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491B1 -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8491B1 KR101508491B1 KR20130129304A KR20130129304A KR101508491B1 KR 101508491 B1 KR101508491 B1 KR 101508491B1 KR 20130129304 A KR20130129304 A KR 20130129304A KR 20130129304 A KR20130129304 A KR 20130129304A KR 101508491 B1 KR101508491 B1 KR 1015084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handpiece
- switch
- control unit
- mo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61C1/003—Control of rotation of instru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6—Control means; Display uni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61C1/0023—Foot contr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4—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readle or manual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는 핸드피스와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핸드피스의 모터의 동작 회전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동작 회전수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아 회전 중인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무선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무선으로 전송된 상기 스위치의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대체로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RF 통신이 가능한 스위치를 활용하여 핸드피스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성장에 따른 생활 환경 개선과 의술의 발달로 국민의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이미 노령화 사회에 접어든지 오래며, 머지않아 초고령 사회가 될 전망이다. 흔히 오복 중의 하나로 치아를 손꼽는다. 경제 성장과 노령화 사회의 진입에 따라 아이부터 어르신들까지 치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핸드피스는 치아를 진료하는 치과, 뼈를 다루는 정형외과 또는 손발톱 등을 손질하는 미용실 등에서 사용되는 핵심적인 기구이다. 시술자가 효과적인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핸드피스 기술은 나날이 발전 중에 있으나, 핸드피스를 사용하는 작업환경에 대한 개선은 다소 아쉬운 편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피스는 핸드피스에 내장된 모터의 출력, 동작 회전수(rpm, 분당회전수)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control box)와 함께 사용이 된다.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핸드피스도 있지만, 배터리만으로는 충분한 출력을 얻을 수 없어 병원, 미용실 등의 현장에서는 제어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핸드피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술과정에서 시술결과를 확인하거나 다음 위치로 옮겨가며 시술을 진행할 경우 핸드피스의 모터의 동작을 잠시 정지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 경우, 매번 제어장치의 전원을 시술자가 직접 이동하여 차단할 경우 작업 능률이 저하된다. 물론 핸드피스에 모터를 정지시킬 정지수단을 부가할 수 있지만, 섬세한 작업 과정 중에 정지수단을 손을 직접 작동하거나 이동하여 정지시킬 경우 시술자의 집중도를 떨어뜨려 작업 능률의 저하나 시술부위에 예기치 못한 손상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에 핸드피스의 모터의 동작을 잠시 정지했다가 필요할 경우에 모터를 동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제어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모터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스위치할 수 있는 장치의 예가 등록실용 KR 20-0332478 ‘고주파 진동 피지 제거기’, 공개특허 KR 10-2003-0014813 등에서 제안된 바 있다. 인용발명들은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된 페달(pedal)을 사용하여 모터의 동작을 스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들과 같이 모터의 동작을 유선으로 스위치할 경우 시술에 집중한 시술자가 제어장치와 연결된 스위치의 명령전송라인에 걸려 시술부위에 예기치 못한 손상을 줄 수 있다. 특히, 제어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핸드피스의 경우에 시술자는 핸드피스의 전원라인과 스위치의 명령전송라인을 동시에 신경을 써야하는 문제가 생긴다. 무선 스위칭 방식을 채택한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는 이 점에서 인용발명들과 차이가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핸드피스(handpiece) 무선 제어장치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는 핸드피스와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핸드피스의 모터의 동작 회전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동작 회전수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아 회전 중인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무선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무선으로 전송된 상기 스위치의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한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의 제어부 및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의 제어부의 복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의 제어부 및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의 제어부의 복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또는 “연결되는”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110, 120, 130,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의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의 제어부 및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의 제어부의 복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100)는 전원공급부(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및 스위치(14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스위치 선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10)는 핸드피스(10)와 연결되어 핸드피스(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경우, 핸드피스(10)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은 중앙처리부(134)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핸드피스(10)의 모터의 동작 회전수를 입력받는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120)을 통하여 원하는 스피드로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가 동작하도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동작 스피드는 표시창(160)에 표현될 수 있다. 표시창(160)을 통하여 사용자는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동작 스피드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창(160)에 표현되는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 스피드는 예로서 분당 회전수인 RPM(revolutions per minute)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받은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 회전수에 따라 전원공급부(110)의 출력을 조절하여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는 중앙처리부(134)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회전수 제어는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에는 회전 감지센서(미도시) 및 펄스 생성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감지센서는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상기 펄스 생성부에 전달한다. 