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93348B1 -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348B1
KR101493348B1 KR20130050955A KR20130050955A KR101493348B1 KR 101493348 B1 KR101493348 B1 KR 101493348B1 KR 20130050955 A KR20130050955 A KR 20130050955A KR 20130050955 A KR20130050955 A KR 20130050955A KR 101493348 B1 KR101493348 B1 KR 101493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luid
tubular filter
water
inlet pipe
flui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1835A (ko
Inventor
조용현
한상윤
권혁원
Original Assignee
앨트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앨트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앨트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348B1/ko
Publication of KR2014013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수가 저장되는 수조(10); 수조(10)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부에 중공(101)이 형성되고, 양측에 트임부가 형성된 통형 필터(100); 통형 필터(100)의 트임부 중 일단 트임부에 연결된 정화수 배출관(21); 통형 필터(100)의 트임부 중 타단 트임부에 연결된 고압유체 유입관(210); 고압유체 유입관(210)에 대하여 고압유체를 분사하는 가압부(200);를 포함하고, 정화모드에서는 수조(10)의 오염수가 통형 필터(100)의 측벽을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정화되어 중공(101)에 모인 후,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되며, 역세모드에서는 고압유체 유입관(210)을 통해 중공(101)에 유입된 고압유체가 통형 필터(100)의 측벽을 외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통형 필터(100)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를 제시함으로써, 여과필터를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전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PURIFICATION APPARATUS FOR WATER HAVING BACK-WASH FUNCTION}
본 발명은 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처리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기 위한 수처리장치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여과필터는 여과도중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세척하는 것이 수처리장치의 자동화를 위한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처리장치는 전자동 방식에 의해 여과필터를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여과필터를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전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오염수가 저장되는 수조(10); 상기 수조(10)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부에 중공(101)이 형성되고, 양측에 트임부가 형성된 통형 필터(100); 상기 통형 필터(100)의 트임부 중 일단 트임부에 연결된 정화수 배출관(21); 상기 통형 필터(100)의 트임부 중 타단 트임부에 연결된 고압유체 유입관(210); 상기 고압유체 유입관(210)에 대하여 고압유체를 분사하는 가압부(200);를 포함하고, 정화모드에서는 상기 수조(10)의 오염수가 상기 통형 필터(100)의 측벽을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정화되어 상기 중공(101)에 모인 후,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되며, 역세모드에서는 상기 고압유체 유입관(210)을 통해 상기 중공(101)에 유입된 고압유체가 상기 통형 필터(100)의 측벽을 외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상기 통형 필터(100)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통형 필터(100)는 원통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형 필터(100)는 상기 일단 트임부 및 타단 트임부가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에는 배출밸브(22)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밸브(22)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개방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에는 펌프(23)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23)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구동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유체 유입관(210)에는 유입밸브(211)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밸브(211)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폐쇄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형 필터(100)의 표면에 덮인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수조(10)의 내부에는 고압유체를 분사하는 표면 청소부(3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청소부(300)는 상기 통형 필터(100)의 하부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청소부(300)에는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이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은 상기 가압부(200)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에는 제2 유입밸브(212)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유입밸브(212)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폐쇄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은 상기 고압유체 유입관(210)에서 분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여과필터를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전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는 하폐수3차 처리, 하수고도처리, 빗물처리 및 멤브레인(막) 전처리 등의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저에너지로 수질개선을 기대할 수 있고, 기존의 처리공정이 완비된 상태에서 본 수처리장치를 도입하는 경우 이를 처리수조나 방류수로에 설치하면 추가적인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공간을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 실시예의 정화모드의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예의 역세모드의 구성도.
도 3은 통형 필터의 단면도.
도 4는 제 2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제 3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제 4실시예의 구성도.
도 7은 제 5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제 6실시예의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는 기본적으로, 오염수가 저장되는 수조(10); 수조(10)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부에 중공(101)이 형성되고, 양측에 트임부가 형성된 통형 필터(100); 통형 필터(100)의 트임부 중 일단 트임부에 연결되어 정화수 탱크(20) 등으로 정화수를 배출하는 정화수 배출관(21); 통형 필터(100)의 트임부 중 타단 트임부에 연결된 고압유체 유입관(210); 고압유체 유입관(210)에 대하여 고압유체(공기, 물 등)를 분사하는 가압부(200 : 컴푸레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화모드에서는 수조(10)의 오염수가 통형 필터(100)의 측벽을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정화되어 중공(101)에 모인 후,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된다(도 1).
