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99133B1 -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133B1
KR101499133B1 KR1020080105827A KR20080105827A KR101499133B1 KR 101499133 B1 KR101499133 B1 KR 101499133B1 KR 1020080105827 A KR1020080105827 A KR 1020080105827A KR 20080105827 A KR20080105827 A KR 20080105827A KR 101499133 B1 KR101499133 B1 KR 101499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nu
pointer
image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805A (ko
Inventor
박세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133B1/ko
Priority to US12/607,651 priority patent/US10048782B2/en
Publication of KR2010004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13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간편하게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가,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특정 대상을 지적하여 표시하는 포인터부와;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되는 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되고 상기 카메라 부에 의해 촬영되는 대상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인터부, 포인터, 카메라부, 센서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MENU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간편하게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이 휴대단말기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메뉴버튼이 입력되면 고정된 휴대단말기의 메뉴트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위메뉴에서 하위메뉴로 이동하면서 원하는 메뉴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휴대 단말기의 경우 수많은 메뉴 트리와 기능들이 들어가 있지만 정작 이를 사용하기 위해 원하는 기능을 찾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나의 예로 최근 대부분의 휴대단말기에 TV 리모컨을 대신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나 실제 이 기능의 활용도는 매우 적은 게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는 실제 사용자가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의 상황을 휴대 단말기가 빠르게 인지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메뉴조작을 통해서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비스를 누리기란 쉽지 않다. 또한 이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적기에 연결해 주기 위하여 다양한 입력 추측 기술이 생성되고 있으나, 모두 어떤 지시에서 발생하기 보다는 현재 발생된 현상만을 분석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식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대상을 휴대단말기에게 알려주고,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받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가,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특정 대상을 지적하여 표시하는 포인터부와;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되는 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되고 상기 카메라 부에 의해 촬영되는 대상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가 메뉴수행 인식모드로 전환되면, 포인터부가 실행되어 특정 대상을 지적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된 대상을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대상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람이 손가락으로 사물을 가리켜 지시하듯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포인터부를 이용하여 손쉽게 원하는 대상을 가리키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대상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함에 따라, 새로운 고객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 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어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포인터부(170)로 지적되는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라 상기 메뉴실행 인식모드에서 문자영상을 인식하기 위한 영상 처리용 문자판독 프로그램과, 형태영상을 인식하기 위한 영상 형태 비교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뎀(120)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170)에 의해 지적되고 상기 카메라 부(140)에 의해 촬영되는 대상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170)가 실행된 이후, 센서부(180)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음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부(140)를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 의해 상기 포인터부(170)가 지적하여 포인터가 표시되는 대상을 촬영한 제1 영상과 상기 포인터부(170)가 종료된 이후 상기 동일 대상을 촬영한 제2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영상에서 표시되는 포인터에 의해 감추어진 일정 픽셀 값들을 상기 제2 영상에서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최소단위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 포함된 영상을 통해 인식의 종류를 판단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식의 종류가 문자이면, 상기 최소단위영역에서 일정영역 단위로 확대하여 문자를 판단하고 상기 문자를 제어하기 위한 해당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식의 종류가 형태이면, 상기 최소단위 영역을 일정영역 단위로 확대하면서 상기 형태에 대응되는 외부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시예에 따라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170)와 상기 카메라부(140)를 동시에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 의해 특정 대상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포인터부(170)에 의해 지적되는 복수의 지점에 대응되는 픽셀 값들을 경계 값으로 가지는 특정영역을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된 특정 영역에 포함된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 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뉴실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170)에 의해 지적되는 대상을 촬영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포인터부(170)와 동일 위치에 장착된다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라 메뉴실행 인식모드에서 휴대단말기의 포인터부(170)에 의해 지적된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다.
