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57364B1 - 용접용 팁 - Google Patents

용접용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364B1
KR101557364B1 KR1020150014472A KR20150014472A KR101557364B1 KR 101557364 B1 KR101557364 B1 KR 101557364B1 KR 1020150014472 A KR1020150014472 A KR 1020150014472A KR 20150014472 A KR20150014472 A KR 20150014472A KR 101557364 B1 KR101557364 B1 KR 101557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sertion member
hole
space
wel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규수
Original Assignee
연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규수 filed Critical 연규수
Priority to KR1020150014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3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6Accessories for electrodes, e.g. ignition t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용 팁에 관한 것으로, 용접용 팁의 본체 내부에 공간부와 관통부를 형성하여 본체와 본체에 삽입된 부재가 고온에도 거의 변형되지 않고, 본체 내부에 절삭분과 이물질이 쌓이지 않아 와이어의 송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용접이 중단되지 않아 생산성 증가와 제품의 단가가 저하되는 용접용 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용 팁{Welding tip}
본 발명은 용접용 팁에 관한 것으로, 용접용 팁의 본체 내부에 공간부와 관통부를 형성하여 본체와 본체에 삽입된 부재가 고온에도 거의 변형되지 않고, 본체 내부에 절삭분과 이물질이 쌓이지 않아 와이어의 송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용접이 중단되지 않아 생산성 증가와 제품의 단가가 저하되는 용접용 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이용하는 아크용접은, 와이어와 용접 제품(모재)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이산화탄소, 아르곤, 헬륨 같은 가스를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와이어(솔리드·플릭스코오드)를 일정속도로 송급하면서 와이어와 모재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이용하여 용접을 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크 용접에 사용되는 용접용 팁(Contact tip : Co2·MAG·MIG용)은 도전성 재료인 동재질로 만들어지고, 축 형상 부재의 중심에 용접용 와이어를 통과시키기 위한 와이어 통로가 형성된다.
JP 1996-021585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용 팁은, 기부 금속 부재의 상단에는 세라믹 제 원통체가 압입되고, 첨단 부 금속 부재가 끼워맞춤부에 압입되어 이들 3개의 부재가 일체화된다.
JP 2002-0011578의 그림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용 팁은, 콘택트 칩이 크롬이나 구리 합금 등으로 제작되고, 콘택트 칩 본체의 상단에 내마모성이 있는 세라믹 등의 환형 부재를 위치시킨다.
세라믹제 환형 부재의 일측에 테이퍼 면이 형성되고, 세라믹의 환형 부재와 콘택트 칩 본체의 사이에는 이 둘 사이에 나타나는 제작 오차나 열팽창 흡수를 위한 축방향 틈새가 형성된다.
JP 2009-024813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택트 팁은 급전 구멍 출구 부분에 수납부를 형성하고 강화 부재를 삽입한다.
세라믹 등의 고경도 재질인 강화부재는 상단의 외연부가 제거된 절결부가 형성된다.
이때, 수납부에 삽입된 강화 부재에 수납부의 저부측으로 밀어 넣는 힘을 가하는 공정을 행하여, 콘택트 팁의 상단 부분을 절결부를 감싸도록 소성변형시켜 강화 부재가 수납부에 고정된다.
JP 1996-0215855와 JP 2009-024813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세라믹 제 부재가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거나, 본체의 재질과 다르면서 서로 인접한 2가지의 재질로 구성된 부재가 본체의 상단에 위치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용접용 팁의 전도율이 좋지 않고, 용접을 하다 보면 용접용 와이어가 본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내마모와 본체의 상단에 가해지는 고온으로 인해 와이어가 송출되는 구멍의 끝 부분이 확대되고, 와이어가 용접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벗어나 용접 불량이 발생하고, 용접을 하는 동안 절삭분과 이물질이 형성되어 와이어가 송출되는 구멍에 쌓여 와이어가 원활히 송출되지 않아 교체해야 하므로 작업이 중단되어 시간 소모·단가 상승 및 용접 제품의 생산성 저하가 발생한다.
