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329B1 - Temporary bridge - Google Patents
Temporary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5329B1 KR101545329B1 KR1020130108750A KR20130108750A KR101545329B1 KR 101545329 B1 KR101545329 B1 KR 101545329B1 KR 1020130108750 A KR1020130108750 A KR 1020130108750A KR 20130108750 A KR20130108750 A KR 20130108750A KR 101545329 B1 KR101545329 B1 KR 1015453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support
- tension
- steel plate
- support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에 관한 것으로, 지보재와 거더가 연결되는 지점부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정모멘트와 부모멘트를 축소하고, 강바닥판의 다양한 조립을 통해 용이하게 거더를 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2개 이상의 지보재(10,20)와; 다수의 강바닥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보재 위에 설치되는 거더(30)와; 상기 지보재와 상기 거더가 연결되는 지점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거더와 지보재에 긴장 가능하게 설치되며 긴장력에 의해 상기 지보재와 상기 거더를 고정하여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긴장 강봉(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긴장 강봉은 상부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으면서 긴장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지보재에 고정된 고정브래킷에 연결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ridge for reinforcing a fulcrum portion by tension, and is a bridge for connecting a girder to a girder by reducing the moment of inertia and the momentum by introducing a tensional force at a point where the girder and the girder are connected, .
The prefabricated bridge for reinforcing the fulcrum portion by ten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or more support members 10, 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girder 30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teel plates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material; The tension bar is fixed to the girder and the girder by vertically tighten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irder and the girder, ). ≪ / RTI > The tense steel bar is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fixed to the support, while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cess formed in the bottom plate so as to be tense withou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보재와 거더가 연결되는 지점부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정모멘트와 부모멘트를 축소하고, 강바닥판의 다양한 조립을 통해 용이하게 거더를 시공할 수 있는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apable of reducing the moment of inertia and the momentum by introducing a tension force at a point where the girder is connected to the girder, In which the fulcrum portion is reinforced by means of an adhesive.
가설 교량은 도로 공사 시 우회도로의 확보, 본 교량의 보수공사 시 차량의 우회횡단, 통행이 심한 도로의 횡단육교, 항만시설에 따른 작업용 교량 등 다양한 용도로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Hybrid bridges are installed and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ensuring bypass roads during road construction, crossing of vehicles when repairing the bridge, crossing overpasses of roads with heavy traffic, and bridges for working according to port facilities.
종래 기술에 의한 가설 교량의 설치방법은 빔을 서로 연결하여 가설벤트(지보재)를 세우고 그 위에 I형 거더 등을 거치하여 가설벤트와 일체로 용접하여 가설교량을 설치한 후에 그 위에 복공판 또는 철판을 설치하여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할 수 있게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가설교량은 지간이 통상적으로 5.0 ~ 8.0m 정도로 짧기 때문에 현장적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폭우로 인한 홍수시 지간이 짧은 가설 교량에 부유 물질이 걸리게 되어 통수단면의 감소를 가져와 하천이 범람한 우려가 있으며 유속이 빠른 횡하중에 의하여 가설 교량이 전도, 유실될 우려가 있어 지간이 긴 가설 교량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stalling a temporary bridge, a plurality of 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temporary vent, and an I-shaped girder is mounted thereon. Then, the temporary bridge is integrally welded with the temporary vent, And a method of temporarily installing the vehicle so that a vehicle or a person can pass through the bridge is used.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uspension bridge has a short span of usually 5.0 to 8.0 m, there is a problem that application to the field is considerably deteriorat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iver is flooded due to the decreas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assageway due to the suspended material being caught in the short-span bridge due to the flood during the flood period due to the shortage of the bridge. .
