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67286B1 -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286B1
KR101467286B1 KR1020130097125A KR20130097125A KR101467286B1 KR 101467286 B1 KR101467286 B1 KR 101467286B1 KR 1020130097125 A KR1020130097125 A KR 1020130097125A KR 20130097125 A KR20130097125 A KR 20130097125A KR 101467286 B1 KR101467286 B1 KR 101467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atch bolt
fixing lever
fixed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형
하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130097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2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래치볼트 고정레버를 내외측 손잡이 중 어느 쪽에서라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를 설정 및 해제하는 고정레버의 작동을 위한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로서, 상기 고정레버는 선단이 상기 래치볼트의 말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부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작동단이 구비되며,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는 내/외측 손잡이축이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단을 작동시키는 레버 작동체, 및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인입 및 인출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와 상기 고정레버 사이에는, 상기 고정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의 인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Actuator for latch-bolt locking assembly}
본 발명은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래치볼트 고정레버를 내외측 손잡이 중 어느 쪽에서라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락은 레버 등의 회전수단을 작동하여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래치 볼트를 포함한다. 래치 볼트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잠금 및 해제하는 수단은 아니다. 이러한 래치 볼트만의 불안전함을 해결하고자 노브(knob) 또는 그립(grip)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데드 볼트를 설치하여 래치 볼트 및 데드 볼트에 의한 잠금 구조를 갖는 모티스(Mortise) 락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실내에서 나갈 시, 내부 레버를 조작하면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열 수 있도록 하여 편의를 제공하는 '패닉(panic)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패닉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은,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해제할 시, 데드볼트에 맞물려 있는 모터까지 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에서는 래치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원활하게 래치볼트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지시키는 작동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며, 아울러 문(도어; door)의 내외부에 설치된 내외측 손잡이의 회전방향이 서로 상이하여도 이들 모두를 통해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구조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작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래치볼트 고정레버를 내외측 손잡이 중 어느 쪽에서라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를 설정 및 해제하는 고정레버의 작동을 위한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로서, 상기 고정레버는 선단이 상기 래치볼트의 말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부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작동단이 구비되며,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는 내/외측 손잡이축이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단을 작동시키는 레버 작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레버 작동체는 상기 레버 작동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작동단과 간섭되는 작동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티스 본체에는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바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레버의 선단과 후단 사이에는 타측의 작동단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버 작동체에는 상기 작동편과 대향하는 위치에 타측의 작동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바의 양측은 상기 타측의 작동단과 상기 타측의 작동편에 맞닿도록 위치되어 상기 레버 작동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타측의 작동편이 상기 슬라이드바를 전진시켜 상기 고정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래치볼트의 말단을 지지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티스본체에서 인입 및 인출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와 상기 고정레버 사이에는, 상기 고정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의 인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의 측면에는 멈춤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서 선회되도록 고정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측으로는 상기 멈춤 돌기에 선택적으로 맞닿는 고정단이 연장되고, 타측으로 상기 고정레버의 롤러부에 맞닿도록 지지단이 연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단은 상기 고정레버의 선단에 형성된 롤러부에 안착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를 설정 및 해제하는 고정레버의 작동을 위한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로서, 상기 고정레버는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되고 복수의 작동단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는 내/외측 손잡이축이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레버를 작동시키도록 복수의 작동편이 형성된 레버 작동체, 및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 직선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바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 작동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레버 작동체의 제1 작동편이 상기 고정레버의 제1 작동단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레버의 상기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레버 작동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레버 작동체의 제2 작동편이 상기 