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796B1 -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1796B1 KR101521796B1 KR1020130123358A KR20130123358A KR101521796B1 KR 101521796 B1 KR101521796 B1 KR 101521796B1 KR 1020130123358 A KR1020130123358 A KR 1020130123358A KR 20130123358 A KR20130123358 A KR 20130123358A KR 101521796 B1 KR101521796 B1 KR 1015217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astening
- plate
- pair
- strap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하우징;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한 쌍의 견착 스트랩;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견착 스트랩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이 사용자에 밀착되게 하는 밀착 유닛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n object; A pair of fastening straps each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tightening unit for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gripping strap so that the housing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and a user-tight-fitting bag using the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losely holding an object to a user and a user-
일반적으로, 가방의 종류에는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하는 손가방과, 한쪽 어깨, 또는 양쪽어깨에 걸어 맬 수 있는 어깨 걸이형 가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general, the type of bag can be classified into a hand bag which can be held by hand, and a shoulder bag or a shoulder bag that can be worn on both shoulders.
어깨 걸이형 가방에 대해서는 등록실용신안 제0392083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방을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어깨띠라는 구성 덕분이다. Regarding the shoulder type bag,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0392083 and the like are disclosed. The reason why these bags can be put on the shoulder is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houlder straps.
구체적으로, 어깨띠는 전체적으로 링과 같은 형태를 형성하며, 그의 양단부 모두가 가방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어깨띠가 형성하는 링 내로, 사용자는 팔을 집어넣어서, 어깨띠가 어깨를 감싸도록 하여 가방을 어깨에 걸게 된다.Specifically, the scallop forms a ring-like shape as a whole,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bag. Into the ring formed by the scabbard, the user puts his / her arm into his / her arms so that the shoulderbag is wrapped around the shoulder, and the bag is put on the shoulder.
그러나, 가방은 중력에 의해 사용자의 등에서 처져 내려가려 해서, 사용자의 어깨에 더 큰 부하가 걸리게 한다. However, the bag tends to sag from the back of the user by gravity, thus placing a greater load on the user's shoulder.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closely attaching an object to a user and capable of reducing a load felt by a user by bringing the object into close contact with a user's body, and a user-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과 관련된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는,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하우징;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한 쌍의 견착 스트랩;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견착 스트랩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이 사용자에 밀착되게 하는 밀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closely holding an object to a user, comprising: a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n object; A pair of fastening straps each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contact unit for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gripping strap so that the housing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의 등에 대응하는 등판면과, 상기 등판면에 대향되는 외부면과, 상기 등판면과 상기 외부면을 연결하며 서로 대향되는 바닥면 및 천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 유닛의 일 단부는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기 밀착 유닛은 상기 외부면과 상기 천정면 위를 지나서 상기 견착 스트랩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housing includes a back plate corresponding to a user's back, an outer face opposed to the back plate, and a bottom and a ceiling facing each other connecting the back plate and the outer face,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tightening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strap past the outer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여기서, 상기 밀착 유닛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각각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일 단부와 상기 견착 스트랩에 연결되는 타 단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밀착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ight contact unit may include a pair of adhesive bands which are arrang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each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atching strap.
여기서, 상기 밀착 유닛은, 그의 일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밀착 밴드; 및 상기 밀착 밴드의 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 밴드의 타 단부를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act unit may include an adhesive b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connection modu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adhesive band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adhesive band to one of the pair of the adhesive straps.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리셉터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one of the pair of pulling straps includes a receptacle, and the connecting module may include a plu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여기서, 상기 밀착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밀착 밴드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band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disposed to intersect with the adhesive band.
