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712B1 -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2712B1 KR101522712B1 KR1020110069379A KR20110069379A KR101522712B1 KR 101522712 B1 KR101522712 B1 KR 101522712B1 KR 1020110069379 A KR1020110069379 A KR 1020110069379A KR 20110069379 A KR20110069379 A KR 20110069379A KR 101522712 B1 KR101522712 B1 KR 1015227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s
- week
- cancer
- cell line
- medi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30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9/30—Oxygen atoms, e.g. delta-lacto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및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점점 더 증가되고 있는 심각한 질병 중의 하나이다. 암은 비정상 세포의 조절되지 않는 성장 및 확산을 특징으로 가지며, 신체의 모든 기관 및 조직에 부작용을 미칠 수 있고, 종종 죽음에까지 이르게 한다. 암의 개시 및 진행에는 다수의 인자들이 역할을 하며, 이는 암의 치료를 어렵게 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또한, 어린이들 사이에서 암의 발병률이 최근에 증가되고 있다. 미국에서 암은 2007년 약 1,444,000개의 새로운 케이스가 진단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방광을 제외한 임의의 부위의 비침투성암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기저 및 편평상피세포 피부암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암의 분자상 진단은 정상세포보다 암세포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항원 또는 단백질인 바이오마커 분자이거나 또는 신규 합성된 바이오마커 분자에 의존한다. 이러한 바이오마커들은 종양세포에 의해 직접 제조되거나 또는 암의 존재에 반응하는 신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환자의 샘플에서 바이오마커의 탐지는 암 진단에서 중요한 단계로서 주어질 수 있으며, 또한 암의 초기 단계에서 암을 검진해낼 수 있는 능력은 암환자의 생존률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해준다. 현재, 암치료를 위해 이용되는 많은 유형의 항암제가 있으며, 이는 여러 개의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암제의 카테고리 분류 및 그의 예 중 하나는 하기와 같다.
(1) DNA 손상제: 독소루비신은 인접 뉴클레오티드로 삽입되어 RNA와 DNA 합성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는 안트라시클린 항생물질이다. 이러한 작용을 달성하기 위하여, 독소루비신은 DNA와 약물간의 강한 상호작용을 형성시키며, 또한 DNA 합성에 필수적인 효소 토포이소머라제 II를 억제한다. 독소루비신의 물질대사는 지질막의 과산화를 야기하는 자유 산소 라디칼을 생성하며, 칼슘은 심장조직으로부터 배출되는데, 이는 심근독성을 야기한다. 독소루비신의 주요한 임상 문제점은 약물 내성이다. 이러한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독소루비신은 광범위한 암에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안트라시클린이다.
(2) 알킬화제: 시클로포스파미드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알킬화제이다. 시토크롬 P-450 작용을 통해, 시클로포스파미드는 히드록실화 중간체로 변환되어 활성 포스포르아미드 머스타드 및 아크롤레인을 형성한다. 포스포르아미드 머스타드는 사슬내/사슬간 DNA 가교결합을 야기하며, 이는 광범위한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가져온다. 시클로포스파미드는 발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는 다른 암이 진행되는 위험을 증가시키며 면역계를 억제한다.
(3) 미세소관 억제제(MI): MI는 방추 미세소관 역학을 방해하며, 세포주기의 저지 및 세포자멸을 야기한다. 탁산류(파클리탁셀 및 도세탁셀)는 미세소관 중합제제이며, 빈카 알칼로이드는 미세소관 탈중합제제이다. 탁산류는 유방암 치료에 가장 활성제이다. 파클리탁셀은 β-튜블린에 결합하며, 미세소관 중합 및 안정성을 야기하며, 중기에서 후기로의 진행을 억제하며 세포자멸을 유도한다. 도세탁셀은 2세대 탁산이며, 파클리탁셀과 동일한 결합 부위를 가지며 친화도가 더 높다. 도세탁셀은 파클리탁셀보다 세포독성이 2 내지 4배 더 높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4) 빈카 알칼로이드: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콜히친, 포도필로톡신 및 노코다졸은 미세소관 말단에 높은 친화도를 가지고 그에 결합되며, 동원체에 미세소관이 부착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는 미세소관 접합의 억제를 야기하며, 미세소관을 불안정하게 하며, 세포자멸을 유도한다. 이는 탁산류와 결합 부위를 공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MI는 일반적으로 독소루비신, 시클로포스파미드 치료에 대해 보조 치료제로서 사용된다.
(5) 아로마타제 억제제(AI): 아로마타제는 안드로겐을 에스트로겐으로 전환시키며, 이에 따라 국부 에스트로겐 농도가 증가된다. 이는 유방암에 대해 발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로마타제 억제제는 아로마타제를 억제하지만 난소에서 에스트로겐을 생성하는 것을 차단하지 않으며, 이는 폐경기 후의 여성에게만 작용한다. 아로마타제 억제제는 심혈관계 및 골에서 에스트로겐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심장 문제 및 골다공증이 주요한 부작용으로 나타난다.
(6) 비스테로이드성 호르몬 치료제: 타목시펜은 ER-음성 유방암 환자를 제외하고 골, 자궁 및 콜레스테롤 수준에서 에스트로겐성 효과를 갖는 한편, 유방에서 정상신호전달을 파괴하고 ER α/β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항에스트로겐성 효과를 나타내는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로서 작용한다. 자궁에 대한 전에스트로겐 효과는 타목시펜으로 치료된 유방암 환자에게서 자궁암의 진행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랄록시펜은 차세대의 SERM으로서, 유방과 자궁 모두에서 항에스트로겐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자궁내막의 성장이 자극되지 않는다. 랄록시펜은 2007년에 FDA에서 승인되었으며, 위험 내력이 높은 폐경기 후의 여성에게서 침습성 유방암의 위험 및 골다공증을 예방한다. 랄록시펜은 골 및 심장에서 전에스트로겐 효과를 가지며, 이는 골밀도를 높게 하고 콜레스테롤을 낮춘다.
상기 언급된 치료제 모두는 암세포를 사멸시키며 정상세포도 유사하게 사멸시킨다는 점에서 하나의 공통성을 가진다. 또한, 환자의 삶의 질을 매우 감소시키는 부작용이 존재한다.
최근에 2개의 추가의 유망한 항종양제가 개발되었다. 트라스투주마브(헤르셉틴)은 erbB-2 (her2/neu) 수용체에 결합하도록 특이적으로 설계된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이는 리간드 및 수용체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세포외 성장신호를 억제한다. 트라스투주마브는 항체 의존성 세포성 세포독성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트라스투주마브 내성은 세포질 신호전달의 수준에서 발견되었으며, 페르투주마브와 같은 추가의 모노클로날 항체가 erbB 수용체 신호를 상승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필요하다. 유망한 다른 약물은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글리벡(이마티니브 메실레이트)이다. 이마티니브는 다수의 티로신 키나제 효소의 특이적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2-페닐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이다. 이는 TK 활성 부위를 차지함으로써 기능하며, 활성의 감소를 야기한다. 이마티니브는 abl(아벨슨 원종양유전자), c-kit 및 PDGF-R(혈소판-유도 성장인자 수용체)에서 TK 도메인에 대해 특이적이다. 이마티니브는 bcr-abl의 ATP 결합 부위에 결합하고 단백질의 효소활성을 경쟁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작용한다. 이마티니브는 bcr-abl에 대해 선택적이며, 또한 상기 언급된 다른 타겟(ckit 및 PDGF-R)을 억제한다. 그러나, 글리벡으로 치료된 환자들에게서는 심장 문제, 빈혈 및 다른 부작용들을 발생시켰다.
따라서, 세포를 사멸시키는 수많은 방법들을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표적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키면서 부작용 및 세포독성을 매우 감소시키는 항암제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이제까지 개발된 항암제는 항암효과가 우수한 경우 독성이 너무 강하여 신체기능이 약한 어린이, 노약자 또는 말기암 환자에게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독성이 낮은 경우에는 항암효과가 저하되거나 항암효과를 빠른 시간 내에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종래의 항암제는 혈액 독성, 위장 독성, 신경 독성, 피부 독성, 탈모, 불임 등의 부작용을 수반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항암제는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분하지 못함에 따라 암세포 외에 정상세포까지도 파괴시킨다. 특히, 파클리탁셀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 중 하나이지만, 이는 난용성 물질로서 증류수에 거의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주사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또다른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임상적으로 이러한 물질의 과량 투여는 심장독성과 과민반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항암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암세포와 같은 이상 증식된 변이 세포만을 제거하고, 오히려 정상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손상된 정상세포를 복구시킬 수 있으며, 독성이 없고, 말기암 환자와 같은 신체기능이 약한 인간에게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온화한 조건에서 제조가 가능하며, 기존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제조방법에 비해 훨씬 안전하고 친수성 약물로서 주사제 및 경구 모두로 이용할 수 있으며, 약의 효과가 나타나는 속도가 매우 빠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식 중, 치환기 R은 C2H5 또는 C2H3임).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암에는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간암, 췌장암, 피부암, 대장암, 골육종, 뇌종양,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위암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든 암의 종류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과 함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할 수 있으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유효성을 감소시키지 않는 한 다른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업계에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당업자라면 특정 투여 경로에 적합한 담체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정제수 1ml 당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이 0.3mg 이상 포함되며,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1회 50ml~500ml의 양으로 체내에 투여 가능하며, 투여간격은 1일 1회 내지 12회일 수 있으며, 1일 12회 투여할 경우에는 2시간마다 1회씩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피하, 근육내, 정맥내, 복강내, 흉막내, 소포내 또는 포막내), 국소, 경구, 직장 또는 비강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 및 투여간격은 치료대상인 암의 유형, 환자의 연령, 환자의 체중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 (i) 2-메틸부티르산, 및 (ii) 악티게닌-4-O-글루코시드, 3,5,7,9-테트라인 또는 알라닌을 2:1의 비율로 반응시키는 단계,
b) 3:1의 비율로 혼합한 (i) 구리 및 (ii) 루테올린-7-람노글루코시드, 사포닌, 피넨, 트랜스-게라니올, 리나롤(linalol) 또는 클로로겐산을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반응시키는 단계,
c) 1:1의 비율로 혼합한 (i) 비텍시카르핀 또는 헤스페리딘, 및 (ii) 3'-히드록시포르모노네틴, 캠페롤 또는 물을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반응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수득한 생성물에 시니그린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수득한 생성물에 발린을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의 반응은 80~120℃에서 10~30분 동안 수행되며, 상기 b) 단계의 반응은 120~170℃에서 10분 동안 수행되며, 상기 c) 단계의 반응은 80~120℃에서 5~8분 동안 수행되며, 상기 d) 단계의 반응은 100~140℃에서 5~10분 동안 수행되며, 상기 e) 단계의 반응은 -30~30℃에서 10~20분 동안 수행한 후에, 80~230℃에서 5~30분 동안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에서 용매는 물(H2O)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에서 수득된 화합물을 -5~30℃의 물에 용해하여 여과함으로써 정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에서 수득된 화합물을 하기 단계에 따라 정제한다:
(i) 100~150℃의 물에 상기 e) 단계에서 수득된 화합물을 용해하여 여과하는 단계,
(ii) 70~100℃에서 상기 (i) 단계에서 수득된 용액을 여과하는 단계,
(iii) 40~60℃에서 상기 (ii) 단계에서 수득된 용액을 여과하는 단계,
(iv) 15~30℃에서 상기 (iii) 단계에서 수득된 용액을 여과하는 단계,
(v) -1~15℃에서 상기 (iv) 단계에서 수득된 용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vi) 상기 (v) 단계에서 수득된 용액을 건조시킨 수득된 고체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에서 수득된 화합물을 하기 단계에 따라 정제한다:
(i) 100~150℃의 물에 상기 e) 단계에서 수득된 화합물을 용해하여 여과하는 단계,
(ii) 30~100℃에서 상기 (i) 단계에서 수득된 용액을 여과하는 단계,
(iii) -5~30℃에서 상기 (ii) 단계에서 수득된 용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iv) 상기 (iii) 단계에서 수득된 용액을 건조시킨 수득된 고체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에 사용된 필터는 공극크기가 10-6m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인체 내에 투여시, 신경전달물질을 전체적으로 활성화시키고 비장 기능을 향상시키며 혈액을 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의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키며, 이에 따라 비장 활동이 촉진되고 체열이 내려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인체 내 림프 기능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며 비장 내의 림프구와 대식세포를 증식시킴에 따라, 림프와 혈액이 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는 전체적으로 신체기능이 저하되어 있거나 합병증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독성이 강한 종래의 항암제를 견디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독성이 없어 정상세포를 해하지 않고 오히려 환자의 저하된 신체기능을 향상시켜 항암 치료에 유리한 신체 상태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말기암 환자에게도 부작용이나 약물에 의한 쇼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체 내에 투여시 암세포가 일시적으로 활동을 멈추고 검은색의 테두리를 갖는 다각형의 모양으로 조직의 구성이 변화하면서 세포가 터져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골수를 자극하여 NK 및 NKT 세포를 생성하고, 이는 T세포, B세포로 분화되어 혈액이 미치는 모든 범위 내에 있는 암세포를 제거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모든 암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분하지 못하는 종래의 항암제와 달리, 암세포와 같은 이상 증식된 변이 세포만을 타겟으로 하여 제거하면서, 정상세포에는 세포독성이 없고 오히려 정상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손상된 정상세포를 복구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주사제 및 경구제 등의 형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의 효과가 나타나는 속도가 매우 빠르며, 암 또는 합병증에 의해 약화된 신체기능을 회복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말기암 환자에 대해 유용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노약자에게 투여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체내에 잠복해 있는 종양을 제거하고 혈액내 면역세포를 강화하므로, 암백신으로서 작용하여 암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어 있는 도면에서, 실험군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수득한 화합물 II 및 III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한 군을 나타내며, 대조군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탁솔 또는 시스플라틴으로 처리한 군을 나타내며, 비처리군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물질로 처리하지 않은 군을 나타낸다.
