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42723B1 - 수직형 전선 탈피기 - Google Patents

수직형 전선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723B1
KR101442723B1 KR1020130035972A KR20130035972A KR101442723B1 KR 101442723 B1 KR101442723 B1 KR 101442723B1 KR 1020130035972 A KR1020130035972 A KR 1020130035972A KR 20130035972 A KR20130035972 A KR 20130035972A KR 101442723 B1 KR101442723 B1 KR 10144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am
central riser
shaf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성
송진섭
이남식
정희석
구황섭
김현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13003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5Machine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7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절연 피복을 탈피할 수 있는 수직형 전선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탈피기는, 전선이 중력에 의하여 수직으로 투입되기 위한 투입홀이 형성된 전선투입부와, 전선투입부의 투입홀로 투입된 전선을 고정하는 그립퍼와,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기 위한 블레이드와, 블레이드가 전선의 피복을 탈피할 때 전선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센트럴라이저와, 블레이드 및 센트럴라이저가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회전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도록 하는 로터 캠과, 일정 두께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로터 캠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캡과, 로터 캠의 회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선의 피복을 설정된 두께만큼 탈피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형 전선 탈피기{VERTICAL TYPE WIRE STRIPPING MACHINE}
본 발명은 전선의 절연 피복을 탈피할 수 있는 전선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들에는 각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나 회로기판의 각 접점의 전기적 연결 등을 위해 각종 전선이 사용되는데, 이 전선은 기본적으로 도체가 내장되고 그 주변을 절연체가 감싸고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전선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양쪽 또는 한쪽의 피복을 탈피시키는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며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선 탈피기가 사용된다.
종래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0806호의 전선절단탈피장치의 경우 수평으로 삽입되는 전선의 이송을 위하여 롤러장치를 구비하고, 롤러장치에 의하여 전선을 절단부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 절단부의 칼날을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절단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선 탈피기의 경우 탈피기에서 전선을 삽입하는 입구에 사람이 일정 깊이까지 들어가도록 전선을 삽입하는 동작이 필요하므로 인하여 여러 개의 전선을 한꺼번에 작업함에 있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즉, 한번에 하나의 전선을 수평으로 삽입하여야 하는데, 각각의 전선을 작업할 때마다 롤러에 의하여 이동되기 위해서는 롤러부에 전선의 끝단이 접촉될 때까지 사람이 수작업으로 밀어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KR 10-2011-0030806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선을 보다 간편하면서도 빠른 속도로 탈피할 수 있는 전선탈피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탈피기는, 전선이 중력에 의하여 수직으로 투입되기 위한 전선투입부와, 상기 전선투입부의 상기 투입홀로 투입된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그립퍼와, 상기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기 위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전선의 피복을 탈피할 때 상기 전선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센트럴라이저와,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가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상기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도록 하는 로터 캠과, 상기 로터 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터 캠의 상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탈피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를 상기 로터 캠 상부의 중심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피복을 설정된 두께만큼 탈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는 각각 세 개로 구성되고, 상기 로터 캠은 상부에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가 결합되기 위한 홈부 및 하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제1 홀이 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제1 홀 주위에 위쪽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세 개의 원기둥 형상의 블레이드 샤프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세 개의 블레이드 샤프트 사이 각각에는 상기 제1 몸체를 관통하는 제2 홀이 형성되어 있는 블레이드 캠; 및 상기 블레이드 캠의 하부에 배치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제3 홀이 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제3 홀 주위의 위쪽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세 개의 원기둥 형상의 센트럴라이저 샤프트로 구성되고, 상기 센트럴라이저 샤프트는 상기 블레이드 캠의 상기 제2 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센트럴라이저 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 샤프트는 상단에서 중단까지 반원기둥 모양에 사선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블레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트럴라이저에는 상기 센트럴라이저 샤프트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센트럴라이저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 샤프트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가 상기 로터 캠 상부의 중심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피복을 설정된 두께만큼 탈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형 전선 탈피기는 상기 로터 캠 상부에 고정되는 일정 두께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에는 중앙을 관통하는 홀과, 