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94134B1 -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 - Google Patents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134B1
KR101494134B1 KR20140073375A KR20140073375A KR101494134B1 KR 101494134 B1 KR101494134 B1 KR 101494134B1 KR 20140073375 A KR20140073375 A KR 20140073375A KR 20140073375 A KR20140073375 A KR 20140073375A KR 101494134 B1 KR101494134 B1 KR 10149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digester
unit
shaft
remov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학
김대열
Original Assignee
김유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학 filed Critical 김유학
Priority to KR2014007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1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72Means for fluidising the sediments, e.g. by jets or mechanical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소화조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유닛의 교체 없이도 소화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취약한 소화조에도 무리 없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가 개시된다. 상기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는 강도 보강 구조물을 소화조 내에 설치하여 교반유닛과 스컴 제거유닛의 하중이 소화조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에 의해 전부 지지되도록 하여 구조가 취약한 소화조의 경구에도 스컴 제거유닛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소화조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유닛의 교체 없이도 스컴 제거유닛만 별도로 소화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교체 비용의 소모 없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소화조의 연속적인 교반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컴을 매우 신속하게 제거 및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공간의 발생 없이 소화조 전체에 걸쳐 고르게 스컴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교반유닛 및 스컴 제거유닛으로부터 누유되는 각종 오일이 누유되어 소화조 내의 혼합액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SKIMMER FOR AGITATOR HAVING STRENGTH REINFORCEMENT FUNCTION OF DIGESTER AND AGIT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조 내의 수면 상에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할 수 있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조란 유기물이나 하수 슬러지(침전물) 등의 고형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하여 안정화시키는 메탄 발효를 하는 탱크로서 통상적으로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소화조는 배수 유입관, 소화오니 배출관, 소화액 취출관, 스컴 제거유닛, 가스 배출과 소화조 가온 장치 등이 부속 장치로서 필요하다.
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상기 소화조의 소화처리를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소화조에 강력한 교반기를 설치하는 추세이다.
즉, 기존 소화조 구조물에 스컴을 제거할 수 있는 스컴 제거유닛이 포함되어 있는 교반기를 설치하여 스컴을 제거함과 동시에 소화조의 소화처리를 가속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나, 교반기가 설치되지 않은 기존 소화조의 경우에는 구조가 취약하여 상기 소화조의 구조를 보강하지 않고는 스컴 제거유닛이 포함되어 있는 교반기를 설치하기가 사실상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교반기가 설치된 노후된 소화조의 경우 스컴 제거유닛을 포함한 교반기로 교체할 시에는 반드시 구조물 안전 진단을 받아야 하나 노후된 소화조의 경우에 스컴 제거유닛을 포함한 교반기를 설치하게 되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기에 비하여 교반기의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어 별도로 소화조의 구조를 보강하지 않고는 구조물 안전 진단을 통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 교반기가 설치된 노후된 소화조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기를 철거하고 스컴 제거유닛이 포함되어 있는 교반기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상기 스컴 제거유닛이 포함되어 있는 교반기를 장기적으로 사용할 시에는 소화조 구조물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35281호(2011.04.06.)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화조 구조물에 스컴 제거유닛과 교반기의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존 소화조 뿐만 아니라 기존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노후된 소화조에 설치한다 하더라도 소화조 구조물의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공간의 발생 없이 소화조 전체에 걸쳐 고르게 스컴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컴 제거 및 배출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반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소화조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1 감속수단과, 상기 제1 감속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2 감속수단과,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이중 샤프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감속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 블레이드 및, 상기 소화조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유닛의 임펠러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교반유닛이 설치된 소화조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소화조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 구조물을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감속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상기 제2 감속수단으로 전달하는 싸이클로이드 감속기일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감속수단은 상기 제1 감속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상기 회전체에 전달하는 링 기어일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회전체는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제2 감속수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감속수단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제1 디스크부 및, 상기 스컴 블레이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제2 디스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교반유닛의 오일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소화조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누유 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은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와 스컴 블레이드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시일 브래킷 및, 상기 시일 브래킷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는 오일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오일 시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일 브래킷의 직경보다 내부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은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워터 자켓 및, 상기 워터 자켓에 충진된 물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워터 자켓의 상부에 배치되는 워터 자켓 월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은 상기 워터 자켓과 연통되도록 소화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워터 자켓 내부에 충진된 물의 레벨을 상기 소화조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구동수단 및 제1, 2 감속수단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이 상기 소화조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누유 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은 상기 제2 감속수단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소화조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워터 자켓 및, 상기 워터 자켓에 충진된 물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워터 자켓의 상부에 배치되는 워터 자켓 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은 상기 워터 자켓과 연통되도록 소화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워터 자켓 내부에 충진된 물의 레벨을 상기 소화조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1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상기 회전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와 상기 스컴 블레이드를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스컴 블레이드를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텐션을 가해줌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시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짐 방지부재와 상기 제2 보강부재는 텐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스컴 블레이드는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함과 동시에 중앙부로 가이드 하여 모을 수 있도록 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스컴 