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81421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421B1
KR101481421B1 KR20080108581A KR20080108581A KR101481421B1 KR 101481421 B1 KR101481421 B1 KR 101481421B1 KR 20080108581 A KR20080108581 A KR 20080108581A KR 20080108581 A KR20080108581 A KR 20080108581A KR 101481421 B1 KR101481421 B1 KR 10148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list
terminal
mme
message
ch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8010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434A (ko
Inventor
서경주
임채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0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421B1/ko
Priority to US12/610,558 priority patent/US20100112981A1/en
Priority to EP09829260.0A priority patent/EP2345179A4/en
Priority to PCT/KR2009/006407 priority patent/WO2010062053A2/en
Publication of KR20100049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42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비접속 계층(Non-Access-tratum: 이하 "NAS"라 함)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단말이 펨토 기지국 (Home Evolved Node Base Station: 이하 "HeNB"라 함) 또는 매크로 기지국(Evolbed Node Base Station: 이하 "eNB"라 함) 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white list) 의 정보를 변경 (Update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이트 리스트를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는 단말과 이동 관리자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라 함), eNB 또는 HeNB에서 수행되는 절차를 포함한다.
MME, NAS, UE, eNB, HeNB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WHITE LIST INFORMATION FOR USER EQUIPMENT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접속 가능한 펨토 기지국의 정보를 나타내는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를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형기지국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3GPP에서 논의되고 있는 펨토기지국(Home Evolved Node Base Station: 이하 "HeNB"라 함)이다.
펨토 셀(Femto Cell)이란 셀룰러 시스템에서 매우 작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셀을 의미하며, 이러한 펨토 셀을 관장하기 위한 기지국을 가칭 펨토 기지국이라고 칭한다. 펨토 기지국은 초소형/저전력 가정/사무실용으로 사용될 옥내 기지국을 의미한다. 펨토 셀은 피코 셀(pico cell)과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좀 더 기능이 진화된 의미로 사용이 되고 있다. 펨토 기지국은 브로드밴드 라우터에 연결되는 소형 셀룰러 기지국으로 기존의 2G는 물론 3G의 음성 및 데이터를 DSL 링크 등을 통해 이동통신사의 백본망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3GPP LTE(Long Term Evolution: Release 8)에서 정의된 eNB(evolved NodeB) 및 HeNB(home evolved NodeB)라는 기지국을 정의한 바 있다. 이중 eNB는 일반적인 매크로 셀(macro cell)을 관장하는 매크로 기지국이며, HeNB는 펨토 셀을 관장하는 펨토 기지국이다.
팸토기지국은 그 서비스영역이 매우 작은 소형기지국으로 예를 들어, 댁내에 설치되어 수개 정도의 단말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접속가능한 단말도 제한하고 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 간 거리(Inter Site Distance: ISD)가 500m인 셀에서 섹터당 500개의 소형기지국이 설치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아파트가 밀집한 환경에서는 셀 반경이 400m 인 경우에 약 6000 세대가 거주하고 있으므로 펨토기지국 사용률을 50%로 가정하면 섹터당 1000개의 소형기지국을 설치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밀집 환경에서는 단말은 모든 펨토기지국에 접속가능하지 않으며 접속가능한 경우 잦은 핸드오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허용되지 않은 펨토기지국에 단말이 접속되는 경우 보안상의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어 현재의 가정은 펨토기지국이 접속가능한 단말을 제한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은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펨토기지국에는 단말이 접속을 시도하지 않도록 하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가능한 기지국 목록을 접속허용목록(white list)로 단말이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상기 접속허용목록을 어떻게 생성할 것이며, 어떠한 방법으로 변경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충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접속허용목록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안된 것은 단말이 펨토기지국에접속을 시도하여 접속이 성공하면 단말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접속허용목록에 접속이 허용되는 펨토기지국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변경하고 접속이 허용되지 아니하면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기지국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접속허용목록을 변경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접속을 시도한 펨토기지국에 대해서만 접속허용목록 변경이 가능하며, 접속이 시도되지 않은 기지국에 대해서는 변경하지 않음에 따라 단말에 저장된 접속허용목록이 접속 가능한 기지국 또는 셀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여전히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접속 가능한 펨토기지국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상기 단말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장치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이 접속가능한 펨토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접속가능한 펨토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접속허용목록(white list)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펨토기지국이 포함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접속계층(Non-Access-Stratum: 이하 "NAS"라 함)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이 접속 가능한 접속허용목록인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를 