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02053B1 -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053B1
KR101502053B1 KR1020130082733A KR20130082733A KR101502053B1 KR 101502053 B1 KR101502053 B1 KR 101502053B1 KR 1020130082733 A KR1020130082733 A KR 1020130082733A KR 20130082733 A KR20130082733 A KR 20130082733A KR 101502053 B1 KR101502053 B1 KR 101502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mist
storage tank
removing water
mist rem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600A (ko
Inventor
신동헌
Original Assignee
신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헌 filed Critical 신동헌
Priority to KR102013008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0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0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3/00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e.g. on roads, on airf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간 도로, 해안 도로, 항만 및 공항의 활주로 등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대하여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함으로써 운전자, 선장, 조종사들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안개 상습 발생구간을 촬영하는 촬영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안개 제거용수를 분사 공급하는 안개 제거부; 및 상기 촬영부의 데이터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그에 대응하는 관리 프로그램 또는 관리자에 의한 제어신호를 상기 안개 제거부에 전송하는 관리자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시설의 단순화와 유지 관리의 편리함을 통해 시설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뿐 아니라 안개 상습 발생구간에 대하여 CCTV와 시정계를 통해 관리자는 모니터링을 통해 안개의 발생 사실을 즉각적으로 관측할 뿐 아니라 그에 대한 조치 또한 신속하게 진행토록 함으로써 안개 발생에 따른 안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게 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SYSTEM FOR REMOVING FOG BY REMOTE CONTROLLED}
본 발명은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산간 도로, 해안 도로, 항만 및 공항의 활주로 등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대하여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함으로써 운전자, 선장, 조종사들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 중 산간 도로나 해안 도로, 항만 및 비행기 활주로 등에서는, 운전자나 선장 및 조종사들의 시계를 확보하는 것이 안전 사고와 관련하여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온도의 급격한 변화로 발생되는 기상현상인 안개는, 운전자나 선장 및 조종사들의 시계를 크게 악화시켜 안전운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고되는 안개관련 기상자료는, 안개의 발생일수 등 정량적인 자료가 대부분이고, 안개의 지속시간이나 안개의 강도 등은 현재에도 관리자의 목측(目測)에 의해 관측되고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안개 발생에 대한 안전시설로는,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구간의 도로 초입에 설치되는 교통안전표지 또는 도로전광표지, 그 구간의 도로 진입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노면 요철포장, 도로 방향으로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도로의 미끄럼 방지포장, 도로 이용자가 얼마나 멀리 볼 수 있는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개 시정표지, 운전자의 도로 선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개 시선유도등 및 안개의 농도를 측정하는 시정계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행 안전시설물들은, 안개 발생에 대한 최소한의 대안으로서, 운전자 등의 시계 확보 및 그에 따른 안전사고의 예방 차원에서 볼 때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1874호("안개 제거 시스템": 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5145호("유에스엔을 이용한 안개 제거 시스템": 이하, '선행기술2'라 함)이 개시된 바 있다.
먼저, 위의 선행기술1에 따르면, 히팅수단과 송풍수단을 연결하여 히팅수단에 의해 가열 건조된 공기를 송풍수단의 풍압을 이용하여 대상 지역에 공급하여 상대적 습도를 낮추도록 하고, 열섬 구간을 조성하여 외부의 안개 유입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1에 따르면, 상술한 히팅수단과 송풍수단을 안개의 상습 발생구간에 대하여 무수히 많은 설치를 필요로 하고, 또 그에 따른 많은 시설 비용과 히팅과 송풍을 위한 전력 소모의 낭비가 뒤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의 선행기술2에 따르면, 안개 상습 발생지역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온도/습도 센서노드와; 이로부터 수신한 측정 정보를 분석하여 안개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및 흡습제가 혼합된 물을 수압과 노즐의 토출구 사이즈 및 풍압을 이용해 분사하는 안개 제거수단을 구비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안개 자동 제거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선행기술2에 따르면, 온도/습도 센서노드를 통해 안개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으나, 안개의 발생은 국부적일 뿐 아니라 급진적으로 진행되며, 또 지형적인 요소와 풍향에 의해 시시때때로 변화하는 관계에 있어 그 측정 및 분석에 대하여 신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또 다각적인 변화에 대응하는 안개 제거관리에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18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514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개의 상습 발생지역에 대하여 안개 제거를 위한 시설 및 관리 비용을 줄이도록 함과 동시에 안개 발생에 대하여 정확한 조치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은, 안개 상습 발생구간을 촬영하는 촬영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안개 제거용수를 분사 공급하는 안개 제거부; 및 상기 촬영부의 데이터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그에 