여기서, 상기 고정 밴드는, 밴드 본체; 및 상기 밴드 본체의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밴드 본체와 함께 상기 밀착 밴드가 위치하는 제한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xed band may include a band body;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housing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band body to form a confined space in which the band is positioned together with the band body.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을 서로에 대해 체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버클 조립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Here, it is further possible to provide a buckle assembly, which is mounted on the pair of gripper straps, and is configured to fasten the pair of gripper straps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선회 유닛;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다른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선회 유닛; 및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buckle assembly includes: a first pivoting unit for pivotally connec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ny one of the pair of gripping strap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 second pivoting unit pivot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ther of the pair of gripping strap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 fastening unit having a first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first revolving uni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revolving unit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여기서,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판;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핀과, 상기 하부판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홀을 구비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pivoting unit and the second pivoting unit may include an upper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ne strap or the other strap; A lower plate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straps or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trap; And a latch unit protruding from the top plate, and a latch unit formed on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latching hole for latching the latching pin.
여기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간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선회 유닛,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가 차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buckle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the first pivoting unit, the second pivoting uni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re stacked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결합되는 도넛 형의 제1 도넛판; 및 상기 제1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판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donut-shaped first donut plate coupled to the first turning unit; And a latch plate movably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donut plate so as to be cantilevered.
여기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도넛 형의 제2 도넛판; 및 상기 제2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donut-shaped second donut plate coupled to the second turning unit and having a hollow portion into which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plate is inserted in a fastened state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a pressing plate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donut plate movably in a cantilevered manner and disposed above the holding plate in the engaged sta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밀착형 가방은,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수납체; 상기 수납체에 연결되며, 서로에 대해 체결 시에 상기 수납체의 일 면 측에서 엑스 자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상기 수납체의 타 면 측에서 엑스 자를 형성하는 한 쌍의 밀착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밀착 밴드 각각의 일 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밀착 밴드 각각의 타 단부는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에 연결되는 밀착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을 서로에 대해 체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버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는 걸림판을 구비하는 제1 결합 모듈; 및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여 상기 걸림판을 눌러 주도록 설치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제2 