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15454B1 -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454B1
KR101515454B1 KR1020130100210A KR20130100210A KR101515454B1 KR 101515454 B1 KR101515454 B1 KR 101515454B1 KR 1020130100210 A KR1020130100210 A KR 1020130100210A KR 20130100210 A KR20130100210 A KR 20130100210A KR 101515454 B1 KR101515454 B1 KR 101515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d device
touch pad
remote controller
touch
touch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3140A (ko
Inventor
김건년
박광범
곽연화
김원효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00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454B1/ko
Priority to PCT/KR2014/006909 priority patent/WO2015026072A1/ko
Priority to US14/903,454 priority patent/US20160345048A1/en
Publication of KR2015002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04N21/42228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the reprogrammable keys being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keys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듀얼 터치패드를 통하여 피제어 장치를 쉽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은 통신부, 제1 터치패드, 제2 터치패드, 탄성층, 위치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피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터치패드는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제2 터치패드는 제1 터치패드와 이웃하는 설치되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탄성층은 제1 및 제2 터치패드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및 제2 터치패드를 눌렀을 때 터치감을 제공한다. 위치 감지부는 제1 및 제2 터치패드가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3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 터치패드, 제2 터치패드 또는 위치 감지부로부터 제1 내지 제3 선택 신호 중에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피제어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Description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Remote controller having dual touch p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제어 장치를 쉽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및 VCR 등을 포함한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위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리모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리모콘은 멀티미디어 장치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컨대 TV용 리모콘을 일 예로 설명하면, 채널 변경, 음성크기 변경, 문자 입력 등을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키나 버튼들을 구비하여 TV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방송프로그램 제공자와 시청자 사이에 쌍방향(interactive)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TV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TV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컨버전스(convergence)화 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리모콘은 스크롤(scroll) 및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등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터넷 접속 기능을 결합, 각종 앱(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해 웹 서핑, VOD(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TV(smart TV)의 보급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들이 스크롤 및 드래그 앤 드롭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음에 반해, 리모콘은 그러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마우스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거나 버튼을 이용한 복잡한 조작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스크롤 및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버튼 이외에 트랙 볼(track-bal) 및 죠그(JOG) 등을 구비한 리모콘이 제공되어지고 있기는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트랙 볼 및 죠그는 기계적인 동작 특성상 내구성이 나쁘고, 가격이 비싸며, 리모콘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087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가 장착된 리모콘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패드가 장착된 리모콘은 리모콘에 노트북 컴퓨터에서 마우스 역할을 하는 터치패드를 적용하여 각종 기능키, 버튼, 트랙 볼 또는 죠그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그 수를 줄일 수 있고, 기존의 기능키나 버튼의 확인 없이 터치패드 위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의 조합으로 동작하여 멀티미디어 장치의 사용을 더욱 간편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여전히 기존의 터치패드가 장착된 리모콘은 문자 입력이 매우 불편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스마트 TV와 같이 웹 서핑, 메신져, SNS를 활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문자 입력 시, TV 화면에 가상키패드를 표시한 상태에서, 터치패드의 플리킹을 통해 이동하여 문자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문자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시, 터치패드 상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원하는 문자 위로 포인터를 이동한 후, 해당 문자를 선택할 때 터치패드를 눌러 선택하게 되는데, 터치패드의 면이 딱딱하기 때문에 터치감이 떨어지고 해당 문자가 정확히 선택되었는지를 손가락의 촉감을 통하여 정확히 인지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터치패드가 장착된 리모콘을 이용하여 TV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메뉴, 사진 또는 리스트의 항목을 찾기 위해서는 터치패드의 플리킹을 통해 찾아야 하는데, 메뉴, 사진, 리스트의 항목이 많은 경우 원하는 메뉴, 사진 또는 리스트의 항목을 찾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TV 화면에 특정 이미지를 출력한 상태에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패드를 통한 멀티 터치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한 손으로 리모콘을 잡고, 다른 손으로 멀티 터치 방식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
