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311B1 - Pipeline controlling Buoyancy - Google Patents
Pipeline controlling Buoyanc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4311B1 KR101444311B1 KR1020120103370A KR20120103370A KR101444311B1 KR 101444311 B1 KR101444311 B1 KR 101444311B1 KR 1020120103370 A KR1020120103370 A KR 1020120103370A KR 20120103370 A KR20120103370 A KR 20120103370A KR 101444311 B1 KR101444311 B1 KR 1014443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 pipe
- pipeline
- pipes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or close to the surfa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4—Floats; 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을 해수면 근처에 설치하여 파이프라인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파이프라인의 일부를 해수면 아래로 침강시킬 수 있는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에 관한 것이다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은 복수의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파이프를 직렬로 연결하되, 파이프가 서로 굴절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이음부재와, 파이프 또는 이음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며 부력이 조절되는 부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line in which a buoyancy is regulated by providing a pipeline near the sea level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pipeline and, if necessary, to settle a part of the pipeline below the sea level
A pipeline in which buoyancy is controlled includes a plurality of pipes, a joint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pipes to connect the pipes in series so that the pipes can be bent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 buoyancy member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ipe and the joint member, To a buoyancy-controlled pipeline comprising a buoyancy regul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라인을 해수면 근처에 설치하여 파이프라인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파이프라인의 일부를 해수면 아래로 침강시킬 수 있는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line in which buoyancy is controlled, more specifically, a pipeline is installed near the sea level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pipeline, and a part of the pipeline can be settled below the sea level The buoyancy of which is controlled.
일반적으로 해상 원유 또는 해상 가스 추출 시설로부터 추출되는 원유나 천연가스는 해저면에 설치된 파이프라인(pipeline)을 통해서 육상 저장시설로 이송된다. 따라서 해저 파이프라인은 해상의 원유 또는 가스 추출 시설로부터 육상의 저장시설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 길이는 수십 킬로미터에서 수백 킬로미터 이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Generally, crude oil or natural gas extracted from offshore crude oil or marine gas extraction facilities is transported to land storage facilities via a pipeline on the sea floor. Thus, submarine pipelines are formed to extend from offshore crude oil or gas extraction facilities to offshore storage facilities, and can vary in length from tens of kilometers to hundreds of kilometers or more.
파이프라인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파이프가 연속되는 관로를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파이프라인에는 대략 수십 미터 이상의 길이를 갖는 단위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단위파이프는 바지선 상에서 순차적으로 용접으로 결합되어 파이프라인을 형성하고, 파이프라인은 바지선으로부터 해저로 침강하여 해저면에 설치되고 있다.A pipeline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having a certain diameter to form a continuous pipe, and a unit pipe having a length of at least several tens of meters is used in the pipeline. Each of these unit pipes is welded sequentially on the barge to form a pipeline, and the pipeline is installed on the sea floor from the barge to the seabed.
한편, 수십 킬로미터에서 수백 킬로미터에 달하는 파이프라인을 해저면에 설치하는 작업은 자연조건에 의해 많은 제약을 받게 되며, 설치 후에도 파이프라인의 수리 및 교체가 쉽지 않다. 또한,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가스나 원유가 누출되는 경우 보수작업을 빨리 수행할 수 없어 환경이 크게 오염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tallation of pipelines ranging from tens of kilometers to hundreds of kilometers on the seabed is very limited by natural conditions and it is not easy to repair and replace pipelines after installation. In addition, if gas or crude oil transported through the pipeline leaks, the maintenance work can not be performed quickly, and the environment can be seriously pollut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세하게는 파이프라인을 해수면 근처에 설치하여 파이프라인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파이프라인의 일부를 해수면 아래로 침강시킬 수 있는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pipeline system and a pipeline system that are installed near the sea level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pipeline and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pipeline below the sea level About pipeline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은, 복수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이프를 직렬로 연결하되, 상기 파이프가 서로 굴절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이음부재와, 상기 파이프 또는 상기 이음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며, 부력이 조절되는 부력조절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peline in which buoyancy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line includes a plurality of pipes, and a plurality of pipes interposed between the pipes to connect the pipes in series, And a buoyancy adjusting devic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ipe and the jointing member, the buoyancy adjusting device controlling the buoyancy.
상기 이음부재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파이프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상기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joint member may include a hollow connecting part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ipe, and a fixing part fixing the connecting part to the pipe.