키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2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뉴실행 인식모드로 전환하는 특정키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 시예에서는 메뉴 키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포인터부(170)는 레이저 포인터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뉴실행 인식모드에서 특정 대상을 지적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포인터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40)와 동일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센서부(180)는 상기 메뉴실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170)의 실행 이후에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실 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80)는 가속도센서와 지자기센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서 메뉴 실행 동작을 도 2 - 도 4를 통해 살펴본다.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뉴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a - 도 4g는 상기 도 2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4a - 도 4h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a -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0)에 메뉴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뉴 키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메뉴 키가 일정이상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포인터부(170)를 실행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포인터부(170)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인식모드의 시작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시작 음 또는 진동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포인터부(170)의 실행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180)에서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4단계에서 일정시간 이상 상기 센서부(180)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205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음으로 사용자가 특정 대상을 상기 포인터부(170)에 의해 지적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부(140)를 실행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포인터부(170)과 동일 위치에 장착되는 상기 카메라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포인터부(170)에 의해 지적되는 대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제1 영상을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7단 계에서 촬영된 제1 영상은 상기 도 4a와 같이 상기 포인터부(170)에 의해 표시되는 포인터(171)가 함께 촬영된다. 상기 제1 영상이 촬영되어 저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포인터부(170)의 실행을 종료하는 2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포인터부(170)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영상과 동일 대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제2 영상을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2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9단계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은 상기 도 4b와 같이 상기 제1 영상과 동일 영상이며, 다만 상기 포인터부(170)의 실행 종료로 상기 포인터(171)가 함께 촬영되지 않아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하는 21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에 표시된 포인터 (171)에 의해 감추어진 일부영상의 픽셀 값들을 구하기 위해, 상기 제2 영상에서 상기 제1 영상의 상기 포인터(171)와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 값들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1 영상에서 상기 포인터(171)에 의해 감추어진 픽셀 값들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상에 표시되는 포인터(171)를 중심으로 하는 최소단위 영역을 설정하는 2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4c는 상기 포인터(171)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10픽셀씩 지정된 최소단위 영역(a1)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도 4c와 같이 상기 포인터(171)를 중심으로 최소단위 영역(a1)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최소단위 영역(a1)에 포함된 영상을 통해 인식의 종류를 판단하는 21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인식의 종류에는 문자영상과 형태(shape)영상으로 구분될 있으며, 상기 문자영상은 한글, 영어, 한문 및 영어와 같은 언어, 숫자로 이루어진 전화번호 및 상표를 포함하며, 상기 형태영상은 TV, 에어컨, 오디오, 비디오, 자동차, 홈 키, 블루투스기기 및 시계와 같은 외부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문자영상은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영상 처리용 문자판독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형태영상은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영상 형태 비교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의 종류를 판단함에 있어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 시예에서는 언어 -> 전화번호 -> 외부기기의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먼저 상기 영상 처리용 문자판독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 포함된 영상이 문자인지 판단한다.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 포함된 영상이 문자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문자인식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문자 인식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 포함된 문자영상을 하나의 단어로 인식하기 위해,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서 일정영역 단위마다 확대하여 문자를 추출하는 214단계를 진행하다. 상기 21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문자의 시작점을 찾아서 하나의 단어로 인식할 수 있을 때까지, 상기 포인터(171)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서 일정영역 단위마다 확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서 일정영역 단위로 확대할 때 마다 상기 확대된 영역에 포함된 문자의 상/하/좌/우에 대한 여백의 비율계산을 통해 하나의 단어를 찾아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문자 의 상/하/좌/우의 여백이 동일비율이 될 때, 하나의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도 4d는 상기 도 4c의 최소단위 영역(a1)이 일정영역 단위 예를 들어, 10픽셀 단위로 확대되는 과정을 통해, 하나의 단어("Distance")가 모두 포함되는 확대된 일정영역(a2)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214단계에서 문자가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4e와 같이 상기 추출된 문자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215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문자를 제어하기 위한 해당 메뉴는 상기 메모리(130)에 미리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215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60) 에 표시되는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214단계에서 추출된 문자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21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4e와 같이, 추출된 문자인"거리(Distance)" 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될 때, 상기 메뉴에는 문자입력 시에 "붙이기"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단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뉴인 (1)"Distance"로 저장 및 (2)"거리"로 저장을 포함하며, 그 외에도 "거리"라는 단어를 메시지 내용이 포함하면서 문자메시지 모드로 전환하는 (3)"거리"로 문자보내기, 상기 추출된 문자를 사진으로 촬영하는 (4) 사진캡쳐 하기 및 상기 추출된 문자가 포함된 전체영상을 인식하기 위한 (5) 광범위 인식하기를 포함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처리용 문자판독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 포함된 영상이 문자가 아님이 판단되면, 상기 영상 형태 비교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 포함된 영상이 형태(shape)영상인지 판단한다,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 포함된 영상이 형태 영상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형태인식모드로 전환한다. 또는 상기와 같은 우선순위와 관계없이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 포함된 영상의 픽셀 값들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형태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형태인식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서 일정영역 단위로 확대하여 형태를 추출하는 218단계를 진행하다. 상기 218단계는 상기 214단계와 유사하게 상기 포인터를 중심으로 가지는 최소단위 영역을 일정영역 단위마다 확대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형태영상을 완전히 인식할 수 있다.