이와 같이 터치패드를 적용한 리모콘 또한 사용 상 많은 불편한 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08735호(2006.01.2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자 입력 시 안정적인 터치감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손가락의 촉감을 통하여 문자 입력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뉴, 사진 또는 리스트 등의 검색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면에 출력된 객체에 대한 확대, 축소 또는 전후좌우로의 이동을 한 손으로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부, 제1 터치패드, 제2 터치패드, 탄성층, 위치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모콘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는 피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터치패드는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터치패드는 상기 제1 터치패드와 이웃하는 설치되며,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탄성층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를 눌렀을 때 터치감을 제공한다.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가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3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패드, 제2 터치패드 또는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3 선택 신호 중에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피제어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 것을 감지한 제3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3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상기 피제어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문자 입력창을 출력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장치에 표시된 문자 입력창의 화면 아래에 키패드 호출바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 호출바를 드래그 업 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하나로부터 드래그 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업 신호를 상기 피제어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문자 입력창의 크기를 줄이고 상기 문자 입력창 아래에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에 대한 객체의 접촉 전 상기 가상 키패드에 손가락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객체가 접촉하면, 상기 객체가 접촉한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키패드의 키 위에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키를 가선택(pre-select)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하나에 접촉된 상기 객체가 압력을 인가하면, 가선택된 키에 따른 기호를 상기 문자 입력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에 대한 객체의 접촉 전 상기 가상 키패드에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에 각각 대응되게 두 개의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하나에 접촉된 상기 객체를 이동하면, 상기 객체의 동선에 따라 손가락 위치를 이동하여 상기 가상 키패드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인터넷 검색창, 전화번호 검색창, 주소록 검색창, URL 검색창, 프로그램 검색창 또는 메모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네 방향키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복수의 항목이 배열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항목이 배열된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네 방향키 중 하나를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방향키와 상기 누르는 압력에 따른 복수의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커서의 이동 속도를 상기 피제어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커서가 상기 복수의 항목을 따라 상기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르는 압력에 따라 상기 커서의 이동 속도를 상기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의 소재는 실리콘, 고무, 천, 가죽, 금속 또는 액체가 밀봉된 필름 형태의 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객체와의 거리, 상하 또는 좌우이동을 감지하여 제4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4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4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제어 신호를 상기 피제어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제2 객체에 대한 확대, 축소 또는 전후좌우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터치패드와, 상기 제1 터치패드에 이웃하는 제2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은 상기 듀얼 터치패드가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듀얼 터치패드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면, 상기 리모콘은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문자 입력창을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문자 입력창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제어 방법은, 상기 문자 입력창 출력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문자 입력창의 화면 아래에 키패드 호출바를 상기 듀얼 터치패드를 통하여 드래그 업 하면, 상기 리모콘은 상기 문자 입력창의 크기를 줄이고 상기 문자 입력창 아래에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가상 키패드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제어 방법은, 상기 가상 키패드 출력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리모콘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에 대한 객체의 접촉 전 상기 가상 키패드에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객체가 접촉하면, 상기 객체가 접촉한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키패드의 키에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키를 가선택(pre-select)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하나에 접촉된 상기 객체가 압력을 인가하면, 가선택된 키에 따른 기호를 상기 문자 입력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터치패드와, 상기 제1 터치패드에 이웃하는 제2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하나에 네 방향키가 표시된 리모콘은 상기 네 방향키 중 하나가 눌리면, 눌린 방향키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은 눌린 압력에 따라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커서의 이동 속도를 상기 피제어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커서가 상기 복수의 항목을 따라 상기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리모콘은 상기 누르는 압력에 따라 상기 커서의 이동 속도를 상기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은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고, 터치패드의 면에 탄성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듀얼 터치패드를 통하여 TV를 보면서, TV 화면 상에 가상 키패드에서 손가락이 놓여진 위치를 확인하고 원하는 문자를 손가락의 이동에 대응하는 가상 키보드의 키에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고, 손가락으로 누리는 압력을 이용하여 해당 키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듀얼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듀얼 터치패드의 면에 탄성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의 안정적인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듀얼 터치패드는 문자 입력 시 안정적인 터치감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손가락의 촉감을 통하여 문자 입력을 정확히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은 듀얼 터치패드를 누르는 손가락의 압력 세기에 비례하는 이동 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메뉴, 사진 또는 리스트 등의 검색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은 듀얼 터치패드 사이에 손가락의 상하 또는 전후좌우 이동을 인지할 수 있는 거리 감지부를 설치함으로써, 한 손으로 리모콘으로 잡은 상태에서 거리 감지부 상의 손가락의 상하 이동을 통하여 객체의 축소, 확대 또는 전후좌우로의 이동을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한 리모콘을 포함한 시스템을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한 리모콘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듀얼 터치패드의 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의 리모콘을 이용한 문자 입력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의 리모콘을 이용한 VOD 리스트 검색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3의 리모콘을 이용한 이미지의 확대 또는 축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한 리모콘을 포함한 시스템을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듀얼 터치패드(13)를 구비한 리모콘(10)과, 리모콘(10)에 의해 제어되는 피제어 장치(30)를 포함한다.