상기 연결부는 주름관 형상일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상기 이음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양단부와 상기 파이프 사이를 밀폐하는 수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join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tight member for sealing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pipe.
상기 부력조절장치는, 상기 파이프 또는 상기 이음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부력 조절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부력 조절 공간과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수구와, 상기 유수구를 통하여 상기 부력 조절 공간 내부의 물을 상기 몸체부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buoyancy adjusting device comprises a body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of the pipe and the jointing member and having a buoyancy adjusting space filled with water therein and a buoyancy adjusting chamber formed at the buoyancy adjusting chamber, And a drain pump for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buoyancy adjusting space out of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water hole.
상기 부력조절장치는, 상기 유수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를 이동하여 상기 유수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작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adjus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water hole, and an actuator for sealing or opening the water hole by moving the sealing member.
상기 유수구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water hole may b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respectively.
상기 부력조절장치는, 상기 파이프로 접근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regul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n object approaching the pip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ain pump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상기 부력조절장치는, 상기 부력조절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어소와 통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regul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control point located outside the buoyancy regulat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ain pump in accordance with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ng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부력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라인을 해수면 근처에 설치함으로써 파이프라인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각각의 파이프가 용접 체결되는 대신 이음부재로 결합되어 별도의 용접장치가 불필요하고, 파이프라인의 굴절이 가능하다. 또한, 부력조절장치를 이용하여 해수면 근처에 부유하는 파이프라인의 일부를 해수면 아래로 선택적으로 침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the pipeline by installing the buoyancy controllable pipeline near the sea level. And, instead of each pipe being welded together, it is joined by a joint member, which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e welding device, and allows refraction of the pipeline. In addition, a buoyancy regulator may be used to selectively subside the sea level below a portion of the pipeline floating near the sea lev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음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음부재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재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부력조절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력조절장치를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도 5의 부력 조절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oyancy-controlled pipe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member of Fig. 1.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int member of Fig. 2 taken along line AA. Fig.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adjusting device of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oyancy regulating device of Fig. 5 taken along the BB line. Fig.
FIGS. 7 and 8 are ope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uoyancy regulating device of FIG.
9 is a view showing a buoyancy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pipeline in which buoyancy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the buoyancy-contro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음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음부재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line in which buoyancy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member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coupling member of Fig.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1)은 해상의 원유 또는 가스 추출 시설로부터 추출되는 원유나 천연가스를 육상의 저장시설로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해수면 근처에 부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1)은 각각의 파이프(10)를 굴절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필요에 따라 부력을 조절하여 파이프라인(1)의 일부를 해수면 아래로 침강시킬 수 있다.A buoyancy controlled
