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973B1 - apparatus for preparing spacer for concrete form and spacer prepar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paring spacer for concrete form and spacer prepared by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5973B1 KR101525973B1 KR1020130144983A KR20130144983A KR101525973B1 KR 101525973 B1 KR101525973 B1 KR 101525973B1 KR 1020130144983 A KR1020130144983 A KR 1020130144983A KR 20130144983 A KR20130144983 A KR 20130144983A KR 101525973 B1 KR101525973 B1 KR 1015259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pair
- inner surfaces
- inclined guide
- mov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04—Centering the work; Positioning the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21D43/09—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by one or more pairs of rollers for feeding sheet or strip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2—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in which work is subjected to permanent internal twisting, e.g. for producing reinforcement bars f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성형장치 및 그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방에 투입부(101)를 형성하고, 후방에 배출부(102)를 형성하며, 투입부(101)에서 배출부(102)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양측 내면에 한 쌍의 경사안내판(105)을 대칭으로 설치하며, 각 내면에 설치된 경사안내판(105)의 상·하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랙기어(106)를 설치한 케이스(1)와; 케이스(1) 후방에 설치된 가동수단(201)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여 케이스(1) 내부로 출입하며, 전방 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축(202)을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한 가동체(2)와; 가동체(2)의 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축(202)에서 각각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전방 단부에는 각각 압착롤러(301)를 설치하여, 각 압착롤러(301)가 케이스(1) 양측 내면에 대칭으로 설치된 경사안내판(105)과 각각 밀착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요입홈(302)에 탄성부재(303)를 설치하고, 압착롤러(301)에는 케이스(1)에 설치된 랙기어(106)와 치합되도록 피니언기어(304)를 키 결합하여 가동체(2)의 직선 운동에 의해 압착롤러(301)가 회전하게 한 연결암(3)으로 구성하여 간격유지구를 쐐기형으로 압착 성형함으로써 간격유지구의 재사용이 가능케 하여 우수한 경제성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lding a cavity for a concrete for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vity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cavity, A pair of inclined guide plates 105 are symmetrical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102.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clined guide plates 105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s thereof are provided with rack gears 106 A case 1 provided with a case 1; The movable member 2 is slidably operated by the movable means 201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se 1 to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case 1 and a pair of connecting shafts 202 provided at the front end thereof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ow; A pair of connection shafts 202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ovable body 2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respectively, The elastic members 303 are provided in the recessed grooves 302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in tight contact with the inclined guide plates 105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case 1, And the pinion gear 304 is key-engaged with the rack gear 106 provided on the movable member 2 so that the pressing roller 301 is rotated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2. Thus, So that it is possible to reuse the gap retaining mouth, thereby realizing excellent economical efficiency.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철판으로 된 간격유지구의 두께가 일단부로 갈수록 얇아지는 쐐기형으로 성형할 수 있게 만든 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orming a gap maintaining groove for a concrete form, which can be formed into a wedge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gap holding tool made of an iron plate becomes thinner toward the one end will be.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할 때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벽체가 될 공간을 두고 안팎으로 합판이나 철판,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된 거푸집을 먼저 설치한 후, 설치가 완료된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하게 된다.
Generally, when constructing a wall of a concret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first install a mold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plywood, an iron plate, or an aluminum material inside and outside with a space to be a wall in order to place the concrete, and then place the concrete between the completed formwork By curing, the wall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built up.
그런데 거푸집 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거푸집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팎으로 설치된 거푸집이 외력에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거푸집용 간격유지구를 설치하게 된다.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spacing of the mold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due to the load of the concrete during the casting of the concrete after the molding of the molds, spacers for the molds are installed so that the mold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can maintain constant spacing .
이러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구는 첨부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 두께 3mm 내외의 평철판을 길이 250~300mm, 폭 25~35mm 정도의 크기로 절단 성형한 후, 설치 과정에서 거푸집을 관통하는 양측 단부가 거푸집에서 빠지지 않도록 웨지핀을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을 양측 단부에 형성하고, 양측 결합공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양 측면에 " V "자형의 절단홈을 각각 대칭으로 형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spacing holder for such a concrete form is formed by cutting a flat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 mm and a length of about 250 to 300 mm and a width of about 25 to 35 mm, V-shaped cutting grooves ar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so as to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les so as to prevent the ends from coming out of the formwork.
