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290B1 -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8290B1 KR101468290B1 KR1020130023390A KR20130023390A KR101468290B1 KR 101468290 B1 KR101468290 B1 KR 101468290B1 KR 1020130023390 A KR1020130023390 A KR 1020130023390A KR 20130023390 A KR20130023390 A KR 20130023390A KR 101468290 B1 KR101468290 B1 KR 101468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um
- pressure roller
- pressing
- roller
- support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보관함은 매체 입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매체 입구를 통하여 인입된 매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이송가압기구; 상기 매체의 집적을 보조하기 위한 집적보조유닛; 및 상기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압착된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보관함을 포함한다. 상기 매체보관함은, 매체 보관공간과, 상기 매체 보관공간에 배치되어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한다.
종래의 매체보관함의 경우, 매체가 구겨지거나 접힌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되지 않기 때문에, 집적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상기 지지부에 집적된 매체가 다시 출금되는 경우, 출금되는 과정에서 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히거나 구겨진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함으로써, 집적 장애를 줄일 수 있는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보관함은, 매체 입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매체 입구를 통하여 인입된 매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이송가압기구; 상기 매체의 집적을 보조하기 위한 집적롤러를 가지는 집적보조유닛; 및 상기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압착된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가압기구는,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2가압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는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압착되고, 상기 제1가압롤러 및 제2가압롤러 각각의 축 방향의 길이는 매체의 장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가압롤러 측으로 가압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보관함은, 매체 입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매체의 집적을 보조하기 위한 집적롤러를 가지는 집적보조유닛; 상기 집적보조유닛에 의해서 이송된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의 상방에 위치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이 상기 지지판을 향하도록 상기 가압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매체가 상기 지지판에 집적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판이 상기 지지판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압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위치 고정부와 상기 가압판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판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판 측으로 이동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처리장치는, 이송되는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이송가압기구; 상기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압착된 매체가 집적되는 매체 집적공간; 및 상기 매체 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를 이차적으로 가압하여 압착하는 집적가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가압기구는,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2가압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는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압착되고, 상기 제1가압롤러 및 제2가압롤러 각각의 축 방향의 길이는 매체의 장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가압롤러 측으로 가압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이송되는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이송가압기구; 상기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된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으로의 매체 집적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매체를 가압하는 집적가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가압기구는,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2가압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는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압착되고, 상기 제1가압롤러 및 제2가압롤러 각각의 축 방향의 길이는 매체의 장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가압롤러 측으로 가압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매체 보관함으로 투입되는 매체가 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되어 압착되므로, 상기 매체 보관함 내에서 집적되는 매체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으며, 매체 보관함 내에서 매체의 집적 시 집적 불량에 따른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매체가 가압되어 압착된 상태에서 매체 보관함에서 인출될 수 있으므로, 매체 보관함에서 인출된 매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지지판을 구동하는 제1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압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 예의 제1매체 및 제2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1매체가 매체보관함 내에 집적된 상태에서 집적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매체가 가압되어 압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매체가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되어 압착된 모습을 보여주고, 도 8의 (b)는 매체가 집적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되어 압착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실시 예의 제2매체가 출금되고, 제1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제1매체가 출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지지판을 구동하는 제1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압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 예의 제1매체 및 제2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1매체가 매체보관함 내에 집적된 상태에서 집적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매체가 가압되어 압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매체가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되어 