JP 2002-0011578의 그림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축 방향 틈새로 인하여 콘택트 칩 본체와 용접용 와이어간에 용착이 발생한다.
JP 1996-0215855 JP 2002-0011578 JP 2009-024813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용접용 팁에 관한 것으로, 용접용 팁의 본체 내부에 공간부와 관통부를 형성하여 본체와 본체에 삽입된 부재가 고온에도 거의 변형되지 않고, 본체 내부에 절삭분과 이물질이 쌓이지 않아 와이어의 송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용접이 중단되지 않아 생산성 증가와 제품의 단가가 저하되는 용접용 팁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용접용 팁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제 1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에는 구멍(150)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150)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공과 상기 본체의 외부의 공간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지나는 가스가 상기 구멍(150)을 지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용접용 팁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제 2 관통공(360)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부 또는 전부가 위치하는 삽입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와 상기 삽입 부재는 재질이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 2 관통공(360)의 일측은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통하고, 상기 제 2 관통공(360)의 타측은 상기 본체 외부의 공간에 연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용접용 팁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모인 절삭분과 이물질이 상기 구멍(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은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용접용 팁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의 중앙부 일부에는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용접용 팁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텅스텐,초경,니켈 또는 크롬 중에 어느 하나인 합금강과, 인조다이아몬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용접용 팁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용접용 팁에 내마모성·내열성·전도율이 좋은 텅스텐합금·초경합금·몰리브텐 합금·닉켈 합금·크롬합금·인조 다이아몬드·세라믹 중 하나를 삽입부재에 사용하면 고온에 의한 변형이 줄어들어 질 좋은 성능을 오래 유지하면서 장시간 용접이 가능하다.
제 1 삽입부재를 전도율·내마모성·내열성이 좋은 초경 합금·텅스텐 합금·몰리브텐 합금·닉켈 합금·크롬합금 등의 합금강으로 하고, 제 2 삽입부재를 전도율이 높은 금속인 은텅스텐 합금이나 동텅스텐 합금으로 하면 삽입부재에 사용되는 금속의 변형이 줄어들어 용접 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내마모성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고강도 세라믹이나 인조 다이아몬드를 제 1 삽입부재에 사용하고, 와이어가 외부로 송출되는 부분이 위치하는 제 2 삽입부재를 전도율이 높은 금속인 은텅스텐 합금이나 동텅스텐 합금을 선택하면 용접용 팁의 성능이 개선된다.
제 1 삽입부재를 세라믹이나 인조다이아몬드로 하고, 와이어가 본체에서 외부로 송출되는 부분이 위치하는 제 2 삽입부재를 전도율이 높은 금속인 은텅스텐 합금이나 동텅스텐 합금을 사용하면 용접용 팁의 전도율이 높아져 성능이 개선된다.
삽입부재에 형성된 테이퍼는, 용접시 발생하는 고온으로 인해 본체와 삽입부재 사이에 열팽창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단차가공을 한 삽입부재를 본체에 압입한 후 본체에 드로잉 공정을 하면, 본체의 일부가 함몰부로 이동해 삽입부재와 강하게 밀착되어 삽입부재가 본체로부터 이탈하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가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절삭분과 이물질을 공간부에서 수용하고, 공간부에 모여진 절삭분과 이물질이 관통부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면 절삭분과 이물질이 본체 내부에 쌓이지 않아 와이어가 원활하게 송출되는 효과가 있다.
공간부는, 용접시 발생하는 고온으로 인해 본체와 삽입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열팽창 차이를 공간부 외측의 본체 두께 부분에서 흡수하도록 하여 삽입부재가 본체로부터 열팽창 차이 때문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관통부는, 용접시 발생하는 고온으로 인해 본체와 삽입부재 사이에 나타나는 열팽창 차이를 흡수하여 삽입부재가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용접시 본체 외주면의 관통부를 지나는 가스에 의해 냉각효과가 발생하여 합금강에 전달되는 고온이 줄어들고, 삽입부재의 변형이 줄어들게 된다.