상기 중앙을 관통하는 홀 주위에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 샤프트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형 전선 탈피기는 상기 블레이드 캠의 상기 세 개의 블레이드 샤프트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및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상기 블레이트 캠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 캠이 상기 로터 캠 하부의 중공에 결합 고정되는 경우 상기 로터 캠 주위를 에워싸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형 전선 탈피기는 상기 제어부 상부에 위로 돌출되는 원기둥에 의하여 지지되는 그립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상기 전선이 투입되기 위한 중공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퍼 플레이트 좌우에는 일정 길이로 하부를 향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양 지지판을 잇는 이동 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퍼는 좌우 쌍 두 개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두 쌍의 그립퍼에는 상기 제어부로 이어지는 원형의 그립퍼 샤프트가 하방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그립퍼 샤프트의 좌우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그립퍼가 상기 이동 샤프트를 기반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선탈피기에 의하면, 수직으로 관통되는 투입홀이 형성된 전선투입부를 이용하여 중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전선이 삽입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투입홀에 전선을 떨어뜨리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전선을 빠르게 탈피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탈피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탈피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탈피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탈피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형 전선탈피기의 로터캠의 확대정면도 및 블레이드 및 센트럴라이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직형 전선탈피기의 그립퍼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탈피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탈피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탈피기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탈피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탈피기(100)는 제어부(120)와, 로터캠(130)과, 하우징(140)과, 블레이드 캠(50)과, 센트럴라이저 캠(70)과, 블레이드(7)와, 센트럴라이저(9)와, 그립퍼(160a, 160b)와, 그립퍼 플레이트(150)와, 전선투입부(1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선투입부(170)는 전선이 중력에 의하여 수직으로 투입되기 위한 투입홀(175)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전선을 투입홀(175) 위에 떨어뜨림으로써, 피복을 탈피할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투입홀(175)은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깔때기 모양으로 아래로 갈수록 입구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입구의 지름은 작업이 가능한 전선 케이블의 지름에 따라서 미리 설계될 수 있다. 전선투입부(170)는 후술할 투명 케이스(180) 및 그립퍼 플레이트(150)와 결합 고정된다.
제어부(120)는 수직형 전선탈피기(1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후술할 로터 캠(13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거나, 블레이드 캠(50) 및 센트럴라이저 캠(70)의 수직 이동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의 전면부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가 전선 탈피 작업의 구체적인 수치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의 내부에는 모터가 내장되고, 탈피한 전선 찌꺼기를 흡입하는 흡입 모듈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의 상단에는 로터 캠(130)이 하우징(140)과 결합되어 위치하고, 그 위에 그립퍼(160a, 160b)가 설치된 그립퍼 플레이트(150)가 위치하고, 그립퍼 플레이트(150) 위를 덮으면서 로터 캠(130) 및 하우징(140) 전체를 에워싸는 투평 케이스(180)가 결합된다. 그 위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선투입부(170)가 결합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맨 아래부터 하우징(140)과, 센트럴라이저 캠(70)과, 블레이드 캠(50)과, 스프링(30)과, 로터 캠(130), 블레이드(7)와, 센트럴라이저(9)와, 캡(135)가 배치되어 있다.
센트럴라이저(centralizer) 캠(70)은 중앙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몸체(71)와, 몸체(71)의 홀 주위의 위쪽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세 개의 원기둥 형상의 센트럴라이저 샤프트(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71)에는 중앙을 관통하는 홀 외에도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센트럴라이저 샤프트(73)는 상단에서 중단까지 반원기둥 모양에 사선형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가이드 홈은 센트럴라이저 샤프트(73)가 캠 홀(133)에 삽입되어 센트럴라이저(9)에 형성된 센트럴라이저 홈에 맞물린다. 제어부(120)의 동작에 의하여 센트럴라이저 캠(70)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수직 방향의 이동에 따라 센트럴라이저 홈과 센트럴라이저 샤프트(73)와 결합되는 위치가 변하게 되어 센트럴라이저(9)가 로터 캠(130)의 중심축 방향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서, 세 개로 구성되는 센트럴라이저(9)의 위치가 로터 캠(130)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으로써 투입된 전선의 피복을 일정 힘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거나, 고정된 전선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로터캠(130)의 상부의 평면도 및 블레이드 샤프트(51)와 블레이드(7)가 어떻게 상호 결합 동작하는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확대 평면도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샤프트(51)와 블레이드(7)가 서로 맞물린 상태 그리고, 센트럴라이저 샤프트(73)와 센트럴라이저(9)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블레이드(7)에는 두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하나의 홈은 블레이드 샤프트(51)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결합되며, 나머지 하나의 홈은 스프링(6)에 결합된다. 유사하게, 센트럴라이저(9)에는 하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은 센트럴라이저 샤프트(73)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결합된다.
