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401B1 -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0401B1 KR101500401B1 KR20130136405A KR20130136405A KR101500401B1 KR 101500401 B1 KR101500401 B1 KR 101500401B1 KR 20130136405 A KR20130136405 A KR 20130136405A KR 20130136405 A KR20130136405 A KR 20130136405A KR 101500401 B1 KR101500401 B1 KR 1015004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wave
- interior
- intensity
- vehicle
- illumin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 차량의 천정에 설치되고, 천정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음파 감지부 및 음파 감지부로 감지된 음파의 세기에 따라 실내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내부의 실내 조명을 위한 실내등이 설치된다. 실내등은 탑승자가 수동으로 실내등 버튼 등을 조작하거나, 차량의 문이 열리는 경우 점등 또는 소등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등은 운전자가 실내등 버튼을 인지한 후, 조작하므로, 주행 중 운전자의 주의를 끌게 되고, 실내등 버튼이 앞좌석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뒷좌석의 탑승자는 실내등 버튼이 설치되는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야간 주행 중에 실내등을 점등하는 경우, 운전자는 주위 밝기의 변화로 인해 눈의 피로감을 느끼거나, 실내등에 기인한 빛 반사로 인해 반응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실내등을 편리하게 조작하고, 주변 조도에 따라 실내등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실내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주변 조도에 따라 실내등의 밝기를 조절하여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 차량의 천정에 설치되고, 천정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음파 감지부 및 음파 감지부로 감지된 음파의 세기에 따라 실내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음파의 세기가 소정 기준을 초과하면, 실내등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 차량용 실내등 제어 장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음파의 세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경우, 조도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조도에 대응되는 밝기로 실내등이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측정된 조도가 높을수록 실내등의 밝기가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소정 시간 내에 소정 기준 이하의 음파가 복수로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소정 기준 이하의 음파의 발생 위치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 중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실내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음파의 주파수를 계산하고, 음파의 주파수가 천정의 충격에 의해 발생된 음파의 주파수 영역 내이면, 음파의 세기에 따라 실내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실내등 제어 방법은 차량 천정을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단계, 음파의 세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음파의 세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변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실내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측정된 조도에 대응되는 밝기로 실내등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소정 시간 내에 소정 기준 이하의 음파가 복수로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을 모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소정 기준 이하의 음파의 발생 위치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 중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실내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음파의 세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음파의 주파수를 계산하고, 음파의 주파수가 천정의 충격에 의해 발생된 음파의 주파수 영역 내이면 음파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운전자는 주행 중 차량의 실내등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주변 조도 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운전자는 실내등이 점등되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실내등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실내등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는 복수의 실내등(10, 12, 14, 16), 음파 감지부(20), 조도 감지부(30) 및 차량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 함)을 포함한다.
복수의 실내등(10, 12, 14, 16)은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내등(10)은 차량 전방 천정 운전석 측에 설치되고, 제2 실내등(12)은 차량 전방 천정 조수석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내등(14) 및 제4 실내등(16)은 차량 후방 천정 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내등(10) 및 제2 실내등(12)은 차량 전방 천정에 설치되고, 제3 실내등(14) 및 제4 실내등(16)은 차량 후방 천정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각각의 실내등(10, 12, 14, 16)은 발광할 수 있는 조명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또한, 조명 수단은 백열 전구, 형광등 또는 할로겐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등(10, 12, 14, 16)에는 복수의 조명 수단이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실내등(10, 12, 14, 16)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등 스위칭 수단의 조작에 의해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음파 감지부(20)는 차량의 중앙 천정에 설치되어, 천정에서 발생한 음파를 감지할 수 있다. 음파 감지부(20)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 의해 차량의 천정이 충격되어 발생한 음파를 감지할 수 있다. 음파 감지부(20)는 감지된 음파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파 감지부(20)는 감지된 음파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음파 감지부(2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음파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음파의 세기, 주파수 또는 속도를 비교하여 음파 발생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음파 감지부(20)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음파의 음압 정보 및 음파가 발생한 방향을 지시하는 정보를 ECU(4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조도 감지부(30)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하나로 설치되어, 차량 내부 및 외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조도는 눈의 감도를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광사 속(광속이라 한다)의 밀도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감지부(30)는 감지된 조도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조도 값을 ECU(40)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ECU(40)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른 차량 제어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해 엔진, 자동 변속기, ABS 등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다. ECU(40)는 차량의 각종 편의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차량 내 다양한 센서의 값에 응답하여 로직에 따라 다양한 차량 내 구동 장치(actuator)를 제어할 수 있다.