리모콘(10)은 피제어 장치(30)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피제어 장치(30)에 전송한다. 리모콘(10)은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듀얼 터치패드(13)를 구비한다.
그리고 피제어 장치(30)는 리모콘(1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를 영상 또는 음성을 통하여 출력한다. 피제어 장치(30)는 리모콘(10)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접속, 웹 서핑, VOD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게임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피제어 장치(30)는 IP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모콘(10)은 통신부(11), 듀얼 터치패드(13), 탄성층(19), 위치 감지부(21) 및 제어부(25)를 포함하며, 거리 감지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피제어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는 통신 방식으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듀얼 터치패드(13)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5)로 전달한다. 듀얼 터치패드(13)는 제1 터치패드(15)와 제2 터치패드(17)를 포함한다. 제1 터치패드(15)는 피제어 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제2 터치패드(17)는 제1 터치패드(15)와 이웃하게 설치되며, 피제어 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선택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압력 세기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선택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는 수신한 제1 및 제2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피제어 장치(30)로 전송한다. 제1 또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피제어 장치(30)의 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듀얼 터치패드(13)를 통하여, 예컨대 문자 입력, 웹 서핑,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및 선택, SNS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여기서 제1 터치패드(15)에는 네 방향키(29)가 표시될 수 있다. 네 방향키(29)는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복수의 항목이 배열되어 표시되는 경우에 동작한다. 사용자는 네 방향키(29)의 터치를 통하여 필요한 항목을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다. 네 방향키(29)는 제1 터치패드(15)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탄성층(19)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터치패드(15)에 네 방향키(29)가 표시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2 터치패드(17)에 네 방향키가 표시될 수도 있다.
탄성층(19)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를 눌렀을 때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터치감을 제공한다. 예컨대 탄성층(19)으로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으로 눌렀을 때, 누르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에게 터치감을 제공하는 소재, 예컨대 실리콘, 고무, 천, 가죽 또는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탄성층(19)으로 글리세린과 같은 액체가 밀봉된 필름 형태의 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터치패드의 경우, 터치되는 부분이 딱딱하기 때문에, 터치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의 상부면에 각각 탄성층(19)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하면서 안정적인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21)는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가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3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즉 위치 감지부(21)는 리모콘(10)이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5)로 제3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위치 감지부(21)로는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어부(25)는 수신한 제3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3 제어 신호를 피제어 장치(30)로 전송한다.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문자 입력창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입력창은 인터넷 검색창, 전화번호 검색창, 주소록 검색창, URL 검색창, 프로그램 검색창, 메모장 등이 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리 감지부(23)는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 사이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 사이에 위치하는 객체(예컨대 손가락, 펜 등)와의 거리, 상하 또는 전후좌우 이동을 감지하여 제4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즉 거리 감지부(23)는 거리 감지부(23)을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객체의 거리와, 공간 상에서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제4 선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거리 감지부(23)를 중심으로 한 객체의 공간 상에서의 위치 변화는 거리 감지부(23)의 중심으로 한 객체의 상하 또는 전후좌우의 위치 변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거리 감지부로는 광센서, 정전용량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객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는 수신한 제4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제어 신호를 피제어 장치(3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4 제어 신호에 따라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출력된 영상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제4 제어 신호에 따라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출력된 객체, 예컨대 영상, 메뉴 등에 대한 전후좌우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는 리모콘(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서, 피제어 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즉 제어부(25)는 제1 터치패드(15), 제2 터치패드(17), 위치 감지부(21) 또는 거리 감지부(23)로부터 제1 내지 제4 선택 신호 중에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한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피제어 장치(30)로 전달한다.