도 1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NMR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2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NMR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3은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질량 스펙트럼(Mass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4는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5는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와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은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과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7은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실험군, 대조군 및 비처리군을 각각 제1주(LC50)의 48시간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inverted microscope)으로 배율 x200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실험군, 대조군 및 비처리군을 각각 제1주(LC50)의 4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위의 사진은 배율 x40으로 관찰한 것이고, 아래 사진은 배율 x200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9는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실험군, 대조군 및 비처리군을 각각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위의 사진은 배율 x40으로 관찰한 것이고, 아래 사진은 배율 x200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10은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여기서, 실험군은 세포들이 단일 군집을 이루고 있는 반면, 대조군은 세포들이 웰 전체에 퍼져 있다.
도 11은 세포주 MCF-7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제1주(LC50)의 세로축은 세포수를, 제2주(회복기)의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12는 세포주 MDA-MB-468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를 나타낸다.
도 13은 세포주 SKBR3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14는 세포주 SKBR3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15는 세포주 SKBR3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16은 세포주 SKBR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17은 세포주 SKBR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18은 세포주 SKBR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19는 세포주 SKBR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0은 세포주 PC3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1은 세포주 PC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와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2는 세포주 PC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과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3은 세포주 HT1299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4는 세포주 HT1299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와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5는 세포주 HT1299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과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6은 세포주 HT1299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7은 세포주 HT1299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24시간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8은 세포주 HT1299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4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9는 세포주 Saos-2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0은 세포주 Saos-2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24시간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1은 세포주 Saos-2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4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2는 세포주 Saos-2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3은 세포주 C-6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4는 세포주 C-6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5는 세포주 C-6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와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6은 세포주 C-6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과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7은 세포주 AsPc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8은 세포주 AsPc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9는 세포주 AsPc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24시간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0은 세포주 AsPc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4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1은 세포주 AsPc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2는 세포주 MDA-MB-231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43은 세포주 MDA-MB-231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44는 세포주 MDA-MB-231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45는 세포주 MDA-MB-231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46은 세포주 RKO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47은 세포주 RKO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48은 세포주 RKO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49는 세포주 RKO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50은 HeLa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51은 HeLa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52는 HeLa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53은 HeLa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54는 TT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55는 TT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56은 TT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57은 TT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58은 TT 세포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59는 TT 세포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0은 TT 세포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1은 TT 세포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2는 HepG2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3은 HepG2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64는 HepG2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65는 HepG2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66은 HepG2 세포에 대해, 실험군, 대조군 및 비처리군을 각각 제1주(LC50)의 4일째에 배율 200의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7은 N87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8은 N87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69는 N87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70은 N87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71은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를 나타낸다.
도 72는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1주(LC50)의 48시간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3은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4는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0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5는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6은 세포주 BJ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제1주(LC50)의 세로축은 세포수의 값, 제2주(회복기)의 세로축은 세포수의 1/10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77은 세포주 BJ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와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78은 세포주 BJ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과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79는 세포주 BJ에 대해, 실험군, 대조군 및 비처리군을 각각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0은 세포주 BJ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4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1 및 도 82는 세포주 CCD-1074sk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다만, 도 82의 세로축은 세포수의 5배의 값을 나타낸다.
도 83은 세포주 CCD-1074sk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84 및 도 85는 세포주 CCD-1074sk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86은 세포주 CCD-1074sk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87은 누드마우스에 WM-266-4(인간 악성 흑색종)를 투여한 후에 비처리군, 실험군 및 대조군의 시간 경과에 따른 종양의 크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8은 암수 Sprague-Dawley 래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체중(g)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9는 누드마우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투여된 이후에 나타나는 발모 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90에서, 상단 2개의 사진은 HME 50 HT 정상 세포주에 대해 각각 실험군 및 대조군을 제1주(LC50)의 4일째에 촬영한 사진이며, 하단 2개의 사진은 BJ 정상 세포주에 대해 각각 실험군 및 대조군을 제1주(LC50)의 4일째에 촬영한 사진이다.
도 91에서, 상단 2개의 사진은 HT1299 암 세포주에 대해 각각 실험군 및 대조군을 제1주(LC50)의 7일째에 촬영한 사진이며, 하단 2개의 사진은 AsPc 암 세포주에 대해 각각 실험군 및 대조군을 제2주(회복기)의 48시간째에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NMR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2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NMR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3은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질량 스펙트럼(Mass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4는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5는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와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은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과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7은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실험군, 대조군 및 비처리군을 각각 제1주(LC50)의 48시간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inverted microscope)으로 배율 x200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실험군, 대조군 및 비처리군을 각각 제1주(LC50)의 4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위의 사진은 배율 x40으로 관찰한 것이고, 아래 사진은 배율 x200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9는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실험군, 대조군 및 비처리군을 각각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위의 사진은 배율 x40으로 관찰한 것이고, 아래 사진은 배율 x200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10은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여기서, 실험군은 세포들이 단일 군집을 이루고 있는 반면, 대조군은 세포들이 웰 전체에 퍼져 있다.
도 11은 세포주 MCF-7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제1주(LC50)의 세로축은 세포수를, 제2주(회복기)의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12는 세포주 MDA-MB-468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를 나타낸다.
도 13은 세포주 SKBR3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14는 세포주 SKBR3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15는 세포주 SKBR3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16은 세포주 SKBR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17은 세포주 SKBR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18은 세포주 SKBR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19는 세포주 SKBR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0은 세포주 PC3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1은 세포주 PC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와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2는 세포주 PC3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과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3은 세포주 HT1299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4는 세포주 HT1299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와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5는 세포주 HT1299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과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26은 세포주 HT1299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7은 세포주 HT1299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24시간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8은 세포주 HT1299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4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9는 세포주 Saos-2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0은 세포주 Saos-2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24시간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1은 세포주 Saos-2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4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2는 세포주 Saos-2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3은 세포주 C-6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4는 세포주 C-6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5는 세포주 C-6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와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6은 세포주 C-6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과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7은 세포주 AsPc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8은 세포주 AsPc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9는 세포주 AsPc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24시간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0은 세포주 AsPc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4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1은 세포주 AsPc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2는 세포주 MDA-MB-231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43은 세포주 MDA-MB-231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44는 세포주 MDA-MB-231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45는 세포주 MDA-MB-231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46은 세포주 RKO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47은 세포주 RKO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48은 세포주 RKO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49는 세포주 RKO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50은 HeLa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51은 HeLa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52는 HeLa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53은 HeLa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54는 TT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55는 TT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56은 TT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57은 TT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58은 TT 세포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59는 TT 세포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0은 TT 세포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1은 TT 세포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2는 HepG2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3은 HepG2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64는 HepG2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65는 HepG2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66은 HepG2 세포에 대해, 실험군, 대조군 및 비처리군을 각각 제1주(LC50)의 4일째에 배율 200의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7은 N87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68은 N87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69는 N87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70은 N87 세포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71은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를 나타낸다.
도 72는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1주(LC50)의 48시간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3은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4는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0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5는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6은 세포주 BJ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제1주(LC50)의 세로축은 세포수의 값, 제2주(회복기)의 세로축은 세포수의 1/10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77은 세포주 BJ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와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78은 세포주 BJ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과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79는 세포주 BJ에 대해, 실험군, 대조군 및 비처리군을 각각 제1주(LC50)의 7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0은 세포주 BJ에 대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제2주(회복기)의 4일째에 올림푸스 IX70 도립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1 및 도 82는 세포주 CCD-1074sk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다만, 도 82의 세로축은 세포수의 5배의 값을 나타낸다.
도 83은 세포주 CCD-1074sk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84 및 도 85는 세포주 CCD-1074sk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 값을 나타낸다.
도 86은 세포주 CCD-1074sk에 대해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한,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 값을 나타낸다.
도 87은 누드마우스에 WM-266-4(인간 악성 흑색종)를 투여한 후에 비처리군, 실험군 및 대조군의 시간 경과에 따른 종양의 크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8은 암수 Sprague-Dawley 래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체중(g)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9는 누드마우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투여된 이후에 나타나는 발모 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90에서, 상단 2개의 사진은 HME 50 HT 정상 세포주에 대해 각각 실험군 및 대조군을 제1주(LC50)의 4일째에 촬영한 사진이며, 하단 2개의 사진은 BJ 정상 세포주에 대해 각각 실험군 및 대조군을 제1주(LC50)의 4일째에 촬영한 사진이다.
