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440B1 - Container with lid - Google Patents
Container with l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8440B1 KR101508440B1 KR20130129507A KR20130129507A KR101508440B1 KR 101508440 B1 KR101508440 B1 KR 101508440B1 KR 20130129507 A KR20130129507 A KR 20130129507A KR 20130129507 A KR20130129507 A KR 20130129507A KR 101508440 B1 KR101508440 B1 KR 1015084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upper lid
- container
- state storage
- air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을 일체로 떼어낼 수 있는 것과 함께, 용기 본체내가 감압 상태가 되어도 확실하고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보온 성능이 높은 뚜껑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와 나사식 결합하는 하부 뚜껑(4)과, 하부 뚜껑(4)에 끼워져 맞춰지는 상부 뚜껑(5)으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하부 뚜껑(4)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안팎을 연이어 통하는 공기구멍(13)과, 하부에 설치되는 용기 본체(2)의 내면에 접촉하는 탄성 패킹(14)을 구비하고, 상부 뚜껑(5)이, 공기구멍(13)에 대향하는 위치에 탄성 폐색부(38)를 가지는 공기구멍 폐색 패킹(23)을 구비하고, 하부 뚜껑(4)의 내벽 또는 상부 뚜껑(5)의 외벽의 한쪽에는 돌출 형상의 걸어맞춤부인 걸어맞춤 돌기(16)가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걸어맞춤 돌기(16)를 수용하여 상부 뚜껑(5)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열린 상태 수납부(34) 및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닫힌 상태 수납부(31)를 가지는 걸어맞춤 홈(22)이 형성됨으로써,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을 일체화한 채로, 마개를 열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with a lid which is capable of detaching the upper lid and the lower lid integrally and which can be reliably and easily released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is in a reduced pressure state,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2) having an opening, a lower lid (4) screwed into the container body (2), and an upper lid (5) fitted in the lower lid (4) 4 has an air hole 13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outside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and an elastic packing 14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And an air hole closure packing 23 having an elastic closure part 38 at a position facing the hole 13. An air hole closing packing 23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lower lid 4 or on the outer wall of the upper lid 5,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rovided with an open state storage portion 34 for holding the engagement protrusions 16 and maintaining the open state of the upper lid 5 and an open state storage portion 34 for holding the closed state The upper lid 5 and the lower lid 4 are formed by the engagement groove 22 hav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31, While it integrated, and open the cap.
Description
본 발명은, 뚜껑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equipped container.
종래, 이런 종류의 것으로서 상부 개구를 형성한 보온용기 본체와, 보온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기 위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뚜껑과, 안뚜껑의 상방을 덮고 보온용기의 외주면에 나사식 결합하여 부착되는 바깥뚜껑을 구비하고, 안뚜껑에는, 안팎을 연이어 통하는 공기로가 형성되어, 이 공기로를 상부 뚜껑의 공기구멍 폐색 패킹으로 밀봉하는 구성에 의해, 보온용기 내의 내부가 감압 상태이더라도 공기구멍으로부터 외기(外氣)를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를 상압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고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0003] Conventionally, this type of apparatus has been proposed, which comprises a main body of a warming container having an upper opening formed therein, an inner lid detachably installed to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thermal insulating container main body, The inner lid is provided with an outer lid to which the inner lid is attached and the inner lid is formed with an air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id so that the air lid is sealed with the air hole closing packing of the upper lid. It is known that the inside can be returned to an atmospheric pressure stat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마개를 열 때에 바깥뚜껑을 떼어낸 후, 안뚜껑을 벗기지 않으면 안되어, 2단 작업이 필요해져서 번잡하였다.However, in the
따라서, 바깥뚜껑에 안뚜껑을 눌러 끼워맞춤시키는 끼워맞춤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별체의 안뚜껑과 바깥뚜껑을 일체로 하여, 한 번에 꺼낼 수 있도록 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Therefore, it is known to provide a fitting means for fitting an inner lid to the outer lid so that the inner lid and the outer lid can be integrated into one opening at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For example,
그러나, 특허문헌 2와 같은 예에서는, 안뚜껑과 바깥뚜껑을 한 번에 떼어낼 수 있었지만, 안뚜껑을 바깥뚜껑이 탄성부재에서만 계류(係留)되어 있기 때문에, 끼워맞춤 조정이 어렵고, 상정(想定)외에 용기 본체가 감압 상태가 된 경우에는, 일체로 벗겨지기 어려워지고, 안뚜껑을 바깥뚜껑으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내용물과 접한 안뚜껑 하면에 손이 닿아 버리기 때문에 더러워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또한, 특허문헌 3과 같은 예에서는, 바닥벽이 설치된 마개부재와, 천장벽이 설치된 마개 캡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체결함으로써 마개체를 이루고, 마개체 내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통해서 외기를 도입함으로써 용기내의 부압을 해소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바깥뚜껑에 단열재를 넣을 수 없어, 보온 성능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example of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을 일체로 떼어낼 수 있는 것과 함께, 용기 본체내가 감압 상태가 되어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보온 성능이 뛰어난 뚜껑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d which can be detached integrally with an upper lid and a lower lid, can reliably and easily be released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is in a reduced pressure state, And to provide an attachment container.