NAS 메시지 사용하여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화이트 리스트 정보 변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NAS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를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단말과 이동 관리자(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라 함), 기지국(또는 매크로 기지국, Evolved Node Base Station: 이하 "eNB"라 함), 펨토 기지국를 포함하며, 단말과 상기 MME 사이에 이루어지는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정보 변경 요청 및 응답 과정과 변경 과정 중에 관여하는 노드가 HeNB, 혹은 eNB 일 경우에도 변경 과정을 단말과 MME 사이의 NA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은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변경하는데 필요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접속가능한 펨토기지국에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단말과 MME 사이에 교환되는 L3메시지를 HeNB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의 화이트리스트 변경하는 방법이, UE는 화이트리스트 정보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의 어떤 장치에 의해 상기 화이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화이트리스트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을 받은 경우 MME에게 L3(layer 3) 메시지를 전송하여 화이트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함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L3 메시지를 수신한 MME는 UE)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와; 유효성 검증 결과, 상기 단말이 접속을 시도하는 상기 펨토기지국에 접속이 허용된 경우 화이트 리스트 정보 혹은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말과 MME 사이에 교환되는 L3메시지를 eNB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의 화이트리스트 변경하는 방법이, UE는 화이트리스트 정보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의 어떤 장치에 의해 상기 화이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화이트리스트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을 받은 경우 상기MME에게 L3메시지를 전송하여 화이트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함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L3 메시지를 수신한 MME는 UE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와;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MME가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UE에게 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전송하기로 결정된 경우 상기MME는 UE에게 L3 응답 메시지를 보내면서 UE의 접속이 허용된 경우 화이트 리스트 정보 혹은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펨토기지국이 아닌 매크로 기지국 즉 eNB를 통해 접속하는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단말의 접속허용목록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펨토기지국을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에도 접속허용목록 변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접속허용목록 정보를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혹은 변경 가능함을 네트워크장치에서 단말에게 알려주는 것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단말로 전달되는 정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접속허용목록 변경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 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 및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있어, 3GPP 를 기반으로 하는 EPS 시스템을 이용할 것이며, 본 발명은 NAS 또는 이와 유사한 프토포콜을 사용하는 다른 이동 시스템에서도 이용 가능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NA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변경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기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 형태, 혹은 네트웍 구조 (architecture) 또는 유사한 프로토콜 혹은 프로토콜은 상이하나 유사한 동작을 하는 프로토콜을 가지는 여타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화이트 리스트 정보 변경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여기에서는 일 예로서 3GPP EPS 시스템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eNB(121), HeNB(123)는 각각의 서비스 영역인 셀 내에 위치하는 단말 (111)과 무선 접속을 설정하고 통신을 수행한다. UE(111)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이하 "s-GW"라 함)(141)를 통해 인터넷과 같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말을 칭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의 주요한 네트워크 개체로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 Way: 이하 "p-GW"라 함)(151) 이 홈 에이전트(Home Agent: 이하 "HA"라 함)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단말의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위치 관리 (location management), 등록(registration management) 관리를 위하여 MME(131)가 있다. 또한 사용자와 단말에 대한 인증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이하 "HSS"라 함)(161)가 상기MME (131)과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다.
단말이 eNB가 서비스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단말의 관리를 위하여 eNB(121)와 s-GE(141) 및 MME(131), MME(131)와 s-GW(141) 사이에는 데이터 경로와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한편 단말이 펨토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HeNB(123)와 s-GW(141) 및 MME(131), MME(131)와 s-GW(141) 사이에는 데이터 경로와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또한 도 1에서는 구체적으로 그림으로 표기하지 않았지만 도1의 네트워크 구조에서 다른 네트워크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그러한 구조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직접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 략하기로 한다.
