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31527B1 - 무선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527B1
KR101531527B1 KR1020137018383A KR20137018383A KR101531527B1 KR 101531527 B1 KR101531527 B1 KR 101531527B1 KR 1020137018383 A KR1020137018383 A KR 1020137018383A KR 20137018383 A KR20137018383 A KR 20137018383A KR 101531527 B1 KR101531527 B1 KR 101531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less power
wireless
electronic device
saving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793A (ko
Inventor
김재홍
이해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0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H02J2310/64The condition being economic, e.g. tariff based load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1General power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무선전력 공급 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에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는, 적어도 전력요금 정보 또는 전력수요 정보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기기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무선전력을 해당 전자 기기내 사용가능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기기는 상기 수신된 전력정보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을 판단하고,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 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 중지를 요청하고, 전력절전 구간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무선전력 공급시에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무선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WIRELESS POWER}
본 출원은 무선전력 공급 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래 일반적인 아날로그(analog) 전력망(grid)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킨 새로운 전력망 개발이 논의중이다. 상기 새로운 디지탈 전력망은 정보 통신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전력 정보(power information)를 실시간으로 쌍방향 통신을 통해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개발이 진행중이다. 예를 들어, 널리 지능형 전력망으로 불리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기술도 이에 따라 개발중인 전력망 기술중의 하나라 할 것이다. 이하, 본 출원에서 언급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 '스마트 그리드' 또는 '전력 네트워크'는 상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지능형 전력망의 일 예를 의미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지능형 전력망을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관련하여,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 가능한바, 예를 들어 널리 활용되는 인터넷망 또는 전력선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을 통해서도 구현가능하고, 또는 별도의 새로운 전력 정보망을 규격화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형 또는 고정형의 다양한 무선 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가 개발됨에 따라, 상기 무선 전자 기기에 전원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많은 논의가 진행중이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전송 기술에 대한 국제적인 규격을 주도하는 무선 전력 협회(wireless power consortium)가 결성되어, 무선전력 전송 기술에 대한 많은 논의가 진행중이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 질수록 상기 전자 기기에서의 전기사용 절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실정이다. 특히 효율적인 전력 사용을 통한 전기사용 절감에 대한 논의도 이에 포함되어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이 본격적으로 태동되는 시기임에도, 아직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를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시에 전력 사용 절감에 대한 해결책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내의 다양한 전력정보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전력사용이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내에 보조전력 저장수단 (예, 배터리 battery)을 구비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를 활용한 효율적인 무선충전 제어 방법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출원은 전력 정보를 활용한 효율적인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상기 제어 방법이 적용된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무선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전력 정보를 활용한 효율적인 무선전력 충전 제어 방법 및 상기 제어 방법이 적용된 무선충전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는, 적어도 전력요금 정보 또는 전력수요 정보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무선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무선전력을 해당 전자 기기내 사용가능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와, 상기 수신된 전력정보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을 판단하고,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 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 중지를 요청하고, 전력절전 구간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력요금 정보로부터 고액과금 구간으로 판단되는 구간이거나 또는 전력수요 정보로부터 과수요로 판단되는 구간을, 상기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액과금 구간 또는 과수요 구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내 보조 전력으로 사용되는 보조전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력부내의 전력은 전자기기의 최소(minimum) 동작 수행만을 위해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절전 구간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사용자 알림 메세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내 보조 전력으로 사용되는 보조전력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력 저장부내의 보조전력은 전자기기의 주(main) 동작 수행에 활용되고 충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절전 구간 여부 및 보조전력량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사용자 알림 메세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 이후, 사용자의 무선전력 전송 명령 또는 무선전력 전송 중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 요청 또는 무선전력 전송 중지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를 제공함에 있어,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하고 보조전력량이 충분한 경우,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하고 보조전력량이 부족한 경우,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하지 않고 보조전력량이 충분한 경우, 및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하지 않고 보조전력량이 부족한 경우, 각각에 대해 상이한 알림 메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보조전력 저장부내의 