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01499B1 -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499B1
KR101501499B1 KR20140041377A KR20140041377A KR101501499B1 KR 101501499 B1 KR101501499 B1 KR 101501499B1 KR 20140041377 A KR20140041377 A KR 20140041377A KR 20140041377 A KR20140041377 A KR 20140041377A KR 101501499 B1 KR101501499 B1 KR 10150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acrylate oligomer
parts
curable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4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학중
이응신
Original Assignee
윤학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학중 filed Critical 윤학중
Priority to KR2014004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499B1/ko
Priority to CN201510162033.0A priority patent/CN104974309B/zh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only one oxygen, e.g. furfuryl (meth)acrylate or 2-methoxy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43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in the form of urethane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5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poly)urethanes, e.g. urethane(meth)acry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경화 방식에 비해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접착력이 우수하여 고온·고습 환경조건에서도 유리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 미세 패턴 성형이 가능한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 표면에 우수한 부착력을 가지면서 미세 패턴 성형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점도 조절을 위한 희석형 모노머, 그리고 광개시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 후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 플라스틱 재질 등의 몰드에 대한 이형성이 우수하고, 경화시간이 수 초만에 이루어져 미세 패턴 형성에 매우 유리한 동시에, 여러 플라스틱 재질(PC, PMMA, PET)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미세 패턴이 형성된 경화막의 미세 패턴을 기재에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전사된 미세 패턴의 경우, 화학적,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여 마감제의 사용이 가능하며, 전자 종이의 미세 프리즘 시트 등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현재의 일반적인 전자 기기들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현하는 화면이 전자 제품의 내/외부에 위치하여 있다. 이러한 화면은 외부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많은 소재들이 사용되어지고 있고, 최근에는 강화 유리를 이용한 소재가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리의 경우에는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등과 같은 유기물 재질과의 접착 강도가 미흡하여 가공시 유리로부터 코팅물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무기 재질 부착에 유리한 커플링제를 첨가하거나, 자외선 광량 및 조도 조절에 의하여 표면 물성 및 부착성 등을 개선시키고자 하였으나, 미세패턴 성형성이나 고온·고습 환경조건에서의 유리와의 부착성이 신뢰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온·고습 환경조건에서도 유리와의 높은 부착력을 가지면서 미세 패턴 성형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경화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 80 중량부, 광개시제 0.01 ~ 15 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0.1 ~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비는 10 ~ 30 : 30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는 수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3,000g/mol이고, 역적정법에 의한 산가(Acid Value)가 150 ~ 250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수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3,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광개시제는 360 ~ 40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1종 이상의 장파장 광개시제 및 200 ~ 35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1종 이상의 단파장 광개시제를 0.1 ~ 1.5 : 1 ~ 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 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우레이드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닐에톡시 실란, 비닐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폴리메톡시디메틸실록산, 폴리에톡시디메틸실록산 및 N-(N-벤질-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염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경화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 방식에 비해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접착력이 우수하여 고온·고습 환경조건에서도 유리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 미세 패턴 성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 80 중량부, 광개시제 0.01 ~ 15 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0.1 ~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경화막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성분과 특정함량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및 커플링제를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유리표면에 자외선 경화시킬 