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42901B1 -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901B1
KR101542901B1 KR1020140042002A KR20140042002A KR101542901B1 KR 101542901 B1 KR101542901 B1 KR 101542901B1 KR 1020140042002 A KR1020140042002 A KR 1020140042002A KR 20140042002 A KR20140042002 A KR 20140042002A KR 101542901 B1 KR101542901 B1 KR 101542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tank
fine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102014004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9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수조의 담수 속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공기와 함께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펌프, 상기 물과 공기를 이송하면서 공기를 미세하게 분해하는 제1 이송관, 상기 물과 미세 공기를 선회하는 상태로 저장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메인 탱크, 상기 물과 미세 공기를 이송하면서 개폐하는 제2 이송관, 상기 물과 미세 공기를 선회시키는 상태로 저장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서브 탱크 및 상기 물과 미세 공기를 배출하는 산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물과 함께 공급되는 공기를 미세하게 분해한 상태로 담수조늬 담수 속으로 공급하여 담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면서 담수의 환경을 잔잔하게 유지할 수 있는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Air supplier for a pool of an indoor fishing place}
본 발명은 주로 담수조에 설치되어 담수조의 담수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내, 외 낚시터와 같은 담수조에 물과 함께 공급되는 공기를 미세하게 분해 믹싱하여 수조 내부에 산소의 용존율을 높이며, 공기방울이 빠져나갈 때 발생하는 물의 요동과 소리의 최소화로 실내, 외 낚시터와 같은 담수의 환경을 잔잔하게 유지하여 최적의 낚시터 환경을 제공하며, 산소 용존율을 극대화하여 물고기가 수표면으로 뜨거나 폐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녹조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외 낚시터와 같은 담수조는 한정된 공간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물고기를 담고 있는 담수조의 크기가 제한적인데다가 담수조 내부의 물이 가둬져 있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산소를 계속 공급해야 한다. 상기 담수조 내부로 산소를 계속 공급하지 않으면 담수조에 저장된 담수의 용존산소량이 줄어 물고기들의 활동이 줄고 수표면으로 떠오를 뿐만 아니라, 담수조의 담수가 더 쉽게 오염되어 적조 현상이 발생한다. 더욱이 여름철의 무더위가 지속될 경우에는 수온의 상승으로 인하여 담수의 용존산소량이 급격하게 줄어서 물고기들이 수표면으로 뜰뿐 아니라 심지어는 폐사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을 막기 위해서 산소공급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담수조의 담수에 인위적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물고기의 폐사 및 적조현상을 방지하였으나 종래에 사용되는 산소 공급장치는 단순히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를 사용하여 담수에 산소를 공급하는 형태로서 보통 담수조의 담수에서 큰 공기방울들을 형성하여 주입토록 하였는바, 주입된 공기방울들이 대부분 수표면으로 빠르게 떠올라 빠져나가기 때문에 물속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실내, 외 낚시터와 같은 담수조는 물고기들이 미끼의 움직임을 쉽게 확인하고, 낚시꾼들이 낚시찌의 움직임을 쉽게 확인하기 위해서 담수조 내의 담수를 잔잔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종래 산소 공급장치에 의하면 담수에 주입된 큰 공기방울이 빠르게 떠오르면서 담수 속에서 요동이 일어 강한 대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큰 공기방울들이 수표면에서 터질 때 소리와 함께 물결이 발생하기 때문에 낚시 환경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그 주된 목적으론 실내, 외 낚시터와 같은 담수조의 담수에 물과 함께 공급되는 공기를 미세하게 분해 믹싱하여 담수조의 담수에 공급함으로써, 산소의 용존율을 높이고, 공기방울이 빠져나갈 때 물과 믹싱되는 상태로 공급함으로 인하여 담수의 요동 및 강한 대류와 소리를 방지함에 따라 담수의 환경을 잔잔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론 담수조의 담수에 미세한 공기방울과 물을 믹싱하여 동시에 분출시킴에 따라 강한 대류를 막아주어 담수의 요동 및 소리가 방지되어 낚시찌의 요동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담수조의 산소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론 실내, 외 낚시터와 같은 담수조의 담수에 물과 함께 공급되는 미세하게 분해 믹싱하여 담수 속으로 공급함으로써, 담수의 녹조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담수에 용존산소량을 풍부하게 공급하여 물고기가 수표면으로 뜨거나 폐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담수조의 산소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 외 낚시터와 같은 담수조의 담수 