결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ser-tight bag comprising: a storage body configured to receive an object; A pair of fastening straps connected to the housing body and forming an X-axis at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when fasten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adhesive band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housing body, wherein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adhesive bands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adhesive bands is connected to the A fastening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fastening straps; And a buckle assembly mounted to the pair of strap straps and configured to fasten the pair of strap straps to one another, the buckle assembly being mounted on one of the pair of strap straps, A first coupling module having a latching plate for cantilevering; And a second coupling module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binding straps and having a pressing plate installed to press the holding plate by a cantilever mo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에 의하면, 디바이스 또는 가방이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 또는 가방을 짊어짐에 따라 느끼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device and the user-friendly bag using the device, the device and the device for carrying the objec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the device or the bag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load fel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앞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쪽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바이스(100)의 버클 조립체(150)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1 결합 모듈(1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2 결합 모듈(17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라인(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arer wears a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arer wears a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arer wears a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앞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쪽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착용자가 대상물을 등에 짊어지기 위한 도구이다. 이러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가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아기를 업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아기띠로 구현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디바이스(100)는, 구체적으로, 하우징(110)과, 견착 스트랩(130)과, 버클 조립체(150)와, 밀착 유닛(1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하우징(110)은 책이나 소지품 등의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가 가방인 경우에, 하우징(110)은 박스 형의 수납체일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가죽이나 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하우징(110)은 대체로 육면체 형상을 가져서, 등판면(111)과, 한 쌍의 측면(112)과, 외부면(113)과, 바닥면(115), 그리고 천정면(117)을 포함할 수 있다. 등판면(111)은 사용자의 등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면이 된다. 측면(112)은 등판면(111)과 외부면(113)을 연결하는 면으로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외부면(113)은 등판면(111)에 대향되는 면으로서 외부로 주되게 드러나는 면이다. 바닥면(115) 및 천정면(117)은 서로 대향되며, 등판면(111)과 외부면(113)을 연결하는 면이 된다. 바닥면(115) 및 천정면(117)은 또한 한 쌍의 측면(1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디바이스(100)가 아기띠로 구현되는 경우에, 하우징(110)은 대체로 외부면(113)과 바닥면(115)을 갖는 형태가 될 수 있다.The
견착 스트랩(130)은 착용자가 몸에 하우징(110)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끈이다. 견착 스트랩(130)은 한 쌍으로 구비된다. 견착 스트랩(130)은 하우징(110)의 좌측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제1 스트랩(131)과, 하우징(110)의 우측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제2 스트랩(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은 각각 상부(132)/(136)과 하부(133)/(13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견착 스트랩(130)의 양단부는 모두 하우징(110)의 등판면(111)에 연결된다. The
견착 스트랩(130)은, 제1 스트랩(13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의 어깨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리셉터클(134)을 더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134)은 합성수지의 사출물일 수 있다. The
버클 조립체(150)는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이 서로 체결(및 체결된 상태에서 분리)되게 하는 구성이다. 그에 의해,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은 디바이스(100) 중 등판면(111) 측에서 엑스('X')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버클 조립체(150)는 또한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의 상부(132)/(136)가 하부(133)/(137)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밀착 유닛(180)은 하우징(110)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하는 구성이다. 밀착 유닛(180)은, 구체적으로, 밀착 밴드(181)와, 연결 모듈(185)과, 고정 밴드(18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hering