블레이드는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의 수면과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은 상기 교반유닛의 임펠러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 내부에 설치되는 하부 구조체 및, 상기 교반유닛과 스컴 제거유닛이 설치되는 소화조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감속수단이 설치되는 상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구조체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교반되는 혼합액이 상기 하부 구조체의 내/외부로 순환되는 복수개의 혼합액 유입구와 혼합액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하부 구조체는 복수개의 H빔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체는 상기 교반유닛의 임펠러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세로대와, 상기 복수개의 세로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가로대 및, 상기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세로대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 구조체가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부 구조체는 상기 복수개의 세로대와 가로대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부분들의 코너부에 연결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하부 구조체는 한 쌍의 세로대로 이루어져 적어도 두 개가 상기 교반유닛의 임펠러 외측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모듈과, 상기 지지모듈의 상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지모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세로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가로대 및, 상기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모듈과 연결되며 상부 구조체가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구조체는 상기 지지모듈과 가로대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부분들의 코너부에 연결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상부 구조체는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교반유닛과 스컴 제거유닛이 설치되는 소화조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상기 하부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제1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구조체는 상기 바디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감속수단이 설치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화조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감속수단을 통해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을 교반시키는 교반유닛 및, 상기 소화조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 제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소화조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1 감속수단과, 상기 제1 감속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2 감속수단과,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이중 샤프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감속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 블레이드 및, 상기 소화조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유닛의 임펠러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교반유닛이 설치된 소화조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소화조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 구조물을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이용한 교반기를 제시한다.
한편, 상기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교반유닛의 오일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소화조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누유 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구동수단 및 제1, 2 감속수단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이 상기 소화조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누유 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1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상기 회전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와 상기 스컴 블레이드를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컴 제거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스컴 블레이드를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텐션을 가해줌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시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은 상기 교반유닛의 임펠러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 내부에 설치되는 하부 구조체 및, 상기 교반유닛과 스컴 제거유닛이 설치되는 소화조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에 설치되는 상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는 기존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노후된 소화조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기를 철거한 후 스컴 제거유닛과 교반기를 교체 설치하거나,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소화조에 스컴 제거유닛과 교반기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강도 보강 구조물을 소화조 내에 설치하여 교반기와 스컴 제거유닛의 하중이 소화조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에 의해 상기 스컴 제거유닛과 교반기의 하중이 전부 지지되도록 하여 기존 소화조 구조물의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 장기간 사용 시에도 소화조 구조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는 제1, 2 누유 방지수단에 의해 상기 교반유닛과 스컴 제거유닛에 사용되는 각종 오일이 누유되어 소화조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소화조 내의 혼합액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는 스컴 블레이드가 아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의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스컴이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어 한 곳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컴을 매우 신속하게 제거 및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제1 보강부재와 제2 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될 뿐만 아니라 처짐 방지부재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끝단부가 소화조의 측면부까지 연장되도록 길게 형성되더라도 스컴을 제거할 시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형태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공간의 발생 없이 소화조 전체에 걸쳐 고르게 스컴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는 교반유닛을 이용하여 소화조 내 혼합액을 교반시킴과 동시에 스컴 제거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액 수면 상에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액 수면 상에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하여 교반기의 운전을 정지시키지 않아도 됨으로써 연속적인 교반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수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는 제1, 2 누유 방지수단에 의해 상기 교반유닛과 스컴 제거유닛에 사용되는 각종 오일이 누유되어 소화조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소화조 내의 혼합액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컴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컴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른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른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컴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00)은 교반유닛(210)이 설치되어 있는 소화조(200)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조(200)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컴 제거유닛(100)은 구동수단(110), 제1 감속수단(120), 제2 감속수단(130), 회전체(140) 및, 스컴 블레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110)은 상기 교반유닛(210)이 설치되어 있는 소화조(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수단(110)으로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속수단(120)은 상기 구동수단(110)과 연결되도록 상기 교반유닛(210)이 설치되어 있는 소화조(200)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감속수단(120)으로는 상기 구동수단(110)의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제2 감속수단(130)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싸이클로이드 감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속수단(130)은 상기 제1 감속수단(1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감속수단(130)으로는 상기 제1 감속수단(1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회전체(140)에 전달할 수 있는 링 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감속수단(130)의 외륜(131)은 상기 소화조(200)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감속수단(130)의 내륜(132)은 상기 회전체(14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감속수단(130)의 