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56507B1 -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시스템, 스마트 단말장치 및 그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시스템, 스마트 단말장치 및 그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507B1
KR101556507B1 KR1020130093488A KR20130093488A KR101556507B1 KR 101556507 B1 KR101556507 B1 KR 101556507B1 KR 1020130093488 A KR1020130093488 A KR 1020130093488A KR 20130093488 A KR20130093488 A KR 20130093488A KR 101556507 B1 KR101556507 B1 KR 101556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erminal device
smart terminal
mobile device
layer net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769A (ko
Inventor
주이-탕 왕
팅-천 송
Original Assignee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2126001A external-priority patent/TW201408111A/zh
Application filed by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14002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5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은 이동장치, 스마트 단말장치, 서비스 서버, 제1층 네트워크 및 제2층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동장치는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도록 조회 메시지를 발송하며, 그 중 스마트 단말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제3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장치는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여 이동장치에게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하며, 그 중 제3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시작된다. 스마트 단말장치는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로부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시스템, 스마트 단말장치 및 그 통신 방법{Multilayer network connection communication system, smart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일종의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시스템, 스마트 단말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온라인 접속하는 사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소셜 네트워크 또는 전자메일로 상호작용을 하고 자료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는 자신의 최신 동태와 소식 및 소재지를 체크인(check-in) 방식으로 친구와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방식으로 친구의 소식을 알 수 있어, 이를 통해 생활 속의 즐거움을 함께 공유할 수 있다. 이밖에, 현재 많은 상점이 체크인 방식으로 사용자가 제품 우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소셜 네트워크로 자료를 공유하여 상점을 홍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체크인 또는 전자메일을 송수신할 때,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G 데이터 무제한 방안(3G unlimited data plan, 속칭 「3G 무제한 접속 방안」)을 사용하고 있지 않거나, 사용자가 해외에서 비싼 비용 때문에 인터넷 서핑 기능을 시작하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가 Wi-Fi 연결 접속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외에서 위치 체크인 하거나 또는 인근 상점의 우대 혜택 이벤트를 찾고자 할 때, 종종 언어가 통하지 않아 선택메뉴에서 필요한 자료를 찾을 수 없다.
미국 특허 등록 번호 8260266 (2012.09.04)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12-0236820 (2012.09.20)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10-0257239 (2010.10.07)
The Impact of NFC on Multimodal Social Media Application (Erkki Siira, Vili Tormanen; NFC '10 Proceedings of the 2010 Second International Workshop on Near Field Communication, Pages 51-56, 2010.04.20. published by IEEE Computer Society Washington, DC, USA) ALL-I-Touch as Combination of NFC and Lifestyle (Fabian Kneiβl, Richard Rottger, Uwe Sandner, Jan Marco Leimeister, Helmut Krcmar; NFC '09 Proceedings of the 2009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on Near Field Communication, Pages 51-55, 2009.02.24. IEEE Computer Society Washington, DC, USA) NFCSocial:Social Networking in Mobility through IMS and NFC (Antoine Fressancourt, Colombe Herault, Eric Ptak; NFC '09 Proceedings of the 2009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on Near Field Communication, Pages 24-29, 2009.02.24. IEEE Computer Society Washington, DC, USA) MyNet: A platform for Secure P2P Personal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Dimitris N. Kalofonos, Zoe Antoniou, Franklin Reynolds, Max Van Kleek, Jacob Strauss, Paul Wisn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vasiv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 pp. 135-146, 2008) Less effortful thinking leads to more socail networking? The assocaiations between the use of social network sites and personality traits (Bu Zhong, Marie Hardin, Tao Su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pp.1256-1271, 2011, PDF 파일은,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frm=1&source=web&cd=1&ved=0CB8QFjAA&url=http%3A%2F%2Fwww.researchgate.net%2Fprofile%2FBu_Zhong%2Fpublication%2F220495687_Less_effortful_thinking_leads_to_more_social_networking_The_associations_between_the_use_of_social_network_sites_and_personality_traits%2Flinks%2F0c96051ae3a1948dcd000000.pdf&ei=KusdVZXeA4eE8gWD84CIDA&usg=AFQjCNG3GzBKU_6DTNaRQ1_TL9tACtnDwQ&cad=rjt) NFC AWARDS: Commentary and Agenda (Nighat Bilgrami Jaffery, Mahpara Sadaqat; Pakistan economic and social review : incorporating the Punjab University economist; bi-annual journal of the Department of Economics, University of the Punjab. - ISSN 1011-002X, ZDB-ID 8606900. - Vol. 44.2006, 2, p. 209-234, 2006)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짧은 시간 동안 온라인 접속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시스템, 스마트 단말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이동장치, 스마트 단말장치, 서비스 서버, 제1층 네트워크 및 제2층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동장치와 스마트 단말장치는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연결(connection)을 구축하고, 스마트 단말장치와 서비스 서버는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연결을 구축한다. 이동장치는 스마트 단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를 발송한다. 스마트 단말장치는 상기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조회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그 중 스마트 단말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제3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스마트 단말장치는 이동장치에게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를 발송한다. 그 중 제3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시작된다. 스마트 단말장치는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로부터 제3 애플리케이션이 송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제1 네트워크 모듈, 애플리케이션 지원 모듈, 메시지 송신 모듈, 메시지 수신 모듈 및 제2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는 일종의 스마트 단말장치를 제시한다.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를 탐지하고 또한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와 제1 연결을 구축한다. 메시지 송수신 모듈은 이동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며, 그 중 상기 조회 메시지는 스마트 단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한다. 