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914B1 - Air and fuel mixing device for combustion efficiency - Google Patents
Air and fuel mixing device for combustion efficienc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3914B1 KR101473914B1 KR1020130094325A KR20130094325A KR101473914B1 KR 101473914 B1 KR101473914 B1 KR 101473914B1 KR 1020130094325 A KR1020130094325 A KR 1020130094325A KR 20130094325 A KR20130094325 A KR 20130094325A KR 101473914 B1 KR101473914 B1 KR 1014739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 air
- housing
- regulator
- amou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2 gaso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0 keros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는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와 연료가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공급되도록 한 연소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와 연료의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ing apparatus for mixing air and fu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xing apparatus for mixing air and fuel for improving combustion efficiency such that air and fuel are supplied in a relatively proportional manner.
일반적으로, 식당등에 사용되는 업소용 버너는 단일 또는 다수의 버너와, 이 버너로 공기 및 LPG 또는 LNG와 같은 가스연료를 공급하는 다수의 배관을 포함하여이루어지고, 한 번에 여러 개의 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버너는 공기와 가스연료를 별도로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방식이 있고, 이 방식은 버너에서 연소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연소효율이 낮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혼합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와 가스연료를 강제로 혼합하여 버너로 공급하는 혼합장치가 개발되었다. In general, a business use burner used in a restaurant or the like includes a single or a plurality of burners and a plurality of pipes for supplying air and gas fuel such as LPG or LNG to the burners, It will be possible. Such a burner is a system in which air and gaseous fuel are separately supplied and burned, and this method is incapable of burning in the burner, resulting in low combustion efficiency. To improve this, a mixing device for mixing air and gaseous fuel with a mixing device and supplying the mixture to a burner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종래의 혼합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91563(발명의 명칭:음식점용 가스렌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조절레버(10), 에어공급관(11)을 개폐하기 위한 에어조절구(12)가 형성되면서 조절레버(1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작동유닛(13), 작동유닛(13)의 일측 단부에 장착된 편심작동체(14), 작동유닛(13)에 의한 편심작동체(14)의 회전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가스노즐(15)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이동체(16) 및, 개방된 가스노즐(15)에서 유입된 가스가 에어조절구(12)를 통과하여 가스에어관(17)으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기 위해 가스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가스공급공(18)을 포함하여 이루어졌다. 이때, 가스탱크로부터 가스노즐(15)까지 가스가 공급되어야 하고, 이 상태에서 편심작동체(14)의 회전 및 이동체(16)의 상,하 이동을 통해 가스가 공급되었다. As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mixing apparatu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691563 (entitled "Gas Stove for Restaurants") is disclosed. 1 and 2, a
하지만, 작동유닛(13)의 동작시 에어조절구(12)가 처음 열리는 시작 각도부터 완전 열리는 각도까지의 공급되는 공기량과, 편심작동체(14)의 회전으로 설치된 이동체(16)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적의 비율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최대로 열린 시점의 공기량과 가스량의 비율이 최적의 비율일 경우, 처음과 중간 단계 이전은 가스가 과잉 공급되어 버너에서 화염의 불완전 연소로 유해가스와 검댕이 다량 발생하여 사용자의 건강이 나빠지고, 플레어 현상으로 주변 온도를 상승시켜 주방의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반대로 처음과 중간 과정까지 공기비율을 최적화하면, 중간 이후에 화염의 리프팅 현상으로 화염이 소화되어 사용 자체를 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였다. 즉, 가스공급공(18)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의 양은 항상 일정하지만, 작동유닛(13)의 회전각도에 따라 에어조절구(12)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양은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가스와 공기의 혼합비율이 작동유닛(13)의 회전각도에 따라 달라져 궁극적으로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졌다. However, in the operation of the
또한, 가스공급공(18)의 직경이 작고,가스 유입단부와 가스 배출단부의 가스 압력이 동일하기 때문에 가스에어관(17)으로 분출되는 가스의 압력이 강하여 낮은 압력으로 유동하는 공기와 고압으로 유동하는 가스의 혼합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the diameter of the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혼합관에 공급된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가스의 공급량이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연소장치에서의 연소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연소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와 연료의 혼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which air is supplied for improv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so as to improve the combustion efficiency in the combustion apparatus by allowing the supply amount of the gas to be varied in proportion to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mixing tube And a fuel mixing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와연료의 혼합장치는, 하우징,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하우징에 내장된 공기조절부 및, 연료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하우징에 내장된 연료조절부를 구비하는 혼합장치에 있어서, 연료조절부는 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연료의 유동경로에 형성된 다수의 연료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 연료조절구는 연료조절체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를 토출하기 위해 연료조절체에 형성되고, 공기조절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양에 비해 연료를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공급하도록 연료조절체의 회전에 의해 개방 면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mixing air and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n air regulator incorporated in the housing to control the flow of air, and a fuel regulator incorporated in the housing to control the flow of fuel In the mixing apparatus, the fuel regulating sec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uel regulating openings formed in the flow path of the fuel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fuel to be supplied, And the open area is varied by rotation of the fuel regulator so as to supply the fuel relatively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regulator.