경우, 미세 패턴 성형 중 유리와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중간 미경화 자외선 조성물의 제거가 용이한 동시에 고온·고습 환경조건에서도 높은 부착력과 코팅 표면에 변형이 없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은 부착특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올리고머로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수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3,000g/mol이고, 역적정법에 의한 산가(Acid Value)가 150 ~ 250mgKOH/g인 것으로,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경우, 코팅시 유리 표면이나 다른 소재의 표면을 개질(etching)시켜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및 하기의 수평균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Waters: Waters707)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 수평균분자량(Mn)을 측정하였다.시료는 4000ppm의 농도가 되도록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켜 GPC에 100㎕를 주입하였다. GPC의 이동상은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사용하고, 1.0mL/분의 유속으로 유입하였으며, 분석은 35℃에서 수행하였다. 컬럼은 Waters HR-05,1,2,4E 4개를 직렬로 연결하였다. 검출기로는 RI and PAD Detecter를 이용하여 35℃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및 하기의 역적정법에 의한 산가는 ASTM D974에 준하는 측정방법과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미원상사의 Miramer SC6610, SC6630 및 SC6631, AGI社의 706 및 707, ENTIS社의 EBECRYL 770 및 EBECRYL UP039, 폴리네트론社의 PN-5600, HS 켐트론社의 UVT-600Si 및 Satomer CN 816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수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3,000g/mol인 것으로, 상기 분자량 범위를 만족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경우, 점도 조절이 용이하여 작업성이나 유리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있는 미원상사의 Miramer PU610, PU620, PU240, SC2404 및 MU 3702 HS, 켐트론社의 UA-8560TL 및 UA-800, AGI社의 230A2, 670A2 및 675, ENTIS社의 UP118, EB1290, EB8307, EB8702 및 EB9390, Satomer社의 CN 9006, CN 9025 및 CN 968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들에서 관능기는 반응 가능한 작용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6 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6개의 아크릴레이트 그룹(-O-CO-CH=CH2) 각각에 포함된 C=C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경화막의 표면 밀도를 높여 고온·고습 환경조건이나, 스크래치 저항성 측면에서 아크릴레이트 관능기가 1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비는 10 ~ 30 : 30 ~ 10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상기 비율보다 높을 경우, 유리와의 부착성은 증가하나, 용제 저항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비율보다 낮을 경우에는 경화막의 표면밀도나 표면경도는 좋아지나, 경도의 증가로 인해 부착성 및 패턴 형성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가 전술된 비율보다 높을 경우에는 유리와의 부착성은 증가하지만, 고온·고습 환경조건에서 부착성이 떨어지고, 상기 비율보다 낮을 경우에는 유리와의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조성물의 점도 조절과 함께 올리고머의 특성 부여 역할로 사용되며, 아크릴레이트 관능기가 1 내지 6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아크릴 모르폴린,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등의 1 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 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트리에칠프로판(이오)3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 프로폭실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3 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6 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점도가 높아지고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8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자외선 경화성이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8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자외선과 같은 빛의 조사시 빛을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에 의해 라디칼 활성종을 발생시킴으로써 광중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화합물로, 본 발명에서는 유리와의 부착성과 미세패턴의 형상성을 고려하여 360 ~ 40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1종 이상의 장파장 광개시제 및 200 ~ 35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1종 이상의 단파장 광개시제를 0.1 ~ 1.5 : 1 ~ 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패턴 성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1 ~ 1 : 1 ~ 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장파장 광개시제와 단파장 광개시제가 상기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광개시제 자체적인 방해로 인하여 자외선 경화성이 떨어지거나, 또는 패턴성형에 있어서 장파장 광개시제로 인해 퍼짐성이 나타나 미세패턴 형성에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60 ~ 40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장파장 광개시제로는 BASF社의 TPO, IRGACURE 819, IHT社의 PI 920 등일 수 있고, 200 ~ 35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파장 광개시제로는 MIWON SC社의 CP-4, BASF社의 IRGACURE 184, DAROCURE 1173, IRGACURE 754 등일 수 있으나, 전술된 흡수파장 영역을 가지는 