상기 펄스 생성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펄스를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펄스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펄스를 카운트하여 이를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받은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 회전수와 비교한 후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가 입력받은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 회전수를 갖도록 제어함으로써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수를 입력부(120)을 통하여 입력받은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 회전수로 제어할 수 있는 한 제어부(130)가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는 그 제한이 없다. 또한, 제어부(130)는 무선으로 전송된 스위치(140)의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수신안테나(131), 제2증폭기(132), 복조기(133) 및 중앙처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아래의 스위치(140)의 설명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스위치(140)는 제어부(13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아 회전 중인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 시킨다. 이 경우, 스위치(140)는 상기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130)에 무선으로 전송하며, 제어부(130)는 무선으로 전송된 스위치(140)의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한다. 한편, 스위치(140)로부터 제어부(130)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상기 온-오프 신호는 스위치(14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수신된 스위치(140)의 상기 식별정보가 제어부(130)에 미리 설정된 스위치(140)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무선으로 전송된 스위치(140)의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할 수 있다. 제어부(130)에 미리 설정된 스위치(140)의 상기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미리 프로그램 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다수의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100)가 사용되는 작업현장에서 각각의 제어부(130)는 다수의 스위치(140)들이 송신하는 다수의 무선 신호들 중에서 원하는 신호를 선별해 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스위치(140)는 페달(141), 신호생성부(142), 변조기(143), 제1증폭기(144) 및 송신안테나(145)를 포함할 수 있다.
페달(141)은 사용자의 상기 동작에 따라 움직인다. 도면에는 페달(141)로서 풋페달(foot pedal)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기 풋페달은 사용자가 발로 밟을 경우 눌렸다가 이후 사용자가 발을 떼는 경우 복원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풋페달은 예로서 사용자가 발로 밟는 발판부(141a), 발판부(141a)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는 바닥부(141b) 및 발판부(141a)와 바닥부(141b)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발판부(141a)와 바닥부(141b)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발을 떼는 경우 발판부(141a)가 원 위치로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사용자의 상기 동작에 따라 움직이고 복원될 수 있는 한 페달(141)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다.
신호생성부(142)는 페달(14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생성한다. 신호생성부(142)는 상기 온-오프 신호 이외에 제어부(130)가 스위치(140)의 ID(identification)를 식별할 수 있도록 스위치(140)의 상기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식별정보 생성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42)는 스위치(140)에 내장된 전원에 의해 전원을 제공받거나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례로, 페달(141)은 서로 마주보는 발판부(141a)의 일면 및 바닥부(141b)의 일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전극(미도시) 및 제2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사용자의 상기 동작에 따라 움직여 서로 만나서 접하거나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들 수 있다. 사용자가 페달(141)을 눌러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이 서로 만나는 경우,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되게 된다. 신호생성부(142)는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동작 전과 동작 후를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페달(141)을 눌러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의 간격이 좁아드는 경우,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사이에서 얻어지는 정전용량은 사용자의 동작 전과는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신호생성부(142)는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동작 전과 동작 후를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온-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페달(141)은 동작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서로 마주보는 발판부(141a)의 상기 일면 또는 바닥부(141b)의 상기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페달(141)을 눌러 발판부(141a)의 상기 일면이 움직이거나, 발판부(141a)의 상기 일면과 바닥부(141b)의 상기 일면이 가까워지는 경우 신호생성부(142)는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동작 전과 동작 후를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페달(141)은 서로 마주보는 발판부(141a)의 상기 일면 또는 바닥부(141b)의 상기 일면에 배치되는 압력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상기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동작 전과 동작 후를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사용자의 상기 동작을 인식하여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생성해 낼 수 있는 다양한 소자가 신호생성부(142)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생성된 상기 온-오프 신호는 상기 식별정보 생성기가 생성하는 스위치(140)의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변조기(143)에서 변조될 수 있다. 이하 간결하게 기술하기 위하여 상기 온-오프 신호 또는 상기 온-오프 신호와 스위치(140)의 상기 식별정보가 합쳐진 신호를 온-오프 신호로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표현이 상기 온-오프 신호를 특정한 유형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변조기(143)는 신호생성부(142)에서 생성된 상기 온-오프 신호를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조한다.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상기 RF신호로 변조하는 방법으로는 아날로그 변조, 디지털 변조, 펄스 변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스위치(140)에 내장된 오실레이터(oscillator, 미도시)를 통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고주파의 반송파(carrier)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반송파 신호를 혼합기(mixer, 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온-오프 신호와 혼합함으로써 상기 온-오프 신호는 상기 RF신호로 변조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주파수는 예로서 900MHz 또는 2.4GHz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신호생성부(142)에서 생성된 상기 온-오프 신호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조 가능하다.