청구항 1의 발명의 뚜껑부착 용기는,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와 나사식 결합하는 하부 뚜껑과, 상기 하부 뚜껑에 장착되는 상부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뚜껑부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뚜껑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안팎을 연이어 통하는 공기구멍과,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에 접촉되는 탄성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뚜껑이, 상기 공기구멍에 대향하는 위치에 탄성 폐색부를 가지는 공기구멍 폐색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뚜껑의 내벽 또는 상기 상부 뚜껑의 외벽의 한쪽에는 돌출 형상의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다른쪽에는 상기 걸어맞춤부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 뚜껑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열린 상태 수납부 및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닫힌 상태 수납부를 가지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d-attaching container of the invention of
청구항 2의 발명의 뚜껑부착 용기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기 열린 상태 수납부에 상기 걸어맞춤부가 위치할 때는, 상기 탄성 폐색부에 의해 상기 공기구멍이 폐색되지 않고, 상기 홈부의 상기 닫힌 상태 수납부에 상기 걸어맞춤부가 위치할 때는, 상기 탄성 폐색부에 의해 상기 공기구멍이 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d-equipped container according to
청구항 3의 발명의 뚜껑부착 용기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상기 열린 상태 수납부와 닫힌 상태 수납부에 연이어 통하는 삽입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lid-attach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wherein the groove portion has an inser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pen state storage portion and the closed state storage portion.
청구항 4의 발명의 뚜껑부착 용기는, 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연이어 통하는 상기 열린 상태 수납부와 상기 닫힌 상태 수납부와의 사이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d-equipped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wherein a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pen-state storage portion and the closed-state storage portion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청구항 5의 발명의 뚜껑부착 용기는, 청구항 1 내지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뚜껑 또는 상기 하부 뚜껑이, 상기 탄성 폐색부보다 높이가 있는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lid-equipped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wherein the upper lid or the lower lid has an elastic dent gap-holding portion having a height higher than the elastic occlusion portion.
청구항 6의 발명의 뚜껑부착 용기는, 청구항 1 내지 5에 있어서, 상기 홈부와 상기 걸어맞춤부를 복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d-equipped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aspects, wherein the groove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provided.
청구항 7의 발명의 뚜껑부착 용기는, 청구항 1 내지 6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단열 용기이며, 상기 상부 뚜껑이 단열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d-attach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aspects, the container body is a heat-insulating container, and the upper lid h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을 일체화한 채로, 마개를 열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을 일체화한 채로, 감압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일체화되어 있는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을 분해할 수 있어, 각 뚜껑체의 세세한 부분까지 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열린 상태 수납부와 닫힌 상태 수납부 사이를 걸어맞춤부가 이동했을 때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어, 걸어맞춤부의 위치가 명확하게 되는 것과 함께, 용기 본체가 감압 해제되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5에 의하면, 홈부의 열린 상태 수납부에 걸어맞춤부가 위치할 때,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의 걸어맞춤 위치가 유지되어, 뚜껑체를 안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청구항 6에 의하면,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은 수평으로 유지되기 쉬워, 분해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청구항 7에 의하면, 높은 보온 성능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뚜껑부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뚜껑부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뚜껑부착 용기의 상부 뚜껑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뚜껑부착 용기의 상부 뚜껑을 떼어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뚜껑부착 용기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뚜껑부착 용기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뚜껑부착 용기의 분해 방향 회동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뚜껑부착 용기의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equipped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dded
3 is a front view of the top lid of the lid-attach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d-attachabl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n upper lid is removed.
