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969B1 - Lens module for image pickup apparatus - Google Patents
Lens module for image pickup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9969B1 KR101489969B1 KR20080093308A KR20080093308A KR101489969B1 KR 101489969 B1 KR101489969 B1 KR 101489969B1 KR 20080093308 A KR20080093308 A KR 20080093308A KR 20080093308 A KR20080093308 A KR 20080093308A KR 101489969 B1 KR101489969 B1 KR 1014899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barrel
- movable lens
- unit
- rotation
- sen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5—Refractive optical elements
- G02B27/0955—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기존의 단초점 카메라 렌즈 모듈의 구조와 형식에서 탈피하여, 가동렌즈의 외경을 크게 구성하고, 침통식 디지털 카메라에서 채택하는 바리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회전부를 이용한 가동렌즈의 제1 광축 수평 방향으로의 팝업(POP-UP) 및 수납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 즉, 오프(OFF) 상태에서는 제1가동렌즈바렐부가 회전부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가 온(ON) 상태가 되면 제1가동렌즈바렐부가 회전부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영상 촬영이 가능하게 되어, 단초점 렌즈 모듈이지만 침통식 디지털 카메라의 효과를 낼 수 있고, 보다 큰 화각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module for an ima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module for an imag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module for an imaging device capable of pop-up and storing operations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a first optical axis of a movable lens using a rotating part, and a device using the lens module. That is, in the OFF state,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is housed inside the rotation part. When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part is in ON state,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part protrude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on part, Module, but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a pneumatic digital camera, and by forming a larger angle of view,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단초점, 카메라, 모듈, 팝업(POP-UP), 바리어, 개폐 Single Focus, Camera, Module, Pop-Up, Barrier, Open / Close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기존의 단초점 카메라 렌즈 모듈의 구조와 형식에서 탈피하여, 가동렌즈의 외경을 크게 구성하고, 침통식 디지털 카메라에서 채택하는 바리어 시스템을 적용하며, 회전부를 이용하여 가동렌즈가 제1 광축 수평 방향으로 팝업(Pop-Up)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한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본 발명은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나 모바일 폰용 카메라 등의 디지털 촬상 장치는, 일반적으로 렌즈로 구성되는 광학계, 렌즈부의 밑면에 배치되는 촬상소자, 촬상소자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 촬영된 화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작동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module for an imaging device. BACKGROUND ART [0002] A digital imaging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or a camera for a mobile phone includes an optical system generally constituted by a lens, an imaging element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ens portion, an image processing section for process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ing element, The operation is performed as follows.
촬영하는 사용자가 촬영을 하면,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 광(光)이 CCD나 CMOS등의 촬상소자로 입사되고, 이러한 촬상소자는 입사된 영상 광(光)을 전기 적 화상 신호로 변환하고, 화상 처리부는 변환된 화상 신호를 처리하고, 메모리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촬영 과정을 수행되게 된다.When a photographer makes a photograph, image light (light) of a subject passing through the lens is incident on an image pickup device such as a CCD or CMOS, and this image pickup device converts the incident image light (light) into an electric image signal , The image processing section processes the converted image signal, and the memory performs the photographing process by storing the photographed image.
일반적으로,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와 달리 모바일 폰에 적용되는 소형 광학 렌즈 모듈에 있어서는, 단초점 렌즈를 채용하고 있으며, 이는 통상적으로 렌즈 고정부재에 의하여 모바일 폰 전면 또는 후면 일측에 고정시켜 구성한다. Generally, in a lens constituting an optical system, a small-sized optical lens module applied to a mobile phone, unlike a digital camera, employs a short-focus lens, which is usually mounted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mobile phone And fixed.
그런데, 점점 고화소화 추이를 보이는 모바일 폰에서의 카메라 렌즈 모듈 시장 의 트렌드 관점에서 보면, 기존의 단초점 카메라 렌즈 모듈의 경우에는 장착되는 렌즈 모듈의 최외경 사이즈와 화각이 작아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촬영시 만족스럽지 못한 요인으로 작용되어 왔었다.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the trend of the camera lens module market in the mobile phone showing a progressively higher pixelization trend, in the case of the existing single focus camera lens module, the outermost size and the angle of view of the mounted lens module are small, It has been acted as unsatisfactory factor.