도 91에서, 상단 2개의 사진은 HT1299 암 세포주에 대해 각각 실험군 및 대조군을 제1주(LC50)의 7일째에 촬영한 사진이며, 하단 2개의 사진은 AsPc 암 세포주에 대해 각각 실험군 및 대조군을 제2주(회복기)의 48시간째에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의 효과에 대해 실시예 및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하려는 취지는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통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2-메틸부티르산 및 알라닌을 2:1의 중량비로 120℃ 및 3.0atm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3:1의 중량비로 혼합된 구리 및 클로로겐산을 첨가한 후, 120~170℃ 및 2.6~3.0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헤스페리딘 및 물을 첨가한 후, 80~120℃ 및 2.7~3.5atm에서 8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시니그린을 첨가한 후, 100℃ 및 2.0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발린을 첨가한 후, -10~30℃ 및 2~7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이어서 200~230℃ 및 1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전체 반응 동안, 용매는 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에 따라 수득한 생성물에 대해, 제1정제 방법으로서 상기 생성물을 115~125℃의 물에 용해한 후, 공극크기가 0.2㎛인 25mm 나일론 시린지 필터(VWR사 제조)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이어서, 75~85℃, 55~65℃, 27~33℃, 2~22℃에서 순차적으로 각각 동일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그 후, 상기 여과된 용액을 진공건조시켜 고체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반응에 따라 수득한 생성물에 대해, 제2정제 방법으로서 상기 생성물을 110~130℃의 물에 용해한 후, 공극크기가 0.2㎛인 25mm 나일론 시린지 필터(VWR사 제조)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이어서, 70~90℃, 23~27℃에서 순차적으로 각각 동일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그 후, 상기 여과된 용액을 진공건조시켜 고체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제1정제 방법 및 제2정제 방법에 따라 수득한 고체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이는 모두 도 1의 NMR을 나타내었으며, 이로부터 수득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화학식 II]
실시예 2
2-메틸부티르산 및 알라닌을 2:1의 중량비로 80~120℃ 및 2.7~3.0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3:1의 중량비로 혼합된 구리 및 클로로겐산을 첨가한 후, 120~170℃ 및 2.6~3.0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헤스페리딘 및 물을 첨가한 후, 80~120℃ 및 2.7~3.5atm에서 8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시니그린을 첨가한 후, 120~140℃ 및 3.0~5.0atm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발린을 첨가한 후, -10~30℃ 및 2~7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이어서 80~130℃ 및 2~7atm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전체 반응 동안, 용매는 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에 따라 수득한 생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정제 방법 2가지에 따라 각각 정제하였으며, 이에 따라 수득한 고체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이는 모두 도 2의 NMR 및 도 3의 질량 스펙트럼(Mass Spectrum)을 나타내었으며, 이로부터 수득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화학식 III]
도 3의 질량 스펙트럼의 m/z=191.2에서 주된 봉우리(화살표로 표시됨)가 나타나는 것이 관찰된다. 이 봉우리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에 2개의 물 분자가 수화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시예 3
2-메틸부티르산 및 알라닌을 2:1의 중량비로 80~120℃ 및 2.7~3.0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3:1의 중량비로 혼합된 구리 및 클로로겐산을 첨가한 후, 120~170℃ 및 2.6~3.0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헤스페리딘 및 캠페롤을 첨가한 후, 80~120℃ 및 1.3atm에서 8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시니그린을 첨가한 후, 120~140℃ 및 3.0~5.0atm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발린을 첨가한 후, -10~30℃ 및 2~7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이어서 80~130℃ 및 2~7atm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전체 반응 동안, 용매는 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에 따라 수득한 생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정제 방법 2가지에 따라 각각 정제하였으며, 이에 따라 수득한 고체 화합물은 모두 화학식 III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2-메틸부티르산 및 알라닌을 2:1의 중량비로 80~120℃ 및 2.7~3.0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3:1의 중량비로 혼합된 구리 및 클로로겐산을 첨가한 후, 120~170℃ 및 2.6~3.0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헤스페리딘 및 3'-히드록시포르모노네틴을 첨가한 후, 120℃ 및 2.7atm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시니그린을 첨가한 후, 120~140℃ 및 3.0~5.0atm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발린을 첨가한 후, -10~30℃ 및 2~7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이어서 80~130℃ 및 2~7atm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전체 반응 동안, 용매는 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에 따라 수득한 생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정제 방법 2가지에 따라 각각 정제하였으며, 이에 따라 수득한 고체 화합물은 모두 화학식 III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2-메틸부티르산 및 악티게닌-4-O-글루코시드를 2:1의 중량비로 80~120℃ 및 2.7~3.0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3:1의 중량비로 혼합된 구리 및 루테올린-7-람노글루코시드를 첨가한 후, 120~170℃ 및 2.7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비텍시카르핀 및 3'-히드록시포르모노네틴을 첨가한 후, 120℃ 및 2.7atm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시니그린을 첨가한 후, 120~140℃ 및 3.0~5.0atm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에 발린을 첨가한 후, -10~30℃ 및 2~7atm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이어서 80~130℃ 및 2~7atm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전체 반응 동안, 용매는 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에 따라 수득한 생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정제 방법 2가지에 따라 각각 정제하였으며, 이에 따라 수득한 고체 화합물은 모두 화학식 III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 시험관내(in vitro) 실험
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값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한 군의 값과 실시예 2 내지 5에서 수득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한 군의 값의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암 세포주에 속하는 HCC 1419, MCF-7, MDA-MB-468, SKBR3, PC3, HT1299, Saos-2, C-6, AsPc, MDA-MB-231, RKO, HeLa, TT, HepG2 및 N87 세포와 정상 세포주에 속하는 HME 50 HT, BJ 및 CCD-1074sk에 대해, 물질대사(XTT 분석법) 및 세포 사멸(셀 카운트)의 변화 정도를 각각 실험하였다. 각각의 세포주에 대해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배양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주 | 배양배지 |
HCC 1419 | DMEM + 10% 소태아혈청 |
MCF-7 | DMEM + 10% 소태아혈청 |
MDA-MB-468 | DMEM + 10% 소태아혈청 |
SKBR3 | McCoy's 5a Medium Modified + 10% 소태아혈청 |
PC3 | Ham's F12K + 10% 소태아혈청 |
HT1299 | DMEM + 10% 소태아혈청 |
Saos-2 | McCoy's 5a Medium Modified + 15% 소태아혈청 |
C-6 | RPMI 1640 + 10% 소태아혈청 |
AsPc | RPMI 1640 + 10% 소태아혈청 |
HME 50 HT | 무혈청 배지(Clonetics Co.회사의 SF-171) |
BJ | DMEM + 10% 소태아혈청 |
CCD-1074sk | IMDM + 10% 소태아혈청 |
MDA-MB-231 | DMEM + 10% 소태아혈청 |
RKO | EMEM + 10% 소태아혈청 |
HeLa | EMEM + 10% 소태아혈청 |
TT | Ham's F12K + 10% 소태아혈청 |
HepG2 | EMEM + 10% 소태아혈청 및 1% Pen/Strep |
N87 | RPMI 배지 + 10% 소태아혈청 및 1% Pen/Strep |
상기 표 1에서 DMEM은 Dulbecco's Minimum Essential Medium의 약자이며, IMDM은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의 약자이며, EMEM은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의 약자이다.
정상 세포주에 대해서는 20,000 개의 세포의 밀도로, 암 세포주에 대해서는 10,000-20,000 개의 세포의 밀도로, 48-웰 Corning CellBind™ 플레이트에 세포를 파종하였으며, 파종으로부터 24 내지 48h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4.5e-2M의 농도로 상기 배양 세포에 첨가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처음 투여된 시간을 0h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처음 투여된 때로부터 3일째 되는 날, 세포배양액을 교체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동일한 농도로 배양배지에 첨가하였다.
반면, 양성 대조군으로서 탁솔을 파종으로부터 24 내지 48h 후에 2.2e-7M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병행 배양 세포에 첨가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서 배양배지에 어떠한 물질도 첨가하지 않았다.
세포수 측정(cell count):
각 시점에서 트립신-EDTA를 사용하여 세포들을 채취하였다. 각각의 웰에서 총 세포수를 Beckman-Coulter Z1 Particle Characterization Unit을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그래프에서 세로축이 세포수의 1/20의 값으로 표시되었으며, 총 세포수를 Beckman-Coulter Vi-Cell을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에는 세로축이 세포수의 값으로 표시되었다. 세포주에 대해 각각 2개의 48-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웰 내에서 생존 세포의 세포수를 0h, 12h, 24h, 48h, 4d 및 7d에서 측정하였다. 첫번째 플레이트에서, 세포를 0h 및 3d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하고 배지를 교환하였으며, 탁솔은 24h 동안 처리하였다. 이에 따라 제1주의 LC-50 곡선을 얻었다. 두번째 플레이트에서, LC-50 7d는 회복기 0h와 동일하다. 회복기 0h에서, LC-50 7d의 잔여물에 대해 배지를 비처리 배지로 교환하였다. 비처리군은 제1주 말기에 과잉생산됨으로 인해 회복기에서 측정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제2주의 회복 곡선을 얻었다.
XTT 세포 생존도 분석(XTT Cell Viability Assay):
XTT 분석은 항암제 또는 다른 약학 화합물의 생존도/세포독성에 대한 분석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세포주에 대해서는 10,000 개의 세포의 밀도로, 암 세포주에 대해서는 5,000 개의 세포의 밀도로, 9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세포를 파종하였다. 배양 기간 동안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 염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최적의 파장으로서 500nm를 사용하였으며, 0h, 12h, 24h, 48h, 4d 및 7d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 정량된 값은 소프트웨어 SoftMax Pro 4.8을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XTT 분석에 의한 세포독성(cytotoxicity) 측정:
제조사의 지시에 따른 식을 이용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 각각에 대해 하기와 같이 세포 생존도를 계산하였다(블랭크는 배지에 대해서만 XTT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처리군(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탁솔) - 블랭크]/비처리군 x 100%
세포독성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하기와 같이 세포독성을 계산하였다:
[비처리군의 흡수값 - (처리군(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탁솔) - 블랭크)]/비처리군 x 100%
상기 기재된 실험방법을 실험군, 대조군, 비처리군 모두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하고 측정하였다. 하기에는 개별 세포주에 대해 각각 수득한 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1) HCC 1419
세포주 HCC 1419는 원발성 유관 상피암 세포주로서, 이 세포는 저분화형이며, Her2-neu 과잉발현, p53을 발현하지 않는다. HCC 1419는 상피세포 특정 마커인 상피 당단백질2(EGP2: epithelial glycoprotein 2)와 시토케라틴 19를 표현하는 반면, 에스트로겐 리셉터 및 프로게스테론 리셉터를 표현하지 않는다.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4).
0h | 12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2727 | 3057 | 2782 | 847 | 451 | 152 |
3142 | 3096 | 2672 | 624 | 404 | 113 | |
2392 | 2906 | 2651 | 573 | 227 | 133 | |
평균값 | 2754 | 3020 | 2702 | 681 | 361 | 133 |
대조군(탁솔) | 2626 | 3451 | 3488 | 3502 | 2940 | 1710 |
3788 | 3553 | 2664 | 3199 | 2975 | 1794 | |
3055 | 3434 | 2957 | 2232 | 1716 | 1718 | |
평균값 | 3156 | 3479 | 3036 | 2978 | 2544 | 1741 |
비처리군 | 2633 | 2717 | 6776 | 6995 | 25178 | 15380 |
2954 | 5101 | 6256 | 5943 | 23320 | 10355 | |
평균값 | 2794 | 3909 | 6516 | 6469 | 24249 | 12868 |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4).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69 | 57 | 81 | 52 | 32 |
122 | 28 | 14 | 29 | 58 | |
89 | 18 | 40 | 107 | 75 | |
평균값 | 93 | 34 | 45 | 63 | 55 |
대조군(탁솔) | 8522 | 5340 | 4901 | 5721 | 7316 |
9639 | 7966 | 5431 | 6317 | 3792 | |
8472 | 5755 | 5830 | 6001 | 6604 | |
평균값 | 8878 | 6354 | 5387 | 6013 | 5904 |
상기 결과로부터, 실험군에서는 암세포수가 급격히 감소한 후 회복하지 못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암세포수가 감소하다가 더 이상 줄어들지 않고 그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흡광도,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5 및 도 6).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흡광도,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5 및 도 6).
