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398B1 - Container sealing product having the opening tap on the one s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tainer sealing product having the opening tap on the one s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2398B1 KR101442398B1 KR1020130021895A KR20130021895A KR101442398B1 KR 101442398 B1 KR101442398 B1 KR 101442398B1 KR 1020130021895 A KR1020130021895 A KR 1020130021895A KR 20130021895 A KR20130021895 A KR 20130021895A KR 101442398 B1 KR101442398 B1 KR 1014423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suture
- adhesive
- container
- aluminum f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14—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metallic foil or like thin flexibl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켜 상기 파지부를 잡고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봉합체에 있어서, 상기 봉합체는 상기 용기의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 상기 표면층 아래에 적절한 두께를 가지고 위치된 탄성층; 상기 탄성층 하단에 라미네이트 되는 플라스틱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 하단에 라미네이트된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구성된 상층과; 상기 상층 아래에 위치된 알루미늄 호일층으로 구성된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층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상층 하단면과 중간층인 알루미늄 호일층 상단면에는 접착부 및 비접착부를 함께 형성함에 의해 파지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은 봉합체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를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형성하여 봉합체의 박리를 손쉽게 함으로서 보다 간편하게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용기의 입구와 손이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용기의 입구에 이물질이 묻지 않아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특정한 층 구조를 가지는 봉합체를 제공하므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보다 용이한 작업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완제품의 컬링(curling)이 방지될 수 있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가지는 봉합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ture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which is not bonded to an upper surfa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the suture provided with the grip portion which is not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queezing member for holding the squeezing member from the container, wherein the squeezing member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uture of the container to form a heat A surface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no adhesiveness; An elastic layer positioned with an appropriate thickness below the surface layer; A plastic film layer laminated on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layer; And an upper layer composed of a thermoplastic resin layer lamina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lm layer; An intermediate layer composed of an aluminum foil layer positioned below the upper layer; And a sealing adhesive layer adher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layer and made to adhere to a container made of a thermosetting plastic resin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wherein a bonding portion and a non-bonding porti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lower surface ma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of the upper lay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luminum foil layer And a gripping portion is formed by being formed together.
In the suture body provided with the grip portion not bonded to the upper 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grip portion, which is the face not adhered to the adhesive face, may be formed on the upper face of the suture body by an easier method, It is possible to take out the contents of the inside of the container more easily and to prevent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from touching with the hand so that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is not adhered to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hygiene problem does not occu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ture having a superior function and effect that can be manufactured with ease in workability without causing defects of the product and curling of the finished product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Tap Line)인 파지부를 형성시켜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는 구조를,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보다 용이한 작업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완제품의 컬링(curling)이 방지될 수 있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ture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which is not bonded to an upper surfa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suture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uture,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peeling off a suture material from a container can be manufactured with ease in workability without causing defects of the product and al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rling of the finished product by bond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인 음료수나 의약품 등과 같이 기밀성을 요하는 제품은 용기에 포장되어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용기의 입구를 합성수지로 제조된 필름지의 형상으로 된 봉합체(이하, "봉합체"라 칭함)로 밀봉을 하는데, 이러한 봉합체는 음료수나 약품 등이 포장되는 플라스틱이나 유리병과 같은 여러 종류의 재질로 된 용기의 입구를 봉합하여 액상이나 습기가 많은 물질 또는 건조한 분말가루 같은 제품이 용기 밖으로 새어 나오거나 외부의 공기가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Products requiring airtightness, such as general drinks or medicines, are sealed in a sach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ture") in the form of a film made of synthetic resin to secure the airtightness of the product packed in the container Such sutures may be formed by sealing an inlet of a container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or glass bottles in which beverages and medicines are packed, so that products such as liquid, moisturey or dry powdered powder may leak out of the container, Is not absorbed.