이에 따라서, 모바일 폰과 같은 휴대용 촬영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렌즈 모듈로써, 기존의 저화소 단초점 렌즈 모듈과는 차별화된 디자인과 컨셉을 가진 소형 렌즈 모듈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compact lens module having a different design and concept from a conventional low-pixel short-focus lens module as a lens module applicable to a portable imaging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존의 단초점 카메라 렌즈 모듈과는 차별화되는 구조와 형식을 갖추면서 침통식 디지털 카메라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에 본 발명에 따른 렌즈모듈을 실제로 장착했을 때,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대구경 단초점 광각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differentiating from a conventional single focus camera lens module, There is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s module for an imaging device having a large diameter short-angle wide-angle camera lens module capable of maximizing the degree of freedom of product design when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mounted.
또한, 렌즈 모듈 최외경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는 렌즈 모듈 구조 및 사이즈를 최대한 크게 구성함으로써, 단초점 렌즈 모듈이지만 화각을 극대화시켜 촬영시 촬영자의 촬영 만족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 the lens module structure and the size of the lens module that can realize the outermost lens module size can be maximized to thereby maximize the angle of view even though the lens module is a short-focus lens module, thereby doubling the photographing satisfaction of the photographer.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피사체와 마주보는 방향인 제1 광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가동렌즈바렐부와,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입사된 광을 굴절시킴으로써 상기 제1 광축 방향과 수직인 제2 광축 방향으로 광을 배출하는 제2굴절렌즈바렐부와, 상기 제1 광축 전후 수평 방향으로 제1가동렌즈바렐부의 움직임 및 바리어 부의 개폐 동작을 매개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의 움직임 중 제1 광축 방향으로의 팝업(Pop-Up)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팝업(Pop-Up)부와,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제4렌즈바렐부 및, 상기 회전부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의 팝업(POP-UP) 및 수납 동작과, 상기 바리어 부의 개폐 동작이 연동되도록 상기 회전부의 일측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zoom lens comprising: a first movable lens barrel unit disposed in a first optical axis direction opposite to a subject; and a second movable lens barrel unit disposed behind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unit, A second refracting lens barrel unit for refracting light in a direction of a second optical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second refracting lens barrel unit for refracting ligh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optical axis direction, A pop-up unit for enabling a pop-up of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unit in a direction of a first optical axis during a movement of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unit, and a pop- A fourth lens barrel part and a second lens barrel part which ar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part so that the pop-up and receiving operations of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pa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barrier part are interlocked by rotating the rotation 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ide protrudes in a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ration consisting of.
여기에서,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는 렌즈 모듈의 최외경 사이즈를 구현 가능한 범위에서 화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동 렌즈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movable lens capable of maximizing a view angl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outermost lens size of the lens module can be realized.
아울러, 상기 제4렌즈바렐부는, 상기 제2 광축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형상을 갖추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urth lens barrel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lens having a shape so as to accommodate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portion while being disposed in the second optical axis direction.
한편, 상기 팝업(POP-UP)부는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와 상기 제2굴절렌즈바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가 제1 광축 수평 방향으로 탄성적인 움직임을 갖도록 매개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굴절렌즈바렐부 상측부 내측에 설치되는 센싱부와, 상기 회전부의 내경 내측 일부에 설치되는 센싱 연동부를 추가로 더 구성하고,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가 온(ON) 상태로 팝업(POP-UP) 되어 상기 센싱 연동부가 상기 센싱부와 대면하게 되고,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가 오프(OFF) 상태로 수납되면 상기 센싱 연동부가 상기 센싱부와 어긋나게 이동하여 센싱 영역을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촬영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P-UP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unit and the second refractive lens barrel unit, and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unit may have elasticity to mediate elastic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optical axis. . In addition, a sens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fracting lens barrel portion and a sensing interlocking portion provided inside a portion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rotating portion may be further configured. When the rotating portion is rotated,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portion When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portion is housed in the OFF state, the sensing interlocking portion is shifted from the sensing portion in a pop-up state (ON-state), and the sensing interlocking portion faces the sensing portion. (OFF) state by maintaining the sensing area off the sensing area.