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56511B1 -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 - Google Patents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511B1
KR101556511B1 KR1020140030995A KR20140030995A KR101556511B1 KR 101556511 B1 KR101556511 B1 KR 101556511B1 KR 1020140030995 A KR1020140030995 A KR 1020140030995A KR 20140030995 A KR20140030995 A KR 20140030995A KR 101556511 B1 KR101556511 B1 KR 101556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sliding space
support shaft
medicine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160A (ko
Inventor
엄윤재
전관식
Original Assignee
엄윤재
전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윤재, 전관식 filed Critical 엄윤재
Priority to KR1020140030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51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약제 분배장치는, 바닥판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전방에 연결되는 전방판을 구비하며,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연통되며, 상기 슬라이딩 공간으로부터 유입된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 상기 배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축;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향해 회전가능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타단부가 상기 전방판과 맞닿아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복수의 분배공간으로 구획하는 작동위치; 및 타단부가 상기 전방판으로부터 이탈되는 대기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Description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MEDICAMENTS}
본 발명은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량의 분말약을 정확하게 분배하여 제약포장지에 투입가능한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처방전에 따라 약국 등에서 조제된 약은 이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한 뒤 환자가 1회분씩 복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고, 복수의 제약포장지에 투입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정시에 정량의 약을 복용할 수 있게 되어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구투약용 약품들은 대부분 알약의 상태로 조제되며, 알약으로 복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나 저연령층의 유아나 일부 소아, 그리고 노인과 중증 환자의 경우, 알약을 삼키지 못하기 때문에 분말약 형태로 조제하여 환자들에게 투여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분말약의 경우 복수의 제약포장지에 정량으로 분배하여 1회분의 약으로 투입하기가 무척 곤란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약을 처방받은 환자는 정량을 복용하여야 함에도 매번(통상 하루 3회) 복용하는 약의 양이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유아, 노인 및 미량의 약제만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 오히려 약의 과다 복용으로 건강을 위협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분말약이 정량으로 균일하게 분배가능하고, 조제가 간편한 약 분배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112087호. 2011. 10. 12.
본 발명의 목적은 정량의 분말약을 정확하게 분배하여 제약포장지에 투입가능한 약제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량의 분말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약제 분배장치는, 바닥판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전방에 연결되는 전방판을 구비하며,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연통되며, 상기 슬라이딩 공간으로부터 유입된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 상기 배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축;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향해 회전가능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타단부가 상기 전방판과 맞닿아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복수의 분배공간으로 구획하는 작동위치; 및 타단부가 상기 전방판으로부터 이탈되는 대기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축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을 따라 회전가능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과 맞닿는 연성소재의 실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판은 상기 전방판을 향해 하향경사진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측판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은 상기 바닥판과 맞닿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축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각각 따로 회전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약제 분배장치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와 탈착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들과 함께 회전가능한 지지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가능하며,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과 맞닿아 상기 가이드부재를 지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방면과 맞닿으며, 상기 분배공간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격벽; 및 상기 배출통로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통로로 유입된 상기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분말약 분배방법은, 조제된 분말약을 정량으로 분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공간에 상기 분말약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분말약을 하우징의 전방판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단계; 배출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공간으로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복수의 분배공간으로 구획하는 단계; 및 상기 분배공간으로부터 연통되는 배출통로의 토출구를 통해 분배된 상기 분말약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축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따로 회전하능하며,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분말약을 정량으로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딩 공간을 향해 회전가능한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약제, 특히 슬라이딩 공간에 고르게 분포된 분말약을 정량으로 분배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의 조작만으로 조제된 분말약을 균등하게 분배된 상태로 제약포장지에 투입시켜 신속하고 사용이 간편하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부재에 구비된 실링부가 바닥판과 긴밀히 밀착됨으로써 각각의 분배공간을 격리시켜 분말약의 편차 발생을 방지하여 약제를 정량대로 분배하여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약제 분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가이드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한 약제 분배장치의 사용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2에 도시한 약제 분배장치의 다른 사용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약제 분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배장치(100)는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5)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공간(5)으로부터 유입된 약제(도 5의 1)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50)를 포함한다. 또한, 약제 분배장치(100)는 배출부재(5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축(20) 및 지지축(20)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공간(5)을 향해 회전가능한 가이드부재(30)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지면과 나란한 바닥판(12)과 바닥판(12)의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대향 배치되는 측판(14) 및 측판(14)의 전방에 연결되는 전방판(15)을 구비하며,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에 약제(도 5의 1)가 수용되는 슬라이딩 공간(5)을 가지며, 약제(도 5의 1)는 슬라이딩 공간(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측판(14)은 전방판(15)을 향해 하향경사진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전방판(15) 및 측판(14)의 상부 외측을 따라 보조플레이트(17)가 연결될 수 있다. 보조플레이트(17)가 구비됨으로써 전방판(15)과 측판(14) 상부 내측에는 안착면(19)이 형성되며, 보조플레이트(17)의 양단부는 측판의 후단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배치될 수 있다.