하지만 용기의 입구와 봉합체가 접합되는 부분이 전면적으로 접착되어 있어 밀봉에는 효과적이지만 내용물을 취출하고자 할 때에 상기 봉합체를 박리하여야 하는데, 이때 용기와 봉합체 사이에 틈이 없어 박리가 어렵고, 때에 따라서는 틈을 만들기 위해 손이나 가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용기의 입구와 접촉되어 위생상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However, it is effective for the sealing because the portion of the container to which the sealing member is bonded is entirely adhered. However, when the contents are to be taken out, the sealing member must be peeled off. At this tim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sealing member, Has to use a tool such as a hand or scissors to make a gap so that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outh of the container and causes hygienic problem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몇 가지 방안들이 제시되었는데, 그 일예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체의 테두리 부에 파지부를 형성하는 구성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구성은 그 제조공정 및 비용상의 문제점과 파지부가 작아 봉합체를 개봉하기가 힘들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체에 손잡부를 작게 달아서 사용을 하는 것이 제안되어 졌다. 이러한 도 6b에 제시된 구조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1073호에서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면에 개봉꼭지(Tap)을 형성시켜 상기 개봉꼭지(Tap)를 잡고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 낼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봉합체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 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 상기 표면층에 적절한 두께로 얇은 열가소성 수지가 라미네이트 된 열접착 수지층; 상기 열접착 수지층 하단에 접착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접착제로 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과 접착되어 알루미늄 호일이나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된 중간기재층; 상기 중간기재층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접착층; 으로 구성되어 있는 개봉꼭지가 부착된 용기 봉합체"를 개시하였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040286호에서, "식료품의 용기용 밀봉재에 있어서, a) 플라스틱 상층; b) 플라스틱/발포제 접착층; c) 발포층; d) 발포제/호일 접착층; e) 금속 호일; 및 f) 열 밀봉층;을 동일영역(coextensive)에 걸쳐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발포제 접착제는 상기 발포제를 상기 플라스틱 상층에, 이들이 마주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접착하고, 상기 발포제/호일 접착층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란에서 설명된 180° 필 테스트(peel test)에 의하여 측정된, 적어도 8N/12.5mm 의 결합력으로, 상기 발포제를 상기 호일에 이들이 마주하는 면의 실질적인 전체 영역에 걸쳐 접착시키며, 여기에서 설명된 밀도 측정 방법에 의하여 계측됐을 때 0.6 내지 0.95 gml-1 범위 내에 있는 측정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봉재"를 개시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ome measures have been proposed in the related ar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A,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grip portion is formed at the rim of the suture has been proposed.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cost and a problem in use that it is difficult to unseal the suture body due to a small grasping portion.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is problem, a small suture portion is stuck on a suture as shown in FIG. .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6B,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11073 filed and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that "an opening tap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ture so that the opening can be easily performed, A surface layer made of a material which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uture of the container and is not heat-sealable, a thin thermoplastic resin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A laminated thermally adhesive resin layer, an adhesive layer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or an adhesive bonded to the lower end of the thermally adhesive resin layer, an intermediate substrate layer bonded to the adhesive layer and made of aluminum foil or a plastic film, A sealing adhesive layer to be adhered to a container made of a thermally adhesive plastic resin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B) a plastic / foaming adhesive layer; c) a foam layer; d) a foaming agent / foil; and a foaming agent / foil sealant. In the sealant for a container for foodstuff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40286, An adhesive layer, e) a metal foil, and f) a heat sealing layer over the same area coextensive, wherein the plastic / foaming adhesive is applied to the plastic upper layer, at least a portion And the foaming agent / foil adhesive layer is applied to the foil with a bonding force of at least 8 N / 12.5 mm, as measured by a 180 ° peel test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section of the invention, And has a measured density within the range of 0.6 to 0.95 gml < -1 > when measured by the density measurement method described herein Quot; as " a sealing material for containers "
그러나, 상기에 제시된 방법들에 의한 봉합체는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고 그리고 작업이 불편하여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여전히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고,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147호에서,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을 형성시켜 상기 파지부를 잡고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봉합체에 있어서, 상기 봉합체는; 상기 용기의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 상기 표면층에 적절한 두께의 플라스틱필름으로 라미네이트 된 상층; 알루미늄 호일층과 플라스틱필름이나 폴리올레핀 발포제로 라미네이트된 중간층; 상기 중간층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층의 플라스틱필름으로 구성된 상층 하단면과 알루미늄 호일층에 플라스틱필름 이나 폴리올레핀 발포제로 라미네이트 되어 있는 중간층의 상단면 알루미늄 호일층에 파지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를 제안하였다.However, there is still a disadvantage in that the sealing material by the above-described methods has a high manufacturing cost and a high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defects due to inconvenience of the operation. Therefore, in order to meet this