근래의 장지간 가설 교량의 시공에는 주로 긴장재나 강선을 활용한 프리스트레스 시공법이 주로 사용되며, 프리스트레스 시공법은 I형 거더의 하단에 긴장재와 정착장치를 구비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는 공법으로, 대략 30 내지 35미터 정도의 장지간 가설 교량이 가능해진다.Recently, prestressing method using tension material or steel wire is mainly used for construction of long interspaces, and prestressing method is a method of introducing tension force by providing tension material and fixing device at the lower end of I- A bridge of a length of about a meter can be realized.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프리스트레싱의 도입에 한계가 있고, 어느 정도 응력상쇄는 가능하지만 긴장재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는 I형 거더의 강성증대를 기대할 수가 없고, 거더의 정모멘트부와 부모멘트부에 동일한 규격의 I빔이 적용되므로, 가설교량의 처짐과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가 없으므로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즉, 응력상으로는 장지간이 가능하나 I형 거더의 강성이 적어 상대적으로 처짐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제약을 받는다.However, this method has limitations on the introduction of prestressing, and it is possible to cancel the stress to some extent. However, it is not expect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I-type girder due to the introduction of prestress by the tensional material. Since the I beam is applied, it can not effectively cope with the deflection and vibration of the hypothetical bridge, so there are many restrictions in use. In other words, although it is possible to use a large girder in terms of the stress, since the rigidity of the I-girder is low, relatively large deflections are generated.
이에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지점부의 I형 거더에 겹침보를 적용하여 처짐을 줄이는 장지간 가설 공법(특허등록 제10-0547484호)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론적으로 겹침보의 중립축에는 응력이 작용하지 않고, 겹침보의 제작에 따른 시공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등 경제적으로 불리하고, 가설 교량이 시공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reduce the deflection by applying overlapping beams to the I - shaped girder where the moment is generated. However, theoretically, no stress acts on the neutral axis of the overlapping beam, It is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of the overlapped beam, and the construction of the temporary bridge becomes complicated.
또한, 겹침보에 의해 처짐을 줄인다 하여도 거더와 지보재간의 결속력이 약하여 거더에 발생하는 부모멘트를 축소하지 못하여 거더의 상부에는 압축력이 가해지는 한편 저부에는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거더와 지보재간의 결속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deflection is reduced by the overlapping beam,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girder and the support material is weak, so that the momentum generated in the girder can not be reduced, so that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irder,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bottom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nd between the electrodes is destroy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더와 지보재가 연결되는 지점부를 긴장력에 의해 보강하여 정모멘트와 부모멘트를 축소할 수 있는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bridge which reinforces a fulcrum portion to which a girder and a support are connected by a tensional force, There is a purpos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바닥판의 조립에 의해 거더를 조립식으로 시공하여 시공성을 향상하려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workability by assembling a girder by assembling a steel plate.
본 발명에 의한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2개 이상의 지보재와; 다수의 강바닥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보재 위에 설치되는 거더와; 상기 지보재와 상기 거더가 연결되는 지점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거더와 지보재에 긴장 가능하게 설치되며 긴장력에 의해 상기 지보재와 상기 거더를 고정하여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긴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fabricated bridge for reinforcing the fulcrum portion by ten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or more support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girder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teel plates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And at least one tension member arranged vertically on a fulcrum portion where the support member and the gird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being capable of tensioning the girder and the support member and fix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girder by a tension force, .
상기 긴장재는 상부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으면서 긴장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지보재에 고정된 고정브래킷에 연결되는 긴장 강봉, 강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The tension member is one selected from a tensile steel bar and a steel bar which are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fixed to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bottom plate and is not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so as to be tense .
바람직하게, 상기 지보재의 상부와 상기 거더의 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보재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거더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거더 받침을 포함한다.Preferably, one or more girder supports interposed between the top of the support and the bottom of the girder support the support to support the girder.
상기 거더는 복공판이 배제된 강바닥판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girder is formed by assembling a steel plate without a liner plate.
본 발명에 의한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에 의하면, 거더와 지보재를 고정함과 더불어 긴장재를 통해 거더와 지보재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거더와 지보재가 연결되는 지점부를 보강함으로써 정모멘트와 부모멘트를 축소하므로 조립식 가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지간을 늘릴 수 있으므로 시공비의 절감 및 공기의 단축이 가능하고, 단경간은 물론 장경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bridge which reinforces the fulcrum portion by the t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the girder and the support material and reinforcing the fulcrum to which the girder and the support are connected by introducing the tension to the girder and the support material through the ti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prefabricated bridges and to increase the span of the bridges so that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air can be shortened.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강바닥판을 조립하여 거더를 시공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by assembling the girders by assembling various types of steel plates.