5 is a sectional view of a lid-attachabl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d-attachabl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ed stat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d-attachabl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engaging direc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equipped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전부가, 본 발명의 필수요건이라고는 한정할 수 없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do not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claims. In addition, all of the constitutions described below are not necessarily essential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이하, 실시예 1을 도 1 내지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뚜껑부착 용기(1)를 나타내고 있다. 뚜껑부착 용기(1)는, 단열 이중구조의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3)를 덮는 하부 뚜껑(4)과, 하부 뚜껑(4) 위에 장착되는 상부 뚜껑(5)으로 구성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 1 shows a lid-equipped
용기 본체(2)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외통(6)과, 상기 외통(6)의 안쪽에 수용되는 내통(7)으로 구성되고, 양자의 상단이 접합되는 것에 의해 외통(6)과 내통(7)과의 사이에 단열층인 진공층을 가진 단열 이중용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2)는, 내통(7)의 상부 내주면에, 안쪽을 향하여 돌출된 지수부(止水部)(8)를 설치하고, 외통(6)의 상부 외주면에, 숫나사(9)를 나사식 설치하고 있다.The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3)를 덮는 하부 뚜껑(4)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몸통부(10)와, 제 1 몸통부(10)의 상단이 외측으로 절곡하여 하방을 향하여 되접어 꺾임으로써 형성되는 제 1 외주판부(11)를 구비하고, 제 1 몸통부(10)와 제 1 외주판부(11)와의 간극 A에는, 상기 용기 본체(2)가 상부측으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 1 몸통부(10)에는, 바닥부(12)의 대략 중심에 공기구멍(13)이 천공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부에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패킹(14)을 부착하는 부착홈(15)이 둘레 형성되고, 내주면의 상부에 등간격을 두고 3개소에 배치된 돌출 형상의 걸어맞춤부인 걸어맞춤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외주판부(11)는, 내주면에 암나사(17)를 나사식 설치하고 있고, 이것을 용기 본체(2)의 숫나사(9)에 나사식 결합하여 단단히 조여가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2)에 하부 뚜껑(4)을 장착할 수 있다.The
상기 하부 뚜껑(4) 위에 장착되는 상부 뚜껑(5)은, 하부 뚜껑(4)의 상부를 전면적으로 덮는 천판부(18)와, 그 천판부(18)에 연속하여 아래로 늘어지는 제 2 외주판부(19)와, 천판부(18)에 대해서 작은 지름으로서 동심원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몸통부(20)를 구비하고, 천판부(18)와 제 2 몸통부(20)와의 치수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몸통부(20)와 제 2 외주판부(19)와의 간극 B에는, 하부 뚜껑(4)이 상부측으로부터 유동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부가 천판부(18)의 하면에 접합되는 제 2 몸통부(20)는, 내부에 단열재(21)를 구비하고 있어, 높은 보온 성능을 가지는 것 외에 외주면에는 하부 뚜껑(4)의 걸어맞춤 돌기(16)에 대응하여 3개소에 배치되는 홈부인 걸어맞춤 홈(22)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인 공기구멍(13)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공기구멍(13)을 폐색하는 공기구멍 폐색 패킹(23)을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는 패킹 유지부(24)가 설치된다.The
걸어맞춤 홈(22)은, 상하 방향을 단변, 좌우 방향을 장변으로 하는 대략 옆으로 넘어진 L자 형상으로 전체를 형성하고, 걸어맞춤 홈(22)의 일단에 하방으로 향하여 개구하는 삽입부(25)를 설치하고, 그 삽입부(25)에 연속하는 상하 방향의 수직 안내로(26)와, 수직 안내로(26)에 연속하여 경사 상방으로 향해 경사지는 경사 안내로(27)와, 경사 안내로(27)에 연속하는 수평 안내로(28)와, 수평 안내로(28)의 상부에 연속하여 경사 하방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제 1 경사 안내부(29)를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경사 안내부(29)에는 걸어맞춤 홈(22)의 타단이 되는 제 1 접촉부(30)를 가지는 닫힌 상태 수납부(31)가 연속해서 설치되고, 이 닫힌 상태 수납부(31)의 하부에는 돌기부(32)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일단측에 경사 하방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제 2 경사 안내부(33)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안내로(28) 및 상기 제 1 경사 안내부(29)의 하방 위치에는, 제 2 경사 안내부(33)와 연속하는 열린 상태 수납부(34)가 설치되고, 열린 상태 수납부(34)에는 경사 안내로(27)와의 높낮이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접촉부(35)가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공기구멍(13)을 