즉, 와이어가 용접용 팁(500)에서 어떠한 간섭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송출되므로 용접을 장시간 하더라도 용접용 팁을 교체할 필요가 없어 시간·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질 좋은 용접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접용 팁의 삽입부재가 합금강인 단면도와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용접용 팁의 삽입부재가 합금강과 은텅스텐합금·동텅스텐합금 중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용접용 팁의 삽입부재가 세라믹·인조 다이아몬드 중 하나와 은텅스텐합금·동텅스텐합금 중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용 팁에 단조가공을 하는 실시예.
도 5는 단차가공을 한 삽입부재가 압입된 용접용 팁에 드로잉 공법을 한 실시예.
도 6은 도 5의 부분확대도.
도 7은 도 1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도 2에 드로잉 공법을 한 실시예.
도 9는 도 3에 드로잉 공법을 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접시 와이어가 장시간 통과되면서 생기는 본체(100) 상단(160)의 변형을 없애기 위하여 내마모성·내열성·전도율이 좋은 합금강(텅스텐 ·초경·몰리브덴·닉켈·크롬 등)과 내마모성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높이기 위한 고강도 세라믹·인조다이아몬드를 삽입부재(300)로 사용한다.
기존의 용접용 팁(500)에 사용되는 재질인 동은 사용시간이 1~10시간 이상인데, 닉켈 합금은 10~30시간·몰리브텐 합금은 20~50시간·크롬합금은 30~60시간·텅스텐 합금은 50~70시간·초경합금은 80~120시간·세라믹은 100~240시간·인조 다이아몬드는 100~500시간 이상으로(작업 조건과 환경에 따라 사용시간이 단축 및 연장될 수 있다.) 합금강이나 세라믹·인조 다이아몬드를 사용하면 동을 사용할 때보다 용접을 멈추지 않고 오래 지속할 수 있다.
=============실시예1=====================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팁(500)은, 길이방향으로 제 1 관통공(130)이 형성된 본체(100)와, 길이방향으로 제 2 관통공(360)이 형성되며 본체(100)의 내부에 일부 또는 전부가 위치하는 삽입부재(300)를 포함하되, 본체(100)와 삽입부재(300)는 재질이 서로 상이하고, 제 2 관통공(360)의 일측은 제 1 관통공(130)과 연통하고, 제 2 관통공(360)의 타측은 본체(100) 외부의 공간에 연통되며, 본체(100)에 구멍이 형성되어 제 1 관통공(130)과 본체(100)의 외부 공간이 연통된다.
본체(100)는 체결부(115)와 제 1 본체(120) 및 제 2 본체(125)로 구성된다.
본체(100)에 형성된 제 1 관통공(130)은, 와이어 전달구(130a)와 와이어 통로(130b)로 구성된다.
와이어 전달구(130a)는 일측이 본체(100)의 하단(110)과 연결되고, 타측은 와이어 통로(130b)와 연결된다.
와이어 전달구(130a)는 본체(100)의 하단(110)에서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들고, 도 1과 같이 단면을 쳤을 때에는 테이퍼가 진 형태이다.
일정한 원형 단면을 갖는 와이어 통로(130b)는, 일측이 와이어 전달구(130a)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공간부(140)의 타측과 연결된다.
체결부(115)는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 1 본체(120)는 다각형상으로 외경이 체결부(115)의 외경보다 크고, 일측이 체결부(115)와 연결된다.
제 2 본체(125)는 제 1 본체(120)와 곡선 혹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 2 본체(125)의 외경은 제 1 본체(120)의 외경보다 작다.
제 2 본체(125)의 내부에는 제 1 관통공(130)과 본체(100)의 외부 공간이 연통 되게 하는 구멍인 관통부(150)가 형성된다.
관통부(150)는 측면에서 보면 직선형상이고, 정면에서 보면 본체(100)의 중심에서 방사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용접제품의 특성과 와이어의 직경(0.6~1.6mm)에 따라 3 ~ 6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관통부(150)는 중심의 연장선과 본체(100)의 길이방향이 예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관통부(150)의 일측은 후술할 공간면(145)과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100)의 외주면과 연결되어 본체(100)의 외부 공간과 본체(100)의 내부가 연통 되게 한다.
