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760B1 -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5760B1 KR101525760B1 KR1020090016289A KR20090016289A KR101525760B1 KR 101525760 B1 KR101525760 B1 KR 101525760B1 KR 1020090016289 A KR1020090016289 A KR 1020090016289A KR 20090016289 A KR20090016289 A KR 20090016289A KR 101525760 B1 KR101525760 B1 KR 1015257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on
- portable terminal
- call
- mobile terminal
- call conn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0)
- 휴대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상기 휴대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색인을 입력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휴대 단말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 및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의 테두리가 접촉되거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아이콘의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이벤트는터치 다운, 터치 업, 더블 터치, 플릭, 터치 드래그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은 표시부 상에서 기 설정된 장소로 이동 또는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아이콘과 상기 제2 아이콘은상기 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색인 입력, 상기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 시도 및 통화 연결된 타 휴대 단말기의 홀드 상태로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은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되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아이콘의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서로 간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모양 및 색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타 휴대 단말기 이외의 다른 제3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수신이 있는 경우, 상기 제3 휴대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3 아이콘이 더 출력되며, 상기 제3 아이콘은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과 기 설정된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3 아이콘은상기 제1 아이콘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되거나, 상기 제1 아이콘의 테두리에 접촉되거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3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2 아이콘은상기 제3 아이콘이 상기 제1 아이콘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 접촉 및 중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아이콘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3 아이콘은상기 제1 아이콘과 상기 제2 아이콘에 대하여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되거나,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의 테두리에 접촉되거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3 휴대 단말기와 상기 타 휴대 단말기 간에 다자간 통화 연결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2 아이콘 및 상기 제3 아이콘 중 어느 하나는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된 상태, 아이콘들의 테두리가 접촉된 상태 및 아이콘들의 일정 영역이 중첩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여 특정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들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경우, 상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와 나머지 휴대 단말기 간의 통화 연결을 해제하거나 홀드 상태로 변경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1 아이콘은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된 상태, 아이콘들의 테두리가 접촉된 상태 및 아이콘의 일정 영역이 중첩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가지는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여 다른 아이콘들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거나 종료 기능을 지원하는 아이콘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 접촉 또는 중첩될 경우, 상기 다른 아이콘들 간의 통화 연결을 지원하고, 자신의 통화 연결을 해제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아이콘, 상기 제2 아이콘 및 상기 제3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서로 간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모양 및 색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화상 통화 연결 시, 송수신되는 화상 이미지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통화 연결된 상태의 아이콘의 크기, 색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와 홀드 된 상태의 아이콘의 크기, 색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복수개의 제2 아이콘에 대응하는 화상 이미지는다자간 통화 시, 화면 분할을 통하여 균일한 영역을 가지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오디오 신호 출력 경로 변경을 지원하는 기능 아이콘;통화 종료를 지원하는 기능 아이콘;을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 단말기 간 통화 연결 수행을 위한 무선주파수부;상기 무선주파수부를 통하여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타 휴대 단말기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입력 또는 폰 북에 저장된 타 휴대 단말기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자기 자신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과, 상기 무선주파수를 통해 통화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또는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 휴대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출력하는 표시부;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기 폰 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 터치 시 이동과 배치 및 제거를 위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통화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의 테두리가 접촉되거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아이콘의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색인 입력, 상기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 시도 및 통화 연결된 타 휴대 단말기의 홀드 상태로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아이콘과 상기 제2 아이콘을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제1 아이콘 또는 상기 제2 아이콘을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여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되면, 상기 제2 아이콘의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타 휴대 단말기 이외의 다른 제3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수신이 있는 경우, 상기 제3 휴대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3 아이콘을 더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아이콘을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과 기 설정된 이격 거 리를 가지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제3 아이콘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여, 상기 제3 아이콘이 제1 아이콘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되거나, 상기 제1 아이콘의 테두리에 접촉되거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3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제3 아이콘이 상기 제1 아이콘에 접근, 