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809B1 - Display unit for touch screen having heat joining member - Google Patents
Display unit for touch screen having heat joining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2809B1 KR101492809B1 KR20140036998A KR20140036998A KR101492809B1 KR 101492809 B1 KR101492809 B1 KR 101492809B1 KR 20140036998 A KR20140036998 A KR 20140036998A KR 20140036998 A KR20140036998 A KR 20140036998A KR 101492809 B1 KR101492809 B1 KR 1014928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display unit
- window
- touch screen
- h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열시에만 선택적으로 접착 기능을 가지는 열융착부재 일면에 글자, 문양, 패턴, 금속질감 등을 나타내는 인쇄층이나 증착층이 개별적으로 형성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불량율을 낮추어 제조 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print layer or a vapor deposition layer to be individually formed on a surface of a heat-sealing member having an optional adhesive function only at the time of heating to exhibit letters, patterns, patterns, and metal textur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thickness, To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provided with a thermal welding member for achieving cost reduction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본 발명은 인쇄층, 증착층이 형성된 열융착부재가 윈도우에 부착되며 윈도우 파손시 비산(飛散)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provided with a heat-sealing memb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role of preventing a scattering of a window by attaching a heat-sealing member having a printing layer and a deposition layer to a window .
본 발명은 강화유리나 PC로 이루어진 윈도우의 형상(예컨대 굴곡진면)에 제한없이 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provided with a heat-sealing member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shape of a window made of tempered glass or PC (for example, a curved surface) without limitation.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에는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시대에 맞추어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AOD(audio on demand)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통화 당사자들이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보며 전화를 하는 화상통화를 하거나, 게임을 다운로드 하여 플레이 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더 이상 음성통화 기기의 영역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지 않다.A portable terminal means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calls and data while moving. In recent years, various and useful functions have been implemented in portable terminals in accordance with the era of digital convergence. For example, a user can use an audio on demand (AOD) service and a video on demand (AOD) service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or make a video call in which a calling party looks at the face of the other party by phone, Play.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is no longer limited to the area of the voice communication device.
이렇게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고,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사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현되는 표시부(이하 "터치 디스플레이 유닛"라 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diversified, users have felt the need to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Accordingly, the manufacturer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a display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display unit" Quot;).
한편,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종류로는 정전용량(capacitive overlay) 방식, 저항막(resistive overlay) 방식, 표면 초음파(surface acoustic wave) 방식,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방식 및 적외선(infrared beam)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여러 방식 중에서 정전용량 방식이 주로 휴대단말기에서 사용된다.Meanwhile, the types of touch screen panels used in portable terminals include capacitive overlay, resistive overlay, surface acoustic wave, transmitter and infrared beams, Method. Among the various methods of the touch screen panel, the capacitance type is mainly used in a portable terminal.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1과 같이 유전체 또는 절연체인 PET로 이루어진 윈도우(1)와, 상기 원도우(1)의 저면 가장자리에 코팅되어 이후에 결합되는 실버 페이스트 전극(2)을 가려주고 로고 등이 인쇄되는 아이콘부(3)와, 상기 윈도우(1)와 양면 테이프(4)로 결합되는 PC 시트 또는 글라스(glass: 5)와, 상기 글라스(5)의 저면에 양면 테이프(4)로 결합되는 PET 소재로 이루어진 유전체 필름(6)과, 상기 유전체 필름(6)의 상부에 터치를 감지하는 부분을 IT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로 증착된 ITO 코팅층(7)과, 상기 ITO 코팅층(7)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이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실버페이스트 전극(2)과, 상기 유전체 필름(6)의 저면에 양면 테이프(8)로 접착되는 LCD(9)로 구성된다.1, the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includes a window 1 made of PET, which is a dielectric or an insulator, and a silver paste electrode 2 coated on the bottom edge of the window 1, A PC sheet or glass 5 joined to the window 1 by a doubl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경우에는 합지 공정 중에 양면 테이프(OCA tape:4,8) 3개가 사용되기 때문에 현재의 공정으로 패치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조시에 양면 테이프의 부착 공정으로 인한 이물질 및 기포현상이 심하여 대량으로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상기 양면 테이프의 수축 및 접착제 뭉침으로 인해 공정 불량률이 매우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since three OCA tapes (OCA tapes: 4, 8) are used during the laminating process, the patch display unit is manufactured by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doubl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number of defects occur due to foreign matter and bubble phenomenon, and the process failure rate becomes very high due to shrinkage of the double-sided tape and clumping of the adhesive.
