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065B1 - High installed cultiv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High installed cultiv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4065B1 KR101514065B1 KR1020130168045A KR20130168045A KR101514065B1 KR 101514065 B1 KR101514065 B1 KR 101514065B1 KR 1020130168045 A KR1020130168045 A KR 1020130168045A KR 20130168045 A KR20130168045 A KR 20130168045A KR 101514065 B1 KR101514065 B1 KR 1015140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planting
- ground
- rods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설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이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고설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grade culti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grade cultivation apparatu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a ground in a planting space where plants are planted.
고설 재배장치는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인 야채나 과일의 모종 재배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주로 딸기, 방울토마토, 메론 등의 재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It is a plant for cultivating crops at a higher level than the surface of the ground. It is often used for the cultivation of strawberries, drop tomatoes, melons and the like, although it is often used for growing vegetables or fruit seedlings.
딸기, 방울토마토 또는 메론은 작물의 키가 낮아 모든 재배 작업을 엎드려 하기 때문에 다른 작물에 비해 노동강도가 셀 뿐만 아니라, 수확 및 재배기간이 길어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함에 따라, 작업자가 편하게 선 자세로 재배 작업을 할 수 있는 고설 재배장치가 현재 많이 사용되면서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Strawberries, drop tomatoes or melons are low in crops, so they are prone to all the cultivation work. Therefore, the labor intensity is higher than other crops, and the harvesting and cultivation period is long. It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a high-quality cultivation equipment for cultivating work, which is improving productivity.
이와 같은 고설 재배장치는 일반적으로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입설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고 일정두께로 토양이 깔린 재배용기로 이루어지는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5431호에는 고설 재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설 재배장치는 합성 수지제인 필름재의 여러 개소에 재배 용기를 윗쪽에서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여 고설 재배용 보조구로 하고, 이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지지 프레임으로 지지한다. Such a high-level cultivation apparatus is generally composed of a support platform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and a cultivation vessel fixed to the support and having a soil of a certain thickness.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0-0035431 discloses a high- . The above-mentioned high-growing equipment forms an opening for holding the cultivation container at a plurality of places of the film material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holding the cultivation container from above, thereby supporting the cultivation auxiliary aid into the support frame.
그러나 상기 고설 재배장치는 재배용기를 지지하는 필름재가 설치되는 프레임이 필름재의 면적에 대응되게 일체로 제작되어 있어 체적이 비교적 크므로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설치대상 하우스의 크기에 따라 폭 또는 길이를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high-grade cultivation apparatus is not easy to transport and install because the frame on which the film material supporting the cultivating container is installed is formed integral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film material and has a relatively large volume.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lengt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지면에 용이하게 설치되고, 폭 또는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호 독립적인 다수의 지지부재가 마련된 고설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ow cultivation apparatus which is easil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has a plurality of mutually independent supporting members ha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설재배장치는 지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지지부재들에 지지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거치봉이 마련된 지지유닛과, 상기 거치봉에 지지되며, 내부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이 마련되고, 하면에 배수공이 형성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식재함을 구비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igh-grade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front-rear direction on a ground; support member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s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A supporting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tended standing rods; a planting space supported by the stationary rods for planting plants therein; drainage hole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There is a planting room.
상기 지지부재 및 식재함은 스티로폼, 발포성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upport member and the food container are formed of any one of styrofoam and expandable polystyrene.
상기 지지부재는 상면에 상기 거치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식재함의 폭에 따라 상기 거치봉들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가 형성된다. The supporting memb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installation bar can be inserted therein. The insertion groov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ront- A number of which ar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고설재배장치는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출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함의 배수공 하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배수로가 마련된 배수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배수관이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지면에 대한 상기 배수관의 이격높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면이 배수관의 하면을 접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보조판넬을 더 구비한다. The apparatus for cultivating a high y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drain pipe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drainage hole of the planting container for collecting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hole and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 drain passage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supporting members by a fix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supporting member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panel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pipe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pipe so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pipe can be changed.
상기 지지부재는 전후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면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부와 거치봉을 상호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봉은 상기 지면에 대한 상기 거치봉의 이격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지중에 소정 깊이로 인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Wherein the support members are provided on the ground at positions mutu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rod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ods and the mount rods,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ground so as to adjust a spacing height of the stationary bar relative to the ground.