접촉 및 중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아이콘을 상기 제1 아이콘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여 상기 제3 아이콘이 상기 제1 아이콘과 상기 제2 아이콘에 대하여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되거나,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의 테두리에 접촉되거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3 휴대 단말기와 상기 타 휴대 단말기 간에 다자간 통화 연결을 시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된 상태, 아이콘들의 테두리가 접촉된 상태 및 아이콘의 일정 영역이 중첩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여 특정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들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경우, 상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와 나머지 휴대 단말기 간의 통화 연결을 해제하거나 홀드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아이콘들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된 상태, 아이콘들의 테두리가 접촉된 상태 및 아이콘들의 일정 영역이 중첩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여 상기 제1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들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거나 종료 기능을 지원하는 아이콘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 접촉 또는 중첩될 경우, 상기 다른 아이콘들 간의 통화 연결을 지원하고, 자신의 통화 연결을 해 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화상 통화 연결 시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화상 통화 연결 시,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되는 화상 이미지로 대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화상 통화 연결된 상태에서의 화상 이미지의 크기, 색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와 홀드 된 상태에서의 화상 아미지의 크기, 색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다자간 통화 시, 상기 화상 이미지를 화면 분할을 통하여 균일한 영역에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표시부는오디오 신호 출력 경로 변경을 지원하는 기능 아이콘, 통화 종료를 지원하는 기능 아이콘을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아이콘들 간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아이콘들의 크기, 모양 및 색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6289A KR101525760B1 (ko) | 2009-02-26 | 2009-02-26 |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US12/706,138 US8798609B2 (en) | 2009-02-26 | 2010-02-16 | User interface for supporting call function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6289A KR101525760B1 (ko) | 2009-02-26 | 2009-02-26 |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7378A KR20100097378A (ko) | 2010-09-03 |
KR101525760B1 true KR101525760B1 (ko) | 2015-06-04 |
Family
ID=4263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62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5760B1 (ko) | 2009-02-26 | 2009-02-26 |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798609B2 (ko) |
KR (1) | KR10152576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306393A1 (en) | 2010-06-15 | 2011-12-15 | Tomasz Goldman | Headset base with display and communications base |
KR101728911B1 (ko) * | 2010-01-05 | 2017-04-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화상 통화 연결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740436B1 (ko) * | 2010-12-08 | 2017-05-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20130021479A1 (en) * | 2011-07-22 | 2013-01-24 | Mclaughlin David J | Video-based transmission of items |
US9891728B2 (en) * | 2011-10-03 | 2018-02-13 | Furuno Electric Co., Ltd. | Device having touch panel, radar apparatus, plotter apparatus, ship network system, symbol specifying method and symbol specifying program |
ES2829952T3 (es) * | 2011-11-03 | 2021-06-02 | Glowbl | Interfaz de comunicaciones y método de comunicaciones, programa informático correspondiente y medio de grabación correspondiente |
US8767035B2 (en) | 2011-12-06 | 2014-07-01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In-call command control |
CN103999437B (zh) | 2011-12-14 | 2016-07-06 | Gn奈康有限公司 | 耳机基座单元、耳机基座系统、耳机系统及通讯系统 |
KR101878671B1 (ko) * | 2012-02-06 | 2018-07-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
KR101932718B1 (ko) * | 2012-02-24 | 2018-1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면 상의 디스플레이창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
US9047651B2 (en) * | 2012-09-14 | 2015-06-02 | Location Labs, Inc. | Contact management system |
JP5977132B2 (ja) * | 2012-09-28 | 2016-08-2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US20140149901A1 (en) * | 2012-11-28 | 2014-05-29 | Motorola Mobility Llc | Gesture Input to Group and Control Items |
US8970656B2 (en) * | 2012-12-20 | 2015-03-03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Static and dynamic video calling avatars |
JP5765366B2 (ja) * | 2013-04-30 | 2015-08-19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リモート画面データの作成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
USD734778S1 (en) * | 2013-08-01 | 2015-07-21 | Sears Brands, L.L.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JP6059114B2 (ja) * | 2013-08-28 | 2017-01-11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端末、結合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結合制御方法 |
KR102195314B1 (ko) * | 2013-08-28 | 2020-1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N104469243A (zh) * | 2013-09-13 | 2015-03-25 | 联想(北京)有限公司 | 通信方法和电子设备 |
USD754143S1 (en) * | 2014-02-18 | 2016-04-19 | Line Corporation |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CN105677305B (zh) * | 2014-11-18 | 2020-01-21 | 华为终端有限公司 | 图标管理的方法、装置及终端 |
CN112152905B (zh) | 2015-02-16 | 2022-12-09 | 钉钉控股(开曼)有限公司 | 通讯方法、装置及移动设备 |
CN113138701A (zh) * | 2015-11-05 | 2021-07-20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图标位置互换方法及装置 |
US10324584B2 (en) * | 2015-12-10 | 2019-06-18 | Whirlpool Corporation | Touch screen display having an external physical element for association with screen icons |
US10296190B2 (en) * | 2015-12-11 | 2019-05-2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patially organizing communications |
CN105681056B (zh) | 2016-01-13 | 2019-03-19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对象分配方法及装置 |
US20170237986A1 (en) * | 2016-02-11 | 2017-08-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ideo enco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