속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물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 상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조절구가 형성되고, 공기와 함께 유입된 물을 가압하여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펌프;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과 공기를 이송하되, 상기 물과 공기가 통과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선회부와 상기 선회부를 통과한 물과 공기가 지나가면서 상기 공기가 미세하게 분해되도록 내부에 코일이 설치된 분해부가 연결 형성된 제1 이송관; 상기 제1 이송관에서 유입되는 물과 미세 공기를 저장하되, 제3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과 미세 공기를 선회하는 상태로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제3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메인 탱크; 상기 제3 배출구에 연결되어 저장된 물과 미세 공기를 이송하도록 하되, 제4 밸브의 개폐를 통해 이송을 제어하는 제2 이송관; 상기 제2 이송관과 연결되는 제5 유입구를 통해 상기 물과 미세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부로 쏘아 올리는 상태로 저장하고, 제5 밸브를 통해 내부 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가 유입되며, 제5 배출구를 통해 물과 미세 공기를 배출하는 서브 탱크; 및 상기 서브 탱크에서 배출되는 물과 미세 공기를 상기 수조 내부로 이송하면서 다수개의 관통구를 통해 배출하는 산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프의 제1 유입구는 담수조의 담수 또는 지하수 및 상수도와 연결된다.
상기 제1 이송관의 절곡부에는 유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회부가 연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탱크의 제3 유입구는 내부로 돌출되면서 유입되는 물과 미세 공기가 메인 탱크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선회하도록 끝단이 일측으로 편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 탱크는 내부의 압력 값을 측정하고, 압력 값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 탱크로부터 상기 서브 탱크의 제5 유입구 측으로 연결되어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브 탱크의 제5 유입구는 끝단이 물을 상부로 쏘아 올릴 수 있도록 내부 중앙까지 들어와 상부로 절곡되고, 상기 제5 배출구는 선단이 상기 서브 탱크 내부로 인출되어돌출 형성된다.
상기 펌프와 제1 이송관 사이에 연결되고, 제7 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펌프로부터 담수조의 담수 속으로 공기가 혼합된 물을 챔버을 경유한 후 끝단의 노즐을 통하여 직접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분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내,외 낚시터와 같은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에 의하면 실내, 외 낚시터와 같은 담수조의 담수에 물과 함께 공급되는 공기를 미세하게 분해 믹싱하여 담수조의 담수에 공급함으로써, 산소의 용존율을 높이고, 공기방울이 빠져나갈 때 물과 믹싱되는 상태로 공급함으로 인하여 담수의 요동 및 강한 대류와 소리를 방지함에 따라 담수의 환경을 잔잔하게 유지할 수 있고, 담수조의 담수에 미세한 공기방울과 물을 믹싱하여 동시에 분출시킴에 따라 강한 대류를 막아주어 담수의 요동 및 소리가 방지되어 낚시찌의 요동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실내, 외 낚시터와 같은 담수조의 담수에 물과 함께 공급되는 미세하게 분해 믹싱하여 담수 속으로 공급함으로써, 담수의 녹조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담수에 용존산소량을 풍부하게 공급하여 물고기가 수표면으로 뜨거나 폐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최적의 낚시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를 도시한 평면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담수조 산소 공급장치의 제1 이송관을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담수조 산소 공급장치의 메인 탱크를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담수조 산소 공급장치의 서브 탱크를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담수조 산소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담수조 산소 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와 함께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펌프(100), 상기 물과 공기를 이송하면서 공기를 미세하게 분해하는 제1 이송관(200), 상기 물과 미세 공기를 선회하는 상태로 저장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메인 탱크(300), 상기 물과 미세 공기를 이송하면서 개폐하는 제2 이송관(400), 상기 물과 미세 공기를 선회시키는 상태로 저장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서브 탱크(500) 및 상기 물과 미세 공기를 배출하는 산기관(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프(100)는 물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110) 상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조절구(120)가 형성되고, 공기와 함께 유입된 물을 가압하여 