대응하는 관리 프로그램 또는 관리자에 의한 제어신호를 상기 안개 제거부에 전송하는 관리자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촬영부는 안개 상습 발생구간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CCTV와; 상기 안개 상습 발생구간 내의 안개의 농도를 측정하는 시정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촬영부의 데이터신호는 상기 CCTV에 의한 영상신호와 상기 시정계의 측정 데이터가 포함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개 제거부는, 안개 제거용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내의 안개 제거용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량계와; 상기 저장탱크에 연통하는 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제거용수의 유동압을 제공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이은 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안개 제거용수의 유동압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와; 상기 배출관의 끝단에 연통 연결되고, 안개 상습 발생구간의 도로변에 차량의 높이 이상으로 세워진 시설물 상부를 따라 가설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 내의 안개 제거용수의 압력이 이미 설정된 이상일 때 분사되게 하는 노즐 조립체와; 상기 저장탱크에서 상기 배출관 및 상기 공급관으로 이어지는 안개 제거용수의 유동라인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제거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수량계와 압력게이지의 측정값을 수신하며, 상기 펌프와 상기 제어밸크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개 제거부 구성 중 적어도 상기 노즐 조립체가 복수개 설치된 상기 공급관은 안개 상습 발생구간의 도로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마주보는 상기 공급관 각각에 설치된 상기 노즐 조립체는 안개 상습 발생구간의 도로를 따라 상호 엇갈린 배치를 이루며, 상기 각각의 노즐 조립체는 도로를 사이에 둔 상대편 위치의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노즐 조립체 사이 구간을 겨냥하여 안개 제거용수를 분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노즐 조립체는, 상기 공급관을 감싸는 형상으로 시설물 상부에 대하여 상기 공급관을 고정토록 하는 새들과; 일단이 상기 새들을 통해 상기 공급관과 연통 연결되고, 타단이 도로의 폭 방향으로 향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 상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 내의 안개 제거용수의 압력이 이미 설정된 이상에서 그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개방하는 압력 조절밸브;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은, 일측 부위가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연장된 형상을 이루고, 이에 연이은 중간 부위는 상측으로 굽어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며, 이에 연이은 타측 부위는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연통 연결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배출관의 타측 부위에서 분기한 형상으로 연통 연결토록 하며, 상기 공급관과 상기 저장탱크 사이의 상기 배출관 상에는, 상기 펌프에 의한 안개 제거용수의 압력이 이미 설정된 이상일 때 상기 저장탱크로 유동하게 하는 체크밸브를 더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시설의 단순화와 유지 관리의 편리함을 통해 시설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뿐 아니라 안개 상습 발생구간에 대하여 CCTV와 시정계를 통해 관리자는 모니터링을 통해 안개의 발생 사실을 즉각적으로 관측할 뿐 아니라 그에 대한 조치 또한 신속하게 진행토록 함으로써 안개 발생에 따른 안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안개 상습 발생구간에 대한 안개 제거부의 설치관계와 그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노즐 조립체의 배치 관계와 그에 따른 안개 제거용수의 분사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안개 제거용구의 공급부 구성과 이들 구성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안개 제거용수 공급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노즐 조립체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을 촬영하는 촬영부(10)와 유무선 네트워크의 통신망(20)을 통한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안개 제거용수를 분사 공급하는 안개 제거부(40) 및 촬영부(10)의 데이터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그에 대응하는 관리 프로그램 또는 관리자에 의한 제어신호를 안개 제거부(40)에 전송하는 관리자 컴퓨터(3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구성 중 상술한 촬영부(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의 도로변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CCTV(12)와 안개 상습 발생구간(S) 내의 안개의 농도를 측정하는 시정계(14a, 14b)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CCTV(12)는,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의 도로를 촬영하는 것일 수 있고,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의 도로변에 설치되어 도로 이용자가 얼마나 멀리 볼 수 있는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개 시정표지(16)나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의 선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개 시선유도등(18)을 겨냥하여 촬영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시정계(14a, 14b)는,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의 도로변 중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4a)와 발광부(14a)로부터 발산된 빛의 수신으로부터 그 감도를 통해 안개의 농도를 측정하는 수광부(14b)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10)의 구성에 있어서, 상술한 CCTV(12)의 설치 위치는 안개 상습 발생구간(S) 도로의 넓은 구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의 도로변에 설치되는 시설물 중 가능한 높은 위치에 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고, 안개 시정표지(16)나 안개 시선유도등(18)의 위치를 촬영할 경우에는 이들에 대한 촬영 간격을 고려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시정계(14a, 14b)를 이루는 발광부(14a)는, 운전자의 시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수광부(14b)에 