상기 218단계에서 상기 형태를 완전히 인식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식된 형태에 대응되는 외부기기를 판단하는 21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형태와 대응되는 외부기기 정보가 미리 저장된 상기 메모리(130)에서 상기 인식된 형태와 대응되는 외부기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외부기기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가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220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해당 메뉴는 상기 메모리(130)에 미리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220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22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4f에서는 상기 219단계에서 인식된 외부기기가 TV(200)일 때,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표시부에는 상기 TV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즉, TV 리모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며, 상기 메뉴를 통해 상기 TV를 제어하는 기능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g에서는 상기 219단계에서 인식된 외부기기가 에어컨(300)일 때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표시부에는 상기 에어컨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즉, 에어컨의 리모콘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며, 상기 메뉴를 통해 상기 에이컨을 제어하는 기능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뉴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h는 상기 도 3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4h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10)에 메뉴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뉴 키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메뉴 키가 일정이상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포인터부(170)와 상기 카메라부(140)를 동시에 실행시키는 3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포인터부(170)가 지적하는 특정 대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3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04단계에서 상기 영상이 촬영된 이후, 상기 영상에서 상기 포인터 부(170)에 의해 복수의 지점이 지정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지점에 대응되는 픽셀 값들을 추출하는 3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에서 상기 305단계에서 추출된 픽셀 값들을 경계 값으로 가지는 특정 영역을 추출하는 306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특정영역에 포함된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3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특정영역에 포함된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는 상기 메모리(130)에 미리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307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특정영역에 포함된 영상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3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4h에서는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사람의 신체 일부분에 복수의 포인터(171) 즉, 복수의 지점을 표시하면서 특정영역을 지정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지점을 경계 값으로 가지는 특정 사람의 신체 일부분을 특정영역으로 추출할 때, 상기 특정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뉴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뉴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 - 도 4h는 상기 도 2 및 도 3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4)

  1.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에 있어서,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특정 대상을 지적하여 표시하는 포인터부와,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되는 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되고 상기 카메라 부에 의해 촬영되는 대상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상기 포인터부가 지적하여 포인터가 표시되는 대상을 촬영한 제1 영상과 상기 포인터부가 종료된 이후 동일 대상을 촬영한 제2 영상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포인터부는 동일 위치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가 실행된 이후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부를 실행하고,
    상기 제1 영상에서 표시되는 포인터에 의해 감추어진 일정 픽셀 값들을 상기 제2 영상에서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최소단위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 포함된 영상을 통해 인식의 종류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의 종류가 문자이면, 상기 최소단위영역에서 일정영역 단위로 확대하여 문자를 판단하고, 상기 문자를 제어하기 위한 해당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인식의 종류가 형태이면, 상기 최소단위 영역을 일정영역 단위로 확대하면서 상기 형태에 대응되는 외부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7.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에 있어서,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특정 대상을 지적하여 표시하는 포인터부와,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되는 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되고 상기 카메라 부에 의해 촬영되는 대상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수행 인식모드에서 상기 포인터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동시에 실행하고,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특정 대상이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특정영역이 지정되면, 상기 특정영역에 포함된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특정 대상의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되는 복수의 지점에 대응되는 픽셀 값들을 경계 값으로 가지는 상기 특정영역을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9.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메뉴수행 인식모드로 전환되면, 포인터부가 실행되어 특정 대상을 지적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된 대상을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대상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되어 포인터가 표시되는 대상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포인터부의 종료 이후 상기 제1 영상과 동일한 대상을 촬영한 제2 영상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부가 상기 특정 대상을 지적하기 위해 실행되면,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이 일정시간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포인터 부에 의해 지적되는 대상을 촬영하기 위한 상기 카메라부를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영상에 표시되는 상기 포인터에 의해 감추어진 부분의 픽셀 값들을 상기 제2 영상에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상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중심으로 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제1 영상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중심으로 하는 최소단위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최소단위 영역에 포함된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을 통해 인식의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의 종류가 문자이면, 상기 최소단위 영역을 일정영역 단위로 확대하면서 상기 문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자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의 종류가 형태이면, 상기 최소단위 영역을 일정영역 단위로 확대하면서 상기 형태에 대응되는 외부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방법.
  13.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메뉴수행 인식모드로 전환되면, 포인터부와 카메라부가 동시에 실행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특정 대상이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특정영역이 지정되는 과정과,
    상기 특정영역에 포함된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영역이 지정되는 과정이,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특정 대상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지적되는 복수의 지점에 대응되는 픽셀 값들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픽셀 값들을 경계점으로 가지는 특정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방법.