즉, ECU(40)는 엔진의 점화 시기, 연료 분사, 공회전, 한계 값 설정 등의 기능을 제어하고, 구동 계통, 제동 계통, 조향 계통 등 차량의 전반적인 부분을 제어할 수 있다.
ECU(40)는 차량의 작동 장치들의 상태 변화를 센싱한 차량 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입력 포트와, 차량 상태 정보를 미리 프로그래밍된 로직에 따라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각 작동 장치들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Micro Control Unit)과, 작동 장치들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결과를 각 구동 장치들로 전달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ECU(40)는 복수의 실내등(10, 12, 14, 16)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20, 3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ECU(40)와 각 구성요소들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I-MAX),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RF통신, CAN통신 및 NFC(근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변경 가능한 모든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감지된 음파 및 조도에 따라 차량 실내등(10, 12, 14, 16)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실내등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음파 감지부(20)는 천정에서 발생한 음파를 감지하고, 음파를 측정하여 ECU(40)로 출력(S10)한다.
그러면, ECU(40)는 음파 감지부(20)로부터 출력되는 음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압 정보와 기준 음압 정보를 비교(S20)한다. ECU(40)는 기준 음압의 크기와 수신한 읍압의 크기를 비교하거나, 기준 음압의 주파수와 수신한 읍압의 최대 크기를 갖는 주파수를 비교하여 실내등(10, 12, 14, 16)의 점등 또는 소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ECU(40)는 기 저장된 천정의 충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음파의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부터, 음파의 주파수가 상기 천정의 충격에 의해 발생된 음파의 주파수 영역 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ECU(40)는 음파의 주파수가 상기 천정의 충격에 의해 발생된 음파의 주파수 영역 내이면, 음파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천정을 손으로 충격하는 경우, ECU(40)는 천정이 손으로 충격될 때의 음압의 크기 또는 읍압의 최대 크기를 갖는 주파수를 기준 음압 정보와 비교하여 실내등(10, 12, 14, 16)을 점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천정을 머리로 충격하는 경우, ECU(40)는 천정이 머리로 충격될 때의 음압의 크기 또는 읍압의 최대 크기를 갖는 주파수를 기준 음압 정보와 비교하여, 실내등(10, 12, 14, 16)을 점등하지 않거나 소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ECU(40)는 기준 음압 정보와 음파 감지부(20)로부터 수신한 음압 정보를 비교하여, 수신한 음압 세기가 기준 음압 세기보다 큰 경우 실내등(10, 12, 14, 16)을 점등하지 않고, 수신한 음압 세기가 기준 음압 세기 이하인 경우에만 실내등(10, 12, 14, 16)을 점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ECU(40)는 음파 감지부(20)로부터 음파가 발생한 방향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도 감지부(30)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고, ECU(40)로 차량 내부 조도 정보 또는 차량 외부 조도 정보를 출력(S30)한다.
그리고, ECU(40)는 음파 감지부(20)로 감지되는 횟수를 판단(S40)한다. ECU(40)는 소정 시간 내에 음파가 감지되는 횟수에 따라 실내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일례로, 실내등(10, 12, 14, 16)이 모두 소등된 상태에서, 음파 감지부(20)가 3초 이내에 2회로 음파를 감지한 경우, ECU(40)는 제1 실내등(10) 내지 제4 실내등(16)을 모두 점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내등(10, 12, 14, 16)이 모두 점등된 상태에서, 음파 감지부(20)가 3초 이내에 2회로 음파를 감지한 경우, ECU(40)는 제1 실내등(10) 내지 제4 실내등(16)을 모두 소등할 수 있다.