밀착 밴드(181)는 서로 교차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밀착 밴드(181)는 하우징(110)의 외부면(113) 측에서 엑스(X) 자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밀착 밴드(181)의 일 단부는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바닥면(115)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견착 스트랩(13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착 유닛(180)의 일 단부는 바닥면(115) 중 코너 영역에 박음질된다. 그에 의해, 밀착 유닛(180)는 하우징(110)의 외부면(113)과 천정면(117) 상을 지나도록 배열된다. The
연결 모듈(185)은 밀착 밴드(181)의 타 단부에 설치된다. 연결 모듈(185)은, 플러그(185a)와, 와인딩부(185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85a)는 리셉터클(134)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이다. 와인딩부(185b)는 밀착 밴드(181)가 감기어서, 밀착 밴드(181)가 연결 모듈(185)에 연결되게 하는 구성이다. The
이와 달리, 연결 모듈(185)은 밀착 밴드(181)의 타 단부를 견착 스트랩(130)에 대해 연결하기 위해 박음질된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밀착 밴드(181)는 두 개로 분리되어, 벨크로 등에 의해 서로 중첩되게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밀착 밴드(181)는 고무 밴드 등과 같이 탄력성을 가져서, 단일 부재이지만 길이 조절 가능한 구성일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고정 밴드(187)는 하우징(110)에 연결되며, 밀착 밴드(181)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밴드이다. 고정 밴드(187)는, 밴드 본체(188)와, 연결부(189)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밴드 본체(188)는 하우징(110)의 외부면(113)에 배치되고, 대체로 바닥면(115)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89)는 밴드 본체(188)의 복수의 위치에서 밴드 본체(188)를 외부면(113)에 대해 연결하는 구성이다. 연결부(189)는 예를 들어 복수의 박음질 라인일 수 있다. 밴드 본체(188)와 연결부(189)에 의해 형성된 제한 공간에는 밀착 밴드(181)가 위치하게 된다.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견착 스트랩(130)이 버클 조립체(150)에 의해 엑스 자 형태로서 체결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한 쌍의 견착 스트랩(130)을 십일자 형 또는 엑스자 형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fastening straps 130 are fastened in an X-shaped configuration by the
한 쌍의 견착 스트랩(130)을 엑스자 형으로 한 경우에는, 대상물에 의한 하중은 착용자(사용자)의 어깨뿐만 아니라 가슴, 등 등에 고루게 분산 지지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착용자가 어깨에 집중된 하중에 의해 고통받는 것을 덜어 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견착 스트랩(130)이 십일자 형을 이루는 경우에 비해, 착용자의 옆구리와 가슴 사이 부분이 가압되지 않게 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pair of
다른 한 편으로, 밀착 유닛(180)이 구비됨에 의해, 하우징(110)이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된다. 그에 의해, 하우징(110)이 아래로 쳐짐에 따라 착용자의 어깨에 더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밀착 유닛(180)에 의한 하우징(110)의 착용자에 대한 밀착과, 앞서 설명한 버클 조립체(150)에 의한 하중 분산에 의해, 착용자는 대상물을 짊어짐에 의해 보다 적은 하중을 느끼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providing the tight
여기서, 밀착 유닛(180)은 한 쌍의 견착 스트랩(130)이 엑스 자를 이루는 것과 같이 엑스 자를 이루는 한 쌍의 밀착 밴드(181)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앞과 뒤에서 연속적으로 엑스 자가 형성되게 한다. 이는 하우징(110)이 착용자에 보다 강하게 밀착되게 하고, 힘의 분산에도 유리한 구조적 환경을 제공한다.Here, the tightening
밀착 밴드(181)가 연결 모듈(185)에 연결되는 길이를 와인딩부(175b)를 이용해 조절하게 되면, 착용자는 하우징(110)의 자신에 대한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 밴드(187)가 구비됨에 의해, 밀착 밴드(181)가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하우징(110)을 착용자의 등에 밀착하는 제 기능을 다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length of the tightening
다음으로, 이상의 버클 조립체(150)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above-described
먼저, 도 4는 도 1의 디바이스(100)의 버클 조립체(150)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본 도면을 참조하면, 버클 조립체(150)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1, the
제1 결합 모듈(160)은, 도 1에 예시된 바대로, 제1 스트랩(131)의 상부(132)와 하부(133)를 서로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결합 모듈(170)은, 역시 도 1에 예시된 바대로, 제2 스트랩(135)의 상부(136)와 하부(137)를 서로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로부터, 제1 스트랩(131), 제2 스트랩(135), 제1 결합 모듈(160), 및 제2 결합 모듈(170)은 스트랩 어셈블리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상기 스트랩 어셈블리는, 디바이스(100) 중에서, 착용자의 어깨에서 시작하여 가슴과 배를 지나 옆구리까지 대응하도록 연장하는 부분이다. The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결합 모듈(170)의 그의 상면[제2 체결부(177)]이 온전히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제2 체결부(177)이 눌려지면,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은 서로에게서 분리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77)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에서 견착 스트랩(130)과 연결되기 위한 상부 연결부(161c,171c) 및 하부 연결부(163b,173b)는 모두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2 체결부(177)가 노출되는 중앙 영역과, 상부 연결부(161c,171c) 및 하부 연결부(163b,173b)가 형성하는 주변 영역이 보다 간결한 구조를 이루면서 조화될 수 있다. The upper connecting
