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982B1 - Electric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Electric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4982B1 KR101534982B1 KR1020130163729A KR20130163729A KR101534982B1 KR 101534982 B1 KR101534982 B1 KR 101534982B1 KR 1020130163729 A KR1020130163729 A KR 1020130163729A KR 20130163729 A KR20130163729 A KR 20130163729A KR 101534982 B1 KR101534982 B1 KR 101534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container body
- vacuum cleaner
- filtration filter
- electric vacu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격리부 사이에 먼지가 체류하기 어려운 전기청소기를 제안한다.
전기청소기(1)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5)와, 용기 본체(35)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며 용기 본체(35) 내에 수납되며 용기 본체(35)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51)을 형성하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제1 여과 필터부(37)보다 대직경이고, 용기 본체(35)보다도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루며,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한쪽 단부에 인접되어, 상기 분리실(51)과 서로 이웃하여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집진실(52)을 형성하는 격리부(38)와,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회전축으로 하여 격리부(38)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41)를 구비한다.There is proposed an electric vacuum cleaner in which dust does not easily stay between the cylindrical container body and the isolation portion.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has a cylindrical container body 35 and a cylindrical separation chamber 51 which is formed in a shorter cylindrical shape than the container body 35 and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35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35, The first filter portion 37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filter portion 37 and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ainer body 35. The first filter portion 37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filter portion 37, An isolation part 38 formed adjacent to the separation chamber 5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paration chamber 5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paration chamber 51 adjacent to the separation chamber 51 and a separating part 38 with the center line C of the container body 35 as a rotation axis, 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41 for supporting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41 in a freely rotatable manner.
Description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는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acuum cleaner.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내에 수납되어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을 형성하는 여과 필터를 구비하는 원심분리방식의 전기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청소기는 분리실내에 발생하는 선회류에 의해 공기와 먼지를 원심 분리한다. 여과 필터는 용기 본체보다 짧고 용기 본체와 여과 필터의 길이의 차분은 용기 본체 내에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이다. 분리실과 집진실은 선회류의 바깥 가장자리가 되는 용기 본체의 내주면 근방에서는 거의 경계없이 연속되어 연결된다. 한편, 분리실과 집진실은 선회류의 안쪽 가장자리가 되는 용기 본체의 중심선에 가까운 측에서 칼라 형상이나 컵 형상의 격리부로 구획되어 있다.There is known a centrifugal type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a cylindrical container body and a filtration filter housed in the container body and forming an annular separation chamber between the container body. Such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separates air and dust by a swirling flow generated in a separation room. The filtration filter is shorter than the container main body, and 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container main body and the filtration filter is a dust collecting chamber for accumulating dust in the container main body.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dust chamber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which is the outer edge of the swirling flow, with almost no boundary. 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re partitioned from the side close to the center line of the container main body, which is the inner edge of the swirling flow, into a collar shape or a cup-shaped separator.
통 형상의 용기 본체는 그 내주면을 따르게 하도록 하여 공기를 인도함으로써 분리실내에 선회류를 발생시킨다. 용기 본체내로 공기를 인도하는 입구는 통형상의 측벽부 중 어떤 부분에 설치되어 선회류의 기점이 된다. 선회류는 용기 본체 내에서 안정적으로 일정한 위치를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전동송풍기의 운전 출력의 변화,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유량의 변화, 공기내에 포함되는 먼지량의 변화 등에 의해 시시각각 변화된다.The tubular container body follow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container body and guides the air to generate a swirl flow in the separation chamber. An inlet for guiding air into the container body is provided at a certain portion of the tubular sidewall portion to serve as a starting point of the swirl flow. The swirling flow does not pass through a stable and stable position in the container main body but changes momentarily due to a change in the operation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a change in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from the inlet, and a change in the amount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그러나, 집진실로 먼지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 즉 선회류의 하류측은 용기 본체의 둘레방향에서 일반적으로는 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위상의 부근에서 입구로부터 새롭게 유입되는 공기, 즉 선회류의 상류측으로 합류되는 경향이 강하다.Howeve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hamber together with the dust, that is, the downstream side of the swirling flow is joined to the air that is newly introduced from the inlet, that is, the upstream side of the swirling flow, in the vicinity of the phase in which the inlet is generally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There is a strong tendency.
상기 선회류의 합류 부분에서는 먼지가 체류하기 쉬운 경향이 있고, 때로는 큰 먼지 덩어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큰 먼지 덩어리는 선회류의 상류측과 하류측이 합류하는 위치에 있으며, 분리실과 집진실이 연이어 접하는 용기 본체와 격리부의 간극에 끼는 경우가 있다.In the confluent portion of the swirling flow, dust tends to stay and sometimes a large dust lump is generated. Such a large dust lump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swirling flow join with each other and may be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parato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일단 용기 본체와 격리부의 간극에 먼지가 끼면, 선회류에 의해 분리실로부터 집진실로 운반되는 먼지가 점차 용기 본체와 격리부의 간극에 낀 먼지에 대해서 선회류의 상류측을 향하여 쌓이게 되어 둘레방향으로 축적된다.The dust conveyed from the separation chamber 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by the swirling flow gradually accumulates toward the upstream side of the swirling flow with respect to the dust adhering to the gap between the container main body and the isolation portion, do.
그리고, 용기 본체와 격리부의 간극에 낀 먼지가 커질수록, 분리실로부터 집진실로 유입되는 선회류의 흐름을 저해시키거나, 집진실로 유입된 선회류가 용기 본체와 격리부의 간극에 낀 먼지를 타고 넘어 분리실측으로 되돌아와 전기청소기의 분리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었다.As the dust adhering to the gap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isolation portion becomes larger, the flow of the swirling flow that flows into the dust collection chamber from the separation chamber is inhibited, or the swirling flow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on chamber rises over the dust adhering to the gap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isolation portion The separation performance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s deteriorated by returning to the separation chamber side.
그래서,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격리부 사이에 먼지가 체류하기 어려운 전기청소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an electric vacuum cleaner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dust to stay between a cylindrical container body and an isolation por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용기 본체내에 수납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을 형성하는 여과 필터부와, 상기 여과 필터부보다 대직경이고, 상기 용기 본체보다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루며,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한쪽의 단부에 인접되어, 상기 분리실과 서로 이웃하여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집진실을 형성하는 격리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격리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container body, a cylindrical body which is shorter than the container body and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A filter housing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lter filter portio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ainer body and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lter filter portion so as to be adjacent to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paration chamber, 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isolation portion with the center line of the container body as a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 및 상기 격리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구비한다.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iltration filter portion and the isolation portion with the center line of the container body as a rotation axis.