따라서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를 구축할 때에는 먼저 일정 간격으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거푸집을 간격유지구를 관통시켜 간격유지구의 양단부가 거푸집의 내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결합공에 웨지핀을 끼워줌으로써 거푸집을 관통한 간격유지구를 고정하게 된다.
Therefore, when constructing the concrete wall of the building, first the formwork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hen the formwork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s passed through the spacing retaining mouth so that both ends of the spacing retaining protrusion protrude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ormwork, Thereby securing a gap holding hole penetrating the die.
그리하여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 양측으로 돌출된 간격유지구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워진 웨지핀을 분리하고, 거푸집을 해체한 후, 구축이 완료된 콘크리트 벽체의 내외면으로 돌출된 간격유지구의 양단부를 " V "자형의 절단홈을 따라서 강한 힘으로 타격하여 절단, 제거함으로써 간격유지구의 중간 부분은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된 채로 남아있게 된다.After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the wedge pins inserted into the joint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gap holding protrusions projected to both sides of the form are separated, the formwork is disassembled, and the concrete wall Both ends of the gap retain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re cut and removed by a strong force along the cutting grooves of the "V" shape so that the middle portion of the gap retaining tool remains buried in the concrete wall.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간격유지구는 두께 3mm 내외의 평철판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벽체 구축 후 콘크리트 벽체의 내외면으로 돌출된 간격유지구의 양단부를 " V "자형의 절단홈을 따라서 강한 힘으로 타격하여 절단, 제거하는 과정에서 간격유지구가 매설된 콘크리트 벽면에 충격이 가해져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균열 발생 부위를 별도 보수함으로써 공기가 지연되고, 공사비가 인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pacers are made of flat steel plates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 mm, the both ends of the spacing protrusions protruding to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oncrete wall after building the concrete wall are struck by a strong force along the V- , There is a problem that cracks occur frequently due to an impact applied to a wall of the concrete in which the gap retaining hole is buri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concret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is delay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raised by separately repairing the cracking site.
또한, 간격유지구의 소재가 되는 평철판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인상됨에 따라서, 재사용이 불가능한 종래의 간격유지구는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as the price of the flat plate serving as the material of the gap retaining groove is continuously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spacer maintaining the reusable region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재사용이 가능케 한 간격유지구를 효과적으로 제할 수 있게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lding apparatus which is formed in a wedge shape and can effectively reuse the gap holding tool.
삭제delete
본 발명은 전방에 투입부(101)를 형성하고, 후방에 배출부(102)를 형성하며, 투입부(101)에서 배출부(102)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양측 내면에 한 쌍의 경사안내판(105)을 대칭으로 설치하며, 각 내면에 설치된 경사안내판(105)의 상·하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랙기어(106)를 설치한 케이스(1)와;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케이스(1) 후방에 설치된 가동수단(201)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여 케이스(1) 내부로 출입하며, 전방 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축(202)을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한 가동체(2)와;The
가동체(2)의 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축(202)에서 각각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전방 단부에는 각각 압착롤러(301)를 설치하여, 각 압착롤러(301)가 케이스(1) 양측 내면에 대칭으로 설치된 경사안내판(105)과 각각 밀착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요입홈(302)에 탄성부재(303)를 설치하고, 압착롤러(301)에는 케이스(1)에 설치된 랙기어(106)와 치합되도록 피니언기어(304)를 키 결합하여 가동체(2)의 직선 운동에 의해 압착롤러(301)가 회전하게 한 연결암(3)으로 구성된다.A pair of
한편, 경사안내판(105)은 압착롤러(301)와 접하는 면은 수직으로 형성하고, 케이스(1)와 접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하여 케이스(1) 내측면에 형성된 만곡홈(103) 내부에 투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일단부는 경사안내판(105)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105a)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케이스(1)의 측벽에 형성된 가이드홈(104)에 투입되어 외측벽에 나사 결합된 나사봉(401)에 나사 결합되며, 측면에는 체결공(402)을 형성하여 체결공(40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03)에 의해 케이스(1)에 고정되는 안내판고정수단(4)을 포함할 수 있다.
One end portion is engaged with a
또한, 가동체(2)의 하부에는 제1가이드블록(501)을 설치하고, 테이블(7) 상부에는 제1가이드블록(501)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레일(502)을 설치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A
또한, 가로 방향으로 평철판을 투입하는 투입구(60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제2가이드블록(503)을 설치하여 테이블(7) 상부에 설치된 제2가이드레일(504)을 따라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연결암(3)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305)에 나사 결합하여 연결암(3)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는 투입기(6)를 포함할 수 있다.
