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538B1 -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2538B1 KR101542538B1 KR1020150036844A KR20150036844A KR101542538B1 KR 101542538 B1 KR101542538 B1 KR 101542538B1 KR 1020150036844 A KR1020150036844 A KR 1020150036844A KR 20150036844 A KR20150036844 A KR 20150036844A KR 101542538 B1 KR101542538 B1 KR 1015425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c
- optical fiber
- light
- band
- optical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18—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using optical methods; using charged particle, e.g. electron, beams or X-ray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5—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광섬유 루프센서를 이용함으로써, 광섬유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측면에 구비된 광입사부 마다 서로 다른 밴드패스 필터를 구비하여, 단일 광섬유로 아크 플래시가 발생되는 광입사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루프센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광섬유 구성 물질 및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내 도파 조건에 대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집속을 위한 개구수(NA) 계산에 대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플래시 수광 효율을 높이기 위한 플라스틱 광섬유의 조건을 나타낸 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크플래시 감지 광섬유 센서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흡광물질의 도포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검출수단에 마련된 광 전송기의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크 플래시 루프센서에서 광 전송기의 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측면 수광 검출용 포토 다이오드를 구비한 측면 수광 수신기의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아크 플래시 루프센서의 광 수신기의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아크 플래시 라인 센서부의 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발란스 검출기(Balanced detector)를 이용한 아크 플래시 광섬유 센서 기본 구성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발란스 검출기를 이용한 광 아크 검출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20 : 센서부 21 : 광섬유 케이블
22 : 광입사부 23 : 렌즈부
24 : 광검출수단
30 : 감시 장치 31 : 센서 수신부
32 : 표시부 33 : 설정부
34 : 이상유무 판단부 35 : 알람부
36 : 저장부 40 : 원격 서버
211 : 코어 212 : 클래드층
213 : 스크래치 패턴 214, 214a, 214b, 214c : 밴드패스 필터
215 : 자외선 흡광물질
241 : 전압전류 변환부 242 : 레이저 다이오드(LD)
243 : 동작상태 표시부 245 : 포토 다이오드(PD)
246 : 전류전압 변환증폭부 247 : 안정화 회로
248 : 감도조절 회로
Claims (7)
- 수전반,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 고압반, 저압반, 분전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제어반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의 아크 플래시를 검출하는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온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설비에서의 접촉온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루프센서로 구성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아크 플래시의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 방전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상기 하우징 내의 부분 방전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태를 제어하거나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루프센서는,
아크 검출용 광신호와 아크에 의해 변환된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섬유 케이블,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아크 검출용 광신호를 반사시키고, 아크가 발생할 경우 상기 발생한 아크에 의해 변형된 아크 검출용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소자를 구비한 렌즈부, 및,
상기 아크 검출용 광신호를 광섬유 케이블로 송신하고, 상기 광섬유케이블의 측면을 통해 수신한 아크 플래시 광신호 및 상기 렌즈부에서 반사된 아크 플래시 광신호와 상기 아크 검출용 광신호를 비교하여 그 차이신호로 아크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측면 상에는 스크래치되어 스크래치 패턴이 형성되고 밴드패스 필터로 구성되는 다수의 광입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광입사부는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광입사부의 밴드패스 필터는 아크 플래시의 파장 대역 이내의 빛을 통과시키고,
각 광입사부는 아크 플래시 파장 대역 내에서 서로 다른 대역의 밴드패스 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감시장치는 아크 플래시의 광신호를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하여, 광신호의 파장을 통해 아크 플래시가 검출되는 광입사부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입사부의 밴드패스 필터는 동일한 크기의 대역 필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광입사부를 다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동일한 그룹 내의 광입사부는 동일한 대역의 밴드패스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동일한 그룹 내에서 각 광입사부의 스크래치 패턴은 광검출수단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스크래치 패턴의 수광영역이 점진적으로 넓거나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동일한 그룹 내에서 각 광입사부의 스크래치 패턴은 광검출수단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스크래치 패턴의 식각 깊이가 순차적으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844A KR101542538B1 (ko) | 2015-03-17 | 2015-03-17 |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844A KR101542538B1 (ko) | 2015-03-17 | 2015-03-17 |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2538B1 true KR101542538B1 (ko) | 2015-08-06 |
Family
ID=5388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6844A Active KR101542538B1 (ko) | 2015-03-17 | 2015-03-17 |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2538B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37531A (zh) * | 2015-09-18 | 2015-12-09 | 成都比善科技开发有限公司 | 一种适用于弧光监测的透明光纤 |
KR101677930B1 (ko) * | 2016-05-02 | 2016-11-21 |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 누설전류 및 아크의 감시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
KR101677925B1 (ko) * | 2016-05-02 | 2016-11-29 |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 태양광 어레이의 개별감시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
