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103B1 - Apparatus for bisexual urinal with function of bide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bisexual urinal with function of bid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6103B1 KR101456103B1 KR1020130022462A KR20130022462A KR101456103B1 KR 101456103 B1 KR101456103 B1 KR 101456103B1 KR 1020130022462 A KR1020130022462 A KR 1020130022462A KR 20130022462 A KR20130022462 A KR 20130022462A KR 101456103 B1 KR101456103 B1 KR 1014561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ine
- stand
- water
- holder
- toi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2485 uri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1635 urinary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001 urina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6543 Urinary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HGAZMNJKRQFZKS-UHFFFAOYSA-N chloroethene;ethe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lC=C.CC(=O)OC=C HGAZMNJKRQFZK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8—Covers with urine funn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소변 및 세척수를 수집하고, 상측부분이 개방되어 안착부를 형성하며, 하측부분에 소변 및 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를 형성하는 소변수기를 포함한다. 또한, 일단이 배출부에 결합되어 소변수기와 연통되고, 양변기와 연통된 오수관에 타단이 연통되는 도뇨관을 포함한다. 또한, 일단에 홀더를 구비하고, 홀더와 소변수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양변기와 결합되어 소변수기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한다. 또한, 안착부의 일 구간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비데를 포함한다. 또한, 안착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소변수기의 내측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비데 및 세척수분사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v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which comprises a tubular urine collector which collects urine and washing water, forms an upper part of the urine and forms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urine and water, . And a cathet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urine collector,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sewage pipe communicated with the toilet. The stand includes a holder at one end thereof, a holder and a urine absorb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the stand coupled to the toilet seat to support the urine absorbing unit. Further, the bidet includes a bidet which is installed in a section of the seat portion to spray wash water. And a washing water distributor provided inside the seat portion for spraying wash water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urine collector. Further,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 bidet and a water supply section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washing water splash s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남성 및 여성(이하, ‘양성’이라 함)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양성용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에 결합이 가능하며, 양성이 방뇨 후 양성의 비뇨기의 세정이 가능한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l to be used for both men and wom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siti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rine for positive urine which can be bound to a toilet and has a positive biliary function To urine to be positive.
오늘날, 주거형태 및 시설물형태의 변화로 인해 개인공간의 구조적 변화도 함께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화장실 환경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화장실 환경의 변화 중 가장 두드러진 점은 양변기 사용의 일반화일 것이다. 화장실이 생활공간에 배치되면서 양변기의 사용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도 늘어나고 있다. Today, due to the changes in the type of housing and the type of facilities,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private space have been accompanied by the change of the toilet environment. The most striking change in the toilet environment is the generalization of the use of toilet bowls. As the toilet is placed in the living space, the use of the toilet increases, and the amount of water used in the toilet is increasing accordingly.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는 시이트를 구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용변을 본 후 저장된 물을 배출시킴으로써 오물을 함께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현재, 양변기는 화장실 구조 및 사용상의 편의성에 부합하기 위해 꾸준한 개발을 통해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In general, the toilet has not only a seat on which the user can sit, but also stor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discharges the stored water after discharging the toilet, and discharges the dirt together. At present, the toilet has been introduced variously through steady development in order to meet the convenience of toilet structure and use.
해당 기술분야의 종래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09-0055366호의 “위생 양변기 및 이의 작동 방법”이 있다. 종래기술은 양성이 양변기에 방뇨 시, 방뇨 후 양변기 내의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을 소비해야 한다. 이는 소변과 대변의 용무를 양변기에서 동시에 해결하고 동일한 양의 물을 사용하는 양변기의 특성에 의한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은 남성이 사용할 경우, 남성의 방뇨자세로 인해 소변의 비산 및 튀김과 낙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Prior art in the related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55366, entitled " sanitary toilet bowl and its operation method ". The prior art has to consume a large amount of water in order to discharge the urine in the toilet after urination when the urine is positive in the toilet. This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ilet that uses the same amount of water to solve urine and feces in the urinals simultaneously. In addition, when the male is used in the prior art, urine scattering, frying, and dropping noise may occur due to male urination.
종래기술과 같은 양변기는 과도한 물 사용과 물 내려가는 소음, 소변의 비산 및 튀김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양변기 주위의 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인 양성의 비뇨기에 질병(감염성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다. Such a toilet as in the prior art causes pollution around the toilet due to excessive use of water, noise in descending water, scattering of urine and frying. In addition, du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it is possible to cause diseases (infectious diseases) in the benign urinary tract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The ur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양성이 양변기에 방뇨 시 양변기 내의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과도한 양의 물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ir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itiv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for preventing an excessive amount of water from being used for discharging the urine in the toilet when positive in urination of the urinal.
둘째, 양성이 방뇨 시 소변의 비산 및 비뇨기로의 튀김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뇨기 질환을 예방하고, 비뇨기의 위생관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Second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rinal for urination having a bidet function for preventing urinary diseases caused by urinary incontinence and urinary frying during urination, and for hygienic management of the urinary system.