여기서, 연료조절구는 연료조절체의 내부측 직경보다 외부측 직경이 더 크고, 이 직경의 차이에 의해 연료조절구을 통해 토출되는 연료의 유동압 및 속도가 와류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fuel control valve has a larger outside diameter than the inside diameter of the fuel control valve, and the flow pressure and the velocity of the fuel discharged through the fuel control valve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are reduced by the vortex.
또한, 연료조절부는 연료조절구을 통해 배출된 연료가 통과하도록 하우징에 형성되고, 연료조절체의 회전각도에 따라 연료조절구와 점진적으로 개방되는 연료공급구; 및 연료유입부에서 유입된 연료가 항상 일정한 유량을 연료조절체(430)로 공급되도록 하우징에 형성된 연료유입부에 장착된 오리피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연료조절체는 연료유입부측으로 외경이 감소하는 절두체형상이고, 절두체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된 하우징의 내면과 밀착되며, 연료조절체의 외면과 하우징의 내면에는 연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유가 도포되어 유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fuel regul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housing to allow the fuel discharged through the fuel regulating portion to pass therethrough, and is gradually opened with the fuel regul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fuel regulating portion; And an orifice mounted on a fuel inlet formed in the housing such that the fuel introduced from the fuel inlet always supplies a constant flow rate to the
또한, 공기조절부는 공기의 유동량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공기조절홀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며, 공기조절홀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간격을 통해 공기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우징에 회전하도록 내장된 공기조절체를 포함하고,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part is formed with an air conditioning hole so as to be positioned on a flow path of the air to control the flow amount of the air, a gap is formed between the air conditioning par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air adjusting body built in the housing so as to rotate so as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through the gap,
연료조절구와 연료공급구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의 양은 공기조절홀과, 공기조절체 및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통해 공급된 공기의 합한 양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비례하도록 공급되고, 공기조절체는 공기조절체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에 장착되도록 일측부에 돌출 형성된 제1체결부(331); 제1체결부의 타측부위에 형성되어 연료조절체의 일측부위에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공기조절체와 연료조절체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공기조절체와 연료조절체의 회전각도에 따라 공기조절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량과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연료조절체의 연료조절구 및 연료공급구를 통과하는 연료의 유동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mount of fuel supplied through the fuel regulator and the fuel feed port is supplied in proportion to the total amount of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regulating hole and the space between the air regulator and the housing, A first fastening
그리고, 공기조절부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혼합관; 제1혼합관의 선단부에 장착된 제2혼합관; 및 일단부가 제1혼합관에 장착되면서 연료공급구와 통하면서 결합부위가 밀폐되어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1혼합관과 제2혼합관의 결합부위를 지나 제2혼합관에 위치하는 연료공급관;을 구비한 혼합연료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rst mixing pipe through which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conditioning unit flows; A second mixing tube mounted at a distal end of the first mixing tube; And a fuel supply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uel supply port while being closed and fixed at a joint portion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a joint portion between the first mixing pipe and the second mixing pipe and positioned in the second mixing pipe; And a mixed-fuel generating unit having the mixed fuel generating unit.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의 회전으로 공기조절체 및 연료조절체가 함께 회전하면서 공기 및 연료가 공급되고, 공기와 연료가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공급됨으로써,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공기와 연료가 최적의 혼합비율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연료공급량의 관점에서 보면, 연료조절체와 연료안내관 사이에 직경이 다른 다수의 연료조절공이 형성되고, 이 연료조절공의 개방정도가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연료조절체에서 점진적으로 개방됨으로써,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연료조절체에서 제2혼합관으로 분출되는 연료의 양이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공급되고, 따라서 연소장치에서의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혼합비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and fuel are supplied while the air conditioner and the fuel conditioner rotate together by rotation of the handle, and air and fuel are supplied in a relatively proportional mann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uel is supplied at an optimum mixing ratio. In view of the fuel supply amount, a plurality of fuel control ho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formed between the fuel control member and the fuel guide pipe,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fuel control hole is gradually opened in the fuel control member by rotation of the handle, The amount of the fuel injected from the fuel adjusting body to the second mixing tube is suppli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he air suppli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so that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combustion apparatus can be maximized, .