제1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펌프(100)는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유입구(110)와 공기 조절구(120)를 통해서 물과 공기가 동시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펌프(100)의 제1 유입구(110)는 담수조의 담수 또는, 지하수와 연결되는데, 상기 담수조의 담수와 연결되는 경우 담수조 내의 담수를 공기와 함께 계속 순환시키는 것이고, 상기 지하수와 연결되는 경우 담수조로 공기와 함께 새로운 물을 계속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 조절구(120)는 물과 함께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이송관(200)은 상기 펌프(100)에서 배출되는 물과 공기를 후술하는 메인 탱크(300)로 이송시키되, 이송하는 물과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강제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선회부(210)와 상기 선회부(210)를 통과한 물과 공기가 지나가면서 상기 공기가 미세하게 분해되도록 내부에 코일이 설치된 분해부(220)가 연속하여 연결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이송관(200)은 펌프(100)에서 강제로 공급되는 물이 메인 탱크(300)에 저장되기까지의 경로 상에서 물과 공기를 회전시키면서 공기를 미세하게 분해하는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선회부(2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과하는 물이 자연스럽게 선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면에 선풍기 날개와 같은 날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이송관(200)은 실시 예로서 상기 펌프(100)로부터 메인 탱크(300)까지의 경로 상에 형성되는 각 절곡 부분에 상기 선회부(210)가 연결 형성된다. 즉, 상기 절곡된 부분을 통과할 때 물과 미세 공기의 유속이 줄어들거나 선회율이 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곡된 부분을 통과한 물과 미세 공기를 다시 선회시킬 수 있도록 선회부(21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 탱크(300)는 상기 제1 이송관(200)에서 유입되는 물과 미세 공기를 저장하되, 제3 유입구(31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과 미세 공기를 선회하는 상태로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제3 배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 탱크(300)는 미세 공기에 의해 용존산소량이 높은 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하나 이상 다수의 지점으로 분기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물이 정체되지 않고 계속해서 회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 탱크(300)의 제3 유입구(310)는 내부로 돌출되면서 유입되는 물과 미세 공기가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선회하도록 끝단이 일측으로 편향되게 형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메인 탱크(300)의 상단 중앙에 제1 이송관(200)이 연결된 경우 상기 메인 탱크(300) 내부의 상기 제3 유입구(310)는 상기 제1 이송관(200)이 연결된 중앙으로부터 나선 형태 또는 절곡된 직선 형태로 설치되어 끝단이 메인 탱크(300)의 사이드를 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탱크(300)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미세 공기가 자체적으로 회전하는 흐름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 유입구의 끝단에는 앞서 설명된 제1 이송관(200)의 선회부(210)와 같은 구성의 선회부(미설명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탱크(300)는 실시 예로서 상기 메인 탱크는 내부의 압력 값을 측정하고, 압력 값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압력 게이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메인 탱크(3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펌프(100)의 가동속도를 줄여 물과 미세 공기의 공급량을 줄이고, 상기 메인 탱크(300)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면 반대로 상기 펌프(100)의 가동속도를 증가시켜 물과 미세 공기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메인 탱크(300)는 상기 서브 탱크(500)의 제5 유입구(510)측으로 연결되어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관(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관(340)은 상기 메인 탱크(300) 내부로 물과 미세 공기가 계속 공급되어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제2 이송관(400)을 거치지 않고 바로 상기 서브 탱크(500)의 제5 유입구(510) 측으로 물과 미세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고, 상기 메인 탱크(3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물의 수위가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만 서브 탱크(500)의 제5 유입구(510) 측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이송관(400)은 상기 메인 탱크(300)에서 배출되는 물과 미세 공기를 이송하도록 하되, 제4 밸브(410)의 개폐를 통해 이송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이송관(400)은 상기 하나 이상 형성되는 각 