또한, 거더의 간격을 넓게 하여 거더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경우(도 5), 운반로의 제약으로 거더의 간격을 좁게 할 경우(도 6), 거더간 사이에 작업구가 필요한 경우(도 7, 도 8) 등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강바닥판을 적용함으로서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interval between the girders is minimized to minimize the number of the girders (Fig. 5), the interval between the girders is narrow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onveying route (Fig. 6) 8). The application of various types of riverbed plates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is excellent in the field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에 적용된 긴장 강봉의 설치 상태도.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에 적용된 거더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의 정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ing structure for reinforcing a fulcrum portion by tension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ing structure for reinforcing a fulcrum portion by tension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tense steel bar applied to a prefabricated bridge bridging a fulcrum portion by tension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to Fig. 7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 girder applied to a prefabricated bridging which reinforces a fulcrum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front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that reinforces a fulcrum portion by tension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front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that reinforces a fulcrum portion by tension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실시예 1>≪ Example 1 >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제1,2지보재(가설벤트)(10,20)와; 제1,2지보재(10,20) 위에 올려지는 거더(30)와; 거더(30)의 상면에 형성되는 포장층(40)과; 거더(30)의 양측에 세워지는 난간(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2지보재(10,20)와 거더(30)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긴장력에 의해 제1,2지보재(10,20)와 거더(30)의 양측을 견고하게 보강하는 긴장재의 긴장 강봉(60)에 의해 구성되는 단경간 가교용이다.As shown in FIG. 1, the prefabricated bridges that reinforce the fulcrum portion by ten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temporary vent) 10, 20 that are erec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A
제1지보재(10)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며, 하천의 바닥에 정착되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기둥재(11)(H형 빔, 원형 등의 강관 등), 기둥재(11)들을 연결하는 연결재(12)(H형 빔, I형 빔, 앵글, 강관 등)로 구성되며, 연결재(12)는 종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소 이상(도면에는 2개소)에 설치된다. 아울러, 기둥재(11)와 연결재(12)의 조립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경사형 보강재(13)가 적용될 수 있다.The
제2지보재(20)는 제1지보재(10)와 동일한 구성으로, 기둥재(21), 연결재(22), 경사형 보강재(23)로 구성된다.The
거더(30)는 제1,2지보재(10,20) 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 거더 받침(100)(H 빔, 앵글, 박스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함)을 통해 설치되어 가교의 바닥부를 조성하며, 긴장강봉(60)에 의해 긴장력이 도입되면 거더(30)의 단부를 거더 고정빔(70)에 앵글(73)을 통하여 고정한다.The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거더 고정빔(70)은 I형 빔, H형 빔 등으로 설치 상태 기준으로 I 형태이며, 좌우 양측에는 고정과 보강을 위한 보강판(71)이 결합되는 구성이고, 하부의 플랜지는 제1지보재(10)의 상부에 체결구(볼트와 너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부는 앵글(73)을 매개로 하여 거더(30)에 고정된다. 앵글(73)은 ㄷ형상, ㄱ형상의 구조이며 상부의 플랜지는 거더(30)의 저면에 체결구(볼트와 너트)(74)로 고정되고 수직부는 거더 고정빔(70)의 보강판(71)에 체결구(볼트와 너트)(75)나 용접으로 고정된다.As shown in FIG. 3, the
물론, 거더 고정빔(70)은 앵글(73)을 사용하지 않고 거더(30)의 저면에 직접 체결구로 고정될 수 있다.Of course, the
본 발명의 거더(30)는 다양한 형태의 강바닥판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먼저 긴장재의 긴장 강봉(60)에 의한 제1,2지보재(10,20)와의 조립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The
거더(30)는 제1,2지보재(10,20)의 상부에 제1,2지보재(10,20)와 직교하는 횡방향으로 배열되며, 긴장 강봉(60)은 제1,2지보재(10,20)와 거더(30)의 조립 및 긴장을 위하여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부는 거더(30)에, 하부는 제1,2지보재(10,20)에 각각 고정되고, 이때, 상부와 하부 중 일측 이상은 긴장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The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긴장 강봉(60)은 원형, 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고, 거더(30)와 제1지보재(10)를 관통 설치[거더(30)와 제1지보재(10)의 구조에 따라 긴장 강봉(60)이 설치되는 곳이 막힌 경우 구멍을 형성하여 긴장 강봉(60) 설치]하면서 상부와 하부를 각각 거더(30)와 제1지보재(10)에 고정한다.3, the