본체(100) 내부에는 제 1,2 관통공(130)·(360)과 관통부(150)와 본체(100)의 외부 공간이 연통 되도록 하는 공간부(140)가 형성된다.
본체(100) 내부에 최대한의 공간을 확보하여 형성되는 공간부(140)는 일측이 제 1 관통공(130)과, 타측이 제 2 관통공(360)과 연결된다.
공간부(140)는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의 면적이 제 1 관통공(13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의 면적보다 더 크다.
공간부(140)는 측면에서 볼 때 곡선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공간부(140)는 관통부(150)·공간접촉부(305)·테이퍼부(310)와 함께 본체(100)와 삽입부재(300) 사이에 나타나는 열팽창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단면이 오목한 형상인 공간면(145)의 타측은 삽입부재(300)의 일측과 닿는다.
공간면(145)을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단면의 직경은 0.6~2.0mm이다.
본체(100) 내부에는 후술할 삽입부재(300)가 위치하게 되는 삽입공간(105)이 형성된다.
삽입공간(105)의 접촉부(155)는 후술할 삽입부재(300)의 접촉둘레면(320)이 닿는다.
삽입부재(300)는 내면이 관통된 원통 형상이다.
삽입부재(300)에는 와이어가 제 2 관통공(360)을 통과하면서 닿는 관통내면(350)이 있다.
관통내면(350)의 일측은 후술할 공간접촉부(305)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상단접촉부(340)와 연결된다.
삽입부재(300)는 접촉둘레면(320)과, 일측의 외주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테이퍼부(310)와, 공간면(145)과 연결되는 공간접촉부(305)와, 상단접촉부(340)와 압입부(330)로 구성된다.
테이퍼부(310)는 본체(100)의 내면과 관통부(150)와 연결된다.
테이퍼부(310)는 와이어가 본체(100)에서 외부로 송출되는 부분이 위치하는 삽입부재(300)가 본체(100)에 원활하게 압입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테이퍼부(310)가 닿는 본체(100)의 내면은, 삽입부재(300)가 본체(100)에 압입 될 때 필요 이상의 압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공간접촉부(305)는 삽입부재(300)가 본체(100)에 압입되면 공간면(145)의 일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압입부(330)는 상단(160)과 45°를 이루도록 가공한다.
상단접촉부(340)는 외부로 노출되고, 압입부(330)는 상단(160)에 감싸진다.
상단접촉부(340)의 일측은 관통내면(350)과 연결되고, 타측은 압입부(330)와 연결된다.
접촉둘레면(320)의 일측은 테이퍼부(310)와 타측은 압입부(330)와 연결된다.
삽입부재(300)의 재질은 용접을 하는 제품의 특성에 알맞게 합금강(텅스텐·초경·몰리브덴·닉켈·크롬 등)과 인조 다이아몬드·세라믹 중 한 가지를 사용한다.
도 7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상단(160)은 내주면과 외주면이 직각으로 형성되는데, 단조가공을 통해 본체(100)의 중심 쪽으로 말려들어 가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단조가공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실시예1의 본체(100) 구조는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하다.
=============실시예2=====================
용접시 발생하는 고온에 의한 본체(100)의 상단이 변형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2는,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재(300)에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고, 삽입부재(300)는 제 1 삽입부재(300a)와 제 2 삽입부재(300b)로 구성된다.
제 1 삽입부재(300a)는 제 1 관통공(130)에 가까이 위치하고, 제 2 삽입부재(300b)보다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다.
제 2 삽입부재(300b)는 제 1 삽입부재(300a)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제 1 삽입부재(300a)는 텅스텐 합금·초경 합금·몰리브텐 합금·닉켈 합금 합금강 중 하나를 선택하고, 제 2 삽입부재(300b)는 은텅스텐 합금·동텅스텐 합금 중 하나를 선택한다.