이러한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1)은 파이프(10)를 연결하는 이음부재(20)와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장치(30)를 포함한다.The buoyancy-controlled
이음부재(20)는 복수개의 파이프(10)들을 직렬로 연결하며, 필요에 따라 전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수면 근처에 설치된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1)의 일부를 해수면 아래로 침강시켜야 하는 경우, 이음부재(20)는 아래방향으로 굴절되어 파이프(10)를 해수면 아래로 침강시킬 수 있다.The
한편,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1)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조절장치(30)가 결합될 수 있다. 부력조절장치(30)는 파이프(10) 또는 이음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으며, 부력을 조절하여 파이프라인(1)의 일부를 해수면 위로 뜨게 하거나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1)은 복수개의 파이프(10)와, 파이프(10)를 직렬로 연결하는 이음부재(20)와, 파이프(10) 또는 이음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장치(30)를 포함한다.The buoyancy controlled
파이프(10)는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가지는 관으로서, 해상의 추출 시설로부터 추출된 원유나 천연가스가 이송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파이프(10)는 내부가 비어있을 때에도 해상에 부유할 수 있고, 내부에 원유나 천연가스가 채워져 있을 때에도 부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파이프(10) 사이에는 이음부재(20)가 개재될 수 있다.The
이음부재(20)는 파이프(10)를 직렬로 연결하는 장치로, 복수개의 파이프(10)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파이프라인(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음부재(20)는 각각의 파이프(10)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도록 유연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음부재(20)는 파이프(10) 사이에 개재되어 해상에 부유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음부재(20)는 해수의 밀도보다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이음부재(20)는 연결부(21)와 연결부(21)를 파이프(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2) 및 연결부(21)와 파이프(10) 사이를 밀폐시키는 수밀부재(24)를 포함한다.The
연결부(21)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의 형상으로, 전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21)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굴절될 수 있는 또 다른 재질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결부(21)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연결부(21)의 양단에는 각각 파이프(10)의 일 측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연결부(21)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두 개의 파이프(10)의 단부를 수용함으로써 파이프(10)를 직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21)에 수용된 두 개의 파이프(10)의 단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연결부(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파이프(1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용됨으로써 연결부(21)가 굴절될 수 있고, 굴절된 연결부(21)에 의해 파이프라인(1)도 굴절될 수 있다.One end of the
예를 들어, 해수면 근처에 설치된 파이프라인(1)의 일부를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해야 하는 경우, 연결부(21)의 상부는 이완되고 연결부(21)의 하부는 압축됨으로써, 연결부(21)는 아래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연결부(21)가 아래 방향으로 굴절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파이프(10)는 기울어진 상태로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21)는 고정부(22)에 의해 파이프(1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a part of the
고정부(22)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 단면의 일정한 두께를 갖는 부재로서, 연결부(21)를 파이프(10)에 밀착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22)는 연결부(21)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22)는 연결부(21)의 외측을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 측에는 돌기부(23)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고정부(22)는 돌기부(23)를 중심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고정부(22)를 펼쳐 연결부(21)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고정부(22)를 연결부(21)에 완전히 둘러싼 후, 돌기부(23)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부(22)는 연결부(21)에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23)는 나사로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돌기부(23)는 나사로 체결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돌기부(23)를 체결시킬 수 있는 또 다른 구조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The fixing