대하여 레이저 빔을 발산하는 레이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설치 위치 또한 운전자의 시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의 도로변에 설치되는 방음벽 또는 방풍벽 등의 시설물 상부에 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술한 CCTV(12)와 시정계(14a, 14b)는, 각각에 의한 영상신호와 시정계(14a, 14b)의 측정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신호를 후술하는 컨트롤러(56)의 제어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관리자 컴퓨터(3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관리자 컴퓨터(30)는 촬영부(1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개 상습 발생구간(S)에 설치된 다른 각 시스템 구성으로부터의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조지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자 컴퓨터(30)에는,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의 현장 설치 구성들을 원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등이 설치되어 있고, 관리자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안개 발생에 대한 조치 및 각 구성의 작동 여부를 감시 및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관리자 컴퓨터(30) 해당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는 관리자의 기동성과 다른 업무 수행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관리자는 관리자 컴퓨터(30)에 대한 감시 이외에 다른 일을 보는 경우를 포함하여 다른 업무에 의해 자리를 이탈 하는 등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관리자 컴퓨터(30) 내부에는 시정계(14a, 14b)의 신호에 대응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안개의 발생 여부를 인지토록 하는 경고음 또는 경광등 등의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안개 제거부(4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개 제거용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42)와 저장탱크(42) 내의 안개 제거용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량계(44)와 저장탱크(42)에 연통하는 배출관(E) 상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제거용수의 유동압을 제공하는 펌프(46)를 구비한다.
또한, 안개 제거부(40)는, 펌프(46)에 연이은 배출관(E) 상에 설치되어 안개 제거용수의 유동압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48)와 배출관(E)의 끝단에 연통 연결되고,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의 도로변에 통행하는 차량의 높이 이상으로 세워진 시설물 상부를 따라 가설되는 공급관(50a, 50b)과 공급관(50a, 50b)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며, 공급관(50a, 50b) 내의 안개 제거용수의 압력이 이미 설정된 이상일 때 분사되게 하는 노즐 조립체(5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술한 저장탱크(42)에서 배출관(E)을 통해 공급관(50a, 50b)으로 이어지는 안개 제거용수의 유동라인 상에는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제거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어밸브(54)가 설치되고, 수량계(44)와 압력게이지(48)의 측정값을 수신하며, 펌프(46)와 각 제어밸브(54)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6)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안개 제거부(40) 구성 중 적어도 노즐 조립체(52)가 복수개 설치된 공급관(50a, 50b)은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의 도로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마주보는 공급관(50a, 50b) 각각에 설치된 노즐 조립체(52)는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의 도로를 따라 상호 엇갈린 배치를 이루며, 각각의 노즐 조립체(52)는 도로를 사이에 둔 상대편 위치의 이웃하는 두 개의 노즐 조립체(52) 사이 구간을 겨냥하여 안개 제거용수를 분사하게 된다.
상술한 공급관(50a, 50b)의 배치와 노즐 조립체(52)의 배치에 대하여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하나의 공급관(50a)에 대하여 설치될 경우, 공급관(50a)이 놓이는 도로의 차선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안개 제거용수의 분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하나의 공급관(50a)에 대하여 노즐 조립체(52)의 설치가 도 3b에 도시한 구성대비 조밀하게 설치됨에 따라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이 충분히 긴 경우 분사 압력이 낮아져 안개의 제거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상술한 공급관(50a, 50b)은 안개 상습 발생구간(S) 도로 양측에 대하여 이중으로 배치하고, 노즐 조립체(52)은 마주보는 공급관(50a or 50b)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이웃하는 노즐 조립체(52) 상호 간의 간격을 넓게 형성하여 공급관(50a or 50b) 내의 압력을 확보함으로써 긴 구간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노즐 조립체(5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공급관(50a or 50b)을 감싸는 형상으로 시설물 상부에 대하여 공급관(50a or 50b)을 고정토록 하는 새들(58)과 일단이 새들(58)을 통해 공급관(50a or 50b)과 연통 연결되고, 타단이 도로의 폭 방향으로 향하는 노즐(60) 및 노즐(60) 상에 설치되어 노즐(60) 내의 안개 제거용수의 압력이 이미 설정된 이상에서 그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력 조절밸브(6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술한 압력 조절밸브(62)에 대하여 다시 말하면, 공급관(50a or 50b) 내의 안개 제거용수 압력이 이미 설정된 압력 이하일 경우, 노즐(60)을을 통한 안개 제거용수의 분사를 차단하고, 상술한 펌프(46)의 작동에 의해 공급관(50a or 50b) 내의 안개 제거용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높아짐에 대응하여 노즐(60)을 통한 안개 제거용수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것은 불필요한 안개 제거용수의 낭비를 막기 위한 것이며, 분사되는 안개 제거용수가 도로의 상대편 차선 또는 소망하는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노즐(60)은 분사되는 안개 제거용수의 입자 크기를 약 0.2㎜인 안개 입자의 크기보다 큰 약 0.5~1.5㎜ 범위의 크기로 분사토록 하여 안개 제거용수 입자를 응결핵으로 하여 안개 입자들이 뭉치도록 함으로써 안개의 분포 비율(농도)을 줄이도록 한다.