예컨대 긴장 강봉(6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나사선을 갖는 정착부(61,62)를 구성하고, 거더(30)에는 긴장 강봉(60)의 상부의 정착부(61) 및 인장구(63)(너트 형태 등 다양한 형태 가능)가 수용되는 오목부(31)가 형성되어 긴장 강봉(60)의 상부가 거더(30)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즉, 인장구(63)는 오목부(31)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긴장 강봉(60)을 긴장한다.The
하부의 정착부(62)는 고정 브래킷(65)을 매개로 하여 제1지보재(10)에 정착된다. 고정 브래킷(65)은 하부의 정착부(62)를 제1지보재(10)에 직접 정착할 수 없는 경우 적용되는 것이며, 제1지보재(10)의 기둥재(11)에 체결구(볼트와 너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다.The
고정 브래킷(65)은 H형 빔, I형 빔, 앵글, 판재의 조합, H형 빔 또는 I형 빔 또는 앵글과 판재의 조합 등으로 구성된다.The
하부의 정착부(62)는 고정 브래킷(65)을 관통하며 인장구(64)는 고정 브래킷(65)의 저면에 지지되면서 하부의 정착부(62)에 고정된다.The
긴장 강봉(60)의 설치 위치와 수량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the
긴장 강봉(60)은 긴장재의 일 예이며, 긴장이 가능한 강선 등으로도 대체 가능하다.The
이와 같은 긴장 강봉(60)에 의한 제1,2지보재(10,20)와 거더(30)의 연결에 의하면 양측의 부모멘트부를 보강하여 정모멘트를 축소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이하 거더(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거더(30)는 바닥판과 주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형의 저면은 바닥판의 저부로 돌출될 수도 있고, 바닥판의 저부와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The
1. 외측 2주형 강바닥판으로 구성되는 거더.1. Girders composed of outer two-plate steel plate.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강바닥판(31)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a combination of the
강바닥판(31)은 바닥부(31a) 및 바닥부(31a)의 저면의 좌우 양측 단부에 저부를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2주형부(31b,31c)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강바닥판(31)은 일정 두께를 갖는 박스 형태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판, 하판, 측판의 조합, I형 빔이나 H형 빔과 판재가 결합된 조합으로 구성된다.The
거더(30)는 다수의 강바닥판(31)들이 서로 밀착되면서 이웃하는 부분[이웃하는 제1,2주형부(31b,31c)와 바닥부(31a,31a)]에 체결구(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조립되거나 용접 고정된다.
The
2. 켄틸레버 2주형 강바닥판으로 구성되는 거더.2. A girder consisting of a cantilever 2 cast steel plate.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강바닥판(32)은 바닥부(32a) 및 바닥부(32a)의 저면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는 곳에 저부로 돌출 형성되는 제1,2주형부(32b,32c)로 이루어져, 제1,2주형부(32b,32c)의 양측이 돌출된 켄틸레버형이다.5, the
이와 같은 구성의 강바닥판(32)은 다수개가 이웃하는 부분[바닥부(32a,32a)]이 체결구로 체결되거나 용접으로 조립된다.In the
본 예에 따르면, 거더(20)의 간격을 넓게 하여 거더(30)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interval between the
3. 켄틸레버 1주형 강바닥판으로 구성되는 거더.3. A girder consisting of a cantilever 1 cast steel plate.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강바닥판(33)은, 바닥부(33a) 및 바닥부(33a)의 저면의 중앙에 저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하나의 주형부(33b)로 이루어져, 주형부(33b)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이 돌출된 켄틸레버형이다.6, the
이와 같은 구성의 강바닥판(33)은 다수개가 이웃하는 부분[바닥부(33a,33a)]이 체결구로 체결되거나 용접으로 조립된다.In the
운반로의 제약으로 거더(30)의 간격을 좁게 할 경우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o narrow the interval of the
4. 제1,2강바닥판의 조합에 의한 거더.4. Girder by combination of 1st and 2nd steel plate.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거더(30)는 받침부를 갖는 제1강바닥판(34)과 제2바닥판(35)의 조합(다수개가 교대로 하여 반복되어 조립)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제1강바닥판(34)은 바닥부(34a) 및 바닥부(34a)의 저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2주형부(34b,34c)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바닥부(34a)와 제1,2주형부(34b,34c)의 사이에 받침부(34d)가 각각 형성되도록 제1,2주형부(34b,34c)는 상기 바닥부의 옆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바닥부(34a)를 측벽으로 하며 제1,2주형부(34b,34c)를 바닥부로 하는 받침부(34d)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제2강바닥판(35)은 주형부가 없는 박스형의 구조이며 양측이 이웃하는 제1강바닥판(34)의 받침부(34d)에 각각 안착되면서 체결구 또는 용접으로 조립된다.The
거더(30)간 사이에 작업구가 필요한 경우 등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강바닥판을 적용함으로서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다.