압착된 모습을 보여주고, 도 8의 (b)는 매체가 집적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되어 압착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실시 예의 제2매체가 출금되고, 제1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제1매체가 출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매체가 입출을 위한 매체 입출부(13)와,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20)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20)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텨(Shutter) 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의 종류에 따라서,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14)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매체보관함(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지지판을 구동하는 제1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압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매체보관함(20)은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2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0)은 매체의 인입을 위한 매체 입구(201)와, 매체의 인출을 위한 매체 출구(2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 내에는, 상기 매체 입구(201)를 통하여 인입된 제1매체가 이동하는 통로인 제1입금 통로(203)와, 상기 매체 입구(201)를 통하여 투입된 제2매체가 이동하는 통로인 제1연결 통로(2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금 통로(203)와 제1연결 통로(206)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디버터(30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 내에는, 상기 매체 출구(202)와 연결되는 제2연결 통로(207)와, 상기 제1연결 통로(206)와 상기 제2연결 통로(207)와 연결되는 제3연결 통로(20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 통로(206)와 상기 제2연결 통로(207)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2디버터(30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 내에는, 상기 매체 입구를 통하여 인입된 제2매체가 이동하는 통로인 제2입금 통로(203)와, 상기 하우징(200) 내에 보관된 제1매체가 출금되기 위하여 이동하는 통로인 출금 통로(20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금 통로(205)와 제2입금 통로(204)가 만나는 부분에는 제3디버터(30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제1매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판(211)과, 상기 제2매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판(212)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매체보관함(20)에는 매체가 보관되기 위한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이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에는 각각 동종의 매체가 보관되거나 타종의 매체가 보관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에는 서로 다른 상태의 매체가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매체 보관공간에는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 상태로 판별된 매체나 고객의 미수취 매체가 보관될 수 있다. 제2매체 보관공간에는 도시되지 않은 감별부에서 정상 상태로 판별된 매체가 보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보관공간에 보관되는 매체의 종류 및 상태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2지지판(212)은 상기 제1지지판(211)의 하방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지지판(211)과 상기 제2지지판(212)은 상하로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제1지지판(211)과 상기 제2지지판(212)이 좌우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판(211)과 상기 제2지지판(212)은 독립적인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매체보관함(20) 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20)는 상기 제1입금통로(203)를 따라 이송되는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기 위한 이송가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가압기구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 제1가압롤러(roller: 272)와, 상기 제1가압롤러(27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가압롤러(2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매체는 상기 제1가압롤러(272)와 상기 제2가압롤러(273)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제1매체가 상기 제1가압롤러(272)와 상기 제2가압롤러(273)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매체가 가압되어 압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제1매체는 상기 제1가압롤러(272)와 상기 제2가압롤러(273)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이송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가압롤러(272, 273)에 의해서 압착됨으로써, 매체의 펴짐 정도나 구겨진 부분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롤러(272)가 상기 제1매체 전체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압롤러(272)의 둘레에는 탄성 재질의 가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가압롤러(272)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매체 전체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압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매체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가압롤러(732)의 둘레에 탄성 재질의 가압부가 구비되거나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매체 전체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제2가압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매체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매체는 길이가 긴 한 쌍의 장변과 상기 장변 보다 짧은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한다. 