이에 의해,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격리부 사이에 먼지가 체류하기 어려운 전기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ectric vacuum cleaner in which dust does not easily stay between the cylindrical container body and the isolation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제1 여과 필터부 및 격리부의 하나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제1 여과 필터부 및 격리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제1 여과 필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form of the first filtering filter section and the isolation sec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first filtering filter unit and the isolation unit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filter por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비교 설명을 위한 종래 도면을 포함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including a conventional drawing for comparis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소위 캐니스터형 전기청소기이다. 전기청소기(1)는 피청소면상을 주행할 수 있는 청소기 본체(2)와, 청소기 본체(2)에 착탈 자유로운 관부(3)를 구비한다. 청소기 본체(2)와 관부(3)는 연통 접속된다.As shown in Fig. 1, the
청소기 본체(2)는 본체 케이스(5), 본체 케이스(5)의 좌우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바퀴(6), 본체 케이스(5)의 전반부에 배치되는 착탈 자유로운 먼지분리 집진장치(7), 본체 케이스(5)의 후반부에 수납되는 전동송풍기(8), 주로 전동송풍기(8)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9) 및 전동송풍기(8)로 전력을 인도하는 전원 코드(11)를 구비한다.The cleaner main body 2 includes a
청소기 본체(2)는 전원 코드(11)를 거쳐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동송풍기(8)를 구동하고, 전동송풍기(8)의 구동에 수반되는 부압(負壓)을 관부(管部)(3)에 작용시키며, 관부(3)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이하, 「먼지포함공기」라고 함)을 흡입하고,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분리후의 먼지를 포집하여 축적하며 분리 후의 공기를 배기한다.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drives the
본체 케이스(5)의 정면 부분에는 본체 접속구(12)가 설치된다. 본체 접속구(12)는 청소기 본체(2)로의 먼지포함공기의 입구이고, 관부(3)와 먼지분리 집진장치(7)를 연통 접속한다.A main body connection port (12) is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5). The main
본체 케이스(5)의 양 측면에 설치된 바퀴(6)는 대직경의 주행바퀴이고, 청소기 본체(2)를 지지한다.The wheels 6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동송풍기(8)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관부(3) 및 본체 접속구(12)를 거쳐 유입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이하,「먼지포함공기」라고 언급한다)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한다. 한편,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먼지가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보낸다. 전동송풍기(8)는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청소기 본체(2) 밖으로 배기한다.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여기에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원심분리방식을 채용하고, 선회류에 의해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다.Here,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본체 제어부(9)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기억장치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를 기억한다.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는 조작부(24)로부터의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한다.The main body control unit 9 includes a microprocessor (not shown) and a storage device (not shown) for storing various operation programs and parameters executed by the microprocessor. The storage device stores a plurality of preset operation modes. A plurality of preset operation modes correspond to the user's operation from the
각각의 운전모드에는 서로 다른 입력값(전동송풍기(8)의 입력값)이 설정된다. 본체 제어부(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그 조작 내용에 대응하는 임의의 운전모드를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로부터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기억장치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운전모드에 따라서 전동송풍기(8)를 제어한다.Different input values (input values of the electric blower 8) are set in each operation mode. The main body control unit 9 selects an arbitrary ope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from the plurality of preset operation modes and reads the operation mode from the storag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controls the electric blower 8).
전원코드(11)의 자유단부에는 삽입 플러그(14)가 설치되어 있다.An
관부(3)는 청소기 본체(2)로부터의 흡입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포함공기를 흡입하고 청소기 본체(2)로 안내한다. 관부(3)는 청소기 본체(2)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이음매로서의 접속관(19), 접속관(19)에 연통 접속되는 집진 호스(21), 집진 호스(21)에 연통 접속되는 손잡이 조작관(22),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23), 손잡이부(23)에 설치되는 조작부(24), 손잡이 조작관(22)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연장관(25) 및 연장관(25)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흡입구체(26)를 구비한다.The tubular portion (3) sucks dust-containing air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suction negative pressure from the cleaner main body (2) and guides it to the cleaner main body (2). The tubular portion 3 has a connecting
접속관(19)은 본체 접속구(12)에 대해 착탈 자유로운 이음매이고, 본체 접속구(12)를 통하여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연통 접속된다.The
집진 호스(21)는 길고 가요성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호스이다. 집진 호스(21)의 한쪽 단부(여기에서는, 먼지포함공기가 흐르는 방향에서의 하류측의 단부)는 접속관(19)에 연통 접속된다.The
손잡이 조작관(22)은 집진 호스(21)와 연장관(25)을 중계한다. 손잡이 조작관(22)의 한쪽 단부(하류측 단부)는 집진 호스(21)의 다른쪽 단부(상류측의 단부)에 연통 접속된다.The handle operating pipe (22) relays the dust hose (21) and the extension pipe (25). One end (the downstream end) of the
손잡이부(23)는 전기청소기(1)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쥘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을 이루고,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된다.The
조작부(24)는 복수의 운전모드에 대응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4)는 전동송풍기(8)의 운전정지조작에 대응되는 정지 스위치(24a)와, 전동송풍기(8)의 운전개시조작에 대응되는 기동 스위치(24b)를 구비한다.The
정지 스위치(24a) 및 기동 스위치(24b)는 본체 제어부(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기청소기(1)의 사용자는 조작부(24)를 조작하여 전동송풍기(8)의 운전모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동 스위치(24b)는 전동송풍기(8)의 운전 중에, 운전 모드의 선택 스위치로서도 기능한다. 이 경우, 본체 제어부(9)는 기동 스위치(24b)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 모드를 강→중→약→강→……의 순으로 전환한다. 또한, 조작부(24)는 기동 스위치(24b)를 대신하여 약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중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및 강운전 스위치(도시 생략)를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The
연장관(25)은 신축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 형상의 관이다. 연장관(25)은 복수의 통형상체를 겹친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다. 연장관(25)의 한쪽 단부(하류측 단부)와 손잡이 조작관(22)의 다른쪽 단부(상류측의 단부)는 착탈 자유로운 이음매 구조를 구비한다. 연장관(25)은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하여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연통 접속된다.The
