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557B1 -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 Google Patents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5557B1 KR101525557B1 KR1020130098308A KR20130098308A KR101525557B1 KR 101525557 B1 KR101525557 B1 KR 101525557B1 KR 1020130098308 A KR1020130098308 A KR 1020130098308A KR 20130098308 A KR20130098308 A KR 20130098308A KR 101525557 B1 KR101525557 B1 KR 1015255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aulic cylinder
- automatic
- beam launcher
- anchorage
- tru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빔 런처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설치함으로써 교량을 양방향으로 가설할 수 있고, 수동으로 조작되는 기존의 빔 런처의 앵커리지 대신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앵커링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앵커리지보다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40m 이상의 고교각 해체시, 해상 접속교, 하천 횡단부 해체시, 및 기존 교량을 통과하기 위한 과선교 해체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 런칭용 빔 런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교량을 양방향으로 가설할 수 있도록 3개의 자동 앵커리지(Auto Anchorage) 및 유압 실린더(Oil Cylinder)가 설치된 빔 런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Bridge)은 도로 위에 시공되는 고가도로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시공되는 다리 등과 같은 토목 구조물로서, 이러한 교량은 크게 교각(교대 포함), 상기 교각 위에 설치되는 거더(Girder) 및 상기 거더 위에 시공되는 슬래브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더는 교각 위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PSC 빔 또는 IPC 빔 등)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교량 시공 방법의 경우, 다수의 교각(교대 포함)을 세우고, 교각 위에 다수의 빔(Beam)을 거치하며, 이때, 빔은 교각에 고정된 상태가 아니며 교좌장치 등을 통해 거치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빔을 교각 위에 거치한 후, 빔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판을 시공함으로써, 교량을 완성한다.
최근에는 프리캐스트(Precast)에 의해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를 미리 제조하고,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에 의한 공법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것은 현장 상황과 관계없이 구조물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PSC 거더교 또는 IPC 거더교의 경우, 교각만을 현장에서 타설 공법에 의해 시공하고, 미리 제조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미리 제조된 프리캐스트 거더는 교량과 같은 구조물의 축조시 보의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FSLM(Full span launching method) 공법은 교량의 모든 거더를 현장 근처에 설치된 제작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교각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한편, 크레인(Crane)은 인양물을 들어 올려서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크레인의 형식과 운동방식 등이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악지형이나 늪지 및 강이나 바다를 가로지르는 교량을 가설할 경우, 평지에서 사용하는 탑형 크레인 등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두 개가 한조로 전후 교대 상면에 호이스트가 장착된 빔(Beam) 인양장치인 문형가설기(門型 Frame)를 각각 한기씩 다수개의 고정와이어로 세워 고정시킨 후, 문형가설기 상단의 횡이동 대차(윈치)를 이용하여 PSC 빔 등을 인출하고, 이러한 문형가설기를 이용하여 빔을 인양하여 횡이동하여 전후 교대 상면의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의 빔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크레인의 경우, 거더의 설치 및 전진을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시공방법 또한 매우 복잡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최근 산악지대에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 없이도 교량 가설공사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마칠 수 있도록 빔 런처(Beam Launcher)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빔 런처를 이용함으로써, PSC 빔 또는 IPC 거더를 안전하게 가설할 수 있고, 크레인 전도 및 거더 추락 없이도 도로용 교량을 건설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철거를 위한 작업은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또는 교대에 종방향(교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다수 병렬 설치되어 있는 거더(Girder)를 철거하기 위하여 교량상판을 제거한 후에,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로 거더를 인상하여 교량 하부에 하역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교각 및 거더를 철거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한 교량철거는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를 교량 주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거더를 교량 측방 하부도로에 위치한 운반차량에 하역시키는 방식이 통상 이용하기 때문에 철거작업을 위한 작업부지, 즉 인양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 인양장치의 작업반경 내에서 여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작업반경부지 및 하역된 거더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량의 진입로 확보를 위한 부지 등 교통을 방해하지 않고 시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최소한의 부지확보가 필요하며, 도심지와 같이 상기 작업 부지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안전사고 발생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교량 철거 시까지 교통이 방해될 수밖에 없어 시공 상 어려움이 큰 것이 사실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93608호에는 "교량 가설용 앵커장치를 구비한 빔 런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본 명세서 내에 참조되어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가설용 빔 런처는, 먼저 조립장에서 주형 트러스(11) 전체를 조립한 후, 전방부 및 후미부 프레임을 주형 트러스(11)의 전면과 후면에 조립한다. 