셋째, 양성이 방뇨 시 소변의 비산, 튀김 및 낙하 소음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화장실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ir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itiv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for preventing the scattering, frying and falling noise of urine during positive urination and preventing the contamination of the toilet caused thereby.
넷째, 양성이 착석한 상태 또는 누워있는 상태에서 방뇨를 가능하도록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Fourt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itiv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that enables urination in a sitting state or in a lying stat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소변 및 세척수를 수집하고, 상측부분이 개방되어 안착부를 형성하며, 하측부분에 소변 및 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를 형성하는 소변수기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rinal for urinals having a bidet function, which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to collect urine and wash water, and an upper portion is opened to form a seat portion. Includes urine handwriting that forms.
또한, 일단이 배출부에 결합되어 소변수기와 연통되고, 양변기와 연통된 오수관에 타단이 연통되는 도뇨관을 포함한다.And a cathet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urine collector,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sewage pipe communicated with the toilet.
또한, 일단에 홀더를 구비하고, 홀더와 소변수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양변기와 결합되어 소변수기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한다.The stand includes a holder at one end thereof, a holder and a urine absorb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the stand coupled to the toilet seat to support the urine absorbing unit.
또한, 안착부의 일 구간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비데를 포함한다. 또한, 안착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소변수기의 내측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를 포함한다.Further, the bidet includes a bidet which is installed in a section of the seat portion to spray wash water. And a washing water distributor provided inside the seat portion for spraying wash water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urine collector.
또한, 비데 및 세척수분사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한다.Further,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 bidet and a water supply section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washing water splash section.
또한, 스탠드는 타단에 양변기 결합홀더를 구비하여, 양변기 결합홀더가 양변기의 일구간에 체결되어 결합한다. 아울러, 커버 체결부에 높이조절부재를 결합하여, 스탠드가 일 커버 체결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의 양측 높이를 유지한다.Further, the stand has a toilet seat coupling holder at the other end, and the toilet seat coupling holder is fastened and engaged in one section of the toilet seat. In addition, a height adjus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ver fastening portion to maintain the height of both sides of the cover in a state where the stand is engaged with the one cover fasten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positive urinal having the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일단에 안착부와 타단에 배출부가 형성된 소변수기에 수집된 소변이 도뇨관을 통해 양변기와 연통된 오수관에 배출됨으로써, 양성이 방뇨 시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양변기 내의 과도한 양의 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First, it is necessary to use excessive amount of water in the toilet to discharge the urine when the urine is positive, because the urine collected in the urine handler having the seat part at one end and the discharge part at the other end is discharged to the sewa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oilet through the urinary catheter none.
둘째, 소변수기에 형성된 안착부의 측단면 형상이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굴곡지고, 안착부가 소변수기 보다 상대적으로 플렉시블하며, 안착부가 양성의 비뇨기 부근에 밀착되고, 안착부의 내측에 비데가 설치됨으로써, 양성이 방뇨 시 소변의 비산 및 비뇨기로의 튀김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뇨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비뇨기의 위생관리가 가능하다.Second, the later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at formed in the urine handwheel is curv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the seat is relatively more flexible than the urine handwheel, the seat is close to the positive urinary tract, and the bidet is installed inside the seat. It can prevent urinary diseases caused by urinary incontinence and urinary frying during urination, and it is possible to manage urinary hygiene.
셋째, 안착부가 양성의 비뇨기 부근에 밀착되어 양성의 방뇨 시, 소변이 소변수기에 수집되고 소변수기의 세척이 가능함으로써, 양성이 방뇨 시 소변의 비산, 튀김 및 낙하 소음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화장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when the urine is collected in the urine and the urine can be washed during positive urination, the urine is prevented from scattering, frying, and falling when the urine is positive. The contamination of the toilet can be prevented.
