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80499B1 -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 Google Patents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499B1
KR101480499B1 KR1020130134212A KR20130134212A KR101480499B1 KR 101480499 B1 KR101480499 B1 KR 101480499B1 KR 1020130134212 A KR1020130134212 A KR 1020130134212A KR 20130134212 A KR20130134212 A KR 20130134212A KR 101480499 B1 KR101480499 B1 KR 10148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df
hfp copolymer
hfp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박종혁
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34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4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1㎛ 이상 10㎛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제1 공극, 그리고 10nm 이상 내지 1㎛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제2 공극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고성능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친환경 자동차인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electronical vehicle)가 부상하면서, 이들의 에너지원인 전기화학 소자가 주목 받고 있다. 특히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의 가역적 상호변환을 이용해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리튬 이차 전지가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전기화학 소자의 개발에 있어, 소형화, 경량화, 대용량화, 고출력 및 고안정성의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전극과 전지의 설계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액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환경에 따라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으며, 오작동시 과열로 인한 열폭주가 일어나 세퍼레이터가 분해될 경우에는 내부 단락으로 인하여 급격히 좁아진 전극의 전위차로 인한 전기 에너지 방출과 그로 인한 전해액의 기화로 내부 폭발을 일으키게 될 우려가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세퍼레이터의 재료로는, 소형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기계적 특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가진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기재를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재료는 낮은 용융 온도와 공극의 크기 및 공극율을 조절하기 위한 연신 공정으로 인하여, 고온에서 열 수축이 일어나 고온 안정성이 취약하고, 중대형 전기화학 소자에 적용하기에는 기계적 강도가 약해 내부 단락의 위험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123728호, 일본공개특허 제2007-317675호, 일본공개특허 제2006-19191호 등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폴리에스트르계 섬유에 내열성 섬유인 아라미드 섬유를 배합한 부직포를 사용한 내열성 세퍼레이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공극이 매우 커서 내부 단락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일 구현예는 고온에서의 열적 안정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고용량 및 고율 충방전 특성이 우수한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구현예는 기재, 그리고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1㎛ 이상 10㎛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제1 공극; 및 10nm 이상 700nm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제2 공극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PVdF-HFP 공중합체는 제1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제1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및 제2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2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5:1 내지 6: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각각 중량평균분자량이 380,000 내지 600,000 일 수 있고,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각각 수평균분자량이 130,000 내지 180,000 일 수 있다.
상기 제1 공극의 공극율은 상기 제1 공극 및 상기 제2 공극의 총 부피에 대하여 10 내지 90 부피% 일 수 있고, 상기 제2 공극의 공극율은 상기 제1 공극 및 상기 제2 공극의 총 부피에 대하여 10 내지 90 부피% 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무기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기물은 BaTiO3, Pb(Zr,Ti)O3 (PZT), HfO2, SrTiO3,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SiC, SiO2 , Li2PO3, LixTiy(PO4)3 (0<x<2 및 0<y<3), LixAlyTiz(PO4)3 (0<x<2, 0<y<1 및 0<z<3), (LiAlTiP)xOy계 유리 (0<x<4 및 0<y<13), LixLayTiO3 (0<x<2 및 0<y<3), LixGeyPzSw (0<x<4, 0<y<1, 0<z<1 및 0<w<5), LixNy (0<x<4 및 0<y<2), LixSiySz계 유리(0<x<3, 0<y<2 및 0<z<4), LixPySz계 유리(0<x<3, 0<y<3 및 0<z<7)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2 내지 30 ㎛ 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2 내지 30 ㎛ 일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제1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제2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정용매(good solvent) 및 부용매(poor solvent)를 혼합하여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코팅 용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는 제1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제1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제2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9 중량%로 포함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정용매를 혼합하여 제1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코팅 용액과 상기 부용매를 혼합하여 제2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용매는 아세톤,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용매는 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은 상기 코팅 용액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정용매 및 상기 부용매는 90:10 내지 9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용액은 무기물을 더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딥 코팅(dip coating)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를 제공한다.