내륜(132)은 상기 제1 감속수단(120)의 샤프트(121)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22)와 기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감속수단(120)의 샤프트(121)에 의해 상기 피니언 기어(122)가 회전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122)에 의해 상기 제2 감속수단(130)의 내륜(132)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감속수단(120)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 기어(122)와 상기 제2 감속수단(130)의 내륜(132)에 형성된 기어의 기어 비에 상응하도록 감속시켜 회전체(14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체(140)는 상기 교반유닛(210)의 샤프트(2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211)의 외측에 이중 샤프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감속수단(1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체(140)는 바디부(141), 제1 디스크부(142) 및, 제2 디스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41)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211)의 외측에 이중 샤프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디부(141)는 상기 샤프트(2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211)의 외측에 이중 샤프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크부(142)는 상기 제2 감속수단(13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감속수단(130)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바디부(141)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디스크부(142)는 상기 바디부(141)의 외주면 상단부에 원판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디스크부(142)에는 상기 제2 감속수단(130), 즉 링 기어의 내륜(132)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디스크부(142)는 상기 제2 감속수단(130)의 내륜(132)과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크부(143)는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부(141)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디스크부(143)는 상기 바디부(141)의 외주면 하단부에 원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는 상기 회전체(140)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140)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소화조(200)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는 제2 감속수단(130)의 내륜(132)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상기 회전체(14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140)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소화조(200)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는 상기 소화조(200) 내에 스컴이 제거되지 않는 사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소화조(200)의 측면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는 상기 소화조(200) 내 혼합액의 수면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컴 블레이드(150)는 상기 회전체(140)에 2개 내지 4개가 등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는 상기 소화조(200)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스컴을 회전체(140) 측으로 가이드 하여 모을 수 있도록 아크(ARC)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는 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14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에 의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에 의해 가이드 되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회전체(140) 측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100)은 제1 누유 방지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160)은 상기 교반유닛(210)의 샤프트(2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211)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140)와 스컴 블레이드(15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유닛(210)의 오일이 상기 샤프트(211)를 따라 소화조(200)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160)은 고정 브래킷(161), 시일 브래킷(162) 및, 오일 시일(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161)은 상기 교반유닛(210)의 샤프트(2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211)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140)와 스컴 블레이드(15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브래킷(161)은 상기 샤프트(211)에 의해 관통되는 홀이 중앙부에 형성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일 브래킷(162)은 상기 고정 브래킷(161)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유닛(210)의 샤프트(2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2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일 브래킷(162)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시일(163)은 상기 시일 브래킷(162)과 상기 샤프트(21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브래킷(161)은 상기 오일 시일(163)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일 브래킷(162)의 직경보다 내부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일 브래킷(162)의 직경 내부에 위치한 상기 고정 브래킷(161) 부분은 상기 고정 브래킷(161)의 나머지 부분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160)은 상기 교반유닛(210)의 구동수단(212)이나 감속수단(213)으로부터 누출되는 각종 오일이 상기 교반유닛(210)의 샤프트(211)를 따라 소화조(200)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교반유닛(210)으로부터 누출되는 각종 오일에 의해 소화조(200) 내의 혼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100)은 제2 누유 방지수단(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170)은 상기 제2 감속수단(1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소화조(200)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 제거유닛(100)의 구동수단(110) 및 제1, 2 감속수단(120)(130)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이 상기 소화조(200)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170)은 워터 자켓(171) 및, 워터 자켓 월(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 자켓(171)은 상기 제2 감속수단(1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소화조(20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자켓(171) 내부에는 일정 수위의 물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자켓 월(172)은 상기 워터 자켓(17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체(14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170)은 상기 워터 자켓(171)과 연통되도록 소화조(20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워터 자켓(171) 내부에 충진된 물의 레벨을 상기 소화조(200)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게이지(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17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00)의 구동수단(110)이나 제1, 2 감속수단(120)(130)으로부터 작동유 등과 같은 오일이 누출된다 하더라도 상기 누출된 오일이 상기 물이 충진되어 있는 워터 자켓(171) 내부로 떨어지도록 하여 상기 스컴 제거유닛(100)으로부터 유출되는 각종 오일에 의해 소화조(200) 내의 혼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00)은 제1 보강부재(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부재(181)는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회전되어 스컴을 제거할 시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보강부재(181)는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와 대응되도록 아크(ARC)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의 측면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보강부재(181)는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회전되는 반대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의 측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회전되어 스컴을 제거할 시 스컴과 혼합액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에 가해지는 부하에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00)은 처짐 방지부재(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짐 방지부재(182)는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상기 회전체(14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140)와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를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짐 방지부재(182)로는 상기 회전체(140)와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와이어는 턴버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텐션 조정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스컴 제거유닛(100)은 제2 