한편, 이음부재(20)는 연결부(21)와 파이프(10) 사이를 밀폐하는 수밀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수밀부재(24)는 연결부(21)의 양단을 둘러싸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21)와 파이프(10) 사이의 틈을 통해 연결부(21)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수밀부재(24)는 반드시 연결부(21)의 양단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밀부재(24)는 연결부(21)의 내부에 수용되는 파이프(10)의 외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수밀부재(24)가 파이프(10)에 설치되는 경우, 수밀부재(24)는 파이프(10) 단부의 외측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재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재(20)는 주름관(25)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재(20)는 연결부(21)가 주름관(25)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하여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사항으로 대신한다.The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연결부(21)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으로 형성되는 대신, 주름관(25)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21)는 직경이 반복적으로 확대 및 축소되는 중공형의 주름관(25)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연결부(21)는 주름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며 신축 가능하고, 전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수면 근처에 설치된 파이프라인(1)의 일부를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해야 하는 경우, 연결부(21)의 상부 주름은 벌어지고 연결부(21)의 하부 주름은 좁혀짐으로써, 연결부(21)는 아래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연결부(21)가 아래 방향으로 굴절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파이프(10)는 기울어진 상태로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부(21)의 내부에 수용된 두 개의 파이프(10)의 단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용된다. 파이프(1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용되어 이음부재(20)가 굴절될 수 있고, 또한 파이프라인(1)도 굴절될 수 있다. 연결부(21)는 고정부(22)에 의해 파이프(10)에 밀착되게 고정된다.4, the connecting
파이프(10) 또는 이음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부력조절장치(30)가 결합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도 5는 도 1의 부력조절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력조절장치를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regulating device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oyancy regulating device of FIG. 5 taken along line B-B.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1)은 해수면 근처에서 부유하며 원유나 천연가스를 이송하는 장치이므로, 선박 등의 물체(도 11의 60 참조)가 파이프라인(1)에 접근하는 경우 해수면 아래로 하강해야 한다. 따라서 파이프라인(1)에는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력조절장치(30)가 결합될 수 있다.Since the
부력조절장치(30)는 부력을 조절하여 파이프라인(1)을 침강시키거나 부상시키는 장치이다. 즉, 부력조절장치(30)는 내부의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파이프라인(1)의 일부를 해수면 아래로 침강하게 하거나, 다시 해수면 위로 부상하도록 할 수 있다. 부력조절장치(30)는 파이프(10) 또는 이음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파이프라인(1)에는 다수개의 부력조절장치(30)가 설치될 수 있다.The
부력조절장치(30)는 몸체부(31)와 몸체부(31)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유수구(35)와 몸체부(31) 내부의 해수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38)를 포함한다.The
몸체부(31)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의 형상으로, 몸체부(31)의 내부에는 파이프(10)나 이음부재(20)가 길이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다. 즉, 몸체부(31)는 파이프(10)나 이음부재(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몸체부(31)의 내부에는 해수가 채워지는 부력조절공간(32)이 형성될 수 있다. 부력조절공간(32)에 해수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면, 부력조절장치(30)는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거나 해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몸체부(31)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수구(35)가 형성될 수 있다.The
유수구(35)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1)는 유수구(35)를 통해 부력조절공간(32)과 몸체부(31)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수구(35)는 밀폐부재(36)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The
밀폐부재(36)는 유수구(35)를 밀폐하여 부력조절공간(32)과 몸체부(31)의 외부를 차단한다. 밀폐부재(36)는 몸체부(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재(36)의 일 측은 유수구(35)의 단면적과 같게 형성될 수 있으며, 타 측은 유수구(35)의 단면적보다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밀폐부재(36)는 일 측이 유수구(35)에 수용되고 타 측은 확장되어 밀폐부재(36)가 유수구(35)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수구(35)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The sealing
밀폐부재(36)는 작동기(37)에 의해 작동한다. 작동기(37)는 몸체부(31)의 내부에 설치되며, 밀폐부재(36)를 이동시켜 유수구(35)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기(37)가 밀폐부재(36)를 유수구(35)에 삽입하면 몸체부(31)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내부에 밀폐된 부력조절공간(32)을 형성할 수 있다. 작동기(37)는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기(37)는 모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밀폐부재(36)를 작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작동기(37)는 유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작동기(37)의 외측과 내측은 방수처리가 되어 있어, 부력조절공간(32)에 해수가 유입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다.The sealing
몸체부(31)의 상단부에는 분리막(3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분리막(33)를 통해 몸체부(31)는 부력조절공간(32)과 배수공간(34)으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막(33)은 몸체부(31)의 상단부에 형성된 유수구(35)의 주변에 형성되며, 몸체부(31)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막(33)은 별도의 수밀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부력조절공간(32)과 배수공간(34)을 격리시킬 수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배수공간(34)은 분리막(33)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배수공간(34)의 일 측은 유수구(35)와 연통된다. 몸체부(31)의 상단부에 형성된 유수구(35)에 수용되는 밀폐부재(36)는 작동기(37)에 의해 이동하더라도 배수공간(34)을 이탈하지 않는다. 배수공간(34)은 몸체부(31) 내부에 유입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9)과 연통될 수 있다. 배출관(39)은 분리막(33)의 일 측을 관통하여 배수공간(34)과 연통된다. 배출관(39)의 일 측은 배수공간(34)에 결합되고, 타 측은 배수펌프(38)에 결합된다.The