배출구(32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이송관(400)에 대하여 각각 제4 밸브(410)가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이송관(400)을 통해 배출되는 물과 미세공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서브 탱크(500)는 상기 제2 이송관(400)과 연결되는 제5 유입구(510)를 통해 상기 물과 미세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부로 쏘아 올리는 상태로 유입되어 요동치는 상태로 저장하고, 제5 밸브(520)를 통해 내부 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가 유입되며, 서브 탱크(500)의 내부로 돌출된 제5 배출구(530)의 선단을 통해 물과 미세 공기가 믹싱되면서 강제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서브 탱크(500)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미세 공기를 다시 한 번 선회시키면서 공기가 분해되도록 하는 한편,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제5 밸브(520)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내부에서 요동치는 물과 미세 공기들과 함께 믹싱되어 제5 배출구(530)를 경유하여 상기 산기관(60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서브 탱크(500)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제5 밸브(520)는 닫혀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서브 탱크(500)는 실시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유입구(510)는 물을 상부로 쏘아올릴 수 있도록 끝단이 내부 중앙까지 들어와 상부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제5 배출구(530)는 선단이 상기 서브 탱크(500) 내부로 인입되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5 유입구(510)를 통해 서브 탱크(500)로 유입되는 물과 미세 공기가 직접 배출되지 않고 상기 서브 탱크 내부에서 요동한 후 제5 배출구(53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산기관(600)은 상기 서브 탱크(500)에서 배출되는 물과 미세 공기를 상기 담수조의 담수 속으로 이송시키면서 미세하게 청공된 다수개의 관통구(610)를 통해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산기관(600)은 담수조의 바닥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 개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펌프(100)와 제1 이송관(200) 사이에 연결되고, 제7 밸브(710)의 개폐를 통해 상기 펌프(100)로부터 담수조의 담수에 공기가 혼합된 물을 챔버(720)를 경유한 후 끝단의 노즐(730)을 통하여 직접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분기관(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담수조의 담수 속으로 직접 물을 빠르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4 밸브(410)를 닫고 제7 밸브(710)를 개방하면 경유하는 물이 챔버(720)에서 요동치면서 재차 공기방울을 형성하면서 노즐(730)을 통하여 직사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산기관(600)을 통해 서서히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7 밸브(710)를 닫고 제4 밸브(410)를 개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실내, 외 낚시터와 같은 담수조의 담수에 물과 함께 공급되는 공기를 미세하게 분해 믹싱한 상태로 담수 속에 공급하여 담수조에 저장된 담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면서 수조의 환경을 잔잔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물고기가 수면으로 뜨거나 폐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녹조현산을 방지함으로써, 최적의 낚시터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펌프 110: 제1 유입구
120: 공기 조절구 130: 제1 배출구
200: 제1 이송관 210: 선회부
220: 분해부
300: 메인 탱크 310: 제3 유입구
320: 제3 배출구 330: 압력 게이지
340: 보조관
400: 제2 이송관 410: 제4 밸브
500: 서브 탱크 510: 제5 유입구
520; 제5 밸브 530: 제5 배출구
600: 산기관 610: 관통구
700: 분기관 710: 제7 밸브
720: 챔버 730: 노즐

Claims (8)

  1. 담수조의 담수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물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 상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조절구가 형성되고, 공기와 함께 유입된 물을 가압하여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펌프;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과 공기를 이송하되, 상기 물과 공기가 통과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선회부와 상기 선회부를 통과한 물과 공기가 지나가면서 상기 공기가 미세하게 분해되도록 내부에 코일이 설치된 분해부가 연결 형성된 제1 이송관;
    상기 제1 이송관에서 유입되는 물과 미세 공기를 저장하되, 제3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과 미세 공기를 선회하는 상태로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제3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메인 탱크;