역세모드에서는 고압유체 유입관(210)을 통해 중공(101)에 유입된 고압유체가 통형 필터(100)의 측벽을 외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통형 필터(100)를 세척한다(도 2).
따라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위 정화모드 및 역세모드에 맞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오염수의 정화 및 필터의 세척이 가능하므로, 수처리장치의 전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통형 필터(100)는 내부에 중공(101)이 형성되고, 양측에 트임부가 형성된 구조로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인 정화 및 세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통형 필터(100)는 다수의 미세중공이 형성된 재질(카본 등)로서, 오염수가 이를 투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다.
통형 필터(100)는 연직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일단 트임부 및 타단 트임부가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이 안정적인 정화 및 세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정화수 배출관(21)에는 배출밸브(22)가 설치되는데, 이는 정화모드에서 개방되며, 역세모드에서 폐쇄됨으로써, 통형 필터(100)의 중공(101)에 유입된 고압유체가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화수 배출관(21)에는 펌프(23)가 설치되는데, 이는 정화모드에서 구동하여 오염수가 통형 필터(100)의 내부 중공으로 투과되는 것을 강제하고, 역세모드에서 정지한다.
고압유체 유입관(210)에는 유입밸브(211)가 설치되는데, 이는 정화모드에서 폐쇄되어 정화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역세모드에서 개방되어 고압유체를 통형 필터(100)의 내부 중공으로 유입한다.
통형 필터(100)의 표면에 이물질이 덮이는 경우 정화효율을 저해하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수조(10)의 내부에 고압유체를 분사하는 표면 청소부(3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청소부(300)에서 분사된 고압유체는 고압수, 기포의 형태로 상승하게 되므로, 표면 청소부(300)는 통형 필터(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표면 청소부(300)의 고압유체 분사를 위하여, 표면 청소부(300)에는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이 연결되고,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은 가압부(200)에 연결되는 것이 구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에는 제2 유입밸브(212)가 설치되는데, 이는 정화모드에서 폐쇄되어 정화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역세모드에서 개방되어 통형 필터(100)의 표면을 청소한다.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은 직접 가압부(200)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고압유체 유입관(210)에서 분기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구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A)가 적용된 수처리시스템에 대한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염수가 저장되는 수조(10)의 전방에는 오염물의 응집촉진을 위하여, 응집제 투입조(30)와 교반조(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도 4).
수처리장치의 설치를 위한 독립공간의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독립적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지만(도 1,2), 여유부지가 부족한 경우에는 생물반응조(40)의 후방에 설치된 최종침전지(41) 내부에 수처리장치(A)를 설치하거나(도 5), 별도의 방류수조(42)에 수처리장치(A)를 설치할 수 있다(도 6).
총인처리가 주된 목적인 경우에는 수조(10)의 전방에 라인믹서(32)를 설치할 수 있고(도 7), 응집제 투입조(30)와 교반조(31)를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도 4).
