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40916B1 - 알약 정량배출 용기 - Google Patents

알약 정량배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916B1
KR101440916B1 KR1020110041612A KR20110041612A KR101440916B1 KR 101440916 B1 KR101440916 B1 KR 101440916B1 KR 1020110041612 A KR1020110041612 A KR 1020110041612A KR 20110041612 A KR20110041612 A KR 20110041612A KR 101440916 B1 KR101440916 B1 KR 101440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ing
fixed amount
present
cont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953A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10041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916B1/ko
Publication of KR2012012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9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8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articles passing through a small opening or passage, without additional dispensing devices and without retaining means for the following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4Cup-shaped plugs or like hollow flang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5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약 정량배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는, 알약과 같은 고체상태의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홀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알약수용부가 형성되는 정량배출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에 의하면, 용기본체의 상단에 알약이 한 알 또는 두 알씩 수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인출홀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이루는 알약수용부가 형성된 정량배출부를 결합함으로써, 용기본체를 거꾸로 뒤집었다가 바로 세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알약의 정량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알약 정량배출 용기{A VESSEL FOR DISCHARGING CONSTANT RATE OF PILLS}
본 발명은 알약 정량배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의 상단에 알약이 한 알 또는 두 알씩 수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인출홀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이루는 알약수용부가 형성된 정량배출부를 결합함으로써, 용기본체를 거꾸로 뒤집었다가 바로 세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알약의 정량배출이 가능한 알약 정량배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제, 비타민제 등의 건강보조약제는 알약 또는 환약(이하, "알약"이라 함.) 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알약들은 그 효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과용을 막기 위해 정량을 규칙적으로 복용하게 된다.
이러한 알약은 소정의 보관용기에 수용시킨 상태로 판매되는데, 종래의 알약보관용기는 다수의 알약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투입구에 개폐가능하게 결합 되는 캡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알약 또는 환약의 복용을 위해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캡을 개방시킨 후에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알약 또는 환약을 손바닥 상으로 인출하여 복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의 경우에 복용자는 정량의 알약을 복용하기 위해 손바닥 상으로 인출된 알약의 개수를 일일이 세어 정량을 초과하는 분량을 다시 용기 본체 내로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복용자의 손바닥 상으로 인출된 초과분의 알약을 재차 용기에 넣는 과정에서 알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알씩 알약의 정량 배출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의 상단에 알약이 한 알 또는 두 알씩 수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인출홀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이루는 알약수용부가 형성된 정량배출부를 결합함으로써, 용기본체를 거꾸로 뒤집었다가 바로 세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알약의 정량배출이 가능한 알약 정량배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는, 알약과 같은 고체상태의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홀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알약수용부가 형성되는 정량배출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정량배출부의 상부가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의 하부에는 정량배출부를 고정시키도록 내주면을 둘러싸며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량배출부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캡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정량배출부의 안착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량배출부 또는 배출부의 상단에는 상기 정량배출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씰링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의 상단에 알약이 한 알 또는 두 알씩 수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인출홀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이루는 알약수용부가 형성된 정량배출부를 결합함으로써, 용기본체를 거꾸로 뒤집었다가 바로 세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알약의 정량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용기본체에 정량배출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조립 및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용기본체에 정량배출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는 용기본체(100), 정량배출부(200), 외캡(300)이 포함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알약과 같은 고체상태의 내용물(M)이 수용되며 상부에 내용물(M)이 배출되는 배출부(11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1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외캡(300)의 제2나사산(310)과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산(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110)의 상단 내주면에는 후술할 정량배출부(200)의 상부를 구성하는 안착부(240)가 안착되는 안착턱(113)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113)의 하부에는 배출부(110)의 내주면을 둘러싸며 고정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12)은 정량배출부(200)의 결합돌기(230)와 결합되어 정량배출부(20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10)의 상단에는 정량배출부(20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는 씰링부재(40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씰링부재(400)는 용기본체(100)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최초 사용시에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량배출부(200)는 상기 배출부(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M)을 한 알 또는 두 알씩 일정량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단은 개방형성되며, 하단은 내용물이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중앙부에 인출홀(2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량배출부(200)는 상기 인출홀(2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놓여지는 알약수용부(22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용기본체(100)를 거꾸로 뒤집었다가 바로 세울 경우, 인출홀(210)을 통해 인출된 내용물(M)이 알약수용부(220)가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알약수용부(220)에 안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한 알 또는 두 알씩의 내용물의 정량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알약수용부(220)는 내용물(M)의 크기에 따라 한 알의 내용물만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데, 인출홀(2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형성됨으로써, 적게는 양측의 알약수용부(220) 중 어느 하나에만 알약이 수용되며, 많게는 양측 모두에 각각 하나씩 총 두 알의 알약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정량배출부(200)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턱(113)에 안착되는 안착부(240)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홈(112)에 결합되어 정량배출부(200)를 용기본체(100)에 고정시키는 결합돌기(2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캡(300)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캡(3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111)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310)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이고,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조립 및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는 외캡(300)의 내측 상부에 상기 정량배출부(200)의 안착부(240)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32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는 정량배출부(200)와 외캡(300)이 분리되어 존재함으로써, 용기본체(100)에 정량배출부(200)를 결합하고, 외캡(300)을 결합하는 두 번의 제조공정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는 상기 걸림턱(320)이 안착부(224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량배출부(200), 외캡(300) 및 씰링부재(400)를 세트화하여 용기본체(100)에 한번에 조립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정량배출부(200), 외캡(300) 및 씰링부재(400)를 세트화하여 용기본체(100)에 조립하게 되면, 정량배출부(200)의 결합돌기(230)가 용기본체(100)의 고정홈(112)에 결합되는데, 이로 인하여, 정량배출부(200)는 용기본체(100)에 고정이 이루어지며, 외캡(300)은 용기본체(100)로부터 탈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씰링부재(400)는 정량배출부(200)의 안착부(240) 상단에 부착된 상태로 제조되며, 상기 정량배출부(20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여 용기본체(100)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기타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약 정량배출 용기의 사용방법은 먼저,
용기본체(100)를 파지한 상태로 용기본체(100)를 거꾸로 뒤집는다. 용기본체(100)가 뒤집어지면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M)이 용기본체(10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 정량배출부(200)의 인출홀(210)을 통해 정량배출부(200)로 내용물(M)의 인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뒤집었던 용기본체(100)를 바로 세우게 되면, 인출홀(210)을 통해 인출된 내용물(M)이 알약수용부(220)가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알약수용부(220)에 안착된다.
상기 알약수용부(220)는 내용물(M)의 크기에 따라 한 알의 내용물만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데, 인출홀(2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형성됨으로써, 적게는 양측의 알약수용부(220) 중 어느 하나에만 알약이 수용되며, 많게는 양측 모두에 각각 하나씩 총 두 알의 알약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한 알 또는 두 알의 내용물(M)이 정량배출부(200)에 놓여지게 되며, 사용자는 외캡(300)을 용기본체(100)로부터 탈리하여 정량배출부(200)로 인출된 내용물(M)을 복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배출부
111: 제1나사산 112: 고정홈
113: 안착턱 200: 정량배출부
210: 인출홀 220: 알약수용부
230: 결합돌기 240: 안착부
300: 외캡 310: 제2나사산
320: 걸림턱 400: 씰링부재