이후, 조립이 완료된 주형 트러스(11) 상부에 메인 윈치(12)와 보조 윈치를 각각 설치하고, 빔 런처 구동을 위한 와이어를 주형 트러스(11)와 윈치를 통해 연결하면 빔 런처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빔 런처의 주형 트러스(11) 하부에 도착된 PSC 빔(22)은 메인윈치(12)와 보조윈치를 이용하여 교각(21)의 상부로 인상된다. 주형 트러스(11)와 체결이 완료된 윈치는 먼저 한 경간(Span)을 이동시킨 다음에 빔 런처의 이동을 위해 윈치앵커로 고정하고, 빔 런처 하부의 거더앵커를 풀어 고정을 해제한 후, 빔 런처를 한 경간(Span) 이동시킨다.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가설용 빔 런처에 설치된 앵커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주형 트러스 상에 설치되는 앵커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가설용 빔 런처에 설치된 앵커장치(30, 앵커리지)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 트러스(11)를 언더롤러(16)에 각각 고정시킨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가설용 빔 런처에서 주형 트러스 상에 설치되는 앵커장치(3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형 트러스(11)의 중간 지점의 거더에 2개가 설치되고, 상기 주형 트러스(11)의 1/4 지점의 거더에 2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주형 트러스(11)를 언더롤러(16)에 각각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2개의 앵커장치(30) 중 어느 하나가 언더롤러(16)에 형성된 고정부에 상기 주형 트러스(11)를 고정시킬 수 있을 때까지, 장비 운전자는 원격 조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주형 트러스(16)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빔 런처의 주행 및 고정은 언더롤러와 주형트러스 경계부분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주형 트러스 고정 로프에 설치된 주형 트러스 앵커를 주형트러스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구에 장착 또는 해체를 통해 수작업(인력)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가설용 빔 런처에 설치된 앵커장치(30)의 경우, 종방향 런칭을 위한 고정 및 이동에 따른 작업을 선행적으로 수행해야 하고, 단지 한 방향에서만 가설할 수 있기 때문에 일일 가설본수가 적고, 이에 따라 시공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빔 런처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설치함으로써 교량을 양방향으로 가설할 수 있는,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기존의 빔 런처의 앵커리지 대신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앵커링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앵커리지보다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시 기제작된 PSC 빔/PSC 거더, IPC 거더/분절 빔 또는 강박스와 같은 인양물을 교량 상부로 인양하는 빔 런처(Beam Launcher)에 있어서, 교각 상에 설치되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는 횡레일; 두 개의 거더로 형성되어 교각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횡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는 주형 트러스; 상기 주형 트러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주형 트러스가 상기 횡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언더롤러;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로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주형 트러스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인양물을 인양하는 2개의 윈치; 상기 언더롤러에 주형트러스를 고정할 수 있도록 주형 트러스의 저면에 설치되어 주형 트러스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자동으로 조작되는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Auto Anchorage); 전방부에 설치되고, 빔 런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스트로크(Stroke)를 발생시키는 전방부 유압 실린더; 및 후미부에 설치되고, 빔 런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후미부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는 각각 상기 주형 트러스 하부의 전방부, 중간부 및 후미부에 각각 교량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치하며, 상기 인양물의 인양시 상기 빔 런처의 이동에 따른 안정적 고정 역할과 종구배의 기울기를 맞춰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는 상기 빔 런처의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부 앵커리지인 제1 자동 앵커리지는 전방부로 이동할 때 사용하고, 중간부 앵커리지인 제2 자동 앵커리지는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며, 후미부 앵커리지인 제3 자동 앵커리지는 후미부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는 상기 빔 런처의 지지 작업 수행시에 거리 측정기를 통해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의 로드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의 헤드에 각각 부착된 거리 측정기로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의 몸체에 각각 부착된 수평기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킬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빔 런처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설치함으로써 교량을 양방향으로 가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형 트러스와 윈치 간의 교차 운영을 원활하게 하여 일일 가설본수 증대를 