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835B1 -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보호 캡 - Google Patents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보호 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3835B1 KR101473835B1 KR20130164126A KR20130164126A KR101473835B1 KR 101473835 B1 KR101473835 B1 KR 101473835B1 KR 20130164126 A KR20130164126 A KR 20130164126A KR 20130164126 A KR20130164126 A KR 20130164126A KR 101473835 B1 KR101473835 B1 KR 1014738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ling abutment
- identification mark
- protective cap
- abutment
- fitting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픽스처에 끼워지는 다각형의 끼움돌기를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끼움돌기와 정렬된 절개면을 구비하며, 수직방향으로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구비하는 힐링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보호 캡에 있어서,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에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을 밀폐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면의 방향성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포함하는 보호 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치료 과정에서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되는 보호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구강 환경을 3 차원 촬영할 때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소화가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만일 이러한 치아가 소실되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고 소화가 잘 안되므로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양분의 원활한 섭취도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치아는 예로부터 신체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의 치아는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환된 이후에는 치아를 상실하게 될 경우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으므로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통해 상실된 치아나 그 주위조직을 수복하여 저작기능 등을 회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일반적 치과치료방법은 인접해 있는 치아나 주위 잇몸 및 뼈조직에 어느 정도의 손상을 가져오므로 이를 감수하지 않을 수 없고, 틀니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자연치아에 비해 저작 능력의 감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불편감이나 이물감 등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보편적인 보철치료방법의 단점을 보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인공치아 이식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치아 결손시 주위의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거의 자연치아와 동일한 모든 기능과 외모를 회복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골유착 매식으로 인공치아가 마련되게 해줌으로써 자연치아의 인공 대체물로서의 역할을 하게 해준다.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치근에 해당하는 픽스처(fixture), 지대주에 해당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인공치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픽스처는 자연치아의 치근과 같이 결손된 치아부위의 치조골 속에 심어져 인공치아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체이다. 어버트먼트는 지대치라고도 하며 잇몸에 심어져서 치조골에 심겨져 있는 픽스처와 인공치아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인공치아는 어버트먼트에 의해 구강내에 고정되어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재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상실된 치아를 회복하고자 할 때의 이식과정은 하기와 같다.
이식과정은 크게 외과적 술식 즉, 수술방식과 보철적 수복으로 구분되며, 수술에 앞서 적합성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혈액 검사 등의 기본적인 검사를 시행하고, 이식할 부위를 선정하여 그 부위의 골조직 질과 양을 평가하기 위해 구강검사 및 방사선 사진검사 등을 선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검사가 완료되면 외과적 술식에 들어가는데 이를 1차 수술이라 하며, 먼저 마취 하에 치근에 해당하는 인공치근을 치조골내에 이식하기 위해 잇몸을 절개하고 치조골 조직을 노출시킨 다음 인공치근을 삽입한 후 잇몸을 일단 봉합한다.
그런데 종래의 임플란트는 주로 원통형 혹은 첨두가 둥근형태의 치근형으로 제작되어 있고 절삭날의 형태나 크기가 임플란트의 직경이나 길이와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로 가공되어 있어 치조골에 식립시 골을 파고 들어갈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여 절삭기구를 이용하여 충분히 먼저 치조골을 확대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따른다. 그 결과 치조골과의 강력한 초기 고정력을 얻기 힘든 경우가 있다.
그리고 나서, 골질에 따라 3 내지 6개월이 경과한 뒤 치은 관통부가 붙어있는 일체형 임플란트의 경우는 바로 인상을 채득해서 가공치를 제작할 수 있지만 분리형의 경우는 2차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봉합했던 잇몸을 재차 절개하고 이미 치조골내에 이식된 픽스처의 상면에 치유 어버트먼트를 얹어놓고 치은이 완전히 치유되면 인상 채득하여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고 가공치를 연결하게 된다.
관련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1218호 (등록일자 2008년 6월 19일) '임플란트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힐링 어버트먼트에 결합되어 음식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고, 별도의 스캔핀을 사용하지 않고 구강 스캐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 캡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하부에 픽스처에 끼워지는 다각형의 끼움돌기를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끼움돌기와 정렬된 절개면을 구비하며, 수직방향으로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구비하는 힐링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보호 캡에 있어서,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에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을 밀폐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면의 방향성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포함하는 보호 캡을 제공한다.