또한, 연료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연료가 오리피스를 통해 연료조절체에 유입됨으로써, 항상 일정한 연료가 연료조절체로 유입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fuel supplied through the fuel inlet flows into the fuel control body through the orifice, so that the constant fuel always flows into the fuel control body.
또한, 연료조절체를 통과한 연료가 와류에 의해 유동압 및 유동속도가 감소된 후 제2혼합관에 분출되어 제2혼합관에서의 공기와 연료의 혼합이 원활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fuel passing through the fuel control member is jetted to the second mixing pipe after the flow pressure and the flow velocity are reduced by the vortex, so that the mixing of air and fuel in the second mixing pipe is smoothly performed.
또한, 제2혼합관에서는 연료가 연료공급관을 통해 공기의 유동방향과 동일하게 분출되어 공기와 혼합됨으로써, 공기의 유동흐름 및 유동압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혼합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mixing tube, the fuel is inj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uel supply pipe and mixed with the air, thereby mixing the air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flow and pressure of the air.
또한, 연료공급관에 의해 연료가 제1혼합관과 제2혼합관의 결합부위를 지나서 분출되어 제2혼합관에서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혼합연료가 연소장치로 원활히 유동하고, 만일 제1혼합관과 제2혼합관의 결합부위에서의 누출이 발생할 경우 혼합연료가 아닌 공기가 누출되도록 하여 화재등과 같은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uel is injected by the fuel supply pipe through the joint portion of the first mixing pipe and the second mixing pipe to mix the air and the fuel in the second mixing pipe, the mixed fuel smoothly flows into the combustion device, In case leakage occurs at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mixing pipe and the second mixing pipe, air is leaked rather than the mixed fuel, so that it is effective for the case such as fire.
그리고, 공기조절체가 하우징의 내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내장되고, 이 간격을 통해 공기유입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항상 일정량의 공기가 공기유입부에서 혼합관으로 유동도록 함으로써, 제1,2혼합관을 통한 공기 또는 연료의 역류 현상이나, 연소장치측에서 화염이 역화(逆火)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air regulating member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air inflow is closed through this gap, a certain amount of air always flows from the air inflow portion to the mixing pip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backflow of air or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or preventing the flame backfire on the combustion chamber side,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fire or explosion.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가스버너의 연료혼합장치에서 주요부위 및 작동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른 연소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와 연료의 혼합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혼합장치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커버 및 과회전방지부재가 분리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5에 도시된 공기조절체가 도시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연료조절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절체와 연료조절체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하우징이 도시된 단면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Fig. 1 and Fig. 2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and operation relationship in a fuel mix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gas burner.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fuel mixing apparatus for improving combustion efficienc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Figure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the mixing apparatu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 side view of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cover and the anti-rotation member shown in Fig. 5 are separated.
8A and 8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el regulator shown in Fig.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fuel conditioner shown in FIG.
1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성><Configur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른 연소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와 연료의 혼합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혼합장치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커버 및 과회전방지부재가 분리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5에 도시된 공기조절체가 도시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연료조절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절체와 연료조절체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5의 하우징이 도시된 단면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fuel mixing apparatus for improving combustion efficienc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FIG. 3, and FIG. 5 is a cross- 6 is a side view of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cover and the anti-rotation member shown in Fig. 5 are separated, Figs. 8A and 8B are cross-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el regulator shown in Fig. 5, Fig.