폐색하는 공기구멍 폐색 패킹(23)은,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평면이 원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킹 유지부(24)에 끼워 넣어져 유지되는 끼워맞춤부(36)와, 단면 <자 형상의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37)와, 공기구멍(13)에 대향하여 하방으로 향하여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탄성 폐색부(38)를 구비하고,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37)에는, 안팎을 연이어 통하는 통기구멍(39)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The air hole closure packing 23 for closing the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뚜껑부착 용기(1)의 개폐 기구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뚜껑부착 용기(1)를 조립할 때에는, 하부 뚜껑(4)의 제 1 몸통부(10)와 제 1 외주판부(11)와의 간극 A에 용기 본체(2)를 상부측으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끼우고, 하부 뚜껑(4)을 용기 본체(2)의 숫나사(9)에 나사식 결합하여 단단히 조여가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2)상에 하부 뚜껑(4)이 장착되고, 동시에, 용기 본체(2)의 내통(7)에 형성되는 지수부(8)에, 하부 뚜껑(4)의 부착홈(15)에 부착된 탄성 패킹(14)이 접촉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하부 뚜껑(4)의 상부 개구(3)를 덮는 상부 뚜껑(5)은, 등간격을 두고 3개소에 배치된 걸어맞춤 돌기(16)의 위치에 걸어맞춤 홈(22)이 구비하는 삽입부(25)의 위치를 맞추어, 각각의 삽입부(25)로부터 걸어맞춤 돌기(16)를 동시에 삽입함으로써, 하부 뚜껑(4)의 걸어맞춤 돌기(16)를 수직 안내로(26), 경사 안내로(27)의 순서로 안내해 간다. 경사 안내로(27)에 안내된 걸어맞춤 돌기(16)는, 상부 뚜껑(5)을 하방으로 누르면서 걸어맞춤 홈(22)의 타단측인 닫힌 방향을 향하여 회동하는 것에 의해, 걸어맞춤 홈(22)의 상부를 따르도록 하여 수평 안내로(28), 제 1 경사 안내부(29)의 순서로 안내되어, 최종적으로 닫힌 상태 수납부(31)내의 제 1 접촉부(30)에 접촉하면,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이 걸어 맞춰져 뚜껑부착 용기(1)의 조립 상태, 즉 용기 본체(2), 바깥뚜껑 및 하부 뚜껑(4)이 일체가 된 마개가 닫힌 상태가 된다. 한편, 걸어맞춤 돌기(16)가 닫힌 상태 수납부(31)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안내될 때에는,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돌기부(32)를 타넘은 후, 타단에 있는 제 1 접촉부(30)에 접촉하여 걸어 맞춰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걸어맞춤 돌기(16)가 닫힌 상태 수납부(31)내에 들어가, 닫힌 상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접촉부(30)에 걸어맞춤 돌기(16)가 접촉하면, 상부 뚜껑(5)의 닫힌 방향으로의 회동은 억제되고, 상부 뚜껑(5)과 일체가 된 하부 뚜껑(4)에 회동력이 전달되므로, 하부 뚜껑(4)이 용기 본체(2)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이 일체로 된 상태로, 용기 본체(2)와의 나사식 결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 돌기(16)와 걸어맞춤 홈(22)은, 각각 둘레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이 수평으로 유지되기 쉬워져, 분해 또는 조립 동작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Next,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equipped
여기서, 탄성 변형 전의 공기구멍 폐색 패킹(23)은,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37)에 의해 탄성 폐색부(38)와 공기구멍(13)을 일정한 간극 C를 가진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37)의 높이 T1은, 삽입부(25)로부터 경사 안내로(27)에 있어서의 안쪽 경사 안내부(40)의 하부까지의 높이 T2, 즉 수직 안내로(26)의 상부까지의 높이와, 대략 같게 설치되어 있고(T1≒T2), 이들의 높이는 삽입부(25)로부터 닫힌 상태 수납부(31)까지의 높이 T3보다 낮아져 있다(T1≒T2<T3). 상기 구성에 의해, 걸어맞춤 돌기(16)가 걸어맞춤 홈(22)내에 삽입 상태로, 또한 상부 뚜껑(5)의 회동 전이 되는 수직 안내로(26)의 상부까지는,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37)가 탄성 변형되지 않고 간극 C를 유지한 상태이지만, 상부 뚜껑(5)의 닫힌 방향에의 회동시에는, 걸어맞춤 돌기(16)가 경사 안내로(27)의 상부에 이동함에 따라서 상부 뚜껑(5) 자체가 하방으로 내려가므로, 이것에 수반하여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37)가 탄성 변형되어 가서, 공기구멍(13)을 탄성 폐색부(38)에 의해 폐색된 상태가 된다. 또한, 용기 본체(2)의 상부 내주면과 하부 뚜껑(4)의 제 1 몸통부(10)와의 간극 D는, 지수부(8)와 탄성 패킹(14)이 접촉함으로써 지수되고, 하부 뚜껑(4)의 공기구멍(13)은, 탄성 폐색부(38)가 접촉함으로써 폐색되므로, 용기 본체(2)내의 내용물에 의한 액즙이 외부로 액이 새는 일 없이 수밀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수직 안내로(26)의 높이 이상이 되는 닫힌 상태 수납부(31)에 걸어맞춤 돌기(16)가 수납되어 있는 동안은, 공기구멍 폐색 패킹(23)이 탄성 변형되어 있으므로, 그 복원력에 의해 상부 뚜껑(5)이 항상 상방으로 향하여 힘이 가해진 상태가 되어, 걸어맞춤 돌기(16)는 닫힌 상태 수납부(31)의 하부에 접촉하여 유지된다.The air hole closure packing 23 before elastic deformation retains the