슬라이드바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레버의 제2 작동단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타입의 고정레버를 채용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래치볼트 고정 및 해제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문의 내외측에 설치된 손잡이 축의 작동방향이 다르더라도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고정 상태 및 고정 해제상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장치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고정레버가 적용된 모티스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구성요소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레버 작동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 해지상태를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레버 작동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 해지상태를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레버 작동체의 스토퍼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설치 상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레버 작동체의 스토퍼 부재가 데드볼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은 모티스 본체(10)에 에지볼트(20), 래치볼트(30), 데드볼트(도시생략), 레버 작동체(50), 구동레버(60) 및 모터(70)가 구비된 통상의 모티스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지볼트(20)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문의 개폐시 모티스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에지볼트(20)에는 연동레버(90)가 연결되어 에지볼트(20)의 직선이동에 따라 연동레버(90)가 회전축(91)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연동레버(90)는 회전축(91)을 중심으로 상부의 제1단(93)이 에지볼트(20)와 연결되어 에지볼트(20)의 직선이동에 따라 같이 연동된다. 한편 연동레버(90)의 회전축(91)을 중심으로 하부의 제2단(94)은 고정레버(80)의 제1단(83)과 간섭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에지볼트(20)의 직선이동에 따라 연동레버(90)가 회전축(91)을 기준으로 선회되고, 연동레버(90)의 제2단(94)이 선회되는 것으로 고정레버(80)가 회전축(82)을 기준으로 선회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레버(80)에는 회전축(82)을 기준으로 상부의 제1단(83)이 형성되고, 측면에 제1 작동단(84)이 형성되고, 하단에 제2 작동단(85)이 형성된다. 또한 전방에는 롤러부(81)가 형성되어 래치볼트(30)의 작동바(33)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즉 일반적인 상태에서 고정레버(80)는 스프링에 의해 롤러부(81)가 전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고정레버(80)는 전방에 롤러부(81)가 장착되는데, 이 롤러부(81)는 양측에 동일한 형상을 한 작동편을 사이에 두고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고정레버(80)가 상부측으로 선회(시계방향으로 선회)되면 작동바(33)의 단부에서 롤러부(81)가 상승되어 래치볼트(30)의 고정상태는 해제될 수 있고, 문 닫힘 시와 같이 외압에 의해 래치볼트(30)가 모티스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고정레버(80)의 사이 공간으로 작동바(33)가 인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라이커(100)에서 래치볼트(30)가 이탈되어 모티스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래치볼트(30)는 스프링(S)과 같은 탄성체에 일단이 지지되어 외력이 작용할 때만 모티스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고정레버(80)도 회전축(8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토션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자유상태에서는 스프링력에 의해 도 1과 같이 롤러부(81)가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되며 롤러부(81)를 강제로 선회시키는 외력이 가해지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고정레버(80)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 고정레버(80)가 래치볼트(30)에 고정설정 및 해제되는 구성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고정레버(80)의 주변에는 레버 작동체(50)가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레버 작동체(50)에는 내/외측 손잡이 축이 삽입되어 내/외측 손잡이의 작동(회전)에 따라 이 레버 작동체(5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레버 작동체(50)에는 고정레버(80)의 제1 작동단(84)과 간섭되는 제1 작동편(51)과 이 제1 작동편(51)에 반대편 측에 설치된 제2 작동편(52)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고정레버(80)의 제2 작동단(85)과 레버작동체(50)의 제2 작동편(52) 사이에는 슬라이드바(15)가 장착되는데, 이 슬라이드바(15)는 가이드 포스트(16)와 모티스 본체(10)의 측벽 사이에서 안내되어 레버 작동체(50)의 회전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상태에서 레버 작동체(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레버 작동체(50)의 제1 작동편(51)이 고정레버(80)의 제1 작동단(84)을 하강시켜 고정레버(8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에 따라 고정레버(80)의 롤러부(81)가 래치불트(30)의 말단에서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어 래치볼트(30)가 모티스 본체(10)의 내부로 인입이 가능하게 된다(제 1 고정해제 상태; 도 5 참조).
한편, 레버 작동체(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레버 작동체(50)의 제2 작동편(52)이 슬라이드바(15)를 밀어내고 슬라이드바(15)의 선단이 고정레버(80)의 제2 작동단(85)을 밀어내 고정레버(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에 따라 고정레버(80)의 롤러부(81)가 래치불트(30)의 말단에서 고정된 상태가 해체되어 래치볼트(30)가 모티스 본체(10)의 내부로 인입이 가능하게 된다(제2 고정해제 상태; 도 6 참조).
이와 같이 레버 작동체(50)의 회전방향에 상관없이(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과 같은 양방향 회전), 레버 작동체(50)의 작동에 의해 고정레버(80)의 고정상태의 해제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좌우수 방식에 따른 핸들의 변경에 적용이 가능하고, 내외측 손잡이의 회전방향이 상이하여도 사용자가 문의 내외측에서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문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레버 작동체(50)에 문의 내외측 손잡이 축이 연결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도 래치볼트(30)를 고정하는 고정레버(80)를 해제상태로 선회시킬 수 있어 작동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티스 본체(400)의 내부에 설치된 데드볼트(200)의 인출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3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래치불트(30)가 도 8과 같이 완전히 모티스 본체(400)에 반쯤 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경우(완전히 인출되지 못하고 끼인 상태)와 같이 래치볼트(30)가 부적절한 자세를 취하게 되면 데드볼트(200)의 인출을 방지하고, 이러한 상태를 도어락의 제어부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음향이나 메시지 등으로 출력).