KR20170110469A (ko) * | 2016-03-23 | 2017-10-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CN107305459A (zh) * | 2016-04-25 | 2017-10-31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语音和多媒体消息的发送方法及装置 |
CN107368995A (zh) | 2016-05-13 | 2017-11-21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任务处理方法及装置 |
US10635275B2 (en) | 2017-04-07 | 2020-04-28 | Motorola Solutions, Inc. | Multi-dimensional zone selection method in a communication device |
CN110784599A (zh) * | 2019-11-12 | 2020-02-11 | 天通畅达(深圳)科技有限公司 | 一种地图模式下拨打电话的方法及终端设备 |
KR20210086103A (ko) * | 2019-12-31 | 2021-07-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기기, 모바일 기기,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수행되는 영상 통화 방법 및 그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수행되는 영상 통화 방법 |
CN111290805B (zh) * | 2020-03-12 | 2023-08-18 | 深圳市我能成才企业管理有限公司 | 一种聚合功能快捷调用方法及系统 |
US11153235B1 (en) | 2020-06-09 | 2021-10-19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messag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15020B1 (en) * | 1998-06-03 | 2002-07-02 | Mitel Corporation | Call on-hold improvements |
KR20070037554A (ko) * | 2005-10-01 | 2007-04-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통화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KR20080075599A (ko) * | 2007-02-13 | 2008-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통신 기능 수행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94688B2 (en) * | 1993-10-01 | 2003-07-15 | Collaboration Properties, Inc. | Dedicated echo canceler for a workstation |
US5533110A (en) * | 1994-11-29 | 1996-07-02 | Mitel Corporation | Human machine interface for telephone feature invocation |
WO1997008879A2 (en) * | 1995-08-31 | 1997-03-06 | Philips Electronics N.V. | Terminal |
GB2311188B (en) * | 1996-03-11 | 2000-02-16 | Mitel Corp | Call rou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
US5946386A (en) * | 1996-03-11 | 1999-08-31 | Xantel Corporation | Call management system with call control from user workstation computers |
CA2243781C (en) * | 1997-08-22 | 2006-08-01 | Mitel Corporation | Dynamic communications group |
US6020916A (en) * | 1997-12-31 | 2000-02-01 | At&T Corp | Videophone multimedia interactive on-hold information menus |
US6675194B1 (en) * | 1998-05-05 | 2004-01-06 | Mitel Corporation | Handling different communications types by using agents to implement communication goal commands |
GB2337435B (en) * | 1998-05-14 | 2002-07-10 | Mitel Corp | 3d view of incoming communications |
US6278454B1 (en) * | 1998-09-24 | 2001-08-21 | Ericsson Inc. | Call progress graphical user interface |
GB0408457D0 (en) * | 2004-04-15 | 2004-05-19 | Ring 2 Comm Ltd | Various improvements relating to telephone and conference calls between telephony devices |
US7765257B2 (en) * | 2005-06-29 | 2010-07-27 | Cisco Technology, In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lectively providing privacy through a dynamic social network system |
KR101417002B1 (ko) * | 2007-08-29 | 2014-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자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다자영상 통화의 모드 전환 방법 |
US20100167710A1 (en) * | 2008-12-30 | 2010-07-01 | Nokia Corporation | Telephone call handling |
KR20100132187A (ko) * | 2009-06-09 | 2010-1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통화 제어 시스템 |
US9007421B2 (en) * | 2011-06-21 | 2015-04-14 | Mitel Networks Corporation | Conference call user interface and methods thereof |
-
2009
- 2009-02-26 KR KR1020090016289A patent/KR10152576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2-16 US US12/706,138 patent/US879860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15020B1 (en) * | 1998-06-03 | 2002-07-02 | Mitel Corporation | Call on-hold improvements |
KR20070037554A (ko) * | 2005-10-01 | 2007-04-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통화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KR20080075599A (ko) * | 2007-02-13 | 2008-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통신 기능 수행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216448A1 (en) | 2010-08-26 |
US8798609B2 (en) | 2014-08-05 |
KR20100097378A (ko) | 2010-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5760B1 (ko) |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569427B1 (ko) |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 |
KR10169581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52682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23979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 수행 방법 | |
US10705682B2 (en) | Section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 |
CN102707868B (zh) | 控制移动终端的屏幕的方法 | |
EP2407972B1 (en) | Method for photo editing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 |
KR101853277B1 (ko) |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 |
KR20140071157A (ko) |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EP2960768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EP2665243A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693318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7011249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CN111147660B (zh) | 一种控件的操作方法及电子设备 | |
KR20100087834A (ko) |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
KR20100043476A (ko) |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CN103997564A (zh) |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 |
KR20140125671A (ko) |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JP6957047B2 (ja) | アプリケーションの実行中に電話を受信するための移動通信端末およびその方法 | |
CN109922362A (zh) | 按键响应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JP2017527928A (ja) | テキスト入力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JP2014123378A (ja) | 文字拡大表示方法 | |
US20200348804A1 (en) | Section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 |
KR101793442B1 (ko) | 이미지 삭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