이로부터 상술한 안개 제거용수는 순수 또는 현장의 상온보다 낮고 빙점 이상인 차가운 순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공급관(50a or 50b)에 대하여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안개 제거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 중 배출관(E)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42)의 하부에서 펌프(46)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연장된 형상을 이루고, 이에 연이은 배출관(E) 중간 부위는 상측으로 세워진 형상을 이루도록 굽어 저장탱크(42)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르며, 이에 연이은 배출관(E)의 타측 부위는 저장탱크(42)의 상부에 연통 연결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 상술한 공급관(50a, 50b)은, 일단이 배출관(E)의 타측 부위로부터 분기한 형상으로 연통 연결되며, 공급관(50a, 50b)이 연결되는 부위와 저장탱크(42) 사이의 배출관(E) 타측 부위에는, 펌프(46)에 의한 안개 제거용수의 압력이 이미 설정된 수준을 초과할 때 저장탱크(42)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체크밸브(64)를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크밸브(64)의 설치는, 상술한 공급관(50a, 50b)이 불특정 사고의 경우를 포함하여 막히는 경우, 안개 제거용수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체크밸브(64)는, 상술한 컨트롤러(56)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인 경우에는, 압력게이지(48)의 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56)의 제어에 따라 그 개방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고, 펌프(46)의 정상 작동에도 공급관(50a, 50b)의 파손에 의해 그 내부 압력이 상술한 노즐 조립체의 압력 조절밸브(62)를 개방시키는 수준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술한 컨트롤러(56)는 펌프(46)의 구동을 정지토록 함과 동시에 체크밸브(64)를 개방토록 하여 그 내부의 안개 제거용수의 낭비를 방지토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펌프(46)를 통과한 배출관(E)의 중간 부위를 저장탱크(42)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세워지게 한 것은, 펌프(46)가 구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배출관(E) 또는 공급관(50a, 50b)의 손상에 의해 안개 제거용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관(50a, 50b)이 연결되는 부위의 상단 높이가 저장탱크(42) 내의 안개 제거용수의 수위 이상에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촬영부(10)는 안개 상습 발생구간(S)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컴퓨터(30)에 전송하고, 관리자는 관리자 컴퓨터(30)가 설치된 상황실 또는 관리동 등에서 해당 구간(S)의 안개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관리자 컴퓨터(30)가 관리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상술한 시정계(14a, 14b)의 신호에 따른 알람 등의 수단은 관리자가 다른 용무를 안심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부터 관리자 컴퓨터(30)를 통해 해당 구간(S)에 안개가 발생한 것을 확인한 관리자는, 관리자 컴퓨터(30)를 통해 안개 제거부(40)를 구동시켜 안개를 제거하게 된다.