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에 있어서, 피사체와 마주보 는 방향인 제1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가동렌즈바렐부와,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의 외주연과 맞물리게 구비되고, 그 내측으로 상기 제1 가동 렌즈부를 수납함과 아울러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에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를 제1광축의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를 제1광축방향으로 팝업가능하게 하는 팝업부 및 상기 회전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게 돌출 형성된 작동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을 개시한다. In the lens module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movable lens barrel part disposed in a direction of a first optical axis, which is a direction opposite to a subject, and a second movable lens barrel part provided to engage with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part, And a second movable lens barrel unit having a first movable lens barrel unit and a second movable lens barrel unit.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unit includes a first movable lens barrel unit and a second movable lens barrel unit. And a pop-up portion that pops up the first movable lens barrel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tical axi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ortion, and an operation portion provided in the rotation portion and protruded and formed to rotate the rotation portion.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을 모바일 기기에 장착하여 적용시킬 경우, 기존 단초점 렌즈 모듈과는 달리 가동 렌즈의 외경을 탁월하게 크게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화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오프(OFF) 상태에서 수납되어 있다가 온(ON) 상태가 되면서 돌출되는 팝업(POP-UP) 구조로 되어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 실제 장착하였을 때 침통형 디지털 카메라의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ns module for a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greatly increase the outside diameter of the movable lens, unlike the existing single-focal lens module, . In addition, it has a pop-up structure that is housed in an OFF state and protrudes when it is turned ON, and thus can achieve the effect of a portable type digital camera when mounted on a mobile device .
이 경우, 굴절 부재 이후의 제2 광축상에 구성되는 부재들의 소형화를 구현하여 소형 모바일 기기로의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게 한다. In this case, miniaturization of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second optical axis after the refracting member is realized,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small-sized mobile devices.
그 결과, 모바일 기기에 팝업(POP-UP) 기능을 구현한 렌즈 모듈을 실제 장착하더라도 돌출되지 않도록 수납 구조를 채용하여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지게 되며, 렌즈 모듈이 장착되는 제품 두께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product design by adopting the storage structure so that the lens module that implements the POP-UP function in the mobile device is not protruded even when the lens module is actually mounted, do.
이하, 상기한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구성 및 그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오프(OFF)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온(ON)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내부 부품 구성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바리어 부 클로즈(CLOSE)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바리어 부 오픈(OPEN)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바리어 부 오픈/클로즈 구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오프(OFF) 상태에서의 캠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온(ON) 상태에서의 캠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팝업(POP-UP)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FF state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N state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internal component construction diagrams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and FIG.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barrier close CLOSE state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barrier open state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rrier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cam position in the OFF state of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the cam position in the OFF state of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cam in the ON state of the lens module Drawing, and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pop-up (POP-UP) the structure of the lens modu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a, 도 1b,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A, 1B, 2 and 3, the overall structure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은,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와, 제2굴절렌즈바렐부(220)와, 기구셔터부(400)와, 제3렌즈바렐부(520)와, 클립부(530)와, 바리어 부(131, 132)와, 회전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The lens module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는 피사체와 마주보는 방향인 제1 광축(OP1) 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상기 회전부(300)의 내측에 배치된다. The first