A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평철판으로 제작되는 간격유지구를 쐐기형으로 구성되게 압착 성형함으로써,대량생산에 의한 공급이 이루어지고 이를 콘크리트 거푸집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의 구축이 완료된 후, 거푸집의 해체와 함께 벽체에 매설된 간격유지구를 인출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출 과정에서 콘크리트 벽면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수선, 보수 작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pacing tool, which is made of a flat steel plate, is compression-molded so as to have a wedge shape, so that mass production is performed and the resultant is placed in the concrete formwork.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wall is completed, And it is possible to reuse the space retaining hole embedded in the wall, so that it is not only excellent in economy, but also can prevent the concrete wall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drawing process,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repairs and maintenance work. hav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간격유지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경사안내판 간의 간격 변화를 나타낸 평면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부분 단면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성형 과정을 나타낸 측면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간격유지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면 예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 2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tion in the distance between inclined guide plat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side 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olding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pacing hold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It is to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ny of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known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Come on.
첨부도면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1)는 전방에 투입부(101)를 형성하고, 후방에 배출부(102)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데, 케이스(1)의 양측 내면에는 한 쌍의 경사안내판(105)을 대칭으로 설치하되, 이 경사안내판(105) 간의 간격이 투입부(101)에서 배출부(102)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the
또한, 경사안내판(105)은 압착롤러(301)와 접하는 면은 수직으로 형성하고, 케이스(1)와 접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하여 케이스(1) 내측면에 형성된 만곡홈(103) 내부에 투입되어 볼트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만곡홈(103) 내부에 투입된 경사안내판(105)을 회전시켜 고정함으로써 압착롤러(301)와 접하는 면의 수직 상태를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위와 같이 만곡홈(103) 내부에 투입 설치되는 경사안내판(105)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경사안내판(105)의 양단부에 결합돌부(105a)를 돌출 형성한 후, 일단부가 경사안내판(105)의 결합돌부(105a)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부는 케이스(1)의 측벽에서 만곡홈(103) 내부에서 이어지게 형성된 가이드홈(104)에 투입되어 케이스(1)의 외측벽에 나사 결합된 나사봉(401)에 나사 결합되는 안내판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수직면 보정이 완료된 경사안내판(105)의 결합돌부(105a)에 결합된 안내판고정수단(4)을 나사봉(401)을 이용해 케이스(1)의 외측벽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 후, 안내판고정수단(4)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40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03)를 케이스(1)의 정면에서 다시 조여 안내판고정수단(4)이 케이스(1)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수직면 보정이 완료된 경사안내판(105)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firmly fix the
또한, 위와 같이 케이스(1)의 양측 내면에 각각 설치된 경사안내판(105)의 상·하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한 쌍의 랙기어(106)를 서로 평행하게 설치함으로써 랙기어(106)를 이용해 압착롤러(301)에 회전력을 발생키게 된다.
A pair of
즉, 위와 같이 구성된 케이스(1) 후방에는 실린더와 같은 가동수단(201)을 설치하여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가동체(2)를 설치함으로써 가동체(2)가 가동수단(201)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여 케이스(1) 내부로 출입 가능케 된다.
That is, the
이때, 가동체(2)의 슬라이딩 작동이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동체(2)의 하부에는 제1가이드블록(501)을 설치하고, 가동수단(201)이 설치되는 테이블(7) 상부에는 제1가이드블록(501)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레일(502)을 설치하여 가동체(2)가 제1가이드레일(50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A
그리하여 케이스(1) 내부로 출입 가능케 설치된 가동체(2)의 전방 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축(202)을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여 연결축(202)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암(3)을 각 연결축(202)에 대칭으로 설치하게 된다.