본 발명에 따른 고설재배장치는 식물이 식재된 식재함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이 상호 독립적으로 지면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므로 식재함의 크기 또는 설치대상 지면에 따라 폭 및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supporting unit for supporting the planting plan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provided independently on the ground,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planting equipment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ing room or the ground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설재배장치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고설재배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gh-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for cultivating and cultivating a high-quality fruit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igher growing apparatus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gh-quality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설재배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설재배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3 show a high-
도면을 참조하면, 고설재배장치(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유닛(200)과, 지지유닛(2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높이 이격되게 지지되는 다수의 식재함(300)과, 식재함(3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식재함(3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집하는 배수관(40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high-
지지유닛(200)은 지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부재(210)와,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지지부재(210)들에 지지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거치봉(220)과, 거치봉(220)의 전후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보조프레임(230)을 구비한다. The
지지부재(210)는 사각단면을 갖고,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지지부재(2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재(210)는 지면과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마찰돌기(211)가 마련된다. 상기 마찰돌기(211)는 지지부재(2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되,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지지부재(21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가 형성된다. The
또한, 지지부재(210)는 상면에 거치봉(2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212)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거치봉(22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면에 각각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212)은 식재함(300)의 폭에 따라 거치봉(220)들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인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ing
한편, 지지부재(210)는 배수관(400)이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2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213) 하측의 지지부재(210)에는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The supporting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재(210)는 제작시 성형성이 우수하며,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스티로폼, 발포성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ing
거치봉(220)은 소정의 외경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거치봉(220)은 복수개가 지지부재(210)의 삽입홈(212)들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부재(210)에 지지된다. 이때, 거치봉(220)들은 식재함(300)의 폭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게 지지부재(21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봉(220)은 식재함(3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The
보조프레임(230)은 거치봉(220)들의 단부에 제1결합부재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바(231)와, 수직바(231)들의 상하부에 제2결합부재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바(232)를 구비한다. The
수직바(231)는 소정의 외경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바(231)들은 상부가 상기 제1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거치봉(220) 단부에 고정되며, 하부는 지면에 안착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제1결합부재는 소정의 와이어로 형성되어 수직바(231)의 상부와 거치봉(220) 단부의 상호 교차되는 부분을 묶어 수직바(231) 및 거치봉(220)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으나, 제1결합부재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바(231)와 거치봉(220)을 상호 결합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The first join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predetermined wire so that the
수평바(232)는 소정의 외경을 갖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바(232)들은 양단이 각각 제2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수직바(231)들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수평바(232)들은 상하방향을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측에 설치되는 수평바(232)는 거치봉(220)을 지지하기 위해 외주면이 거치봉(220) 하측에 접할 수 있도록 거치봉(220) 하측의 수직바(23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제2결합부재는 소정의 와이어로 형성되어 수직바(231)와 수평바(232)의 상호 교차되는 부분을 묶어 수직바(231) 및 수평바(232)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으나, 제2결합부재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바(231)와 수평바(232)를 상호 결합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The second join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predetermined wire so that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조프레임(230)은 거치봉(220)들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거치봉(220)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력을 제공한다. The
한편, 지지유닛(200)은 지지부재(210)의 관통구(213)에 관통되게 삽입된 배수관(4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보조판넬(240)을 더 구비한다. 보조판넬(240)은 고정부재(241)에 의해 각 지지부재(2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는 보조판넬(240)이 지지부재(210)의 전면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보조판넬(24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판넬(240)의 후면 또는 전후면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보조판넬(240)은 관통구(213)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면에 배수관(400)의 하면이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판넬(240)은 제작시 성형성이 우수하며,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스티로폼, 발포성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The
고정부재(241)는 보조판넬(240)을 관통할 수 있도록 일단이 첨예하게 형성되며, 타단은 헤드부가 마련된 다수의 고정못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못은 보조판넬(240)의 좌우단부를 관통하여 지지부재(210)의 전면에 고정되어 보조판넬(240)을 지지부재(210)에 고정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조판넬(240)은 배수관(400)을 지지하도록 지지부재(210)에 설치되므로 지지부재(210)에 대한 설치위치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배수관(400)의 이격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지면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보조판넬(240)의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배수관(400)의 경사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The
식재함(300)은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311)이 마련된 본체(310)와, 본체(3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봉(220)들에 지지되는 플랜지부재(320)를 구비한다. The