상기 식별표지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의 절개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는 상부면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평탄한 상부면에 상기 식별표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식별표지는 표면이 무광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표지는 무광도료로 도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표지는 표면에 미세요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표지는 상기 몸체의 평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내면에 힐링 어버트먼트는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홈에 삽입되는 끼움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캡은 힐링 어버트먼트에 끼움결합되어 힐링 어버트먼트의 상부면을 밀폐함으로써 체결공에 음식물이 끼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캡은 힐링 어버트먼트의 절개면의 방향성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구비하여, 힐링 어버트먼트를 분리하고 별도의 스캔핀을 체결하지 않고 힐링 어버트먼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구강 스캐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나아가 상기 식별표지는 촬영되는 영상이 빛의 반사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무광택으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구강 환경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캡이 체결되는 대상물인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이 힐링 어버트먼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이 힐링 어버트먼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보호 캡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캡이 체결되는 대상물인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캡일 결합되는 힐링 어버트먼트(100)는 별도의 스크류(미도시)를 이용하여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미도시)에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100)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의 다각형 홈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의 끼움돌기(112)를 구비하는 체결부(110)와, 상기 체결부(110) 위쪽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몸체(120)와, 상기 하부몸체(120)의 위쪽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몸체(130)와, 상기 상부몸체(130)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절개면(132)과, 상기 절개면(132)을 제외한 상기 상부몸체(1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목홈(134)과, 상기 상부몸체(130)에서 상기 체결부(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140)을 포함한다.
픽스처의 상부에는 다각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는 픽스처에 결합되는 보철물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육각형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나, 육각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각형, 팔각형 또는 D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힐링 어버트먼트(100)의 체결부(110)는 픽스처의 상단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픽스처와 일정한 방향을 가지고 결합할 수 있도록, 다각형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끼움돌기(112)를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대표적으로 끼움돌기(112)가 육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힐링 어버트먼트(100)의 체결부(110)가 픽스처 상단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끼움돌기가 다각형 홈에 끼워져, 힐링 어버트먼트(100)가 방향성을 가지고 픽스처와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 된다.
하부몸체(120)는 치은과 연조직의 회복 형태를 결정하는 부분으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몸체(130)에는 절개면(132)과 오목홈(134)이 구비된다.
절개면(132)은 상부몸체(130)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된다. 즉 두 개의 절개면(132)은 서로 평행한 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절개면(132)은 끼움돌기(112)의 두 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면(132)은 보호 캡과의 결합시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보호 캡은 절개면의 방향성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구비하는데, 보호캡이 힐링 어버트먼트에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결합하게 되므로, 식별표지의 통해서 힐링 어버트먼트의 절개면(132)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보호 캡이 힐링 어버트먼트에 결합된 상태로 구강 스캐닝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도 픽스처의 방향성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개면(132)은 후술하는 보호 캡의 탈부착이 원활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가져온다.
상부몸체(130)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데, 이는 결합되는 보호 캡과의 원활한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부몸체(130)의 테이퍼각은 3~9도 범위인 것인 바람직하다.
테이퍼각이 3도 미만인 경우 보호 캡과의 결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테이퍼각이 9도를 초과하는 경우 보호 캡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부몸체(130)에는 오목홈(134)이 구비되는데, 오목홈(134)은 절개면(132)을 제외한 영역에만 형성된다. 오목홈(134)은 보호 캡과의 결합시 딸깍하는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청각적으로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졌는지를 식별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오목홈(134)은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으로부터 0.25~2.0 mm 낮은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절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결합 또는 분리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하부몸체(120)는 대상치아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높이가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이 힐링 어버트먼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호캡(200)은, 상술한 힐링 어버트먼트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에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에 형성된 절개면의 방향성을 표시하는 식별표지(2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캡(200)의 몸체(210)는 하부가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면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상부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밀폐하게 된다.
힐링 어버트먼트(100)는 환자의 구강내에서 장시간 체류하게 되는데, 체결공이 노출된 상태가 지속되면, 체결공 내부에 음식물이 끼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구강 위생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캡(200)은 힐링 어버트먼트의 체결공을 밀폐하여 체결공에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몸체(210)의 내주면에는 힐링 어버트먼트(100)의 절개면(132)에 대응하는 평평한 결합면(215)이 형성된다. 결합면(215)이 절개면(132)과 면대면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보호캡(200)은 힐링 어버트먼트(100)와 항상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결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캡(200)은 몸체(210)의 내면에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홈(134)에 삽입되는 끼움돌기(250)를 구비한다. 끼움돌기(250)가 오목홈(134)에 결합되어 보호캡(200)이 힐링 어버트먼트(100)에 결합한다. 끼움돌기(250)가 오목홈(134)에 끼워질 때 딸깍하는 클릭음이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끼움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표지(220)가 어버트먼트의 절개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 식별표지(220)가 결합면(215)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식별표지(220)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의 절개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식별표지(220)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촬영시 빛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이 무광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된 빛으로 인하여 식별표지를 부정확하게 식별하거나 식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식별표지(220)는 무광도료로 도색하는 방법이나, 표면에 미세 요철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호캡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는 몸체(210)의 상부면(230)에 식별표지(2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210)의 상부면을 평탄하게 형성하고, 그 부분에 식별표지(240)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 식별표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변측이 어버트먼트의 절개면에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캡은 힐링 어버트먼트에 결합되어, 환자의 구강 위생을 확보하고 또한 구강 스캐닝 데이터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200 : 보호 캡
