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130B1 -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0130B1 KR101460130B1 KR1020070128150A KR20070128150A KR101460130B1 KR 101460130 B1 KR101460130 B1 KR 101460130B1 KR 1020070128150 A KR1020070128150 A KR 1020070128150A KR 20070128150 A KR20070128150 A KR 20070128150A KR 101460130 B1 KR101460130 B1 KR 1014601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face
- extracted
- reference image
- fea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8—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e.g. by rescanning the pattern or by human interventio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화상 호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과 기 저장된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에 맞게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과정과, 상기 보정한 화상 영상을 화상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를 제공한다.
화상 통화, 보정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화시 화상 영상을 보정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과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단말기는 비디오 및 오디오 채널을 통해 영상과 음성을 주고받으며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 통화는 카메라가 부착된 화상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을 보면서 통화하기 위한 방식으로, 교환기를 이용한 회선교환 방식과 올-아이피(All-IP)망을 이용한 패킷 교환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통화는 ITU(International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정의하는 국제 표준인 H.323 또는 H.324M 프로토콜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구현해야 한다. H.323은 패킷 데이터망인 IP(Internet Protocol)망에서 화상전화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프로토콜이고, H.324는 공중망을 기준으로 개발된 시스템 프로토콜이며, H.324M(Mobile)은 H.324를 이동통신용으로 개량한 것이다.
이러한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 자신을 촬상하여 아무런 여과 없이 상대방 에게 전송한다.
도 1은 화상 통화시 사용자와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화상 영상의 일 예이다.
도 1의 화면 예는 일반적인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로 자신을 촬상한 경우의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나친 얼굴 왜곡 및 확대를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자연스러운 화상 통화를 위해서, 사용자가 팔을 길게 펴서 자신을 촬영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화시 어떠한 촬영 거리에서도 자연스러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은, 화상 호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과 기 저장된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에 맞게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과정과, 상기 보정한 화상 영상을 화상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특징은 상기 얼굴의 어느 하나의 위치를 표시하는 일 이상의 점, 상기 점 중 2 이상을 연결한 선, 상기 선 중 2 이상이 이루는 각, 및 상기 선 중 3 이상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상기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눈의 양끝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 2 개와, 입술의 양끝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에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세 변의 길이의 비, 어느 한 변과 다른 한 변의 각인 경우, 화상 영상의 얼굴이 상기 세 변의 길이, 세변의 길이의 비 및 어느 한변과 다른 한변의 각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눈과 눈 사이의 거리인 경우, 화상 영상의 얼굴이 상기 눈과 눈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얼굴의 테두리를 소정 개수의 점으로 연결하는 다각형의 면적인 경우, 화상 영상의 얼굴의 면적이 상기 면적과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장치는, 화상 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화상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화상 호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과 기 저장된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에 맞게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기준 영상의 얼굴의 특징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한 화상 영상을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은, 상기 얼굴의 어느 하나의 위치를 표시하는 일 이상의 점, 상기 점 중 2 이상을 연결한 선, 상기 선 중 2 이상이 이루는 각, 및 상기 선 중 3 이상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눈의 양끝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 2 개와, 입술의 양끝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에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세 변의 길이의 비, 어느 한 변과 다른 한 변의 각인 경우, 화상 영상의 얼굴이 상기 세 변의 길이, 세변의 길이의 비 및 어느 한변과 다른 한변의 각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눈과 눈 사이의 거리인 경우, 화상 영상의 얼굴이 상기 눈과 눈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얼굴의 테두리를 소정 개수의 점으로 연결하는 다각형의 면적인 경우, 화상 영상의 얼굴의 면적이 상기 면적과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저장된 기준 영상에 따라 화상 통화시 상대방에게 송신되는 화상 영상을 보정함으로써, 어느 방향 또는 위치에서 화상 통화를 위한 휴대 단말기로 자신을 촬영하여도 어색하지 않은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 사용을 늘리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휴대 단말기로 명명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로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화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걔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단말기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처리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카메라부(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로 이루어진다.
무선통신부(110)는 화상 통화를 위한 무선 송수신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화상 통화용 비트 스트림(bit stream)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화상 통화용 비트 스트림을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제어부(17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음향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3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한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표시부(140)는 카메라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제어부(170)로 부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액정표시장치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면, 표시부(140)는 입력부(13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부(150)는 카메라 모듈(미도시), 신호처리장치(미도시) 및 영상처리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카메라 모듈은 비디오 신호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학적 신호를 전기 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신호처리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신호처리장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영상처리장치는 신호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부(140)의 규격에 맞춰 출력한다.