넷째, 홀더가 길이 방향의 일 구간이 분리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홀더가 소변수기의 하측부분을 파지하고, 분리된 일 구간을 통해 소변수기의 탈착이 가능함으로써, 양성이 착석한 상태 또는 누워있는 상태에서 방뇨를 가능하다.Fourthly, the holder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in which one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eparated, the holder grasps the lower portion of the urine handler, and the urine handler can be detached through the separated section, It is possible to urinate in the state with.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의 소변수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의 스탠드 및 높이조절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의 도뇨관과 오수관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urinal for baptism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other view for explaining a urinal for baptism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urine handler of a positiv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nd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of a urinal for positive having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bination of a catheter and a drain pipe of a positiv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는 양성이 사용할 수 있는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양변기(121)와 결합되어 양성의 방뇨 시 소변을 수집하고, 양변기와 별도로 수집된 소변을 배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는 양성이 방뇨 시 소변을 오수관(122)에 배출하기 위해 양변기(121)에 저장된 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ositiv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rinal which can be positively used. Preferably, the positive urinal is combined with the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는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된 수세식 서양 변기를 의미한다.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flush toilet of the flush sitting on the fl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소변 및 세척수를 수집하고, 상측부분이 개방되어 안착부(111)를 형성하며, 하측부분에 소변 및 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112)(도 3 참조)를 형성하는 소변수기(110)를 포함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urinal for baptism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sitiv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ubular shape, collecting urine and washing water, forming an upper part of the urinal to open the
또한, 일단이 배출부(112)에 결합되어 소변수기(110)와 연통되고, 양변기(121)와 연통된 오수관(122)에 타단이 연통되는 도뇨관(120)을 포함한다. 또한, 일단에 홀더(131)를 구비하고, 홀더(131)와 소변수기(11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양변기(121)와 결합되어 소변수기(110)를 지지하는 스탠드(130)를 포함한다.And a
또한, 안착부(111)의 일 구간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비데(140)를 포함하며, 안착부(111)의 내측에 설치되어 소변수기(110)의 내측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170)를 포함한다. 또한, 비데(140) 및 세척수분사부(17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150)를 포함한다. And 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소변수기(110)는 상측의 일단에 안착부(111)를 형성한다. 또한, 하측의 타단에 배출부(112)를 형성한다. 소변수기(110)는 안착부(111)의 직경이 배출부(11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소변수기(110)는 정단면 형상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정 단면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소변수기(110)를 횡방향으로 단면 처리했을 때, 안착부(111)에서 배출부(112) 방향으로 단면처리된 소변수기(110)의 형상을 의미한다.In one embodiment, the
소변수기(110)는 소변을 수집 및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종방향의 길이가 10㎝ 이상 15㎝이하로 이루어져 있고, 정단면형상에서 직경이 5㎝ 이상 10㎝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변수기(110)는 구조적 특징으로 양성이 모두 사용가능하며, 양성의 비뇨기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111)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소변수기(110)의 크기 및 형상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The
소변수기(110)는 외측에 손잡이(113)를 포함한다. 손잡이(113)는 소변수기(110)의 외측이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손잡이(113)는 별도로 구비되어 소변수기(110)와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손잡이(113)의 결합은 볼트 및 너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딩처리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손잡이(113)가 소변수기(110)에 결합될 것이다. The
소변수기(110)에 손잡이(113)가 포함되어,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를 사용하려는 사용자인 양성은 손잡이(113)를 파지하고 소변수기(110)를 당기거나 밀어서, 소변수기(110)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The user who intends to use the
스탠드(130)는 소변수기(110)의 높이를 사용자의 키와 방뇨 자세에 따라 가변되도록 한다. 스탠드(130)는 소변수기(110)를 양성의 비뇨기 부근에 위치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하며, 소변수기(110)와 양변기(121)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스탠드(130)는 소변수기(110)를 파지하기 위해 일단에 홀더(131)를 구비한다. 홀더(131)는 소변수기(110)의 배출부(112)와 끼움결합되고,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다. 홀더(131)는 소변수기(110)의 파지를 위해 배출부(112) 이외에 소변수기(110)의 일 구간을 파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스탠드(130)는 소변수기(110)의 배출부(112)에 도뇨관(120)과 함께 결합되어 소변수기(110)를 지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뇨관(120)과 별도로 배출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130)가 배출부(112)와 결합할 경우, 암수결합구조에 의해 결합되거나 끼움결합구조에 의해 결합 가능할 것이다. 이때, 스탠드(130)는 결합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홀더(131)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The