requirem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96147 discloses a method of forming a sachet which can be easily peeled from a container by gripping the grip portion by forming a grip portion that is not adhered to the adhesive surface on the upper side of the suture for easy opening, An upper layer laminated with a plastic film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on the surface layer, an upper layer laminated with an aluminum foil layer and a plastic film or a polyolefin foaming agent An intermediate layer laminated on the lower layer of the intermediate layer, a thermally adhesive plastic resin or And a sealing adhesive layer to be adhered to a container mad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wherein a gripp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stic film and the aluminum foil lay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laminated with the plastic film or the polyolefin foaming agent on the aluminum foil layer A suture provided with an unbonded grip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ture ".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봉합체는 중간층에 위치되는 발포제에 의해서 용기와의 봉합시 고주파를 높여야할 뿐 아니라 봉합 불량이 발생하고 또한 봉합체 완제품에서 컬링(curling) 현상이 발생하여 봉합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However, the suture formed as described above must not only raise the high frequency when the suture is sealed with the container by the foaming agent located in the middle layer, but also cause defective suture and curling in the suture finished product, Problems arise that cause troub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Tap Line)인 파지부를 형성시켜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봉합체를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wing machine, which is capable of easily opening a container by forming a grip portion, which is a surface (Tap Line) And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tur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removing a suture by a more convenient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Tap Line)인 파지부가 형성되어 손쉽게 이를 잡고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내도록 할 수 있는, 그 특성이 우수한 봉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gripping portion which is a tap line that is not adhered to an adhesive surface at an upper end of a suture for easy opening by the above- And to provide a suture having excellent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개봉이 용이하도록 하는 봉합체가 봉합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보다 용이한 작업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완제품의 컬링(curling)이 방지될 수 있는 봉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ture which can be easily open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which can be manufactured with ease in workability without causing a failure in sewing, and which can prevent curling of the finished product To provide a sieve.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directed to accomplishing other objects that can be easily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and obvious objec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ture provided with a non-bonded grip on an upper surface of a suture;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켜 상기 파지부를 잡고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봉합체에 있어서, 상기 봉합체는;A suture body of a container which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a container by holding a grip part (Tap Line) which is not adhered to an adhesive surface at an upper end of the suture body so that the suture body can be opened easily, Gt;
상기 용기의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A surface layer made of a material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uture of the container and having no thermal adhesiveness;
상기 표면층 아래에 적절한 두께를 가지고 위치된 탄성층;An elastic layer positioned with an appropriate thickness below the surface layer;
상기 탄성층 하단에 라미네이트 되는 플라스틱 필름층; 및A plastic film layer laminated on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layer; And
상기 필름층 하단에 라미네이트된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구성된 상층과;An upper layer composed of a thermoplastic resin layer lamina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lm layer;
상기 상층 아래에 위치된 알루미늄 호일층으로 구성된 중간층과; An intermediate layer composed of an aluminum foil layer positioned below the upper layer;
상기 중간층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으로 구성하고,And a sealing adhesive layer adher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layer to be adhered to a container made of a thermally adhesive plastic resin or an adhesive,
상기 상층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상층 하단면과 중간층인 알루미늄 호일층 상단면에는 접착부 및 비접착부를 함께 형성함에 의해 파지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And a grip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bonding portion and a non-bonding portion together on the upper surface lower end surface made of the upper thermoplastic resi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luminum foil layer serving as an intermediate layer.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탄성층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가 라미네이트 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layer is formed by laminating a thermoplastic resin or a polyolefin foaming agent.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용제형 이액형 폴리우레탄 혼합물의 접착제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vent type is formed by the adhesive of the liquid polyurethane mix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고형분은 60 내지 70%이고, 점도는 2,500 내지 3,500(25℃, mPa-s)임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orming the adhesive layer has a solid content of 60 to 70% and a viscosity of 2,500 to 3,500 (25 DEG C, mPa-s).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는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도록 도포량을 4 내지 6g/㎡으로 하고, 접착 면의 넓이는 10 내지 80mm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has a coating amount of 4 to 6 g /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중간층인 알루미늄 호일층의 두께는 12㎛ 내지 50㎛의 범위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aluminum foil layer as the intermediate layer is in the range of 12 탆 to 50 탆.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의 제조방법은;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ture,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키기 위한 봉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ture for forming a tap line,
