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04021B1 - 에어 워셔 - Google Patents

에어 워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021B1
KR101504021B1 KR1020130092173A KR20130092173A KR101504021B1 KR 101504021 B1 KR101504021 B1 KR 101504021B1 KR 1020130092173 A KR1020130092173 A KR 1020130092173A KR 20130092173 A KR20130092173 A KR 20130092173A KR 101504021 B1 KR101504021 B1 KR 101504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unit
delete delet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432A (ko
Inventor
윤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13009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021B1/ko
Priority to EP14831164.0A priority patent/EP3027973A4/en
Priority to US14/909,702 priority patent/US20160169542A1/en
Priority to PCT/KR2014/007108 priority patent/WO2015016658A1/en
Priority to CA2920299A priority patent/CA2920299C/en
Priority to CN201480054399.XA priority patent/CN105593604A/zh
Publication of KR2015001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6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rot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7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directing the gas to be cleaned essentially tangential to the liqui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6Apparatus having rotary means, other than rotatable nozzles, for atomising the cleaning liquid
    • B01D47/18Apparatus having rotary means, other than rotatable nozzles, for atomising the cleaning liquid with horizontally-arrang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조 유닛을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에어 워셔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조 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을 생략하고, 그 대신에 수조 유닛을 직접 전방으로 인출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 넘침 방지부를 수조 유닛에 형성하여 수조 유닛의 흔들림, 기울어짐 및 충격 등에 의한 물 넘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차 보상부를 수조 유닛의 전면부에 형성하여 수조 유닛과 수조 수납부의 높이차를 보상할 수 있고, 수조 잠금 기구가 수조 유닛의 수납시 수조 수납부에 수조 유닛을 잠금 고정시켜 수조 유닛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워셔{AIR WASHER}
본 발명은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공기의 가습과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디스크 어셈블리가 설치된 수조에 직접 저장하는 타입의 에어 워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워셔는 물과 공기를 접촉시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는 장치이다. 에어 워셔는 물과 공기의 접촉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 워셔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는 방식, 물이 적셔진 필터를 공기가 통과하는 방식, 물막이 형성된 디스크에 공기를 송풍하는 방식 등이 있다.
최근에는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는 소음이 적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가습시 물방울이 보이지 않고, 필터의 교체가 불필요한 구조라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0757407호(발명의 명칭: 가습기용 디스크 및 디스크 조립, 등록일: 2007.09.04)에는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7407호에서는 제품의 하부가 물통에 의해 직접 형성되는 구조이고, 디스크 조립체가 물통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이다. 즉, 물을 보충하거나 물통과 디스크 조립체를 세척하는 경우, 제품의 상부를 형성하는 탑 케이스와 미들 케이스를 물통과 분리하고 다시 조립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따라서, 물을 보충하거나 물통과 디스크 조립체를 세척하는 작업은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부품의 분해와 조립 과정에서 부품의 파손, 분실 및 오조립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6-057995호(발명의 명칭: 가습기, 공개일: 2006.03.02)에는 수조가 가습기 본체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일본공개특허 제2006-057995호는 디스크 타입이 아닌 필터 타입의 제품이고,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탱크가 적용된 구조이다. 따라서, 일본공개특허 제2006-057995호에서는 수조의 인출시 급수 탱크를 먼저 분리해야 하므로 수조의 인출 작업이 복잡하고, 급수 탱크의 장시간 사용시 급수 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부패 또는 오염될 가능성도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조 유닛을 에어 워셔 본체에서 전방으로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고,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물통을 생략할 수 있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조 유닛의 수납 또는 인출시 수조 유닛의 흔들림과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조 유닛의 수납 또는 인출시 수조 유닛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 본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수조 수납부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물 수용부가 형성된 수조 유닛, 및 상기 수조 유닛의 흔들림시 상기 물 수용부에서 넘치는 물을 상기 물 수용부의 내부로 되돌리도록 상기 물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물 수용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물 넘침 방지부를 포함하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을 에어 워셔 본체의 전방으로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수조 유닛의 내부에 물을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고 수조 유닛의 유지보수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의 내부에 물을 직접 공급하므로, 수조 유닛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성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에 물 넘침 방지부를 형성하여 수조 유닛의 인출, 수납 또는 운반 중에 수조 유닛의 외부로 물이 넘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물 넘침 방지부는 상기 물 수용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리브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넘침 방지부는 직선 또는 곡선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도록 상기 물 수용부의 상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 또는 수납시 상기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와 지면 사이의 높이차를 보상하여 상기 수조 유닛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조 유닛의 전면부에 구비된 높이차 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차 보상부는 상기 수조 유닛의 전면부의 하부에서 설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차 보상부의 설정 높이는 상기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와 지면 사이의 높이차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상기 수조 유닛을 상기 수조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잠금시키도록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에 구비된 수조 잠금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 잠금 기구는, 상기 수조 유닛 또는 상기 수조 수납부 중 어느 하나의 하면부에 돌출되게 구비된 후크부,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시 상기 후크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수조 유닛 또는 상기 수조 수납부 중 다른 하나의 하면부에 구비된 걸림부, 및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상시 수조 유닛 