이에 따라 첨부된 도 2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0-0065486호에는 윈도우를 사용하고, CNT 소재를 스크린 방식으로 코팅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의 강도를 향상하고, 양면테이프 부착 공정을 감소시켜 불량율을 줄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65486 discloses a method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a display unit by using a window and coating a CNT material by a screen method,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structure" is disclosed.
즉, 터치 패널(touch panel)은 아크릴 또는 윈도우 등의 고강도 소재로 이루어진 고강도 플레이트(18), UV 코팅층(22), 아이콘부(20), CNT 코팅층(16), 실버 페이스트 전극(14) 및 그라운드 전극(24), 그리고 LCD(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touch panel includes a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터치 패널은 CNT 코팅층(16)과 실버페이스트 전극(14)이 이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인쇄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며, 윈도우가 채택되어 고가인 고강도 플레이트(18)는 상기한 다수의 층을 형성하는 과정 중 어느 한 공정이라도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불량품으로 분류되어 수율을 낮추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However, in the touch panel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ivity is reduced as the
또한, 터치패널의 외관을 형성하는 윈도우의 경우 PC 시트 또는 강화글라스가 적용되는데,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해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경우 윈도우의 저면에 PET 필름이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더라도 PET 필름의 경도 및 복원력으로 인해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 PC sheet or a tempered glass is applied to a window that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touch panel. In the case where the corner is rounded in order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ET film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indow by the doubl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double-faced tape is deteriorated due to the hardness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PET film, which leads to separation.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0424호에는 양면에 접착기능을 가지는 접착부재의 일면에 UV 코팅층이 채택된 인쇄및증착가능층을 구비하여 인쇄층이나 증착층이 형성 가능하도록 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50424 discloses a touch screen display unit having a printable and vaporizable layer having a UV coating layer on one side of an adhesive member having an adhesive function on both sides, .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인쇄및증착가능층을 반드시 형성해야만 인쇄층이나 증착층의 형성이 가능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t is necessary to form a printable and vaporizable layer to form a printed layer or a vaporized lay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시에만 선택적으로 접착 기능을 가지는 열융착부재 일면에 글자, 문양, 패턴, 금속질감 등을 나타내는 인쇄층이나 증착층이 개별적으로 형성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불량율을 낮추어 제조 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defective ratio, thereby providing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equipped with a thermal welding memb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층이나 증착층이 형성된 열융착부재가 윈도우에 부착되며, 윈도우 파손시 비산(飛散)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device having a heat-sealing member provided with a heat-sealing member having a print layer or a vapor deposition layer attached thereto and capable of simultaneously preventing scattering And a display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화유리 및 투명시트로 이루어진 윈도우의 형상(예컨대 굴곡진면이나 플렉시블 형태)에 제한없이 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provided with a heat-sealing member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shape of a window made of a tempered glass and a transparent sheet (for example, a curved surface or a flexible shap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은, 양면에 보호필름이 구비되고, 가열시 접착기능을 가지는 열융착부재와, 상기 한 쌍의 보호필름 중 어느 하나가 제거된 열융착부재의 일면에 글자, 문자, 패턴, 금속질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된 인쇄층 또는 증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including a heat-sealing member, the heat-sealing member having a protective film on both surfaces thereof, And a printing layer or a vapor deposition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eat-fusing member from which one of the heat-fusing member and the heat-fusible member is removed, the printing layer being formed to display at least one of letters, characters, patterns, metal textures and colors.
상기 인쇄층 또는 증착층의 일면에는 인쇄보호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rint protection lay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int layer or the deposition layer.
상기 열융착부재의 일측에는, 패턴을 가지는 패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attern part having a patter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t-fusing member.
상기 열융착부재는 일면에는, 상기 보호필름이 제거된 후 열융착된 윈도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sealing member may have a window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with a thermally fused glass after the protective film is removed.
상기 인쇄층은 다수의 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inting lay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상기 인쇄보호층과 윈도우 사이에는 증착층과 인쇄층 일측에 단차진 부위를 메우기 위한 채움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illing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printing protection layer and the window to fill the deposition layer and the stepped portion on one side of the printing layer.
본 발명에서는 가열시에만 선택적으로 접착 기능을 가지는 열융착부재 일면에 글자, 문양, 패턴, 금속질감 등을 나타내는 인쇄층이나 증착층이 개별적으로 형성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인쇄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PET필름이 불필요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ing layer or a vapor deposition layer, which shows letters, patterns, patterns, and metal texture, can be individually formed on one side of a heat-seal member having an optional adhesive function only at the time of heating, Film is unnecessary.