상기 파지부는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를 발포하여 적절한 두께로 라미네이트하는 1단계;The gripping part is formed by a first step of foaming a thermoplastic resin or a polyolefin foaming agent on a surface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no heat adhesiveness and laminating it to an appropriate thickness;
상기 탄성층 하단에 플라스틱 필름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을 순차적으로 라미네이트하여 상층을 형성하는 2단계;A second step of sequentially laminating a plastic film layer and a thermoplastic resin layer on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layer to form an upper layer;
알루미늄 호일로 되는 중간층을 준비하는 3단계; Preparing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n aluminum foil;
상기 중간층 하단에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되어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을 라미네이트하는 4단계; A fourth step of laminating a sealing adhesive layer made of a thermosetting plastic resin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the container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layer;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상층 하단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면과 상기 3단계 알루미늄 호일 하단에 봉합 접착층이 라미네이트된 중간층의 알루미늄 호일 상면에 접착된 면과 접착되지 않는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5단계; 및(5) forming a tap line which is not adhered to the surface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luminum foil of the intermediate layer in which the sealing adhesive layer is laminated at the lower end of the three-stage aluminum foil formed in the upper layer lower thermoplastic resin formed in
상기 5단계에서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후 용기의 입구 사이즈에 맞게 절단 또는 천공하여 재단하는 제6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ixth step of forming an integral body in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5단계의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것은 일정한 간격으로 요홈이 형성된 롤을 이단으로 사용하여 일단에서 파지부(Tap Line)가 되는 부분에 일차로 이형 코팅(Release coating)제가 도포되도록 하고 이어서 이단에서 상기 파지부 외의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orm the tap line i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6단계는 그 재단방식에 따라 파지부(Tap Line)를 봉합체의 봉합지 상단 중간에 위치한 형태와 봉합지 상단 끝에 위치한 형태로 제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 lin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end of the sealing material of the suture body and in the form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eal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cutting method .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5단계의 접착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접착 면의 합지 작업 시의 속도는 분당 50 내지 70m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상기 속도를 분당 70m 이상으로 하면 접착제의 과소한 도포 및 번짐이 발생하고, 반대로 50m 이하로 하면 작업속도의 저하뿐 아니라 과잉 접착 및 접착제의 번짐으로 접합력이 열악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at the time of the lapping operation of the adhesive surface forming the tap line, which is the surface not bonded to the adhesive surface in the fifth step, is set to 50 to 70 m per minute. If the speed is more than 70 m per minute, too little application and blurring of the adhesive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ed is less than 50 m, the bonding speed becomes poor and the adhesive strength becomes poor due to excessive adhesion and glue sprea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형(Release) 코팅제 작업 시 동판의 목수는 200~250목(目)임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penter of the copper plate during the release coating opera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200 to 250 points.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Tap Line)의 작업 시 이형 코팅제의 도포량은 3 내지 4g/㎡을 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 시 상층과 알루미늄 호일층 간의 열로 인한 접착성을 없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releasing coating agent is 3 to 4 g / m < 2 >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ap line which is the unbonded surface, and the adhesiveness due to heat between the upper layer and the aluminum foil layer .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필름 층은 천공 또는 재단 시 상층의 파지부가 휘어지는 것을 없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stic film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 portion of the upper layer does not bend during perforation or cut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필름 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stic film layer is preferably characterized by us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은 봉합체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를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형성하여 봉합체의 박리를 손쉽게 함으로서 보다 간편하게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용기의 입구와 손이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용기의 입구에 이물질이 묻지 않아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특정한 층 구조를 가지는 봉합체를 제공하므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보다 용이한 작업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완제품의 컬링(curling)이 방지될 수 있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가지는 봉합체를 제공한다.