A pair of
이때, 각 연결암(3)의 전방에는 압착롤러(301)를 설치하되, 각 압착롤러(301)가 케이스(1) 양측 내면에 설치된 경사안내판(105)과 항상 밀착되도록 각 연결암(3)이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요입홈(302)을 형성하여 그 요입홈(302)에 압축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03)를 설치함으로써 탄성부재(303)가 각 연결암(3)을 케이스(1)의 바깥쪽으로 밀어서 압착롤러(301)를 케이스(1) 양측 내면에 설치된 경사안내판(105)에 각각 밀착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a
또한, 압착롤러(301)에는 케이스(1)의 양측 내면에 설치된 랙기어(106)와 치합되도록 피니언기어(304)를 키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가동수단(201)에 의해 가동체(2)가 케이스(1) 내부로 출입하면 압착롤러(301)에 키 결합된 피니언기어(304)가 케이스(1)의 양측 내면에 설치된 랙기어(106)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가동체(2)가 직선 운동하는 동안에 압착롤러(301)는 경사안내판(105)에 밀착된 상태에서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The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구의 압착 성형 과정을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체(2)가 가동수단(201)에 의해 케이스(1) 내부로 최대한 투입된 시점에서 가동체(2)의 전방에서 회동 가능케 설치된 연결암(3)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압착롤러(301) 사이에 규격 사이즈로 절단 가공된 간격유지구 제작용 평철판을 투입하게 되면, 평철판의 끝 부분이 한 쌍의 압착롤러(301)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5, the
그리하여 간격유지구 제작용 평철판이 한 쌍의 압착롤러(301)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동수단(201)에 의해 케이스(1) 내부로 투입되어 있단 가동체(2)가 가동수단(201)에 의해 케이스(1)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퇴하면 압착롤러(301)에 키 결합된 피니언기어(304)가 케이스(1)의 내측면에 설치된 랙기어(106)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가동체(2)의 후퇴와 동시에 압착롤러(301)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압착롤러(301) 사이에 끼워진 평철판이 압착롤러(301)와 의 마찰력에 의해 한 쌍의 압착롤러(301)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The
이때, 한 쌍의 압착롤러(301)는 케이스(1)의 양측 내면에 대칭으로 설치된 경사안내판(105)에 각각 밀착된 상태인데, 케이스(1) 양측 내면에 대칭으로 설치된 경사안내판(105) 간의 간격은 케이스(1)의 투입부(101)에서 배출부(102)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동체(2)가 케이스(1) 내부에서 배출부(102) 쪽으로 후퇴함에 따라서 한 쌍의 압착롤러(301) 사이의 간격은 점차 좁아지게 된다.
The pair of
따라서 한 쌍의 압착롤러(301) 사이에 투입된 평철판은 압착롤러(301)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압착롤러(301)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압착롤러(301)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압착롤러(301)에 압력이 평철판에 작용하여 평철판의 두께도 점차 얇아지다가 한 쌍의 압착롤러(301) 사이를 완전히 통과하면 자연 낙하하여 배출됨으로써 일단부의 두께는 두껍고, 타단부의 두께는 얇은 쐐기형의 간격유지구로 성형된다.
Therefore, the flat iron sheet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한편, 가로 방향으로 평철판을 투입하는 투입구(60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제2가이드블록(503)을 설치하여 테이블(7) 상부에 설치된 제2가이드레일(504)을 따라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연결암(3)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305)에 나사 결합하여 연결암(3)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는 투입기(6)를 설치하여, 투입기(6)의 투입구(601)를 통해 평철판을 투입하게 되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투입구(601)를 관통한 평철판의 일단부가 한 쌍의 압착롤러(301) 사이에 끼워진 후, 압착롤러(301)의 회전에 의해 압착 성형이 이루어지면서 한 쌍의 압착롤러(301)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투입기(6)가 연결암(3)과 같이 이동하면서 투입구(601)에 투입된 상태의 평철판이 압착 성형 과정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압착 성형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
이와 같이 쐐기형으로 성형된 간격유지구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거푸집을 관통하게 설치한 후,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공(901)에 웨지핀을 끼워서 고정한 후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구축이 완료되면, 간격유지구의 결합공(901)에 끼워진 웨지핀을 분리한 후 거푸집을 해체한 상태에서 구축된 벽체에 매설된 쐐기형의 간격유지구의 두께가 두꺼운 쪽에 형성된 결합공(901)에 간격유지구를 강하게 당겨낼 수 있는 형태의 공구를 투입하여 간격유지구를 당겨내면, 쐐기형으로 형성된 간격유지구가 벽체에서 인출 분리됨으로써 간격유지구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The wedge-shaped gap holding holes are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mold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he wedge pins are fixed to the
한편, 첨부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전방에 투입부(101)를 형성하고, 후방에 배출부(102)를 형성하며, 투입부(101)에서 배출부(102)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양측 내면에 한 쌍의 경사안내판(105)을 대칭으로 설치한 케이스(1)와;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charging
케이스(1) 후방에 설치된 가동수단(201)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여 케이스(1) 내부로 출입하며, 전방 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축(202)을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한 가동체(2)와;The
가동체(2)의 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축(202)에서 각각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전방 단부에는 각각 압착롤러(301)를 설치하여, 각 압착롤러(301)가 케이스(1) 양측 내면에 대칭으로 설치된 경사안내판(105)과 각각 밀착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요입홈(302)에 탄성부재(303)를 설치하여 가동체(2)의 직선 운동에 의해 압착롤러(301)가 회전하게 한 연결암(3)으로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보다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A pair of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케이스 101: 투입부