보조전력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보조전력량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함에 의해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은, 적어도 전력요금 정보 또는 전력수요 정보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전력정보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력절전 구간 판단에 근거한 알림 메세지를 디스플레이 일측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력절전 구간 판단 및 전자 기기내 충전가능한 보조전력량에 근거한 알림 메세지를 디스플레이 일측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알림 메세지에 근거한 사용자 무선전력 전송 요청 또는 무선전력 전송 중지 요청중 어느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는, 적어도 전력요금 정보 또는 전력수요 정보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무선전력 공급 대상 전자 기기에 무선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전력 생성부, 상기 수신된 전력정보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을 판단하되, 상기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 되면, 상기 전자 기기에 무선전력 공급 계속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무선전력 전송 요청 명령을 수신하면, 무선전력을 상기 전자 기기에 공급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 되지 않으면, 무선전력을 상기 전자 기기에 공급하되,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무선전력 전송 중지 명령을 수신하면 무선전력 전송을 중지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는 전원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스위칭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전력 생성부로 외부 전원이 제공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대상 전자 기기에 무선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서의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은, 적어도 전력요금 정보 또는 전력수요 정보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전력정보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 되면, 상기 전자 기기에 무선전력 공급 계속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무선전력 전송 명령을 수신하면 무선전력을 상기 전자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 되지 않으면, 무선전력을 상기 전자 기기에 공급하되,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무선전력 전송 중지 명령을 수신하면 무선전력 전송을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무선전력 공급시의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을 활용한 전력 사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의 사용 태양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의 사용 태양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서의 무선전력 전송 제어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 2의 전자 기기의 내부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 6의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전력 전송 제어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알림 메세지의 일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 3의 전자 기기의 내부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 10의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전력 전송 제어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 ~ 도 1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알림 메세지의 일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서 제공되어 지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제공되는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을 활용한 전원 사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1은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10)에 접속된 특정의 수용가 네트워크(20)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용가 네트워크(20)내에는 다양한 전자 기기들(21~27)이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에어컨(22), 냉장고(23), 티브이(24), 세탁기(25), 휴대형 모바일 기기(26) 및 무선전력 공급기(27) 등이 존재가능하고, 상기 전자 기기들의 전력 사용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서버(21)가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관련하여,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10)에 접속된 수용가 네트워크(20)에 접속된 무선전력 공급기(27)와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간의 무선전력 전송 방법에 대한 것이다.
관련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는 그 대상에 제한이 없으며,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력수신부를 구비한 모든 전자 기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두가지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해당 전자 기기내에 독립적인 전력으로 활용되는 보조전력 저장수단(예, 배터리)이 없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무선전력만을 주 전력으로 활용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도 1의 티브이(24) 또는 스마트 서버(21)등이 이에 해당 될 수 있다. 단, 주 전력 사용이 아니고, 사용자 명령 수신 또는 전원 온/오프와 같은 최소한의 사용 동작을 위한 소량 전력원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둘째, 해당 전자 기기내에 별도의 보조전력 저장수단(예,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에 무선전력를 활용하여 충전하여 독립적인 전력으로 활용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도 1의 휴대형 모바일 기기(26)가 이에 해당 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을 위해 상기 무선전력 공급기(27)를 무선전력 공급 장치로, 상기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간략히 '전자 기기'로 명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 및 전자 기기(400)의 사용 태양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2의 실시예는 무선전력을 공급받은 전자 기기(400)에서 상기 공급받은 무선전력을 내부 전력으로 활용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는 적어도 외부 전원(50)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접속단자(320)와 무선전력 생성부(31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무선전력 생성부(320)(이를, '무선전력 패드'로 명명하기도 한다)를 통해 발생한 무선전력(310a)이 해당 전자 기기(400)내의 무선전력 수신부(410)에 의해 수신되어 지고, 해당 전자 기기에서 사용가능한 전력으로 변환되어 활용되어 진다. 관련하여, 무선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와 무선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전력으로 사용하는 전자 기기(400)간에는 무선전력 공급 방식에 대한 기술 표준이 공유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무선전력 공급 방식으로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에서 전기 에너지를 자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공급하고, 전자 기기(400)는 상기 공급받은 자기 에너지를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무선전력 공급 원리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 및 전자 기기(40)의 사용 태양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3의 실시예는 무선전력을 공급받은 전자 기기(40)에서 상기 공급받은 무선전력을 내부 배터리에 충전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는 적어도 외부 전원(50)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접속단자(31)와 무선전력 생성부(32)(이를 '충전판' 또는 '충전패드'로 명명하기도 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충전패드(32)상에 무선충전을 원하는 전자 기기(40)를 올려놓으면 무선충전이 수행되어 진다. 