210 : 몸체
220, 240 : 식별표지
230 : 상부면
210 : 몸체
220, 240 : 식별표지
230 : 상부면
Claims (8)
- 하부에 픽스처에 끼워지는 다각형의 끼움돌기를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끼움돌기와 정렬된 절개면을 구비하며, 수직방향으로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구비하는 힐링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보호 캡에 있어서,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에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을 밀폐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면의 방향성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포함하는 보호 캡.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지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의 절개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면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평탄한 상부면에 상기 식별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지는
표면이 무광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지는
무광도료로 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지는
표면에 미세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지는
상기 몸체의 평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면에 힐링 어버트먼트는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홈에 삽입되는 끼움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64126A KR101473835B1 (ko) | 2013-12-26 | 2013-12-26 |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보호 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64126A KR101473835B1 (ko) | 2013-12-26 | 2013-12-26 |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보호 캡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3835B1 true KR101473835B1 (ko) | 2014-12-17 |
Family
ID=5267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64126A KR101473835B1 (ko) | 2013-12-26 | 2013-12-26 |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보호 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3835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1541B1 (ko) | 2016-07-07 | 2017-05-11 |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 치유 어버트먼트 |
KR101756225B1 (ko) * | 2016-06-02 | 2017-07-12 |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 스캔 어버트먼트 |
CN112370195A (zh) * | 2020-11-23 | 2021-02-19 | 广东安特齿科有限公司 | 愈合基台组件 |
KR102383540B1 (ko) | 2021-06-16 | 2022-04-08 | 고찬중 | 크라운과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 가능한 임플란트용 인서트 유지 보호캡 |
US20220218446A1 (en) * | 2019-05-17 | 2022-07-14 | Megagen Implant Co., Ltd. | Surgical connector for dental fix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06295B1 (en) | 2001-07-13 | 2002-06-18 | Brian A. Mahler | Identification of dental implant components |
US20120295223A1 (en) | 2011-05-16 | 2012-11-22 | Biomet 3I, Llc | Temporary abutment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and provisionalization features |
US20140205969A1 (en) | 2012-11-20 | 2014-07-24 | Gerald M. Marlin | Universal Aligning Adaptor System and Methods |
-
2013
- 2013-12-26 KR KR20130164126A patent/KR1014738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06295B1 (en) | 2001-07-13 | 2002-06-18 | Brian A. Mahler | Identification of dental implant components |
US20120295223A1 (en) | 2011-05-16 | 2012-11-22 | Biomet 3I, Llc | Temporary abutment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and provisionalization features |
US20140205969A1 (en) | 2012-11-20 | 2014-07-24 | Gerald M. Marlin | Universal Aligning Adaptor System and Methods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6225B1 (ko) * | 2016-06-02 | 2017-07-12 |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 스캔 어버트먼트 |
KR101731541B1 (ko) | 2016-07-07 | 2017-05-11 |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 치유 어버트먼트 |
US20220218446A1 (en) * | 2019-05-17 | 2022-07-14 | Megagen Implant Co., Ltd. | Surgical connector for dental fixture |
CN112370195A (zh) * | 2020-11-23 | 2021-02-19 | 广东安特齿科有限公司 | 愈合基台组件 |
CN112370195B (zh) * | 2020-11-23 | 2022-05-31 | 广东安特齿科有限公司 | 愈合基台组件 |
KR102383540B1 (ko) | 2021-06-16 | 2022-04-08 | 고찬중 | 크라운과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 가능한 임플란트용 인서트 유지 보호캡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2849B1 (ko) |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 |
KR100841218B1 (ko) | 임플란트 장치 | |
KR20180098231A (ko) | 뼈 기초부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 |
KR101731541B1 (ko) | 치유 어버트먼트 | |
JP2004521671A (ja) | インプラント支持義歯を設けるための位置決め装置 | |
JP2002520085A (ja) | 万能印象用コーピングシステム | |
US9980792B2 (en) | Hybrid temporary anchorage device impla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 |
KR101473835B1 (ko) |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보호 캡 | |
JP2015504315A (ja) | 多角度に製作されるコアクラウンの収容が可能であり、キャップを取り付けるとヒーリングアバットメントの機能を行うアバットメントと、それを用いたインプラント補綴物の製造方法及びインプラント手術方法 | |
KR101446072B1 (ko) |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 |
KR101472570B1 (ko) | 픽스츄어의 방향성 및 위치 식별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 |
KR101388185B1 (ko) |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 |
KR101524192B1 (ko) |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 |
KR20190040590A (ko) |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 |
KR20130016540A (ko) |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 |
KR101406043B1 (ko) | 맞춤 시술이 가능한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 |
KR101854349B1 (ko) | 어버트먼트 지그 | |
EP2907473A1 (en) |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 |
KR101363062B1 (ko) |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임프레션 캡 | |
US20160022385A1 (en) |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use | |
KR101820489B1 (ko) |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 |
KR20200053276A (ko) |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 |
US12133779B2 (en) | Dental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 |
US20240115364A1 (en) | Process for preparing a patient's jaw for a full arch teeth replacement | |
RU2560777C1 (ru) | Способ имплантационного протезирования с фиксацией центрального соотношения челюсте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