상기 제2굴절렌즈바렐부(220)는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와,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입사된 광을 굴절시킴으로써 상기 제1 광축(OP1) 방향과 수직인 제2 광축(OP2) 방향으로 광을 배출하도록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후방에 구비된다. The second
상기 기구셔터부(400)는 빛을 받는 시간과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The
상기 제3렌즈바렐부(520)는 상기 제2 광축(OP2)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자동 초점을 맞추도록 구비된다. The
상기 클립부(530)는 자동 초점용 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3렌즈바렐부(520)에 전달해 주도록 구비된다. The
상기 바리어 부(131,132)는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상기 가동렌즈(100)를 보호하기 위해 구비된다. The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제1 광축(OP1) 방향으로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를 움직이게 해주면서 상기 바리어 부(131, 132)를 오픈시켜주도록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특징적인 부분은, 상기 회전부(300)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의 촬영 모드를 온/오프 시킬 수 있게 하고, 이에 연동되어 상기 가동 렌즈(100)를 포함한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가 피사체와 대면하는 상기 제 1 광축(OP1) 방향으로 팝업(POP-UP) 및 수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The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OFF) 상태에서 렌즈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수납된 상태로 되어 있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0)를 돌려서 온(ON) 상태가 되도록 하면, 렌즈 모듈은 촬영 준비 상태가 된다. 또한, 온(ON) 상태가 되면서 상기 회전부(300)가 동시에 상기 바리어 부(131, 132)를 회전시켜서 오픈(OPEN)시키고, 피사체를 향하여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를 전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lens module is housed in the mobile device in the OFF state. Then, as shown in FIG. 2, the lens module is rotated ) State, the lens module is ready for photographing. The turning
이하, 상세한 설명 기재에 있어서, 상기 다수 부재가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회전부(300) 및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팝업(POP-UP) 및 수납이 가능한 구조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구성 및 그 기능은 기존의 카메라 모듈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amera module to which the multiple members are moun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xcept for the structure capable of POP-UP and receipt of the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축(OP1) 방향이란 피사체와 마주보는 방향을 의미하고, 제2 광축(OP2) 방향이란 상기 제1 광축(OP1) 방향에서 상기 굴절 부재(200)에 의하여 90˚ 굴절되어 수직으로 향하면서 상기 제3렌즈바렐부(520)의 렌즈(500,510)들과, 상기 제4 렌즈바렐부(620)의 렌즈(600,610)들을 관통하는 방향을 의미한다.1A, 1B, and 2, the first optical axis OP1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bject, and the second optical axis OP2 direction refers to the first optical axis OP1 The
먼저, 도 2,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에는 가동렌즈(100)와, 바리어 부(131,132)와, 바리어 이탈 방지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제2굴절렌즈바렐부(220)와의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2, 4A and 5A, the first
상기 가동렌즈(100)는 피사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At least one
상기 바리어 부(131, 132)는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상기 가동렌즈(100)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부(300)의 회동에 의해 상기 가동렌즈(100)를 개폐하도록 상기 가동렌즈(100)의 전면에 구비된다. The
상기 바리어 이탈 방지부(150)는 상기 바리어 부(131,13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리어 부(131,132)의 전면에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동렌즈(100)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모바일 기기의 일측에서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선단 위치에 장착되는 단초점 렌즈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렌즈 크기보다는 크게 구성하여 촬영시 화각을 더 크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상기 가동렌즈(100)는 전군(前群) 렌즈가 될 것이다. The barrier
즉, 상기 가동렌즈(100)는 최외경 사이즈를 구현 가능한 범위에서 화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때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외경은 20mm 내지 30mm 범위에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굴절렌즈바렐부(220)는 제1 광축(OP1) 방향으로 입사된 영상 광을 제2 광축(OP2) 방향으로 굴절시켜주는 굴절 부재(200) 및 고정 렌즈 부재(210)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와의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굴절 부재(200)는 통상적인 프리즘으로 구성하여 일정 범위에서 제1 광축(OP1) 방향으로 입사된 광을 제2 광축(OP2) 방향으로 굴절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2, the second
한편,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 용 렌즈모듈의 구성에서 제1 광축(OP1) 상의 부재들은 침통형 디지털 카메라 렌즈 모듈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 상기 외경 크기처럼 기존의 단초점 카메라 렌즈 모듈의 외경에 비하여 크게 구성하는 반면, 상기 굴절 부재(200) 이후에 구성되는 제2 광축(OP2) 상의 부재들은 소형 모바일 기기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사이즈를 최소화 하였다. 2, 3A and 3B, the members on the first optical axis OP1 in the configuration of the lens module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Size camera lens module, the size of the members on the second optical axis OP2 formed after the refracting
그 결과, 모바일 기기에 실제 장착하더라도 본 발명의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지며, 렌즈 모듈이 장착되는 모바일 폰과 같은 제품 두께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As a result, even if the lens module is actually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the lens module for the ima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trude,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product design is increased and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such as the mobile phone, on which the lens module is mounted is not limited.