관련하여, 무선충전을 위해서는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와 무선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전력으로 사용하는 전자 기기(40)간에는 무선충전 방식에 대한 기술 표준이 공유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무선충전 방식으로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에서 전기 에너지를 자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공급하고, 전자 기기(40)는 상기 공급받은 자기 에너지를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무선충전 원리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도 4의 무선전력 공급 장치 구성은 전술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 300)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 300)는 전원 접속단자(31)와 전원스위칭 수단(33), 무선전력 생성부(34), 통신부(35), 및 제어부(3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 상기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능별 블록으로 도시한 것으로,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단일 구성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닌 부가적인 구성요소가 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전술한 도 2의 무선전력 패드(320) 또는 도 3의 충전패드(32)는 상기 무선전력 생성부(34)와 연결되어 무선전력 공급 장치(30, 300) 외부에 구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상기 무선전력 생성부(34)는 무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로 구성되어 지며,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자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회로소자들을 전기회로 특성을 고려하여 배열/구성할 수 있다. 단, 구체적인 회로소자 배열은 본 발명 내용과 무관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35)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을 통한 전력정보를 수신가능하고, 또한 상기 전자 기기(40)와도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스위칭 수단(33)은 제어부(36)의 제어에 따라 전원 접속단자(31)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 전원이 상기 무선전력 생성부(34)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 제어부(36)는 전체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하고, 특히 후술할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이에 대해서 상게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 4에서 전술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 300)에서의 무선전력 공급 제어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내의 제어부(36)는 우선 무선전력 공급 대상 전자기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101). 예를 들어,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에서 해당 전자 기기(400)로부터 무선전력 공급 요청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패드(32) 상단에 무선전력 공급 대상 전자 기기(40)가 놓여 지면 이로부터 무선전력 공급 대상 전자 기기(40)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30, 300) 내의 통신부(35)와 전자 기기(40, 400)내의 통신부(도 6의 480, 도 10의 48)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무선전력 공급 대상 기기임을 인식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간의 근거리 통신에 활용되는 표준은 예를 들어, 직비(Zigbee)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 현재 표준화 완료되었거나, 향후 표준화될 근거리 통신 기술중 어느 방식을 변형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36)는 무선전력 공급 대상 전자기기가 존재함을 인식하면, 전력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수신된 전력정보를 분석한다(S102). 또한, 상기 S102 단계를 통해 수신된 전력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시간이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S103). 관련하여, 예를 들어, 상기 전력절전 구간 해당 여부 판단은, 고액과금 구간 또는 과수요 구간을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액과금 구간 또는 과수요 구간은 시스템에 의해 자동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구간대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예상 전력소비 요금 총액을 근거로 전력절전 구간을 자동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련하여, 상기 전력절전 구간은 전술한 스마트 서버(도1, 21)에 의해 설정되고 수용가 네트워크(20)상에 존재하는 각 전자 기기들(예, 도1, 22 ~ 27)을 통일적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전력정보는 실시간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단위로 주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정보의 종류는 적어도 전력요금 정보이거나 또는 전력수요 정보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서는 상기 전력요금 정보 및 전력수요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요금 정보란,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변동가능한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정 시간 단위로 사용 전기당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요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시간대의 전력요금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설정 기준에 따라 고액과금 구간 또는 저액과금 구간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력 제공회사는 전기 수요가 많은 시점(이를 '피크타임(peaktime)' 이라 한다)에서의 전력요금은 고액과금으로 책정하여 사용자의 전기 사용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반면, 전기 수요가 적은 시점에서의 전력요금은 저액과금으로 책정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고액과금 구간을 피해 저액과금 시간대에서의 전기 사용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전력수요 정보란,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전력수요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10)을 통해 각 수용가의 이전 전력사용 태양을 분석하거나, 또는 각 수용가로부터 제공받은 필요 전력량 정보를 근거로 산출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전력수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시간대의 전력수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설정 기준에 따라 과수요(over demand) 구간 또는 저수요(low demand) 구간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기 수요가 많은 과수요 구간에서는 상기 전력요금을 높게 책정하거나 또는 전력요금에 상관없이 별도의 인센티브(incentive) 또는 벌칙(penalty)를 부여함에 의해 사용자의 전기 사용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만약, 상기 S103단계를 통해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6)는 해당 전자기기에 전력절전 구간임을 통지하고 무선전력 전송 여부를 문의하게 된다(S104). 또한, 제어부(36)는 상기 S104 단계의 문의 결과로, 통신부(35)를 통해 무선전력 전송 지시 정보가 수신되는 지를 확인한다(S105).