흡입구체(26)는 나무바닥이나 카펫 등의 피청소면상을 주행 자유로운 또는 활주 자유로운 구조를 갖고, 주행 상태 또는 활주 상태에서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저면에 흡입구(28)를 구비한다. 또한, 흡입구체(26)는 흡입구(28)에 배치되는 회전 자유로운 회전청소체(29)와, 회전청소체(29)를 구동시키는 전동기(31)를 구비한다.The
흡입구체(26)의 한쪽 단부(여기에서는, 하류측의 단부)는 연장관(25)의 다른쪽 단부(상류측 단부)에 착탈 자유로운 이음매 구조를 구비한다. 흡입구체(26)는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하여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연통 접속된다. 즉, 흡입구체(26),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접속관(19) 및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동송풍기(8)로부터 흡입구(28)에 도달하는 흡입풍로를 형성하고 있다.One end (here, the downstream end) of the
전기청소기(1)는 기동 스위치(24b)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으로 전동송풍기(8)를 시동시킨다. 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는 전동송풍기(8)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우선 전동송풍기(8)를 강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다시 기동 스위치(24b)의 조작으로 전동송풍기(8)를 중운전 모드로 운전하며, 다시 기동 스위치(24b)의 조작에 의해 전동송풍기(8)를 약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이하 동일하게 반복한다.The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및 약운전 모드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이며,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약운전 모드의 순으로 전동송풍기(8)에 대한 전력입력값이 작다. 시동한 전동송풍기(8)는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부터 공기를 배기하여 그 내부를 부압(負壓)으로 한다.The strong operation mode, the medium operation mode and the weak operation mode are a plurality of preset operation modes, and the power input value to the
먼지분리 집진장치(7) 내의 부압은 본체 접속구(12), 접속관(19), 집진 호스(21), 손잡이 조작관(22), 연장관(25) 및 흡입구체(2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흡입구체(26)의 흡입구(28)에 작용한다. 전기청소기(1)는 흡입구(28)에 작용한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상의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기청소기(1)에 흡입된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축적한다. 한편,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보낸다.The negative pressure in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다음에,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dust separating /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룬다.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용기 본체(35), 흡입관(36), 제1 여과 필터부(37), 격리부(38), 복귀 여과 필터부(39), 회전 지지부(41), 덮개벽(42), 토출관(43) 및 제2 여과 필터부(4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또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청소기 본체(2)에 장착 상태에서의 자세로서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수직방향으로 향해도 좋고 수평방향으로 향해도 좋으며, 또는 다른 임의의 각도로 기울여 배치해도 좋다.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용기 본체(35)는 도시한 상방의 단부에 개방단(47) 및 하방의 단부에 폐색단(48)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룬다. 용기 본체(35) 내부에는 먼지포함공기를 먼지와 공기로 원심 분리하는 분리실(51)과, 분리된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52)이 형성된다.The
흡입관(36)은 용기 본체(35)의 측벽(35a)의 개방단(47)측으로 치우쳐 용기 본체(35)에 연통 접속되고, 먼지포함공기를 먼지분리 집진장치(7)내로 유입시키는 입구가 된다.The
흡입관(36)은 관부(3)로부터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 유입되는 공기를 용기 본체(35)의 내주면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용기 본체(35)내로 인도하고, 용기 본체(35) 내에 선회류(F)를 발생시킨다. 흡입관(36)은 측벽(35a)에 일체 성형된다.The
또한, 흡입관(36)은 용기 본체(35) 내에 선회류(F)를 발생시키는 한,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직교하는 평면, 예를 들어 중심선(C)이 연직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의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The
제1 여과 필터부(37)는 용기 본체(35)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측의 단부)는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설치한 덮개벽(42)에 인접된다.The first
제1 여과 필터부(37)는 용기 본체(35) 내에 수납되며, 원통 형상부 외주면과 용기 본체(35)의 원통 형상부 내주면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51)을 형성하고 있고, 제1 여과 필터부(37)는 먼지분리 집진장치(7)의 1차 필터가 된다.The first
분리실(51)은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35)의 내주면을 구획하고, 선회류(F)를 발생시켜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다. 그리고, 전동송풍기(8)의 시동직후나 정지 과도기 등 분리실(51) 내의 선회류(F)가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 또한 선회류(F)가 발달한 후에도 당연히, 용기 본체(35)로부터 토출관(43)을 향하는 먼지의 유출을 방지한다.The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으로 크게 개구되는 원통 형상의 보형틀(53)과, 보형틀(53)에 설치되는 제1 여과 필터(55)를 구비하고, 제1 여과 필터(55)는 보형틀(53)을 둘러싸도록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또한, 도 3에서 제1 여과 필터(55)는 일부가 기재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보형틀(53)은 제1 여과 필터(55)를 원통 형상으로 유지한다. 보형틀(53)은 원통 형상의 측면에 상당하는 부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직선 형상의 틀부재(56)와, 틀부재(56)에 연결되어 원통 형상의 양단부 각각의 가장자리에 상당하는 환형상의 틀부재(57)를 구비한다.The
격리부(38)는 제1 여과 필터부(37)보다 대직경이고, 용기 본체(35)보다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룬다. 격리부(38)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측의 단부)에 인접된다. 격리부(38)는 개구(58)를 갖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분리실(51)과 집진실(52)을 간극(59)에 의해 연통 접속시킨 상태로 구획하고 있다.The
격리부(38)의 개구(58)는 격리부(38)의 외주 가장자리와 용기 본체(35)의 내주면과의 환형상의 간극(59)보다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가깝고, 간극(59)과 동일하게 분리실(51)과 집진실(52)을 연통 접속하고 있다.The
격리부(38)보다도 용기 본체의 하방(저면)측의 공간은 분리실(51)로부터 간극(59)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52)이다. 간극(59)은 분리실(51) 내에서 발생하는 선회류(F)를 먼지와 함께 집진실(52)로 인도하고, 개구(58)는 집진실(52) 내로 인도된 선회류(F)를 분리실(51)로 복귀시킨다.The space on the lower side (bottom surface) 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than the
격리부(38)는 용기 본체(35)의 저면을 향하여 개방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룬다. 격리부(38)의 원통 형상의 측벽(63)의 외주면은 용기 본체(35)와의 사이에 간극(61)을 형성하고, 또한, 격리부(38)의 하단과 용기 본체(35)의 저면 사이에는 간극(62)이 형성되어 있다. The
분리실(51) 및 집진실(52)은 간극(59, 61, 62)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간극(61)은 용기 본체(35)의 내주면, 격리부(38)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간극(59, 61, 62)은 분리실(51)내에서 발생한 선회류(F)를 먼지와 함께 집진실(52)로 인도한다.The
격리부(38)의 개구(58)에 설치된 복귀 여과 필터부(39)는 집진실(52)로 유입된 실찌꺼기나 솜먼지 등의 섬유상의 먼지가 분리실(51)로 되돌아가지 않을 정도로 눈이 성긴 것, 예를 들어 메시 필터로 형성되어 있다.The return
회전 지지부(41)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회전축으로 하여 격리부(38)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41)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축심 유지부(66)와, 축심 유지부(66)에 유지되는 축심부(67)와, 격리부(38)에 설치되는 베어링(68)을 구비한다. The
축심 유지부(66)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를 막는 저벽(37a)에 설치된다. The axial
축심 유지부(66)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상에, 봉형상의 축심부(67)를 지지하는 보스(boss)이고,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된다.The axial
축심부(67)는 축심 유지부(66)로부터 돌출되어 격리부(38)를 관통한다. 축심부(67)의 상방의 단부는 축심 유지부(66)에 의해 유지되고, 축심부(67)의 하방의 단부는 격리부(38)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축심부(67)는 금속제이고, 베어링(68)을 통하여 격리부(38)를 회전 자유롭게 유지한다.The shaft portion (67) protrudes from the shaft center holding portion (66) and penetrates the isolation portion (38). The upper end of the