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regulator and the fuel regulator shown in Fig. 5,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연소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와 연료의 혼합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혼합유량조절부(200), 공기조절부(300), 연료조절부(400) 및,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는 혼합연료 생성부(5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3 to 6, the apparatus for mixing air and fuel for improv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하우징(100)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일측부위에 공기와 연료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혼합유량조절부(200)가 장착되고, 공기조절부(300) 및 연료조절부(400)가 내장되며, 상부에 공기조절부(300)를 통과한 공기와 연료조절부(400)를 통과한 연료가 유입되어 혼합되는 혼합연료 생성부(500)가 장착된다. 3 and 4, the
혼합유량조절부(200)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하우징(100)의 일측에 장착된 커버(210), 커버(210)를 관통하여 일단부에 공기조절부(300)의 공기조절체(330)를 회전시키도록 장착된 샤프트(220) 및, 샤프트(220)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공기조절체(330)와 연료조절부(400)의 연료조절체(430)를 회전시키는 손잡이(2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손잡이(230)를 회전시키면 샤프트(220)를 통해 연료조절체(430)가 회전하고, 연료조절체(430)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연료조절체(430)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4 to 6, the mixed
또한, 커버(210)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샤프트(220)와 평행하는 내면이면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스토퍼(211)가 돌출 형성되고, 샤프트(220)가 관통하여 함께 회전하는 회전각도조절판(212)이 내장된다. 이 회전각도조절판(212)의 변두리에서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부(2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230)가 회전하면 샤프트(220)와 함께 회전각도조절판(212)이 회전하고, 돌출부(213)가 스토퍼(211)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들 돌출부(213)와 스토퍼(211)의 접촉하면 더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해지므로 이를 통해 손잡이(2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커버(210)에는 회전각도조절판(212) 및 공기조절체(330)의 제1체결부(331,도 8a 참조) 사이에 탄성체(214)가 장착된다. 이 탄성체(214)는 공기조절체(330) 및 연료조절체(430)를 탄성력으로 밀고, 이는 궁극적으로 연료조절체(430)의 외면과 하우징(100)의 내면이 견고히 밀착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6 and 7, the
공기조절부(300)는 도 5, 도 6,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공기유입부(310), 공기배출구(320) 및 공기조절체(3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The
먼저, 공기유입부(310)는 외부공기가 공기조절체(330)로 유입되도록 하우징(100)의 일부위에 형성된다. First, the
또한, 공기배출구(320)는 공기유입부(310)에서 유입된 외부공기가 공기조절체(330)를 통과하여 혼합연료 생성부(500)의 제1혼합관(510)으로 공급되도록 하우징(100)에 형성된다. The
그리고, 공기조절체(330)는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대략 원기둥형상이고, 일측부에 샤프트(220)와 결합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1체결부(331)와, 타측부에 연료조절체(430)와 결합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2체결부(332) 및, 공기유입부(310)에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공기조절홀(333)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기조절체(330)는 하우징(100)의 내면과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크기로 제작되어 배치된다. 이로 인해, 공기조절체(330)는 손잡이(230) 및 샤프트(220)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조절홀(333)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완전 차단된 경우에도 외부공기는 공기유입부(310)에서 유입되어 공기조절체(330)와 하우징(100) 간의 간격이 형성하는 공간을 통해 공기배출구(320)를 지나 제1혼합관(510)으로 유동하도록 이루어진다. 8A and 8B,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와 연료의 혼합장치가 휴지(休止)인 상태 즉, 공기조절홀(333)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차단되고, 연료조절체(430)를 통과하는 연료의 유동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일정량의 외부공기가 항상 공기조절체(330)의 외면과 하우징(10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통해 제1혼합관(510)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공기조절체(330)는 제1체결부(331)가 하우징(100)에 고정됨으로써, 공기조절체(330)와 하우징(100) 사이의 간격이 보장된다. 이로써, 연료의 유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연료가 새어 나가 제2혼합관(530) 및 제1혼합관(510)을 통해 공기조절부(300)로 역류되거나 제2혼합관(530) 및 제1혼합관(510)을 통해 화염이 역류하는 등에 의해 화재 또는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된다. Accordingly, when the air-fuel mix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rest state, that is, when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air-adjusting
연료조절부(400)는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유입부(410), 오리피스(420), 연료조절체(430) 및 연료조절부재(4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료는 LNG 또는 LPG와 같은가스(gas)인 기체이거나 휘발유 또는 등유 등의 석유 계열의 액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와 연료의 혼합장치는 연료가 기체인 경우 버너(burner)에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액체인 경우 노즐로 액체 연료를 분무하여 제1혼합관(510)으로 공급하는 구조의 연료공급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먼저, 연료유입부(410)는 연료가 오리피스(420)로 유입되도록 하우징(100)에 형성된다. First, the
또한, 오리피스(420)는 연료의 통과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부재로, 연료유입부(410)에서 유입된 연료를 통과시켜 연료조절체(430)로 유동하도록 연료유입부(410)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 오리피스(420)의 몸체는 연료유입부(410)에서 유입된 연료의 유동방향으로 연료유입부(410)에 장착된다.The