102: 배출부 103: 만곡홈
104: 가이드홈 105: 경사안내판
105a: 결합돌부 106: 랙기어
2: 가동체 201: 가동수단
202: 연결축 3: 연결암
301: 압착롤러 302: 요입홈
303: 탄성부재 304: 피니언기어
305: 돌출부 4: 안내판고정수단
401: 나사봉 402: 체결공
403: 고정볼트 501: 제1가이드블록
502: 제1가이드레일 503: 제2가이드블록
504: 제2가이드레일 6: 투입기
601: 투입구 7: 테이블
9: 간격유지구 901: 결합공1: Case 101:
102: discharge part 103: curved groove
104: guide groove 105: inclined guide plate
105a: Coupling protrusion 106: Rack gear
2: movable body 201: movable means
202: connecting shaft 3: connecting arm
301: compression roller 302: concave groove
303: elastic member 304: pinion gear
305: protruding portion 4: guide plate fixing means
401: screw rod 402: fastening hole
403: Fixing bolt 501: First guide block
502: first guide rail 503: second guide block
504: second guide rail 6: injector
601: inlet 7: table
9: space maintaining hole 901: engaging hole
Claims (7)
케이스(1) 후방에 설치된 가동수단(201)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여 케이스(1) 내부로 출입하며, 전방 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축(202)을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한 가동체(2)와;
가동체(2)의 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축(202)에서 각각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전방 단부에는 각각 압착롤러(301)를 설치하여, 각 압착롤러(301)가 케이스(1) 양측 내면에 대칭으로 설치된 경사안내판(105)과 각각 밀착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요입홈(302)에 탄성부재(303)를 설치하고, 압착롤러(301)에는 케이스(1)에 설치된 랙기어(106)와 치합되도록 피니언기어(304)를 키 결합하여 가동체(2)의 직선 운동에 의해 압착롤러(301)가 회전하게 한 연결암(3)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성형 장치.
A pair of inclined guide plates 105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input portion 101 and the discharge portion 102 becomes narrower. A case 1 provided with a rack gear 10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clined guide plate 105 provided on each inner surface;
The movable member 2 is slidably operated by the movable means 201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se 1 to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case 1 and a pair of connecting shafts 202 provided at the front end thereof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ow;
A pair of connection shafts 202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ovable body 2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respectively, The elastic members 303 are provided in the recessed grooves 302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in tight contact with the inclined guide plates 105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case 1, And a connecting arm 3 that rotates the pressing roller 301 by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2 by key-engaging the pinion gear 304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106 provided on the rack gear 106 A gap holding sphere molding device.
케이스(1) 후방에 설치된 가동수단(201)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여 케이스(1) 내부로 출입하며, 전방 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축(202)을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한 가동체(2)와;
가동체(2)의 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축(202)에서 각각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전방 단부에는 각각 압착롤러(301)를 설치하여, 각 압착롤러(301)가 케이스(1) 양측 내면에 대칭으로 설치된 경사안내판(105)과 각각 밀착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요입홈(302)에 탄성부재(303)를 설치하여 가동체(2)의 직선 운동에 의해 압착롤러(301)가 회전하게 한 연결암(3)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성형 장치.
A pair of inclined guide plates 105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input portion 101 and the discharge portion 102 becomes narrower. A case 1 installed symmetrically;
The movable member 2 is slidably operated by the movable means 201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se 1 to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case 1 and a pair of connecting shafts 202 provided at the front end thereof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ow;
A pair of connection shafts 202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ovable body 2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respectively, The elastic members 303 are provided in the concave grooves 302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in tight contact with the inclined guide plates 105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case 1 by the linear motion of the movable body 2 And a connecting arm (3) for rotating the pressing roller (301).