한편, 뚜껑부착 용기(1)를 분해할 때에는, 걸어맞춤 홈(22)의 일단측인 열린 방향으로 상부 뚜껑(5)을 회동한다. 걸어맞춤 돌기(16)는, 상부 뚜껑(5)을 열린 방향으로 향하여 회동하면, 공기구멍 폐색 패킹(23)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뚜껑(5)이 항상 상방으로 향하여 힘이 가해진 상태이므로, 닫힌 상태 수납부(31)로부터 열린 상태 수납부(34)까지 하부를 따라서, 돌기부(32), 제 2 경사 안내부(33), 열린 상태 수납부(34)의 순서로 안내되어, 열린 상태 수납부(34)에 들어간다. 이 때, 열린 상태 수납부(34)의 하부는, 삽입부(25)로부터 경사 안내로(27)에 있어서의 안쪽 경사 안내부(40)의 하부까지의 높이 T2보다 조금 낮은 높이 T4(T4<T2)가 되므로, 공기구멍(13)을 폐색하고 있던 탄성 폐색부(38)를 가지는 공기구멍 폐색 패킹(23)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고, 탄성 폐색부(38)가 공기구멍(13)으로부터 멀어져, 공기구멍(13) 폐색 패킹의 안팎을 연이어 통하는 통기구멍(39)에 의해 통기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용기 본체(2)의 감압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걸어맞춤 돌기(16)가 열린 상태 수납부(34)에 들어가는 것만으로 공기구멍 폐색 패킹(23)의 탄성 폐색부(38)가 공기구멍(13)으로부터 멀어져, 통기되는 구성이므로, 상정외의 감압 상태에 있더라도 용이하게 감압을 해제할 수 있어, 떼어 내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걸어맞춤 돌기(16)가 열린 상태 수납부(34)에 위치할 때에는,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37)의 높이 T1보다, 삽입부(25)로부터 안쪽 경사 안내부(40)의 상부까지의 높이 T5 쪽이 높기 때문에(T1<T5), 열린 상태 수납부(34)에서는 걸어맞춤 돌기(16)가 경사 안내로(27)에 안내되는 일 없이, 복원된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37)에 의해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의 걸어맞춤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걸어맞춤 돌기(16)가 닫힌 상태 수납부(31)의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으로 안내될 때에는,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돌기부(32)를 타넘은 후, 열린 상태 수납부(34)에 안내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감압 해제의 전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disassembling the lid-
그리고, 열린 상태 수납부(34)에 걸어맞춤 돌기(16)가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상부 뚜껑(5)을 열린 방향으로 더 회동하면, 걸어맞춤 돌기(16)는 열린 상태 수납부(34)의 일단측에 설치되는 제 2 접촉부(35)에 접촉된다. 상부 뚜껑(5)은, 단순히 열린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만으로는, 열린 상태 수납부(34)의 하부로부터 안쪽 경사부의 상부까지의 높낮이 차이에 의해, 걸어맞춤 돌기(16)가 경사 안내로(27)에 안내되는 일은 없고, 하부 뚜껑(4)으로부터 벗겨지는 일도 없다. 따라서, 걸어맞춤 돌기(16)가 제 2 접촉부(35)에 접촉 상태인 채로 열린 방향으로 회동해 가면, 하부 뚜껑(4)의 나사가 느슨해져서,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이 일체된 상태로 용기 본체(2)로부터 떼어내져서 마개가 열리는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을 따로 따로 벗길 필요가 없어 수고를 줄일 수 있어, 내용물과의 접촉면에 닿는 일 없이 떼어내기를 행할 수 있다.When the
열린 상태 수납부(34)로부터 경사 안내로(27)에 걸어맞춤 돌기(16)를 안내하여 하부 뚜껑(4)으로부터 상부 뚜껑(5)을 떼어내기 위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돌기(16)가 돌기부(32)를 타넘어 닫힌 상태 수납부(31)로부터 열린 상태 수납부(34)로 이동하는 단계에서, 하방을 향하여 상부 뚜껑(5)을 누르면서 열린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렇게 하면, 공기구멍 폐색 패킹(23)이 탄성 변형되어 상부 뚜껑(5)이 내려가므로, 열린 상태 수납부(34)내의 걸어맞춤 돌기(16)를 경사 안내로(27)에 안내할 수 있다. 경사 안내로(27)에 안내된 걸어맞춤 돌기(16)는, 상부 뚜껑(5)을 열린 방향으로 회동해 가면 경사 안내로(27)를 내려가도록 하여 안내되어, 그 동안, 공기구멍 폐색 패킹(23)이 가지는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37)가 서서히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가므로, 이것에 의해 삽입부(25)까지의 회동이 보조되어, 하부 뚜껑(4)으로부터 상부 뚜껑(5)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부 뚜껑(4)으로부터 상부 뚜껑(5)을 떼어내기 위해서는, 좌우 방향의 회동에 더하여 상하 방향의 누름이 필요하므로, 어떠한 원인에 의해 상부 뚜껑(5)이 열린 방향으로 회동되었다고 해도 쉽게 하부 뚜껑(4)으로부터 벗겨지는 일이 없어, 액 누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뚜껑(4) 및 상부 뚜껑(5)을 분해함으로써, 각각 세세한 부분까지 씻을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취급을 할 수 있다.In order to guide the engaging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와 나사식 결합하는 하부 뚜껑(4)과, 하부 뚜껑(4)에 끼워져 맞춰지는 상부 뚜껑(5)으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하부 뚜껑(4)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안팎을 연이어 통하는 공기구멍(13)과, 하부에 설치되는 용기 본체(2)의 내면에 접촉되는 탄성 패킹(14)을 구비하고, 상부 뚜껑(5)이, 공기구멍(13)에 대향하는 위치에 탄성 폐색부(38)를 가지는 공기구멍 