가져옴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인력 투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으로 조작되는 기존의 빔 런처의 앵커리지 대신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앵커링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앵커리지보다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40m 이상의 고교각 해체시, 해상 접속교, 하천 횡단부 해체시, 및 기존 교량을 통과하기 위한 과선교 해체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가설용 빔 런처에 설치된 앵커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주형 트러스 상에 설치되는 앵커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빔 런처와 이를 사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빔 런처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가 교량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에서 유압 실린더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에서 자동 앵커리지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가설용 빔 런처에 설치된 앵커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주형 트러스 상에 설치되는 앵커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빔 런처와 이를 사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빔 런처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가 교량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에서 유압 실린더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에서 자동 앵커리지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3a 및 도 3b는 빔 런처와 이를 사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빔 런처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빔 런처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빔 런처(Beam Launcher: 100)는 교량 가설시 기제작된 PSC 빔(Prestressed Concrete Beam)/PSC 거더, IPC 거더(Incrementally Prestressed Concrete Girder)/분절 빔(Segment Beam) 또는 강박스와 같은 인양물(220)을 교각(210)의 상부로 인양하기 위한 장비로서, 주형 트러스(110), 메인 윈치(120), 보조 윈치(130), 횡레일(150) 및 언더롤러(16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교량 가설용 빔 런처(1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로 이루어진 2개의 윈치를 이용하여 160ton의 하중 및 60m 이하 길이의 인양물(220), 예를 들면, PSC 빔을 교각(210)의 상부로 인양 및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빔 런처(100)는 자격을 갖춘 장비 운전자들로 하여금 원격 조종장치를 사용하여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를 이동시키고, 버튼식 유선 조종장치로 각각의 구동 언더롤러(150)를 운전하여, 최대 160ton의 인양물(210)을 인양하고 가설하는 이동식 장비이다.
또한, 이러한 빔 런처(100)는 필수적인 안전장치 및 경고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운행 또는 유지보수 중 예상되는 어떠한 위험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작되었다.
이러한 빔 런처(100)는 40m 이상의 고교각(예를 들면, 계곡횡단지역, 산악협곡지역) 작업시, 해상 접속교 가설시, 하천 횡단부 작업시 또는 기존 교량을 통과하기 위한 과선교 형태의 신설교량 가설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빔 런처(100)는, 교각(210)이 높아 크레인으로 인양하기 어렵거나, 교각(210) 하부로 인양물(220)인 PSC 빔/PSC 거더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로 정지작업이 필요한 산악지대, 계곡횡단부, 하천횡단부 등에서 뛰어난 시공 효율을 발휘한다. 특히, 산악지대가 많은 국내의 도로건설 현장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빔 런처(100)는 주형 트러스(110), 메인 윈치(120), 보조 윈치(130), 서포트(Support: 140), 횡레일(150), 언더롤러(Under Roller: 160), 전방부(170) 및 후미부(180)를 포함한다.
빔 런처(100)는 좌우 두 개의 주형 트러스(110)로 구성되며, 이러한 주형 트러스(110) 상부에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20)가 탑재됨으로써, 인양물(220)인 PSC 빔을 인양한 후, 상기 주형 트러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러한 빔 런처(100)는 60m의 최대 지간으로서 160t의 설계중량을 인양할 수 있다.
또한, 이등변 삼각형 모양의 주형 트러스(110)는, 예를 들면, 길이 11.8m의 단위모듈 11개와 언더롤러(160)에 안착되는 5.8m 길이의 전방부(170) 및 후미부(18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형 트러스(110)의 총 길이는 129.80m로 PSC 빔(220)의 길이에 따라 단위모듈을 가감하거나 트러스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빔 런처(100)는 최대 6%의 종단선형 교량에서도 거더를 가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선교에서는 최소 회전반경 R=350m의 선형까지 적용할 수 있는데, 언더롤러(160)가 횡방향 이동과 연직방향 축에 대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빔 런처(100)에서, 인양은 도르래 원리를 이용하며, 인양물(220)인 PSC 빔의 인양속도는 분당 1.85m, 인양물이 없을 때는 3.0m의 속도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빔 런처(100)의 조립 및 교량 가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장에서 주형 트러스(110) 전체를 조립한 후, 전방부(170) 및 후미부(180) 프레임을 주형 트러스(110)의 전면과 후면에 조립한다. 이후, 조립이 완료된 주형 트러스(110) 상부에 메인 윈치(120)와 보조 윈치(130)를 각각 설치하고, 빔 런처(100) 구동을 위한 와이어를 주형 트러스(110)와 2개의 윈치(120, 130)를 통해 연결하면 빔 런처(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빔 런처(100), PSC 빔(220) 등 중량물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서포트(140)를 설치한다. 특히, 상기 서포트(140)는 부등침하나 부등솟음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밀하게 시공하고, 엄격하게 관리한다. 이때, 상기 서포트(140)의 상단 횡레일(150)의 좌우 높이는 차이가 나지 않아야 한다.