만약, 해당 전자기기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무선전력 전송을 계속 요청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36)는 무선전력 전송을 시작한다(S106). 즉,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전원스위칭 수단(33)을 온(ON)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접속 단자(31)를 통한 외부 전원이 상기 무선전력 생성부(34)로 공급되어 무선 전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만약,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되므로 무선전력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명령이 수신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해당 전자 기기가 충전패드(도3, 32)상에서 일정 기준시간 이상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면(사용자가 무선충전을 포기하는 경우로 해석), 상기 제어부(36)는 무선전력 전송을 중지한다(S107). 즉,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전원스위칭 수단(33)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접속 단자(31)를 통한 외부 전원이 상기 무선전력 생성부(34)로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S104 단계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에 무선전력 전송 여부를 문의하였는데 불구하고, 일정시간 아무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현재 시간이 전력절전 구간임을 감안하여 무선전력 전송을 강제적으로 중지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만약 상기 S103단계를 통해 전력절전 구간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6)는 해당 전자기기에 무선전력 전송 시작하게 된다(S108). 즉, 예를 들어, 상기 S108 단계를 위해,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전원스위칭 수단(33)을 온(ON)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접속 단자(31)를 통한 외부 전원이 상기 무선전력 생성부(34)로 공급되어 무선 전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 상기 무선전력 전송이 진행중이라 하더라도, 해당 전자기기로부터 무선전력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명령이 수신되거나(S109), 또는 예를 들어, 해당 전자기기가 충전패드(도3, 32)상에서 일정 기준시간 이상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면(사용자가 무선충전을 포기하는 경우로 해석), 상기 제어부(36)는 무선전력 전송을 중지한다(S107). 즉,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전원스위칭 수단(33)을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접속 단자(31)를 통한 외부 전원이 상기 무선전력 생성부(34)로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 6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400)의 내부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400)는 기기내 주 사용 전력을 전술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무선전력으로 활용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따라서, 별도의 외부 전원(예, AC전원, 계통전원)을 유선으로 공급받는 전원 방식은 배제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전력 방식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AC전원 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를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도 6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400)는, 보조전력부(420), 무선전력 수신부(430), 전력변환부(440), 제어부(460), 통신부(480) 및 디스플레이부(49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 상기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능별 블록으로 도시한 것으로,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단일 구성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정 사용예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닌 부가적인 구성요소가 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보조전력부(420)는, 해당 전자 기기(400)내에서 사용되는 최소한의 보조 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이 실제 공급되기 이전에, 사용자의 파워 온(On) 명령을 인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리모컨 동작을 수신하거나, 또는 전술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와의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 이상을 저장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즉, 해당 전자 기기의 실제 동작(예, TV시청)에 필요한 메인(main) 사용전력은 전술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로부터 공급받는 무선전력을 활용하게 된다. 관련하여, 상기 보조전력부(420)는 상기 전력변환부(440)에서 제공되는 사용전력을 필요한 전력량만큼 충전하여 활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착탈 및 교환가능한 소형 배터리(예, 건전지)가 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430)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내의 무선전력 생성부(34)에 대응하여 설계되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전력변환부(44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430)를 통해 수신된 무선전력을 기기내 사용가능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440a는 기기내 전력변환부(440)을 통해 제공되는 기기내 사용전력(440a)을 의미한다.
상기 통신부(480)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10) 또는 내부 네트워크(20)을 통해 전력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단,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전력정보는 외부 제어기기 (예, 스마트 서버(도1, 21))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제어 명령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력정보는 실시간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단위로 주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정보의 종류는 적어도 전력요금 정보이거나 또는 전력수요 정보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서는 상기 전력요금 정보 및 전력수요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련하여, 상기 전력요금 정보 또는 전력수요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통신부(480)는 내부 네트워크(20)에 연결된 자체 발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자체 발전 정보는, 수용가내 자가 발전량 정보, 사용가능한 잉여 자가 발전 전력량 정보 및 현재 외부 전원부로 공급되는 전력이 자가 발전 전력인지를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60)는, 전술한 전자 기기내 각 구성 요소들(420, 430, 440, 48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통신부(48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력정보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을 판단하게 되고, 판단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4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식가능하도록 제어한다.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460)에 의한 상기 전력절전 구간 판단은, 예를 들어, 고액과금 구간 또는 과수요 구간을 해당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력절전 구간이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90)는 해당 전자 기기 자체의 고유 디스플레이 기능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알림 메세지(message)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 6에서 전술한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기기(400)에서의 무선전력 공급 제어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알림 메세지의 일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전술한 도 5의 무선전력 공급 장치내의 제어 프로세서와 도 7의 전자 기기내의 제어 프로세서는 각각 독립적인 프로세서로 진행되거나, 또는 적어도 둘 중 어느 하나의 제어 프로세서만이 동작하더라도, 전력절전 구간에 대응하는 전력 사용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400)내의 제어부(460)는, 사용자 사용 명령 여부를 수신한다(S151).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파워를 온(On) 하는 동작을 인식하면 사용자의 해당 전자 기기 사용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60)는 사용자 사용 명령이 수신되면, 전술한 전력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수신된 전력정보를 분석한다(S152). 또한, 상기 S152 단계를 통해 현재 시간이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S153). 관련하여, 예를 들어, 상기 전력절전 구간 해당 여부 판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액과금 구간 또는 과수요 구간을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S153단계를 통해 현재 시간이 전력절전 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90)의 일측에 도 8과 같은 사용자 알림 메세지(a)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S154). 