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80426B1 - 버스의 쿨러덕트 - Google Patents

버스의 쿨러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426B1
KR101480426B1 KR20130048858A KR20130048858A KR101480426B1 KR 101480426 B1 KR101480426 B1 KR 101480426B1 KR 20130048858 A KR20130048858 A KR 20130048858A KR 20130048858 A KR20130048858 A KR 20130048858A KR 101480426 B1 KR101480426 B1 KR 101480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us
piece
bracket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910A (ko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자일대우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일대우버스(주) filed Critical 자일대우버스(주)
Priority to KR2013004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42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루프인너패널과, 사이드필라 사이에 설치되는 버스의 쿨러덕트에 있어서, 상기 쿨러덕트는 상기 루프인너패널에 고정되는 상부덕트와, 상기 사이드필라에 고정되는 하부덕트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덕트의 단부에는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덕트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편을 수용하여 끼워지는 수용편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쿨러덕트를 버스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버스의 쿨러덕트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버스의 쿨러덕트{Cooler duct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의 쿨러덕트에 관한 것으로, 버스의 사이드 필라의 내측면과 루프의 내측패널에 양단으로 형성된 좌·우 결합부를 각각 고정 설치하게 된 버스의 쿨러덕트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특1999-0043211 "버스의 쿨러덕트 설치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버스의 쿨러덕트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통상적인 버스의 쿨러덕트 고정구조를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쿨러덕트(10)의 하단부는 버스의 실내 좌·우 창측에 설치되어 커텐이 장착되는 커텐레일(3)과 상기 커텐레일(3)의 상부에 위치하는 브라켓(4)에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나사(8) 결합되고, 상기 쿨러덕트(10)의 상단부는 루프인너패널(5)과 상기 루프인너패널(5)의 하면에 위치한 루프인테리어패널(6)의 사이에서 루프필라(7)에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나사 결합된다.
먼저, 상기 쿨러덕트(1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4)은“ㄴ”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그 일면이 측면필라(2)에 길이방향으로 용접 결합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기 브라켓(4)의 하면과 커텐레일(3)의 상면 사이에 쿨러덕트(10)의 하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쿨러덕트(10)의 하단부가 개재된 상태의 브라켓(4)과 커텐레일(3)에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드릴링 작업을 하여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수개의 홀을 형성시킨 후에 나사(8)로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쿨러덕트(10)의 하단부는 브라켓(4)과 커텐레일(3)에 고정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상기 쿨러덕트(1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루프인너패널(5)의 하면과 루프인테리어패널(6)의 상면 사이에 쿨러덕트(10)의 상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쿨러덕트(10)의 상단부가 개재된 상태의 루프인너패널(5)과 루프인테리어패널(6)을 루프필라(7)와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드릴링 작업을 하여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수개의 홀을 형성시킨 후에 스트립(9)이 길이방향으로 받쳐진 상태가 되도록 나사(9)로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쿨러덕트(10)의 상단부는 루프인너패널(5)과 루프인테리어패널(6)의 사이에서 루프필라(7)에 고정되어 있었다. 이때, 상기 스트립(9)의 상측에는 스트립커버(9a)가 길이방향으로 압입되게 끼워져 외부에서 나사머리와 스트립(9)이 보이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쿨러덕트는 버스 길이에 대응되게 길게 설치되므로 그 무게가 무거워 작업자가 여러명이 지지하여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고, 피스로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쿨러덕트를 상부와 하부로 나눠서 설치 작업시 무게를 줄이고 쉽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버스의 쿨러덕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스의 루프인너패널과, 내측 하부에는 커튼레일이 형성되고, 커튼레일의 상측에는 브라켓이 형성된 사이드필라 사이에 설치되는 버스의 쿨러덕트에 있어서, 상기 쿨러덕트는 상기 루프인너패널에 고정되는 상부덕트와, 일단부가 상기 커튼레일과 상기 브라켓사이에 끼워맞춤되는 수평편과 상기 수평편측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을 수용하고 브라켓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가압되는 수평가압편이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필라에 고정되는 