또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잠금해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배치된 돌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후크부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후크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조작되도록 형성된 잠금해제 손잡이, 및 상기 수조 유닛의 운반시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의 작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에 형성된 손잡이 구속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조 유닛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사용되는 손잡이 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 홈부의 내부에는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가 조작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는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손잡이 홈부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는 사용자에 의해서 전방으로 조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구속부재는 상기 수조 유닛의 운반시 상기 손잡이 홈부를 잡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도록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구속부재의 조작 방향은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의 조작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 및 수납이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 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 유닛의 하면부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제1 경사 안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 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의 전방 부위에는 상기 수조 유닛의 하면부와 구름 접촉되는 제1 롤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 유닛의 하면부의 후방 부위에는 상기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와 구름 접촉되는 제2 롤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부와 상기 제2 롤러부는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에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 유닛의 하면부의 전방 부위에는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시 상기 제1 롤러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의 후방 부위에는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시 상기 제2 롤러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조 유닛의 전면부에는 상기 물 수용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흘들림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투명창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 본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수조 수납부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물 수용부가 형성된 수조 유닛, 및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 또는 수납시 상기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와 지면 사이의 높이차를 보상하여 상기 수조 유닛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조 유닛의 전면부에 구비된 높이차 보상부를 포함하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상기 높이차 보상부는 상기 수조 유닛의 전면부의 하부에서 설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차 보상부의 설정 높이는 상기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와 지면 사이의 높이차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 본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수조 수납부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물 수용부가 형성된 수조 유닛, 및 상기 수조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수조 유닛을 잠금시키도록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에 구비된 수조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상기 수조 잠금 기구는, 상기 수조 유닛 또는 상기 수조 수납부 중 어느 하나의 하면부에 돌출되게 구비된 후크부,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시 상기 후크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수조 유닛 또는 상기 수조 수납부 중 다른 하나의 하면부에 구비된 걸림부, 및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상시 수조 유닛 또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잠금해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배치된 돌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후크부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후크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조작되도록 형성된 잠금해제 손잡이, 및 상기 수조 유닛의 운반시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의 작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에 형성된 손잡이 구속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수조 유닛을 간편하게 인출하는 구조이므로, 수조 유닛의 물 수용부에 물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의 물 수용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이 생략 가능하므로, 물통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 증가 및 제품 사이즈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며, 수조 유닛의 인출시 물통을 먼저 분리해야만 하는 작업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을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인출하는 구조이므로, 수조 유닛의 청소 및 유지보수를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에 물 넘침 방지부를 형성하여, 수조 유닛의 수납 또는 인출시 수조 유닛의 물 수용부에서 물이 넘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와 지면 사이의 높이차를 보상하기 위한 높이차 보상부를 수조 유닛에 형성하여, 수조 유닛의 수납 또는 인출시 수조 유닛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의 수납 또는 인출시 수조 유닛의 기울어짐에 의한 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유닛과 수조 수납부에 수조 잠금 기구를 형성하여, 수조 유닛이 수조 수납부에서 임의로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이 수조 수납부에서 임의로 인출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에 형성된 제1 경사 안내부 및 수조 유닛의 하면부에 형성된 제2 경사 안내부에 의해서, 수조 유닛을 수조 수납부에 원활하게 수납시킬 수 있다. 즉, 수조 유닛이 제1 경사 안내부와 제2 경사 안내부에 의해서 수조 수납부에 원활하게 수납 또는 인출될 수 있으므로, 수조 유닛의 수납 또는 인출시 수조 유닛의 충격, 진동, 흔들림 등을 감소시켜 수조 유닛의 물 넘침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수조 수납부와 수조 유닛의 하면부에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가 구비되므로, 수조 유닛의 수납 또는 인출시 수조 유닛을 수조 수납부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을 수조 수납부의 내부에서 더 적은 힘으로 보다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수조 유닛의 이동시 발생되는 흔들림, 진동, 충격 등을 방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에서 수조 유닛이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워셔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수조 유닛의 단면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조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워셔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수조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수조 유닛의 인출시 수조 잠금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수조 유닛의 운반시 수조 잠금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에서 수조 유닛(130)의 전방 인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에어 워셔 본체(110), 송풍 유닛(미도시), 디스크 어셈블리(120), 및 수조 유닛(130)을 포함한다.