=============실시예3=====================
실시예3은 실시예2와 동일하게 삽입부재(300)를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한다.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삽입부재(300c)는 제 1 관통공(130)에 가까이 위치하고 제 2 삽입부재(300b)보다 길이방향의 길이가 짧다.
제 2 삽입부재(300b)는 제 1 삽입부재(300a)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제 1 삽입부재(300c)는 세라믹·인조 다이아몬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제 2 삽입부재(300b)는 은텅스텐 합금·동텅스텐 합금 중 하나를 선택한다.
=============실시예4=====================
실시예4는 도면 5과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조 공법의 문제점인 고온에 의한 상단(160)의 변형으로 삽입부재(300)가 본체(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 가지의 재질로 구성된 삽입부재(300)에 단차가공을 통해 함몰부(321)를 형성한다.
삽입부재(300)의 중앙부 일부에 형성되는 함몰부(321)는 제 1·2·3 함몰부(321a)(321b)(321c)로 구성된다.
제 2 함몰부(321b)는 후술할 제 1·2 함몰외면(322a)(322b)보다 외경이 작고, 측면에서 보면 함몰외면(322)과 평행한 직선형상을 가진다.
제 1 함몰부(321a)는 제 1 함몰외면(322a)과 제 2 함몰부(321b)를 연결하고, 제 3 함몰부(321c)는 제 2 함몰외면(322b)과 제 2 함몰부(321b)를 연결한다.
함몰부(321)는 삽입부재(300)를 원형으로 에워싸면서 형성된다.
제 1·2 함몰외면(322a)(322b)은 측면에서 보면 직선형상이다.
본체(100)에 위치시킬 삽입부재(300)의 중앙부에 10%의 단차를 지게하고, 본체(100)에 압입한다.
함몰외면(322)과 제 2 함몰부(321b)간의 외경차이에 의해 제 2 함몰부(321b)와 본체(100)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삽입부재(300)에 단차가공을 한 후에는 본체(100)를 드로잉 가공한다.
드로잉 가공은, 단차가공을 한 삽입부재(300)가 위치한 본체(100)를 본체의 외경보다 15% 이상 작은 내경을 가진 금형에 강제로 통과시킨다.
그렇게 하면 본체(100)의 일부는 이 공간을 채우게 되고, 본체(100)는 삽입부재(300)와 강하게 밀착된다.
=============실시예5=====================
실시예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재(300)가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한 제 1,2 삽입부재(300a,300b)로 구성된다.
제 1 삽입부재(300a)가 제 2 삽입부재(300b)보다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다.
이러한 삽입부재(300)를 위치시킨 실시예2의 용접용 팁(500)에 단차가공을 한 후 드로잉 가공을 한다.
단차가공을 통해 실시예4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함몰부(321)가 제 1,2 삽입부재(300a,300b) 각각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즉, 단차가공으로 제 1,2 삽입부재(300a,300b) 각각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된다.
단차가공을 한 후, 실시예4와 동일하게 본체(100)를 드로잉 가공하면 본체(100)는 제 1,2 삽입부재(300a,300b) 각각에 형성된 함몰부(321)와 강하게 밀착된다.
=============실시예6=====================
실시예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재(300)가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한 제 1,2 삽입부재(300a,300b)로 구성된다.
이때, 제 2 삽입부재(300b)가 제 1 삽입부재(300c)보다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다.
이러한 삽입부재(300)를 위치시킨 실시예3의 용접용 팁(500)에 단차가공을 한 후 드로잉 가공을 한다.
제 2 삽입부재(300b)에 사용되는 재질은 제 1 삽입부재(300c)보다 단차가공이 간편한 재질이기 때문에, 제 2 삽입부재(300b)에만 함몰부(321)를 형성한다.
함몰부(321)의 갯수는 실시예4와 동일하므로 삽입부재(300)가 본체(100)에 고정되는 정도도 실시예4와 동일할 것이다.
단차가공을 통해 실시예4와 실시예5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함몰부(321)가 제 2 삽입부재(300b)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단차가공을 하면 제 1 삽입부재(300c)는 외주면에 홈이 없는 평탄한 면을 가지고, 제 2 삽입부재(300b)는 외주면 중앙부에 홈 즉, 함몰부(321)가 형성된다.