보강부재(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강부재(183)는 적어도 두 개의 스컴 블레이드(150)가 회전체(140)에 설치될 경우에 서로 이웃하는 스컴 블레이드(15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에 텐션을 가해줌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를 사용하여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시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보강부재(183)로는 서로 이웃하는 스컴 블레이드(15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와이어는 턴버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텐션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00)은 소화조(200)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유닛(210)의 교체 없이 상기 스컴 제거유닛(100)만 별도로 상기 소화조(2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교체 비용의 소모 없이 최소한의 설비비용의 투입으로 소화조의 연속적인 교반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2 누유 방지수단(160)(170)에 의해 상기 교반유닛(210)과 스컴 제거유닛(100)에 사용되는 각종 오일이 누유되어 소화조(200)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소화조(100) 내의 혼합액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컴 블레이드(150)가 아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에 의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스컴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에 의해 가이드 되어 한 곳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컴을 매우 신속하게 제거 및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제1 보강부재(181)와 제2 보강부재(183)에 의해 보강될 뿐만 아니라 처짐 방지부재(182)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의 끝단부가 소화조(200)의 측면부까지 연장되도록 길게 형성되더라도 스컴을 제거할 시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의 형태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공간의 발생 없이 소화조(200) 전체에 걸쳐 고르게 스컴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컴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른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른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300)은 강도 보강 구조물(390), 구동수단(310), 제1 감속수단(320), 제2 감속수단(330), 회전체(340) 및 스컴 블레이드(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390)은 소화조(400)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유닛(410)의 임펠러(4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교반유닛(410)이 설치된 소화조(40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소화조(4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390)은 하부 구조체(391) 및, 상부 구조체(3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체(391)은 상기 교반유닛(410)의 임펠러(412)를 둘러싸도록 상기 소화조(4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구조체(391)은 상기 교반유닛(410)의 샤프트(411)와 임펠러(412)를 둘러싸도록 상기 소화조(400) 내부에 콘크리트로 타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구조체(391)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혼합액 유입구(39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구조체(391)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혼합액 배출구(391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412)에 의해 교반되는 소화조(400) 내의 혼합액이 상기 복수개의 혼합액 유입구(391a)와 혼합액 배출구(391b)를 통해 상기 하부 구조체(391)의 내/외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구조체(392)는 상기 교반유닛(410)과 스컴 제거유닛(300)이 설치되는 소화조(400)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391)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감속수단(330)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구조체(392)는 바디부(392a), 제1 브래킷(392b) 및 제2 브래킷(39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92a)는 상기 교반유닛(410)의 샤프트(411)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 홀(H)이 형성되며 상기 교반유닛(410)과 스컴 제거유닛(300)이 설치되는 소화조(400)의 상부면을 지지한다.
상기 제1 브래킷(392b)은 상기 바디부(392a)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392a)를 상기 하부 구조체(391)에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브래킷(392c)은 상기 바디부(392a)의 외주면 중앙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브래킷(392c)에는 상기 제2 감속수단(3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310)은 상기 교반유닛(410)이 설치되어 있는 소화조(4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수단(310)으로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속수단(320)은 상기 교반유닛(410)이 설치되어 있는 소화조(400)에 설치되며 구동수단(31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감속수단(330)은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39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감속수단(3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감속수단(330)은 상기 제1 감속수단(3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구조체(392)의 제2 브래킷(392c)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감속수단(3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회전체(34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감속수단(320)과 제2 감속수단(330)이 연결되는 구성과 상기 제1, 2 감속수단(320)(33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00)의 제1 감속수단(120)과 제2 감속수단(130)이 연결되는 구성 및 상기 제1, 2 감속수단(120)(130)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체(340)는 상기 교반유닛(410)의 샤프트(4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411)의 외측에 이중 샤프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감속수단(3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는 상기 회전체(340)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340)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소화조(400)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00)의 스컴 블레이드(1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300)은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1 보강부재(3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은(300)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가 회전체(34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340)와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를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부재(3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300)은 서로 이웃하는 스컴 블레이드(350)를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에 텐션을 가해줌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를 사용하여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시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보강부재(3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300)의 제1, 2 보강부재(381)(383) 및 처짐 방지부재(38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00)의 제1, 2 보강부재(181)(183) 및 처짐 방지부재(182)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300)은 기존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노후된 소화조(400)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기를 철거한 후 스컴 제거유닛(300)과 교반기를 교체 설치하거나,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소화조(400)에 스컴 제거유닛(300)과 교반기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강도 보강 구조물(390)을 소화조(400) 내에 설치하여 교반기와 스컴 제거유닛(300)의 하중이 소화조(400)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390)에 의해 상기 스컴 제거유닛(300)과 교반기의 하중이 전부 지지되도록 하여 기존 소화조(400) 구조물의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 장기간 사용 시에도 소화조 구조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컴 블레이드(350)가 아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에 의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스컴이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에 의해 가이드 되어 한 곳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컴을 매우 신속하게 제거 및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가 제1 보강부재(381)와 제2 보강부재(383)에 의해 보강될 뿐만 아니라 처짐 방지부재(382)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의 끝단부가 소화조(400)의 측면부까지 연장되도록 길게 형성되더라도 스컴을 제거할 시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350)의 