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89945B1 -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945B1
KR101489945B1 KR20140026779A KR20140026779A KR101489945B1 KR 101489945 B1 KR101489945 B1 KR 101489945B1 KR 20140026779 A KR20140026779 A KR 20140026779A KR 20140026779 A KR20140026779 A KR 20140026779A KR 101489945 B1 KR101489945 B1 KR 101489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se frame
support shaft
guide slot
sli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2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런
Priority to KR2014002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94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63Special speed variation means, i.e. speed redu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는 프레임에 시트부와 한 쌍의 메인휠이 설치되는 휠체어와, 휠체어의 시트 전면측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환우가 앉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하체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환우의 발들을 전, 후진시켜 하체를 운동시키기 위한 제 1,2보행보조운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 1보행보조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 제1가이드장공이 형성되어 제1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제1가이드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지지축에 설치되며 환우의 발이 얹혀지는 제1회동발판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제1회동발판부의 제1지지축이 상기 제1가이드장공을 따라 전, 후진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축의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1수직가이드장공을 구비한 제1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 2보행보조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 제2가이드장공이 형성되어 제2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제2가이드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지지축에 설치되며 환우의 발이 얹혀지는 제2회동발판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제2회동발판부의 제2지지축이 상기 제2가이드장공을 따라 전, 후진 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축의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2수직가이드장공을 구비한 제2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 1,2슬라이드를 교호적으로 전,후진 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a wheel chair}
본 발명은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앉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하체운동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학의발달과 경제발전 그리고 의식구조의 변화 및 가족계획사업 등에 의한 출생률의 저하와 평균수명 연장으로, 고령화사회(高齡化社會, Aging society)에 접어들고 있다. 장애인들의 사회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의 다변화로 및 다양화로 인하여 환우들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노약자들이나 환우들은 거동의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지팡이 또는 휠체어 등의 보행보조기를 사용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보행보조기(A walking auxiliary equipment)는 거동이 불편한 이들의 보행을 돕는데 사용하는 장비를 통칭하는 것으로써, 자세하게는 각종 질병이나 사고로 인한 팔과 다리 또는 척추의 선ㅇ후천성 기형이나 마비 및 노쇠화로 상실된 신체활동 근력을 대신하여 자의보행(自意步行)을 가능케 하는 의료기기 중 하나이다.
이러한 보행보조기는,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하는 하지보조기(Artificial leg, 의족), 신체가 탑승할 수 있게 한 휠체어(Wheel chair), 상체를 의지하도록 된 카트형 롤링워커(Rolling Walker)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 중에서도, 상술한 롤링워커(이하 "보행보조기"라 함)는, 상체를 의지한 채로 밀고 다닐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나 사고의 후유증으로 의료기관에서 장기요양 후에 실시하는 하체의 기능 회복훈련 또는 고령(노인)자의 보행보조용으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환우, 특히 보조보행기가 있어도 기립이 용이하지 않은 환우의 경우, 발목 등 하체운동을 할 수 없고, 보호자와 함께 재활운동을 실시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91902호에는 재활유도형 휠체어가 게시되어 있다. 이 재활유도형 휠체어는 하체를 운동시키는 페달의 구동을 위한 기계적 에너지를 휠체어에 마련된 바퀴에 제공하는 것으로, 원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페달이 휠체어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운동기구 하우징; 및 상기 운동기구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양측 바퀴와 연결되어 바퀴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된 기계적 에너지를 상기 한 쌍의 페달로 전달하여 휠체어의 이동 시 페달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26281호에는 운동보조기구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운동보조기구는 휠체어의 주행 시 지면과 밀착되어 구동바퀴가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페달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하체 운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휠체어를 이용한 운동은 휠체어의 움직임에 따른 구동력을 이용하게 되므로 휠체어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운동보조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운동보조기구를 휠체어에 조립해야만 하므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우가 앉은 휠체어를 이동시켜 휠의 구동력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휠체어가 움직이지 않은 경우, 운동보조기구를 작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운동보조기구가 장착된 휠체어를 이용하여 하체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운동 도우미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26281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휠체어에 앉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하체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발목운동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휠체어에 앉은 환우가 독립적으로 도우미 없이 하체운동을 할 수 있는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는 프레임에 시트부와 한 쌍의 메인휠이 설치되는 휠체어와, 휠체어의 시트 전면측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환우가 앉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하체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환우의 발들을 정상인의 보행 시 무릎과 발목관절의 운동과 유사하게 유도하게되며, 환우의 양발을 전진과 후진시켜 전진하는 발의 발가락부분을 상승시킴과 아울러 발 뒷꿈치를 하강시키고, 후진하는 발의 뒷꿈치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후진하는 발가락을 하강시켜, 하체의 근력운동 및 무릅과 발목 관절운동을 이루기위한 제 1,2보행보조운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 1보행보조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 제1가이드장공이 형성되어 제1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제1가이드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지지축에 설치되며 환우의 발이 얹혀지는 제1회동발판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제1회동발판부의 제1지지축이 상기 제1가이드장공을 따라 전, 후진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축의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1수직가이드장공을 구비한 제1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 2보행보조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 제 2가이드장공이 형성되어 