폐색 패킹(23)을 구비하고, 하부 뚜껑(4)의 내벽 또는 상부 뚜껑(5)의 외벽의 한쪽에는 돌출 형상의 걸어맞춤부인 걸어맞춤 돌기(16)가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걸어맞춤 돌기(16)를 수용하여 상부 뚜껑(5)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열린 상태 수납부(34) 및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닫힌 상태 수납부(31)를 가지는 걸어맞춤 홈(22)이 형성됨으로써,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을 일체화한 채로, 마개를 열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또한, 걸어맞춤 홈(22)의 열린 상태 수납부(34)에 걸어맞춤 돌기(16)가 위치할 때는, 탄성 폐색부(38)에 의해 공기구멍(13)이 폐색되지 않고, 걸어맞춤 홈(22)의 닫힌 상태 수납부(31)에 걸어맞춤 돌기(16)가 위치할 때는, 탄성 폐색부(38)에 의해 공기구멍(13)이 폐색됨으로써,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을 일체화한 채로, 감압 해제할 수 있다.When the engaging
또한, 걸어맞춤 홈(22)이, 열린 상태 수납부(34)와 닫힌 상태 수납부(31)에 연이어 통하는 삽입부(25)를 가짐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는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을 분해할 수 있어, 각 뚜껑체의 세세한 부분까지 씻을 수 있다.The engaging
또한, 연이어 통하는 열린 상태 수납부(34)와 닫힌 상태 수납부(31)와의 사이에, 돌기부(32)가 형성됨으로써, 열린 상태 수납부(34)와 닫힌 상태 수납부(31) 사이를 걸어맞춤 돌기(16)가 이동했을 때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어, 걸어맞춤 돌기(16)의 위치가 명확하게 되는 것과 함께, 용기 본체(2)가 감압 해제되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protruding
또한, 상부 뚜껑(5) 또는 하부 뚜껑(4)이, 탄성 폐색부(38)보다 높이가 있는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37)를 가짐으로써, 걸어맞춤 홈(22)의 열린 상태 수납부(34)에 걸어맞춤 돌기(16)가 위치할 때에,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의 걸어맞춤 위치가 유지되어, 뚜껑체를 안정시킬 수 있다.The
또한, 걸어맞춤 홈(22)과 걸어맞춤 돌기(16)를 복수 형성함으로써, 상부 뚜껑(5)과 하부 뚜껑(4)은 수평으로 유지되기 쉬워, 분해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The
또한, 용기 본체(2)가 단열 용기이며, 상부 뚜껑(5)이 단열재(21)를 가짐으로써, 높은 보온 성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실시예 2Example 2
이하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Oth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은 실시예 2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하부 뚜껑(4)에는 내주면의 상부에 등간격을 두고 3개소에 배치된 걸어맞춤 돌기(16)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이 본 실시예에서는 걸어맞춤 홈(22)으로 치환되고, 상부 뚜껑(5)에는 제 2 몸통부(20)의 외주면에 하부 뚜껑(4)의 걸어맞춤 돌기(16)에 대응하여 3개소에 배치되는 걸어맞춤 홈(22)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이 본 실시예에서는 걸어맞춤 돌기(16)로 치환되어 있다. 한편, 하부 뚜껑(4)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어맞춤 홈(22)은, 상기 실시예 1의 걸어맞춤 홈(22)과 수평선에 대해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되고, 일단에 설치되는 삽입부(25)가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8 shows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또한, 상부 뚜껑(5)의 천판부(18)에는 천면(41)에 손잡이(42)를 구비하고 있어, 만일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 2 외주판부(19)가 상부 뚜껑(5)에 구비되지 않은 구성이더라도, 손잡이(42)를 구비함으로써 상부 뚜껑(5)의 열린 방향 혹은 닫힌 방향에의 회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뚜껑(4)에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16)가 형성되고, 상부 뚜껑(5)에 상기 걸어맞춤 돌기(16)에 대응한 복수의 걸어맞춤 홈(22)이 형성됨으로써, 양자를 일체화한 채로 마개를 열거나 혹은 마개를 닫는 것이나, 일체화한 채로 감압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뚜껑(5)의 천면(41)에 손잡이(42)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개폐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 plurality of engaging
이상과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so in this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기구멍 폐색 패킹에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를 마련했지만, 이것이 없더라도 구조는 이루어져,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를 상부 뚜껑에 마련하는 것이나, 탄성 폐색부와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를 일체로 마련할 필요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lasticity gap hold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air hole closure packing. However, even if the elasticity gap holding portion is provided, the elastic dents gap hold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lid, or the elastic occlusion portion and the elasticity gap hold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
