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792B1 - The coupler for air duct and sleeve and its air duct system - Google Patents
The coupler for air duct and sleeve and its air duc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0792B1 KR101480792B1 KR20140089058A KR20140089058A KR101480792B1 KR 101480792 B1 KR101480792 B1 KR 101480792B1 KR 20140089058 A KR20140089058 A KR 20140089058A KR 20140089058 A KR20140089058 A KR 20140089058A KR 101480792 B1 KR101480792 B1 KR 1014807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flange
- coupler
- air duct
-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24F7/025—Roof venti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by means of a built-in venti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공동주택을 포함한 각종 대형 건축물에 대하여 건식 에어덕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각 층간별 마다 형성되는 슬리브에 대하여 내화부재(백업제, 실란트, 코킹제 등)가 생략되도록 하되, 입상덕트 직관이 커플러로 하여금 상기 슬리브와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안전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는 입상덕트와의 수직 조립시 각 층고에 따라 높낮이 설치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편리한 작업성에 의해 공기 단축이 이루어져 시공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actory structure, a height variable coupler, and an air duct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coupler.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ry air duct for a large-scale building including a residential house, wherein a refractory member (backup agent, sealant, caulking agent, etc.) And the granular duct straight pip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leeve so that the fire safety is remarkably improved. The coupler is formed to be easy to install and assemble according to the height of each floor when vertically assembled with the granular duct, So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s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을 포함한 각종 대형 건축물에 대하여 건식 에어덕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각 층간별 마다 형성되는 슬리브에 대하여 내화부재(백업제, 실란트, 코킹제 등)가 생략되도록 하되, 입상덕트 직관이 커플러로 하여금 상기 슬리브와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안전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는 입상덕트와의 수직 조립시 각 층고에 따라 높낮이 설치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편리한 작업성에 의해 공기 단축이 이루어져 시공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dry air ducts for various large buildings including a residence, the refractory members (backup agent, sealant, caulking agent, etc.) are omitted for the sleeves formed for each interlayer, The coupler is formed to improve the fire safety by allowing the coupler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leeve. The coupler is formed to be easy to install and assemble according to each layer height when vertically assembled with the granular du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actory structure and height variable coupler, and an air duct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coupler.
또한, 본 발명은 끼움 조립시 어긋난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정밀한 기밀 구조가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끼움관으로 하여금 슬리브에 결합시 구조의 강성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접촉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밀실한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cise airtight structure is secured even when there is a displacement tolerance in assembling the fitting, and the rigidity of the structure is improved when the fitting tube is coupled to the sleeve, .
일반적으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DRY AIR DUCT SYSTEM)은 아파트 등의 고층형 공동주택에 시설되어 다가구의 주방, 욕실 등 실내에서 발생된 악취, 오염공기, 화재연기 등을 외부로 배기, 환기시키도록 형성된다.Generally, the dry air duct system (DRY AIR DUCT SYSTEM) is installed in a high-rise type apartment house such as an apartment, so that odor, polluted air, and fire smoke generated in indoor areas such as kitchens and bathrooms are exhausted and vented to the outside do.
이에, 종래의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06469(도 14 참조)에 게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에어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덕트에 연결됨과 동시에 주방 또는 욕실 측의 플랙시블덕트에 고정되도록 새들이 설치되며, 에어덕트의 최상층은 배기용 타공판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용 타공판의 상부에는 배기팬이 설치되어 환기를 도모하도록 형성된다.Accordingly, as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7-0006469 (refer to FIG. 14), the conventional dry air duct system has an air duct installed in a direction directly below the building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air duct And the saddle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flexible duct of the kitchen or the bathroom side. The uppermost layer of the air duct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ier plate, and the exhaust pier plate is provided with an exhaust fan to ventilate.
이때, 상기 에어덕트는 각각의 개체(관)들이 연결밴드 또는 커플링에 의해서 연결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에어덕트가 통과하는 층간부분(콘크리트층)은 슬리브의 안내에 의해서 관통되는 것이며, 상기 슬리브를 통과한 에어덕트는 앵글가이더 및 유(U)-밴드 또는 FR링에 의해서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individual ducts of the air ducts are connected and fixed by connecting bands or couplings, and the interlayer part (concrete layer) through which the air ducts pass is guided by the guide of the sleeves, Passed air ducts are secured by angle guider and oil (U) -bands or FR rings.