다음으로, 위의 제1 결합 모듈(16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above
도 5는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1 결합 모듈(160)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결합 모듈(160)은, 상부판(161)과, 하부판(163)과, 걸림 유닛(165), 및 제1 체결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판(161)과, 하부판(163)과, 걸림 유닛(165)은 전체로서 제1 선회 유닛이라 칭해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부판(161)은 제1 디스크부(161a)와, 제1 측벽부(161b)와, 상부 연결부(161c)를 구비한다. 디스크부(161a)는 대체로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61b)는 디스크부(161a)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대체로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연결부(161c)는 측벽부(161b)에 설치되어 제1 스트랩(131)의 상부(132)가 연결되게 하는 부분이다. The
하부판(163)은 상부판(161)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하부판(163)은, 디스크부(163a)와, 하부 연결부(163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163b)는 디스크부(163a)의 가장 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1 스트랩(131)의 하부(133)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The
걸림 유닛(165)은 상부판(161)과 하부판(163)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이다. 걸림 유닛(165)은, 구체적으로 걸림핀(166)과, 걸림홀(166')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핀(166)은, 로드(166a)와 슬리브(166b)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66a)는 상부판(161)의 디스크부(161a)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166b)는 로드(166a)의 자유단에서 로드(166a)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걸림홀(166')은 하부판(163)의 중앙에 관통 개구된 것이다. 걸림핀(166)이 걸림홀(166')에 억지로 끼워짐에 의해, 슬리브(166b)가 하부판(163)에 걸림에 의해, 상부판(161)과 하부판(163) 간의 선회 연결이 완선된다. 이때, 상부판(161)과 하부판(163) 간의 선회의 중심축은 로드(166a)가 된다.The latching
제1 체결부(167)는 제2 체결부(177, 도 6)와 함께 체결 유닛을 이루는 구성이다. 제1 체결부(167)는, 상부판(16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체적으로는 제1 측벽부(161b)에 결합된다. 제1 체결부(167)는 제1 측벽부(161b) 및 제1 디스크부(161a)와 함께 일 측부가 개방된 제1 수용 공간(S1)을 형성하게 된다. The
제1 체결부(167)는, 제1 도넛판(167a)과, 걸림판(16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넛판(167a)은 대체로 도넛 형인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넛판(167a)으로서 원형을 예시하나, 폐곡선 형태라면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각형도 가능하다. 걸림판(167b)은 제1 도넛판(167a)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판(167b)은 제1 도넛판(167a)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판(167b)은 그의 자유단 측이 제1 도넛판(167a) 보다 상기 제1 선회 유닛에서 멀어지도록 휘어진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판(167b)은 연결부(167b')에 의해 제1 도너산(167a)에 연결되고, 연결부(167b')를 중심으로 외팔보 운동을 하게 된다. The
다음으로, 도 6은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2 결합 모듈(170)의 분해 사시도이다.Next,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결합 모듈(170)은, 제1 결합 모듈(160)과 유사하게, 상부판(171)과, 하부판(173)과, 걸림 유닛(17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모듈(170)은, 제1 결합 모듈(160)의 제1 체결부(167)에 대응하여, 제2 체결부(17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부판(171)은 제2 디스크부(171a)와, 제2 측벽부(171b)와, 상부 연결부(171c)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부(171a)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부(171b)는 디스크부(171a)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대체로 원호형인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연결부(171c)는 제2 스트랩(135)의 상부(136, 이상 도 1)에 연결된다. 상부 연결부(171c)는 하부 연결부(173b)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기 위해, 제2 측벽부(171b) 중에서 디스크부(171a)가 위치한 높이보다 낮은 곳에 설치된다. The
하부판(173)은 디스크부(173a)와, 하부 연결부(173b)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173b)는 디스크부(173a)의 가장 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2 스트랩(135)의 하부(137, 이상 도 1 참조)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The
걸림 유닛(175)은 상부판(171)이 하부판(173)에 대해 선회 결합되게 하는 구성이다. 걸림 유닛(175)는, 걸림핀(176)과, 걸림홀(176')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핀(176)은 상부판(171)에서 돌출 형성되며, 로드(176a)와 슬리브(176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홀(176')은 하부판(173)의 중앙에 관통 개구되며, 걸림핀(176)을 수용하는 부분이다.The engaging
제2 체결부(177)는 제1 체결부(167, 도 2)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이다. 제2 체결부(177)는 상부판(171)의 상측에, 구체적으로 제2 측벽부(171b)에 설치된. 그에 의해, 제2 체결부(177)와 제2 측벽부(171b) 및 제2 디스크부(171a)는 일 측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S2)을 형성하게 된다.The