1 : 뚜껑부착 용기 2 : 용기 본체
3 : 상부 개구 4 : 하부 뚜껑
5 : 상부 뚜껑 8 : 지수부
13 : 공기구멍 14 : 탄성 패킹
16 : 걸어맞춤 돌기(걸어맞춤부) 22 : 걸어맞춤 홈(홈부)
23 : 공기구멍 폐색 패킹 25 : 삽입부
31 : 닫힌 상태 수납부 34 : 열린 상태 수납부
37 : 탄성 이간 빈틈 유지부 38 : 탄성 폐색부
39 : 통기구멍1: container with lid 2: container body
3: upper opening 4: lower lid
5: upper lid 8: exponent part
13: air hole 14: elastic packing
16: engaging projection (engaging portion) 22: engaging groove (groove portion)
23: air hole closure packing 25:
31: Closed state storage part 34: Opened storage part
37: elastic interstitial gap holding portion 38: elastic occlusion portion
39: vent hole
Claims (7)
상기 하부 뚜껑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안팎을 연이어 통하는 공기구멍과,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에 접촉되는 탄성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뚜껑이, 상기 공기구멍에 대향하는 위치에 탄성 폐색부를 가지는 공기구멍 폐색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뚜껑의 내벽 또는 상기 상부 뚜껑의 외벽의 한쪽에는 돌출 형상의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다른쪽에는 상기 걸어맞춤부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 뚜껑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열린 상태 수납부 및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닫힌 상태 수납부를 가지는 홈부가 형성되며,
연이어 통하는 상기 열린 상태 수납부와 상기 닫힌 상태 수납부와의 사이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부착 용기.A lid-equipped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ing, a lower lid screwed into the container body, and an upper lid mounted on the lower lid,
Wherein the lower lid has an air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outside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and an elastic packing contac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lid has an elastic occlusion And an air hole closure packing having an air hole closure packing portion having a protruding engagement portion on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lower lid or on the outer wall of the upper lid and accommodating the engagement portion on the other side to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upper lid And a closed state storage portion for keeping the closed stat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pen state storage portion and the closed state storage portion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244354A JP6118539B2 (en) | 2012-11-06 | 2012-11-06 | Container with lid |
JPJP-P-2012-244354 | 2012-11-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8347A KR20140058347A (en) | 2014-05-14 |
KR101508440B1 true KR101508440B1 (en) | 2015-04-10 |
Family
ID=5070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950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8440B1 (en) | 2012-11-06 | 2013-10-29 | Container with lid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118539B2 (en) |
KR (1) | KR101508440B1 (en) |
CN (1) | CN103803166B (en) |
TW (1) | TWI505974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58136B2 (en) * | 2014-05-22 | 2017-07-05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Food and beverage container |
JP6125461B2 (en) * | 2014-05-26 | 2017-05-10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Food and beverage container |
JP5841220B1 (en) * | 2014-11-14 | 2016-01-13 | サーモス株式会社 | Container with lid |
CN104709574B (en) * | 2015-04-04 | 2016-06-22 | 蒋祥初 | Air sac sealing plug |
US10899514B2 (en) * | 2018-04-10 | 2021-01-26 | Thermos L.L.C. | Food jar |