약제 분배장치(100)는 커버(80)를 더 포함하며, 커버(80)는 안착면(19) 상에 놓여져 개방된 하우징(10)의 상면을 폐쇄가능하다. 또한, 배출부재(50)는 후술하는 가이드부재(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연장되는 격벽(60) 및 하우징(10)의 개방된 후방에 연통되며, 슬라이딩 공간(5)에 수용된 약제(도 5의 1)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70)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격벽(60)은 약제(도 5의 1)의 용이한 이동을 위해 곡선형태로 후방을 향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토출구(70)는 배출과정에서 약제가 정체되어 흐름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끝단이 경사진 형태로 절개될 수 있다.
지지축(20)은 배출부재(50)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우징(10)과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축(20)은 전방판(15)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가이드부재(30)의 후단부는 지지축(20)에 슬라이딩 공간(5)을 향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가이드부재(30)는 측판(14)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30)가 슬라이딩 공간(5)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30)의 전단부는 전방판(15)의 내측과 맞닿을 수 있다. 가이드부재(30)는 지지축(20)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이드부재(30)는 지지축(20)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부재(30)는 지지축(20)에 지지된 상태로 각각 따로 회전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30)의 후단부는 지지축(20)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가이드부재(30)의 전단부는 전방판(15)과 맞닿아 슬라이딩 공간(5)을 복수의 분배공간(8)으로 구획하는 작동위치 및 가이드부재(30)의 전단부가 전방판(15)으로부터 이탈되는 대기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홈(90)은 전방판(15)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30)의 작동위치에서 가이드부재(30)의 전단부가 가이드홈(90)에 삽입됨으로써 가이드부재(30)를 견고히 지지하여 서로 동일한 분배공간(8)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30)는 작동위치에서 지지축(20)을 따라 등간격으로 8개의 가이드부재(30)가 배치되어 슬라이딩 공간(5)을 9 등분하여 각각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분배공간(8)으로 구획할 수 있다. 한편, 분배공간은 상황에 따라 단면적이 달라질 수도 있다. 약제 분배장치(100)는 각각의 가이드부재(30)와 탈착 가능한 지지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40)의 하면에는 가이드부재(30)의 상면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한 삽입홈(도 5의 42)이 형성된 돌출돌기(도 5의 45)를 구비된다.
따라서, 복수의 가이드부재(30)들은 지지부재(40)에 지지된 상태로 동시에 작동위치로 전환가능하며, 가이드부재(30)의 작동위치에서, 지지부재(40)는 상술한 보조플레이트(17)의 후단과 맞닿아 측판(14)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보조플레이트(17)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안착면(19)에는 커버(80)가 놓여질 수 있으며, 커버(80)는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할 수 있다. 커버(80)는 외부에서 슬라이딩 공간(5)이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한 아크릴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가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부재(30)는 지지축(20)을 따라 서로 등간격을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30)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도 3에 가이드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0)는 측판(14)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가이드부재(30)의 상면은 측판(14)의 상면과 동일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30)를 슬라이딩 공간(5)으로 회전하여 가이드부재(30)의 하단부 및 전단부는 각각 하우징(10)의 바닥판(12) 및 전방판(15) 내측과 맞닿을 경우, 슬라이딩 공간(5)은 복수의 분배공간(8)으로 구획된다.