수처리장치를 각종 멤브레인(UF; Ultrafiltrationj, NF; Nanofiltration, RO; Reverse Osmosis)(51)에 의한 정화작업의 전처리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처리장치의 후방에 멤브레인 정화조(51)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도 8).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수조 21 : 정화수 배출관
22 : 배출밸브 23 : 펌프
100 : 통형 필터 101 : 중공
200 : 가압부 210 : 고압유체 유입관
211 : 유입밸브 220 : 제2 고압유체 유입관
212 : 제2 유입밸브 300 : 표면 청소부

Claims (11)

  1. 오염수가 저장되는 수조(10);
    상기 수조(10)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부에 중공(101)이 형성되고, 양측에 트임부가 형성된 통형 필터(100);
    상기 통형 필터(100)의 트임부 중 일단 트임부에 연결된 정화수 배출관(21);
    상기 통형 필터(100)의 트임부 중 타단 트임부에 연결된 고압유체 유입관(210);
    상기 고압유체 유입관(210)에 대하여 고압유체를 분사하는 가압부(200);를 포함하고,
    정화모드에서는 상기 수조(10)의 오염수가 상기 통형 필터(100)의 측벽을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정화되어 상기 중공(101)에 모인 후,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되며,
    역세모드에서는 상기 고압유체 유입관(210)을 통해 상기 중공(101)에 유입된 고압유체가 상기 통형 필터(100)의 측벽을 외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상기 통형 필터(100)를 세척하고,
    상기 통형 필터(100)의 표면에 덮인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수조(10)의 내부에는 고압유체를 분사하는 표면 청소부(300)가 설치되며,
    상기 표면 청소부(300)에는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이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은 상기 가압부(20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필터(100)는 원통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필터(100)는 상기 일단 트임부 및 타단 트임부가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에는 배출밸브(22)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밸브(22)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개방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 배출관(21)에는 펌프(23)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23)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구동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유체 유입관(210)에는 유입밸브(211)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밸브(211)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폐쇄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청소부(300)는 상기 통형 필터(100)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에는 제2 유입밸브(212)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유입밸브(212)는 상기 정화모드에서 폐쇄되며, 상기 역세모드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압유체 유입관(220)은 상기 고압유체 유입관(210)에서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KR20130050955A 2013-05-06 2013-05-06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KR101493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0955A KR101493348B1 (ko) 2013-05-06 2013-05-06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0955A KR101493348B1 (ko) 2013-05-06 2013-05-06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835A KR20140131835A (ko) 2014-11-14
KR101493348B1 true KR101493348B1 (ko) 2015-02-13

Family

ID=5245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0955A KR101493348B1 (ko) 2013-05-06 2013-05-06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3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213A (ko) * 2005-03-11 2006-09-19 주식회사 젠트로 가동중 역세정이 가능한 필터장치
KR20110076134A (ko) * 2009-12-29 2011-07-06 구경환 원통형 압축성형활성탄 여과막을 이용한 침지 여과막장치
KR101087062B1 (ko) 2010-04-08 2011-11-25 (주) 코리아 인바이텍 역세압 변동식 여과시스템
KR20120002893A (ko) * 2010-07-01 2012-01-09 성호그린테크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213A (ko) * 2005-03-11 2006-09-19 주식회사 젠트로 가동중 역세정이 가능한 필터장치
KR20110076134A (ko) * 2009-12-29 2011-07-06 구경환 원통형 압축성형활성탄 여과막을 이용한 침지 여과막장치
KR101087062B1 (ko) 2010-04-08 2011-11-25 (주) 코리아 인바이텍 역세압 변동식 여과시스템
KR20120002893A (ko) * 2010-07-01 2012-01-09 성호그린테크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835A (ko)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388B1 (ko)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JP2013188710A (ja) 膜ろ過装置及び造水装置並びに膜ろ過装置の洗浄方法
US20110192794A1 (en) Advanced filtration device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WO2018179502A1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及び中空糸膜濾過装置
KR20180122355A (ko)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및 중공사막 여과 장치
KR100583005B1 (ko) 상하수용 고도 정수처리시스템 및 정수처리방법
KR20120007946A (ko)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 장치
JP6191464B2 (ja) 除濁膜モジュールの運転方法
JP2016068046A (ja) 縦置き型外圧型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203904035U (zh) 净水装置和具有该净水装置的净饮机
CN202016906U (zh) 一种用于污水净化的滤芯及含有该滤芯的污水净化装置
KR101493348B1 (ko)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KR20140128841A (ko) 막모듈의 교차 정수 및 세정 장치와 이의 운전방법
CN203112611U (zh) 一种絮体膜与中空纤维膜结合的污水处理装置
KR20130128866A (ko) 가압형 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수처리 방법
JP2008183513A (ja) 浄水装置
CN205616657U (zh) 一种自清洗净水器装置
KR101538308B1 (ko)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CN209940634U (zh) 一种可自动冲洗的饮水机
KR101711516B1 (ko) 증기를 이용한 막모듈 세정장치 및 방법
CN204918201U (zh) 净水系统及净水器
KR101469634B1 (ko) 관형여과기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CN103172193A (zh) 一种有机废水回用方法及其系统
RU2434812C1 (ru) Мембр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JP2005046762A (ja) 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