HeNB(123)이 관장하는 영역 즉, 펨토셀 커버리지(F1)(181)의 영역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eNB(121)이 관장하는 영역 즉, 매크로셀 커버리지(M1)(191)에 포함되거나 혹은 일부 포함되거나 혹은 전혀 겹치지(overlay) 않는 등의 여러 가지 구조가 가능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1 과 같은 형상을 취하였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생각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구조를 포함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111)은 MME(131)와 NAS 프로토콜을 통해 서로 통신함으로써 이동성 관리, 위치 관리, 등록 관리, 세션 관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111)의 이동성 관리, 위치 관리, 세션 관리를 위해서 도입한 네트워크 장치인 개체인 MME(131) 와 단말(111)사이의 프로토콜인 NA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단말의 접속허용목록의 변경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한다. NAS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UE(111), MME(131)가 화이트 리스트 변경을 명시적,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상기의 도1의 네트워크 구조를 참조하여 이하 도2내지 도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eNB 가 있는 경우 단말과 MME 사이의 NAS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이트 리스트 변경 과정의 절차를 나타낸 절차도 이다.
이러한 도 2의 절차도는 NAS 프로토콜 과정의 일부분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변경은 상기 절차도에 표시된 절차 중에 교환되는 메시지에 하기의 [표1] 내지 [표5] 의 메시지 정보 요소 (Information Element: 이하 "IE"라 함)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도2는 단말(111)과 MME(131) 사이에 교환되는 NAS 메시지를 HeNB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의 화이트리스트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201 단계에서 UE(111)는 화이트리스트 정보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의 어떤 장치에 의해 상기 화이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화이트리스트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을 받은 경우 MME(131)에게L3(layer 3) 메시지인 NAS 메시지를 전송하여 화이트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함을 통보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N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화이트 리스트의 변경의 필요 여부를 지정해주는 정보에 의해 확인된다.
상기 화이트 리스트의 변경의 필요 여부를 지정해주는 정보에 관해서는 하기 [표1] 내지 [표2] 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UE(111)에서 MME(131)로 전송되는 상기 L3메시지는 트랙킹 영역 변경 요청(Tracking Area Update Request: 이하 "TAU REQUEST"라 함) 메시지, 서비스 요청 (Service Request)메시지가 일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경우 해당 펨토기지국에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여 서비스요청을 수락한 펨토기지국의 식별자(Closed Subscriber Group ID: CSG ID)를 UE (111)의 화이트 리스트에 추가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처리에 긴 시간이 요구되는 L3메시지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와 같이 신속한 처리가 필요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L3 메시지를 수신한 MME(131)에서는 203단계에서 UE(111)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즉 UE(111)가 MME (131)에 접속 가능한 UE(111)인지 확인한 다. 일 예로 글로벌 유일 임시 식별자(Global Unique Temporary Identifier: 이하 "GUTI"라 함)로 검증하며, HeNB의 경우, HeNB(121)가 MME(131)에 접속이 허용된 HeNB(121)인지 S1 인터페이스의 네트웍 유일 셀 식별자(Network Unique Cell Identity: 이하 "NUCI"라 함), 혹은 펨토셀의 경우 홈 기지국 식별자(Home eNB identifier) 로 검증한다. 상기의 NUCI 내에는 상기CSG ID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CSG ID에 의해 상기 UE(111)가 상기MME(131)에 사전에 접속이 허용된 단말인지 검증이 가능하다. 이러한 검증을 위하여 MME(131)은 가입자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HSS(161) 혹은 도 1에는 표기 하지 않았으나 오퍼레이션 메니지먼트 서버(Operations and Management Server: 이하 "O&M server'라 함)로부터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가져 올 수 있다.