도 8의 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491)는 현재 시점이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되어 무선전력 사용이 제한됨을 통보하게 된다. 단, 사용자가 전력절전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계속 전자기기의 사용을 원하는 경우에는 '무선전력 공급' 버튼(492)을 클릭하여 계속 전자기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더 이상 전자 기기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종료' 버튼(493)을 클릭하여 전자 기기의 사용을 종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무선전력 공급 버튼(492)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60)는 무선전력 사용 승인이 있음으로 판단하고(S156), 전술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에 무선전력을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게 된다(S157). 또한, 만약, 사용자가 사용종료 버튼(493)을 실행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이내에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460)는 무선전력 사용 승인이 없음으로 판단하고(S156), 전술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에 무선전력 전송을 중지 요청하게 된다(S158). 관련하여, 상기 S158 단계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아무런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서, 무선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동작으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만약 상기 S153단계를 통해 현재 시간이 전력절전 구간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90)의 일측에 도 9와 같은 사용자 알림 메세지(b)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S155). 도 9의 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494)는 현재 시점이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되지 않아, 기기 사용이 시작되고 무선전력이 공급됨을 통보하게 된다. 단, 사용자가 '사용종료' 버튼(495)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60)는 사용자가 무선 공급에 의한 해당 전자 기기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로 판단하고(S156), 전술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에 무선전력 전송을 중지 요청하게 된다(S158). 반면, 도 9의 알림 메세지(494) 이후, 일정 시간이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460)는 무선전력 사용 승인이 있음으로 판단하고(S156), 전술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0)에 무선전력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S157).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491, 492)는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예가 아닌 다양한 변형적 방법으로도 구현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40)의 내부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무선전력 공급을 받은 전자기기(40)가 내부 보조전력 저장부(46, 예를 들어, '배터리')에 공급받은 무선전력을 충전가능한 경우이다. 이하 이믈 '무선충전' 이라고도 한다. 도 10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40)는 전원접속 단자(41), 전원부(42), 보조전력 저장부(46), 충전회로부(44), 방전회로부(45), 보조전력량 확인부(47), 통신부(48), 제어부(406), 디스플레이부(50), 충전 스위칭수단(43), 무선전력 수신부(51) 및 전력변환부(5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단, 상기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능별 블록으로 도시한 것으로,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단일 구성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닌 부가적인 구성요소가 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전원부(42)는 전원접속 단자(41)에 연결되어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계통전력(예, AC전원)을 공급받아 기기내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단, 상기 외부 전력원은 전기요금이 책정된 외부 전력회사가 제공하는 전력뿐만 아니라, 수용가내 자가 발전(예를 들어, 태양열 에너지, 풍력 에너지 등)을 통해 생성된 자가 발전전력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설게에 따라서는 상기 전원부(42)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42)가 생략된 경우에는 무선전력만을 공급받아 이를 충전하여 기기 전원으로 활용하게 된다.
또한, 보조전력 저장부(46)는 충전회로부(44)를 통해 전력을 충전 저장하고 방전회로부(45)를 통해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보조전력량 확인부(47)는 상기 보조전력 저장부(46)내부의 사용가능한 보조 전력량(또는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제어부(49)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통신부(48)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 정보망(10) 또는 내부 네트워크(20)을 통해 전력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단,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전력정보는 외부 제어기기 (예, 스마트 서버(도1, 21))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제어 명령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력정보는 실시간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단위로 주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력정보는 전력요금 정보 및/또는 전력수요 정보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이미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제어부(49)는 상기 통신부(48)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력정보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을 판단하여 이에 대응한 무선충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전력절전 구간이란, 예를 들어, 고액과금 구간 또는 과수요 구간을 해당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특정 구간이 고액과금 구간인지 과수요 구간인지 판단은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의해 자유로이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충전 스위칭수단(43)은 제어부(49)의 제어에 의해 유선으로 공급된 전원 또는 무선으로 공급된 전원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충전회로부(44)를 통해 보조전력 저장부에 보조전력으로 저장하게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0)는 기기 자체 고유의 디스플레이 기능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49)의 무선충전 제어 동작에 따른 사용자 알림 메세지(message)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51)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30)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하되, 전술한 무선전력 공급 장치(30)내의 무선 전력 생성부(33)와 대응하여 설계되어 진다. 또한, 상기 전력변환부(51)는 수신된 무선전력을 기기내 사용가능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 10에서 전술한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기기(40)에서의 무선충전 제어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2 ~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알림 메세지의 일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전술한 도 5의 무선전력 공급 장치내의 제어 프로세서와 도 11의 전자 기기(40)내의 제어 프로세서는 각각 독립적인 프로세서로 진행되거나, 또는 적어도 둘 중 어느 하나의 제어 프로세서만이 동작하더라도, 전력절전 구간에 대응하는 전력 사용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40)내의 제어부(49)는 우선 현재 해당 전자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무선충전 요청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00).상기 S200 단계는 일반적으로 전술한 도 3의 충전패드(32) 상단에 해당 전자기기(40)가 놓여 지면 이로부터 사용자 무선충전 요청중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전자 기기(40)내의 통신부(48)와 무선전력 공급 장치(30) 내의 통신부(35) 간의 통신을 통해 해당 전자기기(40)가 무선충전 대상 기기임을 확인함에 의해, 사용자 무선충전 요청이 있음을 인식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9)는 사용자 무선충전 요청이 존재함을 인식하면, 전력 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수신된 전력 정보를 분석한다(S201). 상기 S201 단계를 통해 현재 시간이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S202). 관련하여, 예를 들어, 상기 전력절전 구간 해당 여부 판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액과금 구간 또는 과수요 구간을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S202단계를 통해 현재 시간이 전력절전 구간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9)는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에 무선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명령을 전송한다(S203).