송풍 유닛은 에어 워셔(100)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에어 워셔(100)에서 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송풍 유닛은 공기의 강제 송풍을 위한 송풍기, 및 그 송풍기의 주위에 배치되는 쉬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에어 워셔 본체(110)는 박스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에어 워셔 본체(110)의 내부에는 송풍 유닛, 디스크 어셈블리(120), 및 수조 유닛(130)이 수용될 수 있다.
에어 워셔 본체(110)에는 공기 흡입구(112) 및 공기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112)는 외부 공기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내측으로 흡입하는 부분으로서, 에어 워셔 본체(110)의 후면부 및 후술하는 전면 패널(14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4)는 가습 및 세척된 공기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부분으로서, 에어 워셔 본체(110)의 상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송풍 유닛은 공기 흡입구(112)와 공기 배출구(114)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 유닛이 공기 배출구(114)의 하측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면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에어 워셔 본체(110)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수조 수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 수납부(116)는 수조 유닛(130)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다. 수조 유닛(130)은 수조 수납부(116)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 어셈블리(120)는 송풍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디스크 어셈블리(120)는 공기 흡입구(112)와 공기 배출구(114) 사이의 공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크 어셈블리(120)는 디스크 회전축(122), 디스크 플레이트(124), 및 구동 플레이트(126)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 회전축(122)은 후술하는 수조 유닛(130)의 축 지지부(134)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 회전축(122)에는 디스크 플레이트(124)와 구동 플레이트(126)가 장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플레이트(124)와 구동 플레이트(126)는 디스크 회전축(12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 플레이트(124)는 디스크 회전축(122)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 플레이트(124)들의 하부는 수조 유닛(130) 내의 물에 잠긴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트(124)들이 디스크 회전축(122)과 함께 회전되면, 디스크 플레이트(124)의 표면에 물막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 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가 디스크 플레이트(124)의 물막과 접촉되는 과정에서 가습과 세척이 실시될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126)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성으로서, 외주부 둘레를 따라 구동력이 입력되는 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126)는 디스크 플레이트(124)들의 외측에 단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조 유닛(130)은 에어 워셔(100)에서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조 유닛(130)의 내부에는 디스크 어셈블리(12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조 유닛(130)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수조 수납부(116)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조 유닛(130)은 수조 본체(132) 및 축 지지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수조 본체(132)는 물이 저장되는 박스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 본체(132)는 수조 수납부(116)의 내부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조 본체(132)의 전면부에는 물 수용부(136)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흔들림을 확인하기 위한 투명창(13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워셔(100)의 사용시 투명창(132a)을 통해서 물의 보충 시점을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수조 유닛(130)의 인출, 수납 또는 운반시 투명창(132a)을 통해서 물의 흔들림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축 지지부(134)는 디스크 회전축(122)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로서, 물 수용부(136)의 양측 부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어셈블리(120)는 물 수용부(13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태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전면 패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패널(140)에는 공기 흡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 유닛(130)이 수조 수납부(116)에 수납 완료되면, 전면 패널(140)은 에어 워셔(100)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패널(140)이 수조 수납부(116)를 완전히 차폐하므로, 에어 워셔(100)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이물질이 수조 수납부(116)를 통해 에어 워셔(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수조 유닛(130)이 수조 수납부(116)에서 인출되면, 전면 패널(140)은 디스크 어셈블리(120)와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는 전면 패널(140)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수조 수납부(116)의 전방으로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의 전방 단부에는 제1 경사 안내부(118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138)의 후방 단부에는 제2 경사 안내부(138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경사 안내부(118a)와 제2 경사 안내부(138a)는 수조 수납부(116)와 수조 유닛(130)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 안내부(118a)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경사 안내부(138a)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수조 유닛(130)이 수조 수납부(116)의 내부로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으며,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수조 유닛(130)이 수조 수납부(116)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수조 유닛(130)의 