When a work platform is needed between girders (30), various types of steel plate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5. 제1,2강바닥판의 끼움식 조합에 의한 거더.5. Girder by fitting method of 1st and 2nd steel plate.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끼움홈이 구비된 제1강바닥판(36)과 제2강바닥판(37)의 조합(다수개가 교대로 하여 반복되어 조립)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a combination of a
제1강바닥판(36)은 끼움홈(36b)이 구비된 바닥부(36a) 및 바닥부(36a)의 저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2주형부(36c,36d)로 구성된다. 끼움홈(36b)은 바닥부(36a)와 제1,2주형부(36c,36d)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닥부(36a)의 상판과 바닥판을 측판보다 길게 하여 상기 상판과 바닥판 및 측판 사이에 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끼움홈(36b)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2강바닥판(37)은 제1강바닥판(36)의 끼움홈(36b)과 제1,2주형부(36c,36d)가 없는 박스형의 구조이며, 양측이 이웃하는 제1강바닥판(36)의 끼움홈(36b)에 삽입 및 체결구 등을 통해 조립된다.The
거더(30)간 사이에 작업구가 필요한 경우 등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강바닥판을 적용함으로서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다.
When a work platform is needed between girders (30), various types of steel plate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실시예 2>≪ Example 2 >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는, 연속 경간 조립식 가교로서, 제1,2지보재(10,20) 사이에 제3지보재(8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8, the prefabricated bridges that reinforce the fulcrum portion by the t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ntinuous span prefabricated bridges, and a
거더(30)는 제1,2,3지보재(10,20,80)와 각각 하나 이상의 긴장 강봉(60)으로 연결되어 제1,3지보재(10,80)와 제3,2지보재(80,20) 사이에서 정모멘트를 축소하고 제3지보재(80)에서 부모멘트를 축소할 수 있다.The
제3지보재(80)와 거더(30) 등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고, 긴장 강봉(60)에 의한 거더(30)와 제3지보재(80)의 연결 구조도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The structure of the
<실시예 3>≪ Example 3 >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는, 연속 경간 조립식 가교로서 교하 공간의 여유가 많은 경우 제3지보재(80)에 제3지보재(80)보다 폭이 넓은 지지브래킷(90)을 적용한 것이다.As shown in FIG. 9, the prefabricated bridges that reinforce the fulcrum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ntinuous span prefabricated bridges. When the margin of the bridging space is large, the
지지브래킷(90)은 제3지보재(80)의 상부에 올려지는 수평재(91), 수평재(91)와 제3지보재(80)를 연결하는 경사형 보강재(9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수평재(91)의 상부에는 거더 받침(100)이 설치되어 지지브래킷(90)을 통해 거더(30)를 지지하고, 긴장 강봉(60)은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거더(30)와 제3지보재(80)를 결속한다.A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브래킷(90)에 의해 지간 길이를 축소할 수 있고 적은 긴장력에 의해서도 거더(30)와 제3지보재(80)를 결속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ing
10,20 : 제1,2지보재, 30 : 거더
40 : 포장층, 50 : 난간
60 : 긴장 강봉, 70 : 거더 고정빔
100 : 거더 받침,10,20: 1st and 2nd support materials, 30: girder
40: packing layer, 50: railing
60: tension steel bar, 70: girder fixing beam
100: girder support,
Claims (9)
다수의 강바닥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보재 위에 설치되는 거더(30)와;
각각 상부와 하부에 나사선을 갖는 정착부가 구비된 긴장 강봉과 강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지보재와 상기 거더가 연결되는 지점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상부와 하부의 정착부가 각각 상기 거더와 지보재에 관통된 후 너트형의 인장구가 상기 상부와 하부의 정착부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긴장력에 의해 상기 지보재와 상기 거더를 고정하여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긴장재와;
상기 지보재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거더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거더 받침(100)과;
상기 거더 받침과 이격되면서 상기 지보재와 거더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긴장재에 의한 긴장 후에 상기 지보재와 거더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긴장재를 통해 서로 긴장된 상태의 상기 지보재와 거더를 고정하는 고정빔(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
Two or more support memb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 girder 30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teel plates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material;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upper and lower fixing parts to the girder and the support material,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fixing parts being disposed on the supporting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and the girder, And one or more tension members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girder by a tension force by being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mbers, respectively,
A girder support (100) which is seated on the support material and supports the girder at a bottom portion thereof;