JP7086739B2 (en) * | 2018-06-15 | 2022-06-20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motor |
CN109279172A (en) * | 2018-09-14 | 2019-01-29 |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 An exhaust valve structure of a sealed container |
JP7005554B2 (en) * | 2019-05-10 | 2022-02-04 | サーモス株式会社 | Container with lid |
JP7267835B2 (en) * | 2019-05-10 | 2023-05-02 | サーモス株式会社 | container with lid |
JP6927357B1 (en) * | 2020-03-31 | 2021-08-2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Centrifugal oil separator |
CN212213347U (en) * | 2020-05-08 | 2020-12-25 | 上海有梦家居用品有限公司 | Cup with elastic ban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49015A (en) * | 1998-06-05 | 1999-12-21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Portable container |
JP2011230807A (en) * | 2010-04-28 | 2011-11-17 | Thermos Kk | Lid-attached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336677C (en) * | 2004-08-06 | 2007-09-12 | 丰田合成株式会社 | Tank cap |
TWM276017U (en) * | 2005-04-29 | 2005-09-21 | Cheng-En Shiu | Improvement of locking structure for container cap |
CH698661B1 (en) * | 2006-01-29 | 2009-09-30 | Belcap Switzerland Ag | Closing device with partially circular cutting ring. |
JP4756480B2 (en) * | 2008-02-29 | 2011-08-24 | サーモス株式会社 | Container with lid |
JP2012205780A (en) * | 2011-03-30 | 2012-10-25 | Panasonic Corp | Detergent container |
-
2012
- 2012-11-06 JP JP2012244354A patent/JP6118539B2/en active Active
-
2013
- 2013-10-12 CN CN201310475836.2A patent/CN103803166B/en active Active
- 2013-10-29 KR KR20130129507A patent/KR1015084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0-31 TW TW102139500A patent/TWI505974B/en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49015A (en) * | 1998-06-05 | 1999-12-21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Portable container |
JP2011230807A (en) * | 2010-04-28 | 2011-11-17 | Thermos Kk | Lid-attached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803166A (en) | 2014-05-21 |
JP2014091568A (en) | 2014-05-19 |
TWI505974B (en) | 2015-11-01 |
TW201418115A (en) | 2014-05-16 |
CN103803166B (en) | 2017-08-25 |
KR20140058347A (en) | 2014-05-14 |
JP6118539B2 (en) | 2017-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8440B1 (en) | Container with lid | |
TWI585015B (en) | Drink container cover | |
KR101452106B1 (en) | Container with lid | |
CN102730297B (en) | Plug body for beverage container | |
KR102191472B1 (en) |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 |
US20130240532A1 (en) | Sealing cover | |
US10518944B2 (en) | Drinking vessel lid assembly | |
KR101396617B1 (en) | Quadruple sealing structure for a can cover | |
KR20180007317A (en) |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 |
JP4764198B2 (en) | Airtight container | |
US20060237471A1 (en) | Cap element for a beverage can | |
JP7549449B2 (en) |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 |
JP2011093594A (en) | Pressure adjusting container | |
JP2007314233A (en) | Highly airtight container with lid | |
TWI758651B (en) | Beverage container and cover assembly | |
JP2016020241A (en) | Beverage container | |
JP5073405B2 (en) | Hinge cap | |
JP7321616B1 (en) | Containers with Lids and Lid Units | |
JP5996290B2 (en) | cap | |
JP6133196B2 (en) | Beverage container | |
KR20160094670A (en) | Cosmetics case with cream | |
JP5137450B2 (en) | container | |
JP2008056300A (en) | Cap | |
JP2007204095A (en) | Highly airtight container with lid | |
JP2014097802A (en) | Bottle packing structure for liquid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