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35640B1 -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640B1
KR101535640B1 KR1020150053741A KR20150053741A KR101535640B1 KR 101535640 B1 KR101535640 B1 KR 101535640B1 KR 1020150053741 A KR1020150053741 A KR 1020150053741A KR 20150053741 A KR20150053741 A KR 20150053741A KR 101535640 B1 KR101535640 B1 KR 101535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lower body
coupling
joining
metal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구
Original Assignee
(주)렉스다이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렉스다이아몬드 filed Critical (주)렉스다이아몬드
Priority to KR102015005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640B1/ko
Priority to CN201510370093.1A priority patent/CN10617492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64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 A44D2200/12Details of construction made of two identical eleme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가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중심부에 결합봉 고정홈이 관통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결합봉 고정홈을 중심으로 상부를 향하여 회전턱과 안착턱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연결고리부가 일체로 마련된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회전턱상에 서로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결합봉 고정홈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스톱퍼쌍과; 상기 스톱퍼쌍과 인접된 하부 바디의 안착턱상에 마련되며 결합 금속 보강판과 결합 금속판의 삽입 후,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를 체결 시 좌우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와; 상기 하부 바디의 안착턱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하부 바디의 결합봉 고정홈과 동일직경의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결합구멍 내주면을 따라서는 결합돌기 삽입 홈이 형성되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외주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어지는 결합 금속판과; 상기 결합 금속판과 안착턱 사이에 개재되며, 결합 금속판과 동일 형상을 갖는 결합 금속 보강판과; 상기 하부 바디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중심 하면에는 하부 바디와 결합 금속판 및 결합 금속 보강판의 결합봉 고정홈을 향하여 삽입되는 결합봉이 연장 형성된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의 결합봉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결합 금속판과 결합 금속 보강판의 결합돌기 삽입 홈을 따라 회전턱에 안착되어 상부 바디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결합 금속판 또는 결합 금속 보강판의 하면에 걸림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가방장식이나 배낭장식, 반지, 목걸이, 팔찌, 발목에 끼는 발찌, 귀걸이, 각종 주얼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결합 금속판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체결장치의 구조가 단순하여 장력 등의 외부 충격 및 잠금장치에도 강하다. 따라서 귀금속 체결장치로 사용할 경우 분실의 위험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Coupling device for easy fastening Accessories}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장식이나 배낭장식, 반지, 목걸이, 팔찌, 발목에 끼는 발찌, 귀걸이, 각종 주얼리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상, 하부 바디의 분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특히 장력 등 외부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의 악세서리를 총칭하는 명칭으로서, 예로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디자인과 용도로서 현대여성 뿐 아니라 남성에게 각광받으며 사용되는 장치이다.
과거부터 목걸이용 줄, 반지 내지 팔찌의 링 내지 줄에 의하여 목, 손가락, 손목 등의 신체부위에 둘러싸거나 감는 방식으로 장신구가 신체에 장착되는 방식이었으며, 현재에는 다른 신체 부위, 예를 들어 코, 입술, 배꼽 등에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근래에는 좀 더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핸드백 등의 가방류에도 장착하거나 기타 다양한 용도의 장신구가 제안되어 있는 바, 그중 하나로써 특허출원 10-2009-01259341호에는 다음과 같은 귀금속 장신구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장신구의 구조를 보면,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귀금속으로 장식된 귀금속장식부(20); 상기 귀금속장식부(20)를 감싸고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장식호부(30)와 우장식호부(40); 상기 좌장식호부(30)의 링크회동축(5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우장식호부(40) 일측에 분리 및 체결되도록 하는 링크걸이부(50); 가 포함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신구에는 보석의 교체가 자유롭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생산단가의 상승 및 조립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방장식이나 배낭장식, 반지, 목걸이, 팔찌, 발목에 끼는 발찌, 귀걸이, 각종 주얼리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상, 하부 바디의 분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특히 장력 등 외부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는, 중심부에 결합봉 고정홈이 관통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결합봉 