광개시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개시제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경화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거나 경화막 표면에 주름 등이 발생되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이 저하되며, 패턴의 두께 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는 아민 화합물(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 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 우레이드 화합물(우레이드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 비닐 화합물[비닐에톡시 실란, 비닐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등], 메타크릴레이트계(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 에폭시드(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γ-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 폴리머형(폴리메톡시디메틸실록산, 폴리에톡시디메틸실록산 등), 카티온형[N-(N-벤질-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염산염 등] 등의 실란 커플링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실란 커플링제 사용대비 효과가 미비하고, 3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장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은 25℃에서 점도 측정 방법(BROOLFIELD DV-II(RV type) spindle No.5)으로 측정된 점도가 250 ~ 700cps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 450cps일 수 있다. 상기 점도가 전술된 수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몰드 이형성 및 자외선 경화 조성물의 흐름성이 우수하여 기포 발생이 적고 패턴 성형에 있어서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은 코팅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른 성분들을 용해시키기 위해 용매(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에 따라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예로는 케톤(메틸에틸케톤, 에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의 조성에는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부가적인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의 혼합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전술한 필수 성분 및 필요에 따라서 직사광선이나 광원을 주의하면서 0 ~ 70℃에서 혼합을 진행할 수 있고, 조성물의 겔화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30 ~ 50℃에서 혼합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혼합하는 장치로서는 디스펜서, 호모지나이저, 샌드 그라인더, 볼밀, 콜로이드 밀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것은 디스펜서와 호모지나이저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유리의 일측 면 또는 양측 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하고, 미세 성형을 수행한 다음, 1차 경화 후, 미경화물을 제거한 후에 2차 경화를 진행하여 고온·고습 환경에서도 우수한 부착력을 갖고 미세 패턴 성형이 가능한 경화막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미세 패턴 성형 및 미경화물의 제거는 몰드, 마스크 등을 이용한 통상적인 패턴 형성방법이나 용제, 화학약품 등을 이용한 통상적인 미경화물 제거방법이면 제한 없이 가능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의 도포방법으로는 도공법(바코터, 메이어 바, 에어 나이프 등을 이용하는 것) 및 인쇄법(그라비어 인쇄, 리버스 그라비어 인쇄, 오프셋 인쇄, 플렉소 인쇄, 스크린 인쇄 등)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킬 때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유효한데, 자외선 조사량은 1차 경화시, 1 ~ 60 mJ/cm2일 수 있고, 2차 경화시, 600 ~ 1,000mJ/cm2인 것이 미세패턴 형성에 있어서 퍼짐성을 방지하는 동시에 미경화물의 생성을 방지하고, 경화막의 표면밀도를 높이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막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 방식에 비해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접착력이 우수하여 고온·고습 환경조건에서도 유리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 미세패턴 형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
표 1에 나타나 조성 및 함량으로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혼합하여 점도가 350cps인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중량%)
실시예 2
(중량%)
비교예 1
(중량%)
비교예 2
(중량%)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9 26 9 5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6 29 46 4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9 9 9 9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3 23 23 23
장파장 광개시제 0.8 0.8 0.8 0.8
단파장 광개시제 4.2 4.2 4.2 4.2
실란 커플링제 8 8 8 8
주)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NTIS社의 EBECRYL 770(수평균분자량 500g/mol, 산가 200mgKOH/g)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NTIS社의 UP118(수평균분자량 1,000g/mol)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ENTIS社의 HEMA(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ENTIS社의 IBXA(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장파장 광개시제: BASF社의 TPO(380nm)
단파장 광개시제: BASF社의 IRGACURE 184(246nm)
실란 커플링제: 신에츠社의 KBM 503(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초기 접착력 측정(100/100 셀 수)>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유리상에 디스펜스를 사용하여 0.5rpm으로 3초 동안 도포한 후, 광원으로서 LED 램프를 이용해서 4초 동안 15mJ/cm2으로 1차 경화한 다음, 25℃에서 100초 동안 스핀 현상한 후 에탄올로 수세하였다. 수세 후, 초고압수은램프를 이용해서 800mJ/cm2으로 2차 경화시켜 패턴이 형성된 경화막을 얻었다. 이때, 형성된 경화막의 두께는 10㎛이다.