즉, 하나 이상의 상기 가동렌즈(100)를 구비하는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크기가 커지지만, 이는 평면적인 제약일 뿐이다. 팝업(POP-UP)에 의한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전면 돌출은 모바일 기기 최외각면으로부터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수납시에는 상기 회전부(300)의 캠 형상(300c)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회전부(300)의 내측으로 인입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모바일 기기의 두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ize of the firs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가동렌즈(100)를 포함한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형상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렌즈바렐부(620)는, 제2 광축(OP2)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형상을 갖추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600, 610)를 포함하여 구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2 and 9, the fourth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렌즈바렐부(620)의 하부 내측 일면에는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를 수용하는 상기 회전부(300) 일측 돌기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홈(621)을 형성하고 있다.2, the first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300)에는 이물 방지부(320)와, 작동부(300b)와, 센싱 연동부(310)가 구비된다. 2, the
상기 이물 방지부(320)는 상기 회전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을 방지 하도록 상기 회전부의 후면부를 밀폐하게 구비된다. The foreign
상기 작동부(300b)는 모바일 기기의 일측 돌기(미도시)와 연계되어 회전에 개입하도록 상기 회전부(300)의 외경 외부 일측으로 돌출된다. The
상기 센싱 연동부(310)는 상기 회전부(300)의 회전에 따라 후술하는 상기 센싱부(900)와 대면되거나 대면된 상태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회전부(300)의 내경 내부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The
상기 작동부(300b)는 작동 레버로 이루어져 있다. The
그리고, 상기 회전부(300)를 동작 및 기능에 따른 형상으로 구분하여 보면, 상기 바리어 부(131, 132)를 오픈시켜주는 오픈 형상(300a), 제1가동렌즈바렐부(110)를 온/오프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캠 형상(300c)의 구조로 되어 있다. An
이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300)의 상기 작동레버(300b)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300)의 캠 형상(300c)을 따라서 온위치(C)와 오프위치(B)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가 피사체를 향한 제1 광축(OP1) 방향으로 전후 직진 운동을 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즉, 도 2, 도 4a, 도 4b 내지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를 수용함과 아울러 맞물리게 할 수 있도록 내경 및 외경을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2, 4A, 4B, and 9, the
상기 오픈 형상(300a)은 상기 바리어 부(131, 132)를 오픈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300)의 전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The
상기 캠 형상(300c)은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를 촬영모드 온/오프로 위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제1 광축(OP1) 전후 방향으로 팝업(POP-UP) 및 수납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를 안내 및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The
또한, 상기 작동레버(300b)는 상기 회전부(300)의 외경 일측 끝단에서 외각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다.In addition, the
도 7 또는 도 8에서 B는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가 오프(OFF) 위치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C는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가 온(ON)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7 or 8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OFF) 위치는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가 상기 회전부(300)의 수납 경로를 따라 수납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온(ON) 위치는 상기 수납 경로와 반대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 즉 제1 광축(OP1) 전방향으로 일정 두께만큼 움직임을 갖도록 하여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가 피사체 방향으로 팝업(POP-UP) 된 상태를 의미한다. 7 and 8, the OFF position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여기에서, 상기 회전부(300)의 상기 작동레버(300b)는 장착되는 모바일 기기에 상대 돌기가 있어서 그것을 돌리게 되면 상기 회전부(300)는 회전하게 되며, 온/오프에 따른 기구적인 정지 위치는 상기 회전부(300)의 상기 캠 형상(300c)에 의하여 결정된다.Here, when the
또한, 온(ON) 위치는 상기 회전부(300)의 작동레버(300b)가 상기 캠 형상(300c)에 의하여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고, 오프(OFF) 위치는 상기 회전부(300)의 상기 작동레버(300b)가 상기 온(ON)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회전된 상태를 의미한다. The ON position means that the