가이드부재(30)는 지지축(20)과 연결되어 지지축(20)을 따라 회전가능한 몸체부(32) 및 몸체부(3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가이드부재(30)의 작동위치에서 하우징(10)의 바닥판(12)과 맞닿는 실링부(35)를 구비한다. 가이드부재(30)는 실링부(35)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실링부(35)는 연성소재,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일 수 있다. 연성소재의 실링부(35)가 구비됨으로써 가이드부재(30)의 작동위치에서 가이드부재(30)의 하단부는 바닥판(12)의 상부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30)는 슬라이딩 공간(5)을 동일한 복수의 분배공간(8)으로 구획가능하며, 약제(도 5의 1)(특히, 분말약)이 각각의 분배공간(8)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한 약제 분배장치의 사용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가이드부재의 대기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0)는 하우징(10)의 전방판(15) 및 바닥판(12)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분쇄과정을 통해 분말약(1)으로 만든 후, 일정량을 슬라이딩 공간(5)으로 공급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공간(5)에 공급된 분말약(1)을 전방판(15)과 나란한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시킨다. 예를 들어, 보조플레이트(17)에 내측에 형성된 안착면(19) 상에 커버(80)를 부착하여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고, 작업자는 하우징(10)의 전방판(15)이 하부를 향하도록 기울여 분말약(1)의 상면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한다. 한편, 전방판(15)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밀대(도시안함)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공간(5)에 공급된 분말약(1)을 전방판(15)을 향해 밀어줌으로써 분말약(1)을 전방판(15)과 나란한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버(80) 상에는 전방판(15)과 나란한 눈금자(도시안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커버(80) 상에 표시된 눈금자를 통해 분말약(1)의 상면 분포를 확인함으로써 분말약(1)의 균일한 분포를 인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판(14)은 전방판(15)으로부터 배출부재(50)를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짐으로써 약제(1)의 양에 따라 높이 차이가 크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하여 약제(1)를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고, 약제(1)의 배출 시, 약제(1)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제(1)의 양이 많은 경우 높이 차에 따른 약제(1)의 분배 오차가 작으나, 약제(1)의 양이 적은 경우 높이 차에 따른 약제(1)의 분배차이가 크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슬라이딩 공간(5)은 약제(1)의 양이 적은 경우 약제(1)의 양이 달라짐에 따라 높이 차이를 더욱 크게 하여 약제(1)의 분배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공간(5)은 커버(8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되며, 커버(80)는 안착면(19) 상에 놓여진다. 가이드부재(30)가 슬라이딩 공간(5)에 설치된 경우, 커버(80)와 대향되는 가이드부재(30)의 상부면은 커버(80)의 바닥면과 접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공간(5)은 분배공간(8)으로 구획되며, 분배공간(8)은 서로 차단되어 약제(1)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때, 커버(80)의 바닥면은 바닥판(12)을 향해 오목한 형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착면(19)과 가이드부재(30)의 상부면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분배공간(8)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제의 분배 오차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분말약(1)이 슬라이딩 공간(5)에 균일한 분포가 완료되면 커버(80)를 탈착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0)와 부착된 지지부재(40)를 이용하여 가이드부재(30)가 지지축(20)을 따라 회전하여 슬라이딩 공간(5)으로 이동시킨다. 가이드부재의(30) 전단부 및 하단부는 하우징(10)의 전방판(15) 및 바닥판(12)의 내면과 밀착되는 작동위치에 놓임으로써 슬라이딩 공간(5)은 복수의 동일한 분배공간(8)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공간(5)에 균일하게 분포된 분말약(1)은 가이드부재(30)에 의해 분배되어 각각의 분배공간(8)에 수용된다.
가이드부재(30)를 이용하여 분말약(1)을 각각의 분배공간(8)에 분배한 다음, 다시 커버(80)를 장착하여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고,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70)가 하부를 향하도록 기울인다. 분말약(1)은 각각의 분배공간(8)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되며, 배출통로(65)를 통해 토출구(70)로 배출됨으로써 토출구(70)에 삽입되는 제약포장지(95)에 투입되어 환자에게 정량으로 분배된 분말약(1)을 제공할 수 있다. 배출통로(65)는 분배공간(8)보다 큰 단면적을 가짐으로써 약제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2에 도시한 약제 분배장치의 다른 사용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에게 1일분(3회 제공량)의 분말약(1)을 제조가 필요할 경우, 가이드부재(30)는 각각 따로 회전가능함으로 가이드부재(30)를 회전하여 슬라이딩 공간의 1/3의 슬라이딩 공간(5)을 형성하여 분말약(1)을 수용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공간(5)은 지지축(20)의 일단부로부터 세 번째에 위치한 가이드부재(30)를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슬라이딩 공간(5)을 구획한 상태에서 분말약(1)을 공급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전방판(15)이 하부를 향하도록 기울여 분말약(1)을 전방판(15)과 나란한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킨다. 다음으로, 지지축(20)의 일단으로부터 첫 번째와 두 번째에 위치한 가이드부재(30)를 회전하여 균일하게 분포된 분말약(1)을 정량으로 분배한 후, 앞서 도 8 및 도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분말약(1)을 제품포장지(95)에 투입하여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슬라이딩 공간(5)을 향해 회전가능한 가이드부재(30)를 이용하여 약제(1), 특히 슬라이딩 공간(5)에 고르게 분포된 분말약(1)을 정량으로 분배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30)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균등하게 분배된 분말약(1)을 제약포장지에 투입시켜 사용이 간편하고 신속한 조제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부재(30)에 구비된 실링부(35)가 바닥판(12)과 긴밀히 밀착됨으로써 각각의 분배공간(8)으로 격리시켜 분말약(1)의 편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말약을 정량대로 분배하여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약제 분배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 약제 5 : 슬라이딩 공간