고정홈을 중심으로 상부를 향하여 회전턱과 안착턱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연결고리부가 일체로 마련된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회전턱상에 서로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결합봉 고정홈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스톱퍼쌍과; 상기 스톱퍼쌍과 인접된 하부 바디의 안착턱상에 마련되며 결합 금속 보강판과 결합 금속판의 삽입 후,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를 체결 시 좌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와; 상기 하부 바디의 안착턱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하부 바디의 결합봉 고정홈과 동일직경의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결합구멍 내주면을 따라서는 결합돌기 삽입 홈이 형성되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외주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어지는 결합 금속판과; 상기 결합 금속판과 안착턱 사이에 개재되며, 결합 금속판과 동일 형상을 갖는 결합 금속 보강판과; 상기 하부 바디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중심 하면에는 하부 바디와 결합 금속판 및 결합 금속 보강판의 결합봉 고정홈을 향하여 삽입되는 결합봉이 연장 형성된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의 결합봉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결합 금속판과 결합 금속 보강판의 결합돌기 삽입 홈을 따라 회전턱에 안착되어 상부 바디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결합 금속판 또는 결합 금속 보강판의 하면에 걸림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결합 금속판과 결합 금속 보강판의 결합돌기 삽입 홈과 결합봉의 결합돌기는 1개 내지 4개의 등각도로 형성되는 것에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가방장식이나 배낭장식, 반지, 목걸이, 팔찌, 발목에 끼는 발찌, 귀걸이, 각종 주얼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결합 금속판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체결장치의 구조가 단순하여 장력 등의 외부 충격 및 잠금장치에도 강하다. 따라서 귀금속 체결장치로 사용할 경우 분실의 위험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 장신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에 있어서, 하부 바디와 상부 바디를 각각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에 있어서, 하부 바디와 상부 바디를 각각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먼저 주요부품들에 대한 설명을 각각 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바디(10)는 중심부에 결합봉 고정홈(11)이 관통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결합봉 고정홈(11)을 중심으로 상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회전턱(12)과 안착턱(13)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연결고리부(14)가 일체로 마련된다.
상기 회전턱(12)은 상기 하부바디(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추후 설명할 결합돌기(42)의 하강을 막는 한편 좌우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턱(13)은 결합 금속 보강판(30)과 결합 금속판(20)과의 하강을 막는 턱의 역할을 하며, 결합돌기(42)가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끼움홈(23,33)은 상기 결합 금속판(20)과 결합 금속 보강판(30)에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금속판(20)과 결합 금속 보강판(30)의 좌우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홈으로서 고정돌기(16)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봉 고정홈(11)은 결합봉(41)이 상기 결합 금속판(20)과 결합 금속 보강판(30) 각각의 결합구멍(21,31)을 통과하여 결합봉 고정홈(11)에 삽입 시에 수직선상을 이루어 회전을 용이하게 하며, 결합 금속판(20)과 결합 금속 보강판(30)과 결합돌기(42)가 회전에 의한 결합 시, 외부의 충격과 상부바디(40)의 당기는 힘 등에 의해서 좌우 기울어 질 수 있을 때 결합 금속판(20)과 결합 금속 보강판(30)이 파손 될 수 있다. 이는, 결합봉 고정홈(11)이 하단에서 결합봉(41)을 잡아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의 강한 힘에 의해 결합봉(41)이 휘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결합구멍(21,31)이 결합봉(41)의 고정 역할을 하며, 결합봉 고정홈(11)이 결합봉(41)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결합봉 고정홈(11)이 없다면 결합봉(41)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좌우로 크게 움직일 수 있고, 이때 결합 금속판(20)과 결합 금속 보강판(30)이 결합돌기(42)에 의해 형태의 변형을 일으키게 될 수 있는 바, 결합봉 고정홈(11)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는, 중심부에 결합봉 고정홈(11)이 관통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결합봉 고정홈(11)을 중심으로 상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회전턱(12)과 안착턱(13)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연결고리부(14)가 일체로 마련된 하부 바디(下付 body;10)를 구비한다.
이 하부 바디(10)의 회전턱(12)상에는 서로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결합봉 고정홈(11)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스톱퍼쌍(15)이 마련되며, 스톱퍼쌍(15)과 인접된 하부 바디(10)의 안착턱(13)상에는 결합 금속 보강판(30)과 결합 금속판(20)의 삽입 후, 상부 바디(40)와 하부 바디(10)를 체결 시 좌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16)가 마련된다.
한편, 상술한 하부 바디(10)의 안착턱(13)상에는 중심부에 하부 바디(10)의 결합봉 고정홈(11)과 동일직경의 결합구멍(21)이 형성되고, 결합구멍(21) 내주면을 따라서는 결합돌기 삽입 홈(22)이 형성되며, 고정돌기(16)와 대응되는 외주면에는 끼움홈(23)이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16)와 결합되어지는 결합 금속판(20)이 안착된다.