이러한 제어부(25)는 아래와 같이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는 위치 감지부(21)로부터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 것을 감지한 제3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제3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3 제어 신호를 피제어 장치(30)로 전달하여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문자 입력창을 출력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피제어 장치(30)에 표시된 문자 입력창의 화면 아래에 키패드 호출바가 표시된다.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 중에 하나를 이용하여 키패드 호출바를 드래그 업 하면, 제어부(25)는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 중에 하나로부터 드래그 업 신호를 수신하고, 드래그 업 신호를 피제어 장치(30)로 전달하여 문자 입력창의 크기를 줄이고 문자 입력창 아래에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에 대한 객체의 접촉 전 가상 키패드에 손가락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 중에 적어도 하나에 객체가 접촉하면, 제어부(25)는 객체가 접촉한 지점에 대응되는 가상 키패드의 키에 손가락의 위치를 표시하고, 해당 키를 가선택(pre-select)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 중에 하나에 접촉된 객체가 압력을 인가하면, 제어부(25)는 가선택된 키에 따른 기호를 문자 입력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가상 키패드에 표시되는 손가락 위치는 포인터, 커서, 하이라이트, 가상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에 대한 객체의 접촉 전 가상 키패드에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에 각각 대응되게 두 개의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는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 중에 하나에 접촉된 객체를 이동하면, 객체의 동선에 따라 손가락 위치를 이동하여 가상 키패드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리모콘(10)을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를 검지 손가락을 이용한 접촉, 이동 및 누름 동작을 통하여 가상 키패드를 보면서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는 아래와 같이 항목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복수의 항목이 배열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항목이 배열된 방향에 대응되는 제1 터치패드(15)의 네 방향키(29) 중 하나를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면, 제1 터치패드(15)는 네 방향키(29) 중 어떤 방향키를 선택했고, 선택된 방향키의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25)로 출력한다.
제어부(25)는 선택된 방향키와, 누르는 압력에 따른 복수의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커서의 이동 속도를 피제어 장치(30)로 전달하여 커서가 복수의 항목을 따라 해당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커서의 이동 방향은 방향키의 방향에 대응된다.
이때 제어부(25)는 누르는 압력에 따라 커서의 이동 속도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는 아래와 같이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의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거리 감지부(23)가 거리 감지부(23) 상에 위치한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4 선택 신호를 제어부(25)로 출력한다.
제어부(25)는 거리 감지부(25)로부터 제4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제4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제어 신호를 피제어 장치(30)로 전달하여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출력된 이미지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거리 감지부(23)에 가까워지면 이미지를 축소하고 멀어지면 이미지를 확대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거리 감지부(23)에 가까워지면 이미지를 확대하고 멀어지면 이미지를 축소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5)는 거리 감지부(23) 상에 위치한 객체의 전후좌우 이동을 감지하여 제4 선택 신호를 제어부(25)로 출력할 수 있다. 화면에 이미지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5)는 거리 감지부(25)로부터 제4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제4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제어 신호를 피제어 장치(30)로 전달하여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출력된 이미지에 대한 전후좌우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화면에 메뉴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5)는 거리 감지부(25)로부터 제4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제4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제어 신호를 피제어 장치(30)로 전달하여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출력된 메뉴를 전후좌우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그 외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에는 피제어 장치(30)를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온오프 버튼(2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온오프 버튼(27)은 듀얼 터치패드(13)가 설치된 리모콘(1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온오프 버튼(27)은 제1 터치패드(15)의 외측, 즉 리모콘(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온오프 버튼(27)이 리모콘(10)의 상부면에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리모콘(10)의 측면이나 하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피제어 장치(3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제어 장치(30)는 제1 송수신부(31), 제2 송수신부(33), 표시부(35) 및 장치제어부(37)를 포함한다.