도 4에서 상기 제1지지판의 좌우 방향으로 제1매체의 장변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1매체가 제1지지판에 집적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압롤러 및 상기 제2가압롤러가 제1매체 전체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압롤러 및 제2가압롤러 각각의 회전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1매체의 장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롤러(273)의 회전축(274)은 탄성부재(275)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75)는 상기 제2가압롤러(273)가 상기 제1가압롤러(27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274)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275)에 의해서 상기 제1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20)은 상기 제1매체의 입금을 위한 제1집적 롤러(227) 및 상기 제1집적 롤러(227)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는 종동 롤러(228)와, 후술할 피드 롤러(221)와 함께 제1매체의 인출을 위한 제1게이트 롤러(229)와, 상기 제1지지판(211)에 집적된 제1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집적가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집적 롤러(227) 및 상기 종동 롤러(228)를 제1매체의 집적을 보조하기 위한 집적보조유닛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집적 롤러(227)와 상기 제1가압롤러(272)는 단일의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집적 롤러(227)와, 상기 제1가압롤러(272)는 개별적인 구동부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 내에서 매체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frame: 280)에는 가이드바(guide bar: 3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211)에는 상기 가이드바(320)에 연결되는 연결부(2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적가압기구는, 상기 제1지지판(211)의 상방에 위치되는 가압판(213)과, 상기 가압판(213)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압판(213)으로 제공하는 탄성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50)의 일단은 상기 측면 프레임(28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판(213)에 형성되는 연결부(213C)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3C)는 상기 가이드바(320)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50)는 상기 측면 프레임(280)에 설치되는 풀리(Pulley: 340)에 둘러질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280)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면 프레임(285)에는 상기 가압판(213)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판(21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31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가압판(213)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13A)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13A)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213B)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310)는 고정 바디(311)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바디(311)는, 상기 가압판(213)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213B)와 접촉하는 경사면(312)과, 상기 걸림부(213B)가 걸리는 걸림홈(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0)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부(310)가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력을 상기 고정부(310)로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310)의 걸림홈(313)에 상기 걸림부(213B)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213B)는 상기 걸림홈(313)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0)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부(310)가 도 5의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가압판(213)의 위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가압판(213)이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판(211)는 제1구동부에 의해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축(331)과, 상기 구동축(331)에 연결되는 제1풀리(332)와, 상기 제1풀리(332)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축(332)과 상기 고정축(332)에 연결되는 제2풀리(333)와, 상기 제1풀리(332)와 제2풀리(333)에 둘러지는 벨트(3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211)의 연결부(211A)는 상기 벨트(334)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벨트(334)가 회전하면, 상기 제1지지판(211)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20)은 상기 제2매체의 인입을 위한 피드 롤러(221: feed roller) 및 제2게이트 롤러(gate roller: 225)와, 보관된 제1매체 또는 제2매체의 인출을 위하여 상기 제1매체 또는 상기 제2매체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 롤러(pick-up roller: 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2게이트 롤러(225)는 제2매체를 인입할 때에는 상기 피드 롤러(2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드 롤러(22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1매체 또는 제2매체를 인출할 때에는 피드 롤러(221)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회전되지 않고 정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피드 롤러(221)와 상기 제2게이트 롤러(225)의 회전 방식은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픽업 롤러(222)와 상기 피드 롤러(221)는 벨트(22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픽업 롤러(222)와 상기 피드 롤러(221)는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픽업 롤러(222)가 상기 제1매체 또는 제2매체를 선택적으로 픽업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 롤러(222)는 상기 제1지지판(211)과 상기 제2지지판(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게이트 롤러(225)의 회전축에는 제2매체가 하방으로(제2지지판으로) 용이하게 낙하되도록 상기 제2매체를 타격하는 제2집적롤러(226)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피드롤러(221)의 제1회전축(241)과, 상기 픽업 롤러(222)의 제2회전축(242)은 상기 측면 프레임(280)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280)에는 상기 제1회전축(241)이 관통하기 위한 제1홀(282)과, 상기 제2회전축(242)이 관통하기 위한 제2홀(283)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280)을 관통한 상기 제1회전축(241) 및 상기 제2회전축(242)은 연결판(23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프레임(280)을 기준으로 일측(도 3에서는 좌측)에 피드롤러(221) 및 픽업 롤러(222)가 배치되고, 타측에 상기 연결판(230)이 배치된다.