그러면, ECU(40)는 측정된 조도가 소정 조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조도 범위에 대응하는 세기로 발광하도록 실내등(10, 12, 14, 16)을 제어(S50)한다. 이때, ECU(40)는 음파 발생 방향을 더 고려하여 실내등(10, 12, 14, 16)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ECU(40)는 조도 감지부(30)에서 감지된 조도범위에 대응하는 신호를 음파 발생 방향에 위치하는 실내등(10, 12, 14, 16)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조도 범위 및 상기 조도 범위에 대응되는 발광 세기는 ECU(40)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 있다.
소정 조도 범위는 주간, 야간 및 일출/일몰 시의 조도범위를 입력하고, 발광 세기는 주간, 야간 및 일출/일몰 시에 인간의 눈에 가장 적당한 시인성을 갖는 광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눈은 선천적으로 낮은 광량(야간)는 낮은 광도의 빛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높은 광량(주간)에는 높은 광도의 빛에도 둔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발광 세기는 소정 조도 범위가 높을수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급격한 조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발광 세기는 내부 조도가 낮을 수록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
제1 예로, 차량의 실내등(10, 12, 14, 16)이 소등 상태일 때, 뒷좌석에 동승한 탑승자가 후방 천정을 손으로 1회 충격하는 경우, 음파 감지부(20)는 음파의 음압 정보 및 음파가 발생한 방향을 지시하는 정보를 ECU(40)로 출력한다. ECU(40)는 음압 정보와 기준 음압 정보를 비교하여 소정 세기 이하의 음파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조도 감지부(30)로부터 측정된 조도에 대응되는 밝기로 음파가 발생한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실내등(14) 및 제4 실내등(16)을 점등할 수 있다.
제2 예로, 차량의 실내등(10, 12, 14, 16)이 모두 점등 상태일 때, 앞좌석 운전자가 전방 천정을 손으로 3초 이내로 2회 충격하는 경우, 음파 감지부(20)는 음파의 음압 정보 및 음파가 발생한 방향을 지시하는 정보를 ECU(40)로 출력한다. ECU(40)는 음압 정보와 기준 음압 정보를 비교하여 소정 세기 이하의 음파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고, 음파 발생 횟수가 소정 시간 내 복수인 경우, 제1 실내등(10) 내지 제4 실내등(16)을 소등할 수 있다.
제3 예로, 차량의 실내등(10, 12, 14, 16)이 소등 상태일 때, 뒷좌석에 동승한 탑승자가 후방 천정을 손으로 3초 이내로 2회 충격하는 경우, 음파 감지부(20)는 음파의 음압 정보 및 음파가 발생한 방향을 지시하는 정보를 ECU(40)로 출력한다. ECU(40)는 음압 정보와 기준 음압 정보를 비교하여 소정 세기 이하의 음파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고, 음파 발생 횟수가 소정 시간 내 복수인 경우, 조도 감지부(30)로부터 측정된 조도에 대응되는 밝기로 제1 실내등(10) 내지 제4 실내등(16)을 점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는 차량의 천정에서 발생하는 음파의 정보 및 방향과 측정된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조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실내등(10, 12, 14, 16)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므로, 운전자는 주행 중 차량의 실내등(10, 12, 14, 16)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고, 주변 조도 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운전자는 실내등(10, 12, 14, 16)이 점등되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12, 14, 16: 실내등 20: 음파 감지부
30: 조도 감지부 40: ECU
30: 조도 감지부 40: ECU
Claims (12)
-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
차량의 천정에 설치되고, 상기 천정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음파 감지부; 및
상기 음파 감지부로 감지된 상기 음파의 세기에 따라 상기 실내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내에 소정 기준 이하의 음파가 복수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을 모두 제어하는 차량용 실내등 제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의 세기가 소정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실내등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 차량용 실내등 제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의 세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조도에 대응되는 밝기로 상기 실내등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실내등 제어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조도가 높을수록 상기 밝기가 증가하는 차량용 실내등 제어 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준 이하의 음파의 발생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 중 상기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실내등을 제어하는 차량용 실내등 제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의 주파수를 계산하고, 상기 음파의 주파수가 상기 천정의 충격에 의해 발생된 음파의 주파수 영역 내이면, 상기 음파의 세기에 따라 상기 실내등을 제어하는 차량용 실내등 제어 장치. - 차량 