제1 송수신부(31)는 장치제어부(37)의 제어에 따라 리모콘(10)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1 송수신부(31)는 통신 방식으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제1 송수신부(31)는 통신부(11)와 동일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제2 송수신부(33)는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제2 송수신부(33)는 장치제어부(37)의 제어에 따라 방송, 웹, VOD, SNS, 게임 등의 콘텐츠 제공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표시부(35)는 피제어 장치(3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각종 영상을 출력한다. 표시부(35)는 장치제어부(37)의 제어에 따라 문자 입력창, 방송, 앱, 웹, VOD, SNS, 게임 등의 실행 중 필요한 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표시부(35)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제어부(37)는 피제어 장치(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리모콘(1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장치제어부(37)는 표시부(35)에 문자 입력창을 출력하여 문자를 입력하거나, 항목 검색을 수행하거나, 표시부(35)에 출력된 이미지의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은 듀얼 터치패드(13)를 구비하고, 듀얼 터치패드(13)의 면에 탄성층(1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듀얼 터치패드(13)를 통하여 TV를 보면서, TV 화면 상에 가상 키패드에서 손가락이 놓여진 위치를 확인하고 원하는 문자를 손가락의 이동에 대응하는 가상 키보드의 키에 손가락 위치를 표시한다. 손가락으로 듀얼 터치패드(13)를 누리는 압력을 이용하여 해당 키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듀얼 터치패드(13)를 이용하여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듀얼 터치패드(13)의 면에 탄성층(1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의 안정적인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듀얼 터치패드(13)는 문자 입력 시 안정적인 터치감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손가락의 촉감을 통하여 문자 입력을 정확히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은 듀얼 터치패드(13)를 누르는 손가락의 압력 세기에 비례하는 이동 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메뉴, 사진 또는 리스트 등의 검색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은 듀얼 터치패드(13) 사이에 손가락의 상하 이동을 인지할 수 있는 거리 감지부(23)를 설치함으로써, 한 손으로 리모콘(10)으로 잡은 상태에서 거리 감지부(23) 상의 손가락의 상하 이동을 통하여 이미지의 축소 및 확대를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을 이용한 문자 입력의 일 예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9는 도 3의 리모콘(10)을 이용한 문자 입력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리모콘(10)은 듀얼 터치패드(13)가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위치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한다.
리모콘(10)이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 것을 감지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0)은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문자 입력창(40)을 출력시키도록 제어한다. 문자 입력창(40)으로 인터넷 검색창이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예를 개시하였다. 문자 입력창(40)은 상부에 URL 입력창(41), 검색어 입력창(43)이 마련되어 있고, 하부에 이전창 또는 이후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버튼(47)과, 키패드 호출바(49)가 마련되어 있다. 문자 입력창(40)은 중심 부분의 정보 출력창(45)에 URL 입력창(41)에 입력된 URL 주소에 따른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문자 입력창(40) 내에 듀얼 키패드(13)에 의해 이동 가능한 포인터(48)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창(40)의 화면 아래에 키패드 호출바(49)를 듀얼 터치패드(13)를 통하여 드래그 업 하면, 리모콘(10)은 문자 입력창(40)의 크기를 줄이고 문자 입력창(40) 아래에 가상 키패드(50)를 표시하도록 피제어 장치(30)를 제어한다. 즉 듀얼 터치패드(13)에 대한 접촉 및 이동을 통하여 포인터(48)를 키패드 호출바(49) 위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듀얼 터치패드(13)에 일정 압력을 인가하여 키패드 호출바(49)를 선택한 상태에서, 키패드 호출바(49)를 드래그 업 시킨다.
이때 리모콘(10)은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에 대한 객체의 접촉 전 가상 키패드(50)에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가상 키패드(50)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에서 왼편에서 한 개, 오른편에서 한 개의 키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R"키(51)와 "U"키(53)가 하이라이트된 상태를 예시하였다. 객체는 왼손 손가락 하나와, 오른손 손가락 하나인 예를 예시하였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0)은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 중에 적어도 하나에 객체가 접촉하면, 객체가 접촉한 지점에 대응되는 가상 키패드(50)의 키에 하이라이트 표시하고, 해당 키를 가선택(pre-select)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 중에 하나에 접촉된 객체를 이동하면, 리모콘(10)은 객체의 동선에 따라 하이라이트 위치를 이동하여 가상 키패드(5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면, 이동하는 경로에 따라서 선택되는 키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이전에 선택되었던 키의 하이라이트 표시는 종료한다. 예컨대 가선택된 키가 "R"키와 "U"키에서, "Z"키(55)와 "N"키(57)로 변경되면, 리모콘(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피제어 장치(30)는 "R"키와 "U"키의 하이라이트 표시를 종료하고, "Z"키(55)와 "N"키(57)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 중에 하나에 접촉된 객체가 압력을 인가하면, 리모콘(10)은 가선택된 키에 따른 기호를 문자 입력창(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가선택된 "Z"키(55)와 "N"키(57)를 순차적으로 누르면, 리모콘(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피제어 장치(30)는 문자 입력창(40)의 검색창(43)에 "ZN"을 표시한다.