본체(310)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며, 식재공간(311)이 식재된 식물의 줄기가 상방으로 자랄 수 있도록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체(310)는 식재공간(311)으로 공급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면에 다수의 배수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체(310)는 거치봉(220)들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플랜지부재(320)는 본체(3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본체(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플랜지부재(320)는 좌우측 하면에 거치봉(220)이 삽입되는 인입홈(321)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32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후면이 각각 개방되게 형성된다.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식재함(300)은 제작시 성형성이 우수하며,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스티로폼, 발포성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배수관(400)은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며, 보조판넬(240)들에 하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210)의 관통구(213)에 관통구(213)에 삽입된다. 이때, 거치봉(220)에 거치된 식재함(300)의 배수공(312)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배수관(400)은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배수로가 형성되며, 식재함(300)의 배수공(312)을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배수로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된다. 배수관(400)은 배수로를 통해 유동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배출공(40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수관(400)은 배출공(401)으로 용이하게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401)이 형성된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보조판넬(2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배출공(401)으로부터 배출된 물은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다. 상기 회수부는 배출공(401)의 하측에 위치하여 배출공(40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집하는 수집호퍼(411)와, 상기 수집호퍼(411)에 일단이 연통되게 설치되며, 타단은 재활용 유닛(미도시)에 설치된 회수관(412)을 구비한다. 상기 재활용 유닛은 회수관(412)을 통해 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정화한다.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설재배장치(100)는 식물이 식재된 식재함(300)을 지지하는 지지유닛(200)이 상호 독립적으로 지면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부재(210)를 구비하고, 지지부재(210) 및 식재함(300)이 경량인 스티로폼 또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므로 이송 및 설치가 간편하며, 식재함(300)의 크기 또는 설치대상 지면에 따라 폭 및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510)가 도시되어 있다. 4, a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previous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부재(510)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면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봉(511)과, 상기 지지봉(511)의 상부와 거치봉(220)을 상호 고정시키는 체결부재(51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지지봉(511)은 소정의 외경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봉(511)은 하단부가 지중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511)은 거치봉(22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The
체결부재(512)는 소정의 와이어로 형성되어 지지봉(511)의 상부와 거치봉(220)의 상호 교차되는 부분을 묶어 지지봉(511) 및 거치봉(220)을 상호 고정시킨다. 이때, 체결부재(512)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봉(511) 및 거치봉(220)을 상호 고정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The
이때, 배수관(400)은 지지봉(511)들 사이에 삽입되며, 지지유닛(200)은 배수관(400)을 지지하기 위한 관지지바(520)를 더 구비한다. At this time, the
관지지바(520)는 소정의 외경을 갖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관지지바(520)는 양단이 각각 제3결합부재(521)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지지봉(511)들에 고정된다. 이때, 관지지바(520)는 지지봉(511)에 대한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지면에 대한 배수관(400)의 지지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The
상기 제3결합부재(521)는 소정의 와이어로 형성되어 지지봉(511)과 거치봉(220)의 상호 교차되는 부분을 묶어 지지봉(511) 및 거치봉(220)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으나, 제2결합부재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바(231)와 수평바(232)를 상호 결합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The third engaging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재(510)는 지지봉(511)의 하단부가 지중으로 인입되므로 지면에 대한 지지봉(511)의 인입깊이에 따라 거치봉(220)의 이격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면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식재함(300)들을 상호 수평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lower end of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고설재배장치
200: 지지유닛
210: 지지부재
211: 마찰돌기
213: 관통구
220: 거치봉
230: 보조프레임
231: 수직바
232: 수평바
240: 보조판넬
241: 고정부재
300: 식재함
310: 본체
311: 식재공간
320: 플랜지부재
400: 배수관
401: 배출공100: Highly grown plant
200: support unit
210: support member
211: friction protrusion
213: Through hole
220: Mounting rod
230: Auxiliary frame
231: Vertical bar
232: Horizontal bar
240: Auxiliary panel
241: Fixing member
300: Planting
310:
311: Planting space
320: flange member
400: Water pipe
401: Exhaust hole
Claims (5)
상기 거치봉에 지지되며, 내부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이 마련되고, 하면에 배수공이 형성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식재함과;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출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함의 배수공 하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배수로가 마련된 배수관;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배수관이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마련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하면에는 지면과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마찰돌기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거치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식재함의 폭에 따라 상기 거치봉들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지면에 대한 상기 배수관의 이격높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면이 상기 배수관의 하면을 접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보조판넬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거치봉들의 전후단부에 제1결합부재에 의해 각각 고정되며, 하부가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수직바와, 상호 대향되는 상기 수직바들에 양단이 제2결합부재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수평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A plurality of support rods supported on the support members so as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rod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ort rods A support unit provided with an auxiliary frame for supporting the stationary bar;
A plurality of planting units supported by the stationary rods, provided with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plants therein, drainage hole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drain pipe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of the planting compartment so as to collect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and having an upper open and a drain path exten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penetr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drain pipe can be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support member.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so as to increase friction and an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fixing bar, and the insertion groove adjusts the distance of the fixing rods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planting container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ortions are provid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support un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s by a fixing member and is install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pipe so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pipe relative to the grou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panels,
The auxiliary frame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xing rods respectively by the first engaging members. The lower frame is mounted on the ground and has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extending vertically so as to support the fixing rod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 has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each having its opposite ends fixed by a second engagement member.