형태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공간의 발생 없이 소화조(400) 전체에 걸쳐 고르게 스컴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500)은 강도 보강 구조물(590)의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590)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500)의 강도 보강 구조물(590)은 하부 구조체(591) 및, 상부 구조체(5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체(591)은 상기 교반유닛(610)의 샤프트(611)와 임펠러(612)를 둘러싸도록 상기 소화조(6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구조체(59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H빔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592)는 상기 교반유닛(610)과 스컴 제거유닛(500)이 설치되는 소화조(600)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591)에 설치되며 제2 감속수단(53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구조체(592)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상부 구조체(392)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700)은 강도 보강 구조물(790)의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790)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700)의 강도 보강 구조물(790)은 하부 구조체(791) 및, 상부 구조체(7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체(791)는 상기 교반유닛(810)의 임펠러(812)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8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부 구조체(791)은 상기 교반유닛(810)의 샤프트(811)와 임펠러(812)를 둘러싸도록 상기 소화조(8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구조체(791)은 세로대(791a), 가로대(791b) 및, 연결부재(79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대(791a)는 복수개가 상기 교반유닛(810)의 임펠러(812)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8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세로대(791a)는 복수개가 상기 교반유닛(810)의 샤프트(811)와 임펠러(812)를 둘러싸도록 상기 소화조(8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로대(791b)는 복수개가 상기 세로대(791a)의 상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세로대(791a)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791c)는 상기 샤프트(8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8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세로대(791a)와 연결되며 상부 구조체(792)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하부 구조체(791)은 상기 복수개의 세로대(791a)와 가로대(791b)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부분들(791d)의 코너부에 연결되는 보강부재(79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부재(791e)는 상기 격자부분들(791d)의 코너부에 X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792)는 상기 교반유닛(810)과 스컴 제거유닛(700)이 설치되는 소화조(800)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791)에 설치되며 제2 감속수단(73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구조체(792)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상부 구조체(392)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900)은 제1, 2 누유 방지수단(960)(970)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1, 2 누유 방지수단(960)(97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960)은 상기 교반유닛(1010)의 샤프트(10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10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유닛(1010)의 오일이 상기 샤프트(1011)를 따라 소화조(1000)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960)은 워터 쟈켓(961) 및 워터 자켓 월(9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 자켓(961)은 상기 교반유닛(1010)의 샤프트(10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10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자켓(961)의 내부에는 일정 수위의 물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자켓 월(962)은 상기 워터 자켓(961)에 충진된 물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샤프트(101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960)은 상기 워터 자켓(961)과 연통되도록 소화조(100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워터 자켓(961) 내부에 충진된 물의 레벨을 상기 소화조(1000)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게이지(9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960)은 상기 교반유닛(1010)의 구동수단(1012)이나 감속수단(1013)으로부터 누출되는 각종 오일이 상기 교반유닛(1010)의 샤프트(1011)를 따라 소화조(1000)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교반유닛(1010)으로부터 누출되는 각종 오일에 의해 소화조(1000) 내의 혼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970)은 제2 감속수단(930)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소화조(1000)에 설치되어 스컴 제거유닛(900)의 구동수단(910) 및 제1, 2 감속수단(920)(930)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이 상기 소화조(1000)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970)은 워터 자켓(971) 및, 워터 자켓 월(9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 자켓(971)은 상기 제2 감속수단(930)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소화조(100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자켓(971) 내부에는 일정 수위의 물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자켓 월(972)은 상기 워터 자켓(971)에 충진된 물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워터 자켓(97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워터 자켓 월(972)은 상기 워터 자켓(97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워터 자켓(971)에 충진된 물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970)은 상기 워터 자켓(971)과 연통되도록 소화조(100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워터 자켓(971) 내부에 충진된 물의 레벨을 상기 소화조(1000)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게이지(9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97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900)의 구동수단(910)이나 제1, 2 감속수단(920)(930)으로부터 작동유 등과 같은 오일이 누출된다 하더라도 상기 누출된 오일이 상기 물이 충진되어 있는 워터 자켓(971) 내부로 떨어지도록 하여 상기 스컴 제거유닛(900)으로부터 유출되는 각종 오일에 의해 소화조(1000) 내의 혼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900)의 제2 감속수단(930)은 외륜(931)이 회전체(940)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1 감속수단(920)의 샤프트(921)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922)와 기어 연결되고, 내륜(932)은 소화조(100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감속수단(920)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 기어(922)와 상기 제2 감속수단(930)의 외륜(932)에 형성된 기어 비에 상응하도록 감속시켜 회전체(940)에 전달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100)은 강도 보강 구조물(1190)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9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1190)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100)의 강도 보강 구조물(1190)은 하부 구조체(1191) 및, 상부 구조체(11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체(1191)는 상기 교반유닛(1210)의 임펠러(1212)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12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구조체(1191)는 지지모듈(1191a), 가로대(1191d) 및, 연결부재(1191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모듈(1191a)은 한 쌍의 세로대(1191b)(1191c)로 이루어져 적어도 두 개가 상기 교반유닛(1210)의 임펠러(1212) 외측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12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로대(1191d)는 복수개가 상기 지지모듈(1191a)의 상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지모듈(1191a)을 형성하는 한 쌍의 세로대(1191b)(1191c)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91e)는 샤프트(12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12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모듈(1191a)과 연결되며 상부 구조체(1192)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191e)는 상기 지지모듈(1191a)과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하부 구조체(1191)는 지지모듈(1191a)의 한 쌍의 세로대(1191b)(1191c)와 가로대(1191d)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부분들(1191f)의 코너부에 연결되는 보강부재(1191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부재(1191g)는 상기 격자부분들(1191f)의 코너부에 