따라서, PET 필름의 두께만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고가의 수입품인 PET 필름이 불필요하므로 제조 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PET film,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manufacturing cost can be remarkably reduced because a PET film as an expensive import product is not required.
또한, 열융착부재는 인쇄층이나 증착층이 형성된 상태로 윈도우에 바로 부착되며, 윈도우 비산시 비산(飛散)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heat-seal member is directly attached to the window in a state in which the print layer or the vapor-deposited layer is formed,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simultaneously prevent scattering during window scattering.
뿐만 아니라, 두꺼우면서 강도를 갖는 PET 필름을 구비하지 않고 열융착부재가 윈도우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므로 굴곡을 가진 윈도우에도 부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welding member is directly attached to the window without the PET film having a large thickness and strength, it can be attached to a window having a curvature.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 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0-0065486호에 개시된 터치 디스플레이 유닛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유닛에서 보호필름이 제거되기 전 열융착부재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이 채택된 패널의 외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5의 Ⅰ-Ⅰ'부 종단면도 및 윈도우 부착 전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2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5의 Ⅰ-Ⅰ'부 종단면도 및 윈도우 부착 전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3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5의 Ⅰ-Ⅰ'부 종단면도 및 윈도우 부착 전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4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5의 Ⅰ-Ⅰ'부 종단면도 및 윈도우 부착 전 종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5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5의 Ⅰ-Ⅰ'부 종단면도 및 윈도우 부착 전 종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pacitive touch display unit according to a related art;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touch display unit structu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65486.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provided with a thermal wel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heat seal member before a protective film is removed in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provided with a heat sea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 external structure of a panel employing a touch screen display unit having a heat sea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5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having the heat sea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5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provided with a thermal wel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5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provided with a thermal wel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5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fourth embodiment of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provided with a thermal wel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10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5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fifth embodiment of a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provided with a thermal wel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120)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이하 "디스플레이 유닛(100)"이라 칭함)의 구성을 설명한다.A configuration of a touch screen display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12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120)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at-sealing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먼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제품에 부착시에 외면에 위치하는 윈도우(110)와, 상기 윈도우(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열융착부재(120)와, 상기 열융착부재(120)의 상측에 위치한 인쇄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윈도우(110)는 투명하면서 강도를 갖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소재로 적용이 가능하다.If the
상기 열융착부재(120)는 윈도우(110)와 열융착되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열시에만 접착성능을 가지며, 상기 인쇄층(13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층(130)과 동시에 윈도우(110)에 열융착된다.The heat-
상기 열융착부재(120)는 도 4와 같이 양면에 인쇄층(130)이나 윈도우(110)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보호필름(124)에 의해 보호되며, 인쇄층(130)을 형성하고자 할 때 한 쌍의 보호필름(124) 중 상측에 위치한 보호필름(124)이 제거된다.The
그리고, 하측에 위치한 보호필름(124)은 열융착부재(120)를 윈도우(110)에 열융착하고자 할 때 비로소 제거된다.The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열융착부재(120)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struction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heat-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120)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100)이 적용된 패널의 외관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 external structure of a panel to which a
도면과 같이,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정전용량(capacitive overlay) 방식의 터치스크린의 외관을 구성하는 윈도우(110)의 후측에 구비되며, 윈도우(110)를 포함하여 패널을 완성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ouch