다음으로, 빔 런처의 주형 트러스(110) 하부에 도착된 PSC 빔(220)은 메인 윈치(120)와 보조 윈치(130)를 이용하여 교각(210)의 상부로 인상된다. 이때, 상기 주형 트러스(110)와 체결이 완료된 2개의 윈치(120, 130)는 먼저 한 경간(Span)을 이동시킨 다음에 상기 빔 런처(100)의 이동을 위해 윈치앵커로 고정하고, 빔 런처(100) 하부의 거더앵커를 풀어 고정을 해제한 후, 빔 런처(100)를 한 경간(Span) 이동시킨다.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100)]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가 교량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에서 유압 실린더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100)는, 교량 가설시 기제작된 PSC 빔/PSC 거더, IPC 거더/분절 빔 또는 강박스와 같은 인양물을 교량 상부로 인양하는 빔 런처(Beam Launcher)로서, 주형 트러스(110), 2개의 윈치(120, 130), 서포트(140), 횡레일(150), 언더롤러(160),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 전방부 유압 실린더(34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50)를 포함한다.
서포트(140)는 교각(210) 상에 설치되고, 횡레일(150)은 상기 서포트(140)에 의해 지지된다.
주형 트러스(110)는 두 개의 거더로 형성되어 교각(21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횡레일(15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된다.
언더롤러(160)는 상기 주형 트러스(11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주형 트러스(110)가 상기 횡레일(1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2개의 윈치(120, 130)는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로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주형 트러스(110)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인양물(220)을 인양한다.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Auto Anchorage: 310, 320, 330)는 상기 주형 트러스(110) 및 상기 언더롤러(160)의 경계부분에 종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자동으로 조작되고, 상기 주형 트러스(11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각각 상기 주형 트러스(110) 하부의 전방부, 중간부 및 후미부에 각각 교량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치하며, 상기 인양물(220)의 인양시 상기 빔 런처의 이동에 따른 안정적 고정 역할과 종구배의 기울기를 맞춰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상기 빔 런처의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부 앵커리지인 제1 자동 앵커리지(310)는 전방부로 이동할 때 사용하고, 중간부 앵커리지인 제2 자동 앵커리지(320)는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며, 후미부 앵커리지인 제3 자동 앵커리지(330)는 후미부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 또한, 상기 3개의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상기 빔 런처의 이동 및 정지시 자중에 의하여 상기 주형 트러스(110)가 교량의 종단 구배 정도에 따라서 6%의 종단 구배까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빔 런처의 이동과 정지를 위해서 주형 트러스(110)와 횡롤러(150) 간의 유기적인 앵커리지 고정 및 해체 작업을 복동 실린더의 기능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전방부 유압 실린더(340)는 전방부(170)에 설치되고, 빔 런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스트로크(Stroke)를 발생시키고, 후미부 유압 실린더(350)는 후미부(180)에 설치되고, 빔 런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스트로크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4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50)는 상기 빔 런처의 지지 작업 수행시에 거리 측정기를 통해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의 로드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4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50)의 헤드에 각각 부착된 거리 측정기로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4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50)의 몸체에 각각 부착된 수평기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가 설치된 상기 주형 트러스(110) 상부에서 상기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120, 130)로 인양물(220)을 양방향에서 인양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소정 경간 길이에 따라 전방부에 설치되는 제1 앵커리지(310), 빔 런처(100)의 중간에 설치되는 제2 앵커리지(320) 및 소정 경간 길이에 따라 후미부에 설치되는 제3 앵커리지(330)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빔 런처(100)에 설치된 3개의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양방향으로 가설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 런처(100)의 전방부(170) 및 후미부(180)에 각각 거리 측정기(342)가 부착된 유압 실린더(340, 350)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340, 350)는 상기 빔 런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지 작업시 유압 실린더(340, 350)의 헤드에 부착된 거리 측정기(342)로 실린더의 로드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 유압 실린더(34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50)는 