삽입부재(300)의 단차가공 후에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본체(100)를 드로잉 가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팁(500)은, 본체(100)에 제 1 관통공(130)·공간부(140)·관통부(150)를 형성한다.
제 2 관통공(360)이 형성되어 본체(100)의 삽입공간(105)에 위치하고, 한 가지 혹은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삽입부재(300)를 테이퍼 가공 후 본체(100)에 압입하면, 삽입부재(300)의 일측이 본체(100)의 내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후, 단조가공을 통해 상단(160)을 소성 변형한다.
따라서, 삽입부재(300)에 형성된 테이퍼는 용접시 발생하는 고온으로 인한 본체(100)와 삽입부재(300) 사이에 나타나는 열팽창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공간부(140)는 와이어가 제 1·2관통공(130)·(360)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절삭분과 이물질을 수용하고, 공간부(140)에 모인 절삭분과 이물질은 관통부(150)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어 절삭분과 이물질이 본체(100) 내부에 쌓이지 않아 와이어가 원활하게 송출되는 효과가 있다.
공간부(140)는 용접시 발생하는 고온으로 인해 본체(100)와 삽입부재(300) 사이에 나타나는 열팽창 차이를 공간부(140) 외측의 본체(100) 두께 부분에서 흡수한다.
즉, 삽입부재(300)와 본체(100) 사이에 나타나는 열팽창 차이 때문에 삽입부재(300)가 본체(1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관통부(150)는 용접시 발생하는 고온으로 인해 본체(100)와 삽입부재(300) 사이에 발생하는 열팽창 차이를 흡수하여 삽입부재(300)가 본체(1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용접시 본체(100) 외주면의 관통부(150)를 지나는 가스에 의해 냉각효과가 발생하여 삽입부재(300)에 전달되는 고온이 줄어들어 변형도 줄어들게 된다.
실시예1과 같이 합금강(텅스텐·초경·몰리브덴·닉켈·크롬 등)이나 다이아몬드(인조)·세라믹 중 하나를 삽입부재(300)에 사용하면 질 좋은 성능을 오래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2와 같이 제 1 삽입부재(300a,300c)에 합금강을 사용하고, 제 2 삽입부재(300b)를 은텅스텐 합금·동턴스텐 합금 중 하나를 사용하면 용접시 발생하는 고온에 의한 삽입부재(300)의 변형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3과 같이 제 1 삽입부재(300a,300c)를 세라믹이나 인조다이아몬드로 하고, 와이어가 본체(100)에서 외부로 송출되는 부분이 위치하는 제 2 삽입부재(300b)를 전도율이 높은 금속인 은텅스텐 합금이나 동텅스텐 합금을 선택하면 용접용 팁(500)의 전도율이 높아져 성능이 개선된다.
실시예4와 같이 단차가공을 한 삽입부재(300)를 본체(100)에 압입한 후, 드로잉 공정을 하면 본체(100)의 일부가 함몰부(321)로 이동하여 본체(100)와 삽입부재(300)가 강하게 밀착되고, 삽입부재(300)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삽입부재(300)가 본체(100)로부터 이탈하려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5와 같이 제1,2 삽입부재(300a,300b) 각각에 함몰부(321)가 형성되면, 실시예4와 달리 삽입부재(300)에 함몰부(321)가 1개 더 형성되어 단이 진 부분이 4개로 증가하게 된다.