하부덕트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덕트의 단부에는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덕트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출편을 수용하여 끼워지는 수용편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되, 상기 돌출편에 내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보조돌출편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돌출편에 대응되게 상기 수용편에 내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보조수용편이 더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하부덕트와 상부덕트는 압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를 분리하고 상부덕트의 돌출편과 하부덕트의 수용편이 상호 결합에 의해 일체화 하므로 작업 공정이 간편하여 효율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상부덕트와 하부덕트가 플라스틱 압출수지품으로 제작되어 무게도 가볍고 재료 절감 효과도 크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쿨러덕트의 단면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쿨러덕트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버스의 루프인너패널(10)과, 사이드필라(20) 사이에 설치되는 버스의 쿨러덕트에 있어서, 상기 쿨러덕트는 크게 상부덕트(100)와 하부덕트(200)로 구성되고 상호 끼워맞춤으로 일체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루프인너패널(10)은 버스의 루프(roof) 내측에 설치되는 패널이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필라(20)는 버스의 측면에 설치되는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필라(20)의 내측 하부에는 커튼레일(22)이 형성되고, 커튼레일(22)의 상측에는 브라켓(24)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상부덕트(100)는 상기 루프인너패널(10)에 볼팅으로 고정되고 하방향으로 굴곡져 상기 사이드필라(20)의 단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된다.
즉, 상기 상부덕트(100)의 일단부는 상기 루프인너패널(10)에 고정되는데 그 일단부측에 끼움체(110)가 형성되어 상기 루프인너패널(10)을 보호하는 루프인테리어패널(12)을 끼워 맞춤할 수 있다.
이때, 끼움체(110)는 개구되고 개구된 내측에 상부와 하부에 탄성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루프인터리어패널(12)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덕트(200)는 상기 사이드필라(20)에 고정되게 되게 되고, 상방향으로 굴곡져 상기 상부덕트(100)의 단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된다.
상세하게 상기 하부덕트(200)와 사이드필라(20)의 결합은 상기 하부덕트(200)의 일단부가 상기 커튼레일(22)과 상기 브라켓(24)사이에 끼워맞춤되는 수평편(210)과 상기 수평편(210)측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24)을 수용하고 브라켓(24)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가압되는 수평가압편(212)이 더 형성되어 고정이 안정적으로 되게 하였다.
여기서, 상기 상부덕트(100)와 하부덕트(200)는 버스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덕트(100)의 단부(타단부)에는 돌출편(120)이 형성되게 되어 상기 하부덕트(200)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하부덕트(200)의 단부(타단부)에는 상기 돌출편(120)을 수용하여 끼워지는 수용편(220)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편(220)은 'ㄷ'자 형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돌출편(120)을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덕트(100)와 하부덕트(200)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각각에 보조돌출편(140)과 보조수용편(240)이 더 형성되게 된다.
상기 보조돌출편(140)은 상기 돌출편(120)에 내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게 되고, 상기 보조수용편(240)은 상기 보조돌출편(140)에 대응되게 상기 수용편(220)에 내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돌출편(140)과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돌출편(140)은 상기 돌출편(120)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보조수용편(240)은 상기 수용편(220)보다 길이가 작게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덕트(100)와 하부덕트(200)는 압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경량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자가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압출 플라스틱의 탄성에 의해 단부측에 형성된 돌출편(120)과 수용편(220)의 상호 결합 및 보조돌출편(140)과 보조수용편(240)의 상호 결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쿨러덕트를 상부덕트(100)와 하부덕트(200)를 분리하는 이유는 상기 상부덕트(100)에는 버스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냉기 또는 온기가 공급되게 하는 수평송풍구(160)가 설치되게 되고, 상기 하부덕트(200)에는 버스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냉기 또는 온기가 공급되게 하는 수직송풍구(260)가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버스의 쿨러덕트는 상부덕트(100)와 하부덕트(200)를 따로 제작하고, 버스에 설치시 끼워맞춤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버스의 쿨러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상부덕트 120: 돌출편
140: 보조돌출편 200: 하부덕트
220: 수용편 240: 보조수용편

