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185B1 - 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헤드 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3185B1 KR101433185B1 KR1020120133072A KR20120133072A KR101433185B1 KR 101433185 B1 KR101433185 B1 KR 101433185B1 KR 1020120133072 A KR1020120133072 A KR 1020120133072A KR 20120133072 A KR20120133072 A KR 20120133072A KR 101433185 B1 KR101433185 B1 KR 1014331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de
- base
- magnetic force
- light source
- attachmen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8—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the screens or filters
- F21V14/085—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the screens or filters in portable ligh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램프의 구성은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광원(20)과;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상기 광원(20)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20)을 커버하도록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0)에서 원래의 형태로 유지되어 있는 노말 모드에서 상기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려져서 형상 변형되는 프레싱 상태로 전환시 상기 광원(20)에서의 빛을 상기 노말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앙부로 더 많이 집광시켜 직진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쉐이드(30)와; 상기 쉐이드(30)를 눌러서 상기 프레싱 상태로 사용시 상기 쉐이드(30)가 상기 광원(20)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로 유지하는 프레싱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 등산이나 야간 캠핑과 같은 활동시에 주위를 밝혀주는 램프 광원의 빛을 필요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넓게 퍼지도록 비추어주는 노말 모드로 사용할 수도 있고, 노말 모드에 비하여 램프 광원의 빛을 상대적으로 더 좁은 확산 각도 범위와 보다 더 먼 거리로 비추어주는 직진 모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은 신체 건강에 매우 도움이 되는 레저 스포츠로 알려져서 많은 사람들이 등산을 즐기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주간에 등산을 즐기는 사람도 많지만 경우에 따라 야간에도 등산을 즐기는 사람 역시 많은 편이다. 따라서, 야간에 등산시에 다치지 않도록 길(등산로)을 밝혀주도록 사람마다 랜턴을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머리에 램프를 쓰고 등산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헤드 램프가 시중에 제공되어 많이들 사용하고 있다.
한편, 등산을 비롯하여 휴양지에서 야간 활동을 한다든지 야간에 캠핑을 한다든지 하는 등의 여러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도 야간 활동에 도움을 주도록 램프 빛을 밝혀주는 랜턴이나 플래시 등의 휴대용 조명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야간 등산시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헤드 램프의 경우 램프의 빛을 비추어주는 거리 범위와 각도가 한정되어 있어서 등반자가 램프의 빛을 보다 멀리 비추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에 부응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즉, 야간 등반시에 헤드 램프를 머리에 쓰고 등반하는데, 머리에 쓰고 있는 헤드 램프의 빛은 일정하게 정해진 각도와 거리 범위만을 비추기 때문에, 야간 등산지의 산악 조건 등에 따라 램프 빛의 각도 범위는 줄이고 보다 멀리 비추고자 하여도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야간 등반자가 요구하는 램프 빛의 조사 조건 조절 등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미흡하고, 이로 인해 야간 등반시의 등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데 미흡한 점이 많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야간 캠핑시에 텐트 안에서 램프의 빛을 비추어 줄 필요가 있는데, 상기 헤드 램프를 랜턴이나 플래시와 같은 휴대용 램프로 대체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면이 있다. 즉, 야간에 텐트 안에서 램프의 빛이 필요하고, 기타 다른 야외에서 야간 활동을 할 때에도 램프의 빛이 필요한데, 상기 헤드 램프는 머리에 써서 사용하는 전용 램프 제품으로서, 텐트 안에서 램프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지지대(74) 등을 헤드 램프에 결합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간 등산이나 야간 캠핑과 같은 활동시에 주위를 밝혀주는 램프 광원의 빛을 필요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넓게 퍼지도록 비추어주는 노말 모드로 사용할 수도 있고, 노말 모드에 비하여 램프 광원의 빛을 상대적으로 더 좁은 확산 각도 범위와 보다 먼 거리로 비추어주는 직진 모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헤드 램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광원(20)과;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상기 광원(20)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광원(20)을 커버하도록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0)에서 원래의 형태로 유지되어 있는 노말 모드에서 상기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려져서 형상 변형되는 프레싱 상태로 전환시 상기 광원(20)에서의 빛을 상기 노말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앙부로 더 많이 집광시켜 직진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쉐이드(30)와; 상기 쉐이드(30)를 눌러서 상기 프레싱 상태로 사용시 상기 쉐이드(30)가 상기 광원(20)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로 유지하는 프레싱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램프가 제공된다.
상기 프레싱 지지수단은, 상기 쉐이드(30)가 상기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려져 형상 변형된 프레싱 상태에서 서로 자력에 의해 밀착되어 상기 쉐이드(30)의 눌린 상태를 상기 자력으로 유지하는 자력 부착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쉐이드(30)는 상기 노말 모드에서 상기 프레싱 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광원(20)의 빛을 집광시켜 직진되도록 하는 직진 가이드면(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력 부착부재(40)는, 상기 베이스(10)측에 구비된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쉐이드(30)측에 구비되어 상기 쉐이드(30)가 상기 베이스(10)측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에 자력으로 붙어서 상기 쉐이드(30)의 프레싱에 의한 형상 변형 상태를 유지하는 제2자력 부착부재(1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금속재로 구성된다.