베어링(68)은 윤활유가 함침된 슬라이딩 베어링이고, 자기 윤활성을 발휘하는 소위 오일리스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격리부(38)는 베어링(68)을 유지하는 베어링 유지부(71)를 구비한다. 베어링 유지부(71)는 격리부(38)에 일체 성형되어 슬리브 형상을 이룬다.The
또한, 축심부(67)는 C링(72)을 통하여 베어링 유지부(71)에 회전 자유롭게 유지된다. C링(72)은 베어링 유지부(71)의 미세 간극(73)에 끼어 축심부(67)의 홈(75)에 끼워 넣어진다. C링(72)은 베어링 유지부(71)로부터 축심부(67)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베어링 유지부(71)에 대한 축심부(67)의 회전을 허가한다.Further, the
격리부(38)는 회전 지지부(4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분리실(51)로부터 집진실(52)로 선회하면서 유입되는 선회류(F)의 흐름을 받아 회전되거나, 또는 선회류(F)에 포함되는 먼지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얻는다.Since the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을 막는다.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에 대하여 대략 동심의 개구(42a)를 갖는다. 개구(42a)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 공간과 토출관(43) 내를 연통 접속한다.The
제1 여과 필터부(37)와 격리부(38)의 인접 부분에는 먼지의 침입을 막는 계단 형상 끼워맞춤부(78)가 설치된다. 계단 형상 끼워맞춤부(78)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틀부재(57)의 가장자리와 격리부(38)의 주면(主面)의 접촉에 의한 미소한 힘으로 접촉된다. A stepped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의 틀부재(57)의 가장자리와 격리부(38) 주면의 접촉에 의한 미소한 힘이라는 것은, 선회류(F)에 의한 상호의 상대적인 회전, 또는 선회류(F)에 포함되는 먼지와의 접촉에 의한 상호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힘이다.The minute force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edge of the
토출관(43)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을 막고, 덮개벽(42)을 덮어 가린다. 토출관(43)은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서의 공기의 출구이고, 제1 여과 필터부(37) 및 제2 여과 필터부(45)를 통과하는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보내는 배기풍로(79)가 된다.The
제2 여과 필터부(45)는 덮개(42)의 개구(42a)로부터 배기풍로(79)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제2 여과 필터부(45)는 전동송풍기(8)의 시동 직후나 정지 직후 등 분리실(51)의 선회류(F)가 충분히 발달해 있지 않은 기간에, 제1 여과 필터부(37)를 투과하는 미세한 입자 형상의 미세 먼지를 포집하고 미세한 입자 형상의 미세 먼지가 전동송풍기(8)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econd
제2 여과 필터부(45)는 원반 형상을 이루고, 중심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산 부분과 골짜기 부분이 번갈아 나열되는 플리티드 필터(pleated filter)이다.The second
제1 여과 필터부(37), 격리부(38), 복귀여과 필터부(39) 및 회전 지지부(41)는 덮개벽(42) 및 토출관(43)에 일체화되어 있고,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으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용기 본체(35) 내로 수납할 수 있다.The first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제1 여과 필터부 및 격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and an isolation por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의 격리부(38)는, 원통 형상의 측벽(63)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격리부(38)의 회전 중심선(C)의 방향으로 측벽(63)을 함몰시킨 복수의 오목부(81)를 구비한다.3, the
오목부(81)는 측벽(63)의 외주면을 거의 등간격으로 둘러싸며 배열된다. 오목부(81)는 측벽(63)의 중간부분부터 집진실(52)측으로 연장되는 얕은 홈형상을 이룬다. 오목부(81)는 선회류(F)를 받아 격리부(38)의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또한 선회류(F)에 포함되는 먼지에 접촉함에 의해서도 격리부(38)의 회전력을 발생시킨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제1 여과 필터부 및 격리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에서 제1 여과 필터(55)는 일부를 기재하고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first filtering filter unit and the isolator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a part of the
도 4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의 제1 여과 필터부 및 격리부는 도 3에서의 오목부(81)를 대신하여 용기 본체(35) 내를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받는 날개판(83)을 격리부(38)에 설치하고 있다.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and the isolation portion of the
날개판(83)은 격리부(38) 중 분리실(51)을 바라보는 저면에 설치되고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측으로부터 내주면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날개판(83)은 도 4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격리부(38)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용기 본체(35)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설치해도 좋다.The
날개판(83)은 격리부(38)와 용기 본체(35)의 간극(61)으로 유입되는 선회류(F), 또는 간극(61)을 통과하는 선회류(F)를 받아 격리부(38)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킨다.The
이어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여기에서, 우선 제1 실시형태와의 비교를 위해 도 5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101)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는 격리부(103)를 구비하는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for comparison with the first embodimen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ventional
도 5의 (a), (b) 및 (c)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5 (a), 5 (b) and 5 (c)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분리 집진장치(105)로 흘러 들어간 공기는 여과 필터(106)의 주위를 선회하는 선회류(F)가 된다. 이 선회류(F)는 먼지분리 집진장치(105)로 차례로 유입되고, 선회류(F)의 하류측은 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위상 부근에서, 새롭게 유입되는 공기, 즉 선회류(F)의 상류측의 공기에 합류하여 용기 본체(101)의 중심선(C)측으로 흐름의 방향을 바꾼다. 상기 선회류(F)의 합류 부분(M)에서는 먼지가 정체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5 (a),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류 부분(M)에 정체한 먼지가 큰 먼지덩어리(D)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먼지 덩어리(D)는 선회류(F)의 상류측과 하류측이 합류하는 위치이며, 분리실(108)과 집진실(109)이 연이어 접하는 용기 본체(101)와 격리부(103)의 간극에 끼는 경우가 있다.Then, as shown in Fig. 5 (b), there is a case where a large dust lump D having a large amount of dust stagnant is generated in the merging portion M. This dust chunk D is a position where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swirling flow F are merged and the position of the
그리고,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서는 격리부(103)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 용기 본체(101)와 격리부(103)의 간극에 먼지 덩어리(D)가 끼면, 선회류(F)에 의해 분리실(108)로부터 집진실(109)로 운반되야 할 먼지가, 먼지 덩어리(D)에 대해서 선회류(F)의 상류측, 즉 용기 본체(101)의 둘레방향을 향하여 차례로 쌓여 축적된다.5 (c), the
용기 본체(101)와 격리부(103)의 간극에 낀 먼지가 커질수록, 분리실(108)로부터 집진실(109)로 유입되는 선회류(F)의 흐름이 방해받거나, 일단 집진실(109)로 유입된 선회류(F)가 용기 본체(101)와 격리부(103)의 간극에 낀 먼지를 타고 넘어 분리실(108)측으로 되돌아와 분리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었다.The larger the amount of dust adhering to the gap between the
한편, 도 6의 (a), (b), (c) 및 (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6 (a), 6 (b), 6 (c) and 6 (d)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이 있어서도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주위를 선회하는 선회류(F)가 된다. 이 선회류(F)는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 차례로 유입되고, 선회류(F)의 하류측은 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위상 부근에서 새롭게 유입되는 공기, 즉 선회류(F)의 상류측의 공기에 합류하여 용기 본체(101)의 중심선(C)측으로 흐름의 방향을 바꾼다.6 (a), even in the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류 부분(M)에 정체된 먼지가 큰 먼지덩어리(D)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먼지덩어리(D)는 선회류(F)의 상류측과 하류측이 합류하는 위치이며, 분리실(51)과 집진실(52)이 연이어 접하는 용기 본체(35)와 격리부(38)의 간극(61)에 끼는 경우가 있다.Then, as shown in Fig. 6 (b), there is a case where a large dust mass D stagnating in the confluent portion M is generated. This dust block D is a position at which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swirling flow F are merged with each other and the position of the