상기 결과로부터, 실험군에서는 세포 생존도가 0에 가깝고 웰 내에 잔존해있는 암세포수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HCC 1419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현상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치한 세포는 군집을 이루어 한 장의 종이처럼 뭉쳐 있었으며, 이는 웰에서 떨어진 모두 죽은 세포로서, 세포수측정을 위해 웰을 세척할 경우 모두 씻겨나갔다. 반면, 탁솔을 처치한 세포주는 웰 전체에 퍼져 흩어져 성장하고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암세포의 전이 성질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도 7 내지 10).
(2) MCF-7
세포주 MCF-7은 유방암 세포주로서, 3-이소폼(isoform)의 에스트로겐 리셉터를 표현하며, 이 에스트로겐 리셉터에 의해 성장이 조절된다.
이 세포주에 대해 제1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한 군은 탁솔 처리군에 비해 세포사멸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제2주에는 전체 세포가 모두 죽었고 어떠한 회복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당한 회복을 나타내고 적은 개체수를 계속해서 유지해 나간 탁솔 처리군과는 대조적이다.
세포주 MCF-7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11).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45000 | 68000 | 120000 | 2000 | 0 |
66000 | 56000 | 13000 | 4000 | 0 | |
62000 | 100000 | 7000 | 8000 | 2000 | |
평균값 | 57667 | 74667 | 46667 | 4667 | 667 |
대조군(탁솔) | 67000 | 54000 | 19000 | 7000 | 4000 |
60000 | 38000 | 30000 | 27000 | 5000 | |
39000 | 39000 | 21000 | 31000 | 4000 | |
평균값 | 55333 | 43667 | 23333 | 21667 | 4333 |
비처리군 | 34000 | 88000 | 150000 | 250000 | 120000 |
37000 | 81000 | 78000 | 230000 | 97000 | |
평균값 | 35500 | 84500 | 114000 | 240000 | 108500 |
세포주 MCF-7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11).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3181 | 563 | 652 | 325 | 271 |
4035 | 702 | 461 | 417 | 151 | |
2646 | 517 | 581 | 666 | 234 | |
평균값 | 3287 | 594 | 565 | 469 | 219 |
대조군(탁솔) | 1648 | 807 | 2010 | 1892 | 1693 |
2087 | 728 | 2517 | 2011 | 1524 | |
2361 | 404 | 1726 | 2135 | 2098 | |
평균값 | 2032 | 646 | 2084 | 2013 | 1772 |
(3) MDA-MB-468
세포주 MDA-MB-468은 전이성 선암을 갖는 환자에게서 적출한 조직에서 얻어졌다. 세포당 1x106 개의 EGF 리셉터가 표현된다.
이 세포주의 경우, 웰에 세포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남은 세포들은 매우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죽은 것처럼 보인다. 실험군의 결과를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MDA-MB-468 세포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이 명백한 반면, 탁솔로 처치한 세포주는 점차 회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치한 세포수는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반면, 탁솔을 처치한 세포수는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정상세포에는 어떠한 독성도 보이지 않았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더 장기간 처치하거나 더 고농도로 처치하면 암세포의 사멸에 더 효과적일 것이다.
세포주 MDA-MB-468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12).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32000 | 39000 | 21000 | 10000 | 6000 |
33000 | 21000 | 25000 | 13000 | 1000 | |
24000 | 25000 | 15000 | 13000 | ||
평균값 | 29667 | 28333 | 23000 | 12667 | 6667 |
대조군(탁솔) | 32000 | 30000 | 12000 | 18000 | 7000 |
40000 | 16000 | 17000 | 20000 | 3000 | |
24000 | 10000 | 15000 | 17000 | ||
평균값 | 36000 | 23333 | 13000 | 17667 | 9000 |
비처리군 | 38000 | 45000 | 61000 | 82000 | 23000 |
30000 | 39000 | 78000 | 60000 | 47000 | |
평균값 | 34000 | 42000 | 69500 | 71000 | 35000 |
세포주 MDA-MB-468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12).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17000 | 16000 | 20000 | 20000 | 4000 |
23000 | 8000 | 10000 | 18000 | 9000 | |
13000 | 9000 | 20000 | 4000 | 15000 | |
평균값 | 17667 | 11000 | 16667 | 14000 | 9333 |
대조군(탁솔) | 12000 | 3000 | 4000 | 10000 | 11000 |
9000 | 4000 | 4000 | 9000 | 15000 | |
4000 | 4000 | 17000 | 9000 | 9000 | |
평균값 | 8333 | 3667 | 8333 | 9333 | 11667 |
상기 결과로부터, 실험군에서는 계속해서 암세포의 수가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제2주에 암세포의 수가 다시 회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SKBR3
세포주 SKBR3은 전이성 흉막 삼출증을 앓는 환자에게서 적출된 유방암 세포주이다.
세포주 SKBR3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10에 기재하고, 생존도를 하기 표 11에 기재하였다(도 13 및 14).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4000 | 12000 | 5000 | 4000 | 4000 |
5000 | 8000 | 4000 | 3000 | 4000 | |
4000 | 5000 | 4000 | 8000 | 4000 | |
평균값 | 4333 | 8333 | 4333 | 5000 | 4000 |
대조군(탁솔) | 2000 | 11000 | 4000 | 1000 | 1000 |
4000 | 11000 | 4000 | 1000 | 4000 | |
2000 | 6000 | 4000 | 1000 | 4000 | |
평균값 | 2667 | 9333 | 4000 | 1000 | 3000 |
비처리군 | 7000 | 7000 | 4000 | 6000 | 12000 |
3000 | 6000 | 6000 | 9000 | 27000 | |
평균값 | 5000 | 6500 | 5000 | 7500 | 195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100 | 79 | 67 | 100 | 60 |
100 | 78 | 80 | 100 | 50 | |
100 | 83 | 40 | 50 | 25 | |
평균값 | 100 | 80 | 62 | 83 | 45 |
대조군(탁솔) | 100 | 69 | 0 | 0 | 100 |
100 | 69 | 0 | 100 | 50 | |
100 | 71 | 50 | 0 | 0 | |
평균값 | 100 | 70 | 17 | 33 | 50 |
비처리군 | 75 | 63 | 100 | 86 | 86 |
67 | 86 | 88 | 90 | 77 | |
평균값 | 71 | 75 | 94 | 88 | 82 |
세포주 SKBR3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12에 기재하였다(도 15).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67000 | 22500 | 30000 | 8000 | 2000 |
80000 | 25000 | 32000 | 4000 | 4000 | |
72000 | 20000 | 22000 | 8000 | 1000 | |
평균값 | 73000 | 22500 | 28000 | 6667 | 2333 |
대조군(탁솔) | 80000 | 60000 | 36000 | 12500 | 12000 |
72000 | 56000 | 40000 | 22000 | 8000 | |
60000 | 32000 | 56000 | 15000 | 10000 | |
평균값 | 70667 | 49333 | 44000 | 17250 | 10000 |
세포주 SKBR3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 XTT 분석법에 따른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 표 13에 기재하였다(도 16 및 도 17).
세포주 SKBR3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흡광도, XTT 분석법에 따른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 표 14에 기재하였다(도 18 및 도 19).
(5) PC-3
세포주 PC-3은 전립샘 선암의 골전이에서 분리된 세포주이다. PC-3 세포주는 저 산성인산분해효소와 테스토스테론-5-알파(남성호르몬의 일종) 환원효소 활성을 보인다. PC-3 인체 전립선 암세포주는 전형적인 전립선암 세포주이며 높은 전이 가능성을 가지며 p53 및 p63을 표현하지 않는다. 다른 연구에서도 PC-3 세포가 탁솔에 비교적 내성이 있다는 점이 증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PC-3 세포를 사멸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또한 PC-3 세포의 회복이 관찰되지 않았다.
세포주 PC-3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20).
0h | 12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4285 | 4650 | 5555 | 1994 | 491 | 371 |
3200 | 5920 | 7330 | 1937 | 345 | 535 | |
5075 | 5755 | 5570 | 1097 | 536 | 159 | |
평균값 | 4187 | 5442 | 6152 | 1676 | 457 | 355 |
대조군(탁솔) | 5445 | 5805 | 4820 | 1969 | 975 | 1796 |
9845 | 5775 | 6435 | 2248 | 1250 | 1542 | |
4450 | 4805 | 4360 | 1821 | 861 | 829 | |
평균값 | 6580 | 5462 | 5205 | 2013 | 1029 | 1389 |
비처리군 | 5550 | 11870 | 10020 | 13280 | 6175 | 2275 |
2665 | 8580 | 8245 | 13601 | 6172 | 4649 | |
평균값 | 4108 | 10225 | 9132.5 | 13440.5 | 6173.5 | 3462 |
세포주 PC-3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20).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485 | 151 | 60 | 434 | 17 |
86 | 161 | 105 | 272 | 58 | |
177 | 170 | 50 | 142 | 13 | |
평균값 | 249 | 161 | 72 | 283 | 29 |
대조군(탁솔) | 389 | 328 | 303 | 1376 | 753 |
760 | 318 | 378 | 1023 | 550 | |
392 | 269 | 369 | 1574 | 145 | |
평균값 | 514 | 305 | 350 | 1324 | 483 |
세포주 PC-3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흡광도,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21 및 도 22).
세포주 PC-3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흡광도,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21 및 도 22).
(6) HT 1299
세포주 HT 1299는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이다. HT 1299 세포는 부분 삭제된 p53단백질 동종접합을 가지고 있으며, p53 단백질 표현이 적다. 본 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치한 후 생존해있는 HT 1299 세포를 발견하기가 어려웠다.
세포주 HT 1299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23).
0h | 12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2760 | 5750 | 4115 | 1250 | 655 | 539 |
3080 | 5620 | 4860 | 1574 | 685 | 496 | |
1965 | 3845 | 4130 | 950 | 434 | 426 | |
평균값 | 2602 | 5072 | 4368 | 1258 | 591 | 487 |
대조군(탁솔) | 2270 | 3085 | 4255 | 1526 | 536 | 736 |
5520 | 5350 | 2690 | 1484 | 712 | 629 | |
3420 | 2680 | 2810 | 1382 | 488 | 982 | |
평균값 | 3737 | 3705 | 3252 | 1464 | 579 | 782 |
비처리군 | 2045 | 3825 | 4275 | 8818 | 9108 | 9131 |
2985 | 8630 | 7445 | 4061 | 8317 | 10597 | |
평균값 | 2515 | 6227.5 | 5860 | 6439.5 | 8712.5 | 9864 |
세포주 HT 1299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23).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331 | 766 | 747 | 704 | 68 |
1215 | 376 | 742 | 819 | 43 | |
740 | 612 | 339 | 549 | 202 | |
평균값 | 762 | 585 | 609 | 691 | 104 |
대조군(탁솔) | 789 | 129 | 499 | 545 | 144 |
776 | 262 | 386 | 470 | 107 | |
1193 | 291 | 410 | 322 | 104 | |
평균값 | 919 | 227 | 432 | 446 | 118 |
세포주 HT 1299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흡광도,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24 및 도 25).
세포주 HT 1299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흡광도,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24 및 도 25).