이에, 종전의 슬리브는 에어덕트가 간섭없이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일종의 연결공으로써, 상기 슬리브는 시공상 에어덕트가 슬리브를 관통한 상태에서 유동하지 못하도록 별도의 백업제 또는 실란트를 처리하여야 하고, 특히 슬리브 내부에는 화재시 이웃한 층간별 누기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내화충전재(보온재, 우레탄폼 등)가 충진되도록 형성된다.Thus, the conventional sleeve is a kind of connection hole formed so that the air duct is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from the lower layer without interference, and the sleeve should be treated with a separate backup agent or sealant to prevent the air duct from flowing through the sleeve In particular, the inside of the sleeve is filled with a refractory filler (a heat insulating material, a urethane foam, etc.) so that neighboring layer-to-layer leakage is fundamentally blocked when a fire occurs.
그러나, 최근 국토부 고시에 따른 화재안전성 강화 규정에 의한 관련법규에는 내화충전재의 사용이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는 바, 이는 슬리브 관련 작업성 저하를 차치하고서라도 안전성 확보를 위한 새로운 공법이 당업계에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use of refractory fillers has been strictly restricted in recent years due to the regulation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to improve the safety of fire, .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공동주택을 포함한 각종 대형 건축물에 대하여 건식 에어덕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각 층간별 마다 형성되는 슬리브에 대하여 내화부재(백업제, 실란트, 코킹제 등)가 생략되도록 하되, 입상덕트 직관이 커플러로 하여금 상기 슬리브와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안전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는 입상덕트와의 수직 조립시 각 층고에 따라 높낮이 설치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편리한 작업성에 의해 공기 단축이 이루어져 시공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y air duct for a large-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so as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fire safety by allowing the coupler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leeve, and the coupler is assembled by elevating and lowering according to each layer height in vertical assembly with the granular duct, And an air duct short construction is achieved by a convenient workability to improve a productivity of a construc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actory structure, a height variable coupler, and an air duct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coupler.
또한, 본 발명은 끼움 조립시 어긋난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정밀한 기밀 구조가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끼움관으로 하여금 슬리브에 결합시 구조의 강성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접촉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밀실한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secure a precise airtight structure even if there is a displacement tolerance in assembling the fitting, and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structure when the fitting pipe is coupled to the sleeve, The purpose is to provid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리브(10)와 직결되는 제1실시 예로서, 건식 에어덕트용 슬리브(10)의 개구된 상단부 또는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입상덕트 직관(20)과 끼움식 결합을 이루도록 하되, 중공(111)을 갖는 결합관(110) 일측에 플렌지(120)가 형성되어 층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30)과 면접하며 고정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이에, 상기 커플러는 제2실시 예로서, 플렌지(120)를 기준으로 결합관(110)과 대향되는 타측에 슬리브(10)의 내주연으로 삽입되는 끼움관(130)이 형성되어 중공(111)의 정원을 확보하면서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coup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또한, 상기 커플러는 제3실시 예로서, 끼움관(130)이 슬리브(10)의 일측단으로 인입되면 완전히 관통한 후 타측단으로 통해 돌출된 후 입상덕트 직관(20)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슬리브(10)와 밀착된 2중관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coupler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이때, 상기 커플러는 제3실시 예일 경우 플렌지(120)가 반구 형태로 돌출된 비딩(120-1)으로서, 정원 유지에 대한 보강을 개선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oupler is a bead 120-1 protruded in a hemispherical shape in the