단면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조 유닛(130)의 다른 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수조 유닛(130)의 흔들림시 물 수용부(136)에서 넘치는 물을 물 수용부(136)의 내부로 되돌리는 물 넘침 방지부(150, 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워셔(100)는 수조 유닛(130)의 인출, 수납 또는 운반 중에 수조 유닛(130)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수조 유닛(130)의 외부로 물이 순간적으로 넘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 넘침 방지부(150, 152)는 물 수용부(136)의 상부에서 물 수용부(136)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넘침 방지부(150, 152)는 물 수용부(136)의 상부 둘레를 따라 리브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 넘침 방지부(150, 152)는 직선 또는 곡선의 단면 형상으로 물 수용부(136)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직선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물 넘침 방지부(15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곡선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물 넘침 방지부(152)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의 물 넘침 방지부(150)가 수조 유닛(13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 유닛(130)의 흔들림으로 인해서 물 수용부(136) 내의 물이 일시적으로 넘치는 경우, 그 넘치는 물은 물 넘침 방지부(150)를 따라서 물 수용부(136)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워셔 본체(1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수조 유닛(13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수조 유닛(130)의 인출 또는 수납시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와 지면(G) 사이의 높이차(H)를 보상하는 높이차 보상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면'은 에어 워셔(100)가 설치된 장소의 표면을 의미한다. 즉, 에어 워셔(100)가 방에 설치되면 방바닥이 지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에어 워셔(100)가 테이블에 설치되면 테이블의 상면이 지면에 해당될 수 있다.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두께에 의해서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는 지면(G)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가 지면(G)보다 높게 배치되면,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와 지면(G) 사이의 높이차(H)에 의해서 수조 유닛(130)의 인출 또는 수납시 수조 유닛(130)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수조 유닛(130)의 기술어짐에 따라 물 수용부(136) 내의 물이 외부로 넘칠 가능성이 높다.
높이차 보상부(160)는 수조 유닛(13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의 하부에 설정 높이(H)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차 보상부(160)의 설정 높이(H)는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와 지면(G) 사이의 높이차(H)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차 보상부(160)는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를 하측을 향해 설정 높이(H)로 연장시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높이차 보상부(160)는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높이차 보상부(160)의 형상은 에어 워셔(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예로, 높이차 보상부(160)는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의 하부에 돌기 구조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수조 잠금 기구(17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수조 유닛(130)의 운반시 수조 잠금 기구(17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수조 유닛(130)을 수조 수납부(116)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잠금시키는 수조 잠금 기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잠금 기구(170)는 수조 유닛(130)를 수조 수납부(116)에 선택적으로 잠금시키도록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130)은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 수조 수납부(116)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조 잠금 기구(170)는 후크부(172), 걸림부(174) 및 잠금해제부(176)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부(172)는 수조 유닛(130) 또는 수조 수납부(116) 중 어느 하나의 하면부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74)는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후크부(172)가 걸려 고정되도록 수조 유닛(130) 또는 수조 수납부(116) 중 다른 하나의 하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잠금해제부(176)는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후크부(172)와 걸림부(174)의 걸림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수조 유닛(130) 또는 에어 워셔 본체(1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후크부(172)가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138)에 형성되고, 걸림부(174)가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에 형성되며, 잠금해제부(176)가 수조 유닛(130)에 후크부(172)와 연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 워셔(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수조 잠금 기구(17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후크부(172)는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138)에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배치된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172)의 선단의 후방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72a)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172)의 선단의 전방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면(17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172)는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탄성적으로 눌러지면서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를 타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고,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탄성적으로 복귀되면서 걸림부(174)에 확실하게 걸려 구속될 수 있다.