이후 피제어 장치(30)는 정보 출력창(45)에 "ZN"에 해당되는 문자를 정보 출력창(45)에 표시된 다른 정보와는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정보 출력창(45)에 "ZN"에 대응하는 문자가 없는 경우, 해당 검색 문자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을 이용한 VOD 리스트 검색의 일 예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1은 도 3의 리모콘(10)을 이용한 VOD 리스트 검색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VOD 리스트(60)가 표시된다. VOD 리스트(60)에 포함된 복수의 VOD 항목(61)은 횡 방향으로 표시된다. VOD 리스트(60)에 포함된 VOD 항목(61)이 한 화면에 전부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오른쪽 또는 왼쪽에 이동키(64)가 표시될 수 있다. 화면에 첫 번째 VOD 항목(61)부터 표시되기 때문에, 오른쪽 이동키(64)만 표시된 예를 개시하였다. 오른쪽 이동키(64)가 표시되었다는 것은, 오른쪽 이동키(64) 방향으로 표시되지 않은 VOD 항목(61)이 더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VOD 항목(61)은 VOD의 대표 영상에 따른 썸네일(63)과, VOD의 프로그램 정보(65)를 표시한다. 썸네일(63)은 해당 VOD의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VOD의 프로그램 정보(65)는 해당 VOD의 요약 정보로서, 예컨대 조회수, 댓글수, 프로그램 제목, 업로드 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된 VOD 항목(61) 중에 하나에 커서(69)가 위치하는 경우, 커서(69)가 위한 VOD 항목(61)의 추가 프로그램 정보(67)가 함께 VOD 항목(61) 아래에 표시될 수 있다. 추가 프로그램 정보(67)는 해당 VOD의 프로그램 제목, 장르(카테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의 하단에 압력 세기에 따른 정보(70)를 표시할 수 있다. 압력 세기에 따른 정보(70)는 압력 세기 정보(77)와, VOD 항목(61)의 전체 개수 및 커서(69)가 위치한 VOD 항목의 순번에 대한 정보(71,73,75)을 표시할 수 있다. 압력 세기 정보(77)는 복수의 레벨로 표시하되, 예컨대 "1" 내지 "8"로 표시할 수 있다. 압력이 증가할수록 숫자도 증가하며, 이동 속도도 증가한다. VOD 항목(61)의 순번에 대한 정보(71,73,75)는 좌우 이동바(71)와, 좌우 이동바(71)를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 버튼(73)과, 순번(7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순번(77)은 "커서(69)가 위치한 VOD 항목(61)의 순번/VOD 항목(61)의 전체 개수"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서는 커서(69)가 첫 번째 VOD 항목을 표시하고, 전체 항목 수가 NN개 이기 때문에, 순번(77)은 "01/NN"으로 표시된다. 이동 버튼(73)에 근접하게 압력 세기 정보(77)가 표시될 수 있다. 압력 세기 정보(77)는 이동 버튼(73)의 외부에 표시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내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VOD 항목(61)들이 횡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횡 방향에 대응되는 네 방향키(29) 중 좌우 방향키(29a,29b)를 통하여 VOD 리스트(60)를 검색할 수 있다.
리모콘(10)을 조작하기 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D 리스트(60) 중 첫 번째 VOD 항목(61)에 커서(69)가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이전에 VOD 리스트(60)를 검색한 적이 있다면, 이전에 최종적으로 선택된 VOD 항목(61)에 커서(69)가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패드(15)의 우 방향키(29a)를 누르면, 리모콘(10)은 우 방향키(29a)를 누른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에 따른 커서(69)의 이동 속도를 피제어 장치(3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피제어 장치(30)는 수신한 이동 속도에 따라 커서(69)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서(69)가 이동하여 7번째 VOD 항목(61)으로 이동한 상태를 예시하였다. 7번째까지의 VOD 항목(61) 중 일부만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화면에는 왼쪽 이동키(66)와 오른쪽 이동키(64)가 함께 표시된다.
이때 화면의 하단에 압력 세기 정보(77)로 "3"이 표시되고, VOD 항목(61)의 전체 NN개 중, 커서(69)가 위치한 VOD 항목(61)의 순번 7번을 "07/NN"으로 표시할 수 있다.
