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723B1 -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 Google Patents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7723B1 KR101447723B1 KR1020120129915A KR20120129915A KR101447723B1 KR 101447723 B1 KR101447723 B1 KR 101447723B1 KR 1020120129915 A KR1020120129915 A KR 1020120129915A KR 20120129915 A KR20120129915 A KR 20120129915A KR 101447723 B1 KR101447723 B1 KR 1014477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om plate
- outer bottom
- girder
- inner bottom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을 통해 포장층의 바닥을 형성하여 복공판을 사용하지 않고 포장층을 형성하며, 주형 거더와 바닥판을 구조체로 합성하여 강성을 증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강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측 바닥판(10)과; 상기 한 쌍의 외측 바닥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체결구를 통해 상기 외측 바닥판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며 강재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내측 바닥판(20)과;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포장층과;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의 저부에 체결구를 통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주형 거더(30)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이 종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상기 주형 거더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바닥판(10)은 스틸로 이루어지며,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폭방향의 양측 단부 중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돌출된 방호책 지지부(11a)에 의해 방호책 안착부(11b)가 구비된 외측 바닥부(11), 상기 외측 바닥부의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거더 연결부(12), 상기 외측 바닥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보(13), 상기 외측 바닥부의 단부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방호책(1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바닥판(20)은, 바닥면이 평평한 내측 바닥부(21), 상기 내측 바닥부의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거더 연결부(22), 상기 내측 바닥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보(2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강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측 바닥판(10)과; 상기 한 쌍의 외측 바닥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체결구를 통해 상기 외측 바닥판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며 강재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내측 바닥판(20)과;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포장층과;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의 저부에 체결구를 통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주형 거더(30)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이 종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상기 주형 거더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바닥판(10)은 스틸로 이루어지며,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폭방향의 양측 단부 중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돌출된 방호책 지지부(11a)에 의해 방호책 안착부(11b)가 구비된 외측 바닥부(11), 상기 외측 바닥부의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거더 연결부(12), 상기 외측 바닥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보(13), 상기 외측 바닥부의 단부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방호책(1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바닥판(20)은, 바닥면이 평평한 내측 바닥부(21), 상기 내측 바닥부의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거더 연결부(22), 상기 내측 바닥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보(23)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설 교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판을 통해 포장층의 바닥을 형성하여 복공판을 사용하지 않고 포장층을 형성하며, 주형 거더와 바닥판을 구조체로 합성하여 강성을 증대할 수 있는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공사나 교량의 보수공사 등의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필요한 장비를 운반할 수 있도록 작업대 및 운반로를 확보하거나, 여름철 장마와 수해 및 홍수 등으로 수심이 깊은 강이나 하천 등에 인하여 차량 또는 보행자들의 통행로를 확보하기 위해 임시 가설교량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가설교량은 우회용 가교, 공사용 가교, 영구용 가교 등으로 사용되어 목적 및 용도가 다양해지며, 이와 더불어 가교의 설치 길이 및 폭이 장대화되고 존치기간이 길어지면서 장지간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가설교량은 교각, 지지틀, 주형보, 가로보 및 복공판 등으로 구성된다. 교각은 복수 개의 에이치 빔(H-Beam) 또는 아이 빔(I-Beam)이 설치된 강재로서, 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각의 상부면에 지지틀을 설치하고, 교각과 교각 사이에 복수 개의 거더를 설치한다. 