In the suture body provided with the grip portion not bonded to the upper 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grip portion, which is the face not adhered to the adhesive face, may be formed on the upper face of the suture body by an easier method, It is possible to take out the contents of the inside of the container more easily and to prevent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from touching with the hand so that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is not adhered to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hygiene problem does not occu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ture having a superior function and effect that can be manufactured with ease in workability without causing defects of the product and curling of the finished produc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파지부(Tap Line)가 형성된 봉합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봉합체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파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봉합체를 사용되는 크기에 따라 절단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형성된 파지부(Tap Line)를 세운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봉합체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들 봉합체가 용기의 입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ectional view of a suture formed with a tap l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rocess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uture materi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used in a coating process for forming a grip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cutting of a suture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ture used,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 tap line form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uture, which shows a state in which these sutures are attached to the mouth of the container.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design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파지부(Tap Line)가 형성된 봉합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봉합체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파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Fig. 1 is a sectional view of a suture formed with a tap l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rocess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uture materi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used in an application process for forming a grip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1c)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봉합체의 상단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켜 상기 파지부를 잡고 손쉽게 용기로부터 봉합체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봉합체로서, 상기 봉합체는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1), 상기 표면층 아래에 적절한 두께를 가지고 위치된 탄성층(2); 상기 탄성층(2) 하단에 라미네이트 되는 플라스틱 필름층(3); 및 상기 필름층(3) 하단에 라미네이트된 열가소성 수지층(4)으로 구성된 상층(1b)과; 상기 상층 아래에 위치된 알루미늄 호일층으로 구성된 중간층(6)과; 상기 중간층(6)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7)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층(1b)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상층 하단면과 중간층(6)인 알루미늄 호일층 상단면에는 접착부(5b) 및 비접착부(5)를 함께 형성함에 의해, 상기 중간층과 접착되지 않은 상층(1b)의 부분이 파지부로 된다. 또한, 상기 탄성층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가 라미네이트 되어 형성되어 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합체는 표면층(1)과 플라스틱 필름층(3)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가 라미네이트 되어 형성되는 중간층(2)을 형성하므로 봉합체의 제조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봉합체와 용기와의 실링 불량의 발생을 완전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층 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완제품인 봉합체의 컬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al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부(5b)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기로는 용제형 이액형 폴리우레탄 혼합물의 접착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고형분은 바람직하기로는 60 내지 70%이고, 점도는 2,500 내지 3,500(25℃, mPa-s)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를 벗어난 접착제는 접착강도가 너무 높거나 또는 반대로 너무 낮아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에 의한 용이한 박리를 방해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라 형성된 파지부에 의한 용이한 박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의 도포량은 4 내지 6g/㎡으로 하고, 접착 면의 넓이는 10 내지 8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n order to facilitate easy peeling by the grip portion form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the adhesive applied is preferably 4 to 6 g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층(6)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호일은 그 두께를 12㎛ 내지 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미만에서는 강도가 약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50㎛를 초과하면 제조단가가 상승할 뿐 아니라 작업성이 열악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적절한 강도의 제공과 컬링의 방지 등의 측면에서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aluminum foil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layer 6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2 탆 to 50 탆.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12 μm, the strength is low, which is not preferable. When the thickness is more than 50 μm,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workability is poor.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above range in terms of provision of adequate strength and prevention of curl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봉합체를 사용되는 크기에 따라 절단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형성된 파지부(Tap Line)를 세운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cutting of a su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used siz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ap line form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up Sectional view.