The tilting guide plate (105)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ilting guide plate (105) is vertically formed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roller (301) (103) so as to be fixed and fixed in the groove (103).
The one end portion is engag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portion 105a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inclined guide plate 105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104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case 1, And a guide plate fixing means 4 which is fixed to the case 1 by a fixing bolt 403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402 by forming a fastening hole 402 on the side surface thereof and screwed to the threaded screw rod 401 ) For forming a cavity of a concrete form.
A first guide block 501 is provided below the movable body 2 and a first guide rail 502 for guiding the first guide block 501 is provided on the table 7 )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A second guide rail (504) provided on the table (7) is provided with a second guide block (503)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injector (6) provided movably along the connecting arm (3) and screwed to the protruding portion (305)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arm (3) and slidably operated by the connecting arm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4983A KR101525973B1 (en) | 2013-11-27 | 2013-11-27 | apparatus for preparing spacer for concrete form and spacer prepared by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4983A KR101525973B1 (en) | 2013-11-27 | 2013-11-27 | apparatus for preparing spacer for concrete form and spacer prepared by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192A KR20150061192A (en) | 2015-06-04 |
KR101525973B1 true KR101525973B1 (en) | 2015-06-05 |
Family
ID=5349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49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5973B1 (en) | 2013-11-27 | 2013-11-27 | apparatus for preparing spacer for concrete form and spacer prepared by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597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7564B1 (en) * | 2014-12-17 | 2016-01-21 | 박해대 | The wedge-shaped gap supporter molding machines for concrete form |
CN117161198B (en) * | 2023-11-02 | 2024-01-05 | 烟台怡和汽车科技有限公司 | Aluminum plate circulation punching device convenient to collec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14632A (en) * | 2004-01-08 | 2005-02-07 | 서순옥 | combination a mold |
KR100887512B1 (en) * | 2008-01-09 | 2009-03-06 | 미래테크(주) | Fasteners for the maintenance of concrete form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176029B1 (en) * | 2012-03-27 | 2012-08-24 | 김양근 | Mold apparatus for forming tie of concrete wall form |
-
2013
- 2013-11-27 KR KR1020130144983A patent/KR10152597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14632A (en) * | 2004-01-08 | 2005-02-07 | 서순옥 | combination a mold |
KR100887512B1 (en) * | 2008-01-09 | 2009-03-06 | 미래테크(주) | Fasteners for the maintenance of concrete form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176029B1 (en) * | 2012-03-27 | 2012-08-24 | 김양근 | Mold apparatus for forming tie of concrete wall for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192A (en) | 2015-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8226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apered products | |
JP5868101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tepped square pipe | |
KR101525973B1 (en) | apparatus for preparing spacer for concrete form and spacer prepared by the same | |
CN113696310A (en) | Cement mortar test piece mold with movable baffle and demolding method | |
WO2013000274A1 (en) | Pressure device for mould locking | |
CN105158940B (en) | Blade synchronous working feed device of liquid crystal screen disassembling machine | |
CN205777483U (en) | A kind of drawing template of shear wall | |
CN116335386A (en) | Assembled anti-toppling aluminum alloy template | |
CN111745777A (en) | Concrete precast pile mould, mould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 |
CN116122569A (en) | Splicing structure and connecting device of building templates | |
CN210190081U (en) | Mould and mould group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efabricated part | |
CN108621284A (en) | A kind of more frame brick machines with stroke compensating mechanism | |
CN204399453U (en) | A kind of angle-inserting type docking block | |
CN110193732B (en) | Ram structure of machine tool | |
CN211473375U (en) | Cast-in-situ shear wall assembled mould | |
CN209599476U (en) | A sleeper mold | |
CN208133533U (en) | The long-service die of low abrasion | |
CN211662287U (en) | Cushion block die | |
CN116163512B (en) | Building template | |
CN115071005B (en) | A block mold for compression molding of composite parts | |
CN216175723U (en) | Universal die for groove-shaped section bar of combined punching and shearing machine | |
CN222949164U (en) | Light side ditch construction template system | |
CN219528427U (en) | Quick template assembling device for building construction | |
CN220666941U (en) | Concrete reinforcing device | |
CN111496981B (en) | A square pile mold and a mold set including the mol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