도 5 하측에는 블레이드 샤프트(53)와 블레이드(7)가 어떻게 서로 결합되어, 블레이드(7)가 이동하는지 설명하는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블레이드 샤프트(53)에는 도 5에 도시된 모양과 같은 사선의 가이드 홈(5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홈(53a)는 블레이드(7)의 홈에 결합된다. 이때, 블레이드 샤프트(53)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블레이드(7)의 홈과 맞물리는 가이드 홈(53a)의 위치가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가이드 홈(53a)의 위치에 의하여 블레이드(7)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간단히 말해서 블레이드 샤프트(53)가 위쪽방향으로 이동하면 블레이드(7)는 로터캠(130)의 중심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것이다. 블레이드(7) 뿐만 아니라 센트럴라이저(9) 역시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된다.
블레이드 캠(50) 역시 센트럴라이저 캠(70)과 유사한 모양으로 구성된다. 즉, 중앙을 관통하는 홀(51b)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51)와, 몸체(51)의 홀(51b) 주위의 위쪽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세 개의 원기둥 형상의 블레이드 샤프트(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블레이드 캠(50)의 몸체(51)의 크기는 센트럴라이저 캠(70)의 몸체(71)보다 약간 더 작게 형성되며, 중앙의 홀 주위로 블레이드 샤프트(53) 사이 사이에는 홀들(51a)이 더 형성된다. 즉, 블레이드 샤프트(53) 사이에 형성되는 세 개의 홀들(51a)에는 센트럴라이저 샤프트(73)가 삽입된다.
즉, 센트럴라이저 샤프트(73)가 블레이드 캠(50)의 홀들(51a)에 삽입되면 총 6개의 샤프트가 돌출되며, 이때, 이 6개의 샤프트는 로터 캠(130) 상부에 형성된 6개의 캠 홀(133)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샤프트(53) 사이의 공간에는 스프링(30)이 결합되는데, 스프링(30)은 블레이드 캠(50) 및 센트럴라이저 캠(70) 및 로터 캠(130)의 결합하여 동작할 때 수직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로터 캠(130)의 상부에는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들이 통과할 수 있는 6개의 캠 홀(133) 및 중앙을 중심으로 약 60도 간격으로 총 6개의 가이드 홈이 있다.
이러한 가이드 홈에는 3개의 블레이드(7) 및 3 개의 센트럴라이저(9)가 결합 고정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블레이드(7)에 형성된 블레이드 홈은 캠 홀(133)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 샤프트(53)의 가이드 홈과 맞물리며, 블레이드 샤프트(53)의 수직 방향 이동에 따라 블레이드(7)가 로터 캠(1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센트럴라이저(9)에도 센트럴라이저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캠 홀(133)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센트럴라이저 샤프트(73)의 가이드 홈과 맞물려서, 센트럴라이저 샤프트(73)의 수직 방향의 이동에 따라 센트럴라이저(9)가 로터 캠(1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블레이드(7) 각각과 센트럴라이저(9) 각각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데, 즉, 블레이드(7)가 서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센트럴라이저(9)가 서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되, 블레이드(7) 및 센트럴라이저(9)가 서로 번갈아 가면서 6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블레이드(7) 및 센트럴라이저(9)가 로터 캠(130) 상부에 결합되면 그 위에 원판 형상의 캡(135)이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로터 캠(130) 상부에 결합 고정된다. 캡(135)에는 중앙을 관통하는 홀과, 중앙을 관통하는 홀 주위에 블레이드 샤프트(53) 및 센트럴라이저 샤프트(73)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 홀들(135a)이 형성된다.