한편, 상기 커플러는 제1실시 내지 제3실시 중 어느 하나의 다른 실시예로서, 축방향 선상 일측에 절개부(14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절개부(140)를 기준으로 일측 단부에는 절개부(140)를 지나는 연장부(150)가 형성되어 원통의 중심(C)을 기준으로 탄성에 의한 내외측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관경이 다른 슬리브(10)에 대하여 중공(111)이 오무려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면서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커플러는 제2실시 중 또 다른 실시예로서, 끼움관(130)이 슬리브(10)의 직경보다 소정 간격 작게 형성되어 갭(G) 차이로 인한 유동 범위 내에서 입상덕트 직관(20)과의 수직도 맞춤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에, 상기 커플러는 제1실시 내지 제3실시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중공관(111)의 내주연 일측에 요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12)에는 밀폐용 패킹(113)이 수납되어 에어덕트 직관(20)과 결합시 기밀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er may include a
한편, 본 발명은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로서, 공동주택을 포함한 건축물의 시공시 각 층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30)에 입상덕트 직관(20)의 수직 통로를 제공하도록 슬리브(10)가 형성되면, 상기 슬리브(10)의 개구된 상단부 또는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입상덕트 직관(20)과 끼움식 결합을 이루도록 커플러(100)가 형성되되, 상기 커플러(100)는 중공(111)을 갖는 결합관(110) 일측에 플렌지(120)가 형성되어 층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30)과 면접하며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입상덕트 직관(20)이 결합관(110)의 중공(111)을 통해 인입되면 각 층간별 높이(층고)에 따라 상기 입상덕트 직관(20)을 올리거나 내려 결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duc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a fireproof structure and a height variable coupler, wherein a vertical passage of the granular duct
이에, 상기 시공구조의 커플러(100)는 다른 실시예로서, 플렌지(120)를 기준으로 결합관(110)과 대향되는 타측에 슬리브(10)의 내주연으로 삽입되는 끼움관(130)이 형성되어 중공(111)의 정원을 확보하면서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The
아울러, 상기 시공구조의 커플러(100)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플렌지(120)를 기준으로 결합관(110)과 대향되는 타측에 슬리브(10)의 내주연으로 삽입되는 끼움관(13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끼움관(130)은 슬리브(10)의 일측단으로 인입되면 완전히 관통한 후 타측단으로 통해 돌출된 후 입상덕트 직관(20)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슬리브(10)와 밀착된 2중관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120)는 반구 형태로 돌출된 비딩(120-1)으로서, 정원 유지에 대한 보강을 개선하도록 형성된다.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동주택을 포함한 각종 대형 건축물에 대하여 건식 에어덕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각 층간별 마다 형성되는 슬리브에 대하여 내화부재(백업제, 실란트, 코킹제 등)가 생략되도록 하되, 입상덕트 직관이 커플러로 하여금 상기 슬리브와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안전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는 입상덕트와의 수직 조립시 각 층고에 따라 높낮이 설치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편리한 작업성에 의해 공기 단축이 이루어져 시공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of the dry air duct for various large buildings including the apartment house, the refractory member (backup agent, sealant, caulking agent, etc.) is omitted for the sleeve formed for each interlayer, The duct straight pipe is formed so that the coupl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leeve so that fire safety is remarkably improved. The coupler is formed to be easy to install and assemble according to each floor height when vertically assembled with the granular duct, The shortening of the air is effect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끼움 조립시 어긋난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정밀한 기밀 구조가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끼움관으로 하여금 슬리브에 결합시 구조의 강성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접촉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밀실한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ensure a precise airtight structure even when there is a displacement tolerance in assembling the fitting,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structure when the fitting pipe is coupled to the sleeve, .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의 일 실시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에 절개부와 연장부가 형성되어 탄성에 의한 내외측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관이 결합관보다 직경이 작아 갭에 의한 유동 범위 내에서 수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내부에 밀폐용 패킹이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종래의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s. 1 to 3 show an embodiment of a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6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to 8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utout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are formed in the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elasticity can be achieved.