상기 수득된 경화막상에 격자 무늬의 칼날(Cross cut cutter)를 이용하여 2mm간격으로 가로 100개, 세로 100개의 격자 무늬를 그은 다음, 상기 격자 무늬가 형성된 경화막상에 테이프(3M 610)를 기포가 없도록 문질러 붙였다. 붙어 있는 테이프를 수직방향으로 강하게 당겨 격자 무늬 중 떨어진 부분을 확인하여 측정하였다. 100개의 셀 중 100개가 다 붙어 있을 시 양호한 부착력을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이때, 100개의 셀 중에 100개가 붙어 있을 경우(100/100), '5B'로, 100개의 셀 중에 98개가 붙어 있을 경우(98/100)에는 '4B'로, 100개의 셀 중에 90개가 붙어 있을 경우(90/100)에는 '3B'로, 100개의 셀 중에 85개가 붙어 있을 경우(85/100)에는 '2B'로, 100개의 셀 중에 80개가 붙어 있을 경우(80/100)에는 '1B'로 표시하였다.
<알코올 용제 저항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유리상에 디스펜스를 사용하여 0.5rpm으로 3초 동안 도포한 후, 원형 패턴(직경 6㎛)이 형성된 플라스틱 몰드 필름을 덮고, 핸드 롤러로 직선방향으로 1회 문질렸다. 광원으로서 LED 램프를 이용해서 4초 동안 15mJ/cm2으로 1차 경화한 다음, 25℃에서 100초 동안 스핀 현상한 후 에탄올로 수세하여 경화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형성된 경화막의 두께는 10㎛이다.
상기 제조된 경화막을 에탄올에 0초, 60초, 90초 및 120초 동안으로 침지시킨 다음, 경화된 코팅물의 분리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때, 120초를 초과해서도 코팅물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 'A'로, 100 ~ 120초에서 코팅물이 분리된 경우에는 'B'로, 100 ~ 119초에서 코팅물이 분리된 경우에는 'C'로, 100초 미만에서 코팅물이 분리된 경우에는 'D'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초기 접착력 5B 5B 2B 5B
알코올 용제 저항성 A A A C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초기 접착력과 알코올 용제 저항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3 및 4와 비교예 3 및 4>
표 3에 나타나 조성 및 함량으로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중량%)
실시예 4
(중량%)
비교예 3
(중량%)
비교예 4
(중량%)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6 26 26 26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9 29 29 29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9 9 9 9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2.5 23 23.8 20.8
장파장 광개시제 1.3 0.8 0 3
단파장 광개시제 4.2 4.2 4.2 4.2
실란 커플링제 8 8 8 8
주)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NTIS社의 EBECRYL 770(수평균분자량 500g/mol, 산가 200mgKOH/g)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NTIS社의 UP118(수평균분자량 1,000g/mol)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ENTIS社의 HEMA(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ENTIS社의 IBXA(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장파장 광개시제: BASF社의 TPO(380nm)
단파장 광개시제: BASF社의 IRGACURE 184(246nm)
실란 커플링제: 신에츠社의 KBM 503(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패턴 성형성 측정>
상기 실시예 3 및 4와 비교예 3 및 4에서 제조된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유리상에 디스펜스를 사용하여 0.5rpm으로 3초 동안 도포한 후, 원형 패턴(직경 6㎛)이 형성된 플라스틱 몰드 필름을 덮고, 핸드 롤러로 직선방향으로 1회 문질렸다. 광원으로서 LED 램프를 이용해서 4초 동안 15mJ/cm2으로 1차 경화한 다음, 25℃에서 100초 동안 스핀 현상한 후 에탄올로 수세하여 경화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형성된 경화막의 두께는 10㎛이다.