기타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고온에서의 열적 안정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고용량 및 고율 충방전 특성이 우수하여, 리튬 이차 전지, 슈퍼 커패시터, 연료 전지, 태양 전지 등의 전기화학 소자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4 내지 6은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2 및 3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고율 충방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는 기재, 그리고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그리고 크기가 서로 다른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크기의 공극이 상기 코팅층에 존재함에 따라 보다 향상된 전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극은 1㎛ 이상 10㎛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제1 공극, 그리고 10nm 이상 700nm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제2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극은 상기 범위 내의 크기를 가짐에 따라 이온 전달이 용이하게 하며, 상기 제2 공극은 상기 범위 내의 크기를 가짐에 따라 충방전시 생성될 수 있는 리튬 덴드라이트의 침투를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 전기화학 소자는 우수한 고율 충방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공극은 구체적으로 1㎛ 이상 5㎛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공극은 10nm 이상 내지 100 nm 미만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큰 사이즈의 상기 제1 공극의 공극율은 상기 제1 공극 및 상기 제2 공극의 총 부피에 대하여 10 내지 90 부피%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70 부피% 일 수 있다. 또한 보다 작은 사이즈의 상기 제2 공극의 공극율은 상기 제1 공극 및 상기 제2 공극의 총 부피에 대하여 10 내지 90 부피%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70 부피% 일 수 있다. 상기 제1 공극과 상기 제2 공극이 각각 상기 범위 내의 공극율을 가지는 경우 리튬 이온의 이동에 용이한 기공 구조를 확보할 수 있으며, 리튬 덴드라이트의 침투 및 전기 구동환경 또는 내부 오작동에 의해 발현되는 고열에 의해 내부 단락이 발생할 경우 상기 PVdF-HFP 공중합체가 용융되어 빠르게 다공성 기공을 막아 전류의 흐름을 지연시켜 전지 반응 및 발열 반응을 중지시킬 수 있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우수한 고율 충방전 특성 및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PVdF-HFP 공중합체는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량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량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종류의 PVdF-HFP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공극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크기가 서로 다른 공극을 형성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각 상기 범위 내의 크기를 가지는 제1 공극과 제2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 전기화학 소자는 우수한 고율 충방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VdF-HFP 공중합체는 제1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및 제2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는 제1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제1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제2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은 전해액과의 친화성이 우수하여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의 공중합체인 제1 및 제2 PVdF-HFP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우수한 이온전도성, 화학적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을 각각 상기 범위 내로 포함한 제1 PVdF-HFP 공중합체와 제2 PVdF-HFP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각각 상기 범위 내의 크기를 가지는 제1 공극과 제2 공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수한 고율 충방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수한 이온전도성, 화학적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량이 많은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보다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량이 적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1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5:1 내지 6: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5:1 내지 4: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가 상기 비율 범위 내로 혼합되는 경우, 공극의 크기를 용이하게 제어하여 상기 범위 내의 크기를 가지는 제1 공극과 제2 공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수한 고율 충방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수한 이온전도성, 화학적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각각 중량평균분자량이 380,000 내지 600,000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400,000 내지 500,0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각각 수평균분자량이 130,000 내지 180,000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50,000 내지 180,000 일 수 있다.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 각각의 중량평균분자량과 수평균분자량이 각각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이온전도성, 화학적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PVdF-HFP 공중합체 외에도 무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에 무기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 우수한 열적 특성 및 상대적으로 큰 비표면적으로 인해 전해질에 대한 젖음성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젖음성은 전지의 고율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PVdF-HFP 공중합체와 무기물 상호간에 작용하는 인력 향상으로 기계적 특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은 BaTiO3, Pb(Zr,Ti)O3 (PZT), HfO2, SrTiO3,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SiC, SiO2 , Li2PO3, LixTiy(PO4)3 (0<x<2 및 0<y<3), LixAlyTiz(PO4)3 (0<x<2, 0<y<1 및 0<z<3), (LiAlTiP)xOy계 유리 (0<x<4 및 0<y<13), LixLayTiO3 (0<x<2 및 0<y<3), LixGeyPzSw (0<x<4, 0<y<1, 0<z<1 및 0<w<5), LixNy (0<x<4 및 0<y<2), LixSiySz계 유리(0<x<3, 0<y<2 및 0<z<4), LixPySz계 유리(0<x<3, 0<y<3 및 0<z<7)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2 내지 30 ㎛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20 ㎛ 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내부저항의 증가를 막아 고용량 및 고율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코팅층은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다양한 소재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렌, 또는 이들의 조합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다수의 공극을 가진 다공성일 수 있다.