이 거더의 하부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로보를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이 거더의 상부에는 복공판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가설교량에 있어서, 바닥판용 복공판은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부재로서 적용되지 못하고, 오로지 가설교량의 고정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설교량에 있어서 복공판은 가설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의 30%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설교량의 단면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실제 시공현장에서의 활용 범위가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복공판의 수량이 매우 많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복공판의 설치가 어려울 뿐 아니라 공기가 길어지고 공사비용이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주형보(거더)만 주부재이기 때문에 형고가 높아지고 그에 따라 재료비가 비싸짐과 아울러 중량이 무거워져 시공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판을 통해 포장층의 바닥을 형성하여 복공판을 사용하지 않고 포장층을 형성하며, 주형 거더와 바닥판을 구조체로 합성하여 강성을 증대할 수 있는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강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측 바닥판과; 상기 한 쌍의 외측 바닥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체결구를 통해 상기 외측 바닥판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며 강재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내측 바닥판과;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포장층과;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의 저부에 체결구를 통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주형 거더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이 종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상기 주형 거더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바닥판은 스틸로 이루어지며,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폭방향의 양측 단부 중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돌출된 방호책 지지부에 의해 방호책 안착부가 구비된 외측 바닥부, 상기 외측 바닥부의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거더 연결부, 상기 외측 바닥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보, 상기 외측 바닥부의 단부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방호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바닥판(20)은, 바닥면이 평평한 내측 바닥부, 상기 내측 바닥부의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거더 연결부, 상기 내측 바닥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에 의하면, 복공판을 사용하지 않고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 위에 포장층을 직접 시공하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이 블록화되어 주형 거더에 조립하는 간단한 작업만을 통해 시공이 가능하므로 공기를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이 주형 거더에 조립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강성이 커지므로 형고의 축소가 가능해지고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장경간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에 적용된 외측 바닥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에 적용된 내측 바닥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에 적용된 외측 바닥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에 적용된 내측 바닥판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의 포장층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에 적용된 외측 바닥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에 적용된 내측 바닥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에 적용된 외측 바닥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에 적용된 내측 바닥판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의 포장층을 도시한 예시도.
<실시예 1>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100)은, 외측 바닥판(10), 내측 바닥판(20),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을 지지하는 주형 거더(30)로 이루어지며,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은 체결구를 통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고 또한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은 주형 거더(30)에 체결구를 통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고, 한 쌍의 외측 바닥판(10) 사이에 하나 이상(도면에는 두 개로 도시됨)의 내측 바닥판(20)이 조립되어 다양한 폭의 가설 교량을 시공한다. 물론, 내측 바닥판(20)을 사용하지 않고 한 쌍의 외측 바닥판(10)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외측 바닥판(10)은 모든 구성요소가 강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이 평평한 외측 바닥부(11), 외측 바닥부(11)의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거더 연결부(12), 외측 바닥부(11)의 저면 즉 거더 연결부(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보(13), 외측 바닥부(11)의 저면 즉 거더 연결부(12)와 지지보(13)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종횡방향 보강재(14), 외측 바닥부(11)의 단부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방호책(15)으로 구성된다.
외측 바닥부(11)는 바닥면이 평평한 판재이며 방호책(15)이 조립되는 단부에는 방호책(15)을 지지 또는 방호책(15)과 체결구로 조립되는 방호책 지지부(11a)가 갖추어진다. 방호책 지지부(11a)는 외측 바닥부(11)의 바닥면에 상부로 돌출된 구조이며 강성 보강을 위하여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방호책 지지부(11a)는 도면에서처럼 외측 바닥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방호책 지지부(11a)가 내측 바닥판(20)쪽으로 절곡되면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포장층을 지지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방호책 지지부(11a)는 외측 바닥부(11)의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방호책(15)이 안착되는 간격] 이격된 곳에 배치되며, 따라서, 외측 바닥부(11)의 단부에는 방호책 안착부(11b)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면 상에서 방호책 안착부(11b)가 돌출된 형태이고 방호책 안착부(11b)에 방호책(15)이 설치됨에 따라 방호책(15)의 하중에 의해 방호책 안착부(11b)의 휨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호책 안착부(11b)의 저부에는 보강리브가 적용될 수 있다.
거더 연결부(12)는 외측 바닥부(11)의 저면 양측에 각각 하부로 연장된 구조이며, 외측 바닥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수직부(12a) 및 수직부(12a)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주형 거더(30)가 조립되는 수평조립부(12b)로 구성된다.