그러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덩어리(D)가 간극(61)에 끼여있다 해도, 격리부(38)를 회전(도 6 중, 실선 화살표(R))시킴으로써 먼지덩어리(D)를 선회류(F)의 보다 하류측으로 밀어낸다.However, in the
결국에는, 먼지덩어리(D)는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선회류(F)의 상류측, 즉 보다 유속이 빠른 공기의 흐름에 노출되고, 간극(61)으로부터 이탈하여 다시 선회류에 감겨 들어가 결국에는 집진실(52)에 축적된다.6 (d), the dust lumps D are expos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swirling flow F flowing from the inlet, that is, the flow of air having a higher flow velocity, And is wound around the swirling flow again and is finally accumulated in the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격리부(38)를 회전시키므로 선회류(F)에 추가하여 격리부(38)에서도 집진실(52) 내의 먼지를 교반할 수 있으므로, 집진실(52) 내의 먼지의 분포밀도의 균질화를 도모하고 먼지의 편중을 해소하여 보다 많은 먼지를 축적할 수 있다.In the
이와 같이, 제1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용기 본체(35) 내에 회전 자유로운 격리부(38)를 구비하므로, 용기 본체(35)와 격리부(38)의 간극(61)에 먼지가 끼기 어렵다.Since the
가령 먼지가 끼어있다 해도, 낀 먼지를 용기 본체(35) 내에 생기는 선회류(F)로 이탈시켜 집진실(52)로의 포착을 반복하여 시도하여, 결국에는 집진실(52)로 인도하여 축적할 수 있다.Even if dust is caught, the collected dust is separated by the swirling flow F generated in the
이에 의해, 전기청소기(1)는 분리된 먼지를 집진실(52)로 확실하게 축적하여 분리성능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Thereby, the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격리부(38)로 분사되는 선회류(F)나 선회류(F)에 포함되는 먼지에 의해 격리부(38)를 회전시키므로, 격리부(38)를 회전시키는 개별적인, 추가적인 원동기 등의 부재나, 선회류(F)의 유속에 동기시키기 위한 측정기나, 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수의 증가수량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격리부(38)의 측벽(63) 외주면에 오목부(81)를 구비하므로 선회류(F)나, 선회류(F)에 포함되는 먼지에 의한 격리부(38)의 구동토크를 크게 하고, 간극(61)에 낀 먼지를 이탈시키기 쉽다.Since the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격리부(38)에 날개판(83)을 설치함으로써 선회류(F)에 의한 격리부(38)의 구동토크를 크게 하고, 간극(61)에 낀 먼지를 이탈시키기 쉽다.In the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회전하는 격리부(38)를 구비하므로, 선회류(F)에 추가하여 격리부(38)에서도 집진실(52) 내의 먼지를 교반할 수 있으므로 집진실(52) 내의 먼지의 분포밀도의 균질화를 도모하고, 먼지의 편중을 해소하여 보다 많은 먼지를 축적할 수 있다.Since the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 따르면, 원통형상의 용기 본체(35)와 격리부(38) 사이에 먼지가 체류하기 어려운 전기청소기(1)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룬다.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용기 본체(35), 흡입관(36), 제1 여과 필터부(37), 격리부(38), 복귀 여과 필터부(39), 회전 지지부(141), 덮개벽(42), 토출관(43) 및 제2 여과 필터부(4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7, the dust separating /
또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청소기 본체(2)에 장착 상태에서의 자세로서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수직방향으로 향해도 좋고, 수평방향으로 향해도 좋으며, 또는 다른 임의의 각도로 기울여 배치해도 좋다.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용기 본체(35)는 도시한 상방의 단부에 개방단(47) 및 하방의 단부에 폐색단(48)을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룬다. 용기 본체(35) 내부에는 먼지포함공기를 먼지와 공기로 원심 분리하는 분리실(51)과, 분리된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52)이 형성된다.The
흡입관(36)은 용기 본체(35)의 측벽(35a)의 개방단(47)측으로 치우쳐 용기 본체(35)에 접속 연통되고, 먼지포함공기를 먼지분리 집진장치(7)내에 유입시키는 입구가 된다.The
흡입관(36)은 관부(3)로부터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 유입되는 공기를 용기 본체(35)의 내주면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용기 본체(35)내로 인도하고, 용기 본체(35) 내에 선회류(F)를 발생시킨다. 흡입관(36)은 측벽(35a)에 일체 성형된다.The
또한, 흡입관(36)은 용기 본체(35) 내에 선회류(F)를 발생시키는 한,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직교하는 평면, 예를 들어 중심선(C)이 연직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의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The
제1 여과 필터부(37)는 용기 본체(35)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단부)는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설치한 덮개벽(42)에 인접된다.The uppe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he end near the
제1 여과 필터부(37)는 용기 본체(35) 내에 수납되며, 원통 형상부 외주면과 용기 본체(35)의 원통 형상부 내주면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51)을 형성하고 있고, 제1 여과 필터부(37)는 먼지분리 집진장치(7)의 1차 필터가 된다.The first
분리실(51)은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35)의 내주면을 구획하고, 선회류(F)를 발생시켜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다. 그리고, 전동송풍기(8)의 시동 직후나 정지 과도기 등 분리실(51) 내의 선회류(F)가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 또한 선회류(F)가 발달한 후에도 당연히, 용기 본체(35)로부터 토출관(43)을 향하는 먼지의 유출을 방지한다.The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으로 크게 개구되는 원통 형상의 보형틀(53)과, 보형틀(53)에 설치되는 제1 여과 필터(55)를 구비하고, 제1 여과 필터(55)는 보형틀(53)을 둘러싸도록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7 and 8, the first
보형틀(53)은 제1 여과 필터(55)를 원통 형상으로 유지한다. 보형틀(53)은 원통 형상의 측면에 상당하는 부분에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직선형상의 틀부재(56)와, 틀부재(56)에 연결되어 원통 형상의 양단부 각각의 가장자리에 상당하는 환형상의 틀부재(57)를 구비한다.The
격리부(38)는 제1 여과 필터부(37)보다 대직경이고, 용기 본체(35)보다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룬다. 격리부(38)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인접된다. 격리부(38)는 개구(58)를 갖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분리실(51)과 집진실(52)을 간극(59)에 의해 연통 접속시킨 상태로 구획하고 있다.The
격리부(38)의 개구(58)는 격리부(38)의 외주 가장자리와 용기 본체(35)의 내주면과의 환형상의 간극(59)보다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가깝고, 간극(59)과 동일하게 분리실(51)과 집진실(52)을 연통 접속하고 있다.The
격리부(38)보다도 용기 본체의 하방(저면)측의 공간은 분리실(51)로부터 간극(59)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52)이다. 간극(59)은 분리실(51) 내에서 발생하는 선회류(F)를 먼지와 함께 집진실(52)로 인도하고, 개구(58)는 집진실(52) 내에 인도된 선회류(F)를 분리실(51)로 복귀시킨다.The space on the lower side (bottom surface) 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than the
또한, 격리부(38)는 도 7 중,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5)의 저면을 향하여 개방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2점 쇄선으로 도시한 격리부(38)의 원통 형상의 측벽(63)의 외주면은 용기 본체(35)와의 사이에 간극(61)을 형성하고, 또한, 격리부(38)의 하단과 용기 본체(35)의 저면과의 사이에는 간극(62)이 형성되어 있다. The
분리실(51) 및 집진실(52)은 간극(59, 61, 62)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간극(61)은 용기 본체(35)의 내주면, 격리부(38)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간극(59, 61, 62)은 분리실(51)내에서 발생한 선회류(F)를 먼지와 함께 집진실(52)로 인도한다.The
격리부(38)의 개구(58)에 설치된 복귀 여과 필터부(39)는 집진실(52)에 유입된 실찌꺼기나 솜먼지 등의 섬유상의 먼지가 분리실(51)로 되돌아가지 않을 정도로 눈이 성긴 것, 예를 들어 메시 필터로 형성되어 있다.The return
회전 지지부(141)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141)는 용기 본체(35)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2 베어링(165)과, 덮개벽(42) 또는 토출관(43)에 설치되는 베어링 유지부재(166)와, 베어링 유지부재(166)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167)과, 제1 베어링(167)과 제2 베어링(165) 사이를 가로지르는 축심부(168)를 구비한다.The