제2 체결부(177)는, 구체적으로, 제2 도넛판(177a)과, 누름판(17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넛판(177a)은 대체로 도넛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트로서, 중앙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넛' 형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드시 원형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각형의 형태도 가능하다. 제2 도넛판(177a)은 누름판(177b) 보다 큰 두께를 가지고, 누름판(177b)은 제2 도넛판(177a)의 상면 측에 치우져서 배치될 수 있다[도 7 참조]. 누름판(177b)은 제2 도넛판(177a)의 중공부에 배치되는 판재이다. 누름판(177b)은, 본 실시예에서 제2 도넛판(177a)의 원형의 중공부에 대응하는 원판으로 형성된다. 누름판(177b)은 연결부(177b')에 의해 지지되어 외팔보 운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The
이상에서 설명한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이 서로 결합된 형태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도 7은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라인(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본 도면들[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상태에서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 된다. Referring to these Figures [and FIGS. 4-6], in the state of FIG. 1, the
이러한 결합을 위해, 제1 결합 모듈(160)의 상부판(161)과 하부판(163)은 [연결부들(161c 및 163b)을 기준으로] 대체로 일 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꺽인 상태[각도(α)]로 상대 선회되어야 한다. 이는 제1 선회 유닛인 상부판(161)과, 하부판(163)과, 걸림 유닛(165)의 상호 작용에 의한다. 또한, 제2 결합 모듈(170)의 상부판(171)과 하부판(173) 역시 [연결부들(171c 및 173b)을 기준으로] 대체로 일 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꺽인 상태[각도(β)]로 상대 선회되어야 한다. 이는 제2 선회 유닛인 상부판(171)과, 하부판(173)과, 걸림 유닛(175)의 상호 작용에 의한다. The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의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체결 유닛인 제1 체결부(167)와 제2 체결부(177)가 서로 체결되어야 한다. 상기 체결 시에, 제1 결합 모듈(160)은 도면상 우측으로, 제2 결합 모듈(170)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체결 방향(C) 참조]. 그에 의해, 상기 제2 선회 유닛은 제1 측벽부(161b)가 형성되지 않은 개방된 측면을 통해 제1 수용 공간(S1) 내로 삽입된다. 반대로, 제1 체결부(167)는 제2 측벽부(171b)가 형성되지 않은 개방된 측면을 통해 제2 수용 공간(S2) 내로 삽입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선회 유닛, 제1 체결부(167), 제2 체결부(177)는 순차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In order to engage the
이러한 체결 과정 중에, 제1 체결부(167)의 상측으로는 제2 체결부(177)가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2 체결부(177)의 제2 도넛판(177a)은 제1 체결부(167)의 상향 돌출된 걸림판(167b)을 누르며 지나가게 된다. 제2 체결부(177)가 제1 체결부(167)에 완전하게 중첩된 위치에 이르게 되면, 걸림판(167b)은 다시 탄성적으로 상향 경사져서 누름판(177b)의 저면을 향해 들어 올려진다. 이때, 걸림판(167b)의 자유단인 걸이부(167b')는 제2 도넛판(177a)의 내면인 걸림부(177a')에 맞닿아서, 제1 체결부(167)와 제2 체결부(177) 간의 체결이 유지되게 한다.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이 수평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적으로 적층 배치되어, 상기 스트랩 어셈블리가 완전한'X'자에 가까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모듈(160)의 하부판(173)과 걸림 유닛(175)만이 착용자의 배(또는 가슴)에 접촉하게 되므로, 착용자가 버클 조립체(150)를 의식하게 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제1 체결부(167)와 제2 체결부(177) 간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착용자는 제2 체결부(177)의 누름판(177b)을 누른 채로 제2 체결부(177)를 제1 체결부(167)에서 멀어지도록 당겨주면 된다. 여기서, 착용자가 누름판(177b)을 누르게 되면, 누름판(177b)은 걸림판(167b)을 또한 눌러주게 된다. 눌려진 걸림판(167b)은 하강되면서, 그의 걸이부(167b')가 걸림부(177a')와 맞닿은 상태에서 걸림부(177a')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걸이부(167b')와 걸림부(177a')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제2 체결부(177)를 제1 체결부(167)에서 멀어지도록 당길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모듈(160)은 도면상 좌측으로, 제2 결합 모듈(170)은 도면상 우측으로 당겨진다[해제 방향(D) 참조]. In order to release the fastening between the
이 상태에서는,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이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대략 십일자를 이루게 된다. 그에 의해, 착용자는 버클 조립체(150)의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을 서로 체결하지 않은 상태로 디바이스(100)를 어깨에 짊어질 수도 있다. 이는 일반적인 가방을 짊어지는 경우와 유사하다.In this state, the
상기와 같은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evice for closely carrying the object to the user and carrying it thereon and the user-friendly bag using the devic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사용자 밀착형 가방
110: 하우징 111: 등판면
113: 외부면 115: 바닥면
117: 천정면 130: 견착 스트랩
131: 제1 스트랩 135: 제2 스트랩
150: 버클 조립체 160: 제1 결합 모듈
161,171: 상부판 163,173: 하부판
165,175: 걸림 유닛 167: 제1 체결부
170: 제2 결합 모듈 177: 제2 체결부
180: 밀착 유닛 181: 밀착 밴드
185: 연결 모듈 187: 고정 밴드100: Device / user-friendly bag for carrying the object to the user closely
110: housing 111: back plate surface