KR1020080105827A 2008-10-28 2008-10-28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99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827A KR101499133B1 (ko) 2008-10-28 2008-10-28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
US12/607,651 US10048782B2 (en) 2008-10-28 2009-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 menu in a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827A KR101499133B1 (ko) 2008-10-28 2008-10-28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805A KR20100046805A (ko) 2010-05-07
KR101499133B1 true KR101499133B1 (ko) 2015-03-11

Family

ID=4211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8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99133B1 (ko) 2008-10-28 2008-10-28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48782B2 (ko)
KR (1) KR1014991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407B1 (ko) * 2010-11-02 2014-09-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680538B2 (ja) * 2016-01-12 2020-04-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11445107B2 (en) * 2019-08-08 2022-09-13 Qorvo Us, Inc. Supervised setup for control device with imager
US12307152B2 (en) * 2023-05-22 2025-05-20 Apple Inc. Thumbnail for disambiguation in a visual sear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024A (ko) * 2003-05-17 2004-11-26 송현관 레이져 포인터를 구비한 휴대폰 및 디지털 카메라
KR20070009261A (ko) * 2005-07-15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326A (en) * 1992-12-04 1995-04-25 Goldstein; Steven W. 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 plurality of remotely controlled devices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6225938B1 (en) * 1999-01-14 2001-05-01 Universal Electronics Inc.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with bar code setup
US7046161B2 (en) * 1999-06-16 2006-05-1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7128266B2 (en) * 2003-11-13 2006-10-31 Metrologic Instruments. Inc. Hand-supportable digital imaging-based bar code symbol reader supporting narrow-area and wide-area modes of illumination and image capture
KR100811339B1 (ko) * 2001-10-11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되는 원격제어 시스템 및방법
US7224903B2 (en) * 2001-12-28 2007-05-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with automatic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programming
US7271830B2 (en) * 2002-02-11 2007-09-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tion detection in an image capturing device
US7653212B2 (en) * 2006-05-19 2010-01-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mage data in connection with configuring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ES2378665T3 (es) * 2002-11-20 2012-04-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istema de interfaz de usuario basado en dispositivo apuntador
US7212230B2 (en) * 2003-01-08 2007-05-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camera having a motion tracking subsystem responsive to input control for tracking motion of the digital camera
JP4038771B2 (ja) * 2003-10-28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50248664A1 (en) * 2004-05-07 2005-11-10 Eastman Kodak Company Identifying red eye in digital camera images
US8289399B2 (en) * 2004-08-09 2012-10-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image capture device
US20060125968A1 (en) * 2004-12-10 2006-06-15 Seiko Epson Corporation Control system, apparatus compatible with the system, and remote controller
EP1744290B1 (en) 2005-07-15 2018-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KR100640808B1 (ko) * 2005-08-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상 이미지의 듀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WO2008019334A2 (en) * 2006-08-04 2008-02-14 Tegic Communications, Inc. Remote control in a mobile terminal
KR100835378B1 (ko) * 2007-04-03 200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리모컨의 기기 제어 방법
US20080279453A1 (en) * 2007-05-08 2008-11-13 Candelore Brant L OCR enabled hand-held device
US8988359B2 (en) * 2007-06-19 2015-03-24 Nokia Corporation Moving buttons
US20090091532A1 (en) * 2007-10-04 2009-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ly controlling computer output displayed on a screen using a single hand-held device
US9843831B2 (en) * 2013-05-01 2017-12-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object recognition
EP3000233A1 (en) * 2013-05-20 2016-03-30 Thomson Licensing Remote control programming using imag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024A (ko) * 2003-05-17 2004-11-26 송현관 레이져 포인터를 구비한 휴대폰 및 디지털 카메라
KR20070009261A (ko) * 2005-07-15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48782B2 (en) 2018-08-14
KR20100046805A (ko) 2010-05-07
US20100103105A1 (en)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6623B (zh) 显示设备及其视频通话的方法
US8751973B2 (en)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portable device using external display device
KR10185123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현장치 및 방법
KR20130024085A (ko)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KR101782649B1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 악세사리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1444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CN108924452A (zh) 局部录屏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749046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1499133B1 (ko)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20130466A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KR100651368B1 (ko)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 제어방법
KR100735262B1 (ko) 휴대단말기의 자동표시방법
KR100724870B1 (ko) 휴대단말기의 별자리 검색방법
CN109819331B (zh) 一种视频通话方法、装置、移动终端
KR101264797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사진 검색 방법
KR100689458B1 (ko)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의 밝기조절 방법
KR201700439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6228207B (zh) 识别家庭播放设备中显示的图形码的方法和装置
US10242279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607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KR100689526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101939820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70009237A (ko) 동작비교방법
KR100689405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저장 및 검색방법
HK40083972A (en) An object scann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0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