이후 205 과정에서와 같이 MME(131)는 UE(111) 에게 L3 응답 메시지를 보내면서 UE(111)가 상기 접속을 시도하는 펨토기지국에 접속이 허용된 경우 화이트 리스트 정보 혹은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보낸다. 상기와 같은 L3 응답 메시지의 일 예로는 트래킹 에어리어 변경 허용(Tracking Area Update Accept: 이하 "TAU Accept" 라 함) 메시지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하기의 [표 3] 내지 [표 5]의 IE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eNB 가 있는 경우 단말과 MME 사이의 NAS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이트 리스트 변경 과정의 절차를 나타낸 절차도 이다.
이러한 도 3의 절차도는 NAS 프로토콜 과정의 일부분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변경은 상기 절차도에 표시된 절차 중에 교환되는 메 시지에 하기의 [표1] 내지 [표5] 의 메시지 정보 요소 (Information Element: 이하 "IE"라 함)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3은 단말(111)과 MME(131) 사이에 교환되는 NAS 메시지를 eNB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의 화이트리스트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301 단계에서 UE(111)는 화이트리스트 정보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의 어떤 장치에 의해 상기 화이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화이트리스트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을 받은 경우 MME(131)에게 L3메시지인 NAS 메시지를 전송하여 화이트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함을 통보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N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화이트 리스트의 변경의 필요 여부를 지정해주는 정보에 의해 확인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L3 메시지를 수신한 MME(131)에서는 303 과정에서와 같이 UE(111)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즉 UE(111)가 MME (131)에 접속 가능한 UE(111)인지 UE의 식별자 일 예를 들면 GUTI로 검증한다. 한편 MME(131)은 가입자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HSS(161) 혹은 O&M server로부터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가져 올 수 있으며, MME(131)이 가지고 있는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유효한 UE(111)이 요청할 시 제공해 줄 수 있다.
303 단계에서는 MME(131)이 화이트 리스트를 UE(111)에게 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결정은 사업자의 정책이나 기타 여러 가지 상황과 요건에 따라 결정된다. 305 단계에서 MME(131)는 UE(111)에게 L3 응답 메시지를 보내면서 UE(111)의 접속이 허용된 경우 화이트 리스트 정보 혹은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보낸다. 상기와 같은 L3 응답 메시지의 일 예로는 TAU Accept 메시지를 들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가진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MME 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4의 경우 L3 메시지 중에서 TAU의 경우를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 국한 되지 아니하고, TAU 이외에 서비스요청이나 기타 다른 메시지의 경우에도 본 발명과 같은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메시지의 경우라면 다른 경우에까지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401 과정에서 MME(131)은 L3 메시지 일 예를 들면 TAU REQUEST 메시지를 UE(111)로부터 받게 되고, 이러한 메시지에는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지정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L3 메시지를 받은 MME(131)은 그 메시지가 HeNB로부터 온 것인지의 여부를 S1 인터페이스의 NUCI 혹은 Home eNB identifier로 판단한다.
즉, 405과정에서 NUCI 혹은 Home eNB identifier에 포함된CSG ID 가 유효한지 검증하여 HeNB(121)가 MME(131)에 접속이 허용된 HeNB인지 CSG ID를 가지고 판단한다. 만일 유효하지 않다면 접속이 거부되는 경우이므로 409 과정으로 진행하여 UE (111)로 트래킹 영역 변경 거부(Tracking Area Update Reject: 이하 "TAU REJECT"라 함)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CSG ID 가 유효한 경우라면 407과정으로 진행하여 MME(131)은 UE(111)로 TAU ACCEPT 메시지를 보내게 되는데, 이때 화이트 리스트 정보 혹은 화이트 리스트 변경 성공 지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내게 된 다.