상기 제조된 경화막을 오븐에서 100℃에서 1분 동안 방치한 후, 몰드의 패턴 치수와 유리에 코팅된 경화 조성물의 패턴 치수를 비교하였다. 이때, 몰드의 패턴 치수는 원형으로 각 지름이 4㎛, 6㎛, 8㎛ 및 10㎛를 사용하였고, 몰드의 패턴 치수와 경화막의 패턴 치수가 동일한 경우, 'A'로, 2㎛ 미만의 치수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B'로, 2㎛ ~ 3㎛의 치수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C'로, 4㎛ 이상의 치수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D'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3 비교예 4
패턴 성형성 A A 측정불가
(패턴형성이 안됨)
D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 및 4는 비교예 3 및 4에 비해 패턴 성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5 및 6과 비교예 5 및 6>
표 5에 나타나 조성 및 함량으로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중량%)
실시예 6
(중량%)
비교예 5
(중량%)
비교예 6
(중량%)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6 26 26 26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9 29 29 29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9 9 9 9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0 23 30.95 6
장파장 광개시제 0.8 0.8 0.8 0.8
단파장 광개시제 4.2 4.2 4.2 4.2
실란 커플링제 1 8 0.05 25
주)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NTIS社의 EBECRYL 770(수평균분자량 500g/mol, 산가 200mgKOH/g)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NTIS社의 UP118(수평균분자량 1,000g/mol)
제1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ENTIS社의 HEMA(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제2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ENTIS社의 IBXA(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장파장 광개시제: BASF社의 TPO(380nm)
단파장 광개시제: BASF社의 IRGACURE 184(246nm)
실란 커플링제: 신에츠社의 KBM 503(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고온·고습 환경조건에서의 부착력(100/100 셀 수)>
상기 실시예 5 및 6와 비교예 5 및 6에서 제조된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유리상에 디스펜스를 사용하여 0.5rpm으로 3초 동안 도포한 후, 광원으로서 LED 램프를 이용해서 4초 동안 15mJ/cm2으로 1차 경화한 다음, 25℃에서 100초 동안 스핀 현상한 후 에탄올로 수세하여 경화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형성된 경화막의 두께는 10㎛이다.
상기 수득된 경화막상에 격자 무늬의 칼날(Cross cut cutter)를 이용하여 2mm간격으로 가로 100개, 세로 100개의 격자 무늬를 긋고, 온도가 85℃이고, 상대습도가 85%인 고온·고습 환경에서 72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상기 격자 무늬가 형성된 경화막상에 테이프(3M 610)를 기포가 없도록 문질러 붙였다. 붙어 있는 테이프를 수직방향으로 강하게 당겨 격자 무늬 중 떨어진 부분을 확인하여 측정하였다. 100개의 셀 중 100개가 다 붙어 있을 시 양호한 부착력을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이때, 100개의 셀 중에 100개가 붙어 있을 경우(100/100), '5B'로, 100개의 셀 중에 98개가 붙어 있을 경우(98/100)에는 '4B'로, 100개의 셀 중에 90개가 붙어 있을 경우(90/100)에는 '3B'로, 100개의 셀 중에 85개가 붙어 있을 경우(85/100)에는 '2B'로, 100개의 셀 중에 80개가 붙어 있을 경우(80/100)에는 '1B'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5 비교예 6
고온고습 환경에서의 부착력
(85℃, 85%RH, 72시간 후)
4B 5B 1B 측정불가
(겔화 발생)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5 및 6은 비교예 5 및 6에 비해 고온·고습 환경에서의 부착력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비교예 6은 경화막상에 실란 커플링제와 수분의 반응으로 겔화가 발생되어 부착력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 80 중량부, 광개시제 0.01 ~ 15 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0.1 ~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360 ~ 40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1종 이상의 장파장 광개시제 및 200 ~ 35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1종 이상의 단파장 광개시제를 0.1 ~ 1.5 : 1 ~ 5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수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3,000g/mol이고, 산가가 150 ~ 250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비는 10 ~ 30 : 30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수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3,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 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우레이드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닐에톡시 실란, 비닐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폴리메톡시디메틸실록산, 폴리에톡시디메틸실록산 및 N-(N-벤질-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염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7.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경화물.