스탠드(1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 방식에 의해 종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어 소변수기(1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스탠드(130)의 종방향 슬라이드 이동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에서 a'방향 또는 a'에서 a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스탠드(130)는 일단에 홀더(131)를 구비하고, 홀더(131)와 소변수기(11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양변기와 결합되어 소변수기를 지지한다. 도 4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30)는 바(bar) 형태의 종방향부재(130a)와 횡방향부재(13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탠드의 일단 즉, 스탠드 종방향부재(130a)의 상단에 홀더(131)가 구비되고, 스탠드 횡방향부재(130b)의 타단이 양변기의 일 커버결합부(125)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횡방향부재(13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회동(b-b'방향)이 가능하고, 전후슬라이딩이동(c-c'방향)도 가능하다. 종방향부재(130a)는 상하슬라이딩이동(a-a'방향)이 가능하다. 종방향부재와 횡방향부재의 슬라이딩이동은 인출방식의 슬라이드 이동 방식 또는 레일방식에 따른 슬라이드 이동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The
또한, 스탠드(130)는 타단이 양변기(121)의 일 커버 체결부(125)와 결합되고, 스탠드(130)가 양변기(12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스탠드(130)의 전후 방향이동은 도 4에 도시된 b에서 b'방향 또는 b'에서 b방향을 의미한다.The other end of the
아울러,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31)는 힌지구조로 이루어져 손잡이(113)를 당기거나 밀어서 소변수기(110)의 각도를 도 4와 같이 d에서 d'방향 또는 d'에서 d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1 and 4,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은 도 1에 도시된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와 스탠드(130)를 달리한다. 스탠드(13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함으로, 도 2를 통해 스탠드(130)만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2 is another view for explaining a urinal for baptism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ve urinal having the bidet function shown in FIG. 2 differs from the
도 2에 도시된 스탠드(130)는 바(bar) 형태의 종방향부재(130a)와 횡방향부재(13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탠드(130) 종방향부재(130a)의 상단에는 홀더(131)가 구비되고, 스탠드 횡방향부재(130b)의 타단은 양변기의 일 구간, 예로 측면부 테두리에 구비된 양변기 결합홀더(132)에 체결된다. 스탠드의 종방향부재(130a)는 상하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므로(도 4의 a-a'방향 참조), 종방향으로 길이조절이 되면서 홀더(131)에 결합된 소변수기(1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스탠드의 횡방향부재(130b)는 전후 슬라이딩이동되어(도 4의 c-c'방향 참조) 소변수기(110)와 양변기(121)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종방향부재와 횡방향부재의 슬라이딩이동은 인출방식의 슬라이드 이동 방식 또는 레일방식에 따른 슬라이드 이동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The
도 2에서 스탠드(130)의 횡방향 슬라이드 이동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에서 c'방향 또는 c'에서 c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에서 스탠드(130)의 종방향 슬라이드 이동은 a에서 a'방향 또는 a'에서 a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In FIG. 2, the lateral slide movement of the
스탠드(130)는 기계식 또는 유압식의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높이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기계식 또는 유압식의 자바라 방식에 의해 높이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The
스탠드(130)는 양변기(121)의 일 구간에 결합되어 소변수기(110)를 지지한다. 스탠드(130)는 일단이 홀더(131)를 통해 소변수기(110)를 파지하고, 타단에 양변기 결합홀더(132)를 구비하여 양변기(121)의 일 구간에 체결될 수 있다. The
스탠드(130)와 양변기(121)의 결합 시, 양변기 결합홀더(132)의 위치는 양변기(121)의 상측부분 중 일 구간이 일반적일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변기 결합홀더(132)는 양변기의 하측부분 중 일 구간에도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양변기 결합홀더(132)는 양변기(121)의 외측 일 구간에 소정의 넓이를 차지하며, 양변기(121)과 결합될 것이다.When the
또한, 양변기(121)와 양변기 결합홀더(132)를 볼트, 너트 결합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양변기 결합홀더(132)는 양변기(121)의 일 구간에 끼움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lso, the
도 2에 도시된 양변기 결합홀더(132)는 볼트, 너트 결합과 끼움결합 이외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커버 체결부(125)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스탠드(130)와 양변기(121)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양변기 결합홀더(132)가 일 커버 체결부(125)에 결합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121)의 전후방향으로 스탠드(130)가 이동되어 소변수기(1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후방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에서 b'방향 또는 b'에서 b방향을 의미한다.The toilet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30)가 양변기(121)의 상부 일 구간에 결합될 경우, 스탠드(130)는 지지대(190)을 더 포함한다. 스탠드(130)가 지지대(190)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여성 또는 남성이 소변수기(110)의 안착부(111)에 착석하여 방뇨할 경우 소변수기(110)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지지대(190)가 안착부(111)에 착석한 여성 또는 남성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가능하다.2,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의 소변수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소변수기(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urine handler of a positiv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수기(110)는 상측에 안착부(111)를 형성하고 하측에 배출부(112)를 형성한다. 안착부(111)는 소변수기(110)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며 배출부(110)는 소변수기(110)의 하측에 형성된다. 배출부(110)는 밀폐되어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되, 도뇨관(120)과 연통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안착부(111)는 소변수기(110)의 개방된 상측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측단면 형상이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굴곡진 형상이다. 측단면 형상은 소변수기(110)를 안착부(111)에서 배출부(110) 방향으로 단면처리 하였을 때 측면에서 바라본 안착부(111)의 형상을 의미한다. 안착부(111)의 형상은 양성의 비뇨기 부근에 밀착가능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In one embodiment, the