한편 403 과정에서 HeNB이 아닌 경우는 411 과정으로 진행하여 UE(111)로부터 eNB(123)를 거쳐 MME(131)로 전송된 메시지인지를 NUCI로 판단한다. 만일 유효한 eNB로부터 전송된 것이 아니라면 413 단계로 진행하여 TAU REJECT 메시지를 UE (111)로 보내게 된다. 만일 유효한 eNB(123)을 거쳐 전송된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을 포함한 메시지의 경우 415 과정에서와 같이 사업자 정책 혹은 기타 운영 정책에 따라 eNB(123)을 거쳐서 접속한 UE(111)에게도 UE(111)의 화이트 리스트를 변경해 줄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화이트 리스트를 변경해 주는 것이 가능 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417과정에서와 같이 TAU ACCEPT 메시지에 화이트 리스트 정보 혹은 변경 결과 성공 지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eNB(123)을 거쳐서 전송된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을 포함한 L3 메시지에 대해서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을 허락하지 않는 경우는 419 단계에서와 같이 TAU ACCEPT 메시지를 보내되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이 허락 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정보를 함께 전송하게 된다.
Figure 112008076267538-pat00001
IE 1: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타입 정보 요청 IE 포맷
상기의 [표 1] 는 UE 에서 MME 로 보내는 TAU REQUEST 메시지에 포함하여 보내는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타입 IE 이다. 이는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을 MME(131)에게 요청 할지 말지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IE이다. 총 8 비트로 구성되어 bit 5678의 경우는 IE식별자(IE identifier) 로서 3GPP나 표준 기관에 의해 할당되는 값이 될 것이다. 한편 비트 123의 경우는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활성화 여부의 타입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값의 구체적 예를 [표 2]를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112008076267538-pat00002
IE 2: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타입 값(Request type value)
상기의 [표 2]에서는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활성 타입에 따른 값의 할당에 대한 일 실시예를 기록하였다. 다음과 같이 bit 123을 할당하여 가능한 비트 조합 중(000), (001)를 사용하여 변경이 요청되지 않은 경우 (000), 요청하는 경우 (001)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Figure 112008076267538-pat00003
IE 3: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결과 타입 IE 포맷
상기의 [표 3] 는 MME 에서 UE 로 보내는 TAU ACCEPT 메시지에 포함하여 보내는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결과 타입 IE 이다. 이는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에 대한 결과를 UE에게 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IE이다. 총 8 비트로 구성되어 bit 5678 의 경우는 IE식별자(IE identifier) 로서3GPP 나 표준 기관에 의해 할당되는 값이 될 것이다. 한편 비트 123 의 경우는 NAS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에 대한 결과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값의 구체적 예 중 하나의 실시 예는 [표 4] 를 참조하기로 한다.
Figure 112008076267538-pat00004
IE 4: 화이트 리스트 변경 응답 타입 값(Response type value)
상기의 [표 4]에서는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결과 타입에 따른 값의 할당에 대한 일 실시예를 기록하였다. 다음과 같이 bit 123을 할당하여 (000), (001), (010)를 사용하여 변경이 요청되지 않은 경우 (000), 변경 요청이 성공한 경우 (001), 변경 요청이 허락되지 않는 경우 (010)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Figure 112008076267538-pat00005
IE 5: 화이트 리스트 IE 포맷
상기의 [표 5]는 화이트 리스트 정보에 대한 IE 포맷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MME 에서 UE로 보내는 TAU ACCEPT 메시지의 IE 로서 포함되어 구체적인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나타내는 IE 는 TAU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화이트 리스트 변경 성공에 대해 구체적인 화이트 리스트 정보로 응답을 주는 정보로서 이용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는 [표 5] 와 같은 정보 요소를 [표 3]의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결과 타입 IE가 리스트 변경 요청 성공이라는 지시를 알려주는 것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에 대한 성공 여부만을 알려주는 경우에는 [표4]와 같은 정보만을 표현할 수도 있으며, 혹은 [표 4]와 [표 5]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화이트 리스트 정보도 함께 알려줄 수 있다.
[표 5]의 각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Octet 1: 화이트 리스트 정보 요소 식별자의 경우 표준 단체에 의해 할당되는 값이다.
Octet 2: 화이트 리스트 정보 요소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는 length 필드로 되어 있다.