제2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제2가이드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지지축에 설치되며 환우의 발이 얹혀지는 제2회동발판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제2회동발판부의 제2지지축이 상기 제2가이드장공을 따라 전, 후진 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축의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2수직가이드장공을 구비한 제2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 1,2슬라이드를 교호적으로 전,후진 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발판부와 제 2회동발판부는 각각 회전축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동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분할발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1,2가이드장공은 제 1,2가이드브라켓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2수평가이드공부와, 상기 수평가이드공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 1,2호형가이드장공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의 대응되는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2랙과, 상기 제1, 2랙과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피니언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2슬라이더를 교행하도록 전후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는 환우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보행에 필요한 하체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환우가 운동에 따른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조보행장치는 환우의 하체 운동 시 발목을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보행을 위한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1은 휠체어에 본 발명에 따른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은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6 내지 도 7 및 도8은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는 휠체어에 장착되어 환우가 앉은 상태에서 보행을 위한 하체 및 발목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실시예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10)는 휠체어(100)의 시트(101)의 프레임(102)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상기 환우의 발들을 전, 후진시켜 하체를 운동시키기 위한 제 1,2보행보조운동유닛(30)(50)을 구비한다.
상기 제 1보행보조운동유닛(30)은 베이스 프레임(20)에 길이 방향으로 제1가이드장공(31)이 형성된 한 쌍의 제1가이드 브라켓(32)이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가이드 브라켓(32)의 각 제1가이드 장공(31)에는 제1회동발판부(35)의 제 1지지축(3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회동발판부(35)는 상기 제1가이드 장공(31)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1지지축(36)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로드(37)들과, 각 제1지지로드(37)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발판부(38)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로드(37)와 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발판부(38)는 환우의 발 중앙부, 전면측 및 후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3개를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지지부재들중 전면측과 후면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로드(37)는 제1지지축(36)의 양측면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지지로드(37)와 상기 제 1지지발판부(38)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환우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발판부(38)들 중 중앙에 위치되는 지지발판부(38)에는 환우의 발(300)을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유닛(39)이 설치되는데, 이 고정유닛(39)은 탄력을 가지는 밴드, 또는 밸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띠 상의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장공(31)은 제 1가이드브라켓(32)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장공부(31a)와 상기 제 1수평장공부(31a)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1경사장공부(31b)를 구비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는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31)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발판부(35)의 제1지지축(36)을 상기 제1가이드장공(31)을 따라 전, 후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축(36)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수직가이드 장공(41)이 형성되는 제1슬라이더(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슬라이더(40)와 베이스프레임(20)의 사이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4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제 1가이드유닛레일(42)이 설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유닛레일(42)은 베이스프레임(32)에 상기 제1슬라이더(40)를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31)과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레일부(41a)가 설치되고, 상기 제1슬라이더(40)의 하면에는 상기 제1레일부(41a)와 결합되는 제1레일홈(41b)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 1가이드레일유닛(42)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프레임(31)에 대해 상기 제1슬라이더(40)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 1가이드 브라켓(32)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상기 제 1슬라이더(40)는 상기 제 1가이드 브라켓(32)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 1,2부재(40a)(40b)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 1,2부재(40a)(40b)의 상호 대향되는 측에는 각각 상기 제1수직 가이드공(41)이 형성되어 제 1지지축(36)의 양단부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부재(40a)(40b)는 연결부재(40c)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슬라이더(40)는 후술하는 구동유닛(80)에 의해 전, 후진된다.
상기 제 2보행보조운동유닛(50)은 상기 제 1보행보조운동유닛(30)과 실질적으로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길이 방향으로 제2가이드장공(51)이 형성된 한쌍의 제2가이드 브라켓(52)이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가이드 브라켓(52)의 각 제2가이드 장공(51)에는 제2회동발판부(55)의 제 2지지축(5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회동발판부(55)는 상기 제2가이드 장공(51)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2지지축(56)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로드(57)들과, 각 제2지지로드(57)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발판부(5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발판부(58)들 중 중앙에 위치되는 지지발판부(58)에는 환우의 발(300)을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유닛(59)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는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31)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발판부(55)의 제2지지축(56)을 상기 제2가이드장공(51)을 따라 전, 후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지지축(56)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수직가이드 장공(61)이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60)를 구비한다. 상기 제2슬라이더(60)와 베이스프레임(20)의 사이에는 상기 제2슬라이더(6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제 2가이드유닛레일(62)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 1슬라이더(40)와 제 2슬라이더(60)는 구동유닛(80)에 의해 교호적(엇갈리게)으로 왕복 이송된다.