수평조립부(12b)는 주형 거더(30)와의 조립 위치에 따라 형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자신만 주형 거더(30)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수직부(12a)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내측 바닥판(20)과 함께 주형 거더(30)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수직부(12a)의 일측에만 형성된다. 수평조립부(12b)는 주형 거더(30)와의 조립을 위하여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전술한 구조의 거더 연결부(12)는 수직부(12a)가 외측 바닥부(11)의 저면에 용접 고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거더 연결부(12)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부가 형성된"I"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지보(13)는 외측 바닥부(11)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외측 바닥부(11)의 강성을 보강하며, 수직부(13a) 및 수직부(13a)의 저부에 형성되는 수평부(13b) 또는 전술한 거더 연결부(12)처럼 "I"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거더 연결부(12)와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보강재(14)는 지지보(13)와 동일한 단면이면서 지지보(13)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종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외측 바닥부(11)의 저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방호책(15)은 가설 교량(100)을 통행하는 차량과 보행자의 추락 방지를 위하여 적용된 것이며 저부가 외측 바닥부(11)의 방호책 안착부(11b)에 안착되어 체결구 등을 통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며, 방호책 지지부(11a)에 지지된다.
도 1과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내측 바닥판(20)은, 모든 구성요소가 강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이 평평한 내측 바닥부(21), 내측 바닥부(21)의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거더 연결부(22), 내측 바닥부(21)의 저면 즉 거더 연결부(22)의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보(23), 내측 바닥부(21)의 저면 즉 거더 연결부(22)와 지지보(23)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종횡방향 보강재(24)로 구성된다.
내측 바닥부(21)는 바닥면이 평평한 판재이다.
거더 연결부(22)는 내측 바닥부(21)의 저면 양측에 각각 하부로 연장된 구조이며, 내측 바닥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수직부(22a) 및 수직부(22a)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주형 거더(30)가 조립되는 수평조립부(22b)로 구성된다.
내측 바닥판(20)은 외측 바닥판(10)과 이웃하거나 다른 내측 바닥판(20)과 이웃하기 때문에 외측 바닥판(10) 또는 다른 내측 바닥판(20)과 함께 주형 거더(30)에 조립되므로 수평조립부(22b)가 수직부(22a)의 일측에만 형성된다. 수평조립부(22b)는 주형 거더(30)와의 조립을 위하여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전술한 구조의 거더 연결부(22)는 수직부(22a)가 내측 바닥부(21)의 저면에 용접 고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거더 연결부(22)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부가 형성된"I"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지보(23)는 내측 바닥부(21)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내측 바닥부(21)의 강성을 보강하며, 수직부(23a) 및 수직부(23a)의 저부에 형성되는 수평부(23b) 또는 전술한 거더 연결부(22)처럼 "I"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거더 연결부(22)와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보강재(24)는 지지보(23)와 동일한 단면이면서 지지보(23)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종횡??향으로 설치되어 내측 바닥부(21)의 저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주형 거더(30)는 강재로서 "I"형 빔(또는 "H"형 빔)이 사용될 수 있고, 자신은 교각 등에 지지되면서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에 조립되어 가설 교량(100)의 주부재를 구성한다.
주형 거더(30)의 설치 위치는 외측 바닥판(10)의 바깥쪽, 외측 바닥판(10)의 안쪽과 이웃하는 내측 바닥판(20)의 이음부, 이웃하는 내측 바닥판(20)의 이음부이며[2개의 내측 바닥판(20)이 사용됨에 따라 주형 거더(30)는 5개소에 설치], 체결구를 통해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된다.