1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t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oupling tube so that the verticality can be set within the flow range due to the gap,
FIG.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ealing packing is housed in a hollow inter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ry air duct system. Fig.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플러(100)는 슬리브(10)와 직결되는 제1실시 예로서, 건식 에어덕트용 슬리브(10)의 개구된 상단부 또는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입상덕트 직관(20)과 끼움식 결합을 이루도록 하되, 중공(111)을 갖는 결합관(110) 일측에 플렌지(120)가 형성되어 층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30)과 면접하며 고정되도록 구성된다.1 to 3, the
즉, 상기 플렌지는 층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30)과 면접하며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시에는 직결피스 또는 가스총을 이용한 콘크리트 못으로 고정하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flange is fix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interfacial concrete ceiling surface or the
이때, 층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30)과 플렌지 사이에는 실리콘이 도포되어 기밀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silicone is applied between the interlayer concrete surface or the
또한, 상기 결합관으로 삽입되는 입상덕트 직관과 중공의 사이에도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silicone is also applied between the hollow pipe duct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pe and the hollow.
이러한, 커플러는 층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30)에 선택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바닥면에만 실시하거나 천정면에만 실시할 수도 있고, 양쪽 모두에 실시할 수도 있다.(도 3 참조)The coupler may be provided only on the bottom surface, only on the ceiling surface, or both (see FIG. 3), provided that the coupler is capable of selectively coupling to the interlayer concrete surface or the
이에, 상기 커플러는 제2실시 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120)를 기준으로 결합관(110)과 대향되는 타측에 슬리브(10)의 내주연으로 삽입되는 끼움관(130)이 형성되어 중공(111)의 정원을 확보하면서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4 to 6, the coupler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이러한, 커플러는 층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30)에 선택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바닥면에만 실시하거나 천정면에만 실시할 수도 있고, 양쪽 모두에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입상덕트 직관이 슬리브 천정부를 향해 직접 끼워져 결합될 수도 있다.(도 6 참조)The coupler is made to allow selective coupling to the interlayer concrete floor or the
또한, 상기 커플러는 제3실시 예로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관(130)이 슬리브(10)의 일측단으로 인입되면 완전히 관통한 후 타측단으로 통해 돌출된 후 입상덕트 직관(20)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슬리브(10)와 밀착된 2중관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7 to 8, when the
즉, 끼움관(130)이 슬리브(10)로부터 일부 돌출되면 층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30)과 이격된 플렌지(120) 사이 공간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기밀을 확보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when the
즉, 상기 끼움관은 끼움 조립시 어긋난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정밀한 기밀 구조가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끼움관으로 하여금 슬리브에 결합시 구조의 강성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접촉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밀실한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That is, the fitting pipe is formed so as to secure a precise airtight structure even if there is a displacement tolerance in assembling the fitting. By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fitting structure when the fitting pipe is coupled to the sleeve and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t the same time, Feature.
이때, 상기 커플러는 제3실시 예일 경우 플렌지(120)가 반구 형태로 돌출된 비딩(120-1)으로서, 정원 유지에 대한 보강을 개선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oupler is a bead 120-1 protruded in a hemispherical shape in the
이에, 상기 비딩은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여 정원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비딩은 기본적으로 슬리브에 끼움시(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끼움시) 단턱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Accordingly, one or more of the beading is formed so as to firmly maintain the garden structure, and the beading is basically formed to serve as a step when being fitted into the sleeve (when it is fit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한편, 본 발명은 커플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관이 슬리브를 완전히 관통한 후 1차 조립이 완료되면 돌출된 상하단에 별도의 제2실시 예의 커플러를 끼워 입상덕트 직관과 조립되도록 형성된다.9 to 10, when the fitting tube completely passes through the sleeve and then the first assembly is completed, a separate coupl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upler, And is formed to be assembled with the granular duct straight pipe.
이는 슬리브의 보강을 확보하면서 층고의 높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able the sleeves to flexibly cope with the height of the bedding while securing the reinforcement of the sleeves.
한편, 상기 커플러는 제1실시 내지 제3실시 중 어느 하나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선상 일측에 절개부(14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절개부(140)를 기준으로 일측 단부에는 절개부(140)를 지나는 연장부(150)가 형성되어 원통의 중심(C)을 기준으로 탄성에 의한 내외측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관경이 다른 슬리브(10)에 대하여 중공(111)이 오무려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면서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1, the
또한, 상기 커플러는 제2실시 중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관(130)이 슬리브(10)의 직경보다 소정 간격 작게 형성되어 갭(G) 차이로 인한 유동 범위 내에서 입상덕트 직관(20)과의 수직도 맞춤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12, the
다시 말해, 상기 끼움관은 슬리브보다 20~50mm 정도의 소구경으로서 내부에 갭(G)이 발생하면 해당 유동 범위 내에서 위치를 가변하면서 결합관 측이 입상덕트 직관과 수직도를 맞추면서 조립되도록 형성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gap (G) is generated within the small diameter of about 20 to 50 mm as compared with the sleeve, the fitting tube is formed such that the coupling tube side is assembled while aligning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granular duct straight tube do.