Claims (3)

  1. 버스의 루프인너패널과, 내측 하부에는 커튼레일이 형성되고, 커튼레일의 상측에는 브라켓이 형성된 사이드필라 사이에 설치되는 버스의 쿨러덕트에 있어서,
    상기 쿨러덕트는 상기 루프인너패널에 고정되는 상부덕트와, 일단부가 상기 커튼레일과 상기 브라켓사이에 끼워맞춤되는 수평편과 상기 수평편측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을 수용하고 브라켓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가압되는 수평가압편이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필라에 고정되는 하부덕트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덕트의 단부에는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덕트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출편을 수용하여 끼워지는 수용편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되,
    상기 돌출편에 내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보조돌출편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돌출편에 대응되게 상기 수용편에 내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보조수용편이 더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쿨러덕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덕트와 상부덕트는 압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쿨러덕트.
KR20130048858A 2013-04-30 2013-04-30 버스의 쿨러덕트 KR101480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858A KR101480426B1 (ko) 2013-04-30 2013-04-30 버스의 쿨러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858A KR101480426B1 (ko) 2013-04-30 2013-04-30 버스의 쿨러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910A KR20140129910A (ko) 2014-11-07
KR101480426B1 true KR101480426B1 (ko) 2015-01-08

Family

ID=5245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8858A KR101480426B1 (ko) 2013-04-30 2013-04-30 버스의 쿨러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4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846A (ko) * 1997-06-23 1999-01-15 윤관호 황토바닥재 성형방법 및 그 바닥재
KR19990006833A (ko) * 1997-06-13 1999-01-25 사토 도리 단일 릴형 자기테이프 카트리지
KR19990012555A (ko) * 1997-07-30 1999-02-25 양재신 버스의 에어컨 덕트 고정 구조
JP2007030694A (ja) * 2005-07-27 2007-02-08 Hino Motors Ltd バスのダクト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833A (ko) * 1997-06-13 1999-01-25 사토 도리 단일 릴형 자기테이프 카트리지
KR19990002846A (ko) * 1997-06-23 1999-01-15 윤관호 황토바닥재 성형방법 및 그 바닥재
KR19990012555A (ko) * 1997-07-30 1999-02-25 양재신 버스의 에어컨 덕트 고정 구조
JP2007030694A (ja) * 2005-07-27 2007-02-08 Hino Motors Ltd バスのダク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910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383B1 (ko) 차양용 몰딩바
WO2016011902A1 (zh) 一种吊顶天花
US20200059195A1 (en) Waterproof and electricity-insulating support structure for solar panels
KR101281884B1 (ko) 장식판 단열패널을 이용한 커튼월시스템
KR200472231Y1 (ko) 데크 연결용 브라켓
JP6196536B2 (ja) 鉄道車両の内装品取付構造及び内装品取付方法
KR101480426B1 (ko) 버스의 쿨러덕트
KR101465162B1 (ko) 태양광모듈 고정용 베이스레일
KR20190104916A (ko) 캐노피 결합구조
KR200437979Y1 (ko) 알루미늄 전동차의 지붕 빗물 배수로
CN205688831U (zh) 一种电动伸缩式钢筋防护棚
CN203729465U (zh) 一种玻璃幕墙框架结构
RU2017122839A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ая сборку, оснащенную лотком, выполненным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установки на нем элемента крыши
KR101555308B1 (ko)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CN207632274U (zh) 电梯召唤盒
CN204055621U (zh) 饰条安装结构
JP2016113025A (ja) 車両用ドアガラス取付構造
CN204646050U (zh) 一种新型纱窗
CN210062611U (zh) 一种风道上型材及客车风道
KR20130085823A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체 결합구조
CN204296417U (zh) 一种车辆后尾门及后尾门铰链的安装结构
CN210350694U (zh) 一种用于屏风的走线槽结构
CN207920374U (zh) 防护窗免打孔安装的紧固件
WO2016199336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フレー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211523666U (zh) 一种大跨度玻璃幕墙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