또한, 안착부(111)는 소변수기(110)보다 상대적으로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안착부(111)의 딱딱함 정도가 소변수기(110)의 딱딱함 정도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착부(111)가 양성의 비뇨기 부근에 밀착될 때 편안함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안착부(111)에 쿠션재를 더 포함하여 편안함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변수기(110)보다 부드러운 소재를 이용하여 안착부(111)를 형성하여 감촉 또는 편안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안착부(111)는 정단면 형상이 소변수기(110)의 정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안착부(111)의 직경은 배출부(112)의 직경보다 넓다. 소변수기(110)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부(112)는 도뇨관(120)의 결합에 의해 외부와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배출부(112)는 개방된 상태에서 도뇨관(120)과 연통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뇨관(120)과 소변수기(110)는 연통된다. The
배출부(112)와 도뇨관(120)은 암수결합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끼움결합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배출부(112)와 도뇨관(120)의 결합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수기(110)에 형성된 안착부(111)의 내측에는 다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비데(140) 및 세척수분사부(170)를 포함한다. 세척수분사부(170)는 소변수기(110)의 내측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를 분사하고, 비데(140)는 양성의 비뇨기 또는 비뇨기 부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를 분사한다. 비데(140) 또는 세척수분사부(170)는 다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
비데(140)는 안착부(111)의 일 구간에 설치되어 여성이 사용할 경우, 여성의 비뇨기 앞부분에서 뒷부분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또한, 세척수분사부(170)는 안착부(111)를 따라 설치되고, 소변수기(110)의 내측면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때, 세척수분사부(17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구(180)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를 여성이 사용할 경우, 비데(140)는 좌석한 여성의 비뇨기 앞부분에 해당되는 안착부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비뇨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시켜 비뇨기 부근을 세척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때, 세척수분사부(170)는 소변수기(110)의 내측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소변수기(110)의 세척도 하게 된다. 소변수기(140)의 내측면 세척과 비뇨기 부근 세척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간차를 두어 비뇨기 부근 세척 후 소변수기(110)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a femal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한편, 남성의 경우는 입석한 상태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140)는 입석한 남성의 비뇨기 귀두의 뒤쪽부분에 해당되는 안착부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분사시켜 비뇨기 부근을 세척하게 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al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the standing state. The
이는 물공급부(150)에 포함된 물공급조절부(151)를 통해 가능할 것이다. 물공급조절부(151)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다양한 모드의 비데 동작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This will be possible through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수기(110)는 스탠드(13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홀더(131)는 길이 방향의 일 구간이 분리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홀더(131)는 소변수기(110)의 하측부분을 파지하고, 홀더(131)의 외측이 스탠드(130)의 일 단과 힌지구조로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3, the
홀더(131)는 일 구간이 분리된 통형상으로 인해 소변수기(110)의 하측 부분을 집게와 같은 방식으로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변수기(110)는 홀더(131)에서 탈착이 가능하고, 홀더(131)에 의해 소변수기(110)의 용이한 파지가 가능하다. The
또한, 홀더(131)는 분리된 일 구간을 통해 소변수기(110)의 탈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는 사용자인 양성이 의자, 휠체어 등에 착석한 상태에서 소변수기(110)를 홀더(131)에서 분리하여 사용자의 비뇨기에 밀착시켜 방뇨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병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가 사용될 경우, 휠체어에 착석한 사용자는 소변수기(110)에 형성된 손잡이(113)를 파지한 후, 당김동작을 통해 소변수기(110)를 홀더(131)에서 분리하여 탈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탈거한 소변수기(110)를 자신의 비뇨기 부분에 밀착시켜 방뇨를 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a positiv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hospital, a user seated on the wheelchair grasps the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는 전술한 홀더(131) 및 소변수기(110)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사용자인 양성이 착석한 상태 또는 누워있는 상태에서도 방뇨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ositive urinal having the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rinate even when the positive user is seated or lying down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의 스탠드 및 높이조절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스탠드(130)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드(130)가 위치 이동 및 각도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스탠드(130)는 일단에 소변수기(110)를 파지하는 홀더(131)를 구비하고, 홀더(131)는 스탠드(130)와 힌지구조로 결합되고, 홀더(131)가 d에서 d'방향 또는 d'에서 d방향으로 힌지 구동하여 소변수기(110)의 각도를 조절한다.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nd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of a urinal for positive having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아울러, 양변기(121)와 스탠드(130)는 양변기(121)에 형성된 일 커버 체결부(125)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일 커버 체결부와 이격 배치되는 타 커버체결부가 구비되어, 양변기 커버는 일 커버 체결부 및 타 커버 체결부에 결합되며, 일반적으로 회전동작으로 개폐된다. 도 4와 같이, 일 커버 체결부(125)와 타 커버 체결부(126)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양변기의 경우, 스탠드(130)의 횡방향부재(130b)의 타단이 일 커버 체결부(125)의 하측에 결합되면, 일 커버 체결부(125)는 횡방향부재 타단의 두께만큼 높이가 증가될 것이다. 이로 인해, 일 커버 체결부(125)와 타 커버 체결부(126)에 결합되는 양변기 커버(128)의 수평상태가 유지되기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 경우, 타 커버 체결부(126)의 하측에 스탠드 횡방향부재 타단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진 높이조절부재(127)를 결합하여, 일 커버 체결부와 타 커버 체결부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양변기 커버(128)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30)는 타단이 양변기(121)의 일 커버 체결부(125)와 결합되어, 횡방향인 c에서 c'방향 또는 c'에서 c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스탠드(130)는 종방향인 a에서 a'방향 또는 a'에서 a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홀더(131)와 결합된 소변수기(110)의 높이를 조절한다. 