기존의 경우 터치패드의 플리킹을 통하여 네 방향키를 연속적으로 누르는 동작을 통해서 커서를 이동시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해야 했기 때문에, 많은 항목에서 원하는 항목을 찾아야 하는 경우에 항목 검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은 네 방향키(29)를 누르는 압력의 세기에 따른 커서(69)의 이동 속도를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항목에서도 원하는 항목이 위치한 곳으로 신속하게 커서(69)를 이동시켜 해당 항목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을 이용할 경우, 종래의 항목 검색 방식에 비해서 보다 신속하게 항목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VOD 리스트(60) 검색의 일 예에서는 리모콘(10)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커서(69)가 이동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커서(69)가 정지한 상태에서 아래의 VOD 항목(61)이 이동할 수도 있다. 또는 리모콘(10)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커서(69)와 VOD 항목(61)의 이동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을 이용한 이미지의 확대 또는 축소의 일 예를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2 내지 도 14는 도 3의 리모콘(10)을 이용한 이미지의 확대 또는 축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이미지(81)가 표시된 상태일 때, 리모콘(10)은 거리 감지부(23) 위로 객체가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이때 리모콘(10)은 거리 감지부(23) 위로 객체가 위치한 것을 감지하기 위해서, 거리 감지부(23) 위에 일정 시간 해당 객체가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거리 감지부(23)가 객체를 감지하면, 리모콘(10)은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81)를 확대 또는 축소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준비를 한다.
다음으로 객체가 거리 감지부(23)쪽으로 이동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0)은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83)를 축소하도록 제어 신호를 피제어 장치(30)로 전송한다.
반대로 객체가 거리 감지부(23)에서 멀어지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0)은 피제어 장치(30)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85)를 확대하도록 제어 신호를 피제어 장치(30)로 전송한다.
기존의 경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패드의 멀티 터치를 통하여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리모콘을 양 손으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한 손으로 리모콘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의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 터치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이미지의 축소 또는 확대를 위해서는 양 손을 모두 사용해야만 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터치패드(15,17) 사이에 거리 감지부(23)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모콘(10)을 잡고 있는 손의 손가락, 예컨대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축소 또는 확대를 수행할 수 있다. 리모콘(10)을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거리 감지부(23)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하 이동을 통하여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양 손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거리 감지부(23)를 중심으로 엄지 손가락의 전후좌우로의 이동이 발생할 경우, 리모콘(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피제어 장치(30)는 화면에 출력된 이미지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리모콘
11 : 통신부
13 : 듀얼 터치패드
15 : 제1 터치패드
17 : 제2 터치패드
19 : 탄성층
21 : 위치 감지부
23 : 거리 감지부
25 : 제어부
27 : 온오프 버튼
29 : 네 방향키
30 : 피제어 장치
31 : 표시부
100 : 시스템

Claims (15)

  1. 피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터치패드;
    상기 제1 터치패드와 이웃하는 설치되며,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터치패드;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를 눌렀을 때 터치감을 제공하는 탄성층;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가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3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제1 터치패드, 제2 터치패드 또는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3 선택 신호 중에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피제어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 것을 감지한 제3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3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상기 피제어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문자 입력창을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제어 장치에 표시된 문자 입력창의 화면 아래에 키패드 호출바가 표시되며,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 호출바를 드래그 업 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하나로부터 드래그 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업 신호를 상기 피제어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문자 입력창의 크기를 줄이고 상기 문자 입력창 아래에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에 대한 객체의 접촉 전 상기 가상 키패드에 손가락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객체가 접촉하면, 상기 객체가 접촉한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키패드의 키 위에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키를 가선택(pre-select)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하나에 접촉된 상기 객체가 압력을 인가하면, 가선택된 키에 따른 기호를 상기 문자 입력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에 대한 객체의 접촉 전 상기 가상 키패드에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에 각각 대응되게 두 개의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하나에 접촉된 상기 객체를 이동하면, 상기 객체의 동선에 따라 손가락 위치를 이동하여 상기 가상 키패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인터넷 검색창, 전화번호 검색창, 주소록 검색창, URL 검색창, 프로그램 검색창 또는 메모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네 방향키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복수의 항목이 배열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항목이 배열된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네 방향키 중 하나를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방향키와 상기 누르는 압력에 따른 복수의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커서의 이동 속도를 상기 피제어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커서가 상기 복수의 항목을 따라 상기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르는 압력에 따라 상기 커서의 이동 속도를 상기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의 소재는 실리콘, 고무, 천, 가죽, 금속 또는 액체가 밀봉된 필름 형태의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객체와의 거리, 상하 또는 전후좌우 이동을 감지하여 제4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4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4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제어 신호를 상기 피제어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제2 객체에 대한 확대, 축소 또는 전후좌우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11. 삭제
  12. 제1 터치패드와, 상기 제1 터치패드에 이웃하는 제2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은 상기 듀얼 터치패드가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듀얼 터치패드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면, 상기 리모콘은 피제어 장치의 화면에 문자 입력창을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문자 입력창 출력 단계;