상기 팝업(POP-UP) 동작시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와 상기 제2굴절렌즈바렐부(220)사이에는 팝업(POP-UP)부(26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팝업(POP-UP)부(260)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로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팝업부(260)는 탄성력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는 상기 회전부(300)에서 제1 광축(OP1)의 수평 방향으로 인입/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A pop-up
한편,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굴절렌즈바렐부(220) 일측에는 상기 센싱부(900)가 설치된다, 상기 센싱부(900)는 상기 회전부(300)의 내경 내측 일부에 구비되는 센싱 연동부(310)의 작동 범위 이내에서 정면을 마주보도록 하여 촬영 준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6, 7, 8, and 9, the
상기 센싱부(900)는 엠알(MR) 센서로 구성함이 일반적이며, 상기 센싱 연동 부(310)는 마그네트 부재 또는 반사 부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센싱부(900) 및 센싱 연동부(310)가 위에서 예시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즉 MR 센서 및 마그네트 부재와 같이 연동되는 온/오프신호를 상호 기능하여 전달할 수 있는 부재라면 다양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The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900)와 상기 센싱 연동부(310)를 서로 대면하여 위치되면, 온(ON) 상태가 되어 촬영이 가능하게 되며, 도 1a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900)와 상기 센싱 연동부(310)의 대면된 상태가 어긋나 작동 범위를 벗어나게 위치되면, 오프(OFF) 상태가 되어 상기 센서부의 센싱 영역을 벗어난 상태로 촬영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when the
이하, 도 4a, 도 4b, 도 5a, 도 5b, 도 6, 도 7,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리어 부(131, 132)를 개폐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s shown in FIGS. 4A, 4B, 5A, 5B, 6, 7, 8, and 9, a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먼저 바리어 개폐스프링(141, 142)을 이용하여 상기 바리어 부(131, 132)를 클로즈(CLOSE)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오픈 형상(300a)을 통하여 상기 바리어 부(131,132)를 오픈(OPEN)시키게 된다. The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에서의 상방향 굴곡돌기를 가지는 오픈 형상(300a)의 형상을 없애고, 형상을 변경한 개폐스프링(143, 144)을 사용하여, 제거된 상기 오픈형상(300a)이 있던 위치의 일끝 측면과 인접하는 상기 회전부(300)의 파인 홈 형상의 타측 측면(300e)이 상기 바리어 부(131,132)를 밀게 하여 상기 바리어 부(131, 132)를 클로즈(CLOSE) 시킬 수도 있다. 6, the shape of the
이 경우, 상기 바리어 부(131, 132)의 오픈 동작과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 부(110)의 팝업(POP-UP) 동작 및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수납 과정과 상기 바리어 부(131, 132)의 클로즈(CLOSE) 동작은 적은 시간 간격을 두고 발생하며 거의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In this cas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상기한 특징을 갖는 카메라 렌즈 모듈 동작을 순차적으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amera lens module having the above features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먼저 상기 회전부(300)의 상기 작동레버(300b)를 회전시키면, 상기 바리어 개폐스프링(141, 142)에 의하여 닫혀있던 상기 바리어 부(131, 132)가 오픈된다.First, when the
이에 따라서 일정 수납 공간, 즉 상기 회전부(300)의 상기 캠 형상(300c)을 따라 상기 회전부(300) 내부 공간에 수납되어 있던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가 일정 거리만큼 회전하면서 피사체를 향한 제1 광축(OP1) 방향 전면으로 움직임을 갖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동렌즈(100)를 포함한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의 팝업(POP-UP) 동작이 수반된다. The first
이는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가 일정 반경 회전하여 도 8의 도면상 C 위치에 있는 상태가 됨을 의미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센싱부(900)와 상기 센싱 연동부(310)가 촬영 가능하게 마주보는 위치에 정렬하게 되어 촬영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촬영 모듈 내 제어부에 촬영 준비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사용자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This means that the first
촬영이 마쳐진 경우에는, 상기 회전부(300)의 상기 작동레버(300b)를 이용하여 상기 제1가동렌즈바렐부(110)를 상기 캠 형상(300c)을 따라서 일정 거리만큼 회 전시켜 상기 회전부(300) 내부로 수납시킨다. 수납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오픈 형상(300a) 및 상기 바리어 개폐스프링(141, 142)을 이용하여 상기 바리어 부(131, 132)를 닫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더 이상 촬영할 수 없는 촬영모드의 오프(OFF) 상태를 의미한다.The first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듈 구성 및 동작에 의할 경우에는, 핸드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에 장착 가능하면서도 가동렌즈의 팝업(POP-UP) 동작이 가능하고 렌즈 화각을 크게 구성하여 고급스러움과 함께 촬영 사용자의 편리성 및 제품 설계 자유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In the modul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ount the camera on a small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but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pop-up operation of the movable lens, Convenience and product design freedom can be maximized.