상기 구동유닛(80)은 상기 제1,2슬라이더(40)(60)의 대향되는 면에 제1,2랙(81)(82)가 설치되고, 이들의 사이에는 제 1,2랙(81)(82)과 치합되는 피니언(83)이이 설치된다. 이 피니언(83)은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84)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피니언(83)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이 피니언(83)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84)는 베이스 프레임(20)에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83)의 회전축은 베이스 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구동 시 피니언(83)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모터를 정역회전 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부을 구비하며, 모터의 정역회전을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8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2보행보조운동유닛(30)(50)의 제 1,2슬라이더(40)(60)는 별도의 독립된 구동유닛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2보행보조운동유닛(30)(50)은 각각 별개로 제작하여 휠체어(100)의 전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도면부호 400은 바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휠체어에 앉거나 기립이 가능한 환우가 하체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제 1,2회동발판부(35)(55)에 양 발을 각각 얹은 상태에서 고정유닛(39)(59)을 이용하여 발(300)을 각각 고정한다. 이때에 상기 고정유닛(39)(59)에 의한 양발의 고정은 중앙부에 위치되는 제1,2지지발판부(38)(58)에 고정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 1,2발판부(35)(55)에 환우의 발고정이 완료되면, 구동유닛(80)을 이용하여 상기 제 1,2회동발판부(35)(55)를 전, 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즉, 상기 구동유닛(80)의 모터(84)의 구동으로 피니언(82)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치합된 제 1,2랙(81)(82)에 의해 제1,2슬라이더(40)(60)가 상대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1,2랙(81)(82)은 상호 대향되는 제 1,2슬라이더(40)(60)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니언(83)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2슬라이더(40)(6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8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슬라이더(40)는 전진하게 되고, 상기 제 2슬라이더(60)는 후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슬라이더(40)가 전진하게 되면, 상기 제 1슬라이더(40)의 제1수직가이드장공(41)에 지지된 제 1지지축(36)이 제 1가이드 브라켓(32)에 형성된 제 1가이드장공(3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때에 상기 제 1지지축(36)은 제 1가이드 장공(31)의 수평부(31a)를 따라 이동하다가 이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부(31b)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경사부에서 제1지지축(36)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회동받침부(35)에 지지된 환우의 왼발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으로 전진후 발의 발가락부분을 상승시킴과 아울러 발 뒷꿈치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32)의 전단부측에는 가이드바(32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단부측에 취치되는 제 1지지로드(37)와 접촉되어 제1회동발판부(35)가 제 1지지축(3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환우의 발은 통상적인 걸음걸이에서 전진한 후 발가락 부분이 상승되며, 아울러 발 뒷꿈치는 하강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원리는 환우가 휠체어의 시트 및 의자와 같은 앉을 것에 신체를 고정하고 보행에 준하는 다리운동을 실시할 경우, 상기 환우의 무릅관절이 중심축이되어 좌우발이 교행하는 동작이 반복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보행에 준하는 다리운동시 좌우측발이 도달하게되는 보폭의 끝단에 서게 될 경우, 각각 제 1지지축(36)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자연스럽게 발목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슬라이더(60)가 후퇴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슬라이더(60)의 제2수직가이드장공(41)에 지지된 제 2지지축(56)이 제 2가이드 브라켓(52)에 형성된 제 2가이드장공(51)을 따라 후퇴하게 된다. 상기 제 2지지축(56)은 제 2가이드 장공(51)의 수평부(51a)를 따라 이동하다가 이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부(51b)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경사부에서 제2지지축(56)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회동받침부(55)에 지지된 환우의 오른발의 뒷꿈치는 수평상으로 이동한 후 들리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52)의 전단부측에는 가이드바(52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단부측에 설치되는 제 2지지로드(57)와 접촉되어 제2회동발판부(55)를 제 1지지축(5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환우의 오른발은 통상적인 걸음걸이에서 후퇴된 후 발 뒤꿈치가 들려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구동유닛(80)에 의해 피니언(8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슬라이더(40)는 후퇴하게 되고, 상기 제 2슬라이더(60)가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방법으로 환우의 왼발은 후퇴하고, 오른발은 전진하여 보행하는 것과 같은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휠체어에 앉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환우의 발을 전, 후진시켜 하체운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환우의 하체를 재활운동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는 휠체어에 앉은 환우의 하체운동 뿐만아니라 각종 운동기구에도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4)

  1. 프레임에 시트부와 한 쌍의 메인휠이 설치되는 휠체어와, 휠체어의 시트 전면측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환우가 앉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하체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환우의 발들을 전, 후진시켜 하체를 운동시키기 위한 제 1,2보행보조운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 1보행보조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 제1가이드장공이 형성되어 제1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제1가이드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지지축에 설치되며 환우의 발이 얹혀지는 제1회동발판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제1회동발판부의 제1지지축이 상기 제1가이드장공을 따라 전, 후진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축의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1수직가이드장공을 구비한 제1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 2보행보조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 제2가이드장공이 형성되어 제2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제2가이드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지지축에 설치되며 환우의 발이 얹혀지는 제2회동발판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제2회동발판부의 제2지지축이 상기 제2가이드장공을 따라 전, 후진 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축의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2수직가이드장공을 구비한 제2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 1,2슬라이드를 교호적으로 전,후진 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발판부와 제 2회동발판부는 각각 회전축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동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분할발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 보행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가이드장공은 제 1,2가이드브라켓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2수평가이드공부와, 상기 수평가이드공의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2호형가이드장공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 보행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의 대응되는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2랙과, 상기 제1, 2래과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피니언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2슬라이더를 교행하도록 전후진시키는 모터와, 이를 제어하기위한 제어부와,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 보행 보조장치.