걸림부(174)는 후크부(172)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174)가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에 관통되게 형성된 홀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크부(172)가 걸릴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잠금해제부(176)는 잠금해제 손잡이(177) 및 손잡이 구속부재(17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해제 손잡이(177)는 후크부(172)의 일측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잠금해제 손잡이(177)는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후크부(172)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조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잠금해제 손잡이(177)와 후크부(172)의 연결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잠금해제 손잡이(177)의 조작에 따라 후크부(172)가 걸림부(174)로부터 이탈되는 다양한 연결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 구속부재(178)는 잠금해제 손잡이(177)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 구속부재(178)는 수조 유닛(130)의 운반시 잠금해제 손잡이(177)의 작동을 구속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손잡이 구속부재(178)와 잠금해제 손잡이(177)의 연결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손잡이 구속부재(178)의 조작에 따라 잠금해제 손잡이(177)의 작동이 구속되는 다양한 연결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에는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사용되는 손잡이 홈부(139)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에어 워셔 본체(110)의 하면부(118)의 전방에는 손잡이 홈부(139)와 대응되는 위치에 손잡이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130)을 수조 수납부(116)에서 인출하는 경우, 손잡이홈(119)을 통해 손잡이 홈부(139)에 손을 간편하게 넣어 잡을 수 있으며, 손잡이 홈부(139)를 전방으로 당겨 수조 유닛(130)을 수조 수납부(116)의 전방으로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다.
손잡이 홈부(139)의 내부에는 잠금해제 손잡이(177)가 조작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해제 손잡이(177)는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손잡이 홈부(139)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 조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잠금해제 손잡이(177)를 조작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잠금해제 손잡이(177)와 연동되는 후크부(172)가 강제적으로 눌러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후크부(172)가 걸림부(174)에서 벗어나 수조 유닛(130)의 잠금 상태를 해소시킬 수 있다.
잠금해제 손잡이(177)에는 손잡이 구속부재(178)가 조작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7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구속부재(178)의 조작 방향(D2)은 잠금해제 손잡이(177)의 조작 방향(D1)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해제 손잡이(177)의 조작 방향(D1)은 수조 유닛(130)의 수납 또는 인출시 수조 유닛(13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전후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손잡이 구속부재(178)의 조작 방향(D2)은 수조 유닛(130)의 운반시 수조 유닛(130)을 들어 올리기 위한 상하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 구속부재(178)와 잠금해제 손잡이(177)의 조작 방향(D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면, 잠금해제 손잡이(177)의 조작시 손잡이 구속부재(178)가 임의로 동작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 구속부재(178)의 조작시 잠금해제 손잡이(177)가 임의로 동작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해제 손잡이(177)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후크부(172)가 눌러져서 수조 유닛(1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손잡이 구속부재(178)가 상측으로 눌러지면 잠금해제 손잡이(177)의 작동이 구속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잠금해제 손잡이(177)의 조작 방향(D1)은 수조 유닛(130)의 인출 방향과 동일한 전방으로 설정되며, 손잡이 구속부재(178)의 조작 방향(D2)는 수조 유닛(130)을 들어 올리는 방향과 동일한 상측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잠금해제 손잡이(177)는 후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손잡이 구속부재(178)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의 전방 부위에는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138)와 구름 접촉되는 제1 롤러부(1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138)의 후방 부위에는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와 구름 접촉되는 제2 롤러부(18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롤러부(180)와 제2 롤러부(182)는 롤러의 종류와 설치 구조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에어 워셔(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롤러부(180)와 제2 롤러부(182)는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에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롤러부(180)는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의 전방 부위에 형성된 손잡이홈(119)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제2 롤러부(182)는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138)의 후방 부위에 제1 롤러부(180)들보다 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부(180)와 제2 롤러부(182)는 수조 유닛(130)의 수납 및 인출시 서로 충돌되지 않으므로, 제1 롤러부(180)와 제2 롤러부(182)의 충돌로 인한 수조 유닛(13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의 전방 부위에는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제1 롤러부(180)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18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의 후방 부위에는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제2 롤러부(182)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86)와 제2 삽입부(184)는 제1 롤러부(180)와 제2 롤러부(182)의 삽입이 가능한 홈 또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삽입부(186)와 제2 삽입부(184)는 수조 유닛(130)의 수납 완료시 제1 롤러부(180)와 제2 롤러부(182)의 배치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삽입부(186)와 제2 삽입부(184)는 제1 롤러부(180)와 제2 롤러부(182)에 의해서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138)와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 사이에 생성되는 소정의 간극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부(186)와 제2 삽입부(184)는 제1 롤러부(180)와 제2 롤러부(182)의 삽입 동작에 의해서 수조 유닛(130)가 수납되는 정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에어 워셔(100)의 장시간 사용시 물이 부족하거나, 물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에어 워셔(100)가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의 청소 또는 유지보수를 일정 시간마다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물의 보충, 물의 교환, 수조 유닛(130)의 청소와 유지보수, 또는 디스크 어셈블리(120)의 청소와 유지보수 등의 이유로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를 외부로 인출할 필요성이 있다.