그 중 스마트 단말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하나의 제3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메시지 송신 모듈은 이동장치에게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 중 제3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시작된다. 메시지 수신모듈은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로부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네트워크 모듈은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연결을 구축하고 더 나아가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이하 단계를 포함하는 일종의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와 스마트 단말장치 간의 제1 연결을 구축한다. 이동장치는 스마트 단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를 발송한다. 스마트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조회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그 중 스마트 단말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하나의 제3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스마트 단말장치는 이동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며, 그 중 제3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시작된다. 스마트 단말장치는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로부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어서,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와 서비스 서버 간의 제2 연결을 구축하고, 스마트 단말장치가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이하 단계를 포함하는 일종의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를 탐지한다. 이어서,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와 제1 연결을 구축하고, 이동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 중 상기 조회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한다. 그 다음, 상기 조회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이동장치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를 발송한다. 그 중 제3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시작된다. 이어서,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로부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다.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연결을 구축하고, 또한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스마트 단말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는 2층식 네트워크 구조가 배치되어, 스마트 단말장치가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에게 지원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또한 이동장치는 제1층 네트워크가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장치는 다시 사용자 데이터를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구조에서는 사용자의 이동장치에 온라인 기능이 없더라도, 스마트 단말장치가 이동장치에게 짧은 시간 동안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스마트 단말장치의 개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데이터 스트림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데이터 스트림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데이터 스트림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과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기 쉽도록, 이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이나, 단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100)은 이동장치(110), 스마트 단말장치(120), 서비스 서버(130), 제1층 네트워크(140) 및 제2층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장치(110)는 적외선(infrared),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 기기간 통신(device-to-device, D2D) 전송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이동장치는 태블릿 컴퓨터, PDA, 노트북 컴퓨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무선주파수인식카드(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ard, RFID card), Mifare 카드 또는 FeliCa 카드 등 스마트 카드(smart card)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예를 들어 G-mail 등 전자메일 또는 Facebook, Twitter 등 소셜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이동장치(110)가 다층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WiMAX 통신 프로토콜, Wi-Fi 통신 프로토콜, 2G 통신 프로토콜, 3G 통신 프로토콜 또는 4G 통신 프로토콜 등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DSL 광대역 또는 광섬유(Fiber) 네트워크 등 유선 네트워크 연결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D2D 전송 기능 등 근거리 통신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층 네트워크(140)는 이동장치(110)와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이동장치(110)와 연결을 구축하며, 여기서 스마트 단말장치(120)와 이동장치(110) 간의 연결을 「제1 연결(connection)」이라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제1 연결은 근거리 통신 연결이며, 다시 말해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적외선, 블루투스, NFC 또는 Wi-Fi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장치(110)와 제1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제2층 네트워크(150)는 스마트 단말장치(120)와 서비스 서버(13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제2층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와 연결을 구축하는데, 여기서 스마트 단말장치(120)와 서비스 서버(130) 간의 연결을 「제2 연결(connection)」이라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제2 연결은 무선 네트워크 연결 또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이며, 다시 말해 스마트 단말장치(120)와 서비스 서버(130)는 WiMAX 통신 프로토콜, Wi-Fi 통신 프로토콜, 2G 통신 프로토콜, 3G 통신 프로토콜 또는 4G 통신 프로토콜, ADSL 광대역 또는 광섬유 네트워크 방식으로 제2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100)의 구조에서, 이동장치(110)가 만약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라도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스마트 단말장치의 개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동시에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프로세서 회로(202), 메모리 회로(204), 제1 네트워크 모듈(210), 애플리케이션 지원모듈(220),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 및 제2 네트워크 모듈(25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회로(202)는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전체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 회로(204)는 상기 프로세서 회로(202)에 커플링되며, 또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 회로(204)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적합한 저장장치이다.
제1 네트워크 모듈(210)은 상기 프로세서 회로(202)에 커플링되어 이동장치(110)가 연결을 구축할 수 있는 범위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탐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 중 제1 네트워크 모듈(210)은 더 나아가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이동장치(110)와 제1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지원 모듈(220)은 상기 프로세서 회로(202)에 커플링되어 이동장치(110)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이 애플리케이션은 소셜 애플리케이션, 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은 상기 프로세서 회로(202)에 커플링되며, 또한 이동장치(110)가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여기서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정의한다)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도록 조회 메시지를 발송할 때,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은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지원 모듈(220)은 프로세서 회로(202)에 커플링되며, 조회 메시지를 근거로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지원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2 애플리케이션」이라 정의한다.