외측 바닥판(10), 내측 바닥판(20), 주형 거더(30)의 조립에 의해 가설 교량(100)의 주부재가 구성되고,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의 바닥면(노면)에는 포장층(아스팔트 포장, 판재 등)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바닥판(10), 내측 바닥판(20), 주형 거더(30)의 조립만을 통해 가설 교량(100)의 주부재가 완성되어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한 쌍의 외측 바닥판(10)의 사이에 1개 이상의 내측 바닥판(2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폭의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폭의 가설 교량을 시공할 수 있으며 물론,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가설 교량의 길이 제한도 받지 않는다.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때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외측 바닥판(10)들, 내측 바닥판(20)들의 견고한 연결을 위하여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의 길이방향측 단부에는 각각 연결판(폭방향으로 배열)이 용접 및 체결볼트로 고정되며, 외측바닥판(10)과 내측바닥판(20)이 길이 방향으로 연결시에도 예를 들어 용접 및 체결판을 통해 체결볼트로 고정되어 체결함으로써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의 길이방향도 견고하게 조립한다.
<실시예 2>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100)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외측 바닥판(10), 내측 바닥판(20), 주형 거더(30)로 구성되며,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의 보강재(16,26)가 각각 외측 바닥부(11)와 내측 바닥부(21)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재(16,26)가 노면을 향해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의 강성을 보강함과 아울러 포장층의 형성시에도 사용된다.
본 실시예를 이용한 노면 포장 방법으로는 보강재(14,24)의 아래쪽에 채움재[발포폴리스틸렌(EPS)블록 등]를 채우고 아스팔트 포장층을 시공하는 방법(장기간 사용시, 도 7 참고), 일정 두께[보강재(14,24) 높이만큼]의 아스팔트 포장층을 시공하는 방법(단기간 사용시, 도 8 참고), 보강재(14,24)들 사이의 공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철근 콘크리트 포장층도 9 참고) 등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 상면에 아스팔트 포장을 하여 영구 구조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10 : 외측 바닥판, 11 : 외측 바닥부
12,22 : 거더 연결부, 13,23 : 지지보
14,24 : 보강재, 15 : 방호책
20 : 내측 바닥판, 21 : 내측 바닥부
30 : 주형 거더,
12,22 : 거더 연결부, 13,23 : 지지보
14,24 : 보강재, 15 : 방호책
20 : 내측 바닥판, 21 : 내측 바닥부
30 : 주형 거더,
Claims (4)
-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강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측 바닥판(10)과;
상기 한 쌍의 외측 바닥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체결구를 통해 상기 외측 바닥판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며 강재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내측 바닥판(20)과;
아스팔트 포장층 또는 채움재 및 아스팔트 포장층 또는 철근 콘크리트 포장층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포장층과;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의 저부에 체결구를 통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주형 거더(30)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바닥판과 내측 바닥판이 종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상기 주형 거더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바닥판(10)은 스틸로 이루어지며,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폭방향의 양측 단부 중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상부로 돌출된 방호책 지지부(11a)에 의해 방호책 안착부(11b)가 일체로 형성된 외측 바닥부(11), 상기 외측 바닥부의 저면에 저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종횡방향의 보강재(14), 상기 외측 바닥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수직부(12a)와 이 수직부(12a)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평조립부(12b)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 바닥부의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거더 연결부(12), 상기 외측 바닥부의 저면에 종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보(13), 상기 외측 바닥부의 단부에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방호책(1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바닥판(20)은, 바닥면이 평평한 내측 바닥부(21), 상기 내측 바닥부의 저면에 저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종횡방향의 보강재(24),
수직부(22a)와 이 수직부(22a)의 하단부에 일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수평조립부(22b)로 이루어져 상기 내측 바닥부의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거더 연결부(22), 상기 내측 바닥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보(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바닥판(10)과 내측 바닥판(20)은, 각각 상기 외측 바닥부와 내측 바닥부의 바닥면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측 바닥부와 내측 바닥부를 보강 및 포장층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종횡방향의 보강재(16,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9915A KR101447723B1 (ko) | 2012-11-16 | 2012-11-16 |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9915A KR101447723B1 (ko) | 2012-11-16 | 2012-11-16 |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0700A KR20140070700A (ko) | 2014-06-11 |