자가 보정 및 수직 보정을 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로서, 기존의 체인블럭으로 유압 실린더를 접고 세우는 작업을 실시하던 것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유압 실린더(340, 350)의 스트로크를 발생시키고 상기 유압 실린더(340, 350)의 헤드에 부착된 거리 측정기(342)로 정확하게 측정하며, 또한, 유압 실린더(340, 350)의 몸체에 부착된 수평기(341)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블럭에 정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는, 빔 런처의 주행 및 고정은 언더롤러와 주형 트러스의 경계 부분에서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3개의 자동 앵커리지를 사용함으로써 한 방향에서 가설하던 것을 양방향에서 가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력으로 수동 실시하던 것을 무선 리모콘으로 제어되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작동하게 한다. 또한, 40m 이상의 고교각 해체시, 해상 접속교, 하천 횡단부 해체시, 및 기존 교량을 통과하기 위한 과선교 해체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에서 자동 앵커리지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 내지 e)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의 앵커링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의 경우, 기존의 수동 앵커리지를 자동 앵커리지로 동작하도록 변경한다. 예를 들면, 기존의 빔 런처를 이용한 런칭시 고정 및 축 역할을 하는 앵커리지 작업을 인력으로 작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력 작업으로 하던 앵커리지에 복동 실린더를 부착하여 상기 빔 런처(100)의 이동시 무선 리모컨으로 고정과 해제 작업을 실시하여 자동 앵커리지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도 8의 a)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주형 트러스(110) 하부의 전방부, 중간부 및 후미부에 각각 해체된 교량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치하며, 또한, 상기 인양물(220)의 인양시 상기 빔 런처(100)의 이동에 따른 안정적 고정 역할과 종구배의 기울기를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빔 런처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설치함으로써 교량을 양방향으로 가설할 수 있고, 수동으로 조작되는 기존의 빔 런처의 앵커리지 대신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앵커링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앵커리지보다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빔 런처(Beam Launcher)
110: 주형 트러스(Main Truss)
120: 메인 윈치(Main Winch)
130: 보조 윈치(Second Winch, Auxiliary Winch)
140: 서포트(Support)
150: 횡레일(Transversal Rail)
160: 언더롤러(Under Roller)
170: 전방부(Front Head)
180: 후미부(Rear Head)
210: 교각(Pier)
220: 인양물(예를 들면, PSC 빔)
310: 제1 자동 앵커리지(Auto Anchorage)
320: 제2 자동 앵커리지
330: 제3 자동 앵커리지
340: 전방부 유압 실린더(Front Oil Cylinder)
350: 후미부 유압 실린더(Rear Oil Cylinder)
341: 수평계
342: 거리 측정기
110: 주형 트러스(Main Truss)
120: 메인 윈치(Main Winch)
130: 보조 윈치(Second Winch, Auxiliary Winch)
140: 서포트(Support)
150: 횡레일(Transversal Rail)
160: 언더롤러(Under Roller)
170: 전방부(Front Head)
180: 후미부(Rear Head)
210: 교각(Pier)
220: 인양물(예를 들면, PSC 빔)
310: 제1 자동 앵커리지(Auto Anchorage)
320: 제2 자동 앵커리지
330: 제3 자동 앵커리지
340: 전방부 유압 실린더(Front Oil Cylinder)
350: 후미부 유압 실린더(Rear Oil Cylinder)
341: 수평계
342: 거리 측정기
Claims (6)
- 교량 가설시 기제작된 PSC 빔/PSC 거더, IPC 거더/분절 빔 또는 강박스와 같은 인양물을 교량 상부로 인양하는 빔 런처(Beam Launcher)에 있어서,
교각(210) 상에 설치되는 서포트(140);
상기 서포트(140)에 의해 지지되는 횡레일(150);
두 개의 거더로 형성되어 교각(21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횡레일(15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는 주형 트러스(110);
상기 주형 트러스(11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주형 트러스(110)가 상기 횡레일(1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언더롤러(160);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로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주형 트러스(110)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인양물(220)을 인양하는 2개의 윈치(120, 130);
상기 언더롤러(160)에 주형트러스(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주형 트러스(1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주형 트러스(11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자동으로 조작되는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Auto Anchorage: 310, 320, 330);
전방부(170)에 설치되고, 빔 런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스트로크(Stroke)를 발생시키는 전방부 유압 실린더(340); 및