    상기 문자 입력창의 화면 아래에 키패드 호출바를 상기 듀얼 터치패드를 통하여 드래그 업 하면, 상기 리모콘은 상기 문자 입력창의 크기를 줄이고 상기 문자 입력창 아래에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가상 키패드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패드 출력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리모콘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에 대한 객체의 접촉 전 상기 가상 키패드에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리모콘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객체가 접촉하면, 상기 객체가 접촉한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키패드의 키에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키를 가선택(pre-select)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리모콘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패드 중에 하나에 접촉된 상기 객체가 압력을 인가하면, 가선택된 키에 따른 기호를 상기 문자 입력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제어 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100210A 2013-08-23 2013-08-23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151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210A KR101515454B1 (ko) 2013-08-23 2013-08-23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PCT/KR2014/006909 WO2015026072A1 (ko) 2013-08-23 2014-07-29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US14/903,454 US20160345048A1 (en) 2013-08-23 2014-07-29 Remote controller having dual touch pads and method of contro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210A KR101515454B1 (ko) 2013-08-23 2013-08-23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140A KR20150023140A (ko) 2015-03-05
KR101515454B1 true KR101515454B1 (ko) 2015-04-30

Family

ID=5248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210A KR101515454B1 (ko) 2013-08-23 2013-08-23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345048A1 (ko)
KR (1) KR101515454B1 (ko)
WO (1) WO2015026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8734B (zh) * 2015-05-26 2017-06-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TWI594146B (zh) * 2015-06-17 2017-08-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遙控器的文字輸入方法
KR101811043B1 (ko) * 2016-01-21 2017-12-20 나영혜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
CN109426430B (zh) * 2017-09-05 2024-09-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触摸消息融合方法及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554322B2 (en) * 2019-04-26 2023-01-1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Game controller with touchpad input
JP2022092831A (ja) * 2020-12-11 2022-06-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スイッチプログラム、選択肢の選択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TWI769744B (zh) * 2021-03-19 2022-07-01 翰碩電子股份有限公司 雙模式觸控裝置以及雙模式觸控方法
WO2022239881A1 (ko) * 2021-05-11 2022-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090A (ko) * 2011-04-04 2012-10-12 박철 탄성시트를 이용한 케이스 일체형 터치패드
KR20130037330A (ko) * 2011-10-06 2013-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30041537A (ko) * 2011-10-17 2013-04-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KR20130078514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305A (ja) * 1996-03-15 1997-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遠隔制御方法
US8441450B2 (en) * 2008-09-30 2013-05-14 Apple Inc. Movable track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KR101667801B1 (ko) * 2009-06-19 2016-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741662B1 (ko) * 2010-07-19 2017-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0433A (ko) * 2010-07-26 201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JP5496851B2 (ja) * 2010-10-22 2014-05-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
KR101807622B1 (ko) * 2010-12-27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콘 및 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
JP5095021B2 (ja) * 2011-04-04 2012-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120139264A (ko) * 2011-06-17 2012-1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도파로를 이용하여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090A (ko) * 2011-04-04 2012-10-12 박철 탄성시트를 이용한 케이스 일체형 터치패드
KR20130037330A (ko) * 2011-10-06 2013-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30041537A (ko) * 2011-10-17 2013-04-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KR20130078514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6072A1 (ko) 2015-02-26
KR20150023140A (ko) 2015-03-05
US20160345048A1 (en)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454B1 (ko)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US11687170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an enhanced remote control having multiple modes
JP5946462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画面制御方法
US82179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 based user interface interaction
US8560976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547216B2 (ja) 電子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US9513802B2 (en) Methods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pplying the same
KR101383840B1 (ko) 리모트 컨트롤러와,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WO2012104288A1 (en) A device having a multipoint sensing surface
US201000973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touch screen operation
US20140055398A1 (en)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US2011031442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0914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menu options
US1038693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35773B1 (ko)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102053823B1 (ko)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8737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 screens associated with a display
AU20152583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ion-based user interface
KR20150049661A (ko) 터치패드 입력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