배수펌프(38)는 부력조절공간(32) 내부에 유입된 해수를 유수구(35)를 통해 몸체부(31) 밖으로 배출시키는 장치로, 몸체부(3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배수펌프(38)의 일 측에는 유입관(40)이 형성된다. 즉, 배수펌프(38)의 일 측에는 배출관(39)이 결합되고, 타 측에는 유입관(40)이 결합된다. 유입관(40)은 배수펌프(38)의 작동에 의해 해수를 흡입하고, 흡입된 해수는 배수펌프(38)에 결합된 배출관(39)을 지나 유수구(35)를 통하여 몸체부(31)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이하,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부력조절장치(30)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은 도 5의 부력조절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1)은 부력조절장치(30)의 부력을 조절하여 파이프라인(1)을 침강시키거나 부상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즉, 부력조절장치(30) 내부에 해수를 유입하여 해수면 아래로 파이프라인(1)을 침강시키거나, 내부에 유입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해수면 위로 파이프라인(1)을 부상시키는 구조를 갖는다.The buoyancy-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해수면 근처에 설치된 파이프라인(1)을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도록 해야 하는 경우, 부력조절장치(30)는 내부로 해수를 유입해야 한다. 부력조절공간(32)에 유입되는 해수의 양은 파이프라인(1)이 침강해야 하는 깊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7, if the
부력조절장치(30)에 해수를 유입하기 위해서, 작동기(37)를 작동시켜 몸체부(31)의 하단에 형성된 유수구(35)를 밀폐하고 있던 밀폐부재(36)를 부력조절공간(32)으로 수용시킨다. 밀폐부재(36)가 부력조절공간(32)으로 수용되면 유수구(35)가 개방되고, 유수구(35)를 통해 부력조절공간(32)에 해수가 유입된다. 부력조절공간(32)에 해수가 유입되면 파이프라인(1)이 해수면 아래로 침강하고, 원하는 깊이만큼 파이프라인(1)이 침강하면 다시 작동기(37)를 작동시켜 밀폐부재(36)를 유수구(35)에 삽입시킨다. 밀폐부재(36)는 유수구(35)을 완전히 밀폐하여 부력조절공간(32)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시킨다. 부력조절공간(32)에 해수가 완전히 유입되더라도, 분리막(33)에 의해 배수공간(34)에는 해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몸체부(31)의 상단에 형성된 유수구(35)는 밀폐부재(36)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부력조절공간(32)의 일 측에 형성된 배수펌프(38)는 작동되지 않는다.The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파이프라인(1)을 해수면 근처로 부상시켜야 하는 경우, 부력조절장치(30)는 내부에 유입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이때, 작동기(37)를 작동시켜, 몸체부(31)의 상단에 형성된 유수구(35)를 밀폐하고 있던 밀폐부재(36)를 배수공간(34)으로 수용시킨다. 밀폐부재(36)가 배수공간(34)으로 수용되면, 유수구(35)는 개방된다. 유수구(35)를 개방한 후, 배수펌프(38)는 유입관(40)을 통해 부력조절공간(32)의 해수를 흡입시킨다. 흡입된 해수는 배출관(39)을 지나 배수공간(34)에 배출되고, 개방된 유수구(35)를 통해 몸체부(31)의 외부로 완전히 빠져나갈 수 있다. 부력조절공간(32)의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면, 파이프라인(1)은 점점 부상하게 된다. 파이프라인(1)이 해수면으로 떠오르면, 다시 작동기(37)를 작동시켜 밀폐부재(36)를 유수구(35)에 삽입시킨다. 밀폐부재(36)는 유수구(35)를 완전히 밀폐하며, 배수공간(34)에는 해수가 일부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몸체부(31)의 하단에 형성된 유수구(35)는 밀폐부재(36)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Next, referring to FIG. 8, when the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장치(3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장치(30)는 부력조절장치(30)가 센서부(50)나 통신부(51)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이다. 부력조절장치(30)가 센서부(50)나 통신부(51)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파이프라인(1) 근처의 장애물을 좀 더 쉽게 인식할 수 있고, 부력조절장치(30)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Th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buoyancy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장치(30)는 부력조절장치(30)가 센서부(50)나 통신부(51)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The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력조절장치(30)의 일 측에는 센서부(50)나 통신부(51)가 형성될 수 있다.9, the
센서부(50)는 파이프라인(1)에 접근하는 물체(60)를 인식하는 것으로, 부력조절장치(30)의 외측 또는 내측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50)는 초음파센서, 수중음향탐지기,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이미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초음파센서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대상물에 반사된 초음파를 통해 대상물의 거리나 방향을 감지할 수 있고, 수중음향탐지기는 수중 음파를 이용하여 바다 속 대상물의 존재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감지할 수 있고, 레이저센서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 안에 대상물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미지센서는 대상물에서 반사된 빛에 반응하여 대상물을 감지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can detect the distance or the direct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ultrasonic waves reflected by the object by generating the ultrasonic waves, and the underwater acoustic detector can detect the presence or the position of the object in the sea using the underwater sound waves. In addition, the infrared sensor can detect an object using infrared rays, and the laser sensor can detect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using a laser. The image sensor detects an object in response to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can do.