천정을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음파의 세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음파의 세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소정 기준 이하의 음파가 복수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을 모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등 제어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주변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조도에 대응되는 밝기로 상기 실내등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등 제어 방법. - 삭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소정 기준 이하의 음파의 발생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등 중 상기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실내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등 제어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의 세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음파의 주파수를 계산하고, 상기 음파의 주파수가 상기 천정의 충격에 의해 발생된 음파의 주파수 영역 내이면 상기 음파의 세기를 판단하는 차량용 실내등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36405A KR101500401B1 (ko) | 2013-11-11 | 2013-11-11 |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36405A KR101500401B1 (ko) | 2013-11-11 | 2013-11-11 |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0401B1 true KR101500401B1 (ko) | 2015-03-09 |
Family
ID=5302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36405A KR101500401B1 (ko) | 2013-11-11 | 2013-11-11 |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040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2784A (ja) * | 1998-12-16 | 2000-06-3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照明装置 |
KR20090024853A (ko) * | 2007-09-05 | 2009-03-10 | 김영식 | 차량의 인테리어 조명장치 |
-
2013
- 2013-11-11 KR KR20130136405A patent/KR1015004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2784A (ja) * | 1998-12-16 | 2000-06-3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照明装置 |
KR20090024853A (ko) * | 2007-09-05 | 2009-03-10 | 김영식 | 차량의 인테리어 조명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432153B (zh) | 控制器、照明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 |
KR101907207B1 (ko) | 자동차 외부 가시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센서 장치 | |
US10000157B2 (en) | Controlling dimming of mirrors or displays using dual-function lighting | |
KR20130115598A (ko) |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 |
KR20050024648A (ko) |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발광 장치 | |
JP2008084802A (ja) | 車両用の照明装置 | |
US11700681B2 (en) | Self-test procedure for a control device | |
JP2012155874A (ja) | 照明器具 | |
US20110241545A1 (en) | Vehicle headlight alert system and method | |
KR101500401B1 (ko) | 차량 실내등 제어 장치 및 방법 | |
KR102213684B1 (ko) |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 |
RU2016132582A (ru) | Встречающее/провожающее освещение на основе напечатанного светодиода на основе красителя на основе рилена | |
CN110671684A (zh) | 一种光敏感应灯及其控制方法 | |
US20100253229A1 (en) | Luminair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luminaire | |
JP2004531418A (ja) | 光センサ装置をウインドシールドに自動的に適応させる装置と方法 | |
US10548196B2 (en) | Light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individuals by using light having a different spectrum | |
CN107933421A (zh) | 车载呈现照明系统 | |
US9610892B1 (en) | Infrared bin lighting | |
KR101393349B1 (ko) |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 |
JP2008513294A (ja) | 自動車の照明装置 | |
JP5256266B2 (ja) | 複合型警報器 | |
CN109572534B (zh) | 一种车辆及车辆灯光控制方法和装置 | |
FI127633B (fi) | Valaisin ja menetelmä valaisimen yhteydessä | |
KR101127815B1 (ko) | 조명제어장치 | |
WO2023047505A1 (ja) | 照明制御装置、生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照明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