제1증폭기(144)는 변조기(143)를 통하여 상기 RF신호로 변조된 상기 온-오프 신호를 증폭한다. 이하 간략하게 기술하기 위하여 상기 RF신호로 변조된 상기 온-오프 신호를 RF신호로 간단히 칭하기로 한다. 무선으로 통신을 할 경우에 유선 통신에 비하여 신호세기의 감쇠가 매우 심하므로 제1증폭기(144)를 통하여 상기 RF신호를 증폭한다. 송신안테나(145)는 제1증폭기(144)를 통하여 증폭된 상기 RF신호를 제어부(130)로 송신한다.
제어부(130)의 수신안테나(131)는 스위치(140)의 송신안테나(145)를 통하여 송신된 상기 RF신호를 수신한다. 송신된 상기 RF신호는 무선으로 전송되므로 전파과정에서 신호세기의 감쇠가 발생한다.
제2증폭기(132)는 수신안테나(131)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RF신호를 증폭한다. 제2증폭기(132)를 통하여 증폭된 상기 RF신호는 복조기(133)를 통하여 상기 온-오프 신호로 복조된다. 상기 RF신호로부터 상기 온-오프 신호로의 복조는 수신안테나(131)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의 변조된 방식에 따라 그 방법이 달라진다. 이하에서는 앞서 변조기(143)와 관련된 설명에서 예로서 설명한 혼합기를 통해 고주파의 반송파 신호에 상기 온-오프 신호가 혼합되어 전송된 상기 RF신호의 복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RF신호로부터 상기 온-오프 신호로의 복조는 상기 RF신호에서 상기 고주파의 반송파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얻어진다. 일례로, 상기 RF신호에서 상기 고주파의 반송파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고주파의 반송파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국부발진신호와 상기 RF신호를 혼합기(mixer, 미도시)를 통하여 직접 혼합하고 이때 생성되는 신호들에서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국부발진신호는 제어기(130)에 내장된 오실레이터(미도시)를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F신호에서 상기 온-오프 신호를 복조하는 과정은 상기 RF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복조한 다음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로 복조된 상기 RF신호로부터 상기 온-오프 신호를 복조할 수도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수신안테나(131)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RF신호를 제2증폭기(132)를 통하여 증폭한다. 복조기(133)는 증폭된 상기 RF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혼합기(Mixer)를 통하여 제1국부발진기(1st Local Oscillator)에서 생성되는 제1국부발진신호와 혼합한다. 이때, 상기 제1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RF신호의 주파수보다 중간주파수만큼 높은 주파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간주파수는 예로서 455kHz 또는 10.7MHz일 수 있다. 이후 상기 혼합기를 통하여 혼합된 신호는 중간주파수 증폭기(1st IF Amp, 1st Immediate Frequency Amplifier)를 통하여 증폭될 수 있다. 증폭된 상기 혼합기를 통하여 혼합된 상기 신호는 복조기(Demodulator)에서 제2국부발진기(2nd Local Oscillator)에서 생성되는 제2국부발진신호와 혼합된다. 이때 생성되는 신호들에서 고주파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RF신호로부터 상기 온-오프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중간주파수와 동일하다. 수신된 상기 RF신호를 상기 중간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온-오프 신호를 복조할 경우 주변 잡음이나 주변 회로에 영향을 덜 받는 수신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로부터 직접 상기 온-오프 신호를 복조할 경우에 원하는 주파수 채널을 얻기 위한 주파수 필터링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중간주파수를 활용할 경우 주파수 필터링이 용이하여 시스템의 채널선택 특성을 높일 수 있다.