그러나 센서부(50)는 전술한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접근하는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센서부(50)는 거리인식센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센서부(50)는 실시간으로 파이프라인(1)에 접근하는 물체(60)를 인식하여, 물체(60)가 인식되면 제어부(53)에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However, the
제어부(53)는 센서부(5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배수펌프(38)와 작동기(37)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50)를 통해 물체(60)가 인식된 경우, 제어부(53)는 작동기(37)에만 작동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3)로부터 작동신호를 받은 작동기(37)는 유수구(35)를 밀폐하고 있던 밀폐부재(36)를 몸체부(31) 내부로 수용하여 유수구(35)를 개방할 수 있다. 개방된 유수구(35)를 통해 부력조절공간(32)에 해수가 유입되어 파이프라인(1)은 해수면 아래로 침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로부터 작동신호를 받지 못한 배수펌프(38)는 작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통신부(51)는 부력조절장치(30)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어소(52)와 통신을 하여 제어부(53)에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제어소(52)는 부력조절장치(30)의 외부에서 실시간으로 파이프라인(1)의 상황을 감시하는 곳으로, 상황에 따라 부력조절장치(30)의 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통신부(51)에 신호를 전송한다.The
통신부(51)는 부력조절장치(30)의 외측 또는 내측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통신부(51)는 제어소(52)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여 제어소(52)로부터 전송되어온 신호에 따라 파이프라인(1)으로 접근하는 물체(60)를 인식할 수 있다. 전송된 신호에 의해 통신부(51)에서 물체(60)가 인식되면, 통신부(51)는 제어부(53)에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통신부(51)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배수펌프(38)와 작동기(37)를 제어하며, 파이프라인(1)은 해수면 아래로 침강하거나 해수면 위로 부상할 수 있다.The
이하,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1)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pipeline in which buoyancy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경우, 파이프라인(1)은 해수면 근처에 부유하도록 설치된다. 파이프라인(1)은 해수면에 부유하며 추출시설로부터 추출된 원유나 천연가스를 육지의 저장시설로 운송한다. 각각의 파이프(10)는 이음부재(20)에 의해 연결되고, 파이프(10) 또는 이음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부력조절장치(30)가 결합된다. 부력조절장치(30)는 파이프라인(1)에 다수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설치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0, in a general case, the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파이프라인(1)의 근처로 선박과 같은 물체(60)가 접근하거나 지나가는 경우, 파이프라인(1)은 일부를 해수면 아래로 침강시켜 파이프라인(1)과 물체(60)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물체(60)와 인접하는 부분의 파이프라인(1)만 해수면 아래로 침강시킬 수 있으며, 물체(60)와 인접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해수면에 부유한 채로 유지될 수 있다.11, when an
파이프라인(1)을 침강시키기 위해 부력조절장치(30)의 내부에 해수를 유입시킨다. 부력조절장치(30)에 해수가 유입되면, 부력조절장치(30)가 결합된 파이프라인(1)은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이때, 가라앉은 파이프라인(1) 주위의 이음부재(20)는 굴절되며, 이음부재(20)에 결합된 파이프(10)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seawater is introduced into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
10. 파이프
20. 이음부재 21. 연결부
22. 고정부 23. 돌기부
24. 수밀부재 25. 주름관
30. 부력조절장치 31. 몸체부
32. 부력조절공간 33. 분리막
34. 배수공간 35. 유수구
36. 밀폐부재 37. 작동기
38. 배수펌프 39. 배출관
40. 유입관
50. 센서부 51. 통신부
52. 제어소 53. 제어부
60. 물체1. Buoyancy-controlled pipeline
10. Pipe
20. Connecting
22.
24.
30.
32.
34.
36. Sealing
38.
40. Inflow pipe
50.
52.
60. Objects
Claims (9)
상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이프를 직렬로 연결하되, 상기 파이프가 서로 굴절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이음부재; 및
상기 파이프 또는 상기 이음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며, 내부의 부력을 조절하여 상기 파이프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해수면 아래로 침강시키거나 해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부력조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조절장치는,
상기 파이프 또는 상기 이음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부력 조절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부력 조절 공간과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수구, 및
상기 유수구를 통하여 상기 부력 조절 공간 내부의 물을 상기 몸체부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A plurality of pipes;
A coupl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pipes and connecting the pipes in series, the coupling members connecting the pipes so that they can be bent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nd a buoyancy adjusting devic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ipe and the jointing member, the buoyancy adjusting device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to selectively sink a part of the pipe down to the sea surface or float up to the sea surface,
The buoyancy adjusting device comprises:
A body portion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ipe or the coupling member and having a buoyancy adjusting space filled with water,
At least one water hol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communicating the buoyancy control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with each other,
And a drain pump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buoyancy adjusting space out of the body through the water hole.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파이프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상기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A hollow connection part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ipe; And
And a buoyancy-controlled pipeline comprising a fixture securing the connection to the pipe.
상기 연결부는 주름관 형상인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a pipe line in which a buoyant force in the form of a bellows is controlled.