또한 결합 금속판(20)과 안착턱(13) 사이에 개재되며, 결합 금속판(20)과 동일 형상을 갖으며, 결합 장치의 금속 재질의 강도가 약한 것일 때에 결합 금속판(20)이 결합돌기(42)와의 결합장치 체결 시 상기 결합 금속판(20)의 강도가 약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 장치의 금속 경도보다 강한 금속으로 보강되며, 융점 또한 높아야 하는 결합 금속 보강판(30)이 더 개재된다.
이 때, 결합 금속 보강판(30)이 개재될 때 결합 금속판(20)의 두께는 얇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하부 바디(10)상에는 상부 바디(40)가 위치되는 바, 이 상부 바디(40)는 하부 바디(10)와 대응되는 동일 외관 또는 동일하지 않는 외관을 가질 수도 있으며, 중심 하면에는 하부 바디(10)와 결합 금속판(20) 및 결합 금속 보강판(30)의 결합 구멍(21,31)을 따라 끼워 삽입되는 결합봉(41)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바디(40)가 결합봉(41) 외주면에는 결합 금속판(20)과 결합 금속 보강판(30)의 결합돌기 삽입 홈(22,32)을 통과하여 회전턱(12)에 안착되어 상부 바디(4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 결합 금속판(20)과 결합 금속 보강판(30) 하면에 걸림되는 결합돌기(42)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 결합 금속 보강판(30)과 결합 금속판(20)의 결합돌기 삽입 홈(22,32)과 결합봉(41)의 결합돌기(42)는 1개 내지 4개의 등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것은 2곳 180도 상에 마련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는, 하부 바디(10)상에 결합 금속판(20)과 결합 금속 보강판(30)을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부 바디(40)의 결합봉(41)을 결합봉 고정홈(11)상에 끼워 삽입하고, 상부 바디(40)를 회전시키게 되면 결합봉(41)상에 형성된 결합돌기(42)가 하부 바디(10)의 회전턱(12)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결합돌기(42)가 결합돌기 삽입홈(22,32)을 지나 결합 금속 보강판(30) 또는 결합 금속판(20)의 하면에 위치됨으로써 체결이 완성되는 결합장치 구조이다.
또한 상부 바디(40)를 체결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져 체결장치의 해제 또는 풀림장치가 용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돌기(42)는 스톱퍼쌍(15)에 의해 그 회전 각도가 한정됨으로써 결합장치 목적 이외의 과한 회전방지를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무리한 회전에 의한 분리가 차단되며, 특히 다양한 각도로 스톱퍼쌍(15)이나 고정돌기(16)의 설계가 가능함으로써 회전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귀금속장식부(20) 좌장식호부(30)
우장식호부(40) 링크회동축(51)
링크걸이부(50)
하부 바디(10) 결합봉 고정홈(11)
회전턱(12) 안착턱(13)
연결고리부(14) 스톱퍼쌍(15)
고정돌기(16) 결합 금속판(20)
결합구멍(21,31) 결합돌기 삽입 홈(22,32)
끼움홈(23,33) 결합 금속 보강판(30)
상부 바디(40) 결합봉(41)
결합돌기(42)

Claims (4)

  1. 중심부에 결합봉 고정홈이 관통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결합봉 고정홈을 중심으로 상부를 향하여 회전턱과 안착턱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연결고리부가 일체로 마련된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회전턱상에 서로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결합봉 고정홈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스톱퍼쌍과;
    상기 스톱퍼쌍과 인접된 하부 바디의 안착턱상에 마련되며 결합 금속 보강판과 결합 금속판의 삽입 후,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를 결합 시 좌우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와;
    상기 하부 바디의 안착턱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하부 바디의 결합봉 고정홈과 동일직경의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결합구멍 내주면을 따라서는 결합돌기 삽입 홈이 형성되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외주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어지는 결합 금속판과;
    상기 결합 금속판과 안착턱 사이에 개재되며, 결합 금속판과 동일 형상을 갖는 결합 금속 보강판과;
    상기 하부 바디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중심 하면에는 하부 바디와 결합 금속판 및 결합 금속 보강판의 결합봉 고정홈을 향하여 삽입되는 결합봉이 연장 형성된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의 결합봉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결합 금속판과 결합 금속 보강판의 결합돌기 삽입 홈을 따라 회전턱에 안착되어 상부 바디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결합 금속판 또는 결합 금속 보강판의 하면에 걸림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금속판과 결합 금속 보강판의 결합돌기 삽입 홈과 결합봉의 결합돌기는 1개 내지 4개의 등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 고정홈 또는 결합구멍의 일정 간격 배열 역할은, 결합봉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결합 돌기에 의한 장치체결 상태의 견고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순금 등 경도가 약한 재질로 마련될 때는, 결합 금속판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금속 보강판 등을 삽입시켜 장치체결 시 안전한 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20150053741A 2015-04-16 2015-04-16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35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741A KR101535640B1 (ko) 2015-04-16 2015-04-16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CN201510370093.1A CN106174925B (zh) 2015-04-16 2015-06-30 易于连结的饰品用结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741A KR101535640B1 (ko) 2015-04-16 2015-04-16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640B1 true KR101535640B1 (ko) 2015-07-13