이밖에,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은 더 나아가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여 이동장치(110)에게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은 또한 이동장치(110)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중의 제3 애플리케이션이 이동장치(110)에 의해 실행될 때, 메시지 송수신 모듈(240)은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이동장치(110)의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장치(110)로부터의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모듈(210), 애플리케이션 지원 모듈(220),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 및 제2 네트워크 모듈(250)은 논리회로소자로 구성되는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모듈(210), 애플리케이션 지원 모듈(220),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 및 제2 네트워크 모듈(250)이 실행하는 기능 역시 프로그램 코드의 형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모듈(210), 애플리케이션 지원모듈(220),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 및 제2 네트워크 모듈(250)이 실행하는 기능의 프로그램 코드가 메모리 회로(204)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전원이 들어오면,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 회로(202)에 의해 운전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 중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제2 네트워크 모듈(250)로 제2층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와 제2 연결을 구축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장치(110)의 애플리케이션이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는 각각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100)의 구조에서의 각기 다른 사용 상황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데이터 스트림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이동장치(110)는 자체적으로 네트워크 지원이 없는 경우,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통해 데이터를 발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자메일을 발송하거나 또는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장치(110)를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접근시켜,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제1 네트워크 모듈(21)과의 사이의 제1 연결을 구축하고, 또한 조회 메시지 T를 발송하여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사용자에게 전자메일을 발송 또는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할 수 있다(데이터 스트림 S301). 이때,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애플리케이션 지원 모듈(220)은 상기 조회 메시지 T에 응답하여 자신이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데이터 스트림 S303). 만약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면,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은 이동장치(110)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시작 메시지 K를 발송한다(데이터 스트림 S305). 이어서, 이동장치(110)는 상기 시작 메시지 K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다(데이터 스트림 S307).
예를 들면, 전자메일 송수신은 예컨대 G-mail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동장치(110)가 스마트 단말장치(120)와 제1 연결을 구축하였을 때, 이동장치(110)는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G-mail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도록 G-mail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조회 메시지 T를 발송할 수 있다. 만약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G-mail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면,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은 G-mail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메시지 K를 이동장치(110)에게 발송할 수 있다. 이밖에, 사용자가 이동장치(110)로 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조회 메시지 T는 또한 리스트 방식으로 스마트 단말장치(120)에게 발송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상기 리스트 중의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시작 메시지 K 역시 하나의 리스트 방식으로 함께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통해 이동장치(110)에게 발송될 수도 있다.
이동장치(110)가 상기 시작 메시지 K를 스마트 단말장치(120)로 전송하면,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은 이동장치(110)가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 M을 수신할 수 있다(데이터 스트림 S309). 예를 들면, G-mail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G-mail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사용자 데이터 M은 G-mail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 비밀번호, 또는 전송할 전자 메일을 포함한다.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이동장치(110)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M을 수신 완료한 후,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제2 네트워크 모듈(250)은 사용자 데이터 M을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도록 제2층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와의 사이의 제2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데이터 스트림 S311). 여기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제2 네트워크 모듈(250)은 사용자 데이터 M 중의 G-mail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 비밀번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 또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G-mail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로그인할 수 있다. G-mail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의 G-mail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 비밀번호를 근거로 계정 인증 절차를 완료한 후, 사용자 데이터 M 중 전송할 전자메일을 발송할 수 있다(데이터 스트림 S312).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데이터 업데이트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며, 사용자 데이터 M이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된 후,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데이터 업데이트 모듈이 제2 네트워크 모듈(250)을 통해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상태 업데이트 정보 S1update를 수신하고(데이터 스트림 S314), 또한 상태 업데이트 정보 S1update를 제1 네트워크 모듈(210)을 통해 이동장치(110)로 전송하여(데이터 스트림 S316) 데이터 동기 업데이트를 완료한다. 다시 말해, 이동장치(110)는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통해 애클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통해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이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장치(110)는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통해 전자메일을 발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통해 새로운 전자 메일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시 예를 들면, 이동장치(110)는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통해 자신의 메시지를 소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통해 소셜 애플리케이션 서버 상의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동장치(110)가 데이터 동기 업데이트를 완료한 후, 이동장치(110)는 제1층 네트워크(140)를 이탈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제1 네트워크 모듈(210)은 더 나아가 이동장치(110)로부터 오프라인 메시지 L을 수신할 수 있으며(데이터 스트림 S318), 또한 오프라인 메시지 L에 응답하도록 이동장치(110)와 구축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중단할 수 있다(데이터 스트림 S320). 그 후,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기타 이동장치가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근거리 통신 연결을 구축했는지 여부를 계속 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이동장치(110)를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접근시켜 스마트 단말장치(120)와의 사이에 제1 연결을 구축한 후,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이동장치(110)에 대하여 인증 절차 또는 비용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사용자가 이동장치(110)의 식별코드를 근거로, 제2 네트워크 모듈(250)을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제공하는 공급업체(provider)와 온라인으로 인증 절차 또는 비용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식별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장치(110)의 식별코드는 예컨대 이동장치(110)를 식별하기 위한 스마트폰의 사용자 신분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번호일 수 있다. 비용 결제 절차는 선결제 메커니즘, 월 결제 메커니즘 또는 당회 결제 메커니즘을 선택할 수 있다.