KR20140026779A 2014-03-06 2014-03-06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8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6779A KR101489945B1 (ko) 2014-03-06 2014-03-06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6779A KR101489945B1 (ko) 2014-03-06 2014-03-06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945B1 true KR101489945B1 (ko) 2015-02-11

Family

ID=5259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67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9945B1 (ko) 2014-03-06 2014-03-06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9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085B1 (ko) 2014-02-07 2016-05-31 김순임 휠체어용 재활 의족
KR101725666B1 (ko) * 2015-10-12 2017-04-12 윤동환 선박용 의자
KR101736272B1 (ko) 2016-07-19 2017-05-16 홍예진 하지 재활운동이 가능한 탈부착형 전동휠체어
KR20230117893A (ko) * 2022-02-03 2023-08-10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기립형 휠체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057Y1 (ko) 2001-09-13 2001-12-24 이태형 의자용 발 받침대
KR20110026281A (ko) * 2009-09-07 2011-03-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용 운동보조기구
US8550963B1 (en) 2010-11-08 2013-10-08 The Global DR Group LLC Leg exercise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057Y1 (ko) 2001-09-13 2001-12-24 이태형 의자용 발 받침대
KR20110026281A (ko) * 2009-09-07 2011-03-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용 운동보조기구
US8550963B1 (en) 2010-11-08 2013-10-08 The Global DR Group LLC Leg exercise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085B1 (ko) 2014-02-07 2016-05-31 김순임 휠체어용 재활 의족
KR101725666B1 (ko) * 2015-10-12 2017-04-12 윤동환 선박용 의자
KR101736272B1 (ko) 2016-07-19 2017-05-16 홍예진 하지 재활운동이 가능한 탈부착형 전동휠체어
KR20230117893A (ko) * 2022-02-03 2023-08-10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기립형 휠체어
KR102707912B1 (ko) * 2022-02-03 2024-09-23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기립형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1872B2 (en) Gait rehabilitation mach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454541B2 (en) Training apparatus for the disabled
US9616282B2 (en) Multi-modal gait-based non-invasive therapy platform
CN103892987B (zh) 一种下肢康复训练机器人
US9573019B2 (en) Mobility aid 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related components
KR101494685B1 (ko) 하지 훈련 운동기구
CN106955217B (zh) 康复训练机器人
KR101556851B1 (ko) 하지 운동장치
CN106344349B (zh) 小腿驱动型下肢康复训练装置
CN212548128U (zh) 踝泵运动训练设备
KR101489945B1 (ko)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
KR101694848B1 (ko) 환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행 재활 로봇
CN106539659A (zh) 下肢康复机器人用可转动式外骨骼机械腿
CN205073233U (zh) 下肢康复机器人用可转动式外骨骼机械腿
JP2005013534A (ja) 動力補助機構付き長下肢装具
CN104000706A (zh) 一种多体位上下肢联动康复机器人
JP2008113772A (ja) 動力補助機構付き長下肢装具
CN206548775U (zh) 小腿驱动型下肢康复训练装置
JP6089253B2 (ja) 下腿関節運動支援用ティルト台
CN117017713A (zh) 一种多模式踝关节康复训练装置
CN114733145B (zh) 智能多功能下肢康复训练一体机
JP5113550B2 (ja) 体幹サポート機構付き長下肢装具
TWM550628U (zh) 下肢復健活化機
KR102681790B1 (ko) 힙라인 강화용 트레드밀 장치
CN221266599U (zh) 神经护理用腿部屈髋自助锻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