저장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이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60)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booting)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영상 및 기준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오디오처리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카메라부(150) 및 저장부(160)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코덱(CODEC), 모뎀(MODEM) 및 먹스/디먹스(MUX/DEMUX)를 구비 할 수 있다. 코덱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등의 송신 신호를 부호화(Coding)하고, 수신되는 부호화 신호를 복호화(Decoding)한다. 먹스/디먹스는 부호화된 송신 신호들을 다중화하며, 다중화된 신호들을 역다중화한다. 모뎀은 다중화된 송신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고 상기 무선통신부(110)가 수신한 변조된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한다. 코덱(CODEC), 모뎀(MODEM) 및 먹스/디먹스(MUX/DEMUX)는 무선통신부(110)에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무선통신부와 제어부(170) 사이에 독립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적절한 동작을 위한 종단간의 시그날링(Signaling)을 제공한다. 즉, 화상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 등을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논리 채널을 열고 표현하기 위한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외부 저장 매체를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을 가능토록 하는 저장매체 삽입부, 외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 단자, 충전용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모듈, 디지털 음원 재생을 위한 MP3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유닛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영상을 보정하기 위하여, 미리 촬영하여 저장한 영상을 이용한다. 즉, 저장한 영상을 화상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영상을 비교하여 보정한 후, 보정한 영상을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화상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영상을 "화상 영상"이라 명명하며, 미리 촬영하여 저장한 영상을 "기준 영상"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방법을 위한 준비로 사용자는 기준 영상을 마련해야 한다. 사용자는 여러번의 촬영을 통해 다수개의 정지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저장한 정지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기준 영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영상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의 일 예이다.
9.사용 환경 설정 | 2.영상 전화 설정 | 2.영상 전화 화면 설정 | 1.대체 영상 설정 |
2.화질 설정 | |||
3.화면 크기 설정 | |||
4.기준 영상 설정 |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9.사용 환경 설정", "2. 영상 전화 설정", "2.영상 전화 화면 설정" 및 "4. 기준 화면 설정" 메뉴로 순차로 진입하여 "4. 기준 영상 설정" 메뉴에서 기준 영상을 등록할 수 있다. 기준 영상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자신을 촬영하는 소위 셀프 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 저장된 사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거나, 새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 및 저장하여 기준 영상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영상은 화상 통화 시 사용자의 화상 영상을 보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휴대 단말기는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얼굴의 특징을 데이터화하기 위한 요소로는 점, 선, 각 및 면 등이 있다. 즉, 얼굴의 특징을 데이터화기 위한 요소로, 기준 영상의 얼굴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표시하는 점과, 상기 점 중 2 이상을 연결한 선과, 상기 선 중 2 이상이 이루는 각, 및 상기 선 중 3 이상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점의 요소로는 눈, 코, 입, 귀의 어느 한점 등이 될 수 있으며, 길이의 요소로는 귀와 귀 사이의 길이, 인중의 길이, 코의 길이, 입술의 길이, 눈의 길이, 눈과 눈 사이의 길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각의 요소로는 둘 이상의 직선이 교차는 각 등이 될 수 있으며, 면적의 요소로는 얼굴의 면적, 이마의 면적 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준 영상을 등록한 후, 화상 통화가 시작되면 기준 영상과 화상 영상을 비교하여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기준 영상을 저장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S301 단계에서 화상 호를 연결한다. 이때, 화상 호의 연결은 착신 및 발신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화상 호의 연결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지국은, 무선 구간을 연결하는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 장치(RNC : Radio Network Controller), 이동 통신 교환국(MSC :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관문이동통신교환국(GMSC, Gateway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선 교환망 외에 패킷 교환망을 더 포함한 코어 망(core network)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는 무선 구간 및 기지국을 통해 이동 통신 교환국(MSC)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송신 및 수신 측 이동 통신 교환국(MSC) 간에 호 설정을 위해 전송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 ACM(Address Complete Message) 및 ANM(ANswer Message) 등은 그 설명을 생략하며, 이는 "3G TR 23.972 V3.00"에서 권고하는 "General Mobile to Mobile 3G-324M의 호 설정 진행 절차"에 개시된 바를 참조할 수 있다.