상기 재질의 기재는 100 내지 250 ℃의 용융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가 상기 범위 내의 용융온도를 가질 경우 전지의 과열시 세퍼레이터의 열 수축을 막을 수 있음에 따라, 고온에서의 열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2 내지 30 ㎛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20 ㎛ 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내부저항의 증가를 막아 고용량 및 고율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세퍼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 정용매(good solvent) 및 부용매(poor solvent)를 혼합하여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코팅 용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여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량 차이에 따라 상기 정용매와 상기 부용매에 대한 용해도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상호간의 경쟁적 확산에 의한 상 분리로 인하여 상기 제1 공극과 상기 제2 공극의 크기가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상 상태도(ternary phase diagram)를 통해 상기 코팅 용액의 열역학적 거동을 분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코팅층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상 상태도(ternary phase diagram)를 통해 상기 정용매와 상기 부용매가 상기 코팅층의 형성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 수 있다.
상기 3상 상태도(ternary phase diagram)에 따르면, 정용매에 부용매를 첨가하면 혼합성(miscible) 영역과 미혼합성(immiscible) 영역이 존재하고 바이노달 곡선(binodal curve)이라는 상평형선이 존재한다. 상기 바이노달 곡선의 안쪽이 상전이가 일어나는 영역이며, 이 영역에 도달한 코팅 용액의 대응선(tie line)을 따라 고분자 리치 상(polymer-rich phase)과 고분자 푸어 상(polymer-poor phase)으로 상전이가 일어난다. 이때 상기 정용매와 부용매가 휘발되면서 상기 고분자 리치 상은 치밀한 구조의 고분자 영역이 되며, 상기 고분자 푸어 상은 공극이 된다. 코팅 용액의 바이노달 곡선이 고분자-용매 축에 가까울수록 균일상 영역이 더 작아지게 되며, 이는 코팅 용액이 더 불안정해짐을 나타낸다. 또한 바이노달 곡선이 고분자-용매 축에 가까울수록 용매는 고분자에 대한 부용매가 되고 멀수록 정용매가 된다. 이와 같은 고분자, 정용매 및 부용매 간의 상호간의 경쟁적 확산에 의한 상 분리로 인하여 크고 작은 공극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량이 서로 다른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서로 다른 용해도를 가짐에 따라, 각각의 공중합체에 대한 용매의 친화성을 조절하여, 이들 공중합체, 정용매 및 부용매 상호간의 경쟁적 확산 작용을 조절함으로써 멀티 스케일의 다공성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정용매는 상기 제1 및 제2 PVdF-HFP 공중합체의 용해도가 큰 용매로서, 예를 들면, 아세톤,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용매는 건조가 쉽게 일어나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부용매는 상기 제1 및 제2 PVdF-HFP 공중합체의 용해도가 작은 용매로서, 예를 들면, 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용매는 다공성 구조를 용이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상기 코팅 용액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정용매를 혼합하여 제1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제1 코팅 용액과 상기 부용매를 혼합하여 제2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PVdF-HFP 공중합체와 상기 정용매를 우선 혼합한 후 여기에 상기 부용매를 첨가할 경우, 혼합성(miscible) 영역과 미혼합성(immiscible) 영역이 존재하게 되고, 상기 정용매 및 상기 부용매가 휘발되면서 제1 및 제2 PVdF-HFP 공중합체가 많은 영역은 치밀한 구조의 영역이 되고 제1 및 제2 PVdF-HFP 공중합체가 적은 영역은 공극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용매와 상기 부용매를 적정 비율로 사용하고,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량이 보다 많은 제1 PVdF-HFP 공중합체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량이 보다 적은 제2 PVdF-HFP 공중합체를 적정 비율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1 공극과 상기 제2 공극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1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5:1 내지 6: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5:1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가 상기 중량비 범위 내로 혼합되는 경우 일 구현예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른 상기 제1 공극과 상기 제2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용매 및 상기 부용매는 90:10 내지 9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95:5 내지 9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정용매와 상기 부용매가 상기 중량비 범위 내로 사용될 경우, 일 구현예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른 상기 제1 공극과 상기 제2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은 상기 코팅 용액의 총량, 즉, 상기 제1 및 제2 PVdF-HFP 공중합체와 상기 정용매 및 상기 부용매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로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코팅 용액 내에서 고분자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 PVdF-HFP 공중합체가 상기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경우, 일 구현예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른 상기 제1 공극과 상기 제2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용액은 전술한 무기물을 더 혼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은 상기 기재를 상기 제조된 코팅 용액 내에 담그는 딥 코팅(dip coating)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팅시 습도는 30 내지 50 %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딥 코팅 방법에 따라, 상기 코팅층은 상기 기재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기재의 내부에도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전극, 구체적으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구성되는 전기화학 소자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기화학 소자의 예로는, 리튬 이차 전지, 슈퍼 커패시터, 연료 전지, 태양 전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 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전극 활물질이 집전체에 결착 또는 흡착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기화학 소자에 사용되는 전해액은 염이 유기용매에 용해 또는 해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은 Li, Na, K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및 PF6 -, BF4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C(CF2SO2)3 -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해액은 전기화학 소자의 제조 공정 및 요구 물성에 따라 공정시 적절한 단계에서 주입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전지의 조립 전 또는 조립 최종 단계에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전기화학 소자는 권취(winding) 공정 이외에도, 세퍼레이터와 전극의 적층(lamination) 및 스택(stack) 공정과 접음(folding) 공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 세퍼레이터의 제조)
실시예 1
제1 PVdF-HFP 공중합체(HFP의 함유량 12 중량%)와 제2 PVdF-HFP 공중합체(HFP의 함유량 6 중량%)를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고분자 혼합물 5 중량%를 아세톤 91 중량%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탈이온수 4 중량%를 조금씩 첨가하여 2시간 동안 용해시켜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코팅 용액에 두께가 18㎛인 평면상의 다공성 부직포 기재를 담그어 딥 코팅(dip coating) 방법으로 코팅 후 25℃ 및 30% 상대 습도에서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이때 코팅층의 총 두께는 7㎛로 형성되었고, 이에 따라 25㎛의 두께를 가지는 세퍼레이터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를 7:3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를 5:5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탈이온수 대신 클레이(clay)가 나노 분산된 탈이온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두께가 20㎛인 평면상의 다공성 PE 기재를 세퍼레이터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를 10: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를 0: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리튬 이차 전지의 제작)
LiCoO2 90 중량%, 카본 블랙 6 중량%, 그리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4 중량%를 N-메틸-2-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두께가 20㎛인 알루미늄 박막에 도포 및 건조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흑연화 메조카본 마이크로비즈(MCMB) 94 중량%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6 중량%를 N-메틸-2-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두께가 10㎛인 구리 박막에 도포 및 건조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상기 음극,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세퍼레이터를 스택(stack) 공정으로 조립하였고, 여기에 에틸렌 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및 디에틸렌 카보네이트(DEC)가 1:1:1의 부피비로 혼합된 용매에 1M의 LiPF6를 용해시킨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평가 1: 세퍼레이터의 SEM 분석
도 1 내지 3은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도 4 내지 6은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1 내지 6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량이 다른 두 종류의 PVdF-HFP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실시예 1 내지 3의 세퍼레이터는, 한 종류의 PVdF-HFP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비교예 2 및 3의 세퍼레이터와 비교하여, ㎛ 단위의 큰 사이즈의 공극과 nm 단위의 작은 사이즈의 공극이 동시에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가 2: 세퍼레이터의 수축율 평가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세퍼레이터를 150℃에서 1시간 보관 후 열 수축율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열 수축율은 가로세로(TD/MD 방향) 길이 변화의 비율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열 수축율 5% 미만 5% 미만 5% 미만 3% 미만 90% 초과 5% 미만 5% 미만
상기 표 1을 통하여,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세퍼레이터와 비교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고온에서의 열적 안정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평가 3: 세퍼레이터의 인장 강도 평가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인장 강도를 ASTM D882에 따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세퍼레이터와 비교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평가 4: 리튬 이차 전지의 고율 충방전 특성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 및 3에 따른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를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충방전하여 고율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를 0.2C rate에서 4.2V까지 충전 후, 각각 0.2C, 0.5C, 1C, 1.5C, 2C 및 3C에서 3.0V로 방전하였다. 상기 충전은 초기 정전류의 20%에서 컷 오프 하였다.