상기 S203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49)는 전술한 보조전력량 확인부(47)를 이용하여 전술한 보조전력 저장부(46, 이하 '배터리'라 함)내의 보조전력량(이하,'배터리 잔량' 이라 함)을 확인한다(S204). 단, 상기 S204단계는 반드시 S203단계 이후에 진행할 필요는 없으며, 수시로 배터리 잔량의 확인 과정을 수행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S204 단계에 의해, 만약 배터리 잔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9)는 사용자에게 도 12와 같은 사용자 알림 메세지(A)를 제공하게 된다(S205). 특히, 현재 전자기기(40)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상태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는 청각적인 효과음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련하여, 도 12의 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A)는 사용자에게 현재 상황을 설명하는 문자 메세지(71)와, 현재 상태를 그래픽으로 표시한 그래픽 메세지들(72, 73, 74)과 충전 취소 실행 버튼(75)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 메세지(71)는 무선충전을 시작함을 알리고, 충전 소요 예상 시간을 알려준다. 또한, 그래픽 메세지들(72, 73, 74)을 통해, 현재 배터리 잔량, 충전소요 예상 시간 등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하도록 제공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문자 메세지(71) 및 그래픽 메세지들(72, 73, 74)를 참조하여, 무선충전 취소를 원하는 경우, 충전취소 실행 버튼(75)을 선택(또는 클릭)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9)가 사용자 무선충전 취소 명령 여부를 인식하면(S207). 이후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에 무선전력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 이후 무선충전은 중지된다(S208). 단, 사용자의 무선충전 취소 요청이 없으면, 제어부(49)는 계속 무선충전 실행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에 무선전력 전송 요청 명령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S209).
또한, 만약 상기 S204 단계에 의해, 만약 배터리 잔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9)는 사용자에게 도 13과 같은 사용자 알림 메세지(B)를 제공하게 된다(S206).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는 청각적인 효과음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련하여, 도 13의 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B)는 사용자에게 현재 상황을 설명하는 문자 메세지(81)와, 현재 상태를 그래픽으로 표시한 그래픽 메세지들(82, 83, 84)과 충전 취소 실행 버튼(85)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 메세지(81)는 배터리 잔량이 충분함을 알리고 현재 배터리로 사용가능한 예상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그래픽 메세지들(82, 83, 84)을 통해, 현재 배터리 잔량, 배터리로 사용 가능 예상 시간 등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하도록 제공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문자 메세지(81) 및 그래픽 메세지들(82, 83, 84)를 참조하여, 무선충전 취소를 원하는 경우, 충전취소 실행 버튼(85)을 선택(또는 클릭)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9)가 사용자 무선충전 취소 명령 여부를 인식하면(S207). 이후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에 무선전력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 이후 무선충전은 중지된다(S208).
또한, 상기 S202단계를 통해 현재 시간이 전력절전 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9)는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에 무선전력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명령을 전송한다(S210).
상기 S210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49)는 전술한 보조전력량 확인부(47)를 이용하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다(S211). 단, 상기 S211단계는 반드시 S210단계 이후에 진행할 필요는 없으며, 수시로 배터리 잔량의 확인 과정을 수행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S211 단계에 의해, 만약 배터리 잔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9)는 사용자에게 도 14와 같은 사용자 알림 메세지(C)를 제공하게 된다(S212).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는 청각적인 효과음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련하여, 도 14의 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C)는 사용자에게 현재 상황을 설명하는 문자 메세지(91)와, 현재 상태를 그래픽으로 표시한 그래픽 메세지들(92, 93, 94)과 충전 실행 버튼(95)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 메세지(91)는 전력절전 구간임을 알리고, 또한 배터리 잔량을 알리고 현재 배터리로 사용가능한 예상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그래픽 메세지들(92, 93, 94)을 통해, 현재 배터리 잔량, 배터리로 사용 가능 예상 시간 등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하도록 제공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문자 메세지(91) 및 그래픽 메세지들(92, 93, 94)를 참조하여, 무선충전을 실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충전 실행 버튼(95)을 선택(또는 클릭)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9)가 사용자 무선충전 실행 명령 여부를 인식하면(S213). 이후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에 무선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S209), 이후 수신된 무선전력을 활용한 무선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의 무선충전 실행 요청이 없으면, 제어부(49)는 계속 무선전력 전송 중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에 무선전력 전송 중지 요청 명령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S208).