발신 휴대 단말기는 착신 휴대 단말기와의 화상 호 연결을 위해 호 설정 메시지(Call Setup Message)를 기지국을 거쳐 착신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호 설정 메시지에는 호에 관련된 정보 즉, 발신 휴대 단말기의 호출 번호와 착신 화상 단말기의 호출 번호 및 필요한 전달 용량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은 호를 연결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가 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호 처리 메시지(Call Proceeding Message)를 발신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한 발신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호 처리 메시지는 현재 호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로서 호 상태(Call State)에는 커다란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휴대 단말기는 호 확인 메시지(Call Confirm Message)를 발신 휴대 다날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호 확인 메시지에는 호에 관련된 정보 즉, 착신 휴대 단말기의 호출 번호와 필요한 전달 용량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발신 및 착신 휴대 단말기 모두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메시지 및 호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각 휴대 단말기의 호출 번호와 필요한 전달 용량 등과 같은 정보에 따라 각 휴대 단말기에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정보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착신 휴대 단말기는 호 처리 메시지를 전송한 후, 경보 메시지(Alerting Message)를 기지국을 통해 발신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경보 메시지의 성격은 발신 휴대 단말기에서는 링백톤 신호(Ring Back Tone Signal)가 발생하는 것이고, 착신 휴대 단말기에서는 링 신호(Ring Signal)가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러한 링 신호 발생시 착신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호 연결을 수락하면, 착신 화상 단말기가 연결 메시지(connect message)를 전송한다. 그러면, 발신 휴대 단말기는 이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연결 응답 메시지(connect acknowledge message)를 송신한다. 착신 휴대 단말기가 그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양단(발신 및 착신 휴대 단말기)간의 화상 통화로가 연결된다.
화상 호가 연결되면, 제어부(170)는 S303 단계에서 카메라부(150)를 통해 화상 영상을 입력 받는다. 화상 영상은 카메라부(150)가 촬영한 화면을 의미한다.
이때, 화상 통화용 화면을 입력 받은 제어부(170)는 S305 단계에서 화상 통화용 화면에서 얼굴의 특징을 추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70)는 S307 단계에서 화상 영상의 보정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보정 여부의 판단은 화상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과 기 저장된 기준 영상의 얼굴의 특징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면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S307 단계의 판단 결과, 보정이 필요한 경우, S309 단계에서 화상 영상을 보정한다. 이때, 기 저장된 기준 영상에서 도출한 얼굴의 특징에 맞도록 화상 영상을 보정한다. 이어서, 제어부(170)는 S311 단계에서 보정한 화상 영상을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화상 호가 연결된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S307 단계의 판단 결과, 보정이 불필요한 경우, S311 단계로 진행하여 보정하지 않은 화상 영상을 전송한다.
여기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영상 전송 방법을 살펴보았다. 상기 S309 단계의 화상 영상의 보정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영상의 보정은 기준 영상에 나타난 얼굴의 특징과 화상 영상의 얼굴의 특징을 비교하여 기준 영상의 얼굴의 특징에 맞도록 보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얼굴의 특징은 점, 선, 각, 및 면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하로는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과 이에 따른 보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영상 및 이에 따른 얼굴의 특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영상은 눈의 양끝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a, b)과, 입술의 양끝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c)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을 형성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세 변의 길이의 비, 어느 한 변과 다른 한 변의 각을 특징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30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화상 영상의 얼굴의 특징을 추출하고, S307 단계에서 화상 영상의 얼굴에서 세 변의 길이, 세변의 길이의 비, 어느 한 변과 다른 한변의 각을 기 저장한 도 4a의 특징과 비교한다. 여기서, 도 4a의 특징은 a, b, c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세변의 길이, 세변의 길이, 및 어느 한 변과 다른 한 변의 각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비교 결과, 그 특징이 다른 경우 제어부(170)는 S309 단계에서 기 저장한 특징에 맞춰 화상 영상을 보정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세 변의 길이, 세 변의 길이의 비, 및 어느 한 변과 다른 한 변의 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영상 및 이에 따른 얼굴의 특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영상은 화면에서 눈과 눈사이의 거리 d를 그 특징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30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화상 영상의 얼굴의 특징을 추출하고, S307 단계에서 화상 영상의 얼굴에서 추출할 수 있는 눈과 눈 사이의 거리를 기 저장한 도 4b의 특징(d)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그 특징이 다른 경우 제어부(170)는 S309 단계에서 기 저장한 특징에 맞춰 화상 영상을 보정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영상 및 이에 따른 얼굴의 특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얼굴의 면적을 데이터화하기 위한 화면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의 테두리를 소정 개수의 점으로 연결하는 다각형의 면적(s)을 얼굴의 면적으로 인식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S30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화상 영상의 얼굴의 특징을 추출하고, S307 단계에서 화상 영상의 얼굴에서 추출할 수 있는 다각형의 면적을 기 저장한 도 4c의 특징(s)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그 특징이 다른 경우 제어부(170)는 S309 단계에서 기 저장한 특징에 맞춰 화상 영상을 보정한다. 이러한 경우, 줌 아웃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얼굴 크기를 기준 영상에 맞춰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로 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보인 보정 방법들은 각각 따로 사용할 수 도 있지만, 하나 이상을 중복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화상 통화시 사용자와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화상 영상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걔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영상 및 이에 따른 얼굴의 특징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영상 및 이에 따른 얼굴의 특징을 도시한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영상 및 이에 따른 얼굴의 특징을 도시한 도면.