선결제 메커니즘을 예로 들면, 사용자가 이동장치(11)를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접근시켜 스마트 단말장치(120)와의 사이에 제1 연결을 구축한 후,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이동장치(110)의 SIM 카드번호를 근거로 온라인으로 인증 절차를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이 번호에 충분한 예치 금액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예치 금액이 충분할 경우,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이어서 이동장치(110)의 애플리케이션을 탐지하여 후속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예치 금액이 부족할 경우,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알려주거나, 또는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이동장치(11)에 표시되는 브라우저에 신용카드 번호를 입력하여 예치금을 선결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월 결제 메커니즘의 경우,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온라인으로 이동장치(110)의 사용시간과 지점을 기록할 수 있고, 또한 공급업체는 매월 사용자에게 명세서를 발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01에서, 사용자는 이동장치(110)를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접근시켜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120)와의 사이에 제1 연결이 구축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단계S405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여 이동장치(110)에게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한다. 단계 S407에서, 이동장치(110)는 상기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중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하 제3 애플리케이션이라 칭함)을 시작한다. 단계 S409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이동장치(110)가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발송한 제3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411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제2층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와의 사이에 제2 연결을 구축하여, 제3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한다. 단계 S413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이동장치(110)로 전송하여 제3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 업데이트를 완료한다. 도 4의 각 단계의 실시방식은 이미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데이터 스트림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장치(110)를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접근시켜,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제1 네트워크 모듈(210)과의 사이에 제1 연결을 구축하고, 또한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도록 조회 메시지 T를 발송한다(데이터 스트림 S501).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이동장치(110)에 대하여 인증 절차 또는 비용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관련 설명은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애플리케이션 지원 모듈(220)은 상기 조회 메시지 T에 응답하여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데이터 스트림 S503).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은 시작 메시지 K를 발송하여 이동장치(110)에게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지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한다(데이터 스트림 S505). 이어서, 이동장치(110)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중의 제3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시작 메시지 K에 응답하여 시작된다(데이터 스트림 S507).
본 실시예에서, 이동장치(110)의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예컨대 Facebook 애플리케이션 및 Twitter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이동장치(110)와 게1 연결을 구축한 경우,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Facebook 애플리케이션 및 Twitter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함께 조회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애플리케이션 지원 모듈(220)은 먼저 이 두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은 마찬가지로 두 개의 Facebook 애플리케이션 및 Twitter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시작 메시지 K 또는 리스트를 이동장치(110)로 발송할 수 있다.
이밖에, 사용자는 또한 이동장치(110)가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접근하기 전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도 있으며, 또한 메시지 또는 공유하고자 하는 사진을 사전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먼저 입력되는 메시지 정보는 상점 A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함께 상점 A를 방문한 대상, 이 메시지를 볼 권한 등일 수 있다. 이동장치(110)가 상기 시작 메시지를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응답할 때,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은 이동장치(110)가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발송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데이터 N을 수신할 수 있다(데이터 스트림 S509).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데이터 N은 사용자가 소셜 서비스(예컨대 Facebook)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 비밀번호, 먼저 입력한 메시지 정보/공유하고자 하는 사진이다.
언급할 만한 점으로,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메모리 회로(204)는 지역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지역 서비스 정보는 상점 A의 관련 정보, 예컨대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통해 취득된 경위도 데이터 및 그에 대응되는 주소, 수동 입력된 상점 A의 명칭 및 할인혜택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인터넷 연결을 통해 획득된 날씨 정보, 상점 A 부근의 기타 상점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지역 정보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이동장치(110)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 완료한 후,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지역 정보 모듈은 먼저 메모리 회로에 저장된 지역 서비스 정보 B를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 layer)에서 사용자 데이터 N에 입력한다(데이터 스트림 S511). 이어서,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제2 네트워크 모듈(250)은 제2층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와의 사이에 제2 연결을 구축하여 사용자 데이터 N과 지역 서비스 정보 B를 함께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한다(데이터 스트림 S513). 여기서,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제2 네트워크 모듈(250)은 사용자 데이터 중 소셜 서비스에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 비밀번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 또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소셜 서비스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다. 소셜 서비스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의 사용자계정과 사용자 비밀번호를 근거로 계정 인증 절차를 완료한 후, 사용자에게 새로운 상태(예를 들어 체크인)를 발송하도록 할 수 있다(데이터 스트림 S514). 예를 들어 체크인 내용은 상점 A의 명칭 및 주소(지역 서비스 정보 B)일 수 있으며, 게다가 사용자의 상점 A에 대한 평가 및 사용자가 전송하는 사진(사용자 데이터 N)일 수 있다. 지역 서비스 정보 B가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보이기 때문에, 상점 A가 다른 나라에 위치하더라도 상점 A가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사용자의 언어가 통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쉽게 체크인 할 수 있다.