또한, 대조군에서는 탁솔의 독성으로 인해 세포의 세포막이 파열된 이후에 핵이 파괴되어 검게 변하는 일반적인 사멸 모습을 보인 반면, 실험군에서는 세포막이 검게 변하고 핵이 먼저 파열된 이후에 세포막이 무너지는 실험군만의 독특한 사멸현상이 관찰되었다(도 26 내지 28).
(7) Saos-2
세포주 Saos-2는 골암 세포주이다.
세포주 Saos-2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29).
0h | 12h | 24h | 48h | 4d | |
실험군 | 2016 | 1647 | 2040 | 1982 | 1494 |
2151 | 1804 | 1978 | 1940 | 1652 | |
2314 | 1735 | 2094 | 1852 | 1420 | |
평균값 | 2160 | 1729 | 2037 | 1925 | 1522 |
대조군(탁솔) | 2221 | 1790 | 1376 | 822 | 570 |
2135 | 1705 | 1452 | 776 | 435 | |
2143 | 1756 | 1529 | 857 | 255 | |
평균값 | 2166 | 1750 | 1452 | 818 | 420 |
비처리군 | 2726 | 1740 | 2234 | 2406 | 4421 |
2361 | 2325 | 2203 | 2755 | 1034 | |
평균값 | 2544 | 2033 | 2219 | 2581 | 2728 |
세포주 Saos-2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29).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995 | 722 | 707 | 912 | 263 |
1026 | 800 | 787 | 670 | 454 | |
980 | 764 | 798 | 674 | 337 | |
평균값 | 1000 | 762 | 764 | 752 | 351 |
대조군(탁솔) | 291 | 165 | 249 | 589 | 289 |
759 | 126 | 165 | 602 | 793 | |
778 | 258 | 312 | 416 | 822 | |
평균값 | 609 | 183 | 242 | 536 | 635 |
또한, 대조군에서는 탁솔의 독성으로 인해 세포의 세포막이 파열된 이후에 핵이 파괴되어 검게 변하는 일반적인 사멸 모습을 보인 반면, 실험군에서는 세포막이 검게 변하고 핵이 먼저 파열된 이후에 세포막이 무너지는 실험군만의 독특한 사멸현상이 관찰되었다(도 30 내지 32).
(8) C-6
세포주 C-6 교모세포종은 가장 흔한 악성 신경교종으로, 여러 치료방법에 저항력을 보이며, 대부분의 환자는 진단 1년 이내에 사망한다. 쥐 C-6 신경아교종 세포주는 N,N'-니트로소-메틸우레아에 노출된 위스터 퍼쓰 쥐에서 만들어졌으며, 쥐의 뇌에 주입했을 때 형태학적으로 GBM과 비슷하여, 이런 종류의 종양 연구를 위한 생체내, 시험관내 연구에 모두 사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 상기 세포는 탁솔에 저항력을 나타낸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치한 세포는 4일 후에 사멸하였고 회복하지 못하였다.
세포주 C-6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33).
0h | 12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5035 | 4600 | 2464 | 7947 | 7116 | 17 |
6102 | 3934 | 4777 | 6888 | 3248 | 8 | |
5525 | 4234 | 5447 | 5283 | 6303 | 30 | |
평균값 | 5554 | 4256 | 4229 | 6706 | 5556 | 18 |
대조군(탁솔) | 7077 | 5442 | 3853 | 5378 | 6751 | 2671 |
4897 | 4240 | 3340 | 6722 | 6905 | 3426 | |
6111 | 3726 | 3895 | 6630 | 6026 | 7253 | |
평균값 | 6028 | 4469 | 3696 | 6243 | 6561 | 4450 |
비처리군 | 5384 | 5320 | 5877 | 20286 | 29190 | 32825 |
5873 | 4002 | 6305 | 15960 | 24075 | 29837 | |
평균값 | 5629 | 4661 | 6091 | 18123 | 26633 | 31331 |
세포주 C-6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34).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542 | 54 | 105 | 38 | 34 |
231 | 39 | 33 | 95 | 31 | |
271 | 58 | 39 | 27 | 43 | |
평균값 | 348 | 50 | 59 | 53 | 36 |
대조군(탁솔) | 3948 | 4285 | 5457 | 4083 | 4316 |
4207 | 3984 | 3930 | 3184 | 3634 | |
2984 | 3392 | 3166 | 4825 | 3989 | |
평균값 | 3713 | 3887 | 4184 | 4031 | 3980 |
세포주 C-6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흡광도,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35 및 도 36).
세포주 C-6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흡광도,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35 및 36).
(9) AsPc
세포주 AsPc는 췌장암 세포주이다.
세포주 AsPc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37).
0h | 12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2743 | 1602 | 2705 | 2420 | 1640 | 1350 |
2601 | 1762 | 2454 | 1920 | 1480 | 1710 | |
2519 | 1898 | 2480 | 2177 | 1847 | 790 | |
평균값 | 2621 | 1754 | 2546 | 2172 | 1656 | 1283 |
대조군(탁솔) | 2039 | 2279 | 2161 | 2130 | 2020 | 2174 |
2111 | 2550 | 2310 | 1800 | 2100 | 1902 | |
2340 | 2833 | 2336 | 2810 | 2007 | 1393 | |
평균값 | 2163 | 2554 | 2269 | 2247 | 2042 | 1823 |
비처리군 | 2796 | 2705 | 2941 | 4416 | 5693 | 7700 |
2402 | 3917 | 3106 | 4682 | 5343 | 4900 | |
평균값 | 2599 | 3311 | 3023.5 | 4549 | 5518 | 6300 |
세포주 AsPc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37).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1180 | 1242 | 1135 | 475 | 82 |
1281 | 1164 | 1171 | 457 | 32 | |
1192 | 1148 | 790 | 470 | 42 | |
평균값 | 1218 | 802 | 769 | 311 | 38 |
대조군(탁솔) | 1213 | 1372 | 1490 | 327 | 101 |
1770 | 1357 | 1202 | 724 | 85 | |
1301 | 1358 | 1210 | 842 | 73 | |
평균값 | 1428 | 1362 | 1301 | 631 | 86 |
실험군에서는 암세포의 세포막이 검게 변하여 죽어가고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암세포는 다시 재생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도 38).
또한, 대조군에서는 탁솔의 독성으로 인해 세포의 세포막이 파열된 이후에 핵이 파괴되어 검게 변하는 일반적인 사멸 모습을 보인 반면, 실험군에서는 세포막이 검게 변하고 핵이 먼저 파열된 이후에 세포막이 무너지는 실험군만의 독특한 사멸현상이 관찰되었다(도 39 내지 41).
(10)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다. 실험군의 결과를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할 때, 제1주(LC50)의 4일째에 실험군의 세포수가 대조군의 세포수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주(LC50)의 4일째가 세포 사멸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또한, 대조군에서 제1주(LC50) 동안 생존한 세포들은 제2주(회복기) 동안 성장하고 회복되는 반면, 실험군에서 제1주(LC50) 동안 생존한 세포들은 제2주(회복기) 동안 성장하지 못하고 모두 사멸하였다.
세포주 MDA-MB-231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31에 기재하고, 생존도를 하기 표 32에 기재하였다(도 42 및 도 43).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40000 | 50000 | 56000 | 12500 | 7500 |
41500 | 46000 | 42000 | 16000 | 1200 | |
32000 | 32000 | 50000 | 18000 | 2000 | |
평균값 | 37833 | 42667 | 49333 | 15500 | 3567 |
대조군(탁솔) | 42000 | 39000 | 16000 | 24000 | 9000 |
53000 | 22000 | 23000 | 26500 | 4000 | |
47000 | 32000 | 13000 | 19500 | 16000 | |
평균값 | 47333 | 31000 | 17333 | 23333 | 9667 |
비처리군 | 48000 | 55000 | 75000 | 110000 | 120000 |
36000 | 48000 | 95000 | 75000 | 150000 | |
42000 | 52000 | 84000 | 120000 | 150000 | |
평균값 | 42000 | 51667 | 84667 | 101667 | 1400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95 | 82 | 50 | 43 | 10 |
93 | 80 | 72 | 35 | 16 | |
93 | 90 | 60 | 55 | 26 | |
평균값 | 94 | 84 | 61 | 44 | 17 |
대조군(탁솔) | 92 | 84 | 56 | 39 | 50 |
90 | 80 | 82 | 56 | 50 | |
86 | 86 | 67 | 48 | 35 | |
평균값 | 89 | 83 | 68 | 48 | 45 |
비처리군 | 91 | 94 | 80 | 78 | 77 |
95 | 82 | 86 | 80 | 81 | |
89 | 88 | 85 | 83 | 67 | |
평균값 | 91.7 | 88 | 83.7 | 80.3 | 75 |
세포주 MDA-MB-231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세포수를 하기 표 33에 기재하고, 생존도를 하기 표 34에 기재하였다(도 44 및 도 45).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9000 | 8000 | 9000 | 4000 | 4000 |
12500 | 9000 | 7000 | 2000 | 2000 | |
8000 | 4000 | 12500 | 4000 | 0 | |
평균값 | 9833 | 7000 | 9500 | 3333 | 2000 |
대조군(탁솔) | 17500 | 32000 | 36000 | 31000 | 39000 |
22000 | 24000 | 12500 | 22500 | 42000 | |
12500 | 16000 | 25000 | 13000 | 15000 | |
평균값 | 17333 | 24000 | 24500 | 22167 | 320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33.3 | 12.5 | 0 | 50 | 0 |
25 | 17.1 | 25 | 100 | 100 | |
37 | 37.1 | 18.2 | 0 | 0 | |
평균값 | 31.8 | 22.2 | 14.4 | 50.0 | 33.3 |
대조군(탁솔) | 50 | 35 | 40 | 32 | 46.7 |
45.9 | 22.3 | 39 | 52.7 | 33.3 | |
36.7 | 42.2 | 50 | 23.1 | 51 | |
평균값 | 44.2 | 33.2 | 43.0 | 35.9 | 43.7 |
(11) RKO
대장암 세포주인 RKO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 명백한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실험군에서, 제1주(LC50)의 48시간째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세포사멸이 빠르게 나타나기 시작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또한, 제2주(회복기) 동안 내내, 실험군에서 생존한 세포들의 수는 대조군에서 생존한 세포들의 수보다 작았다.