상기 지지부재 및 식재함은 스티로폼, 발포성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and the planting compartment are formed of any one of styrofoam and expandable polystyre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8045A KR101514065B1 (en) | 2013-12-31 | 2013-12-31 | High installed cultiva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8045A KR101514065B1 (en) | 2013-12-31 | 2013-12-31 | High installed cultiv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4065B1 true KR101514065B1 (en) | 2015-04-22 |
Family
ID=5305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8045A KR101514065B1 (en) | 2013-12-31 | 2013-12-31 | High installed cultiv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406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5783B1 (en) | 2020-07-07 | 2021-06-17 |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High-Bed Cultivation Device for Cucurbitaceae |
KR20220013669A (en) * | 2020-07-27 | 2022-02-04 | 농업회사법인 플랜티팜 주식회사 | Planting system for plants |
KR20230036862A (en) | 2021-09-08 | 2023-03-15 | 박은호 | Tall crop high-bed cultivation apparatus |
KR102564130B1 (en) | 2022-10-24 | 2023-08-04 | 한석수 | High Position Cultivating System for Vinyl Hous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25665A (en) * | 1998-10-20 | 2000-05-09 | Kubota Corp | Elevated culturing apparatus and its watering control |
JP2003204715A (en) * | 2002-01-15 | 2003-07-22 | Sanpori:Kk | Drainage facility for elevated cultivation apparatus |
JP2011101629A (en) * | 2009-11-11 | 2011-05-26 | Nunobiki Shisetsu Engei Kumiai | Elevated cultivation device |
-
2013
- 2013-12-31 KR KR1020130168045A patent/KR10151406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25665A (en) * | 1998-10-20 | 2000-05-09 | Kubota Corp | Elevated culturing apparatus and its watering control |
JP2003204715A (en) * | 2002-01-15 | 2003-07-22 | Sanpori:Kk | Drainage facility for elevated cultivation apparatus |
JP2011101629A (en) * | 2009-11-11 | 2011-05-26 | Nunobiki Shisetsu Engei Kumiai | Elevated cultivation devic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5783B1 (en) | 2020-07-07 | 2021-06-17 |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High-Bed Cultivation Device for Cucurbitaceae |
KR20220013669A (en) * | 2020-07-27 | 2022-02-04 | 농업회사법인 플랜티팜 주식회사 | Planting system for plants |
KR102516141B1 (en) | 2020-07-27 | 2023-03-30 | 농업회사법인 플랜티팜 주식회사 | Planting system for plants |
KR20230036862A (en) | 2021-09-08 | 2023-03-15 | 박은호 | Tall crop high-bed cultivation apparatus |
KR102564130B1 (en) | 2022-10-24 | 2023-08-04 | 한석수 | High Position Cultivating System for Vinyl Hous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161088A1 (en) | Vertical hydroponic tower array fixture system | |
EP2481279B1 (en) | Interlocking plant propagation and display tray and method of use and assembly | |
KR101514065B1 (en) | High installed cultivation apparatus | |
US9930841B2 (en) | Vertically oriented collapsible hydroponic plant production apparatus | |
US11116146B2 (en) | Cultivation assembly | |
JP7093540B2 (en) | Natural yam cultivation device and natural yam cultivation system | |
US9445550B2 (en) | Vertical garden systems and methods | |
CN107257622B (en) | Hydroponic culture device | |
KR101508736B1 (en) | Vegetation plate using fixing-frame and soil-mat and the green structure therewith | |
KR200480967Y1 (en) | A mushroom culture medium hanger device | |
US20130074406A1 (en) | Planter Box for Mounting to a Structure and Planter Box Assembly | |
KR20140105355A (en) | Bed for nutrient culture | |
KR20170050148A (en) | Bed for agriculture | |
KR20160136016A (en) | For Vegetable Growing High-Bed | |
KR101146786B1 (en) | Raising seedling device and method for planting plants by raising seedling device | |
KR20060027794A (en) |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 |
KR20150022330A (en) | A prop bed cultivation crop | |
KR20190066908A (en) | Bed assembly for agriculture | |
JP6899579B2 (en) | Natural yam grower and natural yam cultivation system | |
JP3213705U (en) | Seedling planter | |
KR101890509B1 (en) | Prefabiricated type bottom watering bed | |
KR101416587B1 (en) |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t high position | |
KR102512406B1 (en) | Soil pots convenient to grind | |
JP7111285B2 (en) | Wild yam cultivator and yam cultivation system | |
KR101507309B1 (en) | Apparatus for growing seedling of pla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