또한, 연료수용공간(490)은 오리피스(420)를 통과한 연료가 일시 머무르는 공간으로, 오리피스(420)를 통과하는 연료의 유동방향과 연료조절체(430)로 유입되는 연료의 유동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유동방향의 전환이 원활히 유도하기 위해 형성된다. The fuel accommodating space 490 is a space in which the fue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그리고, 연료조절체(430)는 오리피스(420)에서 유입된 연료를 수용하였다가 연료조절구(431)를 통해 연료공급구(440)로 배출하는 부재이다. 이 연료조절체(430)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외경이 연료수용공간(490)측으로 점차 감소하는 절두체(截頭體)형상이고, 연료수용공간(490)측 일면이 개방되며, 오리피스(420) 및 연료수용공간(490)을 지나 유입되어 내부에 수용된 연료를 배출하도록 연료조절구(431)가 형성된다. The
또한, 연료조절체(430)의 경사진 외면과 하우징(100)의 내면이 연접하게 배치되고, 커버(210)에 내장된 탄성체(214)의 탄성력에 의해 견고히 밀착된다. 그리고, 연료조절체(430)의 외면과 하우징(100)의 내면 사이에는 윤활유가 도포되고, 이 윤활유로 형성된 유막에 의해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연료조절체(430)의 외면과 하우징(100)의 내면 사이를 통한 연료의 유출이 완벽하게 차단된다. The inclined outer surface of the
또한, 연료조절체(430)의 공기조절체(330)측 일단부에는 공기조절체(330)의 제2체결부(332)가 끼워지도록 결합부(432)가 형성된다. 물론, 제2체결부(332)와 결합부(432)의 결합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제시하였지만, 공기조절체(330)의 회전을 따라 연료조절체(430)가 회전하고, 탄성체(214)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00)에 밀착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별도의 부재를 이용한 체결, 고정등의 통상적인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An engaging
그리고, 연료조절구(431)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연료조절체(430)의 내부에 일시 수용된 연료를 배출하면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료조절체(430)에 다수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 연료조절구(431)은 연료조절체(430)의 외표면 부위의 직경이 연료조절체(430)의 내부측 부위의 직경보다 넓도록 단차가 형성된 형상이다. 이러한 직경의 차이로 인해 와류에 의해 배출되는 연료의 유동압력 및 유동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9 and 10, the
또한, 연료조절구(431)는 일 예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직경 역시 모두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이 외에도 연료조절구(431)은 하나 이상의 직선형태, 원형, 유선형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웃한 연료조절공(441)들이 지그재그형태 또는 동축선상에 위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은 연료조절체(430)가 회전하면서 연료공급관(520)과 통하는 연료공급구(440)에 처음으로 개방되는 부위이고, '하측'은 연료공급구(440)에 마지막으로 개방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최상측 연료조절구(431)는 연료공급관(520)과 처음으로 개방되고, 최하측 연료조절구(431)는 연료공급관(520)과 마직막으로 개방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연료조절구(431)들 상호 간의 직경은 연료공급구(440)와 최초로 개방되는 부위에서 최후로 개방되는 부위로 각 연료조절구(431)의 직경이 점차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구(440)와 최초 개방되는 부위의 다수의 연료조절구(431)의 직경이 동일하고, 최후 개방되는 부위의 다수의 연료조절구(431)의 직경은 상이하여 점차 직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e diameters of the
따라서, 연료조절구(431)는 연료조절체(430)가 회전하면서 연료공급구(440)와 점진적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연료조절구(431)의 개수, 직경 및 개방 면적에 따라 연료공급관(520)으로 유동하는 연료의 양이 가변된다. 또한, 공기조절체(330)와 연료조절체(430)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이때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량과 연료의 유동량은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혼합비율이 가능하도록 공급된다. The
그러므로, 공기조절체(330)가 회전하면서 공기조절홀(333)에 의해 제1혼합관(510)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에 따라, 공기조절체(330)와 연동하여 연료조절체(430)가 회전하면서 연료조절구(431) 및 연료공급구(440)를 통해 제2혼합관(530)으로 유동하는 연료의 양이 가변된다. 물론, 가변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가변되는 연료의 양은 항상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적의 혼합비율을 이룬다. 또한, 연료조절구(441)의 직경은 제1혼합관(510)에 공급된 공기의 유동량을 감안하여 최적의 비율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정해지고, 물론 공기조절홀(333)을 통과한 공기의 양과, 공기조절체(330)의 외면과 하우징(10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감안하여 정해진다. Therefore,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air flowing into the
또한, 연료공급구(440)는 연료조절체(430)의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연료조절구(431)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를 연료공급관(520)으로 안내하도록 하우징(100)에 형성된다. 이 연료공급구(440)는 하나의 통로 형상으로, 이미 연료조절구(431)를 통해 공급량이 정해진 연료를 연료공급관(520)으로 안내한다. The
혼합연료생성부(500)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혼합관(510), 제2혼합관(530) 및 연료공급관(52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The mixed
먼저, 제1혼합관(510)은 공기조절체(33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배출구(320)가 형성된 하우징(100)에 일단부가 장착된다. First, the
또한, 제2혼합관(530)은 제1혼합관(510)의 선단부에 장착되고, 연료공급관(520)에서 분출된 연료와 제1혼합관(510)을 통해 유동한 공기가 만나서 혼합된다. 이때, 연료와 공기는 제1혼합관(510)과 제2혼합관(530)의 결합부위를 지난 위치에서 혼합된다. 이는, 혼합연료가 제2혼합관(530)을 통해 연소장치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혼합관(510)과 제2혼합관(530)의 결합부위 이전에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경우 결합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합연료의 누출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1혼합관(510)과 제2혼합관(530)의 결합부위에서는 공기만 유동하기 때문에 이 결합부위에서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단지 공기만 누출되기 때문에 안전하다. The
그리고, 연료공급관(520)은 연료조절체(430)를 통해 공급되어 연료조절공(441)을 통과한 연료를 제2혼합관(530)에 유입시키기 위해 연료공급구(440)이 구역 내에 위치하도록 일단부가 제1혼합관(510)에 장착된다. 또한, 이 연료공급관(520)은 제1혼합관(5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제1혼합관(510)과 제2혼합관(530)의 결합부위를 지나서 위치하여 제2혼합관(530) 내의 공기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료를 분출하도록 장착된다.