Octet 3 ~ Octet11: 화이트 리스트 개개의 정보, 즉 CSG ID의 구체적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펨토기지국(HeNB) 가 있는 경우 단말과 MME 사이의 NAS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eNB )가 있는 경우 단말과 MME 사이의 NAS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가진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MME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2)

  1. 단말과 MME 사이에 교환되는 L3메시지를 HeNB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의 화이트리스트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UE는 화이트리스트 정보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의 어떤 장치에 의해 상기 화이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화이트리스트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을 받은 경우 MME에게 L3(layer 3) 메시지를 전송하여 화이트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함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L3 메시지를 수신한 MME는 UE)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와,
    유효성 검증 결과, 상기 단말이 접속을 시도하는 펨토기지국에 접속이 허용된 경우 화이트 리스트 정보 혹은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이트리스트 변경 방법.
  2. 단말과 MME 사이에 교환되는 L3메시지를 eNB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의 화이트리스트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UE는 화이트리스트 정보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단말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의 어떤 장치에 의해 상기 화이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화이트리스트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을 받은 경우 상기MME에게 L3메시지를 전송하여 화이트리스트의 변경이 필요함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L3 메시지를 수신한 MME는 UE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와,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MME가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UE에게 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전송하기로 결정된 경우 상기MME는 UE에게 L3 응답 메시지를 보내면서 UE의 접속이 허용된 경우 화이트 리스트 정보 혹은 화이트 리스트 변경 요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이트리스트 변경 방법.
KR20080108581A 2008-11-03 2008-11-0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81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8581A KR101481421B1 (ko) 2008-11-03 2008-11-0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12/610,558 US20100112981A1 (en) 2008-11-03 2009-11-02 Whitelist update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9829260.0A EP2345179A4 (en) 2008-11-03 2009-11-03 POSITIVE LIST UPDATING PROCESS AND DEVICE FOR A USER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9/006407 WO2010062053A2 (en) 2008-11-03 2009-11-03 Whitelist update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8581A KR101481421B1 (ko) 2008-11-03 2008-11-0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434A KR20100049434A (ko) 2010-05-12
KR101481421B1 true KR101481421B1 (ko) 2015-01-21

Family

ID=4213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085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1421B1 (ko) 2008-11-03 2008-11-0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112981A1 (ko)
EP (1) EP2345179A4 (ko)
KR (1) KR101481421B1 (ko)
WO (1) WO201006205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0143B2 (en) 2002-05-01 2013-02-19 Dali Systems Co. Ltd Power amplifier time-delay invariant predistortion methods and apparatus
US8811917B2 (en) 2002-05-01 2014-08-19 Dali Systems Co. Ltd. Digital hybrid mode power amplifier system
JP5236661B2 (ja) 2006-12-26 2013-07-17 ダリ システム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多チャンネル広帯域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ベースバンド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線形化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603345B1 (ko) * 2009-02-01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g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82388B1 (ko) * 2009-07-31 201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미인증/미등록 단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400985B2 (en) * 2009-12-23 2013-03-19 Intel Corporation Femtocell discovery and association in cellular networks
US8929306B2 (en) * 2010-05-26 2015-01-06 Lg Electronics Inc. NAS-based signaling protocol for overload protection of random access in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KR101835254B1 (ko) 2010-08-17 2018-03-06 달리 시스템즈 씨오. 엘티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뉴트럴 호스트 아키텍처
US8682338B2 (en) 2010-09-14 2014-03-25 Dali Systems Co., Ltd. Remotely reconfigurable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methods
WO2013048201A2 (ko) 2011-09-30 2013-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컬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1307468B1 (ko) * 2012-01-26 2013-09-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인센티브 기반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152784B2 (en) 2012-04-18 2015-10-06 Mcafee, Inc. Detection and prevention of installation of malicious mobile applications