도 4에 도시된 스탠드(130)의 슬라이드 이동은 인출방식의 슬라이드 이동 방식 또는 레일방식의 슬라이드 방식 등 다양한 슬라이드 이동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4, the other end of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스탠드(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121)의 전후방향인 b에서 b'방향 또는 b'에서 b방향으로 이동되어 소변수기(1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4,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의 도뇨관과 오수관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뇨관(120)은 일단이 소변수기(110)의 배출부(112)와 결합되어 소변수기(110)와 연통되고, 타단이 양변기(121)의 오수관(122)과 연통된다. 이때, 오수관(122)은 양변기(121)에서 배출되는 소변, 세척수 등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bination of a catheter and a drain pipe of a positive urinal having a bide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도뇨관(120)은 소변수기(110)에 수집된 소변과 세척수를 오수관(122)으로 인도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도뇨관(120)은 유연성을 가진 자바라관 등의 주름관 또는 타이곤(tygon)튜브 등의 연질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도뇨관(120)은 일 구간에 U자 형태 또는 O자 형태의 트랩부(123)을 더 포함하며, 트랩부(123)는 배출부(112)를 통해 배출된 소변의 역류, 오수관(122)을 통한 냄새의 역류, 물의 역류를 방지한다. The
도뇨관(120)은 오수관(122)의 삽입을 위해 어댑터관(124)을 구비한다. 어댑터관(124)은 도뇨관(120)과 오수관(122)의 연통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오수관(122)의 삽입은 어댑터관(124)에 의해 이루어진다. 어댑터관(124)이 오수관(122)에 삽입되어, 도뇨관(120)과 오수관(122)이 서로 연통시킨다.The catheter tube (120) has an adapter tube (124) for insertion of the sewage pipe (122). The
어댑터관(124)은 도뇨관(120)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뇨관(120)은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면, 어댑터관(124)은 자바라 스테인레스스틸관, 엑셀관과 같은 절곡 성형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도뇨관(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121)의 하부에 형성된 양변기 고정용 볼트 구멍(160)을 통해 오수관(122)과 연통될 수 있다. 또는 오수관(122)에 도뇨관(120)의 삽입을 위한 별도의 통로를 형성하여 도뇨관(120)을 오수관(122)에 삽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도뇨관(120)이 오수관(122)과 연통됨으로, 양성의 방뇨 시 소변수기(110)에 수집된 소변은 양변기(121)로 유입되지 않고, 오수관(122)으로 직접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양성이 방뇨 후 비데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수집되는 소변수기(110) 내의 물이 도뇨관(120)을 통해 수관(122)으로 직접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양성이 방뇨 후 양변기(121)에 저장된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변기(121)에 방뇨 시 사용해야하는 과도한 양의 물을 사용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물 사용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The urine collected in the
일 실시 예에서 물공급부(150)는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비데(140)로 물을 공급한다. 물공급부(150)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관을 이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물공급부(150)는 비데(140)의 세척수공급 여부, 세척수 분사 압력, 세척수 분사 시간 또는 세척수 분사 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물공급조절부(151)를 더 포함한다. 물공급조절부(151)는 밸브(미도시), 스위치(미도시), 밸브를 조절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한 제어부(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물공급조절부(151)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시간동안만 물을 비데(140)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물공급은 스위치에 의한 스위칭 신호로 밸브가 구동되어 이루어질 것이다. The
밸브의 구동은 스위칭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며 제어신호는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다. 세척수 분사 압력 및 세척수공급 여부는 전술한 밸브에 의해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세척수 분사 시간은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The driving of the valve will be made by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ing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 part. The wash water injection pressure and the supply of wash water may be controlled by the valves described above, and the wash water injection time may be set and changed.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는 일단에 안착부(111)와 타단에 배출부(112)가 형성된 소변수기(110)에 수집된 소변이 도뇨관(120)을 통해 양변기(121)와 연통된 오수관(122)에 배출됨으로써, 양성이 방뇨 시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양변기(121) 내의 과도한 양의 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1 to 5, the urine collected in the
또한, 소변수기(110)에 형성된 안착부(111)의 측단면 형상이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굴곡지고, 안착부(111)가 소변수기(110) 보다 상대적으로 플렉시블하며, 안착부(111)가 양성의 비뇨기 부근에 밀착되고, 안착부(111)의 내측에 비데(140)가 설치됨으로써, 양성이 방뇨 시 소변의 비산 및 비뇨기로의 튀김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뇨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비뇨기의 위생관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또한, 안착부(111)가 양성의 비뇨기 부근에 밀착되어 양성의 방뇨 시, 소변이 소변수기(110)에 수집되고 소변수기(110)의 세척이 가능함으로써, 양성이 방뇨 시 소변의 비산, 튀김 및 낙하 소음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화장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urine is collected in the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which ma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소변수기
111: 안착부 112: 배출부
113: 손잡이 120: 도뇨관
121: 양변기 122: 오수관
123: 트랩 124: 어댑터관
125: 일 커버 체결부 126: 타 커버 체결부
127: 높이조절부재 128: 커버
130: 스탠드 131: 홀더
132: 양변기 결합홀더 140: 비데
150: 물공급부 151: 물공급조절부
160: 고정용 볼트 구멍 170: 세척수분사부
180: 분사구 190: 지지대110: piss collector
111: seat part 112:
113: handle 120: catheter
121: toilet bowl 122: sewage pipe
123: trap 124: adapter tube
125: one cover fastening part 126: another cover fastening part
127: height adjustment member 128: cover