A fixing beam 70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gird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irder support and fixed to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girder after being strained by the tension material and fixing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girder to each other through the tensio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fabricated bridges reinforce the fulcrum portion by tens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8750A KR101545329B1 (en) | 2013-09-10 | 2013-09-10 | Temporary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8750A KR101545329B1 (en) | 2013-09-10 | 2013-09-10 | Temporary brid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9484A KR20150029484A (en) | 2015-03-18 |
KR101545329B1 true KR101545329B1 (en) | 2015-08-19 |
Family
ID=5302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8750A KR101545329B1 (en) | 2013-09-10 | 2013-09-10 | Temporary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532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4100B1 (en) | 2016-04-12 | 2016-10-11 | 주식회사 세흥 | Prefabricated temporary bridg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78669B (en) * | 2019-03-04 | 2021-03-12 | 重庆交通大学 | Liftable floating bridg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0067B1 (en) * | 2010-01-18 | 2010-09-03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Temporary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23008B1 (en) * | 2010-11-23 | 2011-03-31 | 한규승 | Prestressed steel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emporary bridge using them |
-
2013
- 2013-09-10 KR KR1020130108750A patent/KR10154532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0067B1 (en) * | 2010-01-18 | 2010-09-03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Temporary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23008B1 (en) * | 2010-11-23 | 2011-03-31 | 한규승 | Prestressed steel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emporary bridge using th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4100B1 (en) | 2016-04-12 | 2016-10-11 | 주식회사 세흥 | Prefabricated temporary bri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9484A (en) | 2015-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1637B1 (en) | Constrution methoed for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using steel truss member | |
KR100555244B1 (en) |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of having used i beam for structure reinforcement and this to which rigidity increased | |
CN113152283A (en) | Construction method of cantilever or large-crotch-diameter support system of prefabricated small box girder type hidden cover beam of road bridge | |
KR101164935B1 (en) | Bridge for bicycle | |
KR101366903B1 (en) | Girder having truss s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and pedestrian overpass using it | |
JP4310444B1 (en) | Width expansion material for road bridges | |
KR101120672B1 (en) | Assembly a girder bridge | |
WO2011122466A1 (en) | Suspension bridge stiffening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uspension bridge stiffening girder | |
JP4897643B2 (en) |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steel slab girder bridge | |
KR100569028B1 (en) | Box-type temporary bridge | |
KR101129502B1 (en) | Synthetic girder of i type | |
JP4585614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synthetic steel slab bridge, ribbed steel slab, and synthetic steel slab bridge | |
KR101545329B1 (en) | Temporary bridge | |
KR101347555B1 (en) | Method for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KR102403925B1 (en) | A temporar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temporary bridge | |
KR102163560B1 (en) | Girdir and bridge having soundproof wall using the same | |
KR100615471B1 (en) | Steel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s using a steel composite horizontal beam | |
KR101447723B1 (en) | Assembly temporary bridge using all-in-one floor plate and girder | |
KR101351806B1 (en)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with longitudinal and transverse pre-moment girder | |
KR101583401B1 (en) | The continuous hybrid girder consist of concrete block and steel block which is can add prestress by gap difference between top and bottom of connection face of blocks | |
KR101439947B1 (en) | Bridge using girder with ring plate and bracket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JP6740846B2 (en) | Floor slab replacement structure and floor slab replacement construction method | |
KR20080100976A (en) | Temporary bridge with truss type sub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2004225290A (en) | Composite floor-slab girder | |
KR20170139873A (en) | Coupling structure of double type for girder and column capable of reducing girder heig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