CN103067583A (zh) * 2012-12-26 2013-04-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无线通信装置
KR20150114442A (ko) * 2014-04-01 201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몰 셀 배치 및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681349B1 (en) * 2014-09-05 2017-06-13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ffic offloa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closed access mode conditions
US9912047B2 (en) 2015-06-23 2018-03-06 Park Teq, Llc Flush-mounted antenna cover
JP6433865B2 (ja) * 2015-08-26 2018-12-05 アラクサラ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通信装置
CN107480518A (zh) * 2016-06-07 2017-12-15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白名单更新方法和装置
US10931636B2 (en) 2017-03-23 2021-02-23 Pismo Labs Technolog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estricting transmission of data traffic for devices with networking capabilities
WO2018172819A1 (en) * 2017-03-23 2018-09-27 Pismo Labs Technology Ltd.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whitelist at a network node
US11487868B2 (en) * 2017-08-01 2022-11-01 Pc Matic,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 security
US11991525B2 (en) 2021-12-02 2024-05-21 T-Mobile Usa, Inc. Wireless device access and subsidy control
CN114598519B (zh) * 2022-03-02 2024-04-12 深圳市和为顺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支持终端不掉线设置黑白名单的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8894A1 (en) 2005-11-23 2007-05-24 Nextone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responding to denial of service attacks at the session layer or above
US20080068157A1 (en) 2006-09-12 2008-03-20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5739A1 (en) * 2003-10-08 2007-11-29 Three B Technologies Pyt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sing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US8265033B2 (en) * 2007-08-13 2012-09-11 Telefonakatiebolaget Lm Ericsson (Publ) Closed subscriber group cell handover
US7864736B2 (en) * 2007-09-24 2011-01-04 Tcm Mobile Llc Packet communication roaming method and system
US8175601B2 (en) * 2007-12-12 2012-05-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of detecting incorrect cell id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666410B2 (en) * 2008-09-22 2014-03-04 Htc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cell sel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device
WO2010036167A1 (en) * 2008-09-23 2010-04-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s in a cellular network with femtocells
US20100075698A1 (en) * 2008-09-23 2010-03-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ocation registration and paging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8894A1 (en) 2005-11-23 2007-05-24 Nextone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responding to denial of service attacks at the session layer or above
US20080068157A1 (en) 2006-09-12 2008-03-20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45179A4 (en) 2016-06-01
WO2010062053A3 (en) 2010-08-19
KR20100049434A (ko) 2010-05-12
EP2345179A2 (en) 2011-07-20
US20100112981A1 (en) 2010-05-06
WO2010062053A2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42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72749B1 (ko) Home eNB에서 단말의 수락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33331B1 (ko) Home(e)NodeB 시스템에서 연결 타입 정보의 제공 방법 및 무선 자원 제어 방법
US8498651B2 (en) Method of call admission control for home femtocells
KR101884348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에서 로컬 csg 제공 및 액세스 제어 방법
KR101652442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서버 및 커넥션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
JP5216921B2 (ja) ユーザ装置とアクセスポイントとの間の関連付けの作成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489882B1 (ko) 사용자 장비에 허용된 액세스 권리들에 관하여 셀 및 셀을 서빙하는 라디오 기지국을 사용자 장비에 알림
US20090061877A1 (en) Generic Access to the Iu Interface
US200801305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Number of Active Paths to a Core Communication Network
KR20090060405A (ko) Iu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반 액세스
WO2010130174A1 (zh) 一种实现本地访问控制的方法及相应的通信系统
JP2015146654A (ja) 移動元基地局、移動先基地局、移動局、通信方法
KR101727557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엘비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119828A (ko) 인터넷?인트라넷 서비스를 동시 지원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및 펨토 기지국
KR101435423B1 (ko)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 및 메시지를 인증하는 방법
KR20140059769A (ko) 인터넷·인트라넷 서비스를 동시 지원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및 펨토 기지국
KR101551499B1 (ko) 옥내용 기지국의 Qo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101403812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가입자 관리 방법 및 옥내용 기지국
WO2011157117A2 (zh) 接入控制方法和装置
KR20190046177A (ko) 펨토셀의 imsi 정보에 따른 접근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