130: Stand 131: Holder
132: toilet seat coupling holder 140: bidet
150: water supply unit 151: water supply adjustment unit
160: Fixing bolt hole 170: Washing water sprayer
180: nozzle 190: support
Claims (12)
일단이 배출부에 결합되어 소변수기와 연통되고, 양변기와 연통된 오수관에 타단이 연통되는 도뇨관;
일단에 홀더를 구비하고, 홀더와 소변수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양변기와 결합되어 소변수기를 지지하는 스탠드;
안착부의 일 구간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비데;
안착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소변수기의 내측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
비데 및 세척수분사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A urine collector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collect urine and wash water, opens the upper part to form a seat part, and forms a discharge part for urine and water discharge in the lower part;
A cathet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urine collector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sewage pipe communicated with the toilet;
A stand having a holder at one end, a hold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rine handwheel, and a stand coupled to the other end to support the urine handwheel;
A bidet installed in a section of the seat part for spraying wash water;
A washing water splasher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at part for spraying wash wat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rine collector;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bidet and the washing water splashing unit.
안착부는 외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소변수기의 상측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측단면 형상이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굴곡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portion is formed along an upper portion of the urine handwheel having the handle on the outside thereof and has a curved shape whose side end face is curv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portion.
비데는 안착부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det is installed at a front portion of the seat portion to spray wash water.
세척수분사부는 안착부를 따라 설치되고, 소변수기의 내측면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소변수기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shing water splash portion is installed along the seat portion and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urine water machine to clean the urine water machine.
스탠드는 슬라이드 이동 방식에 의해 종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어 소변수기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스탠드는 슬라이드 이동 방식에 의해 횡방향으로 길이 조절되어 소변수기와 양변기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stand is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slide moving metho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rine handler,
Wherein the stand is adjusted in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by a slide moving metho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rine handler and the toilet seat.
스탠드는 타단에 양변기 결합홀더를 구비하여, 상기 양변기 결합홀더가 양변기의 일구간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and comprises a toilet seat coupling holder at the other end, and the toilet seat coupling holder is fastened and engaged in one section of the toilet seat.
스탠드는 슬라이드 이동 방식에 의해 종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어 소변수기의 높이를 조절하고,
스탠드는 타단이 양변기의 일 커버 체결부와 결합되고, 스탠드가 양변기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stand is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slide moving metho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rine handler,
And the other end of the stand is engaged with the one cover fastening portion of the toilet seat, and the stand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toilet seat.
일 커버 체결부와 이격 배치되는 타 커버체결부가 구비되어, 양변기 커버는 일 커버 체결부 및 타 커버 체결부에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양변기 커버의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타 커버 체결부 하측에 높이조절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other cover fastening part being disposed apart from the one cover fastening part. The toilet cover is coupled to the one cover fastening part and the other cover fastening part, and in order to maintain the height of the toilet cover at the same time, And a height adjustment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rinal.
홀더는 길이 방향의 일 구간이 분리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홀더는 소변수기의 하측부분을 파지하고, 상기 분리된 일 구간을 통해 소변수기의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in which one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eparated, and the holder holds the lower portion of the urine handler, and the urine handler is detachable through the separated section. .
홀더의 외측이 스탠드의 일 단과 힌지구조로 결합되고, 홀더가 힌지 구동하여 소변수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side of the hold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tand with a hinge structure and the holder is hing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urine handwasher.
물공급부는 비데의 세척수공급 여부, 세척수 분사 압력, 세척수 분사 시간 또는 세척수 분사 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물공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water supply regulator for regulat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bidet is supplied with wash water, the wash water injection pressure, the wash water spray time, or the wash water spray angle.