상기 자력 부착부재(10A,10B)는, 상기 베이스(10)측에 구비된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쉐이드(30)측에 구비되어 상기 쉐이드(30)가 상기 베이스(10)측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에 자력으로 붙어서 상기 쉐이드(30)의 프레싱에 의한 형상 변형 상태를 유지하는 제2자력 부착부재(1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는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성체로 구성된다.
상기 쉐이드(30)는 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는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10)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는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를 상기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러서 상기 쉐이드(30)에 오목한 홈 형태의 직진 가이드면(32)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가 눌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광원(20)은 상기 베이스(10)측에 구비된 엘이디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는 상기 엘이디의 광을 확산시키는 렌즈(50)가 구비되고, 상기 쉐이드(30)에는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측에 구비된 상기 렌즈(50)와 마주하는 다른 렌즈(60)가 구비된다.
상기 쉐이드(30)는 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엘이디와 상기 렌즈(50)는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10)에는 복수개의 제1자력 부착부재(10A)가 상기 엘이디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쉐이드(30)에는 중심부의 렌즈(60)를 기준으로 대칭되면서 동시에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마주하도록 복수개의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구비되어,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를 상기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러서 상기 쉐이드(30)에 오목한 홈 형태의 직진 가이드면(32)을 형성할 때에 상기 복수개의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 지점에서 자력으로 서로 부착되어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가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상기 광원(20)이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에는 결합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쉐이드(30)의 상기 결합공(34)에 결합되는 렌즈편에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인서트되며, 상기 렌즈편은 상기 쉐이드(30)의 외측 위치에서 상기 결합공(34)에 끼워지는 아웃터 렌즈편(62)과, 상기 쉐이드(30)의 내부 위치에서 상기 결합공(34)에 끼워지면서 상기 아웃터 렌즈편(62)과 결합되며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인서트된 이너 렌즈편(64)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는 결합보스(70)가 더 구비되어, 상기 결합보스(70)에 의해 지지대(74)를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구비된 광원과, 베이스측에 구비된 광원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광원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에서 원래의 형태로 유지되어 있는 노말 모드(normal mode)에서 베이스 방향으로 눌려져서 형상 변형되는 프레싱 상태로 전환시 광원에서의 빛을 상기 노말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앙부로 더 많이 집광시켜 직진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쉐이드와, 이 쉐이드를 눌러서 프레싱 상태(광원의 광 조사 직진 모드)로 사용시 쉐이드가 광원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로 유지하는 프레싱 지지수단을 기본 구성을 하는 것으로, 야간에 등산과 같은 야간 활동시에 쉐이드가 원상태로 있는 노말 모드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 쉐이드의 중앙부를 눌려주면 광원의 빛이 노말 모드에 비하여 직진하는 비율이 많아지는 직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야간 등산 등의 경우에 램프의 빛을 비추어주는 거리 범위와 각도를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광원의 빛의 확산 범위와 거리 범위 조절 한계가 쉽게 확장될 수 있는 노말 모드와 직진 모드로 마음대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야간 산행 등반자가 등반자가 램프의 빛을 보다 멀리 비추어서 사용하거나 보다 좁고 넓게 비추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를 충족시키에 충분하다. 즉, 야간 등반시에 헤드 램프를 머리에 쓰고 등반하는데, 머리에 쓰고 있는 헤드 램프의 빛은 일정하게 정해진 각도와 거리 범위만을 비추는 것이 아니라 광원의 거리와 확산 범위의 조절이 손쉽기 때문에, 야간 등산지의 산악 조건 등에 따라 램프 빛의 각도 범위는 줄이고 보다 멀리 비추고자 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야간 등반자가 요구하는 램프 빛의 조사 조건 조절 등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야간 등반시의 등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데 충분한 기능을 발휘한다. 비단, 야간 등반시에만 본 발명의 효과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타 야간 활동시에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저면에 결합보스가 구비되어, 지지대에 구비된 결합구(볼트 구조가 될 수 있음)를 베이스 저면의 결합보스에 볼트를 조여주는 식으로 결합하면, 본 발명의 헤드 램프를 기타 야간 활동에 필요한 조명원으로 편리하게 용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야간 등산시에 등반자가 머리에 쓰고 사용하는 용도 이외에 텐트의 내부에서 조명용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기타 다른 장소에서 조명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에서 우수하다. 즉, 본 발명은 지지대를 편리하게 결합하여 삼각대에 헤드 램프가 결합된 것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헤드 램프를 텐트 안이나 다른 야외 활동 장소에서 조명용으로 사용하는데 따른 여러 불편을 해소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램프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쉐이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램프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평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헤드 램프를 직진 모드로 전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측면도