먼저, 에어 워셔(100)의 작동을 완전히 정지시키고, 수조 수납부(116)의 손잡이홈(119)을 통해서 수조 유닛(130)의 손잡이 홈부(139)를 잡는다.
그 다음에, 손잡이 홈부(139)와 함께 잠금해제부(176)의 잠금해제 손잡이(177)를 전방으로 당기면서 수조 유닛(130)을 전방으로 인출한다. 이때, 잠금해제부(176)의 손잡이 구속부재(178)는 누름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잠금해제 손잡이(177)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수조 유닛(130)의 후크부(172)가 수조 수납부(116)의 걸림부(174)로부터 이탈되어 수조 유닛(1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므로, 수조 유닛(130)은 수조 수납부(116)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수조 유닛(130)은 디스크 어셈블리(120)와 함께 수조 수납부(116)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고, 그 과정에서 전면 패널(140)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된다.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가 에어 워셔 본체(110)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면, 수조 유닛(130)과 디스크 어셈블리(120)를 깨끗하게 세척하거나 또는 정비할 수 있으며, 수조 유닛(130)의 물 수용부(136)에 저장된 물을 버리고 깨끗한 물로 다시 채울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디스크 어셈블리(120)를 수조 유닛(130)의 물 수용부(136) 내에 설치한 후 수조 유닛(130)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수조 수납부(116)에 다시 밀어 넣는다.
이때, 수조 유닛(130)의 후크부(172)는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를 따라 눌려진 상태로 슬라이딩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수조 유닛(130)이 수조 수납부(116)에 완전히 수납되면, 후크부(172)가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138)에서 수조 수납부(116)의 걸림부(174)를 향해 탄성적으로 돌출된다.
후크부(172)가 걸림부(174)의 내부로 삽입되면, 수조 유닛(130)이 후크부(172)와 걸림부(174)에 의해 수조 수납부(116)에 잠금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수조 유닛(130)을 수조 수납부(116)에 인출 또는 수납하거나, 특정 장소로 운반하는 경우, 수조 유닛(130)의 흔들림 또는 기울어짐이 발생되거나, 또는 수조 유닛(130)에 외부 충격이 작용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수조 유닛(130)의 물이 물 수용부(136)의 외부로 순간적으로 넘칠 수 있지만, 그 넘치는 물은 물 수용부(136)의 상부에 형성된 물 넘침 방지부(150)를 따라서 물 수용부(136)의 내부로 다시 되돌아온다. 따라서, 수조 유닛(130)의 인출과 수납 및 운반이 수행되는 경우, 수조 유닛(130) 내의 물이 외부로 넘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에어 워셔(100)의 사용 편의성 및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수조 유닛(130)이 수조 수납부(116)에서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우,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가 지면(G)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높이차(H)가 존재하지만, 그와 같은 높이차(H)는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에 형성된 높이차 보상부(160)에 의해 보상된 상태이다. 따라서, 수조 유닛(130)의 전면부가 지면(G)에 배치되고 수조 유닛(130)의 후면부가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에 배치되더라도, 수조 유닛(130)은 높이차 보상부(160)에 의해 수평한 상태로 수조 수납부(116)에 인출되거나 수납된다.
뿐만 아니라,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138)에 구비된 제2 롤러부(182) 및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에 구비된 제1 롤러부(180)에 의해서, 수조 유닛(130)과 수조 수납부(116)는 서로 구름 접촉된 상태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130)의 인출 또는 수납시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138)와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 사이에 작용되는 마찰 저항이 크게 감소되고, 그로 인해서 수조 유닛(130)은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인출 또는 수납되어 흔들림, 기울어짐, 충격 등의 문제가 감소된다.