The
<작동><Operation>
기본적으로, 커버(210)에 내장된 탄성체(214)에 의해 공기조절체(330) 및 연료조절체(430)가 탄성력이 반발하는 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밀린 상태가 되고, 이를 통해 연료조절체(430)의 외면과 하우징(100)의 내면이 견고히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공기조절체(330)는 하우징(100)의 내면과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기 때문에 연료조절부(40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이 간격에 의한 공간을 통해 공기유입부(310)의 공기가 제1혼합관(510)으로 항상 유동한다. 그리고, 연료유입부(410) 및 오리피스(420)를 통해 일정한 양의 연료가 연료조절체(4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연료조절구(431)가 폐쇄된 상태로 대기한다. 물론,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는 각도로 공기조절홀(333)이 배치된 상태이다.Basically, the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손잡이(230)를 회전시키면 샤프트(220), 공기조절체(330) 및 연료조절체(430)가 회전한다. 이때, 커버(210)의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211)와 회전각도조절판(212)의 간섭에 의해 회전각도는 제한된다. 그리고, 공기조절체(330)의 공기조절홀(333)이 점차 개방되면서 공기가 제1혼합관(510)으로 공급된다. 또한, 연료조절체(430)의 연료조절구(431)가 회전하여 연료공급구(440)와 점진적으로 통하여 연료가 연료공급관(520)으로 유입된 후 제2혼합관(520)에서 분출되어 공기와 혼합된다. 여기서, 연료조절체(4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연료공급구(440)와 통하는 연료조절구(431)의 개방 개수 및 개방 면적이 가변되고, 이에 따라 연료공급관(520)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양이 달라진다. 즉, 연료조절체(4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연료조절구(431)와 연료공급구(440)의 개방 정도에 따라 연료의 공급량이 가변된다. 또한, 연료조절구(441)에서 배출된 연료는 연료조절구(441)의 외표면과 내부측의 직경 차이에 의한 와류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의 유동압력 및 유동속도가 감소된다. 이때, 연료조절체(430)와 공기조절체(330)는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공기조절체(330)의 회전에 의한 공기의 공급량에 따라 연료조절체(430)의 회전에 의한 연료의 공급량이 가변되고, 이들 공기와 연료의 공급량 및 혼합비율은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인 상태로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이후, 공기조절체(330)에서 제1혼합관(510)으로 공급된 공기와, 연료조절체(430)에서 공급되어 연료조절구(441) 및 연료공급관(520)을 통해 제2혼합관(530)으로 공급된 연료가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호 혼합된다. 이때, 공기의 유동압 또는 유동속도는 연료의 유동압 또는 유동속도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고, 이는 공기와 연료의 혼합을 보다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Thereafter, the air supplied to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하우징
200:혼합유량조절부
210:커버
211:스토퍼
212:회전각도조절판
213:돌출부
214:탄성체
220:샤프트
230:손잡이
300:공기조절부
310:공기유입부
320:공기배출구
330:공기조절체
331:제1체결부
332:제2체결부
333:공기조절홀
400:연료조절부
410:연료유입부
420:오리피스
430:연료조절체
431:연료조절구
432:결합부
440:연료공급구
450:연료수용공간
500:혼합연료 생성부
510:제1혼합관
520:연료공급관
530:제2혼합관.100: Housing
200: mixed flow rate regulator
210: cover
211: Stopper
212: rotation angle control plate
213:
214: elastomer
220: Shaft
230: Handle
300: air conditioning unit
310: air inlet
320: air outlet
330: air conditioner
331:
332: second fastening portion
333: Air conditioning hole
400: fuel control unit
410: fuel inlet
420: Orifice
430: Fuel regulator
431: Fuel Regulator
432:
440: fuel supply port
450: fuel receiving space
500: mixed fuel generating portion
510: first mixing tube
520: fuel supply pipe
530: second mixing tube.