8 : 분배공간 10 : 하우징
20 : 지지축 30 : 가이드부재
35 : 실링부 40 : 지지부재
50 : 배출부재 60 : 격벽
65 : 배출통로 70 : 토출구
80 : 커버 90 : 가이드홈
100 : 약제 분배장치

Claims (7)

  1. 바닥판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전방에 연결되는 전방판을 구비하며,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연통되며, 상기 슬라이딩 공간으로부터 유입된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
    상기 배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축;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향해 회전가능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타단부가 상기 전방판과 맞닿아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복수의 분배공간으로 구획하는 작동위치; 및
    타단부가 상기 전방판으로부터 이탈되는 대기위치로 전환 가능한, 약제 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축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을 따라 회전가능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과 맞닿는 연성소재의 실링부를 구비하는, 약제 분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전방판을 향해 하향경사진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측판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은 상기 바닥판과 맞닿는, 약제 분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축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각각 따로 회전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약제 분배장치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와 탈착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들과 함께 회전가능한 지지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가능하며,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과 맞닿아 상기 가이드부재를 지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약제 분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방면과 맞닿으며, 상기 분배공간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격벽; 및
    상기 배출통로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통로로 유입된 상기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약제 분배장치.
  6. 조제된 분말약을 정량으로 분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공간에 상기 분말약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분말약을 하우징의 전방판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단계;
    배출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공간으로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복수의 분배공간으로 구획하는 단계; 및
    상기 분배공간으로부터 연통되는 배출통로의 토출구를 통해 분배된 상기 분말약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약 분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축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따로 회전하능하며,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분말약을 정량으로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말약 분배방법.
KR1020140030995A 2014-03-17 2014-03-17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 KR101556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995A KR101556511B1 (ko) 2014-03-17 2014-03-17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995A KR101556511B1 (ko) 2014-03-17 2014-03-17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160A KR20150108160A (ko) 2015-09-25
KR101556511B1 true KR101556511B1 (ko) 2015-10-13

Family

ID=5424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995A KR101556511B1 (ko) 2014-03-17 2014-03-17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5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172A (ko) 2018-01-24 2019-08-01 장기욱 가루약 분배 및 저장 장치
KR102042435B1 (ko) 2018-11-26 2019-11-27 장기욱 가루약 분배저장용 약포장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36Y1 (ko) * 2016-09-09 2016-10-25 장기욱 가루약 분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172A (ko) 2018-01-24 2019-08-01 장기욱 가루약 분배 및 저장 장치
KR102042435B1 (ko) 2018-11-26 2019-11-27 장기욱 가루약 분배저장용 약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160A (ko)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657B1 (ko) 패키징으로부터 약제를 제거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6457611B1 (en) Pill dispenser loader
US6705487B2 (en) Assistance tray for manual distribution used in medicine sharing and packing device
KR20150014269A (ko) 정제 의약품 분배장치
KR101556511B1 (ko)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
KR20010031727A (ko) 조제 약품의 투여 방법 및 투여 장치
JP2020099585A (ja) 錠剤カセット
KR20140102006A (ko) 약제 불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20180055584A (ko) 복용알람 및 알약 자동토출 약통
KR101767409B1 (ko) 복용횟수 표시 및 정량토출 약통
KR100994282B1 (ko) 분말약 투입장치
CN105744922B (zh) 药剂填充装置
WO2018181914A1 (ja) 固形剤小分け装置及び固形剤小分け方法
KR101201532B1 (ko) 약제 포장장치의 정제 캐비닛
KR20110112088A (ko)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CN212679616U (zh) 一种分药装置
KR20045417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WO2020105551A1 (ja) 薬剤分包装置、薬剤分包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213200179U (zh) 智能精准药品剂量分配器
KR20160091060A (ko)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
KR102042435B1 (ko) 가루약 분배저장용 약포장기
KR101034027B1 (ko) 의약품 조제용 배출장치
TWM582023U (zh) Powder powder equalizer capsule filling device
KR20130020359A (ko) 가루약 분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