X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1192)는 교반유닛(1210)과 스컴 제거유닛(1100)이 설치되는 소화조(1200)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1191)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구조체(1192)는 바디부(1192a) 및 제1 브래킷(119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92a)는 교반유닛(1210)의 샤프트(1211)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교반유닛(1210)과 스컴 제거유닛(1100)이 설치되는 소화조(1200)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래킷(1192b)은 상기 바디부(1192a)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192a)를 상기 하부 구조체(1191)에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7 실시예>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을 적용한 교반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는 교반유닛(210) 및, 스컴 제거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유닛(210)은 소화조(200)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조(200) 내에 충진된 혼합액을 교반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교반유닛(210)은 구동수단(212), 감속수단(213), 샤프트(211) 및, 임펠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212)은 상기 소화조(20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수단(212)으로는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속수단(213)은 상기 구동수단(212)과 연결되도록 상기 소화조(200)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212)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11)는 상기 감속수단(213)과 연결되어 상기 감속수단(21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14)는 상기 샤프트(211)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소화조(200) 내에 충진된 혼합액을 교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211)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214)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샤프트(2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컴 제거유닛(100)은 상기 소화조(200)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조(200)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컴 제거유닛(100)은 구동수단(110), 제1 감속수단(120), 제2 감속수단(130), 회전체(140) 및 스컴 블레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110)은 상기 교반유닛(210)의 구동수단(212)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소화조(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속수단(120)은 상기 구동수단(110)과 연결되도록 상기 소화조(200)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감속수단(130)은 상기 제1 감속수단(1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체(140)는 상기 교반유닛(210)의 샤프트(2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211)의 외측에 이중 샤프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감속수단(1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컴 블레이드(150)는 상기 회전체(140)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140)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소화조(200)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스컴 제거유닛(1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스컴 제거유닛(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스컴 제거유닛(1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00)과 마찬가지로 제1, 2 누유 방지수단(160)(170), 제1, 2 보강부재(181)(183), 처짐 방지부재(18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한 제1, 2 누유 방지수단(160)(170), 제1, 2 보강부재(181)(183), 처짐 방지부재(182)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제1, 2 누유 방지수단(160)(170), 제1, 2 보강부재(181)(183), 처짐 방지부재(18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는 교반유닛(210)을 이용하여 소화조(200) 내 혼합액을 교반시킴과 동시에 스컴 제거유닛(100)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액 수면 상에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액 수면 상에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하여 교반기의 운전을 정지시키지 않아도 됨으로써 연속적인 교반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수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는 제1, 2 누유 방지수단(160)(170)에 의해 상기 교반유닛(210)과 스컴 제거유닛(100)에 사용되는 각종 오일이 누유되어 소화조(200)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소화조(200) 내의 혼합액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8 실시예>
다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이 적용된 교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는 교반유닛(410)(610)(810) 및 스컴 제거유닛(300)(500)(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유닛(410)(610)(810)은 소화조(400)(600)(800)에 설치되어 구동수단(413)(613)(813)의 회전력을 감속수단(414)(614)(814)을 통해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샤프트(411)(611)(811)를 회전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412)(612)(812)를 회전시켜 소화조(400)(600)(800) 내 혼합액을 교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펠러(412) 대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루(412)가 상기 샤프트(4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유닛(410)(610)(8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교반유닛(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교반유닛(410)(610)(81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컴 제거유닛(300)(500)(700)은 상기 소화조(400)(600)(800)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조(400)(600)(800)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스컴 제거유닛(300)(500)(700)으로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300)(500)(70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300)(500)(700)으로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300)(500)(70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300)(500)(7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 또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와 마찬가지로 교반유닛(410)(610)(810)을 이용하여 소화조(400)(600)(800) 내 혼합액을 교반시킴과 동시에 스컴 제거유닛(300)(500)(700)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액 수면 상에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액 수면 상에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하여 교반기의 운전을 정지시키지 않아도 됨으로써 연속적인 교반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수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9 실시예>
다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및 제6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이 적용된 교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는 교반유닛(1210) 및 스컴 제거유닛(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유닛(1210)은 소화조(1200)에 설치되어 구동수단(1213)의 회전력을 감속수단(1214)을 통해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샤프트(1211)를 회전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1212)를 회전시켜 소화조(1200) 내 혼합액을 교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유닛(12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교반유닛(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교반유닛(121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컴 제거유닛(1100)은 상기 소화조(1200)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조(1200)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스컴 제거유닛(1100)으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 또는 제6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900)(110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의한 스컴 제거유닛(1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 또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와 마찬가지로 교반유닛(1210)을 이용하여 소화조(1200) 내 혼합액을 교반시킴과 동시에 스컴 제거유닛(1100)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액 수면 상에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액 수면 상에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하여 교반기의 운전을 정지시키지 않아도 됨으로써 연속적인 교반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수 처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300)(500)(700)(900)(1100) : 스컴 제거유닛