즉,본체(100)가 삽입부재(300)의 단에 걸리는 부분이 많아져 실시예4보다 삽입부재(300)가 본체(100)에 더욱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와이어가 용접용 팁(500)에서 어떠한 간섭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송출되므로 용접을 장시간 하더라도 용접용 팁을 교체할 필요가 없어 시간·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질 좋은 용접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본체 105 : 삽입공간
110 : 하단 115 : 체결부
120 : 제 1 본체 125 : 제 2 본체
130 : 제 1 관통공 130a : 와이어 전달구
130b : 와이어 통로 140 : 공간부
145 : 공간면 150 : 관통부
155 : 접촉부 160 : 상단
300 : 삽입부재 300a,300c : 제 1 삽입부재
300b : 제 2 삽입부재 305 : 공간접촉부
310 : 테이퍼부 320 : 접촉둘레면
321 : 함몰부 321a : 제 1 함몰부
321b : 제 2 함몰부 321c : 제 3 함몰부
322 : 함몰외면 322a : 제 1 함몰외면
322b : 제 2 함몰외면 330 : 압입부
340 : 상단접촉부 350 : 관통내면
360 : 제 2 관통공 500 : 용접용 팁
A : 길이방향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제 1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에는 구멍(150)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150)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공과 상기 본체의 외부의 공간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지나는 가스가 상기 구멍(150)을 지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팁.
  2. 청구항1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제 2 관통공(360)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부 또는 전부가 위치하는 삽입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와 상기 삽입 부재는 재질이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 2 관통공(360)의 일측은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통하고, 상기 제 2 관통공(360)의 타측은 상기 본체 외부의 공간에 연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팁.
  3. 청구항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모인 절삭분과 이물질이 상기 구멍(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은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팁.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의 중앙부 일부에는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팁.
  5.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텅스텐,초경,니켈 또는 크롬 중에 어느 하나인 합금강과, 인조다이아몬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팁.
KR1020150014472A 2015-01-29 2015-01-29 용접용 팁 Active KR101557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472A KR101557364B1 (ko) 2015-01-29 2015-01-29 용접용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472A KR101557364B1 (ko) 2015-01-29 2015-01-29 용접용 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364B1 true KR101557364B1 (ko) 2015-10-08

Family

ID=5434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472A Active KR101557364B1 (ko) 2015-01-29 2015-01-29 용접용 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3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560A (ko) 2016-02-15 2017-08-23 임기주 컨택트 팁 및 그 제조방법
JP2020182964A (ja) * 2019-05-08 2020-11-12 株式会社ダイヘン 溶接用チッ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8131A (ja) * 2008-04-07 2009-10-29 Nippon Contact Chip Seisakusho:Kk コンタクトチップ及びコンタクトチップ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8131A (ja) * 2008-04-07 2009-10-29 Nippon Contact Chip Seisakusho:Kk コンタクトチップ及びコンタクトチップ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560A (ko) 2016-02-15 2017-08-23 임기주 컨택트 팁 및 그 제조방법
JP2020182964A (ja) * 2019-05-08 2020-11-12 株式会社ダイヘン 溶接用チッ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879B2 (en) Tool for machining workpieces
KR101188290B1 (ko) 주조 재료 절삭용 드릴링 공구
JP5664506B2 (ja) 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
JP2011143532A (ja) 交換式切削ヘッド及び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
JP2005515905A (ja) 溝削り及び倣い削りのための切削インサート
KR20120123489A (ko) 용접 급전용 컨택트 팁 및 그것을 이용한 용접 토치
US20210299760A1 (en) Drilling tool
KR101557364B1 (ko) 용접용 팁
EP3287226B1 (en) Method of linear friction welding workpieces
US10201872B2 (en) Contact tip for use in gas metal-arc welding
KR20100137418A (ko) 건 드릴
WO2015198361A1 (en)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utting tool
US6689987B2 (en) Welding contact tip with rolled threads
KR101542172B1 (ko) 용접용 팁 및 이의 제조방법
EP192315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i-metal screw
JP4261519B2 (ja) 溶接給電用コンタクトチ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溶接トーチ
JP2014140926A (ja) 超高硬度焼結体付きドリ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6022901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drill bit
KR102108082B1 (ko) 다단형 인발다이
JP2006187848A (ja) コアドリル
EP2835201A1 (en) Bi-metal drill bit
CN211437684U (zh) 一种棒料切料套筒
CN111790978B (zh) 摩擦搅拌接合工具
CN210789494U (zh) 一种通过胀接方式连接的铰刀
JP5090768B2 (ja) 消耗電極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トーチ及び給電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