캡(135) 위쪽에는 그립퍼(160a, 160b)가 배치된다. 그립퍼(160a, 160b)는 그립퍼 플레이트(150)의 좌우 지지판에 연결된 이동 샤프트(165)에 결합 고정된다.
그립퍼 플레이트(150)는 디귿자가 우측으로 90도 회전된 형태의 모양을 가지며, 중앙에는 전선투입부(170)의 투입홀(175)에 투입된 전선이 통과되기 위한 중공(151)이 형성되고, 그립퍼 플레이드(150)의 좌우 지지판에는 원기둥 (152, 153)이 제어부(120)에 연결된다.
또한, 이동 샤프트(165)에 결합 고정된 두 개의 그립퍼(160a, 160b)는 하부에 각각 샤프트(162) 및 샤프트(163)와 연결되고, 샤프트(162, 163)는 제어부(120)에 연결된다. 샤프트(162, 163)는 제어부(120) 내부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내장된 모터의 동작에 따라서 좌우로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좌우 움직임에 의하여 그립퍼(160a, 160b)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으로써 전선을 고정하거나 고정된 전선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그립퍼(160a, 160b)는 각각 연결부(12, 13)에 연결되고, 연결부(12, 13)은 다시 샤프트(162, 163)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샤프트(162, 163)와 연결부(12, 13)는 각각 회전 관절 구성이 아닌 결합 고정된 구조를 가지면, 연결부(12, 13)와 그립퍼(160a, 160b)의 연결 부위는 회전이 가능한 관절 구조를 가진다.
제어부(120)에 제어 명령에 따라 모터 등의 부품(미도시)에 의하여 샤프트(162, 163)이 회전 동작을 취하게 되면, 연결부(12, 13) 중 그립퍼(160a, 160b)에 연결된 부분이 관절 동작에 의하여 이동 샤프트(165) 상에서 그립퍼(160a, 160b)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6a와 같이 샤프트(162)가 시계 반대방향 그리고 샤프트(16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립퍼(160a, 160b)가 서로 멀어지면서 벌려지게 되고, 도 6b 와 같이 샤프트(162)가 시계 반향 그리고 샤프트(163)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립퍼(160a, 160b)가 서로 가까워지게 동작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립퍼(160a, 160b)의 끝단에 고정날(3a, 3b)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고정날(3a, 3b)은 가운데가 'V'자로 파인 형상을 가지며, 각 고정날(3a, 3b) 각각은 하방날 및 상방날이 각각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2개씩 배치되며, 두 그립퍼(160a, 160b)의 하방날 및 상방날이 서로 맞물리도록 서로 횡축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립퍼 플레이트(150) 상부에는 투명 케이스(180)가 덮어지고, 이에 따라 투명 케이스(180)가 로터 캠(130) 및 하우징(140) 등의 모듈을 다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투명 케이스(180) 상부에서 투입홀(17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전선이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투명 케이스(180) 상부에는 전선투입부(170)가 결합 부재에 의하여 투명 케이스(180) 및 그립퍼 플레이트(150)의 상부와 결합된다. 전선투입부(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 깔대기 모양의 투입홀(17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수직형 전선 탈피기(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전선 탈피기(100) 상부에 전선(c)이 투입된다. 이때, 사용자는 기존의 전선탈피기와 같이 전선의 끝단이 걸릴때까지 계속하여 전선을 삽입할 필요가 없이, 투입홀(175) 상부에 전선을 수직으로 세운 후에 전선(c)을 떨어뜨리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전선(c)은 중력에 의하여 자유낙하게 되며, 투입홀(175), 투명 케이스(180)에 형성된 홀, 그립퍼 플레이트(150)에 형성된 중공(151), 캡(135)에 형성된 중앙홀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블레이드(7) 또는 센트럴라이저(9)의 상부에 맞닿아 멈추게 된다.