도뇨관은 일 구간에 U자 형태 또는 O자 형태의 트랩부을 더 포함하며,
도뇨관은 타단이 어댑터관과 결합되고, 어댑터관은 양변기의 고정용 볼트 구멍을 통해 오수관에 삽입되어, 도뇨관과 오수관이 서로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theter may further include a U-shaped or O-shaped trap portion in one section,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is coupled to the adapter tube and the adapter tube is inserted into the sewage pipe through the fixing bolt hole of the toilet seat so that the catheter and the sewage pip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462A KR101456103B1 (en) | 2013-02-28 | 2013-02-28 | Apparatus for bisexual urinal with function of bid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462A KR101456103B1 (en) | 2013-02-28 | 2013-02-28 | Apparatus for bisexual urinal with function of bid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8038A KR20140108038A (en) | 2014-09-05 |
KR101456103B1 true KR101456103B1 (en) | 2014-11-03 |
Family
ID=5175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24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6103B1 (en) | 2013-02-28 | 2013-02-28 | Apparatus for bisexual urinal with function of bid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610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8626A (en) | 2019-07-15 | 2021-01-25 | 정형삼 | Movable urinary concentrator for left toilet |
KR20240109720A (en) | 2023-01-05 | 2024-07-12 | 국립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Real-time video surveillance system equipped with object size measurement function |
KR20240111871A (en) | 2023-01-11 | 2024-07-18 | 국립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Monitoring system with improved visibility |
KR20240126591A (en) | 2023-02-14 | 2024-08-21 | 국립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System for video monitor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311B1 (en) * | 2015-09-30 | 2017-03-21 | 유원이엔씨(주) | Appartus for hybrid cleaning the toilet bowl |
CN110117982B (en) * | 2018-02-06 | 2025-02-14 | 上海氪励铵勤科技发展有限公司 | Urinals and toilet facilities |
KR102422587B1 (en) * | 2020-12-08 | 2022-07-20 | 노의석 | Toilet seat with urinal for ma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1356U (en) * | 2007-08-06 | 2009-02-11 | 고상준 | Male urine device |
KR20090113423A (en) * | 2008-04-28 | 2009-11-02 | 전미영 | Multi-Function Variable Dispenser |
KR20100091039A (en) * | 2009-02-09 | 2010-08-18 | 김상필 | Urinal having washer for cleaning private part and toilet bowl comprising the same |
KR101030917B1 (en) * | 2010-12-08 | 2011-04-22 | 정석준 | Integral toilet with rotatable urinal |
-
2013
- 2013-02-28 KR KR1020130022462A patent/KR1014561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1356U (en) * | 2007-08-06 | 2009-02-11 | 고상준 | Male urine device |
KR20090113423A (en) * | 2008-04-28 | 2009-11-02 | 전미영 | Multi-Function Variable Dispenser |
KR20100091039A (en) * | 2009-02-09 | 2010-08-18 | 김상필 | Urinal having washer for cleaning private part and toilet bowl comprising the same |
KR101030917B1 (en) * | 2010-12-08 | 2011-04-22 | 정석준 | Integral toilet with rotatable urinal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8626A (en) | 2019-07-15 | 2021-01-25 | 정형삼 | Movable urinary concentrator for left toilet |
KR20240109720A (en) | 2023-01-05 | 2024-07-12 | 국립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Real-time video surveillance system equipped with object size measurement function |
KR20240111871A (en) | 2023-01-11 | 2024-07-18 | 국립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Monitoring system with improved visibility |
KR20240126591A (en) | 2023-02-14 | 2024-08-21 | 국립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System for video monitor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8038A (en) | 2014-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6103B1 (en) | Apparatus for bisexual urinal with function of bidet | |
US6357057B1 (en) | Cleaning and hygienic device | |
KR101410360B1 (en) | Apparatus for bisexual urinal of toilet bowl cover type | |
CN112513386B (en) | Toilet with hip bath sprayer | |
US11234562B1 (en) | Handheld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 |
CN105902233B (en) | Body-cleaning bedpan, and wheelchair, potty chair and potty bed equipped with body-cleaning bedpan | |
JP2000514148A (en) | Hot and cold water combined anal irrigator with integrated female irrigator and mouth shower | |
US11708688B2 (en) |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 |
KR101059127B1 (en) | Multi-Function Variable Dispenser | |
US10689836B1 (en) | Handheld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 |
JPH09252988A (en) | Men's bidet fixed to urinal | |
JP4091418B2 (en) | Stoma stool processing equipment | |
JP5865574B2 (en) | Multipurpose toilet unit | |
JP5278875B2 (en) | Attachment type inner surface cleaning device for flush toilet | |
US20230374765A1 (en) |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 |
JP6067086B2 (en) | Multipurpose toilet unit | |
JP4591774B2 (en) | Portable toilet | |
JP2000107088A (en) | Toilet stool with urination auxiliary tool | |
JP3805023B2 (en) | Cleaning device with toilet mechanism | |
KR20020003707A (en) | Bed attached toilet stool | |
KR20150000692U (en) | Prevent the spread of urine on the toilet urinal is detachable | |
JP3191804U (en) | Urination device for chair body | |
JP2001353096A (en) | Mobile portable toilet apparatus | |
JPH11324080A (en) | Handy flush toilet | |
GB2477541A (en) | An integrated toilet and urinal system which encloses a male genital pa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