Claims (5)
상기 연료조절부(400)는 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연료의 유동경로에 형성된 다수의 연료조절구(4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료조절구(431)는 연료조절체(430)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를 토출하기 위해 상기 연료조절체(430)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조절부(30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양에 비해 연료를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연료조절체(430)의 회전에 의해 개방 면적이 가변되고, 상기 연료조절구(431)는 상기 연료조절체(430)의 내부측 직경보다 외부측 직경이 더 크고, 상기 직경의 차이에 의해 상기 연료조절구(431)을 통해 토출되는 연료의 유동압 및 속도가 와류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와 연료의 혼합장치.
A housing 100, an air conditioning unit 300 incorporated in the housing 100 to control the flow of air, and a fuel control unit 400 embedded in the housing 100 to control the flow of fuel In the mixing apparatus,
The fuel regulator 400 includes a plurality of fuel regulators 431 formed in the flow path of the fuel to regulate the amount of fuel to be supplied,
The fuel regulator 431 is formed in the fuel regulator 430 to discharge the fuel introduced into the fuel regulator 430 and is configured to regulate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regulator 300 The opening area of the fuel adjusting member 431 is 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fuel adjusting member 430 so as to supply the fuel in a relatively proportional manner and the fuel adjusting member 431 has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uel adjusting member 430 And the flow pressure and the velocity of the fuel discharged through the fuel control valve (431) are reduced by the vortex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iameters.
상기 연료조절부(400)는
상기 연료조절구(431)을 통해 배출된 연료가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조절체(43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연료조절구(431)와 점진적으로 개방되는 연료공급구(440); 및
연료유입부(410)에서 유입된 연료가 항상 일정한 유량을 상기 연료조절체(430)로 유입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상기 연료유입부(410)에 장착된 오리피스(4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료조절체(430)는 연료유입부(410)측으로 외경이 감소하는 절두체형상이고, 절두체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된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과 밀착되며, 상기 연료조절체(430)의 외면과 하우징(100)의 내면에는 연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유가 도포되어 유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와 연료의 혼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uel regulator (400)
The fuel control valve 431 is formed in the housing 100 so as to allow fuel discharged through the fuel control valve 431 to pass therethrough, 440; And
And an orifice 420 mounted on the fuel inlet 410 formed in the housing 100 so that the fuel introduced from the fuel inlet 410 always flows a constant flow rate into the fuel regulator 430 Lt; / RTI >
The fuel adjusting body 430 is in the shape of a frustum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fuel inlet 41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rustum shape, Wherein an oil film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by applying lubricant to prevent fuel from leaking out.
상기 공기조절부(300)는 공기의 유동량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공기조절홀(333)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조절홀(333)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간격을 통해 공기유입부(310)에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하도록 내장된 공기조절체(330)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조절구(431)와 연료공급구(440)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의 양은 상기 공기조절홀(333)과, 상기 공기조절체(330) 및 하우징(100) 사이의 간격을 통해 공급된 공기의 합한 양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비례하도록 공급되고,
상기 공기조절체(330)는 상기 공기조절체(330)와 하우징(10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도록 일측부에 돌출 형성된 제1체결부(331);
상기 제1체결부(331)의 타측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연료조절체(430)의 일측부위에 형성된 결합부(432)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3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조절체(330)와 상기 연료조절체(430)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기조절체(330)와 상기 연료조절체(43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공기조절체(3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량과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상기 연료조절체(430)의 연료조절구(431) 및 연료공급구(440)를 통과하는 연료의 유동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와 연료의 혼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conditioning part 300 is formed with an air adjusting hole 333 so as to be positioned on a flow path of the air for controlling the flow amount of air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air adjusting part 3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e air conditioner 330 installed to rotate in the housing 100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310 through the gap even whe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adjusting hole 333 is blocked, Including,
The amount of fuel supplied through the fuel control port 431 and the fuel supply port 440 is controlled by the amount of fuel suppli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air control hole 333 and the air conditioner 330 and the housing 100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amount of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The air conditioner 330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33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100 so as to be mounted on the housing 100 to mainta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air conditioner 330 and the housing 100;
And a second coupling part 33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part 331 and coupled with a coupling part 432 formed on one side of the fuel control body 430,
The air conditioner 330 and the fuel conditioner 430 are install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air conditioner 330 and the air conditioner 330 are installed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air conditioner 330 and the fuel conditioner 430, The amount of fuel flowing through the fuel regulator 431 and the fuel supply port 440 of the fuel regulator 430 varie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fuel regulator 430. [ Air and fuel mixing device.