블레이드(7) 또는 센트럴라이저(9)의 상부에 멈추는 이유는 초기 셋팅에 따라 블레이드(7) 또는 센트럴라이저(9)의 간격이 좁아 중앙에 전선(c)이 통과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7) 또는 센트럴라이저(9)의 초기 위치에 의하여 전선(c)이 멈추는 것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별도의 임시판을 위치하도록 하여 전선(c)을 멈추게 하고 임시판을 제거하도록 하는 구성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을 자명하다.
이때, 전선(c)이 멈추게 되면, 사용자는 전선(c)의 멈춤을 확인하고, 제어부(120)의 동작을 개시하여 전선(c)의 원하는 위치 및 해당 위치의 탈피 두께에 따라 전선(c)의 절연 피복을 벗기게 된다.
또한, 이렇게 수동으로 작동을 개시함이 아닌, 전선(c)의 멈춤을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가 전선(c)의 멈춤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120)가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자동으로 탈피 작업을 개시하도록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일 때, 센서는 촉각센서,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 설명에서는 투입홀(175)의 크기가 고정된 것만 설명하였으나, 전선의 두께에 따라서 투입홀(175)의 두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전선투입부(170)을 설계할 수 도 있을 것이다. 특히, 투입홀(175)은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맨 아래 전선이 통과하는 쪽의 지름은 전선 한 개만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갖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투입홀(175)에 여러 개의 전선을 한꺼번에 넣는 경우에도 한 개의 전선만이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셔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술된 것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하기 위하여 기술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항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수직형 전선 탈피기 120: 제어부
130: 로터 캠 140: 하우징
150: 그립퍼 플레이트 170: 전선투입부

Claims (7)

  1. 전선이 중력에 의하여 수직으로 투입되기 위한 투입홀이 형성된 전선투입부;
    상기 전선투입부의 상기 투입홀로 투입된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그립퍼;
    상기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기 위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전선의 피복을 탈피할 때 상기 전선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센트럴라이저; 및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가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상기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도록 하는 로터 캠; 및
    상기 로터 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터 캠의 상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탈피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를 상기 로터 캠 상부의 중심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피복을 설정된 두께 만큼 탈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탈피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는 각각 세 개로 구성되고,
    상기 로터 캠은 상부에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가 결합되기 위한 홈부 및 하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제1홀이 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제1홀 주위에 위쪽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세 개의 원기둥 형상의 블레이드 샤프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세 개의 블레이드 샤프트 사이 각각에는 상기 제1몸체를 관통하는 제2홀이 형성되어 있는 블레이드 캠;
    상기 블레이드 캠의 하부에 배치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제3홀이 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제2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제3홀 주위의 위쪽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세 개의 원기둥 형상의 센트럴라이저 샤프트로 구성되고, 상기 센트럴라이저 샤프트는 상기 블레이드 캠의 상기 제2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센트럴라이저 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탈피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 샤프트는 상단에서 중단까지 반원기둥 모양에 사선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블레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트럴라이저에는 상기 센트럴라이저 샤프트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센트럴라이저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 샤프트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가 상기 로터 캠 상부의 중심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피복을 설정된 두께 만큼 탈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탈피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캠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일정 두께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에는 중앙을 관통하는 홀과, 상기 중앙을 관통하는 홀 주위에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 샤프트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 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탈피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캠의 상기 세 개의 블레이드 샤프트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및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상기 블레이드 캠 및 상기 센트럴라이저 캠이 상기 로터 캠 하부의 중공에 결합 고정되는 경우 상기 로터 캠 주위를 에워싸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탈피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상부에 위로 돌출되는 원기둥에 의하여 지지되는 그립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상기 전선이 투입되기 위한 중공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퍼 플레이트 좌우에는 일정 길이로 하부를 향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그립퍼 플레이트 좌우에 각각 구비된 지지판을 잇는 이동 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퍼는 좌우 쌍 두 개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두 쌍의 그립퍼에는 상기 제어부로 이어지는 원형의 그립퍼 샤프트가 하방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그립퍼 샤프트의 좌우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그립퍼가 상기 이동 샤프트를 기반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탈피기.