KR101447723B1 true KR101447723B1 (ko) | 2014-10-07 |
Family
ID=5112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9915A KR101447723B1 (ko) | 2012-11-16 | 2012-11-16 |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772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0215A (ko) | 2019-10-02 | 2021-04-13 | (주)바로건설기술 | 분할 유니트바닥판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치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2788B1 (ko) * | 2018-05-30 | 2019-03-27 | (주)비에스씨코리아 | 강거더와 강합성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가설교량 |
CN110485256A (zh) * | 2019-08-21 | 2019-11-22 | 广州市第二市政工程有限公司 | 一种装配式的施工便桥及其施工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45227A (ja) * | 1998-07-24 | 2000-02-15 | Nkk Corp | 現場打ちコンクリート床版と鋼桁と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
KR100921825B1 (ko) | 2008-03-24 | 2009-10-16 | 박상현 |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
JP4585614B1 (ja) * | 2010-02-01 | 2010-11-24 | 株式会社横河ブリッジ |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
KR101161628B1 (ko) * | 2012-03-06 | 2012-07-04 | 석정건설(주) | 레일체결구가 부착된 거더 철도교량 |
-
2012
- 2012-11-16 KR KR1020120129915A patent/KR1014477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45227A (ja) * | 1998-07-24 | 2000-02-15 | Nkk Corp | 現場打ちコンクリート床版と鋼桁と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
KR100921825B1 (ko) | 2008-03-24 | 2009-10-16 | 박상현 |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
JP4585614B1 (ja) * | 2010-02-01 | 2010-11-24 | 株式会社横河ブリッジ |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
KR101161628B1 (ko) * | 2012-03-06 | 2012-07-04 | 석정건설(주) | 레일체결구가 부착된 거더 철도교량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0215A (ko) | 2019-10-02 | 2021-04-13 | (주)바로건설기술 | 분할 유니트바닥판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치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0700A (ko) | 2014-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06563B2 (ja) |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 |
KR101311530B1 (ko) | 강합성 바닥판 구조물 및 강합성 교량과 그 시공방법 | |
JP5316490B2 (ja) | 鋼矢板地下壁構造 | |
KR101714160B1 (ko) | 거치식 벽체-강합성 거더 연결구조를 갖는 강합성 라멘교 | |
JP4310444B1 (ja) | 道路橋用幅員拡張材 | |
KR100967734B1 (ko) |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 |
KR100911451B1 (ko) | 메인거더와 대형복공판이 일체화된 합성가설교량용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합성가설교량 시공방법 | |
KR101447723B1 (ko) |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 |
KR200455723Y1 (ko) | 하이브리드 철골보 | |
JP2004270270A (ja) |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橋 | |
KR101586385B1 (ko) | 고하중 장스팬 바닥구조를 위한 병렬 pc 복합보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2007023714A (ja) | 形鋼を用いた合成床版、合成床版橋又は合成桁橋、及び、その施工方法 | |
JP4585614B1 (ja) |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 |
KR101129502B1 (ko) | I 형 합성 거더 | |
KR20080093261A (ko) |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 |
KR101415290B1 (ko) | 다중박스거더교의 프리캐스트방식 상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76846B1 (ko) | 보의 내력 강화구조를 갖는 공작물 | |
KR101010109B1 (ko) |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 |
KR20210004289A (ko) |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 |
KR101878762B1 (ko) |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 |
KR101545329B1 (ko) |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 | |
JP6740846B2 (ja) | 床版取替構造及び床版取替工法 | |
KR101774046B1 (ko) | 조립식 일체형 가설교량 | |
KR200432268Y1 (ko) | 골조와 일체로 제작된 복공판 | |
KR100997450B1 (ko) | 엇물림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