상기 이음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양단부와 상기 파이프 사이를 밀폐하는 수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upl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watertight member for sealing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pipe.
상기 유수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를 이동하여 상기 유수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작동기를 더 포함하는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The buoyancy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water outlet; And
Further comprising an actuator for moving said sealing member to seal or open said drainage port.
상기 유수구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oyant force is regulat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상기 파이프로 접근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The buoyancy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n object approaching the pip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ain pump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상기 부력조절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어소와 통신을 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The buoyancy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controller located outside the buoyancy regulating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ain pump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370A KR101444311B1 (en) | 2012-09-18 | 2012-09-18 | Pipeline controlling Buoyanc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370A KR101444311B1 (en) | 2012-09-18 | 2012-09-18 | Pipeline controlling Buoyanc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7990A KR20140037990A (en) | 2014-03-28 |
KR101444311B1 true KR101444311B1 (en) | 2014-09-30 |
Family
ID=5064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3370A KR101444311B1 (en) | 2012-09-18 | 2012-09-18 | Pipeline controlling Buoyanc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431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14095A1 (en) * | 2016-07-18 | 2018-01-25 | Dias Da Silva Carlos Roberto | Ballasts and buoys for ducts, with closure devices |
GB2574893B (en) * | 2018-06-22 | 2021-09-01 | Subsea 7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uoyant support provided to an elongate subsea structure during launch |
GB2593668B (en) * | 2020-02-17 | 2024-04-17 | Trelleborg Offshore Uk Ltd | Buoyancy modu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8955A (en) * | 1999-10-28 | 2001-05-15 | 학교법인 인하학원 | Subsea Pipeline Installation Technique with Steel Buoy |
KR20050032066A (en) * | 2005-02-28 | 2005-04-06 | 문덕환 | Method of placement pipe line no use lay barg in the deep sea |
KR200403600Y1 (en) | 2005-06-27 | 2005-12-12 | 김정주 | Structure assembly of the sea |
US20080274656A1 (en) * | 2005-11-28 | 2008-11-06 | Sylvain Routeau | Assembly of Buoys for Flexible Submarine Pipe |
-
2012
- 2012-09-18 KR KR1020120103370A patent/KR10144431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8955A (en) * | 1999-10-28 | 2001-05-15 | 학교법인 인하학원 | Subsea Pipeline Installation Technique with Steel Buoy |
KR20050032066A (en) * | 2005-02-28 | 2005-04-06 | 문덕환 | Method of placement pipe line no use lay barg in the deep sea |
KR200403600Y1 (en) | 2005-06-27 | 2005-12-12 | 김정주 | Structure assembly of the sea |
US20080274656A1 (en) * | 2005-11-28 | 2008-11-06 | Sylvain Routeau | Assembly of Buoys for Flexible Submarine Pi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7990A (en) | 2014-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76123B1 (en) | Subsea pipeline station | |
US8894325B2 (en) | Submerged hydrocarbon recovery apparatus | |
US3355899A (en) | Offshore operations | |
US9217317B2 (en) | Subsea collection and containment system for hydrocarbon emissions | |
US801603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ing oil from a deep water oil well | |
CN104364461B (en) | submersible pump system and method | |
US20110274496A1 (en) | Undersea leak remediation device and method | |
NO139060B (en) | APPARATUS FOR SEATING SUBSIDIARY PIPELINES | |
US20120155964A1 (en) | Universal Subsea Oil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 |
US20120211234A1 (en) | Deepwater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background | |
US20050063788A1 (en) | Ris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 |
KR101444311B1 (en) | Pipeline controlling Buoyancy | |
GB206377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subsea oil leakage and the like | |
JPS5938396B2 (en) | Marine engineering water flow assembly pipe equipment | |
US20120051841A1 (en) | Subsea capture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 |
WO201115473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ment of underwater hydrocarbon and other emissions | |
US819757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oil and gas separator | |
KR101854661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 |
WO2003031765A1 (en) | A ris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 |
US9109430B2 (en) | Blow-out preventer, and oil spill recovery management system | |
US11591051B1 (en) | Tendon support buoyancy system and method | |
KR102084992B1 (en) | Collecting waste apparatus | |
GB2337542A (en) | Riser pipes | |
US20120213587A1 (en) | Deepwater containment systems with flexible riser and methods of using same | |
WO2020251364A1 (en) | Facilitating underwate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