KR1020130035972A 2013-04-02 2013-04-02 수직형 전선 탈피기 KR10144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972A KR101442723B1 (ko) 2013-04-02 2013-04-02 수직형 전선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972A KR101442723B1 (ko) 2013-04-02 2013-04-02 수직형 전선 탈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723B1 true KR101442723B1 (ko) 2014-09-24

Family

ID=5176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972A KR101442723B1 (ko) 2013-04-02 2013-04-02 수직형 전선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7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017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에스모 케이블 탈피기
KR102346530B1 (ko) 2021-07-15 2021-12-31 태남기 전선탈피장치
KR102447941B1 (ko) 2021-07-15 2022-09-28 태남기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KR102556989B1 (ko) * 2022-01-20 2023-07-19 주식회사 대운메탈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7415A (ja) * 1991-10-11 1993-04-30 Sankyo Seiki Mfg Co Ltd 光フアイバー心線の被覆除去および切断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JPH08186917A (ja) * 1994-12-28 1996-07-16 Nittoku Eng Co Ltd 絶縁被覆の剥離装置
JP2004012963A (ja) 2002-06-10 2004-01-15 Nhk Sales Co Ltd 光ファイバ被覆除去装置
JP2005269789A (ja) * 2004-03-19 2005-09-29 Mcm Kk 被覆除去装置、心出し切断機構及び心出し切断機構の作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7415A (ja) * 1991-10-11 1993-04-30 Sankyo Seiki Mfg Co Ltd 光フアイバー心線の被覆除去および切断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JPH08186917A (ja) * 1994-12-28 1996-07-16 Nittoku Eng Co Ltd 絶縁被覆の剥離装置
JP2004012963A (ja) 2002-06-10 2004-01-15 Nhk Sales Co Ltd 光ファイバ被覆除去装置
JP2005269789A (ja) * 2004-03-19 2005-09-29 Mcm Kk 被覆除去装置、心出し切断機構及び心出し切断機構の作動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017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에스모 케이블 탈피기
KR102295139B1 (ko) 2019-11-29 2021-08-31 에이팸 주식회사 케이블 탈피기
KR102346530B1 (ko) 2021-07-15 2021-12-31 태남기 전선탈피장치
KR102447941B1 (ko) 2021-07-15 2022-09-28 태남기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KR102556989B1 (ko) * 2022-01-20 2023-07-19 주식회사 대운메탈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723B1 (ko) 수직형 전선 탈피기
KR20150062582A (ko)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JP6925788B2 (ja) ケーブルを処理する装置
WO2002015353A2 (en) Orbiting blade coaxial cable cutter/stripper
JP2012005220A (ja) 電線の被覆剥き方法及び電線の被覆剥き装置
JP2013161788A (ja) フレキシブル回路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600242B1 (ko) 로터리 딥 스위치
FR2843819B1 (fr) Appareil electrique securise contre le vol, systeme antivol comportant un tel appareil et procede d'appariement d'appareils electriques
CN101556213B (zh) 机械寿命测试装置
JPH01320787A (ja) 相選択する電気差し込み装置
CN1534850A (zh) 具有接线端子板的电动机
EP2833388A3 (en) A MEMS Switch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WO2008061009A3 (en) Dynamic display systems for gaming machines
JP6357380B2 (ja) 被覆電線の皮むき機
CN205724286U (zh) 多功能转换夹
CN103597664A (zh) 电接触件
JP7002878B2 (ja) ケーブルを組み立てるための設備
CA3004605A1 (en) Wall plate connector system
KR20210009406A (ko) Mi 케이블의 종단 제거방법
JP2007151289A (ja) 導通式ストリップ刃設定方法および装置
KR930010863B1 (ko) 다심케이블 단선시험기의 케이블 취출장치
KR101359680B1 (ko) 피씨비의 보호캡 분리장치
JP2001095124A (ja) 絶縁体被覆導線の被覆絶縁体剥離装置
JP5279932B2 (ja) 接続端子用カバー
JP6306882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