(110)(310) : 구동수단
(120)(320) : 제1 감속수단
(130)(330)(530)(730) : 제2 감속수단
(140)(340) : 회전체
(150)(350) : 스컴 블레이드
(160)(960) : 제1 누유 방지수단
(170)(970) : 제2 누유 방지수단
(210)(410)(610)(810)(1010) : 교반유닛
(211)(411)(611)(811)(1211) : 샤프트
(212)(413)(613)(813)(1213) : 구동수단
(213)(414)(614)(814)(1214) : 감속유닛
(214)(412)(612)(812)(1212) : 임펠러
(390)(590)(790)(1190) : 강도 보강 구조물
(391)(591)(791)(1191) : 하부 구조체
(392)(592)(792)(1192) : 상부 구조체

Claims (34)

  1. 교반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소화조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1 감속수단;
    상기 제1 감속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2 감속수단;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이중 샤프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감속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 블레이드;
    상기 소화조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유닛의 임펠러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교반유닛이 설치된 소화조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소화조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 구조물; 및
    상기 교반유닛의 오일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소화조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누유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속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상기 제2 감속수단으로 전달하는 싸이클로이드 감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속수단은,
    상기 제1 감속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상기 회전체에 전달하는 링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바디부;
    상기 제2 감속수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감속수단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제1 디스크부; 및
    상기 스컴 블레이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제2 디스크부를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상기 회전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와 상기 스컴 블레이드를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은,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와 스컴 블레이드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시일 브래킷; 및
    상기 시일 브래킷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는 오일 시일을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오일 시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일 브래킷의 직경보다 내부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은,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워터 자켓; 및
    상기 워터 자켓에 충진된 물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워터 자켓의 상부에 배치되는 워터 자켓 월을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유 방지수단은,
    상기 워터 자켓과 연통되도록 소화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워터 자켓 내부에 충진된 물의 레벨을 상기 소화조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 및 제1, 2 감속수단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이 상기 소화조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누유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은,
    상기 제2 감속수단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소화조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워터 자켓; 및
    상기 워터 자켓에 충진된 물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워터 자켓의 상부에 배치되는 워터 자켓 월을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유 방지수단은,
    상기 워터 자켓과 연통되도록 소화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워터 자켓 내부에 충진된 물의 레벨을 상기 소화조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1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14.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부재는 텐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15. 제1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스컴 블레이드를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텐션을 가해줌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시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재는 텐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는,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함과 동시에 중앙부로 가이드 하여 모을 수 있도록 아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는,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의 수면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은,
    상기 교반유닛의 임펠러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 내부에 설치되는 하부 구조체; 및
    상기 교반유닛과 스컴 제거유닛이 설치되는 소화조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감속수단이 설치되는 상부 구조체를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교반되는 혼합액이 상기 하부 구조체의 내/외부로 순환되는 복수개의 혼합액 유입구와 혼합액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는,
    복수개의 H빔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22.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는,
    상기 교반유닛의 임펠러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세로대;
    상기 복수개의 세로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가로대; 및
    상기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세로대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 구조체가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는,
    상기 복수개의 세로대와 가로대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부분들의 코너부에 연결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24.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는,
    한 쌍의 세로대로 이루어져 적어도 두 개가 상기 교반유닛의 임펠러 외측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모듈;
    상기 지지모듈의 상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지모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세로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가로대; 및
    상기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모듈과 연결되며 상부 구조체가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는,
    상기 지지모듈과 가로대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부분들의 코너부에 연결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26.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체는,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교반유닛과 스컴 제거유닛이 설치되는 소화조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상기 하부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제1 브래킷을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체는,
    상기 바디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감속수단이 설치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28. 소화조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감속수단을 통해 소정 비율로 감속시켜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을 교반시키는 교반유닛; 및
    상기 소화조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 제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소화조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1 감속수단;
    상기 제1 감속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2 감속수단;
    상기 교반유닛의 샤프트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이중 샤프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감속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소화조 내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 블레이드;
    상기 소화조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유닛의 임펠러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교반유닛이 설치된 소화조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소화조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 구조물; 및
    상기 교반유닛의 오일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소화조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누유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이용한 교반기.