또한, 수조 수납부(116)의 하면부(118)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제1 경사 안내부(118a) 및 수조 유닛(130)의 하면부(138)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제2 경사 안내부(138a)로 인해서, 수조 유닛(130)의 수납시 수조 유닛(130)을 수조 수납부(116)에 용이하게 삽입시키고, 수조 유닛(130)의 인출시 수조 유닛(130)을 수조 수납부(116)로부터 안정적으로 인출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에어 워셔
110: 에어 워셔 본체
116: 수조 수납부
118: 수조 수납부의 하면부
118a: 제1 경사 안내부
120: 디스크 어셈블리
130: 수조 유닛
138: 수조 유닛의 하면부
138a: 제2 경사 안내부
140: 전면 패널
150: 물 넘침 방지부
160: 높이차 보상부
170: 수조 잠금 기구
180: 제1 롤러부
182: 제2 롤러부
184: 제2 삽입부
186: 제1 삽입부
G: 지면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 본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수조 수납부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물 수용부가 형성된 수조 유닛; 및
    상기 수조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수조 유닛을 잠금시키도록 상기 수조 유닛과 상기 수조 수납부에 구비된 수조 잠금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 잠금 기구는, 상기 수조 유닛 또는 상기 수조 수납부 중 어느 하나의 하면부에 돌출되게 구비된 후크부; 상기 수조 유닛의 수납시 상기 후크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수조 유닛 또는 상기 수조 수납부 중 다른 하나의 하면부에 구비된 걸림부; 및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상시 수조 유닛 또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잠금해제부;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후크부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후크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 방향으로 조작되는 잠금해제 손잡이; 및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의 조작을 구속하도록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 유닛의 운반시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의 조작을 구속하는 제2 방향으로 조작되는 손잡이 구속부재;를 구비한 에어 워셔.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유닛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사용되는 손잡이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홈부의 내부에는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가 전후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는 상기 수조 유닛의 인출시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해소하도록 상기 손잡이 홈부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해 전방으로 조작되는 구조로 형성된 에어 워셔.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배치된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된 에어 워셔.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의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 구속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 구속부재는 상기 수조 유닛의 운반시 상기 잠금해제 손잡이의 조작을 구속하도록 상기 손잡이 홈부를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해 상측으로 조작되는 구조로 형성된 에어 워셔.
KR1020130092173A 2013-08-02 2013-08-02 에어 워셔 KR101504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73A KR101504021B1 (ko) 2013-08-02 2013-08-02 에어 워셔
EP14831164.0A EP3027973A4 (en) 2013-08-02 2014-08-01 Air washer
US14/909,702 US20160169542A1 (en) 2013-08-02 2014-08-01 Air washer
PCT/KR2014/007108 WO2015016658A1 (en) 2013-08-02 2014-08-01 Air washer
CA2920299A CA2920299C (en) 2013-08-02 2014-08-01 Air washer
CN201480054399.XA CN105593604A (zh) 2013-08-02 2014-08-01 空气净化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73A KR101504021B1 (ko) 2013-08-02 2013-08-02 에어 워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11227A Division KR20150022951A (ko) 2015-01-23 2015-01-23 에어 워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32A KR20150017432A (ko) 2015-02-17
KR101504021B1 true KR101504021B1 (ko) 2015-03-18

Family

ID=5243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173A KR101504021B1 (ko) 2013-08-02 2013-08-02 에어 워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69542A1 (ko)
EP (1) EP3027973A4 (ko)
KR (1) KR101504021B1 (ko)
CN (1) CN105593604A (ko)
CA (1) CA2920299C (ko)
WO (1) WO201501665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086A (ko) * 2017-08-18 2020-04-01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
KR102338380B1 (ko) 2021-06-02 2021-12-13 에이치케이시스템 습식방식의 다기능 공기 여과기
KR20220106877A (ko) * 2021-01-22 2022-08-01 이성호 휴대용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299B1 (ko) * 2014-09-03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워셔
USD791930S1 (en) 2015-06-04 2017-07-11 Tropitone Furniture Co., Inc. Fire burner
US10197291B2 (en) 2015-06-04 2019-02-05 Tropitone Furniture Co., Inc. Fire burner