중앙처리부(134)는 복조기(133)를 통하여 복조된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한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100)는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변조기(143), 제1증폭기(144) 및 송신안테나(145)는 신호생성부(142)가 생성하는 상기 온-오프 신호에 따라 각각 온-오프될 수 있다. 신호생성부(142)의 상기 온-오프 신호는 사용자의 상기 동작에 따라 움직이는 페달(141)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동작이 없을 경우 신호생성부(142)는 오프 신호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변조기(143), 제1증폭기(144) 및 송신안테나(145)에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를 통하여 대기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어 스위치(140)의 전원으로 내장형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위치 선택부(150)는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위치 선택부(150)를 통하여 스위치(140)의 사용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스위치(140)의 상기 사용 명령이 수신된 경우 스위치(140)의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100)는 핸드피스(10)의 상기 모터의 동작을 잠시 정지했다가 필요할 경우에 상기 모터를 동작할 필요가 있을 때 효과적이다. 종래의 기술들과 같이 상기 모터의 동작을 유선으로 스위치할 경우 시술에 집중한 시술자가 제어장치와 연결된 스위치의 명령전송라인에 걸려 시술부위에 예기치 못한 손상을 줄 수 있다. 특히, 제어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핸드피스(10)의 경우에 시술자는 핸드피스(10)의 전원라인과 스위치의 명령전송라인을 동시에 신경을 써야하는 문제가 생긴다. 무선 스위칭 방식을 채택한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100)는 이 점에서 인용발명들과 차이가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Claims (6)
- 삭제
- 핸드피스와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핸드피스의 모터의 동작 회전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동작 회전수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아 회전 중인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무선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무선으로 전송된 상기 스위치의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하며,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상기 온-오프 신호는 상기 스위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스위치의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상기 스위치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무선으로 전송된 상기 스위치의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하는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 - 핸드피스와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핸드피스의 모터의 동작 회전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동작 회전수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아 회전 중인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 선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무선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무선으로 전송된 상기 스위치의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 선택부를 통하여 상기 스위치의 사용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상기 사용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스위치의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하는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의 상기 동작에 따라 움직이는 페달;
상기 페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온-오프 신호를 RF신호로 변조하는 변조기;
상기 변조기를 통하여 RF신호로 변조된 상기 온-오프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및
상기 제1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상기 RF신호로 변조된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송신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상기 송신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된 상기 RF신호로 변조된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
상기 수신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RF신호로 변조된 상기 온-오프 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 및
상기 제2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상기 RF신호로 변조된 상기 온-오프 신호로부터 상기 온-오프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조기를 통하여 복조된 상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상기 모터의 상기 동작을 온-오프하는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기는 상기 RF신호로 변조된 상기 온-오프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복조한 다음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로 복조된 상기 온-오프 신호로부터 상기 온-오프 신호를 복조하는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 상기 제1증폭기 및 상기 송신안테나는 상기 신호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온-오프 신호에 따라 각각 온-오프되는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9304A KR101508491B1 (ko) | 2013-10-29 | 2013-10-29 |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9304A KR101508491B1 (ko) | 2013-10-29 | 2013-10-29 |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8491B1 true KR101508491B1 (ko) | 2015-04-07 |