상기 윈도우(110)는 일반적으로 강화유리가 채택되며, 상기 윈도우(110)의 후방으로는 열융착부재(120)가 부착되어 윈도우(110)의 파손시 유리의 비산(飛散)을 방지하게 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윈도우(110)의 후면에는 보호필름(도 4에서 볼 때 아래에 위치한 보호필름(124))이 제거된 상태의 열융착부재(120)가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되어 위치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a heat-
상기 열융착부재(120)의 후방에는 인쇄층(130)이나 증착층(140)의 형성이 가능하다.The
즉 상기 열융착부재(120)는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착성능을 갖지 않으므로, 인쇄층(130)이나 증착층(140)을 바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heat-
상기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는 투명한 표시창(152)이 구비된다.A
상기 표시창(152)은 열융착부재(120)의 후방으로 전술한 인쇄층(130)이나 증착층(140)이 전혀 형성되지 않아 투명도를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가 투시될 수 있도록 하는 영역이다.The
상기 표시창(152)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는 증착층(140)과 인쇄층(130)이 구비된다.A
상기 인쇄층(130)은 도 5와 같이 색상을 가진 문자나 문양 등이 윈도우(110)를 통해 투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윈도우(110)와, 열융착부재(120)가 투명함에 따라 유일하게 색상을 가진 상태인 인쇄층(130)은 윈도우(110) 외부에서 투시될 수 있다.5, the
상기 증착층(140)은 열융착부재(120)의 후면에 증착되어 빛을 산란함으로써 금속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열융착부재(120)에 패턴부(도 7의 도면부호 128)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패턴부(128)를 차폐하여 패턴의 흐트러짐을 방지함으로써 금속 질감의 패턴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이하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세부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ouch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120)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제1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5의 Ⅰ-Ⅰ'부 종단면도 및 윈도우(110) 부착 전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5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ouch
도 6은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100)이 금속 질감을 가지지 않고 흰색, 검정색 등의 색상만 가지는 경우의 내부 구성도이다.6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우선 도 6의 상측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열융착부재(120)의 상면에 인쇄층(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쇄층(130)은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특정 부위에만 형성되므로 가장자리에 형성됨이 일반적이다.6, the
그리고, 상기 인쇄층(130)은 중앙부에 형성되지 않도록 제한함으로써 상측에 위치하게 될 LCD, LED, OLED 등의 발광요소로부터 방출된 빛이 윈도우(110) 외부로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열융착부재(120) 역시 중앙부에는 제거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heat-sealing
상기 인쇄층(130)의 상면에는 인쇄보호층(160)이 구비된다. 상기 인쇄보호층(160)은 인쇄층(130)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호용 필름이 부착됨이 바람직하다.A
그리고,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쇄보호층(160)은 차후에 제거되어 인쇄층(130) 상측에 투명전극, 터치감지요소 등의 구성요소가 위치하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아래에 위치한 보호필름(124)을 제거한 후 윈도우(110)와 열융착하게 되면 도 6의 아래 도면과 같은 패널이 완성되며, 도 5의 I-I'부 종단면도와 같다.When the
이하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금속질감의 패턴을 가지는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120)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제2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5의 Ⅰ-Ⅰ'부 종단면도 및 윈도우(110) 부착 전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5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ouch
도 7의 상측 도면과 같이, 제2실시예의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100)에는 열융착부재(120)의 일측에 패턴부(128)가 구비된다. 상기 패턴부(128)는 물결무늬 등과 같은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열융착부재(120)의 상면에는 이러한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증착층(140)이 구비된다.7, the
따라서, 상기 패턴부(128)는 패턴을 유지한 상태로 증착층(140)과 열융착부재(120)의 계면에 위치하여 빛을 굴곡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증착층(140)은 금속성 광택을 갖도록 함으로써 굴곡된 빛을 산란시켜 반짝이는 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진공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된 후 불필요한 부분은 에칭 공정을 통해 제거된다.Accordingly, the
상기 증착층(140)의 상측에는 인쇄층(130)이 구비된다. 상기 인쇄층(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 문양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색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증착층(140)과 어우러져 빛을 산란함으로써 소정의 색상을 띄는 금속성 질감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A
상기 인쇄층(130)의 상면에는 전술한 인쇄보호층(160)이 구비된다.The
한편, 도 7의 상측 도면과 같은 구성에서 하측에 위치한 보호필름(124)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열융착부재(120)의 하면은 노출되며, 가열시 접착성능을 갖는 상태에서 윈도우(110)의 상면과 부착됨으로써 도 5의 I-I'부 종단면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패널을 완성하게 된다.7, when the lower
한편, 상기 윈도우(110)와 인쇄보호층(160) 사이에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채움층(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열융착부재(120)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5의 Ⅰ-Ⅰ'부 종단면도 및 윈도우(110) 부착 전 종단면도로서, 인쇄층(130)과 증착층(140) 형성시에 단차진 부위에 UV액을 채운 후 경화시킴으로써 채움층(150)을 형성할 수 있다.8 to 10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5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s of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touch
상기 채움층(150)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표시창(152)가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채움층(150)은 필요에 따라 도 10의 아래 그림과 같이 표시창(152)을 형성하는 부위가 제거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쇄층(130)이 단일층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다수의 층으로 구성하고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여 다양한 색상의 글씨, 문양, 패턴 등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although the
100.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110. 윈도우
120. 열융착부재 124. 보호필름
128. 패턴부 130. 인쇄층
140. 증착층 150. 채움층
152. 표시창 160. 인쇄보호층 100. Display unit for
120. Heat-sealing
128.