이밖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데이터 N과 지역 서비스 정보 B가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된 후,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데이터 업데이트 모듈은 더 나아가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상태 업데이트 정보 S2update를 수신할 수 있고(데이터 스트림 S516), 또한 상태 업데이트 정보 S2update를 제1 네트워크 모듈(210)을 통해 이동장치(110)에 전송하여(데이터 스트림 S518) 데이터 동기 업데이트를 완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장치(110)는 스마트 단말장치(120)를 통해 상태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장치(110) 내의 소셜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동기 업데이트 되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예컨대 아직 보지 않은 메시지 또는 친구의 최신 동태를 살펴볼 수 있다. 이동장치(110)가 소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 업데이트를 완료한 후,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제1 네트워크 모듈(210)은 더 나아가 이동장치(110)로부터 오프라인 메시지 L을 수신할 수 있고(데이터 스트림 S520), 또한 이동장치(110)와 구축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중단하여(데이터 스트림 S522) 오프라인 메시지 L에 응답할 수 있다. 관련 설명은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사용자는 이동장치(110)를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접근시켜,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120)와의 사이에 제1 연결을 구축하고,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도록 조회 메시지를 발송한다. 단계 S603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단계 S605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여 이동장치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한다. 단계 S607에서, 이동장치(110)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하 제3 애플리케이션이라 칭함)을 시작하여 상기 시작 메시지에 응답한다. 단계S609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이동장치(110)가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발송한 제3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613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지역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에 입력한다. 단계 S613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제2층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와의 사이에 제2 연결을 구축하여 사용자 데이터와 지역 서비스 정보를 함께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한다. 단계S615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이동장치(110)로 전송하여 제3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 업데이트를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617에서, 이동장치(110)는 제1층 네트워크(140)를 이탈한다. 도 6의 각 단계의 실시방식은 이미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상점이 제공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이며, 정보 전송의 비밀성(confidentiality)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동장치(110)는 암호화 기술(cryptography technology)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여 사용자 데이터가 도용되거나 부당하게 수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장치(110)를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접근시켜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제1 네트워크 모듈(210)과의 사이에 제1 연결을 구축하고,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조회 메시지 T를 발송한다(데이터 스트림 S701).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이동장치(11)에 대하여 인증 절차 또는 비용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언급할 만한 점으로, 인증 절차와 비용 결제 절차는 스마트폰의 SIM 카드번호와 사용자의 신용카드 번호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네트워크 결제의 안전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현재 브라우저에 보급된 128-bit SSL(secure sockets layer) 암호화 기술 또는 안전성이 더욱 높은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장치(110) 및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공급업체 사이의 암호화를 제공함으로써, 인증 절차와 비용 결제 절차 중 데이터 전송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어서,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애플리케이션 지원 모듈(220)은 상기 조회 메시지 T에 응답하여 자신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데이터 스트림 S703). 만약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메시지 송수신 모듈(235)은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여 이동장치(110)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데이터 스트림 S705).
이어서, 이동장치(110)는 상기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중의 제3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한다. 특히, 본 실시예 중, 이동장치(110)가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한 후, 이동장치(110)는 전송 대기 중인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며, 그 중 전송할 데이터는 예컨대 사전에 입력된 메시지 정보/공유하고자 하는 사진, 전송할 전자메일 등이다. 이동장치(110)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이동장치(110)는 이러한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며(데이터 스트림 S711), 여기서 암호화 후의 전송할 데이터를 「사용자 데이터 Q」라고 칭한다. 이동장치(110)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application interface, API)를 통해 암호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이러한 전송할 데이터를 처리한다. 암호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또는 RSA(Ron Rivest, Adi Shamir, and Leonard Adleman)암호화 알고리즘 등 안전성이 더욱 높으면서 전자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비대칭식 암호화(asymmetric encryption)일 수 있다. 안전성이 비교적 높은 RSA 암호화 알고리즘의 경우, 그 중의 안전 해쉬 알고리즘(secure hash algorithm, SHA) 및 메시지 요약 알고리즘 제5버전(Message-Digest Algorithm 5, MD5)은 단방향 해쉬 함수(one-way hash function)에 개인 키(private key)를 결합하여 암호화를 진행하는 것으로서, 메시지 전송의 완벽한 일치를 보장하고 또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두 가지 알고리즘이다.