113: outer surface 115: bottom surface
117: cloth front face 130: fastening strap
131: first strap 135: second strap
150: buckle assembly 160: first coupling module
161, 171:
165, 175: engaging unit 167: first engaging part
170: second coupling module 177: second coupling part
180: Adhesive unit 181: Adhesive band
185: connection module 187: fixed band
Claims (15)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선회 유닛;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다른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선회 유닛; 및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판;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핀과, 상기 하부판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홀을 구비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A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n object; A pair of fastening straps each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housing; A fastening unit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fastening strap to bring the housing into close contact with a user; And a buckle assembly mounted to the pair of strap straps and configured to fasten the pair of strap straps to each other,
The buckle assembly comprising: a first pivoting unit for pivot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ny one of the pair of padding straps relative to each other; A second pivoting unit pivot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ther of the pair of gripping strap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 fastening unit having a first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first revolving uni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revolving unit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t least one of the first pivoting unit and the second pivoting unit includes: an upper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either the strap or the other strap; A lower plate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straps or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trap; And a latch unit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te, and a latch unit formed on the lower plate and including a latch hole for latching the latch pin.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의 등에 대응하는 등판면과, 상기 등판면에 대향되는 외부면과, 상기 등판면과 상기 외부면을 연결하며 서로 대향되는 바닥면 및 천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 유닛의 일 단부는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며, 상기 밀착 유닛은 상기 외부면과 상기 천정면 위를 지나서 상기 견착 스트랩에 연결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bottom surface and a ceiling surface facing each other connecting the back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correspond to the back surface,
Wherein one end of the tightening unit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tightening unit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strap past the outer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상기 밀착 유닛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각각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일 단부와 상기 견착 스트랩에 연결되는 타 단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밀착 밴드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ightly-
And a pair of adhesive bands disposed to intersect one another and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atching strap, respectively.
상기 밀착 유닛은,
그의 일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밀착 밴드; 및
상기 밀착 밴드의 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 밴드의 타 단부를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ghtly-
An adhesive band to which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nd a connection modu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adhesive band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adhesive band to one of the pair of adhesive straps.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리셉터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e of said pair of gripping straps comprises a receptacle,
The connection module includes:
And a plu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상기 밀착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밀착 밴드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ightly-
And a fastening band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disposed to intersect the fastening band.