Family
ID=5303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9304A KR101508491B1 (ko) | 2013-10-29 | 2013-10-29 |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849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09317A (zh) * | 2018-08-06 | 2018-12-18 |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 一种手术器械控制设备及控制方法 |
US11484107B2 (en) * | 2019-05-28 | 2022-11-01 | Kupa, Inc. | Electronic nail file with digital control and display and system of operation |
WO2023205417A1 (en) * | 2022-04-22 | 2023-10-26 | Nail Alliance, Llc | Electric drill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520654A (ja) * | 2003-03-21 | 2006-09-14 |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歯科用ハンドピース及び装置 |
JP2008228769A (ja) | 2007-03-16 | 2008-10-02 | Morita Mfg Co Ltd | 根管長測定器及び根管治療器 |
JP2012011068A (ja) * | 2010-07-02 | 2012-01-19 | Nakanishi:Kk |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モータ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
JP2013184065A (ja) | 2012-03-09 | 2013-09-19 | Ormco Corp | 歯内治療用モータの非対称的な惰走を制御する装置および方法 |
-
2013
- 2013-10-29 KR KR20130129304A patent/KR101508491B1/ko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520654A (ja) * | 2003-03-21 | 2006-09-14 |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歯科用ハンドピース及び装置 |
JP2008228769A (ja) | 2007-03-16 | 2008-10-02 | Morita Mfg Co Ltd | 根管長測定器及び根管治療器 |
JP2012011068A (ja) * | 2010-07-02 | 2012-01-19 | Nakanishi:Kk |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モータ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
JP2013184065A (ja) | 2012-03-09 | 2013-09-19 | Ormco Corp | 歯内治療用モータの非対称的な惰走を制御する装置および方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09317A (zh) * | 2018-08-06 | 2018-12-18 |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 一种手术器械控制设备及控制方法 |
US11484107B2 (en) * | 2019-05-28 | 2022-11-01 | Kupa, Inc. | Electronic nail file with digital control and display and system of operation |
US11812836B2 (en) | 2019-05-28 | 2023-11-14 | Kupa, Inc. | Electronic nail file with digital control and display and system of operation |
WO2023205417A1 (en) * | 2022-04-22 | 2023-10-26 | Nail Alliance, Llc | Electric drill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46153B2 (en) | Tracking device | |
KR101508491B1 (ko) | 핸드피스 무선 제어장치 | |
CN107548337B (zh) | 修整器具 | |
US2006016662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C Class-B compliant RF transmitter for data monitoring an detection systems | |
KR200428011Y1 (ko) |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 |
EP1611834A3 (en) | Medical apparatus remote control and method | |
MX2007005192A (es) | Transmision segura de control inalambrico a unidad central. | |
JP2011502695A (ja) | 医療装置の遠隔制御を可能にするための、中央制御装置に対する無線遠隔コンソールの自動的電源on及び同期化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WO2006025918A3 (en) | Process field device with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 |
TW200419966A (en) | Enhanced RF wireless adaptive power provisioning system for small devices | |
GB2433347A (en) | Wireless display update system without a local power source | |
CN104122999B (zh) | 智能设备交互方法及系统 | |
TW201529132A (zh) | 生物接觸式互動遊樂系統、配戴互動系統以及資料傳輸電路 | |
CN105534508A (zh) | 一种智能护理机 | |
EP3108589B1 (en) | Recordal of potential harmful radiation | |
JP3203629U (ja) | 無線制御式電気治療装置 | |
KR20150093000A (ko) | 능동형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안내장치 | |
KR20140144908A (ko) | 리모콘 위치 알람 장치 | |
CN106470729A (zh) | 用于腔内或血管内定位操作的远程控制系统和方法 | |
US9339010B2 (en) | Animal training apparatus with radio transceiver | |
JP2007117481A (ja) | 生体情報モニタシステム | |
KR101340685B1 (ko) |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기 검색 시스템 및 방법 | |
JP2004272771A (ja) | ホームセキュリティ装置 | |
KR20110044444A (ko) | 동물훈련장치 및 제어방법 | |
JP2019062976A (ja) | 低周波治療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