이동장치(110)가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사용자 데이터 Q를 생성한 후,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메시지 수신 모듈(240)은 이동장치(110)가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 Q를 수신한다(데이터 스트림 S709).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이동장치(110)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 완료한 후, 지역 데이터 모듈은 먼저 메모리 회로에 저장된 지역 서비스 정보 C를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애플리케이션층에서 사용자 데이터 Q에 입력한다(데이터 스트림 S711). 이어서,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제2 네트워크 모듈(250)은 제2층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와의 사이에 제2 연결을 구축하여 사용자 데이터 Q와 지역 서비스 정보 C를 함께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한다(데이터 스트림 S713).
서비스 서버(130)가 사용자 데이터 Q를 수신한 후, 복호화 및 복호화 후의 사용자 데이터 Qdecrypt를 근거로 데이터 업데이트를 진행한다(데이터 스트림 S715). MD5알고리즘을 예로 들면, 단방향 해쉬 함수를 공개키(public key)와 결합하여 복호화를 실시하여 데이터의 완전성 및 보안성을 보장하고 데이터가 전송 과정에서 수정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 데이터 Q와 지역 서비스 정보 C가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된 후,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데이터 업데이트 모듈은 더 나아가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상태 업데이트 정보 S3update를 수신할 수 있으며(데이터 스트림 S717), 또한 상태 업데이트 정보 S3update를 제1 네트워크 모듈(210)을 통해 이동장치(110)로 전송하여(데이터 스트림 S719) 데이터 동기 업데이트를 완료한다. 또한, 이동장치(110)가 데이터 동기 업데이트를 완료한 후,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제1 네트워크 모듈(210)은 더 나아가 이동장치(110)로부터 오프라인 메시지 L를 수신할 수 있고(데이터 스트림 S721), 또한 오프라인 메시지 L에 응답하여 이동장치(110)와 구축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중단할 수 있다(데이터 스트림 S723). 관련 설명은 제2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동장치(110)가 제3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한 후, 만약 이동장치(110)가 검사 후 전송할 데이터가 없으면 암호화와 복호화의 관련 절차를 생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아직 보지 않은 메시지 또는 친구의 최신 동태를 살펴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성을 고려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었을 때, 이동장치(110)는 사용자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또한 128-bit SSL 암호화 기술 또는 SET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보호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130)는 후속 로그인에서 계정 인증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이밖에, 스마트 단말장치(120)의 공급업체는 매회 사용자의 이동장치(110)가 사용될 때마다 사용자의 기타 이동장치로 통지서를 보낼 수 있으며, 그 중 이러한 통지서에는 이동장치(110)의 사용시간과 지점이 포함될 수 있어 이동장치(120)가 분실되어 도용되는 경우 추적하기 편리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데이터 스트림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01에서, 사용자는 이동장치(110)를 스마트 단말장치(120)에 접근시켜,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130)와의 사이에 제1 연결을 구축하고,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도록 조회 메시지를 발송한다. 단계 S803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스마트 단말장치(120)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단계 S805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여 이동장치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한다. 단계 S807에서, 이동장치(110)는 상기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하 제3 애플리케이션이라 칭함)을 시작한다. 단계 S809에서, 이동장치(110)는 제3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면, 단계 S811에서, 이동장치(110)는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813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이동장치(110)가 제1층 네트워크(140)를 통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815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지역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에 입력한다. 단계 S817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제2층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와의 사이에 제2 연결을 구축하여 사용자 데이터와 지역 서비스 정보를 함께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한다. 단계 S819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데이터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단계 S821에서, 스마트 단말장치(120)는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이동장치(110)로 전송하여 제3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 업데이트를 완료한다. 다른 한편으로, 단계S809에서, 만약 이동장치(110)가 검사 후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직접 단계 S821로 진입한다. 단계 S823에서, 이동장치(110)는 제1층 네트워크(140)를 이탈한다. 그런데, 도 8의 각 단계는 이미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은 일종의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2층식 네트워크 구조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가 사용자의 이동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동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은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장치가 미리 설정된 지역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입력한 후, 지역성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함께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용자장치는 설사 3G 온라인 기능이 없더라도, 해외에서 비싼 비용으로 인해 인터넷 서핑을 시작하지 않거나, 또는 심지어 Wi-Fi 접속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스마트 단말장치는 사용자 장치에게 짧은 시간 동안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외에, 사용자가 광고 또는 우대혜택 등 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밖에, 이동장치는 암호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이동장치가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이미 실시예를 통해 상기와 같이 공개되었으나, 이는 결코 본 발명을 한정짓기 위한 것이 아니며, 소속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약간의 변동과 수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뒤에 첨부되는 특허출원범위에서 정한 것을 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100: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110: 이동장치
120: 스마트 단말장치 130: 서비스 서버
140: 제1층 네트워크 150: 제2층 네트워크
200: 스마트 단말장치 202: 프로세서 회로
204: 메모리 회로 210: 제1 네트워크 모듈
220: 애플리케이션 지원 모듈 235: 메시지 송수신 모듈
250: 제2 네트워크 모듈
S310~S320: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데이터 스트림
S401~S413: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플로우
S501~S522: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데이터 스트림
S601~S617: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플로우
S701~S723: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데이터 스트림
S801~S823: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의 플로우

Claims (34)

  1. 이동장치;
    스마트 단말장치;
    서비스 서버;
    상기 이동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 간의 제1연결을 구축하는 제1층 네트워크; 및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의 제2 연결을 구축하는 제2층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를 발송하여 스마트 단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는 상기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조회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그 중 스마트 단말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제3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는 이동장치에게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여, 제3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시작되며,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는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로부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는 지역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입력하고,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는 더 나아가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상기 지역 서비스 정보를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는 더 나아가 상기 이동장치의 식별코드를 근거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인증 절차 또는 비용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된 후, 상기 이동장치는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만약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가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가 더 나아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근거로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로 발송하고, 및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가 상기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이동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 후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근거로 상태를 업데이트하며, 또한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로 발송하고, 그리고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가 상기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이동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된 후,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며,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상기 사용자 계정과 상기 사용자 비밀번호가 포함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가 더 나아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 중의 상기 사용자 계정과 상기 사용자 비밀번호를 근거로 계정 인증 절차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은 근거리 통신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은 무선 네트워크 연결 또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시스템.