이에, 상기 커플러는 제1실시 내지 제3실시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111)의 내주연 일측에 요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12)에는 밀폐용 패킹(113)이 수납되어 에어덕트 직관(20)과 결합시 기밀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폐용 패킹은 내화 소재의 테프론 또는 탄소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3, the coupler is a further embodimen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n the coupler, a
한편, 본 발명은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로서, 공동주택을 포함한 건축물의 시공시 각 층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30)에 입상덕트 직관(20)의 수직 통로를 제공하도록 슬리브(10)가 형성되면, 상기 슬리브(10)의 개구된 상단부 또는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입상덕트 직관(20)과 끼움식 결합을 이루도록 커플러(100)가 형성되되, 상기 커플러(100)는 중공(111)을 갖는 결합관(110) 일측에 플렌지(120)가 형성되어 층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30)과 면접하며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입상덕트 직관(20)이 결합관(110)의 중공(111)을 통해 인입되면 각 층간별 높이(층고)에 따라 상기 입상덕트 직관(20)을 올리거나 내려 결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duc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a fireproof structure and a height variable coupler, wherein a vertical passage of the granular duct
이에, 상기 시공구조의 커플러(100)는 다른 실시예로서, 플렌지(120)를 기준으로 결합관(110)과 대향되는 타측에 슬리브(10)의 내주연으로 삽입되는 끼움관(130)이 형성되어 중공(111)의 정원을 확보하면서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The
아울러, 상기 시공구조의 커플러(100)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플렌지(120)를 기준으로 결합관(110)과 대향되는 타측에 슬리브(10)의 내주연으로 삽입되는 끼움관(13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끼움관(130)은 슬리브(10)의 일측단으로 인입되면 완전히 관통한 후 타측단으로 통해 돌출된 후 입상덕트 직관(20)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슬리브(10)와 밀착된 2중관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120)는 반구 형태로 돌출된 비딩(120-1)으로서, 정원 유지에 대한 보강을 개선하도록 형성된다.
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슬리브 20 ... 입상덕트 직관
30 ... 층간 콘크리트 천정면 또는 바닥면
100 ... 커플러 110 ... 결합관
111 ... 중공 120 ... 플렌지
130 ... 끼움관 140 ... 절개부
150 ... 연장부10 ...
30 ... Interlayer concrete cloth Front or bottom surface
100 ...
111 ... hollow 120 ... flange
130 ...
