04-30 2024-04-23 深▲セ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音響入出力装置
CN111954118A (zh) * 2020-09-22 2020-11-17 江西联创电声有限公司 一种耳机
CN113347521B (zh) * 2021-04-21 2022-07-26 深圳市讴旎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气型头戴式蓝牙耳机
JP7657494B2 (ja) 2021-04-27 2025-04-07 シェンチェン ショ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音響入出力装置
CN113194376B (zh) * 2021-05-19 2022-01-11 深圳市盛佳丽电子有限公司 一种防水的蓝牙耳机
CN113301474A (zh) * 2021-06-29 2021-08-24 东莞市漫步者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耳机
CN115175041B (zh) * 2022-07-21 2024-07-09 歌尔股份有限公司 头戴显示设备及其骨传导控制方法、装置和骨传导器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580A (ja) 2004-03-02 2005-09-15 Azden Corp Mri装置における音声通信装置
JP2006287810A (ja) 2005-04-04 2006-10-19 Nissan Motor Co Ltd 接触型マイクロフォン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6585A (ja) 1986-02-12 1987-08-14 Fuji Photo Film Co Ltd 半導体レ−ザ
JPS62186585U (ko) 1986-05-16 1987-11-27
US4922542A (en) * 1987-12-28 1990-05-01 Roman Sapiejewski Headphone comfort
JP2684695B2 (ja) * 1988-08-05 1997-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
US5404577A (en) * 1990-07-13 1995-04-04 Cairns & Brother Inc. Combination head-protective helmet & communications system
US5282253A (en) * 1991-02-26 1994-01-25 Pan Communications, Inc. Bone conduction microphone mount
EP0500985A1 (en) * 1991-02-27 1992-09-02 Masao Konomi Bone conduction microphone mount
JPH055892A (ja) * 1991-06-27 1993-01-14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16114B2 (ja) 1991-08-23 1996-07-10 池田物産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H0550892U (ja) * 1991-11-30 1993-07-02 ノーベル株式会社 騒音遮断型マイクロホン内蔵ヘッドホン装置
JPH071629U (ja) * 1992-08-25 1995-01-10 ノーベル株式会社 騒音遮断型無線装置
FI103249B1 (fi) * 1996-08-16 1999-05-14 Kitek Oy Ab Insinoeoeritoimist Puhelaite kuulosuojainta varten
DE69613245T2 (de) * 1996-11-08 2002-02-28 Birger Lund-Andersen Vorrichtung zur Schwingungsdämpfung zwischen Gegenständen
US7072476B2 (en) * 1997-02-18 2006-07-04 Matech, Inc. Audio headset
DK1290911T3 (da) * 2000-05-25 2006-05-29 Gn Netcom As Akustisk transmissionsforbindelse, headset med akustisk transmissionsforbindelse samt anvendelser af akustisk transmissionsforbindelse
US6731771B2 (en) * 2000-12-29 2004-05-04 Avcomm International, Inc. Foam mounted receiver for communication headset
AU2004258830A1 (en) * 2003-05-27 2005-02-03 R.E.D. Laboratories, N.V.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use in diagnosing and characterizing diseases involving abnormal apoptosis
JP2005151183A (ja) * 2003-11-14 2005-06-09 Toshiba Corp 骨伝導スピーカー、および骨伝導スピーカーを使用した枕、椅子あるいはヘッドホン
JP4235125B2 (ja) * 2004-02-26 2009-03-11 株式会社ケアコム ナースコール親機
SE530023C2 (sv) * 2006-06-20 2008-02-12 Peltor Ab Hörselkåp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580A (ja) 2004-03-02 2005-09-15 Azden Corp Mri装置における音声通信装置
JP2006287810A (ja) 2005-04-04 2006-10-19 Nissan Motor Co Ltd 接触型マイクロフォ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2717A1 (en) * 2020-06-23 2021-12-30 Synaptics Incorporated Headphone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11601744B2 (en) 2020-06-23 2023-03-07 Synaptics Incorporated Headphone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0674B1 (en) 2014-05-14
JP5393688B2 (ja) 2014-01-22
US20110170718A1 (en) 2011-07-14
US8675897B2 (en) 2014-03-18
CN102067625B (zh) 2014-06-25
CN102067625A (zh) 2011-05-18
AU2009287904B2 (en) 2015-02-12
KR20110065422A (ko) 2011-06-15
WO2010026746A1 (ja) 2010-03-11
EP2320674A4 (en) 2013-05-01
AU2009287904A1 (en) 2010-03-11
EP2320674A1 (en) 2011-05-11
JPWO2010026746A1 (ja)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020B1 (ko)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
US11496836B1 (en) Headset with improved headband
US8842870B2 (en) Audio apparatus
JP5269618B2 (ja) 骨伝導マイクロホン内蔵ヘッドセット
CN102123334B (zh) 带有周向麦克风狭槽的通信头戴式耳麦
RU2713042C1 (ru) Способ модификаци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CN1695401B (zh) 个人佩带式通信及扬声器系统
JP5531605B2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US20050176459A1 (en) Portable telephone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CN103227967A (zh) 头戴式耳机
JP2013038455A (ja) 騒音抑制イヤホンマイク
JP4816043B2 (ja) ヘッドホン装置
KR101619980B1 (ko) 헤드셋 이어스피커의 구조
JPH11215581A (ja) 骨導ヘッドセット
KR102195959B1 (ko) 골전도 마이크를 구비한 골전도 헤드셋
KR20080073074A (ko) 헤드셋
RU45883U1 (ru) Заглушка
TWI519175B (zh) Earmuff type of two-way conversation with headphones
KR101766072B1 (ko) 이어폰 고정용 이어기구
JP5184021B2 (ja) 骨伝導送受話装置
KR200422670Y1 (ko) 이어폰용 쿠션 부재
JP2007036548A (ja) 騒音防止付きヘッ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