10: 촬영부 12: CCTV
14a, 14b: 시정계 16: 안개 시정표
18: 안개 시선유도등 20: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
30: 관리자 컴퓨터 40: 안개 제거부
42: 저장탱크 44: 수량계
46: 펌프 48: 압력게이지
50a, 50b: 공급관 52: 노즐 조립체
54: 제어밸브 56: 컨트롤러
58: 새들 60: 노즐
62: 압력 조절밸브 64: 체크밸브

Claims (6)

  1. 안개 상습 발생구간을 촬영하는 촬영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안개 제거용수를 분사 공급하는 안개 제거부; 및
    상기 촬영부의 데이터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그에 대응하는 관리 프로그램 또는 관리자에 의한 제어신호를 상기 안개 제거부에 전송하는 관리자 컴퓨터;를 포함하되,
    상기 안개 제거부는, 안개 제거용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내의 안개 제거용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량계와; 상기 저장탱크에 연통하는 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제거용수의 유동압을 제공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이은 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안개 제거용수의 유동압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와; 상기 배출관의 끝단에 연통 연결되고, 안개 상습 발생구간의 도로변에 차량의 높이 이상으로 세워진 시설물 상부를 따라 가설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 내의 안개 제거용수의 압력이 이미 설정된 이상일 때 분사되게 하는 노즐 조립체와; 상기 저장탱크에서 상기 배출관 및 상기 공급관으로 이어지는 안개 제거용수의 유동라인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제거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수량계와 압력게이지의 측정값을 수신하며, 상기 펌프와 상기 제어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조립체가 복수개 설치된 상기 공급관은 안개 상습 발생구간의 도로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마주보는 상기 공급관 각각에 설치된 상기 노즐 조립체는 안개 상습 발생구간의 도로를 따라 상호 엇갈린 배치를 이루며,
    상기 각각의 노즐 조립체는 도로를 사이에 둔 상대편 위치의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노즐 조립체 사이 구간을 겨냥하여 안개 제거용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안개 상습 발생구간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CCTV와; 상기 안개 상습 발생구간 내의 안개의 농도를 측정하는 시정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촬영부의 데이터신호는 상기 CCTV에 의한 영상신호와 상기 시정계의 측정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조립체는, 상기 공급관을 감싸는 형상으로 시설물 상부에 대하여 상기 공급관을 고정토록 하는 새들과; 일단이 상기 새들을 통해 상기 공급관과 연통 연결되고, 타단이 도로의 폭 방향으로 향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 상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 내의 안개 제거용수의 압력이 이미 설정된 이상에서 그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개방하는 압력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일측 부위가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연장된 형상을 이루고, 이에 연이은 중간 부위는 상측으로 굽어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며, 이에 연이은 타측 부위는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연통 연결되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배출관의 타측 부위에서 분기한 형상으로 연통 연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관과 상기 저장탱크 사이의 상기 배출관 상에는, 상기 펌프에 의한 안개 제거용수의 압력이 이미 설정된 이상일 때 상기 저장탱크로 유동하게 하는 체크밸브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KR1020130082733A 2013-07-15 2013-07-15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Active KR101502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733A KR101502053B1 (ko) 2013-07-15 2013-07-15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733A KR101502053B1 (ko) 2013-07-15 2013-07-15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600A KR20150008600A (ko) 2015-01-23
KR101502053B1 true KR101502053B1 (ko) 2015-03-12

Family

ID=5257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733A Active KR101502053B1 (ko) 2013-07-15 2013-07-15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0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395Y1 (ko) * 2004-04-02 2004-06-16 모우삼 수량계를 이용한 저수조 수위조절장치
KR20120030178A (ko) * 2010-09-17 2012-03-28 주식회사 동호 물 지붕 방식을 이용한 도로 및 교량의 안개 저감 구조물 및 안개 저감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395Y1 (ko) * 2004-04-02 2004-06-16 모우삼 수량계를 이용한 저수조 수위조절장치
KR20120030178A (ko) * 2010-09-17 2012-03-28 주식회사 동호 물 지붕 방식을 이용한 도로 및 교량의 안개 저감 구조물 및 안개 저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600A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874B1 (ko) 안개 제거 시스템
WO2021159549A1 (zh) 一种用于交通安全路况感知评估的方法
KR101387710B1 (ko)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
CN113465945B (zh) 一种智能网联汽车多功能试验系统及其试验方法
KR102207577B1 (ko) 살얼음 관제 시스템, 살얼음 관제 시스템용 표지판
KR101528129B1 (ko) 지능형 자동 염수 살포시스템
KR20190091533A (ko)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 응용들에서의 강우 레이돔 감쇠 완화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및 그러한 응용들의 네트워크화된 사용
CN208335464U (zh) 一种基于视频与雷达的交通事件监测设备
CN109208995B (zh) 智能交通杆及智能道路系统
CN208208040U (zh) 跑道防侵入监控系统
CN112002104B (zh) 一种高速公路护栏板的碰撞报警系统
CN103295401A (zh) 一种路面气象状态监测系统
KR101559546B1 (ko) 안개소산수단
KR100698585B1 (ko) 안개 방재 시스템
CN114550500A (zh) 一种预报船舶撞击护岸的方法和系统
KR100839024B1 (ko) 원격제어 결빙방지 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CN107901950A (zh) 线路监测方法及监控系统
JP2011227548A (ja) 非常覚知設備
KR101215145B1 (ko) 유에스엔을 이용한 안개 제거 시스템
KR101502053B1 (ko)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KR101559550B1 (ko) 안개소산장치
CN209131772U (zh) 城市防汛水位监测系统
KR20200142662A (ko) 가로등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및 방법
KR101164647B1 (ko) 도로 및 교량의 안개 저감 및 차폐 시스템
CN215448471U (zh) 一种智能网联汽车多功能试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