150 ... extens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89058A KR101480792B1 (en) | 2014-07-15 | 2014-07-15 | The coupler for air duct and sleeve and its air duc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89058A KR101480792B1 (en) | 2014-07-15 | 2014-07-15 | The coupler for air duct and sleeve and its air duct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7079A KR20140097079A (en) | 2014-08-06 |
KR101480792B1 true KR101480792B1 (en) | 2015-01-09 |
Family
ID=5174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89058A KR101480792B1 (en) | 2014-07-15 | 2014-07-15 | The coupler for air duct and sleeve and its air duct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0792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3614B1 (en) * | 2015-12-17 | 2016-03-25 | 재우이엔지(주) | Exhaust duct assembly |
KR101616040B1 (en) * | 2015-12-17 | 2016-04-27 | 재우이엔지(주) | Exhaust duct assembly |
KR102149948B1 (en) * | 2020-03-20 | 2020-08-31 | 주식회사 이루미 | Connecting structure of ventilation window guide |
KR102367454B1 (en) * | 2021-07-12 | 2022-02-24 | ㈜세이프코리아 | Insulation socket for connecting air duct and sleeve and Insulation method between air duct and sleeve using insulation socke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1172B1 (en) * | 2014-08-18 | 2015-05-18 | 재우이엔지(주) | the structure of fixing exhaust duct |
KR101667210B1 (en) * | 2014-12-18 | 2016-10-19 | 주식회사 제일테크 | Connecting Structure of Vertical Exhaust Pipe in Dry-type Air duct System |
KR102340536B1 (en) * | 2019-05-21 | 2021-12-20 | (주)대교테크 | Dry air duct double sleeve |
KR102341907B1 (en) * | 2021-05-04 | 2021-12-22 | 주식회사 제일테크 | Fire resistant charging structure for connecting vertical pipe |
KR102347169B1 (en) * | 2021-05-26 | 2022-01-04 | ㈜세이프코리아 | Square sleeve for phenol duct with refractory ban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45935B2 (en) * | 1995-05-18 | 2005-05-11 |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 Architectural sleeve and its fixing method to concrete frame wall |
KR200438815Y1 (en) * | 2007-11-22 | 2008-03-06 | 주식회사 제일테크 | Band for connecting and surpporting exhaust duct |
-
2014
- 2014-07-15 KR KR20140089058A patent/KR10148079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45935B2 (en) * | 1995-05-18 | 2005-05-11 |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 Architectural sleeve and its fixing method to concrete frame wall |
KR200438815Y1 (en) * | 2007-11-22 | 2008-03-06 | 주식회사 제일테크 | Band for connecting and surpporting exhaust duct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3614B1 (en) * | 2015-12-17 | 2016-03-25 | 재우이엔지(주) | Exhaust duct assembly |
KR101616040B1 (en) * | 2015-12-17 | 2016-04-27 | 재우이엔지(주) | Exhaust duct assembly |
KR102149948B1 (en) * | 2020-03-20 | 2020-08-31 | 주식회사 이루미 | Connecting structure of ventilation window guide |
WO2021187821A1 (en) * | 2020-03-20 | 2021-09-23 | 주식회사 이루미 | Flow path connector of window frame guide for ventilation |
KR102367454B1 (en) * | 2021-07-12 | 2022-02-24 | ㈜세이프코리아 | Insulation socket for connecting air duct and sleeve and Insulation method between air duct and sleeve using insulation sock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7079A (en) | 2014-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0792B1 (en) | The coupler for air duct and sleeve and its air duct system | |
KR101809911B1 (en) | drain water modularized piping in building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by | |
KR101347079B1 (en) | Sleeve for air duc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US20070221195A1 (en) | Coupling for direct venting system | |
EP2469166A1 (en) | Combined system for flue gas removal, air supply and ventilation air removal | |
JP2001026958A (en) | Ventilation device for drain pipe | |
KR20200118973A (en) | Fixing device of a vertical pipe | |
KR101529144B1 (en) | Slab mounting duct connection sleeve of the building | |
KR101426894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Vertical Exhaust Pipe in Dry-type Air duct System with the function of Easy Installation and Easy Fireproof Sealing | |
KR101471451B1 (en) | Slab mounting duct connection sleeve of the building | |
KR101522564B1 (en) | Joint ring for air-duct and sleeve | |
KR101842398B1 (en) | Duct connector with packing | |
KR200438815Y1 (en) | Band for connecting and surpporting exhaust duct | |
KR102340536B1 (en) | Dry air duct double sleeve | |
KR101530315B1 (en) | Mist spray system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
KR101602773B1 (en) | Fire prevention sleeve for dry type air duct system, constructing structure and method using this | |
KR101801301B1 (en) | Sleeve for air duct coupling | |
KR20160064715A (en) | Sleeve for Air Duct and Air Duc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442657B1 (en) | A fireproofing socket for air duct with sleeve and its air duct system | |
KR20100085575A (en) | Air duct | |
KR101521172B1 (en) | the structure of fixing exhaust duct | |
JP4956208B2 (en) | Ceil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facilities | |
KR20130000059U (en) | Joint for duct pipe | |
KR102347169B1 (en) | Square sleeve for phenol duct with refractory band | |
KR20090105724A (en) | Duct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