후미부(180)에 설치되고, 빔 런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후미부 유압 실린더(3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각각 상기 주형 트러스(110) 하부의 전방부, 중간부 및 후미부에 각각 교량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치하며, 상기 인양물(220)의 인양시 상기 빔 런처의 이동에 따른 안정적 고정 역할과 종구배의 기울기를 맞춰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상기 빔 런처의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부 앵커리지인 제1 자동 앵커리지(310)는 전방부로 이동할 때 사용하고, 중간부 앵커리지인 제2 자동 앵커리지(320)는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며, 후미부 앵커리지인 제3 자동 앵커리지(330)는 후미부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4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50)는 상기 빔 런처의 지지 작업 수행시에 거리 측정기를 통해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의 로드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4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50)의 헤드에 각각 부착된 거리 측정기로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4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50)의 몸체에 각각 부착된 수평기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8308A KR101525557B1 (ko) | 2013-08-20 | 2013-08-20 |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8308A KR101525557B1 (ko) | 2013-08-20 | 2013-08-20 |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1229A KR20150021229A (ko) | 2015-03-02 |
KR101525557B1 true KR101525557B1 (ko) | 2015-06-03 |
Family
ID=5301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8308A KR101525557B1 (ko) | 2013-08-20 | 2013-08-20 |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555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35999B (zh) * | 2017-03-31 | 2020-02-21 | 秦皇岛天业通联重工科技有限公司 | 一种架桥机后支腿装置 |
CN110540144B (zh) * | 2019-06-17 | 2024-06-18 | 中铁九桥工程有限公司 | 一种辅助后锚装置自动过锚索的机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2392A (ko) * | 2010-07-30 | 2012-01-05 | (주) 모스펙 | 교량 설치용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설치방법 |
KR101193608B1 (ko) * | 2012-04-18 | 2012-10-23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교량 가설용 앵커장치를 구비한 빔 런처 |
KR101200986B1 (ko) * | 2012-04-18 | 2012-11-13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교량 가설용 서비스 윈치를 구비한 빔 런처 |
KR101239621B1 (ko) * | 2012-11-29 | 2013-03-07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롤러가이드부가 형성된 엔드스트럿을 이용한 빔 런칭방법 |
-
2013
- 2013-08-20 KR KR1020130098308A patent/KR1015255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2392A (ko) * | 2010-07-30 | 2012-01-05 | (주) 모스펙 | 교량 설치용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설치방법 |
KR101193608B1 (ko) * | 2012-04-18 | 2012-10-23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교량 가설용 앵커장치를 구비한 빔 런처 |
KR101200986B1 (ko) * | 2012-04-18 | 2012-11-13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교량 가설용 서비스 윈치를 구비한 빔 런처 |
KR101239621B1 (ko) * | 2012-11-29 | 2013-03-07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롤러가이드부가 형성된 엔드스트럿을 이용한 빔 런칭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1229A (ko) | 2015-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3608B1 (ko) | 교량 가설용 앵커장치를 구비한 빔 런처 | |
CN104562936A (zh) | 一种连续系杆钢管拱桥施工方法 | |
KR101632922B1 (ko) |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CN103882812A (zh) | 斜拉索桥中跨主梁的施工方法 | |
CN102367650A (zh) | 一种钢管拱桥的施工方法 | |
JP3440422B2 (ja) | 橋の施工方法および橋の施工装置 | |
CN112575694A (zh) | 一种大跨径t梁安装施工工法 | |
KR101574151B1 (ko) |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 |
EP0680540B1 (en) | Scaffolding system | |
KR101200986B1 (ko) | 교량 가설용 서비스 윈치를 구비한 빔 런처 | |
CN105484166B (zh) | 一种梯型桅杆式悬拼吊机 | |
KR101525557B1 (ko) |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 |
CN108625270A (zh) | 导梁门吊安装桥梁预制箱梁施工方法 | |
CN102659027B (zh) | 架梁龙门吊变跨过站的方法 | |
CN207987749U (zh) | 骑索式桥面吊机 | |
CN205529915U (zh) | 一种梯型桅杆式悬拼吊机 | |
CN209338005U (zh) | 一种架梁施工用移动式高低腿龙门吊 | |
CN210366808U (zh) | 一种用于轨道行走的升降拆除装置 | |
JP6873435B2 (ja) | 吊り足場及びその架設方法 | |
CN116497760B (zh) | 一种重力式沉箱码头预制梁板架桥机安装方法 | |
CN108086168A (zh) | 骑索式桥面吊机 | |
KR101003403B1 (ko) | 이동식 교량 점검차 | |
CN106320181A (zh) | 一种采用架桥机安装预制梁板的施工工法 | |
CN212895958U (zh) | 下挂移动式桥面吊机 | |
CN115961549A (zh) | 一种斜拉桥大吨位整节段钢梁后喂梁式架设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