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를 봉하기 위해 용기의 입구에 매치되도록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용기를 봉합하고, 이러하게 봉합이 된 용기의 입구에 있는 봉합체를 손쉽게 떼어내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봉합체의 상단 부위의 적절한 위치에 접착 면과 접착되지 않은 면으로 파지부가 되는 상층의 일 부분(도 5의 1b)을 형성시켜, 상기 파지부(1b)를 잡고 잡아당기어 용기의 입구 봉합면으로부터 봉합체의 봉합면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게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sealing a container by cutting it to an appropriate size to match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to seal the container, and to easily peel off the suture at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thus sealed, (1b in Fig. 5), which is gripped by a surface that is not bonded to the adhesive surface,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ture body, So that the sealing surface of the sealing material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inlet sea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상기 봉합체를 구성하는 부분은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층(1b)의 하단 면과 중간층(6)인 알루미늄 호일층 사이에 접착면(5b)과 비접착면(5)으로 되는 파지부(Tap Line)를 형성시키는 형성층(5b, 5)과 용기의 입구와 실제 접착이 이루어지는 봉합 접착층(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ealing member is composed of an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체의 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한 제조공정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forming the structure of the su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파지부가 형성된 봉합체의 파지부의 형성을 위해서는,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Tap Line)는 열접착성이 없는 표면층(1)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를 발포하여 적절한 두께로 라미네이트하는 1단계; 상기 탄성층(2) 하단에 플라스틱 필름층(3)과 열가소성 수지층(4)을 순차적으로 라미네이트하여 상층(1b)을 형성하는 2단계; 알루미늄 호일로 되는 중간층(6)을 준비하는 3단계; 상기 중간층(6) 하단에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되어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7)을 라미네이트하는 4단계;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상층(1b) 하단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면과 상기 3단계 알루미늄 호일 하단에 봉합 접착층이 라미네이트된 중간층(6)의 알루미늄 호일 상면에 접착부(5b)와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5)에 의해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5단계; 및 상기 5단계에서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후 용기의 입구 사이즈에 맞게 절단 또는 천공하여 재단하는 제6단계로 구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 비접찹부(5)의 형성은 이것이 형성되는 면에 이형코팅을 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 시 이 부분(5)이 알루미늄 호일로 된 중간층(6)과의 열로 인한 접착성을 없게 하는 것이다. 중간층(6)에는 그 하단에 라미네이트되는 봉합 접착층(7)이 형성되어 봉합층(1a)를 형성한다.In order to form the grip portion of the suture formed with the gri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grip portion (Tap Line) is formed by foaming a thermoplastic resin or a polyolefin foaming agent on the surface layer 1 < / RTI > A second step of sequentially laminating a plastic film layer 3 and a
다음으로, 도 2 및 3을 참고로 하면, 열접착성이 없는 표면층과 라미네이트 된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로 구성된 탄성층과 플라스틱 필름층 및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구성된 상층(1b)이 도 3a와 같이 코팅되는 면과 코팅되지 않는 면을 형성하는 요홈을 가지는 롤러를 사용하여 이형코팅(5)을 하고, 이형코팅된 상층(2b)은 챔버(chamber; 10)을 통과 후 도면 3b의 접착되는 접착부(5b)과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5)가 형성된 롤러를 사용하여 접착제에 의한 도포가 이루어지고 도포가 이루어진 원단(2c)은 챔버(10)을 통과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고 건조된 원단(2c)은 압동 롤을 이용하여 봉합층(1a)과 합지가 된다. 합지되는 과정에서 접합되지 않은 비접합부(5)와 합지되는 접합부(5b)로 나뉘어져서 파지부(Tap Line)을 형성하게 된다.Next, referring to Figs. 2 and 3, an
또한, 용기와 접착이 이루어지는 봉합층(1a)은, 도 5에서 구조에 따라 실제 용기에 접착이 되는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이루어진 봉합 접착층(7)과 알루미늄 호일로 된 중간층(6)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층 사이에, 또는 중간층(6)의 위에 봉합체의 강도 향상, 차단성 증가 또는 내용물의 특정한 성질, 예를 들어 강산 등에 대한 내성의 증가를 목적으로 특정한 재질의 층이 부가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들 부가 층은 상기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절단 후의 강직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다른 위치에 부가되어 질 수도 있을 것이다.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부와 비접착부로 되는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합지 작업의 속도는 분당 50 내지 70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속도를 분당 70m 이상으로 하면 접착제의 과소한 도포 및 번짐이 발생하고, 반대로 50m 이하로 하면 작업속도의 저하뿐 아니라 과잉 접착 및 접착제의 번짐으로 접합력이 열악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ed of the lapping opera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non-adhesive portion (Tap Line) is 50 to 70 m per minute. If the speed is more than 70 m per minute, too little application and blurring of the adhesive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ed is less than 50 m, the bonding speed becomes poor and the adhesive strength becomes poor due to excessive adhesion and glue spreading.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되지 않은 면인 파지부(Tap Line)의 작업 시 이형코팅제 동판의 목수는 200 내지 250목으로 하고, 이형 코팅제의 도포량은 3 내지 4g/㎡을 하여 고주파 유도가열 시 상층과 알루미늄 호일층 간의 열로 인한 접착성을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penters of the copper plate of the release-type coating agent are 200-250 necks and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release-type coating agent is 3-4 g / m < 2 & It is preferable to eliminate adhesion due to heat between the upper layer and the aluminum foil layer during induction heating.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용기의 입구에 맞게 절단 또는 천공하여 재단하는 단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가 형성된 용기 봉합체가 제조되어 진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그 재단방식에 따라 파지부를 봉합체의 봉합지 상단 중간에 위치한 형태와 봉합지 상단 끝에 위치한 형태로 조절하여 제조되도록 한다.