또한, 상기 S211 단계에 의해, 만약 배터리 잔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9)는 사용자에게 도 15와 같은 사용자 알림 메세지(D)를 제공하게 된다(S214). 특히,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는 청각적인 효과음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련하여, 도 15의 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D)는 사용자에게 현재 상황을 설명하는 문자 메세지(101)와, 현재 상태를 그래픽으로 표시한 그래픽 메세지들(102, 103, 104)과 충전 취소 실행 버튼(105)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 메세지(101)는 전력절전 구간임을 알리고, 또한 배터리 잔량을 알리고 현재 배터리로 사용가능한 예상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그래픽 메세지들(102, 103, 104)을 통해, 현재 배터리 잔량, 배터리로 사용 가능 예상 시간 등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하도록 제공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문자 메세지(101) 및 그래픽 메세지들(102, 103, 104)를 참조하여, 무선충전을 실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충전 실행 버튼(105)을 선택(또는 클릭)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9)가 사용자 무선충전 실행 명령 여부를 인식하면(S213). 이후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에 무선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S209), 이후 수신된 무선전력을 활용한 무선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의 무선충전 실행 요청이 없으면, 제어부(49)는 계속 무선충전 중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무선전력 공급 장치(30)에 무선전력 전송 중지 명령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S208).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A,B,C,D)는 도12 ~ 도15 에 제시된 예가 아닌 다양한 변형적 방법으로도 구현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전송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효율적인 무선전력을 활용하는 무선전력 수신가능 전자기기 또는 무선전력을 활용한 무선 충전 가능 전자기기 및 관련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적어도 전력요금 정보 또는 전력수요 정보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무선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무선전력을 해당 전자 기기내 사용가능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수신된 전력정보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을 판단하고,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 되면, 무선전력 공급 버튼과 사용종료 버튼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알림 메시지를 통해, 상기 사용종료 버튼 실행 또는 일정시간 이내에 응답이 없으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 중지를 요청하고, 전력절전 구간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사용종료 버튼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알림 메시지를 통해, 일정시간 이내에 응답이 없으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요금 정보로부터 고액과금 구간으로 판단되는 구간이거나 또는 전력수요 정보로부터 과수요로 판단되는 구간을, 상기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과금 구간 또는 과수요 구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내 보조 전력으로 사용되는 보조전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력부내의 전력은 전자기기의 최소(minimum) 동작 수행만을 위해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절전 구간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사용자 알림 메세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내 보조 전력으로 사용되는 보조전력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력 저장부내의 보조전력은 전자기기의 주(main) 동작 수행에 활용되고 충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절전 구간 여부 및 보조전력량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사용자 알림 메세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 이후, 사용자의 무선전력 전송 명령 또는 무선전력 전송 중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 요청 또는 무선전력 전송 중지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알림 메세지를 제공함에 있어,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하고 보조전력량이 충분한 경우,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하고 보조전력량이 부족한 경우,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하지 않고 보조전력량이 충분한 경우, 및
    전력절전 구간에 해당하지 않고 보조전력량이 부족한 경우,
    각각에 대해 상이한 알림 메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보조전력 저장부내의 보조전력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보조전력량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무선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함에 의해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전력요금 정보 또는 전력수요 정보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전력정보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되면, 무선전력 공급 버튼과 사용종료 버튼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알림 메시지를 통해, 상기 사용종료 버튼 실행 또는 일정시간 이내에 응답이 없으면,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절전 구간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사용종료 버튼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 알림 메시지를 통해, 일정시간 이내에 응답이 없으면, 상기 무선전력 공급 장치에 무선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전력정보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전력절전 구간 판단에 근거한 알림 메세지를 디스플레이 일측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전력정보로부터 전력절전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전력절전 구간 판단 및 전자 기기내 충전가능한 보조전력량에 근거한 알림 메세지를 디스플레이 일측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알림 메세지에 근거한 사용자 무선전력 전송 요청 또는 무선전력 전송 중지 요청중 어느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7018383A 2010-12-16 2010-12-16 무선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 KR101531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9023 WO2012081749A1 (ko) 2010-12-16 2010-12-16 무선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793A KR20130103793A (ko) 2013-09-24
KR101531527B1 true KR101531527B1 (ko) 2015-06-26

Family

ID=4624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383A KR101531527B1 (ko) 2010-12-16 2010-12-16 무선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5464B2 (ko)
EP (1) EP2654177A4 (ko)
KR (1) KR101531527B1 (ko)