Claims (16)
-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에 있어서,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화상 호를 연결하는 과정;상기 화상 호가 연결되면, 카메라부를 통해 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으로부터 얼굴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상기 추출된 얼굴 특징 및 기 저장된 기준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얼굴의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과정; 및상기 화상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보정된 화상 영상을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추출된 얼굴 특징은,상기 얼굴의 어느 하나의 위치를 표시하는 일 이상의 점, 상기 점 중 2 이상을 연결한 선, 상기 선 중 2 이상이 이루는 각, 및 상기 선 중 3 이상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보정하는 과정은,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눈의 양끝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 2 개와, 입술의 양끝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에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세 변의 길이의 비, 어느 한 변과 다른 한 변의 각인 경우,화상 영상의 얼굴이 상기 세 변의 길이, 세변의 길이의 비 및 어느 한변과 다른 한변의 각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보정하는 과정은,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눈과 눈 사이의 거리인 경우,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얼굴의 눈과 눈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준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의 눈과 눈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보정하는 과정은,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얼굴의 테두리를 소정 개수의 점으로 연결하는 다각형의 면적인 경우,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얼굴의 면적이 상기 기준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면적과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보정하는 과정은,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상호 간의 비율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보정하는 과정은,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보정하는 과정은,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특징 및 상기 기준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얼굴 특징 간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의 오차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기준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화상 호를 연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화상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으로부터 얼굴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얼굴 특징 및 기 저장된 기준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얼굴의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을 보정하며, 상기 화상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보정된 화상 영상을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추출된 얼굴 특징은,상기 얼굴의 어느 하나의 위치를 표시하는 일 이상의 점, 상기 점 중 2 이상을 연결한 선, 상기 선 중 2 이상이 이루는 각, 및 상기 선 중 3 이상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눈의 양끝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 2 개와, 입술의 양끝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에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세 변의 길이의 비, 어느 한 변과 다른 한 변의 각인 경우,화상 영상의 얼굴이 상기 세 변의 길이, 세변의 길이의 비 및 어느 한변과 다른 한변의 각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눈과 눈 사이의 거리인 경우,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얼굴의 눈과 눈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준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의 상기 눈과 눈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에서 추출한 얼굴의 특징이 얼굴의 테두리를 소정 개수의 점으로 연결하는 다각형의 면적인 경우,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얼굴의 면적이 상기 기준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면적과 동일하도록 상기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상호 간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의 보정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특징 및 상기 기준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얼굴 특징 간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의 오차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기준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화상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8150A KR101460130B1 (ko) | 2007-12-11 | 2007-12-11 |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및 장치 |
US12/326,163 US8207999B2 (en) | 2007-12-11 | 2008-12-02 |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telephony in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8150A KR101460130B1 (ko) | 2007-12-11 | 2007-12-11 |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1226A KR20090061226A (ko) | 2009-06-16 |
KR101460130B1 true KR101460130B1 (ko) | 2014-11-10 |
Family
ID=4072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8150A KR101460130B1 (ko) | 2007-12-11 | 2007-12-11 |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207999B2 (ko) |
KR (1) | KR10146013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30579A1 (ko) * | 2018-12-17 | 2020-06-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40727B2 (en) * | 2010-01-26 | 2012-12-25 | Melzer Roy S | Method and system of creating a video sequence |
EP2671374B1 (en) * | 2011-01-31 | 2015-07-22 |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restoring color and non-color related integrity in an image |
JP6026119B2 (ja) * | 2012-03-19 | 2016-11-16 | 株式会社東芝 | 生体情報処理装置 |
KR102171332B1 (ko) | 2013-09-10 | 2020-10-2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얼굴 영상 보정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CN103841322A (zh) * | 2014-02-20 | 2014-06-04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终端及协同拍照方法 |