상기 기술된 상세한 설명 및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오프(OFF)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n OFF state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온(ON)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N state of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내부 부품 구성도 FIGS. 3A and 3B are diagrams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바리어 부 클로즈(CLOSE)상태의 전,후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 FIGS. 4A and 4B are front and rear views of a barrier portion CLOSE state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S.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바리어 부 오픈(OPEN)상태의 전,후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 FIGS. 5A and 5B are front and rear views, respectively, of the lens module in the barrier open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바리어부 오픈/클로즈 구조 상태를 도시한 도면,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pen / closed structure of the barrier unit of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오프(OFF) 상태에서의 캠위치를 도시한 도면, 7 is a view showing the cam position in the OFF state of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온(ON) 상태에서의 캠위치를 도시한 도면, 8 is a view showing the cam position in the ON state of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렌즈 모듈의 팝업(POP-UP) 구조를 도시한 도면.9 is a view showing a pop-up structure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Description of major parts of drawing ***
100 : 가동 렌즈 110 : 제1가동렌즈바렐부100: movable lens 110: first movable lens barrel part
131, 132 : 바리어 부 200 : 굴절 부재131, 132: barrier portion 200: refractive member
220 : 제2굴절렌즈바렐부 260 : 팝업(POP-UP)부220: second refraction lens barrel 260: POP-UP unit
300 : 회전부 300a : 오픈형상 300: rotating
300c: 캠 형상 300b : 작동레버 300c:
400 : 기구셔터부 500,510 : 렌즈 400:
520:제3렌즈바렐부 530 : 클립부 520: third lens barrel part 530: clip part
600,610 : 렌즈 620 : 제4렌즈바렐부600,610: Lens 620: Fourth lens barrel part
OP1 : 제1 광축 OP2 : 제 2 광축OP1: first optical axis OP2: second optical axis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93308A KR101489969B1 (en) | 2008-09-23 | 2008-09-23 | Lens module for image pickup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93308A KR101489969B1 (en) | 2008-09-23 | 2008-09-23 | Lens module for image pickup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4266A KR20100034266A (en) | 2010-04-01 |
KR101489969B1 true KR101489969B1 (en) | 2015-02-06 |
Family
ID=4221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80093308A KR101489969B1 (en) | 2008-09-23 | 2008-09-23 | Lens module for image pickup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996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59573A (en) * | 2021-06-15 | 2021-08-13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15444A (en) | 2005-02-07 | 2006-08-17 | Fujinon Corp | Lens frame mounting structure of lens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and optical apparatus using the same |
JP2006284905A (en) | 2005-03-31 | 2006-10-19 | Sony Corp | Lens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
KR20070119822A (en) * | 2006-06-16 | 2007-12-21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Photographing device comprising pop-up strobo |
KR20080041940A (en) * | 2006-11-08 | 2008-05-14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Lens cap assembly of camera |
-
2008
- 2008-09-23 KR KR20080093308A patent/KR10148996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15444A (en) | 2005-02-07 | 2006-08-17 | Fujinon Corp | Lens frame mounting structure of lens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and optical apparatus using the same |
JP2006284905A (en) | 2005-03-31 | 2006-10-19 | Sony Corp | Lens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
KR20070119822A (en) * | 2006-06-16 | 2007-12-21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Photographing device comprising pop-up strobo |
KR20080041940A (en) * | 2006-11-08 | 2008-05-14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Lens cap assembly of camer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4266A (en) | 2010-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55465B2 (en) | Optical system apparatus, camera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 |
US7872683B2 (en) | Lens barrel for an imaging apparatus | |
JP5493851B2 (en) |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 |
JP2006039153A (en) | Lens barrel, camera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 |
US7808731B2 (en) | Lens guide mechanism,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 |
KR20090088327A (en) | Light shielding structure of an optical device | |
JP4463034B2 (en) | Lens barrel, camera,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
JP6271904B2 (en) |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 |
CN104698568A (en) | Lens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 |
US9348110B2 (en) |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 |
KR101489969B1 (en) | Lens module for image pickup apparatus | |
JP2011215279A (en) |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 |
JP4605439B2 (en) | Retractable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 |
KR100542074B1 (en) | Camera device for small communication machine | |
KR100526652B1 (en) | Camera device for small communication machine | |
JP2007232805A (en)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 |
JPWO2006035580A1 (en) |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camera,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lens barrel | |
JP2007256786A (en)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 |
JP2007232807A (en) |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with the camera module | |
JP2007241000A (en) | Camera modul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equipped therewith | |
KR101109590B1 (en) | Barrel module | |
JP4158552B2 (en) | Camera barri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 |
JP2007256785A (en)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 |
JP5397774B2 (en) | Lens barrel,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JP2007279161A (en)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e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