세포주 RKO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35에 기재하고, 생존도를 하기 표 36에 기재하였다(도 46 및 도 47).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55000 | 57800 | 34200 | 14000 | 24600 |
52600 | 83200 | 34200 | 22800 | 27200 | |
50800 | 102400 | 81000 | 23600 | 24600 | |
평균값 | 52800 | 81133 | 49800 | 20133 | 25467 |
대조군(탁솔) | 49000 | 98000 | 52600 | 36000 | 25400 |
54000 | 99800 | 49800 | 36000 | 22800 | |
48000 | 101600 | 133800 | 36000 | 38600 | |
평균값 | 50333 | 99800 | 78733 | 36000 | 28933 |
비처리군 | 48000 | 125200 | 246800 | 288000 | 412000 |
51600 | 114600 | 259000 | 349000 | 445000 | |
평균값 | 49800 | 119900 | 252900 | 318500 | 4285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95.5 | 95 | 66.7 | 49.2 | 18 |
93.8 | 98.3 | 61.5 | 54 | 19.2 | |
96.6 | 97.2 | 64.5 | 56.3 | 17.1 | |
평균값 | 95 | 97 | 64 | 53 | 18 |
대조군(탁솔) | 94.4 | 95.5 | 78.3 | 50 | 42 |
95.8 | 94.6 | 78.9 | 50 | 38.6 | |
93.9 | 76 | 62.4 | 33 | ||
평균값 | 95 | 95 | 78 | 54 | 38 |
비처리군 | 94.2 | 97.2 | 97.9 | 84.8 | 90 |
95.5 | 93.9 | 98.3 | 81.2 | 94 | |
평균값 | 95 | 96 | 98 | 83 | 92 |
세포주 RKO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37에 기재하고, 생존도를 하기 표 38에 기재하였다(도 48 및 도 49).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24600 | 15800 | 14800 | 22000 | 15800 |
27200 | 12200 | 21800 | 14800 | 9600 | |
24600 | 21800 | 24600 | 20000 | 12200 | |
평균값 | 25467 | 16600 | 20400 | 18933 | 12533 |
대조군(탁솔) | 58000 | 31000 | 38000 | 31000 | 18000 |
53000 | 39000 | 30000 | 26000 | 39000 | |
57000 | 26000 | 35000 | 39000 | 48000 | |
평균값 | 56000 | 32000 | 34333 | 32000 | 35000 |
비처리군 | 48000 | 125200 | 246800 | 288000 | 412000 |
51600 | 114600 | 259000 | 349000 | 445000 | |
평균값 | 49800 | 119900 | 252900 | 318500 | 4285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17.8 | 19.4 | 15 | 38 | 34 |
18.8 | 17.7 | 23.9 | 43.6 | 17.5 | |
16.3 | 22 | 28 | 48 | 26.4 | |
평균값 | 18 | 20 | 22 | 43 | 26 |
대조군(탁솔) | 27.3 | 28.6 | 56 | 67.5 | 25 |
41.4 | 50 | 48.3 | 66.7 | 33 | |
50 | 50 | 62.2 | 55.6 | 45 | |
평균값 | 40 | 43 | 56 | 63 | 34 |
(12) HeLa 세포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 세포에 대한 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된 제1주(LC50) 동안 세포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제1주(LC50)의 48시간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탁솔보다 더 많은 세포사멸을 가져왔다.
세포주 HeLa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39에 기재하고, 생존도를 하기 표 40에 기재하였다(도 50 및 도 51).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214000 | 289000 | 35000 | 66000 | 82000 |
162000 | 246000 | 61000 | 83000 | 89000 | |
188000 | 551000 | 53000 | 68000 | 88000 | |
평균값 | 188000 | 362000 | 49667 | 72333 | 86333 |
대조군(탁솔) | 136000 | 276000 | 70000 | 39000 | 34000 |
184000 | 219000 | 79000 | 31000 | 32000 | |
158000 | 158000 | 105000 | 26000 | 36000 | |
평균값 | 159333 | 217667 | 84667 | 32000 | 34000 |
비처리군 | 127000 | 306000 | 350000 | 1147000 | 1072000 |
131000 | 319000 | 311000 | 1418000 | 1418000 | |
평균값 | 129000 | 312500 | 330500 | 1282500 | 12450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93.4 | 92.4 | 37.5 | 86.7 | 57.1 |
89.2 | 87.3 | 82.4 | 84.2 | 56 | |
90.7 | 92.3 | 33.3 | 82 | 40 | |
평균값 | 91.1 | 90.7 | 51.1 | 84.3 | 51 |
대조군(탁솔) | 90.3 | 77.8 | 75 | 66.7 | 74.5 |
90.5 | 78 | 88.9 | 71.4 | 37.5 | |
88.9 | 75 | 70.8 | 66.7 | 85.7 | |
평균값 | 89.9 | 76.9 | 78.2 | 68.3 | 65.9 |
비처리군 | 89.7 | 90.4 | 88.9 | 63 | 65 |
86.7 | 88.6 | 90.1 | 72.2 | 56.3 | |
평균값 | 88.2 | 89.5 | 89.5 | 67.6 | 60.65 |
세포주 HeLa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41에 기재하고, 생존도를 하기 표 42에 기재하였다(도 52 및 도 53).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92000 | 31000 | 27000 | 9000 | 9000 |
109000 | 22000 | 18000 | 0 | 9000 | |
88000 | 48000 | 12500 | 4000 | 18000 | |
평균값 | 96333 | 33667 | 19167 | 4333 | 12000 |
대조군(탁솔) | 34000 | 26000 | 23500 | 18000 | 18000 |
35000 | 9000 | 22000 | 13000 | 18000 | |
31000 | 35000 | 12000 | 22000 | 18000 | |
평균값 | 33333 | 23333 | 19167 | 17667 | 180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50 | 28.5 | 17.1 | 0 | 0 |
56.3 | 35.7 | 22.2 | 0 | 40 | |
47.2 | 18.2 | 14.5 | 8.3 | 0 | |
평균값 | 51.2 | 27.5 | 17.9 | 2.8 | 13.3 |
대조군(탁솔) | 66.7 | 16.7 | 33.3 | 50 | 100 |
82.3 | 20 | 27.6 | 25 | 0 | |
77.1 | 50 | 25 | 40 | 25 | |
평균값 | 75.4 | 28.9 | 28.6 | 38.3 | 41.7 |
(13) TT 세포
갑상선암 세포주인 TT 세포에 대한 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된 경우의 세포수는 매우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세포수와 생존율은 모두 제1주(LC50)의 48시간째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된 세포들은 제2주(회복기)에서도 회복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탁솔로 처리된 세포들은 실험군보다 더 많이 생존하였다.
TT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43에 기재하고, 세포수로부터 계산한 생존도(%)를 하기 표 44에 기재하였다(도 54 및 도 55).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120000 | 236000 | 57000 | 32000 | 9000 |
139000 | 302000 | 54000 | 22000 | 9000 | |
114000 | 149000 | 79000 | 27500 | 0 | |
평균값 | 124333 | 229000 | 63333 | 27167 | 6000 |
대조군(탁솔) | 117500 | 74000 | 109000 | 72500 | 26000 |
123000 | 96000 | 114000 | 56000 | 35000 | |
133000 | 149000 | 175000 | 84000 | 35000 | |
평균값 | 124500 | 106333 | 132667 | 70833 | 32000 |
비처리군 | 125000 | 302000 | 477000 | 989000 | 1120000 |
136000 | 376000 | 538000 | 893000 | 1160000 | |
평균값 | 130500 | 339000 | 507500 | 941000 | 11400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83.3 | 90.7 | 30.8 | 17.5 | 0 |
85.3 | 79.7 | 33.3 | 25 | 0 | |
82 | 64.7 | 35.3 | 13.2 | 0 | |
평균값 | 83.5 | 78.4 | 33.1 | 18.6 | 0 |
대조군(탁솔) | 80.8 | 64.7 | 72 | 70.1 | 66.7 |
78.4 | 72.7 | 76.9 | 66.7 | 37.5 | |
79.5 | 76.5 | 72.5 | 66.7 | 75 | |
평균값 | 79.6 | 71.3 | 73.8 | 67.8 | 59.7 |
비처리군 | 83.3 | 82.6 | 62.7 | 90.4 | 95 |
85.7 | 84.9 | 96.7 | 91.5 | 91.4 | |
평균값 | 84.5 | 83.75 | 79.7 | 90.95 | 93.2 |
TT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45에 기재하고, 세포수로부터 계산한 생존도(%)를 하기 표 46에 기재하였다(도 56 및 도 57).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9000 | 0 | 4000 | 2000 | 0 |
9000 | 18000 | 4000 | 1000 | 2000 | |
4000 | 4000 | 4000 | 2000 | 2000 | |
평균값 | 7333 | 7333 | 4000 | 1667 | 1333 |
대조군(탁솔) | 53000 | 9000 | 31000 | 15000 | 9000 |
35000 | 26000 | 26000 | 12500 | 17500 | |
44000 | 18000 | 35000 | 22500 | 8000 | |
평균값 | 44000 | 17667 | 30667 | 16667 | 115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50 | 0 | 100 | 0 | 0 |
0 | 25 | 0 | 100 | 0 | |
0 | 0 | 0 | 0 | 0 | |
평균값 | 16.7 | 8.3 | 33.3 | 33.3 | 0 |
대조군(탁솔) | 75 | 0 | 42.9 | 35 | 25 |
50 | 83.3 | 50 | 25 | 42.3 | |
70 | 40 | 12.5 | 52.7 | 33.3 | |
평균값 | 65 | 41.1 | 35.1 | 37.6 | 33.5 |
TT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흡광도, XTT 분석법에 따른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 표 47에 기재하였다(도 58 및 도 59).
TT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흡광도, XTT 분석법에 따른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 표 48에 기재하였다(도 60 및 도 61).
(14) HepG2 세포
HepG2 간종양 세포주(ATCC HB-8065)는 탁솔 처리에 대해 강한 내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서도 매우 약화된 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탁솔과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효과는 지연되었지만, 처리 후 48시간 후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다(도 66).