상기 고정 밴드는,
밴드 본체; 및
상기 밴드 본체의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밴드 본체와 함께 상기 밀착 밴드가 위치하는 제한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xed band
Band body;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housing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band body to form a confined space in which the band is located together with the band body.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간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선회 유닛,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가 차례로 적층된 형태를 갖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ckle assembly comprises:
Wherein the first pivoting unit, the second pivoting unit, the first pivoting unit, and the second pivoting unit are stacked in order in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the second fastening unit, Device for carrying it.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결합되는 도넛 형의 제1 도넛판; 및
상기 제1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 donut-shaped first donut plate coupled to the first turning unit; And
And a latch plate movably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donut plate so as to be cantilevered.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도넛 형의 제2 도넛판; 및
상기 제2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 second donut plate coupled to the second turning unit and having a hollow portion into which the free end of the latching plate is inserted in a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And a pressing plate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donut plate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cantilevered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engaging plate in the engaged state.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는 걸림판을 구비하는 제1 결합 모듈; 및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여 상기 걸림판을 눌러 주도록 설치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제2 결합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밀착형 가방.A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an object; A pair of fastening straps connected to the housing body and forming an X-axis at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when fastened to each other; Wherein one end of each of said pair of adhesive bands is connected to said accommodating body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said pair of adhesive bands is connected to said accommodating body A fastening unit connected to a pair of fastening straps; And a buckle assembly mounted to the pair of strap straps and configured to fasten the pair of strap straps to each other,
The buckle assembly comprising: a first coupling module mounted on one of the pair of the first and second straps, the first coupling module having a latching plate for cantilevering; And a second coupling module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pair of the binding straps and having a pressing plate installed to press the holding plate by a cantilever mo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3358A KR101521796B1 (en) | 2013-10-16 | 2013-10-16 |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3358A KR101521796B1 (en) | 2013-10-16 | 2013-10-16 |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4229A KR20150044229A (en) | 2015-04-24 |
KR101521796B1 true KR101521796B1 (en) | 2015-05-27 |
Family
ID=5303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3358A KR101521796B1 (en) | 2013-10-16 | 2013-10-16 |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179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3103Y1 (en) * | 2015-08-07 | 2017-04-05 | 이종무 | Auxiliary strap for bag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1946U (en) * | 1989-07-10 | 1991-03-06 | ||
JP3021946B2 (en) | 1992-04-17 | 2000-03-15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Cooling method for high temperature steelmaking slag |
KR200392083Y1 (en) * | 2005-05-27 | 2005-08-09 | 손원용 | Bag for dispersing a load |
US20060049227A1 (en) * | 2004-09-09 | 2006-03-09 | Travel Caddy, Inc. D/B/A Travelon | Small animal backpack |
KR101292620B1 (en) * | 2012-04-25 | 2013-08-16 | 박솔 | Multi mode bag of swing type and suspenders assembly for the same |
-
2013
- 2013-10-16 KR KR1020130123358A patent/KR10152179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1946U (en) * | 1989-07-10 | 1991-03-06 | ||
JP3021946B2 (en) | 1992-04-17 | 2000-03-15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Cooling method for high temperature steelmaking slag |
US20060049227A1 (en) * | 2004-09-09 | 2006-03-09 | Travel Caddy, Inc. D/B/A Travelon | Small animal backpack |
KR200392083Y1 (en) * | 2005-05-27 | 2005-08-09 | 손원용 | Bag for dispersing a load |
KR101292620B1 (en) * | 2012-04-25 | 2013-08-16 | 박솔 | Multi mode bag of swing type and suspenders assembly for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4229A (en) | 2015-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94395B2 (en) | Strap assembly capable of rotational engagement with an obje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US4312455A (en) | Table parcel holder | |
US11067827B2 (en) | System to secure glasses to hat | |
US10413047B2 (en) | Hat holder | |
US8534933B2 (en) | System for storing and releasing a camera for quick use | |
EP1473988B1 (en) | A device for carrying a four-legged animal | |
JP2017521023A (en) | Necklace for smart devices | |
WO2004066596A1 (en) | Headband having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attachments for holding a cellular phone to the headband | |
KR101521796B1 (en) |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 |
TWM295936U (en) | Front-opening fastener | |
KR101529628B1 (en) |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and x connecting baby carrier | |
JPS5837626A (en) | Improved camera body harness | |
JP3396416B2 (en) | Body-mounted body | |
JP2007130112A (en) | Clip and eyeglasses storage implement using the clip | |
JP3379705B1 (en) | Article holder | |
CN216358371U (en) | Novel backpack | |
KR102575884B1 (en) | buckle for backpack having hinge locking tool | |
JP7374507B2 (en) | Strap attachment and how to attach the strap attachment | |
JP3220010U (en) | Accessories and holders for golf bags | |
KR200473826Y1 (en) | A Backpack with Fold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 |
JP2988409B2 (en) | Portable bottle | |
JPH0956439A (en) | Case for portable telephone set | |
KR102027873B1 (en) | Golf bag carrier | |
KR101300306B1 (en) | Camera bag supporter | |
CN117860026A (en) | Article fix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