상기 연결판(230)에는 연결핀(232)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핀(232)은 상기 제2회전축(242)과 이격된다. 상기 연결핀(232)은 상기 측면 프레임(280)의 핀 홀(281)을 관통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280)을 관통한 상기 연결핀(232)에는 체결판(234)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232)에는 탄성부재(250)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판(230)은 상기 제1회전축(24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230)이 상기 제1회전축(241)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2홀(283) 및 상기 핀 홀(281)은 상기 제2회전축(242) 및 상기 연결핀(232)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50)의 일단은 상기 연결핀(23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핀(232) 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20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50)는 일 예로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1매체의 출금을 위하여, 상기 제2지지판(212)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픽업 롤러(222)를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연결판(230)이 상기 제1회전축(241)을 중심으로 도 2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250)는 인장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250)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핀(23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연결핀(232)에 직접 탄성력을 제공하나, 상기 탄성력은 상기 연결판(230)에도 전달되므로,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연결판(2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탄성부재(25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연결핀(23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핀(23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280)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탄성부재(250)가 상기 연결판(23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부재(250)의 종류 및 연결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매체보관함(20)은 상기 연결판(2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2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일 례로 솔레노이드(260)일 수 있다. 상기 연결판(230)에는 상기 솔레노이드(260)에 구비된 고정부(262)가 관통하기 위한 홀(2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매체 및 제2매체가 입출금되는 과정에서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제1매체 및 제2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제1매체가 매체보관함 내에 집적된 상태에서 집적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되어 압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매체가 가압되어 압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매체가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되어 압착된 모습을 보여주고, 도 8의 (b)는 매체가 집적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되어 압착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6에는 제1매체 및 제2매체가 동시에 상기 매체보관함에 입금되는 것이 도시되나, 제1매체 및 제2매체 중 어느 하나가 입금된 후에 다른 하나가 입금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입구(201)를 통하여 인입된 제1매체(M1)는 상기 제1디버터(301)에 의해서 상기 제1입금 통로(203)를 따라 이송된다. 상기 제1입금 통로(203)를 따라 이송되는 제1매체는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된 후에 상기 제1집적롤러(227)와, 상기 종동 롤러(228)에 의해서 상기 제1지지판(211)의 상측으로 낙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매체(M1)가 상기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되어 압착되므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의 길이 방향으로 절곡된 제1매체(M1)가 평평하게 펴지거나, 제1매체의 끝단이 접혀 포개어진 경우 접힌 부분을 포함한 제1매체의 높이가 줄어들거나, 제1매체의 끝단이 일정 각도 꺾인 경우 꺾인 부분이 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집적 롤러(227)는 도 6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종동 롤러(22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입금되는 제1매체의 개수가 증가되면 상기 제1지지판(211)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1매체(M1)의 집적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가압판(213)이 상기 제1지지판(211)을 향하여 하강하게 되어 상기 가압판(213)이 상기 제1지지판(211)의 상측에 놓인 제1매체(M1)를 가압하여 압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압판(213)은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상기 가압판(213)이 상기 제1매체(M1)를 가압하는 가압력은 유지될 수 있다. 도 8의 (b)와 같이 매체의 길이 방향으로 절곡된 제1매체(M1), 끝단이 접혀 포개어진 매체, 끝단이 꺽인 매체 등이 제1지지판(211)에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압판(213)이 상기 제1매체(M1)를 가압하면, 제1매체(M1)가 평평하게 펴지거나, 제1매체의 끝단이 접혀 포개어진 경우 접힌 부분을 포함한 제1매체의 높이가 줄어들거나, 제1매체의 끝단이 일정 각도 꺾인 경우 꺾인 부분이 펴지게 되어 제1지지판(M1)에 놓인 제1매체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 보관함으로 투입되는 제1매체가 복수의 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되어 압착되므로, 상기 매체 보관함 내에서 집적되는 제1매체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으며, 매체 보관함 내에서 제1매체의 집적 시 집적 불량에 따른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매체가 압착된 상태에서 매체 보관함에서 인출될 수 있으므로, 매체 보관함에서 인출된 제1매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체 입구(201)를 통하여 인입된 제2매체(M2)는 상기 제1디버터(301)에 의해서 상기 제1연결 통로(207)를 따라 이송되고, 제3연결 통로(208)를 지나 상기 제2입금 통로(204)로 이송된다.
상기 제2입금 통로(204)는 이송한 매체는, 상기 피드롤러(221)와, 상기 제2게이트 롤러(225)에 의해서 상기 제2지지판(212)의 상측으로 낙하된다.
이 때, 상기 피드 롤러(221)는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게이트 롤러(22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입금되는 제2매체의 개수가 증가되면 상기 제2지지판(212)은 하강하게 된다.
도 9는 본 실시 예의 제2매체가 출금되고, 제1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는 제2매체가 출금되는 과정에서 제1매체가 입금되는 것이 도시되나, 제2매체의 출금 및 제1매체의 입금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고 다른 하나가 나중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서 제1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보관된 제2매체(M2)의 출금을 위하여 상기 제2지지판(212)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판(212)은 상기 제2지지판(212)에 놓인 제2매체(M2)가 상기 픽업 롤러(222)에 접촉할 때까지 상승한다. 그 다음, 상기 픽업 롤러(222)에 의해서 상기 제2지지판(212)에 놓인 제2매체(M2)는 한 장씩 픽업되고, 픽업된 제2매체(M2)는 상기 출금 통로(205)로 이송된 후에, 제3연결 통로(208), 제2연결 통로(207)를 지나 상기 매체 출구(20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픽업 롤러(222) 및 상기 피드 롤러(221)는 시계 방향(제1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매체가 출금될 때, 상기 제2회전축(242)은 상기 제1회전축(241) 보다 낮게 위치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제1매체가 출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매체(M1)를 출금하기 위해서 상기 제1지지판(212)이 상기 픽업 롤러(222)를 향하여 이동된다. 