비처리군은 세포성장을 보증하고 처리군에 유의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2주(회복기) 동안 한 번 수행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배지에 존재하지 않는 제2주(회복기)는 48시간째에 비처리군과 탁솔 처리군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 시점에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된 세포들은 회복되지 못하였으나, 탁솔로 처리된 세포들은 내성이 더 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HepG2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49에 기재하고, 세포수로부터 계산한 생존도(%)를 하기 표 50에 기재하였다(도 62 및 도 63).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210000 | 220000 | 180000 | 79000 | 35000 |
96000 | 200000 | 110000 | 110000 | 66000 | |
120000 | 180000 | 140000 | 53000 | 48000 | |
평균값 | 142000 | 200000 | 143333 | 80667 | 49667 |
대조군(탁솔) | 150000 | 170000 | 88000 | 70000 | 48000 |
88000 | 200000 | 160000 | 66000 | 26000 | |
190000 | 170000 | 140000 | 74000 | 39000 | |
평균값 | 142667 | 180000 | 129333 | 70000 | 37667 |
비처리군 | 110000 | 230000 | 160000 | 190000 | 157000 |
110000 | 160000 | 130000 | 170000 | 144000 | |
평균값 | 110000 | 195000 | 145000 | 180000 | 1505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75 | 92 | 68 | 89 | 88 |
82 | 98 | 84 | 81 | 87 | |
70 | 86 | 78 | 92 | 91 | |
평균값 | 76 | 92 | 77 | 87 | 89 |
대조군(탁솔) | 88 | 82 | 90 | 94 | 67 |
85 | 92 | 64 | 87 | 84 | |
88 | 82 | 79 | 88 | 67 | |
평균값 | 87 | 85 | 78 | 90 | 73 |
비처리군 | 69 | 93 | 84 | 82 | 70 |
92 | 83 | 72 | 97 | 90 | |
80.5 | 88 | 78 | 89.5 | 80 | |
평균값 | 80.5 | 88 | 78 | 89.5 | 80 |
HepG2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51에 기재하고, 세포수로부터 계산한 생존도(%)를 하기 표 52에 기재하였다(도 64 및 도 65).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13000 | 13000 | 9000 | 4000 | 0 |
13000 | 22000 | 18000 | 4000 | 2000 | |
0 | 4000 | 13000 | 4000 | 4000 | |
평균값 | 8667 | 13000 | 13333 | 4000 | 2000 |
대조군(탁솔) | 26000 | 31000 | 48000 | 44000 | 56000 |
22000 | 18000 | 18000 | 61000 | 48000 | |
4000 | 22000 | 48000 | 57000 | 32000 | |
평균값 | 17333 | 23667 | 38000 | 54000 | 45333 |
비처리군 | 39000 | 13000 | 53000 | 74000 | 81000 |
48000 | 70000 | 79000 | 92000 | 86000 | |
평균값 | 43500 | 41500 | 66000 | 83000 | 835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50 | 33 | 50 | 44 | 0 |
100 | 40 | 25 | 56 | 50 | |
0 | 100 | 0 | 25 | 25 | |
평균값 | 50 | 58 | 25 | 42 | 25 |
대조군(탁솔) | 100 | 100 | 91 | 90 | 87 |
80 | 75 | 50 | 64 | 72 | |
100 | 100 | 55 | 46 | 50 | |
평균값 | 93 | 92 | 65 | 67 | 70 |
비처리군 | 56 | 67 | 58 | 77 | 75 |
92 | 75 | 61 | 67 | 69 | |
평균값 | 74 | 71 | 59.5 | 72 | 72 |
(15) N87 세포
N87 세포주(ATCC CRL-5822)는 위암종의 간 전이 부위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이 세포는 처치에 대한 반응 패턴이 RKO 세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48시간 후에 세포수 및 세포 생존도 측면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감소는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세포들은 회복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N87 세포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53에 기재하고, 세포수로부터 계산한 생존도(%)를 하기 표 54에 기재하였다(도 67 및 도 68).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57000 | 97000 | 123000 | 22000 | 17000 |
62000 | 112000 | 110000 | 25000 | 12000 | |
53000 | 125000 | 95000 | 19000 | 17000 | |
평균값 | 57333 | 111333 | 109333 | 22000 | 15333 |
대조군(탁솔) | 59000 | 103000 | 57000 | 33000 | 25000 |
54000 | 110000 | 52000 | 31000 | 27000 | |
64000 | 93000 | 75000 | 46000 | 24000 | |
평균값 | 59000 | 102000 | 61333 | 32000 | 25333 |
비처리군 | 50000 | 120000 | 253000 | 297000 | 398000 |
58000 | 119000 | 249000 | 301000 | 422000 | |
평균값 | 55000 | 119500 | 251000 | 299000 | 4100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96 | 92 | 82 | 50 | 20 |
93 | 97 | 79 | 58 | 12 | |
96 | 97 | 69 | 55 | 15 | |
평균값 | 95 | 95 | 77 | 54 | 16 |
대조군(탁솔) | 93 | 96 | 78 | 50 | 43 |
97 | 96 | 80 | 50 | 39 | |
92 | 94 | 72 | 66 | 30 | |
평균값 | 94 | 95 | 77 | 55 | 37 |
비처리군 | 97 | 97 | 96 | 85 | 90 |
95 | 94 | 92 | 88 | 92 | |
평균값 | 96 | 96 | 94 | 87 | 91 |
N87 세포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55에 기재하고, 세포수로부터 계산한 생존도(%)를 하기 표 56에 기재하였다 (도 69 및 도 70).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22000 | 14000 | 14000 | 18000 | 4000 |
15000 | 12000 | 17000 | 16000 | 9000 | |
14000 | 14000 | 15000 | 13000 | 8000 | |
평균값 | 17000 | 13333 | 15333 | 15667 | 7000 |
대조군(탁솔) | 32000 | 35000 | 33000 | 36000 | 42000 |
28000 | 32000 | 38000 | 29000 | 23000 | |
21000 | 34000 | 42000 | 37000 | 21000 | |
평균값 | 27000 | 33667 | 37667 | 34000 | 28667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15 | 15 | 15 | 33 | 12 |
20 | 15 | 25 | 38 | 15 | |
18 | 20 | 22 | 17 | 25 | |
평균값 | 18 | 17 | 21 | 29 | 17 |
대조군(탁솔) | 25 | 33 | 52 | 61 | 33 |
39 | 50 | 50 | 68 | 33 | |
50 | 50 | 61 | 50 | 45 | |
평균값 | 38 | 44 | 54 | 60 | 37 |
(16) HME 50 HT - 정상 상피 세포
인체 유방상피세포인 HME는 인접 정상 조직에서 유래된 세포주이다. 본 실험에서, 실험군에서는 어떠한 세포독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오히려, HME 50 HT 세포는 잘 성장하였으며 회복기에는 세포들이 넘칠 정도로 자랐으며 매우 건강하고 스트레스를 받지도 않았다.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71).
0h | 12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17000 | 25000 | 20000 | 26000 | 28000 | 41000 |
22000 | 26000 | 21000 | 28000 | 28000 | 49000 | |
23000 | 27000 | 21000 | 25000 | 28000 | 66000 | |
평균값 | 20667 | 26000 | 20667 | 26333 | 28000 | 46667 |
대조군(탁솔) | 11000 | 23000 | 11000 | 18000 | 9000 | 19000 |
21000 | 13000 | 9000 | 11000 | 9000 | 14000 | |
12000 | 14000 | 14000 | 18000 | 9000 | 17000 | |
평균값 | 14667 | 16667 | 11333 | 15667 | 9000 | 16667 |
비처리군 | 18000 | 25000 | 28000 | 31000 | 32000 | 67000 |
20000 | 25000 | 29000 | 29000 | 38000 | 32000 | |
평균값 | 19000 | 25000 | 28500 | 30000 | 35000 | 49500 |
세포주 HME 50 HT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71).
0h | 12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50000 | 52000 | 60000 | 56000 | 60000 | 59000 |
46000 | 57000 | 52000 | 57000 | 58000 | 69000 | |
39000 | 47000 | 62000 | 55000 | 65000 | 64000 | |
평균값 | 45000 | 52000 | 58000 | 56000 | 61000 | 64000 |
대조군(탁솔) | 17000 | 13000 | 15000 | 16000 | 19000 | 19000 |
13000 | 15000 | 11000 | 17000 | 12000 | 15000 | |
19000 | 13000 | 12000 | 18000 | 18000 | 14000 | |
평균값 | 16333 | 13667 | 12667 | 17000 | 16333 | 16000 |
상기 결과로부터, 실험군은 비처리군과 유사하게 성장하는 모습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정상세포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실험군에서는 일주일 동안 약물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에 노출된 기간 및 회복 기간 동안 모두에서 개체수가 증가되고 있다. 반면, 탁솔로 처치된 군에서는 하루동안 약물에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2주동안 개체수가 증가되지 못하고 그 수를 유지할 뿐이었으며, 이는 정상세포가 탁솔에 의해 받는 스트레스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조군에서는 정상세포의 형태가 파괴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모습이 관찰되는 반면, 실험군에서는 정상세포가 매우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도 72 내지 75).
(17) BJ - 정상 섬유아 세포
세포주 BJ는 신생아의 정상 표피에서 유래된 것이며 텔로머라제를 발현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치한 군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세포들은 매우 건강했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았으며 강화된 세포 성장이 관찰되었다.
세포주 BJ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76).
0h | 12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13000 | 14000 | 20000 | 24000 | 59000 | 63000 |
9000 | 10000 | 22000 | 34000 | 61000 | 67000 | |
15000 | 17000 | 13000 | 28000 | 58000 | 61000 | |
평균값 | 12333 | 13667 | 18333 | 28667 | 59333 | 63667 |
대조군(탁솔) | 17000 | 9000 | 17000 | 10000 | 5000 | 9000 |
18000 | 12000 | 11000 | 11000 | 5000 | 4000 | |
14000 | 12000 | 10000 | 14000 | 9000 | 7000 | |
평균값 | 16333 | 11000 | 12667 | 11667 | 6333 | 6667 |
비처리군 | 10000 | 20000 | 24000 | 29000 | 33000 | 47000 |
11000 | 16000 | 25000 | 34000 | 31000 | 34000 | |
평균값 | 10500 | 18000 | 24500 | 31500 | 32000 | 40500 |
세포주 BJ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76).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56 | 67 | 100 | 77 | 63 |
73 | 72 | 74 | 88 | 85 | |
60 | 65 | 82 | 56 | 90 | |
평균값 | 63 | 68 | 85 | 74 | 79 |
대조군(탁솔) | 49 | 7 | 14 | 7 | 29 |
4 | 9 | 16 | 18 | 19 | |
5 | 7 | 8 | 8 | 35 | |
평균값 | 19 | 8 | 13 | 11 | 28 |
상기 결과로부터, 정상세포는 실험군에서 비처리군보다 더 잘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반면, 대조군에서는 탁솔의 독성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세포수가 감소하다가 회복기의 4일째가 지난 뒤에 회복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세포주 BJ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흡광도,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77 및 도 78).
세포주 BJ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흡광도, 생존도 및 세포독성을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도 77 및 도 78).
상기 결과로부터, 실험군에서는 정상 세포의 생존율이 1에 가깝거나 그 이상의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세포 독성이 0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군에서의 정상세포들은 비처리군과 매우 유사한 세포 성장 모습이 관찰된 반면, 대조군에서는 세포 형태가 완전히 파괴된 모습이 관찰되었다(도 79 및 도 80).
(18) CCD-1074sk
정상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인 세포주 CCD-1074sk는 제1주(LC50)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하였을 때 어떠한 물질로도 처리되지 않을 때와 유사한 정도로 성장하였다. 반면, 탁솔로 처리된 대조군에서는 제1주(LC50) 동안 세포의 성장이 저해되었으며, 제2주(회복기)에서도 회복이 매우 느리게 나타났다.
세포주 CCD-1074sk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63에 기재하고, 생존도를 하기 표 64에 기재하였다(도 81, 도 82 및 도 83).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7000 | 7000 | 11000 | 25000 | 27000 |
4000 | 13000 | 15000 | 17000 | 25000 | |
9000 | 18000 | 15000 | 8000 | 41000 | |
평균값 | 6667 | 12667 | 13667 | 16667 | 31000 |
대조군(탁솔) | 9000 | 15000 | 10000 | 6000 | 11000 |
7000 | 16000 | 11000 | 3000 | 12000 | |
평균값 | 8000 | 15500 | 10500 | 4500 | 11500 |
비처리군 | 10000 | 13000 | 11000 | 12000 | 24000 |
6000 | 25000 | 17000 | 14000 | 43000 | |
평균값 | 8000 | 19000 | 14000 | 13000 | 335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100 | 50 | 100 | 76 | 78 |
50 | 73 | 72 | 84 | 82 | |
70 | 90 | 71 | 67 | 92 | |
평균값 | 73 | 71 | 81 | 76 | 84 |
대조군(탁솔) | 70 | 71 | 80 | 43 | 92 |
75 | 89 | 83 | 33 | 57 | |
평균값 | 73 | 80 | 82 | 38 | 75 |
비처리군 | 100 | 80 | 63 | 79 | 89 |
100 | 82 | 63 | 88 | 94 | |
평균값 | 100 | 81 | 63 | 84 | 92 |
세포주 CCD-1074sk에 대해,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하기 표 65에 기재하고, 생존도를 하기 표 66에 기재하였다(도 84, 도 85 및 도 86). 여기에서 생존도는 세포수 측정 웰 내에서 세포를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21000 | 25000 | 31000 | 19000 | 41000 |
18000 | 39000 | 29000 | 20000 | 33000 | |
18000 | 32000 | 33000 | 22000 | 29000 | |
평균값 | 19000 | 32000 | 31000 | 20333 | 34333 |
대조군(탁솔) | 10000 | 8000 | 10000 | 4000 | 18000 |
11000 | 21000 | 6000 | 7000 | 9000 | |
평균값 | 10500 | 14500 | 8000 | 5500 | 13500 |
0h | 24h | 48h | 4d | 7d | |
실험군 | 88 | 79 | 100 | 96 | 87 |
87 | 68 | 88 | 96 | 91 | |
85 | 84 | 85 | 96 | 94 | |
평균값 | 87 | 77 | 91 | 96 | 91 |
대조군(탁솔) | 82 | 71 | 27 | 43 | 19 |
75 | 89 | 57 | 33 | 37 | |
평균값 | 79 | 80 | 42 | 38 | 28 |
실시예 7 - 생체내(in vivo) 실험
(1) 생체내 항암 효과
암세포주는 WM-266-4(인간 악성 흑색종)를 선택하였다. 이 세포 105개를 PBS에 부유시키고, Matrigel(BD biosciences)와 1:1로 혼합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된 상기 세포주가 포함되어 있는 혼합액 80μl를 5주령 암컷 누드마우스(BALB/c nu/nu) 14마리 각각의 오른쪽 옆구리에 피하주사하였다.