제1 베어링(167) 및 제2 베어링(165)은 윤활유가 함침된 슬라이딩 베어링이고, 자기 윤활성을 발휘하는 소위 오일리스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이다.The
베어링 유지부재(166)는 제1 베어링(167)을 유지하는 중심 부분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뼈대부재를 구비한다.The
축심부(168)는 제1 여과 필터부(37)에 일체 성형되는 제1 축심 절반부(171)와, 격리부(38)에 고정되는 제2 축심 절반부(172)를 구비한다. 제1 축심 절반부(171) 및 제2 축심 절반부(172)는 중심선(C)에 동심인 원주 형상을 이룬다.The
제1 축심 절반부(171)상의 상단부에는 제1 베어링(167)을 유지하는 제1 베어링 유지부(173)가 설치된다. 제2 축심 절반부(172)의 하단부에는 제2 베어링(165)을 유지하는 제2 베어링 유지부(175)가 설치된다.A first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는 회전 지지부(14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분리실(51)을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 즉 선회류(F)를 받아 회전된다.Since the first
선회류(F)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면 및 격리부(38)의 표면을 따라서 흐르는 과정이나, 제1 여과 필터(55)를 통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에 회전력을 부여한다.The swirling flow F flows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을 막는다.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에 대하여 대략 동심의 개구(42a)를 갖는다. 개구(42a)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의 공간과 토출관(43) 내를 연통시킨다.The
제1 여과 필터부(37)가 덮개벽(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는 회전하므로, 덮개벽(42)과 제1 여과 필터부(37)의 인접 부분에는 분리실(51)측으로부터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 공간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방해하는 시일부(181)가 설치된다.The first
가령, 제1 여과 필터부(37)와 덮개벽(42)의 미소한 간극에 먼지 등이 들어가면, 제1 여과 필터부(37)는 회전을 저해받는다. 그래서, 시일부(181)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덮개벽(42)의 미소한 간극에서의 공기의 유통 또는 먼지의 침입을 방해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의 확실한 회전을 확보한다. 시일부(181)는 예를 들어 소위 래버린스(labyrinth) 구조를 이룬다.For example, when dust or the like enters the minute clearance between the first
토출관(43)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을 막고, 덮개벽(42)을 덮어 가린다. 토출관(43)은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서의 공기의 출구이고, 제1 여과 필터부(37) 및 제2 여과 필터부(45)를 통과하는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송출하는 배기 풍로(182)가 된다.The
제2 여과 필터부(45)는 덮개벽(42)의 개구(42a)로부터 배기 풍로(182)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제2 여과 필터부(45)는 전동송풍기(8)의 시동 직후나 정지 직후 등 분리실(51)의 선회류(F)가 충분히 발달해 있지 않은 기간에, 제1 여과 필터부(37)를 투과하는 미세한 입자 형상의 미세 먼지를 포집하고 미세한 입자 형상의 미세 먼지가 전동송풍기(8)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econd
제2 여과 필터부(45)는 원반 형상을 이루고 중심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산 부분과 골짜기 부분이 번갈아 나열되는 플리티드 필터(pleated filter)이다.The second
제1 여과 필터부(37), 격리부(38), 복귀 여과 필터부(39) 및 회전 지지부(141)는 덮개벽(42) 및 토출관(43)에 일체화되어 있고,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으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용기 본체(35) 내로 수납할 수 있다.The first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제1 여과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filter por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제1 여과 필터부(37)에 설치되어 분리실(51)을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받는 날개판(183)을 구비한다.8, the dust separation and
날개판(183)은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주측에 설치되고, 제1 여과 필터부(37)의 중심선, 즉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향하여 연장된다. 날개판(183)은 보형틀(53)에 일체화되어 있다. 날개판(183)은 제1 여과 필터(55)를 통과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받아 제1 여과 필터부(37)에 회전력을 부여한다.The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여기에서, 우선 제2 실시형태와의 비교를 위해 도 9, 도 10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10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 제1 여과 필터부(102) 및 격리부(103)를 구비하는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 대해서 설명한다.9 and 10 for comparison with the second embodiment, a conventional
도 9의 (a), (b) 및 (c)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9 (a), 9 (b) and 9 (c)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도 10은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서는 먼지분리 집진장치(105)에 제1 여과 필터부(102)의 외주 길이를 초과하는 긴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의해 유입되면, 먼지(fi)의 한쪽의 단부가 여과 필터(106)에 끼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9 (a), in the conventional
그리고,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서는 용기 본체(101)에 대해서 제1 여과 필터부(102)가 고정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으므로,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단부가 여과 필터(106)에 부착된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흐르는 채로 여과 필터(106)에 감기기 시작한다.In the conventional
결국에는 도 9의 (c)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상의 먼지(fi)가 여과 필터(106)에 감겨 용이하게는 풀리지 않게 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9 (c) and Fig. 10, the fibrous dust fi is wound around the
한편, 도 11의 (a), (b), (c) 및 (d)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11 (a), 11 (b), 11 (c) and 11 (d)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또한,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 있어서도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길이를 초과하는 긴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의해 유입되면, 먼지(fi)의 한쪽 단부가 제1 여과 필터(55)에 끼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11 (a), in the
그리고,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단부가 제1 여과 필터(55)에 부착된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흐르는 채로 제1 여과 필터(55)에 감기기 시작한다.As shown in Fig. 11 (b), the fibrous dust fi attached to the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제1 여과 필터부(37)가 선회류(F)에 수반되어 회전하므로(도 11 중, 실선 화살표 R), 제1 여과 필터(55)가 부착된 섬유상의 먼지(fi)와 함께 회전하여 선회류(F)에 흐르는 먼지(fi)와 제1 여과 필터(55)의 상대적인 속도차가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 비하여 작고,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에 감길 때까지는 분리실(51)내에서 보다 장시간, 보다 장거리로 흐르게 된다.In the
먼지(fi) 및 제1 여과 필터부(37)의 회전이 계속되고 있는 한중간에, 선회류(F)의 약간의 흐트러짐 등을 계기로 하여,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fi)의 한쪽 단부가 제1 여과 필터(55)로부터 이탈 또는 탈락된다.As shown in Fig. 11 (c), when the dust fi and the first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 비하여 먼지(fi)와 제1 여과 필터(55)의 상대적인 속도차가 작고,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에 감길 때까지 보다 장시간, 보다 장거리의 여유가 있다.The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선회류(F)의 약간의 흐트러짐 등을 계기로 여러 차례 조우(遭遇)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로부터 이탈 또는 탈락할 기회가 상당한 정도로 높아진다. Therefore, in the
그리고, 결국에는 도 1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상의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로부터 이탈, 탈락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실(52)에 축적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1 (d), the fibrous dust fi separates from or falls off from the