도 9는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2 및 3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고율 충방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함유량이 다른 두 종류의 PVdF-HFP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실시예 1 내지 4의 세퍼레이터는, 한 종류의 PVdF-HFP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비교예 2 및 3의 세퍼레이터와 비교하여, 고율 충방전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1)

  1. 기재, 그리고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1㎛ 이상 10㎛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제1 공극; 및
    10nm 이상 700nm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제2 공극
    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dF-HFP 공중합체는
    제1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제1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및
    제2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2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9 중량%로 포함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1.5:1 내지 6: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각각 중량평균분자량이 380,000 내지 600,000 인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각각 수평균분자량이 130,000 내지 180,000 인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극의 공극율은 상기 제1 공극 및 상기 제2 공극의 총 부피에 대하여 10 내지 90 부피% 이고,
    상기 제2 공극의 공극율은 상기 제1 공극 및 상기 제2 공극의 총 부피에 대하여 10 내지 90 부피% 인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무기물을 더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BaTiO3, Pb(Zr,Ti)O3 (PZT), HfO2, SrTiO3,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SiC, SiO2 , Li2PO3, LixTiy(PO4)3 (0<x<2 및 0<y<3), LixAlyTiz(PO4)3 (0<x<2, 0<y<1 및 0<z<3), (LiAlTiP)xOy계 유리 (0<x<4 및 0<y<13), LixLayTiO3 (0<x<2 및 0<y<3), LixGeyPzSw (0<x<4, 0<y<1, 0<z<1 및 0<w<5), LixNy (0<x<4 및 0<y<2), LixSiySz계 유리(0<x<3, 0<y<2 및 0<z<4), LixPySz계 유리(0<x<3, 0<y<3 및 0<z<7)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2 내지 30 ㎛ 인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두께는 2 내지 30 ㎛ 인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13. 제1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제2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정용매(good solvent) 및 부용매(poor solvent)를 혼합하여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코팅 용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는 제1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제1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제2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및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은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9 중량%로 포함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정용매를 혼합하여 제1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코팅 용액과 상기 부용매를 혼합하여 제2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15. 제13에 있어서,
    상기 정용매는 아세톤,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부용매는 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는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VdF-HFP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PVdF-HFP 공중합체의 총량은 상기 코팅 용액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인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용매 및 상기 부용매는 90:10 내지 99: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용액은 무기물을 더 혼합하여 제조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딥 코팅(dip coating) 방법으로 수행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21.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하고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퍼레이터
    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KR1020130134212A 2013-11-06 2013-11-06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Active KR10148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212A KR101480499B1 (ko) 2013-11-06 2013-11-06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212A KR101480499B1 (ko) 2013-11-06 2013-11-06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499B1 true KR101480499B1 (ko) 2015-01-09

Family

ID=5258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212A Active KR101480499B1 (ko) 2013-11-06 2013-11-06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4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988A (ko) 2016-07-20 2018-01-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온-그래핀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93546A (ko) * 2017-11-30 2020-08-05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비수계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계 이차전지
WO2021093572A1 (zh) * 2019-11-11 2021-05-20 江苏厚生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粘结性的水性pvdf浆料和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735A (ja) * 2000-04-17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080101043A (ko) *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전기화학소자
KR20110075631A (ko) * 2009-12-28 2011-07-0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나노기공을 갖는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
KR101054976B1 (ko) * 2009-03-31 2011-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735A (ja) * 2000-04-17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080101043A (ko) *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전기화학소자
KR101054976B1 (ko) * 2009-03-31 2011-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20110075631A (ko) * 2009-12-28 2011-07-0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나노기공을 갖는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988A (ko) 2016-07-20 2018-01-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온-그래핀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93546A (ko) * 2017-11-30 2020-08-05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비수계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계 이차전지
US20200411827A1 (en) * 2017-11-30 2020-12-31 Teijin Limited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102742050B1 (ko) * 2017-11-30 2024-12-16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비수계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계 이차전지
US12294113B2 (en) * 2017-11-30 2025-05-06 Teijin Limited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WO2021093572A1 (zh) * 2019-11-11 2021-05-20 江苏厚生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粘结性的水性pvdf浆料和制备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9306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6116630B2 (ja) 有機無機複合多孔性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る電気化学素子
KR101389022B1 (ko) 미소 캡슐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JP5885313B2 (ja)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よって形成された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含む電気化学素子の製造方法
JP5415609B2 (ja) 多孔性コーティング層を含むセパレー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る電気化学素子
CN100593872C (zh) 有机/无机复合多孔薄膜和由其制备的电化学装置
US9005795B2 (en) Separator having porous coating lay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the same
KR102028113B1 (ko) 전해액 함침성이 향상된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0889207B1 (ko) 유/무기 복합 다공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화학소자
KR101696625B1 (ko)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KR100873570B1 (ko) 유/무기 복합 다공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소자
KR101841805B1 (ko)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CN111149237A (zh) 多孔隔膜和包含其的电化学装置
JP6416237B2 (ja) 寿命性能が向上した二次電池
KR101581422B1 (ko)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480499B1 (ko)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CN112514153A (zh) 多孔隔板和包括所述多孔隔板的锂二次电池
KR101288907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1693525B1 (ko)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KR102005908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1584761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전기화학소자
CN112839984A (zh) 用于电化学装置的隔板和包括该隔板的电化学装置
CN118830132A (zh) 包含有机/无机复合多孔涂层的用于电化学装置的隔板以及包括该隔板的电化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