140.
152.
Claims (6)
상기 윈도우 외측으로 글자, 문자, 패턴, 금속질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된 증착층 및 인쇄층과,
양면에 구비된 보호필름 중 어느 하나가 제거된 상태의 일면 일부에 상기 증착층 및 인쇄층이 형성되고, 가열시 접착기능을 가지며, 나머지 보호필름을 제거 후 상기 윈도우와 열융착되는 열융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열융착부재는 윈도우 파손시 비산(飛散)을 방지하며 투명하게 구성되어 상기 증착층 및 인쇄층이 윈도우 외측으로 투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A transparent window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A deposition layer and a printing layer formed outside of the window to display at least one of letters, characters, patterns, metal textures, and colors;
A vapor deposition layer and a printing layer are formed on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provid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heat-sealing member having an adhesive function upon heating, ≪ / RTI >
Wherein the heat-sealing member is transparent and configured to prevent scattering when a window is broken, so that the deposition layer and the print layer can be seen outside the window.
The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int protection layer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rint layer.
The display unit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pattern portion having a pattern is provided between the heat seal member and the deposition layer.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of claim 3, wherein the print layer comprises a plurality of lay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36998A KR101492809B1 (en) | 2014-03-28 | 2014-03-28 | Display unit for touch screen having heat joining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36998A KR101492809B1 (en) | 2014-03-28 | 2014-03-28 | Display unit for touch screen having heat joining memb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2809B1 true KR101492809B1 (en) | 2015-02-12 |
Family
ID=5259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36998A KR101492809B1 (en) | 2014-03-28 | 2014-03-28 | Display unit for touch screen having heat joining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280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1915A (en) * | 2017-01-09 | 2018-07-18 | 김지웅 | Decoration unit having visible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81385A (en) * | 1997-12-24 | 1999-07-06 | Bridgestone Corp |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film for display formed integrally with touch panel, display formed integrally with touch panel, and production thereof |
KR101319447B1 (en) * | 2012-04-23 | 2013-10-1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350424B1 (en) * | 2013-04-26 | 2014-01-16 | 에스지글로벌 주식회사 | An adhesive tape and display unit for touch screen having it |
-
2014
- 2014-03-28 KR KR20140036998A patent/KR10149280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81385A (en) * | 1997-12-24 | 1999-07-06 | Bridgestone Corp |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film for display formed integrally with touch panel, display formed integrally with touch panel, and production thereof |
KR101319447B1 (en) * | 2012-04-23 | 2013-10-1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350424B1 (en) * | 2013-04-26 | 2014-01-16 | 에스지글로벌 주식회사 | An adhesive tape and display unit for touch screen having i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1915A (en) * | 2017-01-09 | 2018-07-18 | 김지웅 | Decoration unit having visible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65969B2 (en) | Adhesive member and display unit for touch screen provided with the same | |
KR101512185B1 (en) | A Panel having a display function | |
JP5916516B2 (en) | Three-dimensional curve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casing using the same | |
TWI476656B (en)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12226688A (en) | Decorative cover glass integrated type touch panel sensor | |
CN204480199U (en) | Contactor control device | |
JP2008197913A (en) | Electronic equipment | |
CN105468186A (en) | Touch apparatus | |
TWI550467B (en) | Touch-window | |
TWM491885U (en) | Touch panel with a function of fingerprint identification | |
JP6014055B2 (en) |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TWI522866B (en) | Display unit for touch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13008272A (en) | Decorative transparent protection substrate integrated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950194B1 (en) | Touch panel | |
KR101492809B1 (en) | Display unit for touch screen having heat joining member | |
KR20150145211A (en) | Window For Touch Panel And Touch Window Having It | |
CN102968216A (en) | Touch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942742B1 (en) | Touch panel | |
TWM491208U (en) | Touch panel | |
KR20150131550A (en) | Thermal Transfer Adhesive Layer Type Touch Screen Panel Glass Manufacturing Method | |
KR20130128711A (en) |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TWM510474U (en) | Touch panel structure | |
TWI581143B (en) | Touch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TWM508719U (en) | Touch panel with a function of fingerprint identification | |
CN206274393U (en) | Touch-control display module and touching display scre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