WO (1) WO2012081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9994B2 (ja) * 2012-02-10 2016-04-06 ソニー株式会社 給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315445B1 (ja) * 2012-03-27 2013-10-1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当該表示装置を備えた非接触給電システム、ならびに当該表示装置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920236B1 (ko) * 2012-06-19 2018-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4057185A (ja) * 2012-09-12 2014-03-27 Ricoh Co Ltd 無線給電装置及び電子機器
CN103218586A (zh) * 2013-03-26 2013-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读卡器以及用于数据存储的方法
KR102039376B1 (ko) * 2013-07-19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 설정 방법
KR101480633B1 (ko) 2013-08-30 2015-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지알 쿨러 및 이를 이용한 이지알 쿨러 유닛
JP6214324B2 (ja) * 2013-10-16 2017-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力受電装置、電力受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69203B1 (en) 2014-06-11 2016-06-14 Google Inc. Wirelessly powered passive optical power meter
US10790703B2 (en) * 2016-12-19 2020-09-29 Koji Yoden Smart wireless power transfer between devices
US10978921B1 (en) * 2020-03-25 2021-04-13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 with efficiency predi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224A (ko) * 2007-12-12 2009-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메뉴 제공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충전방법
US20100213895A1 (en) * 2009-02-24 2010-08-2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charging timing and charging control
US20100253281A1 (en) * 2009-04-07 2010-10-0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dul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0124A (ja) * 1984-12-29 1986-07-19 Hitachi Ltd メモリ給電方式
KR100541359B1 (ko) * 2003-12-26 2006-01-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선 방식을 이용한 원격 부하 제어형 전자식 전력량계
JP4725604B2 (ja) * 2008-06-25 2011-07-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093531B1 (ko) * 2008-07-29 2011-12-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Gaba 생성을 위한 김치 숙성 방법
US8190302B2 (en) * 2008-09-15 2012-05-29 General Electric Company Load shedding system for an electromechanically controlled oven
US8427330B2 (en) * 2009-02-06 2013-04-23 Broadcom Corporation Efficiency indicator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transfer
GB2480796B (en) * 2009-04-09 2015-09-30 E3 Greentech Entpr Inc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consumption management
US20100138363A1 (en) 2009-06-12 2010-06-03 Microsoft Corporation Smart grid price response service for dynamically balancing energy supply and demand
EP2494104A4 (en) * 2009-10-26 2014-05-07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PRODUCT
KR101611296B1 (ko) * 2010-02-09 201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224A (ko) * 2007-12-12 2009-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메뉴 제공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충전방법
US20100213895A1 (en) * 2009-02-24 2010-08-2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charging timing and charging control
US20100253281A1 (en) * 2009-04-07 2010-10-0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du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64880A1 (en) 2013-10-10
EP2654177A1 (en) 2013-10-23
WO2012081749A1 (ko) 2012-06-21
EP2654177A4 (en) 2014-06-25
US9525464B2 (en) 2016-12-20
KR20130103793A (ko)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527B1 (ko) 무선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
JP5828109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エネルギー管理装置および管理サーバ
US957743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herein
WO2013065394A1 (ja) 制御装置及び制御対象機器
CN103887571A (zh) 一种充电方式切换方法及装置
JP2012029533A (ja) エネルギ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CN106532986B (zh) 一种被充电设备的充电方法
CN111464674A (zh) 一种电子设备及其充电时温度控制方法
KR101390402B1 (ko) 이동 단말에 설치 된 전력 공유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력 공유 장치 및 시스템
CN108885504A (zh) 包括无线电力传输装置的鼠标垫以及鼠标
JP5429145B2 (ja) 物理量情報提供システム、測定装置、物理量情報提供方法、測定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503260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f energy
JP6705118B2 (ja) 充電制御装置、電力システム、端末装置、充電制御方法および充電制御プログラム
KR101890675B1 (ko)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스마트 미터 및 서비스 수행 방법
KR20130063949A (ko) 전력사용모드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732628B1 (ko) 소비 전력 제어를 위한 전력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RU2658348C9 (ru)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компьютерное программное обеспечение для снабж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е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ей
TW201249063A (en) Power supply system with variable supply voltage
JP2011244563A (ja) 連携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池の充電方法
KR101425113B1 (ko) 스마트 전자기기의 충전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전자기기의 충전 대기 전력 차단 방법
CN211958796U (zh) 充电提示定位系统
KR101853661B1 (ko) 전자기기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10175567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충전 방법
KR101692431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JP2003235182A (ja) 電源供給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同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