KR20140041377A 2014-04-07 2014-04-07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50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1377A KR101501499B1 (ko) 2014-04-07 2014-04-07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CN201510162033.0A CN104974309B (zh) 2014-04-07 2015-04-07 紫外线固化树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1377A KR101501499B1 (ko) 2014-04-07 2014-04-07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499B1 true KR101501499B1 (ko) 2015-03-12

Family

ID=5302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13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1499B1 (ko) 2014-04-07 2014-04-07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1499B1 (ko)
CN (1) CN10497430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20B1 (ko) 2016-10-07 2017-12-07 윤학중 염색 가능한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이 코팅된 컬러기판의 제조방법
KR20190033739A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831239B1 (ko) * 2024-07-26 2025-07-08 (주)위드켐 초박형 커버글라스 보호용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8431A (zh) * 2016-08-31 2017-02-15 三棵树涂料股份有限公司 专用于玻璃的高附着力uv漆及其制备方法
CN110628378A (zh) * 2019-11-07 2019-12-31 烟台德邦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疏水性能的紫外光固化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533A (ko) * 1994-02-08 1995-12-22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내마모성 피막 형성용 방사선 경화성 조성물
KR20100008633A (ko) * 2008-07-16 2010-01-26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우수한 고온 내수성을 갖는 광경화형 코팅 조성물
KR20100023333A (ko) * 2008-08-21 2010-03-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동차 이씨엠용 실링재료
KR101347176B1 (ko) * 2009-12-03 2014-01-07 한국세라믹기술원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복합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복합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48471B (en) * 2007-05-04 2011-09-11 Chang Chun Plastics Co Ltd Uv curable resin, its preparation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N102965067B (zh) * 2012-12-13 2014-07-23 东莞市贝特利新材料有限公司 一种紫外光固化液态光学胶
CN103525355B (zh) * 2013-10-16 2015-02-18 烟台德邦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电视边框用紫外光固化胶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533A (ko) * 1994-02-08 1995-12-22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내마모성 피막 형성용 방사선 경화성 조성물
KR20100008633A (ko) * 2008-07-16 2010-01-26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우수한 고온 내수성을 갖는 광경화형 코팅 조성물
KR20100023333A (ko) * 2008-08-21 2010-03-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동차 이씨엠용 실링재료
KR101347176B1 (ko) * 2009-12-03 2014-01-07 한국세라믹기술원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복합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복합수지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20B1 (ko) 2016-10-07 2017-12-07 윤학중 염색 가능한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이 코팅된 컬러기판의 제조방법
KR20190033739A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091659B1 (ko) * 2017-09-22 2020-03-20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US10858534B2 (en) 2017-09-22 2020-12-08 Kcc Corporation Ultraviolet curable coating composition
KR102831239B1 (ko) * 2024-07-26 2025-07-08 (주)위드켐 초박형 커버글라스 보호용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74309A (zh) 2015-10-14
CN104974309B (zh)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967B1 (ko)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TWI736530B (zh) 耐擦傷性塗佈用硬化性組成物
KR101415838B1 (ko) 하드코팅 조성물
CN104487494B (zh) 硬涂膜及其制备方法
CN105209555B (zh) 塑料膜
KR102195015B1 (ko)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01552740B1 (ko) 하드코팅 형성 방법
JP4968559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フィルム
CN107406722B (zh) 光固化型粘接组合物
KR101802215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그 경화물 및 필름
KR20100055160A (ko) 하드코팅액, 이를 사용한 하드코팅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KR101501499B1 (ko)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CN105102516B (zh) 制备塑料膜的方法
KR101436616B1 (ko) 하드코팅 필름
KR20160088000A (ko) 다관능 (메타)아크릴 알콕시 실란 올리고머,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5143369B (zh) 涂料组合物
JP2001205179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て得られ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201817825A (zh) 耐劃傷性硬塗材料
CN115247023B (zh) 一种光固化组合物及一种硬涂膜
KR20180041531A (ko) 광경화성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코팅막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코팅막 형성 장치
JP6440944B2 (ja) 光硬化性組成物および成形品
WO2019065075A1 (ja) 光重合性組成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た物品
KR102718117B1 (ko) 경화성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TW201802172A (zh) 光學物品用活性能量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光學片
TWI494328B (zh) Latex mask with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type protective fluid and the use of its latex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1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1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