그런데, 선회류(F)는 일주할 때마다 흡입관(36)으로부터 분리실(51)로 유입되는 신규의 먼지함유공기에 합류하면서,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방향, 다시 말하면 제1 여과 필터(55)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풍향을 변화시킨다. 풍향을 변화시킨 선회류(F)의 일부는 제1 여과 필터(55)를 통과하고 먼지분리 집진장치(7) 밖으로 인도된다.The swirling flow F merges with the new dust-containing air flowing into the
이 과정에서 도 9의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의 경우, 회전하지 않는 여과 필터(106)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풍향을 바꾼 선회류(F)의 일부가 여과 필터(106)의 대략 정위치를 계속 통과하게 된다.In this process, since the conventional
그렇게 하면, 여과 필터(106)의 해당 부분에는 서서히 먼지가 부착되고 결국 필터 눈이 막히게 된다. 여과 필터(106)의 특정 부분에 눈막힘이 일어나면 눈막힘 부분의 유속이 저하되고, 또한 범위가 넓어져 결국에는 여과 필터(106) 전체의 눈막힘을 유발한다.As a result, dust adheres slowly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제1 여과 필터(55)를 선회류(F)에 수반하여 회전시키므로, 풍향을 바꾼 선회류(F)의 일부가 제1 여과 필터(55)의 정위치를 계속 통과하지 않고, 통과부분이 전체 둘레에 걸쳐 널리 분산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55)의 어느 좁은 범위에서 눈막힘이 일어나기 어려워 통기성을 유지하기 쉽고, 더 나아가 제1 여과 필터(55) 전체의 통기성을 유지하기 쉽다.Accordingly,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함께 격리부(38)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선회류(F)에 추가하여 격리부(38)에서도 집진실(52) 내의 먼지를 교반할 수 있으므로, 집진실(52)내의 먼지의 분포 밀도의 균질화를 도모하고 먼지의 편중을 해소하여 보다 많은 먼지를 축적할 수 있다.I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용기 본체(35)내에 회전 자유로운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를 구비하므로, 분리실(51) 내를 선회하는 먼지, 특히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용기 본체(35) 내에 발생하는 선회류(F)로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를 회전시키므로, 추가적인 원동기 등의 부재나, 선회류(F)의 유속에 동기시키기 위한 측정기나 제어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수의 증가 수량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부(37)에 날개판(183)을 구비하므로,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의 구동토크를 크게 하고, 선회류(F)와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의 회전을 동기시키기 쉽다.Since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 날개판(183)을 겸비하는 보형틀(53)을 구비함으로써, 제1 여과 필터부(37)의 조립에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In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주측에 날개판(183)을 구비하므로, 제1 여과 필터(55)의 외주면, 즉 선회류(F)에 노출되는 면에 유속이 복잡한 분포나 와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제1 여과 필터(55)로의 먼지의 부착을 피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 (35)의 내부에 있는 원통 형상의 제1 여과 필터(55)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기기 어려운 전기청소기(1)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캐니스터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업라이트형, 스틱형 또는 핸디형 등의 것이어도 좋다.The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se embodiments are presented as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se new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nd thei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전기청소기 2: 청소기 본체
3: 관부 5: 본체 케이스
6: 주행바퀴 7: 먼지분리 집진장치
8: 전동송풍기 9: 본체 제어부
11: 전원코드 12: 본체 접속구
14: 삽입 플러그 19: 접속관
21: 집진 호스 22: 손잡이 조작관
23: 손잡이부 24: 조작부
24a: 정지 스위치 24b: 기동 스위치
25: 연장관 26: 흡입구체
28: 흡입구 29: 회전청소체
31: 전동기 35: 용기 본체
35a: 측벽 36: 흡입관
37: 제1 여과 필터부 37a: 저벽
38: 격리부 39: 복귀 여과 필터부
41, 141: 회전 지지부 42: 덮개벽
42a: 개구 43: 토출관
45: 제2 여과 필터부 47: 개방단
48: 폐색단 51: 분리실
52: 집진실 53: 보형틀
55: 제1 여과 필터 56: 틀부재
58: 개구 59, 61, 62: 간극
63: 측벽 66: 축심 유지부
67: 축심부 68: 베어링
71: 베어링 유지부 72: C링
73: 미세 간극 75: 홈
78: 계단 형상 끼워맞춤부 79: 배기 풍로
81: 오목부 83: 날개판
101: 용기 본체 103: 격리부
104: 전기청소기 105: 먼지분리 집진장치
106: 여과 필터 108: 분리실
109: 집진실 165: 제2 베어링
166: 베어링 유지부재 167: 제1 베어링
168: 축심부 171: 제1 축심 절반부
172: 제2 축심 절반부 173: 제1 베어링 유지부
175: 제2 베어링 유지부 181: 시일부
182: 배기 풍로 183: 날개판1: electric cleaner 2: cleaner body
3: tube 5: body case
6: Driving wheel 7: Dust separation dust collector
8: electric blower 9: main body control section
11: Power cord 12: Main body connection port
14: insertion plug 19: connecting pipe
21: dust collecting hose 22: handle operating pipe
23: Handle portion 24: Operation portion
24a: Stop
25: extension tube 26: suction sphere
28: suction port 29: rotary cleaning body
31: electric motor 35: container body
35a: side wall 36: suction pipe
37:
38: isolation part 39: return filter part
41, 141: rotation supporting part 42: cover wall
42a: opening 43: discharge pipe
45: second filtration filter unit 47: open end
48: obstruction end 51: separation chamber
52: House Truth 53: Bean Frame
55: first filter 56: frame member
58:
63: side wall 66:
67: shaft portion 68: bearing
71: bearing holding portion 72: C ring
73: Micro gap 75: Home
78: stepped fitting portion 79: exhaust air passage
81: concave portion 83: wing plate
101: container body 103:
104: Electric vacuum cleaner 105: Dust separation dust collector
106: Filtration filter 108: Separation chamber
109: House Truth 165: Second bearing
166: Bearing holding member 167: First bearing
168: Shaft portion 171: First axis center half portion
172: second center half portion 173: first bearing holding portion
175: second bearing holding portion 181:
182: exhaust air passage 183: wing plate
Claims (10)
상기 용기 본체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용기 본체내에 수납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을 형성하는 여과 필터부,
상기 여과 필터부보다 대직경이고, 상기 용기 본체보다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루며,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한쪽의 단부에 인접되어, 상기 분리실과 서로 이웃하여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집진실을 형성하는 격리부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격리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격리부는 상기 용기 본체내를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받아 회전하는 전기청소기.A cylindrical container body,
A filtration filter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shorter cylindrical shape than the container body and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and forms an annular separation chamber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body,
An isolation part forming a dust collecting chambe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ltration filter part and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ainer body and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ltration filter par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eparation chamber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isolation portion with the center line of the container main body as a rotation axis,
Wherein the separator is rotated by receiving a flow of air circulating in the container body.