CN106462937B (zh) * | 2014-06-06 | 2019-12-31 | 夏普株式会社 | 图像处理装置以及图像显示装置 |
CN105578020B (zh) * | 2014-10-14 | 2020-04-03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自拍系统及方法 |
US10063772B2 (en) * | 2015-03-19 | 2018-08-28 | Casio Computer Co., Ltd. |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sends image to external apparatus |
KR102317021B1 (ko) | 2015-06-26 | 2021-10-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영상 보정 방법 |
CN107733874B (zh) * | 2017-09-20 | 2021-03-30 |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 信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US10929982B2 (en) * | 2019-01-25 | 2021-02-23 | Google Llc | Face pose correction based on depth information |
CN111371993A (zh) * | 2020-03-13 | 2020-07-03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图像拍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JP2022032133A (ja) * | 2020-08-11 | 2022-02-25 | オムロ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
CN112218034A (zh) * | 2020-10-13 | 2021-01-12 |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 视频处理方法、系统、终端和存储介质 |
KR20220083960A (ko) | 2020-12-12 | 2022-06-21 | 임승현 | 내담자들과 심리상담사를 이어주어, 화상 사이버상담을 하는 사업 ‘마음속말’ |
US20240370081A1 (en) * | 2021-09-27 | 2024-11-0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Visibility of Fram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2726A (ja) * | 2001-09-18 | 2003-03-28 | Ricoh Co Ltd | 撮像装置 |
KR100700099B1 (ko) * | 2005-11-16 | 2007-03-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얼굴위치정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20070201726A1 (en) * | 2006-02-24 | 2007-08-30 | Eran Steinberg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Rejection of Digital Image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613082A1 (en) * | 2004-06-30 | 2006-01-04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Face image correction |
KR100705598B1 (ko) * | 2006-02-10 | 2007-04-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얼굴인식을 통한 화상전화기의 사용자 정보 접근제어장치그 방법 |
US7847831B2 (en) * | 2006-08-30 | 2010-12-07 | Panasonic Corporation |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age coding apparatus and image decoding apparatus, methods thereof, processors thereof, and, imaging processor for TV conference system |
-
2007
- 2007-12-11 KR KR1020070128150A patent/KR1014601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
- 2008-12-02 US US12/326,163 patent/US820799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2726A (ja) * | 2001-09-18 | 2003-03-28 | Ricoh Co Ltd | 撮像装置 |
KR100700099B1 (ko) * | 2005-11-16 | 2007-03-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얼굴위치정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20070201726A1 (en) * | 2006-02-24 | 2007-08-30 | Eran Steinberg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Rejection of Digital Image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30579A1 (ko) * | 2018-12-17 | 2020-06-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KR20200074780A (ko) * | 2018-12-17 | 2020-06-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KR102607789B1 (ko) * | 2018-12-17 | 2023-1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207999B2 (en) | 2012-06-26 |
KR20090061226A (ko) | 2009-06-16 |
US20090147141A1 (en) | 2009-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0130B1 (ko) |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및 장치 | |
US6839079B2 (en) | Video-telephony system | |
US20050208962A1 (en) | Mobile phone, multimedia chat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US20020093531A1 (en) | Adaptive display for video conferences | |
US20100053212A1 (en) | Portable device having image overlay function and method of overlaying image in portable device | |
WO2001011881A1 (fr) | Videophone | |
JP3487280B2 (ja) | 画像送信機能付き携帯電話端末 | |
KR20050094693A (ko) | 휴대단말기의 동영상효과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 |
US2007012686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video call in mobile terminal | |
JP3798799B2 (ja) | テレビ電話装置 | |
KR100703364B1 (ko) | 화상 통화 이미지 출력 방법 | |
KR100358166B1 (ko) | 화상 휴대폰 장치 | |
US20070064093A1 (en) |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same | |
KR100780801B1 (ko) |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100438540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 |
KR100475953B1 (ko) | 이동 영상 전화에서의 대체 영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
KR101232537B1 (ko) | 화상통신 단말기 및 화상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신 방법 | |
KR20100000547A (ko) | 다자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JP3062080U (ja) | 画面付き電話装置 | |
US20080063166A1 (en) | Visual call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diovisual telephony system | |
KR20060030278A (ko) | 이미지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 |
JP3512828B2 (ja) | テレビ会議システム | |
KR20010067993A (ko) | 배경화상 제거 또는 의사 배경화상 삽입 서비스가 가능한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 |
KR100678059B1 (ko) | 거울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 |
JP4272332B2 (ja) | 画像伝送通信端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