    상기 제3 배출구에 연결되어 저장된 물과 미세 공기를 이송하도록 하되, 제4 밸브의 개폐를 통해 이송을 제어하는 제2 이송관;
    상기 제2 이송관과 연결되는 제5 유입구를 통해 상기 물과 미세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부로 쏘아 올리는 상태로 저장하고, 제5 밸브를 통해 내부 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가 유입되며, 제5 배출구를 통해 물과 미세 공기를 배출하는 서브 탱크; 및
    상기 서브 탱크에서 배출되는 물과 미세 공기를 상기 담수조 내부로 이송하면서 미세하게 청공된 다수개의 관통구를 통해 배출하는 산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제1 유입구는 담수조의 담수 또는 지하수 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관의 절곡부에는 상기 선회부가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탱크의 제3 유입구는 내부로 돌출되면서 유입되는 물과 미세 공기가 메인 탱크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선회하도록 끝단이 일측으로 편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탱크는 내부의 압력 값을 측정하고, 압력 값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탱크로부터 상기 서브 탱크의 제5 유입구 측으로 연결되어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탱크의 제5 유입구는 내부 중앙까지 들어와 상부로 절곡되고, 상기 제5 배출구는 선단이 상기 서브 탱크 내부로 인입되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제1 이송관 사이에 연결되고, 제7 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펌프로부터 담수조의 담수 속으로 공기가 혼합된 물을 챔버를 경유한 후 끝단의 노즐을 통하여 직접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분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KR1020140042002A 2014-04-08 2014-04-08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42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002A KR101542901B1 (ko) 2014-04-08 2014-04-08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002A KR101542901B1 (ko) 2014-04-08 2014-04-08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901B1 true KR101542901B1 (ko) 2015-08-07

Family

ID=5388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0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2901B1 (ko) 2014-04-08 2014-04-08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1305A (zh) * 2016-06-29 2016-09-28 通威股份有限公司 一种渔光一体池塘循环水养殖系统
CN108575870A (zh) * 2018-03-15 2018-09-28 段江舟 圆形养殖池曝气清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335A (ja) 2000-06-30 2002-01-15 Tashizen Techno Works:Kk 微細気泡供給装置
JP2007000854A (ja) 2005-06-27 2007-01-11 Fukuhara Co Ltd 酸素ガスの溶解方法および溶解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335A (ja) 2000-06-30 2002-01-15 Tashizen Techno Works:Kk 微細気泡供給装置
JP2007000854A (ja) 2005-06-27 2007-01-11 Fukuhara Co Ltd 酸素ガスの溶解方法および溶解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1305A (zh) * 2016-06-29 2016-09-28 通威股份有限公司 一种渔光一体池塘循环水养殖系统
CN108575870A (zh) * 2018-03-15 2018-09-28 段江舟 圆形养殖池曝气清理装置
CN108575870B (zh) * 2018-03-15 2020-04-10 孙凤幼 圆形养殖池曝气清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8517U (ja) 自動給餌装置
KR101481940B1 (ko) 산소용해장치
EP20603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bubbles in a gas-liquid mixture
CN106719241A (zh) 一种便于捕鱼的养殖池
KR101542901B1 (ko) 담수조의 산소 공급장치
TW201729674A (zh) 水產養殖環境控制之系統及方法
KR20100029787A (ko) 취수구 장치
KR101493984B1 (ko) 산소용해장치
CN106719242A (zh) 一种双室水产养殖鱼池
CN206213013U (zh) 网箱内漂浮式水下投饵装置
KR101792105B1 (ko) 녹조 제거용 물 순환 장치
CN115005169A (zh) 一种鱼类养殖赶鱼装置
WO2017094647A1 (ja) 養殖用旋回流気液混合装置
KR101350893B1 (ko) 양액 자동조정 공급장치
JP2018202375A (ja) 気液混合ノズル
CN204268076U (zh) 堆浸喷流系统
KR101441868B1 (ko) 산소공급장치용 인젝터
KR20180000782U (ko) 양어장용 산소 공급장치
CN205357765U (zh) 一种育苗池饵料投喂装置
CN206325736U (zh) 一种喷洒装置
KR20150124297A (ko) 농업용 산소수 공급장치
KR101033664B1 (ko) 수조용 산소용해기
NO20180486A1 (en) Apparatus for enriching a water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CN115589975A (zh) 一种饲料投喂系统
KR200475766Y1 (ko) 폭기 및 물의 유동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