상기 격리부는 상기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간극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측벽을 구비하는 전기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parator has a cylindrical side wall which forms an annular gap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container body.
상기 격리부는 상기 측벽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격리부의 회전중심선의 방향으로 상기 측벽을 함몰시키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전기청소기.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solation portion has a plurality of recesse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depressing the side wall in a direction of a rotation center line of the isolation portion.
상기 격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실을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받는 날개판을 구비하는 전기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ing plate that is installed in the isolation portion and receives a flow of air circulat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상기 여과 필터부는 날개판을 겸비하는 보형틀과, 상기 보형틀에 설치되는 여과 필터를 구비하는 전기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ing filter unit includes a bottle frame having a blade plate and a filtering filter provided on the bottle frame.
상기 날개판은 상기 여과 필터부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전기청소기.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ing plate is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ltration filter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052324 | 2013-03-14 | ||
JP2013052327A JP2014176502A (en) | 2013-03-14 | 2013-03-14 | Vacuum cleaner |
JPJP-P-2013-052327 | 2013-03-14 | ||
JP2013052324A JP6189058B2 (en) | 2013-03-14 | 2013-03-14 | Electric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3309A KR20140113309A (en) | 2014-09-24 |
KR101534982B1 true KR101534982B1 (en) | 2015-07-07 |
Family
ID=5149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3729A KR101534982B1 (en) | 2013-03-14 | 2013-12-26 | Electric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4982B1 (en) |
CN (1) | CN104042167B (en) |
TW (1) | TWI554238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42166B (en) * | 2013-03-14 | 2017-04-12 |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 Electric Cleaner |
KR102560970B1 (en) * | 2016-03-31 | 2023-07-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leaner |
GB201706357D0 (en) * | 2017-04-21 | 2017-06-07 | Grey Tech Ltd | Bagged vacuum cleaner |
CN109199231B (en) * | 2017-06-30 | 2024-01-23 |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 Dust suction device |
CN110207211A (en) * | 2018-09-06 | 2019-09-06 | 华帝股份有限公司 | Air inlet ring, wind wheel, fan structure and range hood |
CN216724410U (en) * | 2020-02-03 | 2022-06-14 | 朱圣铉 | Dust collecting device of vacuum clean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5574A (en) * | 2003-02-21 | 2004-08-30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KR20120125312A (en) * | 2010-02-26 | 2012-11-14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Dust separating/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electric cleaner |
KR20140113308A (en) * | 2013-03-14 | 2014-09-24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Electric vacuum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17348A (en) * | 1999-05-06 | 2000-11-21 | Mitsuhiro Sekino | Centrifugal/inertial effect type classifying system |
JP3788589B2 (en) * | 2001-09-20 | 2006-06-21 | シャープ株式会社 | Vacuum cleaner |
KR100433414B1 (en) * | 2002-05-11 | 2004-05-31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Cyclone-type dust collect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US7615088B2 (en) * | 2003-08-04 | 2009-11-10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Cyclonic separator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n airflow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such a separator |
KR100607440B1 (en) * | 2004-09-13 | 2006-08-02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CA2675715A1 (en) * | 2006-12-12 | 2008-06-19 | Gbd Corp. |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magnetic securing member |
RU2484756C2 (en) * | 2010-07-28 | 2013-06-20 |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Тосиба | Dust receptacle and vacuum cleaner |
-
2013
- 2013-12-26 KR KR1020130163729A patent/KR10153498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26 TW TW102148496A patent/TWI554238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12-26 CN CN201310739841.XA patent/CN104042167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5574A (en) * | 2003-02-21 | 2004-08-30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KR20120125312A (en) * | 2010-02-26 | 2012-11-14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Dust separating/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electric cleaner |
KR20140113308A (en) * | 2013-03-14 | 2014-09-24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Electric vacuum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434429A (en) | 2014-09-16 |
CN104042167A (en) | 2014-09-17 |
KR20140113309A (en) | 2014-09-24 |
TWI554238B (en) | 2016-10-21 |
CN104042167B (en) | 2017-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4982B1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1534981B1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2058867B1 (en) | Electric cleaning device | |
CN205359364U (en) | Dust collection device of vacuum cleaner | |
CA3012515C (en) |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KR102656583B1 (en) | Robot cleaner | |
US20130014342A1 (en) | Hovering vacuum cleaners and components thereof | |
CN112043203A (en) | Dust cleaning mechanism and cleaning equipment | |
KR101379054B1 (en) |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 |
JP2017055834A (en) | Vacuum cleaner | |
CN112056989A (en) | Dust catcher wind path subassembly and cleaning device | |
CN108968804A (en) | Automatically cleaning vacuum cleaner | |
KR20190007293A (en) | Vacuum cleaner | |
US20200138258A1 (en) | Debris compactor for a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JP2017104334A (en) | Vacuum cleaner | |
JP2017109017A (en) | Vacuum cleaner | |
JP6453531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2014023782A (en) | Vacuum cleaner | |
JP6494900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6189058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CN112056988A (en) | Cyclone separation device and cleaning equipment | |
JP2017104335A (en) | Vacuum cleaner | |
CN111417332B (en) | Air cleaning appliance comprising a disc stack separator | |
JP2014176502A (en) | Vacuum cleaner | |
TWI619466B (en) | Dust separation device and electric sweep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