도 10에서는 상기 제1지지판(212)이 상기 픽업 롤러(222)를 향하여 상승한다. 상기 제2지지판(212)이 상승하는 중에 상기 제2지지판(212)은 상기 픽업 롤러(222)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2지지판(212)의 지속적인 상승에 의해서 상기 제2지지판(212)은 상기 픽업 롤러(222)를 들어올린다. 이 때, 상기 제2지지판(212)에 제2매체(M2)가 놓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2지지판(212)이 상기 픽업 롤러(222)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2지지판(212)에 제1매체가 놓인 경우에는 상기 제2매체(M2)가 상기 픽업 롤러(222)와 접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판(212)이 상기 픽업 롤러(222)를 상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픽업 롤러(222)와 연결된 연결판(230)이 상기 제1회전축(24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0과 같이 상기 픽업 롤러(222)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제2회전축(242)은 상기 제1회전축(241) 보다 높게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픽업 롤러(222)가 들어올려지므로, 상기 픽업 롤러(222)가 상기 각 지지판과 상대 운동 가능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픽업 롤러(222)가 들어올려질 때, 상기 픽업 롤러(222)의 정지 위치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픽업 롤러(222), 제2회전축(242), 연결판(230)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픽업 롤러(222)의 정지 위치까지 상기 픽업 롤러(222)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고정기구가 상기 연결판(23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260)의 고정부(262)가 상기 연결판(230)을 관통함에 따라서 상기 연결판(23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 다음, 상기 제2지지판(212)은 상기 픽업 롤러(222)에서 이격되기 위하여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판(212)이 상기 픽업 롤러(222)에서 이격되는 이유는 상기 제1매체를 상기 픽업 롤러(222)가 픽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지지판(212)과 상기 픽업 롤러(222)의 간섭이 방지되기 위함이다.
그 다음, 상기 제1지지판(211)이 상기 픽업 롤러(222)를 향하여 이동한다. 도 10에서는 상기 제1지지판(211)이 상기 픽업 롤러(222)를 향하여 하강한다.
상기 제1지지판(211)에는 상기 픽업 롤러(222)가 관통하기 위한 홀(미도시)이 상기 픽업 롤러(2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판(211)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픽업 롤러(222)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매체(M1)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 롤러(222)에 의해서 상기 제1매체(M1)의 픽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픽업 롤러(222)가 상기 제1매체(M1)를 원활히 픽업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판(213)이 상기 제1매체(M1)를 상기 픽업 롤러(222)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픽업 롤러(222)에 의해서 상기 제1매체(M1)가 한 장씩 픽업되고, 픽업된 제1매체(M1)는 상기 출금 통로(205), 제3연결 통로(208), 제2연결 통로(207)를 지나 상기 매체 출구(20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픽업 롤러(222) 및 상기 피드 롤러(221)는 도 1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제2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게이트 롤러(22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제1매체의 픽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고정기구에 의한 상기 연결판(230)의 위치 고정이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픽업 롤러(222)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픽업 롤러(222)의 제2회전축(242)이 상기 제2지지판(212)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단일의 픽업 롤러(222)에 의해서 제1매체 또는 제2매체의 픽업이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픽업 롤러(222)가 불필요하게 되어 상기 매체보관함 내의 매체 보관용량이 증가되고, 상기 매체보관함 내부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판(230)이 상기 제1회전축(241) 및 상기 제2회전축(242)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회전축(242)에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픽업 롤러(222)가 상기 피드 롤러(221)와 벨트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판(230)이 상기 제1회전축(24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각 지지판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픽업 롤러가 설치된 연결판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각 지지판에 지지된 매체를 선택적으로 픽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판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픽업 롤러가 제1지지판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제1지지판에 지지된 매체를 픽업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매체보관함 내에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과 다수의 지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매체보관함에 다수의 가압기구와, 하나의 매체 보관공간 및 하나의 지지판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다수의 가압기구 중 이송가압기구는 상기 매체보관함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송가압기구는 제1매체를 가압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추가적인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제2매체도 가압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다수의 가압기구 및 지지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매체처리장치로 이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매체 보관함 211: 제1지지판
212: 제2지지판 213: 가압판
212: 제2지지판 213: 가압판
Claims (11)
- 매체 입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매체 입구를 통하여 인입된 매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이송가압기구;
상기 매체의 집적을 보조하기 위한 집적롤러를 가지는 집적보조유닛; 및
상기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압착된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가압기구는,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2가압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는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압착되고,