  11.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를 탐지하고 상기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와 제1 연결을 구축하는 제1 네트워크 모듈과;
    애플리케이션 지원 모듈과;
    상기 이동장치로부터 스마트 단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 모듈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지원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그 중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은 제3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송수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여 상기 이동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하고, 그 중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가동되며,
    상기 메시지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로부터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리고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은 지역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입력하고, 또한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상기 지역 서비스 정보를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의 식별코드를 근거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인증 절차 또는 비용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 식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이동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더 나아가 상기 이동장치로부터 오프라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오프라인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상기 이동장치가 구축한 상기 제1 연결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은 근거리 통신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은 무선 네트워크 연결 또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장치.
  18.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와 스마트 단말장치 간의 제1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질문 메시지를 발송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질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은 제3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검사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여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시작되는, 요청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에 의해 상기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이동장치로부터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와 서비스 서버 간의 제2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에 의해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가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가 지역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가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상기 지역 서비스 정보를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장치가 상기 이동장치의 식별코드를 근거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인증 절차 또는 비용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된 후 상기 이동장치는 전송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가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근거로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로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가 상기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이동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가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더 나아가 복호화 후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근거로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로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가 상기 상태 업데이트 자료를 상기 이동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2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된 후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며,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상기 사용자 계정과 상기 사용자 비밀번호가 포함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 중의 상기 사용자 계정과 상기 사용자 비밀번호를 근거로 계정 인증 절차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2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 간의 상기 제1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 간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27.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의 상기 제2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 또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28. 스마트 단말장치에 의해서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를 탐지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장치에 의해서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장치와 제1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이동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이 지원되는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수신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회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에 의해서 검사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여 상기 이동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 중 지원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제3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시작되는, 요청 단계;
    상기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로부터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에 의해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에 의해서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지역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3 애틀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상기 지역 서비스 정보를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의 식별코드를 근거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인증 절차 또는 비용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이 발송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이동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32.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로부터 오프라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라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이동장치가 구축한 상기 제1 연결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33.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와 상기 제1 연결을 구축하는 것은
    상기 제1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34.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연결을 구축하는 것은
    상기 제2층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연결 또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 방법.