KR101694414B1 (ko) * | 2016-07-29 | 2017-01-09 | 한국광기술원 |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 |
KR101695976B1 (ko) * | 2016-06-10 | 2017-01-12 | (주)한국스카다 | 아크 검출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접속반 |
KR101925271B1 (ko) | 2017-02-07 | 2018-12-05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열화 인자를 모니터링 하는 광학형 부식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그의 열화 인자 모니터링 방법 |
KR102066534B1 (ko) | 2019-05-29 | 2020-01-15 |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 저압배전반의 아크플래시 검출 광학 시스템 |
KR102066535B1 (ko) | 2019-07-04 | 2020-02-11 |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 고전압 전력 시스템의 광섬유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 시스템 |
RU2715477C1 (ru) * | 2019-04-30 | 2020-02-28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ТМО" (Университет ИТМО) | Датчик искрения |
KR102462081B1 (ko) | 2022-04-20 | 2022-11-03 | 지투파워(주) | 광섬유 프로브 방식의 온도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온도 열화 모니터링 시스템 |
EP4137827A1 (en) * | 2021-08-17 | 2023-02-22 | QIT Co., Ltd | Self-checking method and apparatus of arc detection device in power system |
EP4428550A1 (en) * | 2023-03-08 | 2024-09-11 | Pratt & Whitney Canada Corp. | Sensor for arc detec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585B1 (ko) * | 2013-09-12 | 2014-01-24 | 지투파워 (주) | 수배전반의 열화 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397946B1 (ko) * | 2013-10-11 | 2014-05-27 | 지투파워 (주) | 광섬유센서를 구비한 아크 플래시 검출장치 |
-
2015
- 2015-03-17 KR KR1020150036844A patent/KR10154253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585B1 (ko) * | 2013-09-12 | 2014-01-24 | 지투파워 (주) | 수배전반의 열화 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397946B1 (ko) * | 2013-10-11 | 2014-05-27 | 지투파워 (주) | 광섬유센서를 구비한 아크 플래시 검출장치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37531A (zh) * | 2015-09-18 | 2015-12-09 | 成都比善科技开发有限公司 | 一种适用于弧光监测的透明光纤 |
KR101677930B1 (ko) * | 2016-05-02 | 2016-11-21 |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 누설전류 및 아크의 감시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
KR101677925B1 (ko) * | 2016-05-02 | 2016-11-29 |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 태양광 어레이의 개별감시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
KR101695976B1 (ko) * | 2016-06-10 | 2017-01-12 | (주)한국스카다 | 아크 검출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접속반 |
KR101694414B1 (ko) * | 2016-07-29 | 2017-01-09 | 한국광기술원 |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 |
KR101925271B1 (ko) | 2017-02-07 | 2018-12-05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열화 인자를 모니터링 하는 광학형 부식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그의 열화 인자 모니터링 방법 |
RU2715477C1 (ru) * | 2019-04-30 | 2020-02-28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ТМО" (Университет ИТМО) | Датчик искрения |
KR102066534B1 (ko) | 2019-05-29 | 2020-01-15 |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 저압배전반의 아크플래시 검출 광학 시스템 |
KR102066535B1 (ko) | 2019-07-04 | 2020-02-11 |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 고전압 전력 시스템의 광섬유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 시스템 |
EP4137827A1 (en) * | 2021-08-17 | 2023-02-22 | QIT Co., Ltd | Self-checking method and apparatus of arc detection device in power system |
EP4137827B1 (en) * | 2021-08-17 | 2025-02-05 | QIT Co., Ltd | Self-checking method and apparatus of arc detection device in power system |
KR102462081B1 (ko) | 2022-04-20 | 2022-11-03 | 지투파워(주) | 광섬유 프로브 방식의 온도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온도 열화 모니터링 시스템 |
EP4428550A1 (en) * | 2023-03-08 | 2024-09-11 | Pratt & Whitney Canada Corp. | Sensor for arc detection |
US12196800B2 (en) | 2023-03-08 | 2025-01-14 | Pratt & Whitney Canada Corp. | Sensor for arc dete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2538B1 (ko) |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 |
KR101397946B1 (ko) | 광섬유센서를 구비한 아크 플래시 검출장치 | |
US8803069B2 (en) | Electro-optical radiation collector for arc flash detection | |
US8988669B2 (en) | Power monitor for optical fiber using background scattering | |
JP5571782B2 (ja) | アーク閃光検出システム | |
AU2009293077B2 (en) | Arc flash protection with self-test | |
EP2270944B1 (en) | Arc flash detector | |
US20170138999A1 (en) | Arc flash detection device having optic fiber sensor | |
US818498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fiber-optic monitoring of spatially distributed components | |
KR101197021B1 (ko) | 아크 플래시 감지 장치가 구비된 고ㆍ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 | |
US6104297A (en) | Corona discharge detection system | |
Pagare et al. | Simul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arc guard systems | |
KR102026452B1 (ko) | 전력설비의 아크 발생 위치 검출 장치 | |
WO2002021657A1 (en) | Fiber optic light sensor system | |
KR101695976B1 (ko) | 아크 검출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접속반 | |
KR102066534B1 (ko) | 저압배전반의 아크플래시 검출 광학 시스템 | |
KR101819446B1 (ko) | 광 선로 감시 시스템 | |
EP2144207A1 (en) | Optical fiber anti-intrusion system | |
KR101210465B1 (ko) | 고장점 탐지기 일체형 광 파워메타 | |
CN203811294U (zh) | 一种衰减自补偿的光纤拉曼电缆温度监测与报警系统 | |
CN213781166U (zh) | 一种新型电缆沟火灾预警实时监测系统 | |
CN104426602A (zh) | 一种光纤时域反射仪 | |
KR102550804B1 (ko) | 아크 플래시 발생 위치 검출 시스템 | |
KR20220121037A (ko) | 아크 감지 장치 | |
CN113820038A (zh) | 一种光纤探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3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