Family

ID=5379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7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5640B1 (ko) 2015-04-16 2015-04-16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5640B1 (ko)
CN (1) CN10617492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653B1 (ko) * 2015-09-02 2016-03-18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668415B1 (ko) * 2016-09-30 2016-10-21 이재웅 귀금속 장신구 조립체
RU174215U1 (ru) * 2017-05-04 2017-10-06 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Чамовских Ювелирное украшение
KR101914552B1 (ko) * 2017-07-21 2018-11-02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2036011B1 (ko) * 2018-12-12 2019-10-24 박영철 와이어형 악세사리 체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978A (ko) * 1995-04-12 1996-11-19 변건호 장신용품의 연결구
KR200338512Y1 (ko) * 2003-10-13 2004-01-16 유영기 장신구용 연결구
KR200384716Y1 (ko) * 2005-02-24 2005-05-17 이복순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JP2005348796A (ja) * 2004-06-08 2005-12-22 Kuwayama Corp 装飾用連結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5470B1 (it) * 2000-07-17 2003-02-18 Colpo & Zilio Srl Chiusura per oggetti ornamentali a sviluppo prevalentementelongitudinale.
JP5466517B2 (ja) * 2010-01-14 2014-04-09 雅弘 星野 回動式クラスプ
CN201775111U (zh) * 2010-06-12 2011-03-30 吴金水 一种连接扣
NL2008261C2 (nl) * 2012-02-08 2013-08-14 Gassan Diamonds B V Sieraad met verwisselbaar decoratief element.
ITFI20120034U1 (it) * 2012-05-22 2013-11-23 Mens Sana S R L Ornamento personalizzabile per prodotti di gioielleria o bigiotteri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978A (ko) * 1995-04-12 1996-11-19 변건호 장신용품의 연결구
KR200338512Y1 (ko) * 2003-10-13 2004-01-16 유영기 장신구용 연결구
JP2005348796A (ja) * 2004-06-08 2005-12-22 Kuwayama Corp 装飾用連結具
KR200384716Y1 (ko) * 2005-02-24 2005-05-17 이복순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653B1 (ko) * 2015-09-02 2016-03-18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용 결합장치
WO2017039114A1 (ko) * 2015-09-02 2017-03-09 (주) 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668415B1 (ko) * 2016-09-30 2016-10-21 이재웅 귀금속 장신구 조립체
RU174215U1 (ru) * 2017-05-04 2017-10-06 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Чамовских Ювелирное украшение
KR101914552B1 (ko) * 2017-07-21 2018-11-02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2036011B1 (ko) * 2018-12-12 2019-10-24 박영철 와이어형 악세사리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74925A (zh) 2016-12-07
CN106174925B (zh)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US7296439B2 (en) Jewelry setting, particularly suited for displaying multiple faces or gem stones
KR101618139B1 (ko) 360도 회전 가능한 장신구
KR200492761Y1 (ko) 장신구 체결장치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180003543U (ko) 장신구용 줄의 길이조절 장치
CN104082922B (zh) 可拆卸戒指
JPS60249904A (ja) 装飾付き留め金
KR101604653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784252B1 (ko) 회전 장신구
KR101914552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0953447B1 (ko)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
KR10185477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CN203814757U (zh) 可拆卸戒指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462603Y1 (ko) 장신구 모듈
JP2003102524A (ja) ネックレスの如き身飾品の止め具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101828755B1 (ko) 귀걸이 고정구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RU2620242C2 (ru) Комплект ювелирных изделий, составное ювелирн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ювелирных изделий, входящих в комплект составного ювелирного изделия
JP3230934U (ja) 装身具用留具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装身具
KR200289772Y1 (ko) 장신구
KR101887487B1 (ko) 귀걸이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