KR1020130093488A 2012-08-10 2013-08-07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시스템, 스마트 단말장치 및 그 통신 방법 Active KR101556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81640P 2012-08-10 2012-08-10
US61/681,640 2012-08-10
TW102126001A TW201408111A (zh) 2012-08-10 2013-07-19 多層網路連線通訊系統、智慧型終端裝置及其通訊方法
TW102126001 2013-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769A KR20140020769A (ko) 2014-02-19
KR101556507B1 true KR101556507B1 (ko) 2015-10-01

Family

ID=4900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488A Active KR101556507B1 (ko) 2012-08-10 2013-08-07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시스템, 스마트 단말장치 및 그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85131B2 (ko)
EP (1) EP2696604A1 (ko)
JP (1) JP5612180B2 (ko)
KR (1) KR101556507B1 (ko)
CN (1) CN1035821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8330B (zh) * 2014-12-26 2018-12-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业务处理方法、装置及终端
TWI647609B (zh) * 2017-04-14 2019-01-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即時通訊方法、系統及電子裝置與伺服器
CN111970188B (zh) * 2020-07-28 2022-09-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能力转发方法及装置
CN111935657A (zh) * 2020-08-14 2020-11-1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信息通知方法及设备
CN113159736B (zh) * 2021-05-21 2024-09-24 北京天空卫士网络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邮箱管理方法和装置
KR102346969B1 (ko) * 2021-06-15 2022-01-05 대한검사기술(주) 위상배열 데이터 무선 송/수신 및 신호평가/해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8678A2 (en) 2003-10-16 2005-04-28 Nokia Corporation Interaction between a signaling tag (rfid) and an application
JP2007103736A (ja) 2005-10-05 2007-04-19 Tdk Corp 電子部品、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電子部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1772A (ja) * 2001-08-06 2003-02-21 Canon Inc 通信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方法及び通信を実施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コンピュータ読み出し可能に記憶した記憶媒体
US7013112B2 (en) * 2001-12-18 2006-03-14 Ixi Mobile (Israel) Ltd.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aking a business decision in response to information from a short distance wireless network
JP3771850B2 (ja) * 2002-02-15 2006-04-2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サービス・ディスカバリを実行する方法、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エレメント
US6892052B2 (en) * 2002-03-26 2005-05-10 Nokia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discovery for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US20070136130A1 (en) * 2005-12-14 2007-06-1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teractive multimedia push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352323B2 (en) * 2007-11-30 2013-01-08 Blaze Mobile, Inc. Conducting an online payment transaction using an NFC enabl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7328624A (ja) * 2006-06-08 2007-12-20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通信端末
US8260266B1 (en) 2007-06-26 2012-09-04 Qurio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for third-party discovery of proximity-based services
US20120029990A1 (en) * 2007-12-13 2012-02-02 Blaze Mobile Social Media Marketing Based on Transactions Using a Mobile Device and Associated Secure Element
US8014720B2 (en) * 2007-12-31 2011-09-06 Intel Corporation Service provisioning utiliz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8401468B2 (en) * 2008-05-28 2013-03-1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cheduling using a mobile device
US20100034083A1 (en) * 2008-08-08 2010-0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differenti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660829B2 (ja) * 2009-03-16 2011-03-30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モバイル通信端末及び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
US20100257239A1 (en) * 2009-04-02 2010-10-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social network through file transfers
KR101036656B1 (ko) 2011-03-15 2011-05-2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Nfc 기반의 기기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제어 시스템
US9131343B2 (en) * 2011-03-31 2015-09-08 Teaneck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oximity-based social check-ins
US20120329388A1 (en) * 2011-06-27 2012-12-27 Broadcom Corporation NFC-Enabled Devices to Store and Retrieve Portable Application-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for Use with Computational Platforms
TWM431379U (en) 2011-11-11 2012-06-11 Yue Jie Technology Co Ltd Paperless transaction system
US9111290B2 (en) * 2011-11-30 2015-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targeted customer loyalty promotions
US9443248B2 (en) * 2012-01-12 2016-09-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communication-enabled promotions and commercial transac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8678A2 (en) 2003-10-16 2005-04-28 Nokia Corporation Interaction between a signaling tag (rfid) and an application
JP2007103736A (ja) 2005-10-05 2007-04-19 Tdk Corp 電子部品、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電子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82169B (zh) 2017-06-09
JP2014039254A (ja) 2014-02-27
US9485131B2 (en) 2016-11-01
CN103582169A (zh) 2014-02-12
JP5612180B2 (ja) 2014-10-22
EP2696604A1 (en) 2014-02-12
KR20140020769A (ko) 2014-02-19
US20140047008A1 (en)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53961B (zh) 一种支付方法、支付服务器、交易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KR101556507B1 (ko) 다층 네트워크 연결 통신시스템, 스마트 단말장치 및 그 통신 방법
EP3183896B1 (en) Using a wireless beacon to provide access credentials to a secure network
US9900774B2 (en) Shared network connection credentials on check-in at a user's home location
US9544020B2 (en) NFC negotiated pairing
US20150024688A1 (en) Automatic Pairing of a Vehicle and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11042866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access point of wireless LAN
CN104025633A (zh) 用于使用通过使用近程通信而执行的协定过程来提供信息的方法和系统
US1136707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using QR code
KR20140128764A (ko) 연결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7538223A (ja) 認証方法
CN106411580A (zh) 设备管理客户端、服务器及设备管理方法
KR101538363B1 (ko) 가맹점 정보 노출을 이용한 무료 와이파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39399B1 (ko) 타인 신용 카드를 이용한 신용 결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JP201214739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移動体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201408111A (zh) 多層網路連線通訊系統、智慧型終端裝置及其通訊方法
KR101592223B1 (ko) 휴대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정보보안 서버 및 그의 운영방법
JPWO2013132659A1 (ja) 決済システム、決済支援装置、及びユーザ装置
JP6536037B2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95011B1 (ko) 안심 인증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31355A (ko)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TW201543938A (zh) 快速安全連線建立方法與無線存取點裝置
KR20170101433A (ko) 휴대 단말기의 정보 보호 장치 및 방법
JP201804204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4150461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