4, the container sintered body having the grip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cutting or punching and cutting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let of the desired container. At this time, preferably, the grip portion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end of the sealing material of the suture material and the upper end of the sealing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cutting method.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파지부가 형성된 용기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그 내용은 하기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분야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발명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sealing body having the grip por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described. However,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sealing bod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not limited to the field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표면층 2 --- 탄성층
3 --- 플라스틱 필름층 4 --- 열가소성 수지층
5 --- 비접착부 5b --- 접착부
6 --- 중간층 7 --- 봉합 접착층
1a --- 봉합층
1b --- 상층
1c --- 봉합체1 ---
3 ---
5 ---
6 ---
1a --- Seal layer
1b --- upper layer
1c-suture
Claims (13)
상기 용기의 봉합체 상단부에 위치하여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1);
상기 표면층(1) 아래에 위치된 탄성층(2);
상기 탄성층(2) 하단에 라미네이트 되는 플라스틱 필름층(3); 및
상기 필름층(3) 하단에 라미네이트된 열가소성 수지층(4)으로 구성된 상층(1b)과;
상기 상층(1b) 아래에 위치된 알루미늄 호일층으로 구성된 중간층(6)과;
상기 중간층(6) 하단에 접착되어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된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7)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층(1b)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상층 하단면과 중간층(6)인 알루미늄 호일층 상단면에는 접착부(5b) 및 비접착부(5)를 함께 형성함에 의해 파지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EN) A suture body of a container which can easily hold a suture from a container by holding a grip part (Tap Lin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uture body so as to be easily opened, , A film layer, an aluminum foil layer, and an adhesive layer, said seal comprising:
A surface layer (1) made of a material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uture of the container and having no thermal adhesiveness;
An elastic layer (2) located below said surface layer (1);
A plastic film layer (3) laminated on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layer (2); And
An upper layer 1b composed of a thermoplastic resin layer 4 lamina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lm layer 3;
An intermediate layer (6) composed of an aluminum foil layer located below the upper layer (1b);
And a sealing adhesive layer (7) adher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layer (6) and adhered to a container made of a thermosetting plastic resin or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herein a gripping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bonding portion (5b) and a non-bonding portion (5) together on the upper surface lower end surface ma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of the upper layer (1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luminum foil layer being the intermediate layer (6) A suture provided with an unbonded grip.
The su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layer (2) is formed by laminating a thermoplastic resin or a polyolefin foaming agent.
The su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ling adhesive layer (7) is formed by an adhesive of a liquid type polyurethane mixture in a solvent type.
2.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forming the sealing adhesive layer (7) has a solid content of 60 to 70% and a viscosity of 2,500 to 3,500 (25 DEG C, mPa-s) Provided suture.
[4] The sutur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dhesive has a coating amount of 4 to 6 g / m < 2 > so that the adhesive has a predetermined adhesive force and an adhesive surface area of 10 to 80 mm.
The su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aluminum foil layer, which is the intermediate layer (6), is in the range of 12 탆 to 50 탆.
상기 파지부는 열접착성이 없는 재료로 된 표면층(1)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제를 발포하여 라미네이트하므로 탄성층(2)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탄성층(2) 하단에 플라스틱 필름층(3)과 열가소성 수지층(4)을 순차적으로 라미네이트하여 상층(1b)을 형성하는 2단계;
알루미늄 호일로 되는 중간층(6)을 준비하는 3단계;
상기 중간층(6) 하단에 열접착성 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되어 용기와 접착이 되는 봉합 접착층(7)을 라미네이트하는 4단계;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상층 하단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면과 상기 3단계 알루미늄 호일 하단에 봉합 접착층이 라미네이트된 중간층의 알루미늄 호일 상면에 접착된 면과 접착되지 않는 파지부(Tap Line)를 형성하는 5단계; 및
상기 5단계에서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후 용기의 입구 사이즈에 맞게 절단 또는 천공하여 재단하는 제6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suture for forming a tap line in a suture of a container comprising a surface layer, an elastic layer, a film layer, an aluminum foil layer and an adhesive layer,
The gripping portion laminates a thermoplastic resin or a polyolefin foaming agent on the surface layer (1) made of a material having no thermal adhesiveness and laminates it, thereby forming an elastic layer (2);
A second step of sequentially laminating a plastic film layer 3 and a thermoplastic resin layer 4 on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layer 2 to form an upper layer 1b;
Preparing an intermediate layer 6 made of an aluminum foil;
A fourth step of laminating a sealing adhesive layer 7 made of a thermosetting plastic resin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layer 6 to be bonded to the container;
(5) forming a tap line which is not adhered to the surface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luminum foil of the intermediate layer in which the sealing adhesive layer is laminated at the lower end of the three-stage aluminum foil formed in the upper layer lower thermoplastic resin formed in step 2, ; And
And a sixth step of cutting the slit into an integral shape in step 5 and cutting or cutting the slit in accordance with an inlet size of the container.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ap line of the step 5 is formed by using a roll having a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a two-step process, wherein the adhesive is applied to a portion other than the grip portion at the two ends of the grip portion.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tep (6)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the tap line in the middle of the upper end of the sealing material of the sealing material and the upper end of the sealing material, A method of producing a suture provided with a non-bonded grip.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peed at the time of laminating the bonding surface forming the tap line which is not bonded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fth step is 50 to 70 m per minute. Wherein the holding part is provided with a grip part.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arpenter of the copper plate during the release coating operation is 200 to 250 necks.