  29. 삭제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구동수단 및 제1, 2 감속수단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이 상기 소화조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누유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이용한 교반기.
  31.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1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이용한 교반기.
  32.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제거유닛은,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상기 회전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와 상기 스컴 블레이드를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이용한 교반기.
  33.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제거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스컴 블레이드를 연결하여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텐션을 가해줌으로써 상기 스컴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혼합액의 수면 상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할 시 상기 스컴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이용한 교반기.
  34.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 구조물은,
    상기 교반유닛의 임펠러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소화조 내부에 설치되는 하부 구조체; 및
    상기 교반유닛과 스컴 제거유닛이 설치되는 소화조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에 설치되는 상부 구조체를 포함하는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을 이용한 교반기.
KR20140073375A 2014-06-17 2014-06-17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 Active KR10149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3375A KR101494134B1 (ko) 2014-06-17 2014-06-17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3375A KR101494134B1 (ko) 2014-06-17 2014-06-17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134B1 true KR101494134B1 (ko) 2015-02-17

Family

ID=5259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3375A Active KR101494134B1 (ko) 2014-06-17 2014-06-17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1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035B1 (ko) 2017-10-04 2018-02-19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중앙지주형 소화조 교반기 및 이를 이용한 소화조 보강방법
KR102412839B1 (ko) * 2021-08-12 2022-06-23 김유학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조용 교반기
KR102755051B1 (ko) 2023-11-28 2025-01-14 김유학 노후 소화조 구조물 보강 없이 설치 가능한 스컴 제거유닛 장착형 다중축 소화조 교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746A (ja) * 2000-04-10 2001-10-16 Sumitomo Heavy Ind Ltd 同心2軸竪型攪拌機の駆動部構造
KR100660313B1 (ko) 2004-10-25 2006-12-21 (주)우진 누유방지형 감속 동력전달장치
KR101014593B1 (ko) * 2010-01-20 2011-02-16 김대열 소화조 교반기
KR101079831B1 (ko) * 2008-07-30 2011-11-03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기계식 교반장치를 구비한 소화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746A (ja) * 2000-04-10 2001-10-16 Sumitomo Heavy Ind Ltd 同心2軸竪型攪拌機の駆動部構造
KR100660313B1 (ko) 2004-10-25 2006-12-21 (주)우진 누유방지형 감속 동력전달장치
KR101079831B1 (ko) * 2008-07-30 2011-11-03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기계식 교반장치를 구비한 소화조
KR101014593B1 (ko) * 2010-01-20 2011-02-16 김대열 소화조 교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035B1 (ko) 2017-10-04 2018-02-19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중앙지주형 소화조 교반기 및 이를 이용한 소화조 보강방법
KR102412839B1 (ko) * 2021-08-12 2022-06-23 김유학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조용 교반기
KR102755051B1 (ko) 2023-11-28 2025-01-14 김유학 노후 소화조 구조물 보강 없이 설치 가능한 스컴 제거유닛 장착형 다중축 소화조 교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262B1 (ko) 교반기용 스컴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교반기
KR101015470B1 (ko) 다축 교반기
KR20180040234A (ko) 수직왕복형 소화조 교반장치
CN204502855U (zh) 用于物化反应的框式搅拌装置
KR102412839B1 (ko)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조용 교반기
KR101494134B1 (ko)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교반기용 스컴 제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반기
CN211487370U (zh) 一种水处理药剂的混合装置
CN207415689U (zh) 一种混凝土搅拌设备
KR100921011B1 (ko) 심층 교반기
CN106955618A (zh) 能够加快搅拌效率的机械加工搅拌设备
JP4772537B2 (ja) 汚泥処理システム
KR101566242B1 (ko) 수위 연동형 스크루 다축 교반기
CN201744320U (zh) 一种立轴式双涡轮搅拌机
CN104353381B (zh) 搅拌装置
CN216630429U (zh) 一种正反向搅拌设备
KR101478099B1 (ko) 스컴 블레이드를 장착한 다축 교반기
KR101986098B1 (ko) 스컴 블레이드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KR101202444B1 (ko) 스컴 발생 억제 설비 및 교반 기능을 갖는 일체형 혐기성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4404B1 (ko) 멀티샤프트를 이용한 급속 혼화조 교반기
CN211837457U (zh) 一种污泥搅拌机
JP2010017637A (ja) 横型フロキュレータ
CN108892233A (zh) 一种污水处理池的机械式曝气搅拌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755044B1 (ko)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듀얼 플로우 교반형 수처리용 교반기
KR101360940B1 (ko) 내부 격벽 및 교반기 지지 장치를 구비한 혐기성 소화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755047B1 (ko) 소화조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듀얼 플로우 교반형 수처리용 다축 교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