그 후, 종양 부하량(tumor burden)의 평균이 1,000이 되었을 때, 상기 누드마우스 중 5마리에는 아무런 처리도 안 하였으며(비처리군), 다른 5마리에는 시스플라틴 0.0025mg/g(시료의 질량/마우스의 체중)을 투여하였으며(대조군), 다른 4마리에는 화학식 II 및 III의 화합물을 각각 0.00035mg/g(시료의 질량/마우스의 체중)의 농도로 1일 2회 투여하였다(실험군). 여기에서, 종양 부하량(tumor burden) = π/6 × 0.5 × 길이 × (너비)2으로 계산되었다.
2일마다 상기 마우스의 종양의 크기와 체중을 측정하였다. 마우스가 폐사된 후에는 종양을 적출하여 종양의 크기와 체중을 측정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도면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한 군이 시스플라틴으로 처리한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현저하게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도 87).
(2) 누드마우스의 T세포 분화
5주령 암컷 누드마우스(BALB/c nu/nu) 3마리에게 18일 동안 PBS를 경구투여하였으며, 다른 3마리에게 18일 동안 1일 2회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0.00033mg/g(화합물의 질량/마우스의 체중)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그 후, 말초혈액단핵세포(PBMC)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T 세포수를 FACS로 분석하였으며, 이 때 1차 항체는 항마우스 CD8을 사용하였으며, 2차 항체는 FITC-컨쥬게이티드 래트 항마우스 IgG(FITC-conjugated rat anti-mouse IgG)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를 하기 표 67에 나타내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치한 실험군의 T 세포수가 PBS를 투여한 대조군의 T 세포수의 약 2배에 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군에서 나타내는 T 세포수는 야생형의 정상 래트의 T 세포수에 근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흉선이 없는 마우스에서 T 세포가 증가되었다는 것은 줄기세포에 의해서만 가능하므로, 상기 실험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줄기세포 분화를 유도하여 T 세포를 분화시키도록 작용했음을 의미한다.
CD8-양성 T 림프구 % | PBMC |
야생형 | 4.92 |
PBS-처리 누드 마우스 | 1.94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처리 누드 마우스 | 3.84 |
실시예 8 - 부작용 확인 실험
(1) 설치류에 대한 독성 시험
Sprague-Dawley 래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단회 경구투여하여 독성을 시험하였다. 대조군(물)에 비해, 실험군(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는 암수 각 5마리에 시험물질을 80ml/kg(조성물의 부피/래트의 중량), 즉 28mg/Kg(화합물의 중량/래트의 중량)의 용량으로 단 회 투여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더라도 사망한 동물이 없었으며, 일반증상에서 이상 소견이 없었으며, 시험물질 투여와 관련된 체중 변화에 이상이 없었으며, 부검 결과 역시 이상 소견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와 관련된 이상 증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도 88).
(2) 누드마우스의 발모
누드마우스에 2주 동안 1일 2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였다.
그 결과, 도 89로부터 누드마우스에서 발모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누드마우스의 비정상적인 유전자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정 기간 투여에 따라 야생형 흰 생쥐의 정상 유전자로 돌아가는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항암제로서 투여하더라도 탈모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도 89).
(3) 정상세포의 성장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치한 정상세포들은 어떠한 물질로도 처리되지 않은 정상세포들과 매우 유사한 세포 성장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탁솔로 처치한 정상세포들은 탁솔의 독성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세포 형태가 파괴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즉, 탁솔은 암세포 뿐만 아니라 정상세포도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하며, 이는 세포의 종류에 대한 탁솔의 선택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도 90).
(4) 암세포의 사멸 형태
시험관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치한 모든 암세포들은 생물학적 마커 표현에 무관하게 탁솔에 비해 상대적으로 깨끗하게 암세포를 사멸시켰다. 이와 같이 깨끗하게 암세포가 사멸될 경우, 신체는 잔여물을 처리하기 위한 부담을 덜하게 되므로, 신체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적합하게 투여할 수 있다(도 9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독성 없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암세포에 대해서는 깨끗하게 사멸시킬 수 있는 선택적이고 특이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21)
-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간암, 췌장암, 피부암, 대장암, 골육종, 뇌종양,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또는 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비경구, 국소, 경구, 직장 또는 비강 경로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a) (i) 2-메틸부티르산, 및 (ii) 악티게닌-4-O-글루코시드, 3,5,7,9-테트라인 또는 알라닌을 2:1의 중량비로 반응시키는 단계,
b) 3:1의 중량비로 혼합한 (i) 구리 및 (ii) 루테올린-7-람노글루코시드, 사포닌, 피넨, 트랜스-게라니올, 리나롤(linalol) 또는 클로로겐산을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반응시키는 단계,
c)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i) 비텍시카르핀 또는 헤스페리딘 및 (ii) 3'-히드록시포르모노네틴, 캠페롤 또는 물을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반응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수득한 생성물에 시니그린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수득한 생성물에 발린을 반응시켜,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반응은 80~120℃에서 10~3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반응은 120~170℃에서 1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반응은 80~120℃에서 5~8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반응은 100~140℃에서 5~1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반응은 -30~30℃에서 10~20분 동안 수행하거나 또는 80~230℃에서 5~3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반응은 -30~30℃에서 10~20분 동안 수행하고, 이어서 80~230℃에서 5~3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에서 용매는 물(H2O)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수득된 생성물을 -5~30℃의 물에 용해하여 여과하는 정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수득된 생성물을 100~150℃의 물에 용해하여 여과하는 정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단계 이후에, 수득된 생성물을 70~100℃의 물에 용해하여 여과하는 정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단계 이후에, 수득된 생성물을 40~60℃의 물에 용해하여 여과하는 정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단계 이후에, 수득된 생성물을 15~30℃의 물에 용해하여 여과하는 정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단계 이후에, 수득된 생성물을 -1~15℃의 물에 용해하여 여과하는 정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단계 이후에, 수득된 생성물을 30~100℃의 물에 용해하여 여과하는 정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단계 이후에, 수득된 생성물을 -5~30℃의 물에 용해하여 여과하는 정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에 사용된 필터는 공극크기가 10-6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519594A JP2013530251A (ja) | 2010-07-13 | 2011-07-13 | 癌治療または予防用薬学組成物{pharmaceuticalcompositionfortreatingorpreventingcancer} |
PCT/KR2011/005170 WO2012008765A2 (ko) | 2010-07-13 | 2011-07-13 |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67614 | 2010-07-13 | ||
KR1020100067614 | 2010-07-13 | ||
KR1020110017286 | 2011-02-25 | ||
KR1020110017286A KR20120006923A (ko) | 2010-07-13 | 2011-02-25 |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6944A KR20120006944A (ko) | 2012-01-19 |
KR101522712B1 true KR101522712B1 (ko) | 2015-05-26 |
Family
ID=454674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7286A KR20120006923A (ko) | 2010-07-13 | 2011-02-25 |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KR1020110069379A KR101522712B1 (ko) | 2010-07-13 | 2011-07-13 |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7286A KR20120006923A (ko) | 2010-07-13 | 2011-02-25 |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016017A1 (ko) |
JP (1) | JP2013530251A (ko) |
KR (2) | KR20120006923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67515A1 (en) * | 2004-01-14 | 2007-07-19 |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 Pyranone derivatives useful for treating cancer |
KR20090085455A (ko) * | 2008-02-04 | 2009-08-07 |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 항암활성을 갖는 5-아릴-2 파이론 유도체 |
-
2010
- 2010-07-29 US US12/846,303 patent/US2012001601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
- 2011-02-25 KR KR1020110017286A patent/KR2012000692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1-07-13 KR KR1020110069379A patent/KR10152271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7-13 JP JP2013519594A patent/JP2013530251A/ja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67515A1 (en) * | 2004-01-14 | 2007-07-19 |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 Pyranone derivatives useful for treating cancer |
KR20090085455A (ko) * | 2008-02-04 | 2009-08-07 |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 항암활성을 갖는 5-아릴-2 파이론 유도체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Bioorganic& Medicinal Chemistry, 2009, Vol.17, pp.311-318 * |
Tetrahedron Letters, 2005, Vol.46, pp.8487-8491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530251A (ja) | 2013-07-25 |
KR20120006944A (ko) | 2012-01-19 |
KR20120006923A (ko) | 2012-01-19 |
US20120016017A1 (en) | 2012-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8340B1 (ko) | 특정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의 용도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 |
Matsui et al. | Sulforaphane induce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murine osteosarcoma cells in vitro and inhibits tumor growth in vivo | |
CN107074905A (zh) | 用于在肿瘤的治疗中使用的11‑脱氧皮质醇17α‑苯甲酸酯 | |
CN110267656A (zh) | 拉索昔芬调节膜结合雌激素信号的应用及治疗癌症的方法 | |
Wei et al. | Two small molecule compounds, LLL12 and FLLL32, exhibit potent inhibitory activity on STAT3 in human rhabdomyosarcoma cells | |
KR101522712B1 (ko) |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
JP2011213612A (ja) | 癌幹細胞及び/または癌前駆細胞の減少剤 | |
Pradubyat et al. | 1′-Acetoxychavicol Acetate from alpinia galanga represses proliferation and invasion, and induces apoptosis via HER2-signaling in endocrine-resistant breast cancer cells | |
CN116139205B (zh) | 一种化橘红提取物及其提取方法和应用 | |
WO2019101040A1 (zh) | 含有双环铂的组合产品、其制备方法及其用途 | |
CN107286123B (zh) | 一种二苯呋喃类化合物的制备方法与应用 | |
CN111298122B (zh) | 用于治疗小细胞肺癌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 |
JP5946558B2 (ja) | Psf1遺伝子発現抑制剤 | |
US20120016019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ancer | |
KR20220124040A (ko) | 해삼 생식선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의 항암 용도 | |
CN107243079B (zh) | 一种含大黄酸的药物组合物及其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 |
KR101207981B1 (ko) |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스크리닝 방법 | |
CN116421590B (zh) | 二乙酸氯己定在制备预防或/和治疗肝癌的药物中的用途 | |
CN114315850B (zh) | 菊芋倍半萜内酯及其药用衍生物与在抗急性髓性白血病中的应用 | |
KR102277435B1 (ko) |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소라페닙 내성 간암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 |
WO2010001989A1 (ja) | 癌幹細胞及び/または癌前駆細胞の減少剤並びに癌の再発及び/または転移の予防剤 | |
CN109908159B (zh) | 唑来膦酸和有机硒化合物联用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 |
RU2784809C2 (ru) |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родукт, содержащий дициклоплатин,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 |
KR20240127619A (ko) | N-포르밀트립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내성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CN107753476B (zh) | 含4-乙酰基-安卓奎诺-b的组合物用于制备抑制卵巢癌细胞生长的药物的用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108 Effective date: 201504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100799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108 Effective date: 20150410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