KR101973644B1 (ko) * 2015-10-30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US10054322B2 (en) 2015-10-30 2018-08-21 Lg Electroin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D844766S1 (en) * 2018-01-12 2019-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ir purifier
DE202019100290U1 (de) 2018-01-19 2019-06-24 Lg Electronics Inc. Luftreiniger
JP7442279B2 (ja) * 2018-11-01 2024-03-0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空気清浄機
CN110986233A (zh) * 2019-12-18 2020-04-10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加湿器
JP7348537B2 (ja) * 2021-08-31 2023-09-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USD1027151S1 (en) * 2021-12-06 2024-05-14 Qiwu Deng Air purifier
CA208905S (en) * 2021-12-15 2023-06-21 Shenzhen Kaysno Tech Co Ltd Dehumidifi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571A (ja) * 1998-02-12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除湿機
KR20120001520A (ko) * 2010-06-29 2012-01-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KR20120019790A (ko) * 2010-08-27 2012-03-07 주식회사 리홈 탈착 가능한 토출 패널을 구비한 가습기
KR20130019154A (ko) * 2011-08-16 201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8881A (en) * 1971-07-22 1974-03-26 Bessam Mfg Inc Liquid sprayer
US3979485A (en) * 1973-11-05 1976-09-07 Mcgraw-Edison Company Portable humidifier
US4117045A (en) * 1976-09-23 1978-09-26 Dart Industries Inc. Humidifier with removable water receptacle
US4127620A (en) * 1977-07-18 1978-11-28 Canadian Appliance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Integral water fill system for humidifiers
US4240991A (en) * 1979-08-03 1980-12-23 Armstrong Cork Company Humidifier
CA1182391A (en) * 1982-09-17 1985-02-12 Charles G. Shepherd Drum humidifier
JPS61141918A (ja) * 1984-12-14 1986-06-28 Hitachi Elevator Eng & Serv Co Ltd 脱臭装置
CN2400732Y (zh) * 1999-12-15 2000-10-11 李鼎庆 净化加湿冷暖多功能型移动式空调机
DE60235107D1 (de) * 2001-11-15 2010-03-04 Draeger Medical Systems Inc Befeuchtermodul
US20040084787A1 (en) * 2002-11-05 2004-05-06 Emerson Electric Co. Humidifier bottle latch carry handle
US6749181B1 (en) * 2002-11-21 2004-06-15 Fong Yen Electrical Co., Ltd. Humidifier
US6869065B1 (en) * 2003-10-21 2005-03-22 Mow-Hwa Lin Vapor cleaner
JP4808192B2 (ja) * 2007-07-30 2011-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体貯留装置及び空気清浄機
CN201149344Y (zh) * 2007-12-13 2008-11-12 何志强 空气净化加湿器
KR20110039691A (ko) * 2009-10-12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 가습기 및 그 디스크 어셈블리
JP5333372B2 (ja) * 2010-07-26 2013-11-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器
US9285130B2 (en) * 2010-12-23 2016-03-1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571A (ja) * 1998-02-12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除湿機
KR20120001520A (ko) * 2010-06-29 2012-01-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KR20120019790A (ko) * 2010-08-27 2012-03-07 주식회사 리홈 탈착 가능한 토출 패널을 구비한 가습기
KR20130019154A (ko) * 2011-08-16 201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086A (ko) * 2017-08-18 2020-04-01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
KR102298482B1 (ko) * 2017-08-18 2021-09-06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
KR20220106877A (ko) * 2021-01-22 2022-08-01 이성호 휴대용 공기청정기
KR102484751B1 (ko) * 2021-01-22 2023-01-05 이성호 휴대용 공기청정기
KR102338380B1 (ko) 2021-06-02 2021-12-13 에이치케이시스템 습식방식의 다기능 공기 여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6658A1 (en) 2015-02-05
EP3027973A1 (en) 2016-06-08
KR20150017432A (ko) 2015-02-17
CA2920299A1 (en) 2015-02-05
CN105593604A (zh) 2016-05-18
EP3027973A4 (en) 2017-07-26
CA2920299C (en) 2017-09-05
US20160169542A1 (en)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021B1 (ko) 에어 워셔
KR101504020B1 (ko) 에어 워셔
JP4381352B2 (ja) 遊技機
JP5519603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13316667B (zh) 洗衣机
KR20150022951A (ko) 에어 워셔
JP2013096585A (ja) 加湿機
KR20150146185A (ko) 에어 워셔
KR101600701B1 (ko) 에어 워셔
JP4907332B2 (ja) 床面洗浄機用洗浄水タンク装置
JP2018075422A (ja) ドラム式洗濯機
JP6571480B2 (ja) 加湿装置
CN113167007A (zh) 洗衣机
JP2011000155A (ja) 遊技機
JP6993943B2 (ja) 洗浄機
JP4653349B2 (ja) 食器洗浄機
KR101304058B1 (ko) 가습기
JP2013252393A (ja) 遊技機用支持フレーム体
JP2013007509A (ja) 加湿機用給水タンク及び加湿機
JP5007197B2 (ja) 遊技媒体用の貯留装置
EP3991628A1 (en) Dishwasher
JP5569212B2 (ja) 加湿器
JP2021173487A (ja) 加湿装置
JP2021133165A (ja) 洗浄機
JP4318670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