상기 공기조절부(300)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혼합관(510);
상기 제1혼합관(510)의 선단부에 장착된 제2혼합관(530); 및
일단부가 상기 제1혼합관(510)에 장착되면서 상기 연료공급구(440)와 통하면서 결합부위가 밀폐되어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혼합관(510)과 제2혼합관(530)의 결합부위를 지나 상기 제2혼합관(530)에 위치하는 연료공급관(520);을 구비한 혼합연료생성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와 연료의 혼합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mixing pipe 510 into which air supplied from the air conditioning unit 300 flows;
A second mixing pipe 530 installed at the tip of the first mixing pipe 510; A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mixing pipe 510 and the second mixing pipe 530. The first mixing pipe 510 is connected to the fuel supply port 440, And a fuel supply pipe (520) located in the second mixing pipe (530) through a joining portion of the air and the fuel for improv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Mix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4325A KR101473914B1 (en) | 2013-08-08 | 2013-08-08 | Air and fuel mixing device for combustion efficienc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4325A KR101473914B1 (en) | 2013-08-08 | 2013-08-08 | Air and fuel mixing device for combustion efficienc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3914B1 true KR101473914B1 (en) | 2014-12-18 |
Family
ID=5267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4325A Active KR101473914B1 (en) | 2013-08-08 | 2013-08-08 | Air and fuel mixing device for combustion efficienc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391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2455B1 (en) | 2007-03-16 | 2008-02-13 | 장기풍 | Air Mixer of Gas Burner |
-
2013
- 2013-08-08 KR KR1020130094325A patent/KR1014739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2455B1 (en) | 2007-03-16 | 2008-02-13 | 장기풍 | Air Mixer of Gas Bur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88976B2 (en) | High pressure combustor with hot surface ignition | |
US8511091B2 (en) | Swirler for a fuel injector | |
KR100802455B1 (en) | Air Mixer of Gas Burner | |
CN102635860A (en) |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bustor | |
GB2448460A (en) | Duel fuel gas-liquid burner | |
CN104114945A (en) | Dual venturi for combustion apparatus | |
KR102236267B1 (en) | Industrial Aombustor | |
JP5470871B2 (en) | Burner | |
KR101473914B1 (en) | Air and fuel mixing device for combustion efficiency | |
CA2956488C (en) | Turn down ratio (tdr) damper | |
KR101473915B1 (en) | Air and fuel mixing device for combustion efficiency | |
KR101681453B1 (en) | Check valve with a vortex generator | |
CN102679359A (en) |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combustor | |
CN102635861A (en) |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bustor | |
US10845050B2 (en) | Premixing device and combustion device | |
KR200209805Y1 (en) | Steam & Fuel Mix Gun Type Burner | |
KR101141705B1 (en) | Pre-mixed torch igniter for a combustor | |
EP2653759B1 (en) | Fuel valve | |
RU223874U1 (en) | Gas-oil burner for burning liquid and gaseous fuels in a closed annular flame | |
US20240151394A1 (en) | Mixing device for a gas heater | |
KR101601029B1 (en) | Air and fuel mixing apparatus | |
KR101337468B1 (en) | Gas mixer | |
KR20230058897A (en) | A cup burner implement air premixing | |
JP4480440B2 (en) | Combustion device and gas turbine engine | |
JP2015096780A (en) | Gas-firing bur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J0206 |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4121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180417 Request date: 20171031 Appeal identifier: 2017100003418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341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1031 Effective date: 20180417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18041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171031 Decision date: 20180417 Appeal identifier: 2017100003418 |
|
PJ2001 | Appeal |
Patent event date: 2018041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2I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Decision date: 20190830 Appeal identifier: 2018200004249 Request date: 201805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J2002 |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180417 Patent event code: PJ20021S02I Request date: 20190924 Appeal identifier: 2019300011480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Decision date: 2020010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4249;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80516 Effective date: 20190830 |
|
J303 |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300011480;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0924 Effective date: 20200109 |
|
PJ1302 | Judgment (patent court) |
Patent event date: 20200204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80516 Decision date: 20190830 Appeal identifier: 2018200004249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
|
PJ1303 | Judgment (supreme court) |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200204 Patent event code: PJ13031S01D Decision date: 20200109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190924 Appeal identifier: 2019300011480 |
|
PJ2201 |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
Patent event code: PJ22012S01I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200204 Request date: 20200204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Appeal identifier: 2020130000037 Decision date: 20200506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3000003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204 Effective date: 20200506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9D Patent event date: 2020050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200204 Decision date: 20200506 Appeal identifier: 202013000003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