[7]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releasing coating agent is 3 to 4 g / m < 2 >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ap line, which is the unbonded surface, to prevent adhesiveness due to heat between the upper layer and the aluminum foil layer during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nglued gripping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rt.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lastic film layer is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1895A KR101442398B1 (en) | 2013-02-28 | 2013-02-28 | Container sealing product having the opening tap on the one s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US14/385,203 US9833979B2 (en) | 2012-03-15 | 2013-03-07 | Seal provided with non-adhesive holding part on top surfac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U2013232978A AU2013232978B2 (en) | 2012-03-15 | 2013-03-07 | Seal provided with holding part not adhered to part of top surfac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CN201380014517.XA CN104203765B (en) | 2012-03-15 | 2013-03-07 | Packaging body being provided with the handle part do not bond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in the one side of upper end |
PCT/KR2013/001854 WO2013137590A1 (en) | 2012-03-15 | 2013-03-07 | Seal provided with holding part not adhered to part of top surfac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HK15100470.2A HK1200155A1 (en) | 2012-03-15 | 2015-01-15 | Seal provided with holding part not adhered to part of top surfac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1895A KR101442398B1 (en) | 2013-02-28 | 2013-02-28 | Container sealing product having the opening tap on the one s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7832A KR20140107832A (en) | 2014-09-05 |
KR101442398B1 true KR101442398B1 (en) | 2014-09-22 |
Family
ID=5175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1895A KR101442398B1 (en) | 2012-03-15 | 2013-02-28 | Container sealing product having the opening tap on the one s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239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7647B1 (en) | 2017-04-17 | 2017-12-11 | 주식회사 씰앤팩 | The compact cosmetics container with tamper-evident of application of the double-sided adhesive incorporation container of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with high frequency |
KR101879659B1 (en) * | 2017-04-17 | 2018-08-17 | 주식회사 씰앤팩 | The double-sided adhesive incorporation container of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with high frequenc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6147B1 (en) * | 2012-03-15 | 2012-10-30 | 위세만 | Container sealing product having the opening tap on the one s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2013
- 2013-02-28 KR KR1020130021895A patent/KR10144239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6147B1 (en) * | 2012-03-15 | 2012-10-30 | 위세만 | Container sealing product having the opening tap on the one s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7647B1 (en) | 2017-04-17 | 2017-12-11 | 주식회사 씰앤팩 | The compact cosmetics container with tamper-evident of application of the double-sided adhesive incorporation container of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with high frequency |
KR101879659B1 (en) * | 2017-04-17 | 2018-08-17 | 주식회사 씰앤팩 | The double-sided adhesive incorporation container of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with high frequenc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7832A (en) | 2014-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53602B2 (en) | Inner sealing material for sealing the container mouth | |
AU2019283781B2 (en) | Multi-layer film and reclosable film package | |
JP6749921B2 (en) | Multi-layer film and resealable film package | |
WO2013146978A1 (en) | Cover material for packaging container for retortion | |
US11123963B2 (en) | Multi-layer film and reclosable film package | |
JP2020528031A (en) |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pouches with sealed edges | |
KR101442398B1 (en) | Container sealing product having the opening tap on the one s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US20170152068A1 (en) | Bag Sealing Tape, and Banding Device and Banding Method Using the Bag Sealing Tape | |
KR101196147B1 (en) | Container sealing product having the opening tap on the one s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US9833979B2 (en) | Seal provided with non-adhesive holding part on top surfac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20200277121A1 (en) | Sealing cover having opening tap for containe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4478232B2 (en) | Machine for manufacturing a cylinder sleeve | |
WO2020148306A1 (en) | A label laminate web with open-closure type clean peel remov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
JPH0781010A (en) | Packaging film | |
JP7540140B2 (en) | Pillow packaging bag | |
JP2014069883A (en) | Packaging b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6103581B2 (en) | Packaging materials and packages | |
JP5243393B2 (en) | Packaging opening sheet | |
JP7540139B2 (en) | Pillow packaging bag | |
EP1762378B8 (en) | Method for preparation of a laminate for a package | |
JP3083025U (en) | Adhesive tape | |
JP4935016B2 (en) | Resealable packaging bag | |
JP4765299B2 (en) | Inner seal material for high frequency seal | |
JP2014237452A (en) | Paper-made liquid container | |
JP2019199268A (en) | Pack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