Claims (5)

  1. 알약과 같은 고체상태의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이 인출되는 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홀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인출홀을 통해 인출되는 내용물이 각각 놓여지도록 양측으로 분할된 알약수용부가 형성되어 내용물을 한 알 또는 두 알씩 일정량 배출시키는 정량배출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캡;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본체를 거꾸로 뒤집었다가 바로 세우는 동작에 의해 인출홀을 통해 인출되는 내용물이 알약수용부가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알약수용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정량배출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41612A 2011-05-02 2011-05-02 알약 정량배출 용기 Active KR101440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612A KR101440916B1 (ko) 2011-05-02 2011-05-02 알약 정량배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612A KR101440916B1 (ko) 2011-05-02 2011-05-02 알약 정량배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953A KR20120123953A (ko) 2012-11-12
KR101440916B1 true KR101440916B1 (ko) 2014-09-17

Family

ID=4750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612A Active KR101440916B1 (ko) 2011-05-02 2011-05-02 알약 정량배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480B1 (ko) 2017-09-27 2018-12-07 김종재 알약 정량 배출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8608B (zh) * 2018-09-29 2023-12-22 李佳晟 一种用于盛放颗粒状药品、食品的瓶子
KR102805033B1 (ko) * 2022-06-10 2025-05-0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보관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947A (ja) * 1997-09-29 1999-04-20 Yoshino Kogyosho Co Ltd 錠剤収納容器
JPH11189280A (ja) * 1997-12-25 1999-07-13 Eisai Co Ltd 粒状物を収納した容器の蓋体
JP2008531196A (ja) * 2005-03-01 2008-08-14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通気孔付きマスカラワイパー
WO2009012080A1 (en) * 2007-07-13 2009-01-22 Rexam Closure Systems Inc. Dispensing package and fit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947A (ja) * 1997-09-29 1999-04-20 Yoshino Kogyosho Co Ltd 錠剤収納容器
JPH11189280A (ja) * 1997-12-25 1999-07-13 Eisai Co Ltd 粒状物を収納した容器の蓋体
JP2008531196A (ja) * 2005-03-01 2008-08-14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通気孔付きマスカラワイパー
WO2009012080A1 (en) * 2007-07-13 2009-01-22 Rexam Closure Systems Inc. Dispensing package and fit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480B1 (ko) 2017-09-27 2018-12-07 김종재 알약 정량 배출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953A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1556B2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US9248423B2 (en) Hand-holdable mixing container
TW442433B (en) Container and closure with dispensing valve and separate releasable internal shipping seal
US10675217B2 (en) Spherical pill container with domed lid
KR20120096798A (ko) 알약 정량배출 캡
KR20150075818A (ko)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101440916B1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WO2013172487A1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KR20180052477A (ko) 알약 용기
KR20150138156A (ko) 어린이-안전형 포장 및 압출가능 튜브의 조합체 및 그 이용 방법
JPH11189280A (ja) 粒状物を収納した容器の蓋体
KR20160077059A (ko)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KR101765753B1 (ko)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
KR20110041713A (ko) 휴대용 알약 보관용기
KR102049730B1 (ko) 이종물질의 혼합이 용이한 캡
KR20120032739A (ko)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캡이 구비된 튜브용기
US8863996B2 (en) Controllable medicinal dosage packaging for liquid medication
KR101926480B1 (ko) 알약 정량 배출용기
KR20220033958A (ko)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KR20150008637A (ko)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휴대용 물병
JP6473006B2 (ja) 錠剤取出用具
KR200476250Y1 (ko)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101634605B1 (ko) 병 용기 내용물 유동 방지용 텐션 홀더
KR101964020B1 (ko) 정량배출 구조가 확보된 의약품 용기의 용기마개
KR20160074492A (ko)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521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210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40430

Appeal identifier: 2013101007363

Request date: 2013100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004

Effective date: 201404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404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31004

Decision date: 20140430

Appeal identifier: 2013101007363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9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4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