구체적으로, 데드볼트(200)와 고정레버(80) 사이에는, 고정레버(80)의 회전에 의해 데드볼트(200)의 인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300)가 모티스 본체(400)의 내부에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데드볼트(200)의 측면에는 멈춤 돌기(210)가 형성되며, 스토퍼 부재(30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토퍼 부재(300)는 모티스 본체(400)의 내부에서 선회되도록 고정된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데드볼트(200)의 멈춤 돌기(210)에 선택적으로 맞닿는 고정단(310)이 연장되고, 타측으로 고정레버(80)의 롤러부(81)가 맞닿도록 지지단(320)이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지지단(320)은 고정레버(80)의 선단에 형성된 롤러부(81)에 안착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고정레버(80)의 롤러부(81)가 래치볼트(30)의 단부(35)에서 상승된 상태에서는 롤러부(81)가 상승되어 지지단(320)을 밀어올려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고정단(310)을 선회시키는 것으로 데드볼트(200)의 멈춤 돌기(210)에 탄성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할 수 있다.
이 상태(래치볼트의 정위치가 아닌 잘못된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서는 데드볼트(200)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가 지속 된다면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이상신호(문자, 음향)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모티스 본체 20: 에지볼트
30: 래치볼트 15: 슬라이드바
50: 레버 작동체 60: 구동레버
70: 모터 80: 고정레버
90: 연동레버 100: 스트라이커

Claims (3)

  1. 래치볼트(30)의 고정상태를 설정 및 해제하는 고정레버(80)의 작동을 위한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로서,
    상기 고정레버(80)는 롤러부(81)가 구성된 선단이 상기 래치볼트(30)의 말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회전축(86)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부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작동단(84)이 구비되며,
    상기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는 내/외측 손잡이축이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단(84)을 작동시키는 레버 작동체(50),
    상기 모티스 본체(400)에서 인입 및 인출되는 데드볼트(200), 및
    상기 데드볼트(200)와 상기 고정레버(80) 사이에는, 상기 고정레버(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200)의 인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200)의 측면에는 멈춤 돌기(210)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30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티스 본체(400)의 내부에서 선회되도록 고정된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일측으로는 상기 멈춤 돌기(210)에 선택적으로 맞닿도록 형성된 고정단(310), 및
    상기 고정레버(80)의 상기 롤러부(81)가 맞닿도록 연장된 지지단(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320)은 상기 고정레버(80)의 상기 롤러부(81)에 안착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1020130097125A 2013-08-16 2013-08-16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Active KR101467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125A KR101467286B1 (ko) 2013-08-16 2013-08-16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125A KR101467286B1 (ko) 2013-08-16 2013-08-16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286B1 true KR101467286B1 (ko) 2014-12-01

Family

ID=5267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125A Active KR101467286B1 (ko) 2013-08-16 2013-08-16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2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734Y1 (ko) * 2002-06-24 2002-09-11 서규식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KR100895874B1 (ko) * 2007-04-10 2009-04-30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도어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734Y1 (ko) * 2002-06-24 2002-09-11 서규식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KR100895874B1 (ko) * 2007-04-10 2009-04-30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2722B2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JP4019037B2 (ja) 扉体のクローザー装置
US20100127511A1 (en) Vehicle door latch having a power lock-unlock mechanism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WO2016084805A1 (ja) 車両ドア作動装置
JP4210228B2 (ja) 後側ドア用車両ドアラッチ装置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JP2007154418A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操作装置
KR10124718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US11608664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JP4823874B2 (ja) 電気錠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101467286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US11384563B2 (en) Spring retaining assembly for vehicle latch actuator mechanism
JP4368565B2 (ja) 錠前の反転ラッチ用ストッパー機構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US10612276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4424924B2 (ja) プシュ・プル錠
KR101142260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0713073B1 (ko) 도어락 장치용 락모듈
KR20180024584A (ko) 디지털 푸쉬 풀 도어락
JP4282367B2 (ja) 扉用電気錠
JP2008255700A (ja) グローブボック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