상기 제1가압롤러 및 제2가압롤러 각각의 축 방향의 길이는 매체의 장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가압롤러 측으로 가압하는 매체 보관함.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롤러 및 상기 제2가압롤러 중 하나 이상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둘레에 탄성 변경 가능한 재질의 가압부가 구비되는 매체 보관함.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집적가압기구를 더 포함하는 매체 보관함. - 매체 입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매체의 집적을 보조하기 위한 집적롤러를 가지는 집적보조유닛;
상기 집적보조유닛에 의해서 이송된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의 상방에 위치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이 상기 지지판을 향하도록 상기 가압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매체가 상기 지지판에 집적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판이 상기 지지판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압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위치 고정부와 상기 가압판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판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판 측으로 이동하는 매체 보관함.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둘러지는 풀리를 더 포함하는 매체 보관함. - 삭제
- 삭제
- 이송되는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이송가압기구;
상기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압착된 매체가 집적되는 매체 집적공간; 및
상기 매체 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를 이차적으로 가압하여 압착하는 집적가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가압기구는,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2가압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는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압착되고,
상기 제1가압롤러 및 제2가압롤러 각각의 축 방향의 길이는 매체의 장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가압롤러 측으로 가압하는 매체처리장치. - 이송되는 매체를 가압하여 압착하기 위한 이송가압기구;
상기 이송가압기구에 의해서 가압된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으로의 매체 집적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매체를 가압하는 집적가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가압기구는,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2가압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는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압착되고,
상기 제1가압롤러 및 제2가압롤러 각각의 축 방향의 길이는 매체의 장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가압롤러 측으로 가압하는 금융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390A KR101468290B1 (ko) | 2013-03-05 | 2013-03-05 |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390A KR101468290B1 (ko) | 2013-03-05 | 2013-03-05 |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9107A KR20140109107A (ko) | 2014-09-15 |
KR101468290B1 true KR101468290B1 (ko) | 2014-12-03 |
Family
ID=5175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3390A KR101468290B1 (ko) | 2013-03-05 | 2013-03-05 |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829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8806B1 (ko) * | 1986-06-04 | 1991-10-21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거래처리장치 |
JPH11259719A (ja) * | 1998-03-09 | 1999-09-24 | Toshiba Corp | 紙葉類処理装置 |
JP2010044555A (ja) * | 2008-08-12 | 2010-02-25 |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 紙幣収納装置 |
JP2010061386A (ja) * | 2008-09-03 | 2010-03-18 | Glory Ltd | 紙葉類収納カセット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
-
2013
- 2013-03-05 KR KR1020130023390A patent/KR1014682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8806B1 (ko) * | 1986-06-04 | 1991-10-21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거래처리장치 |
JPH11259719A (ja) * | 1998-03-09 | 1999-09-24 | Toshiba Corp | 紙葉類処理装置 |
JP2010044555A (ja) * | 2008-08-12 | 2010-02-25 |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 紙幣収納装置 |
JP2010061386A (ja) * | 2008-09-03 | 2010-03-18 | Glory Ltd | 紙葉類収納カセット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9107A (ko) | 2014-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68582B1 (ko) | 지폐수납방출고 | |
KR101502987B1 (ko) | 지폐 수납고 및 지폐 취급 장치 | |
US9346639B2 (en) | Medium storage box,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CN109615764B (zh) | 薄片类介质输送机构、纸币集积分离装置及存取款机 | |
KR101250693B1 (ko) |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 |
JP5157078B2 (ja) | 紙葉類処理装置 | |
WO2013140451A1 (ja) | 紙葉類収納庫、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 |
JP6051060B2 (ja) | 紙幣取扱装置 | |
JP4830414B2 (ja) | 紙幣入出金機 | |
CN107958534B (zh) | 盒推板锁定装置 | |
KR101468290B1 (ko) |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 |
KR101965857B1 (ko) | 매체 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 |
KR101280691B1 (ko) |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금융기기 및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 | |
KR101016245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 |
WO2015040901A1 (ja) | 媒体繰出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KR101738819B1 (ko) |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 |
KR102002948B1 (ko) | 매체 반송 모듈과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 |
KR101099900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 |
KR101609455B1 (ko) |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 |
KR102030518B1 (ko) | 지폐류 입출금장치 | |
KR101529677B1 (ko) |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 | |
KR101546334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 |
KR101892478B1 (ko) |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집적장치 | |
KR20180111211A (ko) | 갭롤러를 구비한 다권종 지폐카세트 | |
JP2007087403A (ja) | 紙幣収納放出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