도 9는 도 7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쉐이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램프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평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헤드 램프를 직진 모드로 전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측면도
도 9는 도 7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램프는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에 구비된 광원(20)과,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광원(20)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져 광원(20)을 커버하도록 베이스(10)에 결합되는 쉐이드(30)와, 이 쉐이드(30)를 눌러서 프레싱 상태로 사용시 쉐이드(30)가 광원(20)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로 유지하는 프레싱 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쉐이드(30)는 베이스(10)에서 원래의 형태로 유지되어 있는 노말 모드에서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려져서 형상 변형되는 프레싱 상태로 전환시 광원(20)에서의 빛을 노말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앙부로 더 많이 집광시켜 직진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함으로써, 광원(20)(엘이디)의 광을 노말 모드와 직진 모드로 전환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노말 모드는 직진 모드에 비하여 광원(20) 빛의 조사 각도는 상대적으로 넓고 조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모드이고, 직진 모드는 노말 모드에 비하여 광원(20) 빛의 조사 각도는 상대적으로 좁은 직진 방향으로 방사되고 조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모드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베이스(10)는 내부에 배면으로 연통된 배터리 수용부(12)가 구비된 원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0) 내부의 배터리 수용부(12)에는 통전성 터미널이 구비된다. 베이스(10) 배면으로 연통된 배터리 수용부(12)는 배터리 커버(14)에 의해 닫게 되어 있다. 이때, 베이스(10)의 배터리 수용부(12)의 내부 저면에는 두 개의 걸림편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12)의 내부 상면에는 결합편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14)는 하단부에 두 개의 걸림편이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결합편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베이스(10) 내부의 배터리 수용부(12)에 배터리를 집어넣고 배터리 커버(14)의 두 개의 걸림편을 베이스(10)의 배터리 수용부(12)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걸림편 결합홈에 끼우고 나서 배터리 커버(14) 상단부의 결합편을 상기 배터리 수용부(12)의 내부 상면에 구비된 결합편 걸림홈에 걸어주면 배터리가 수용된 베이스(10)의 배터리 수용부(12) 배면을 배터리 커버(14)로 견고하게 막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10)의 전면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 대칭되는 위치에 인쇄회로기판(17)을 고정하기 위한 기판 그립후크(16)가 구비된다. 또한, 베이스(10)는 배터리 수용홈에서 전면으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18)이 형성된다. 체결구 결합홀(18)은 상하 좌우 네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스위치(19) 버튼홀이 형성되고, 베이스(10)의 저면에는 금속재의 결합보스(70)가 인서트되어 있다. 결합보스(70)는 내부에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는 광원(20)이 구비된다. 베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된 기판 그립후크(16)에 사각판 형태의 인쇄회로기판(17) 양쪽 측단부가 걸려짐으로써 베이스(10)의 전면에 인쇄회로기판(17)이 배치되며, 인쇄회로기판(17)에는 광원(20)(엘이디)이 탑재됨으로써 베이스(10)의 전면에 광원(20)이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광원(20)은 베이스(10)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광원(20)이 쉐이드(30)의 중앙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베이스(10)의 상면에 구비된 스위치(19) 버튼홀에 버튼식 스위치(19)가 결합되고, 이러한 버튼식 스위치(19)는 커넥터(19a)와 인쇄회로기판(17)을 매개로 광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버튼식 스위치(19)를 누름에 따라 광원(20)(엘이디)이 점등된다. 커넥터(19a)를 매개로 스위치(19)에 구비된 다른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7)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다. 이때, 스위치(19)는 누름 동작이 단계적으로 구성되어, 스위치(19)를 한 번 누르면 가장 낮은 조도로 광원(20)이 발광되고, 스위치(19)를 두 번 누르면 보다 밝은 조도로 광원(20)이 발광되며, 스위치(19)를 세 번 누르면 광원(20)이 점멸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스위치(19)를 네 번 누르게 되면 광원(20)이 소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는 인쇄회로기판(17)을 커버하도록 프론트 커버(11)가 결합된다. 프론트 커버(11)는 베이스(10)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프론트 커버(11)의 배면에는 환형의 쉐이드 결합루프(11a)가 구비되고, 쉐이드 결합루프(11a)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된 쉐이드 결합 지지턱(11b)이 구비된다. 상기 쉐이드 결합루프(11a)의 배면으로는 환형의 베이스 결합루프(11c)가 구비되고, 베이스 결합루프(11c)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된 패킹 지지턱(11d)이 구비되어, 베이스 결합루프(11c)의 외주면에 결합된 환형의 패킹(11e)이 프론트 커버(11)의 배면과 쉐이드 결합루프(11a)에 구비된 쉐이드 결합 지지턱(11b)과 베이스 결합루프(11c)의 패킹 지지턱(11d)에 사이에 개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한, 베이스(10)의 전단부측 외주면 중에서 상하 또는 좌우 위치에는 오목한 홈 형태의 윙편 결합홈(10wg)이 구비된다. 윙편 결합홈(10wg)은 대략 원주형 홈 형태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윙편 결합홈(10wg)이 베이스(10)의 외주면 상하면 또는 외주면 좌우면에 대칭되도록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배면에는 베이스(10)에 형성된 체결구 결합홀(18)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구 결합보스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중앙부에는 렌즈 결합홀(11h)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렌즈 결합홀(11h)에 렌즈(50)가 결합된다. 이때, 렌즈(50)는 볼록한 면이 프론트 커버(11)의 전면 방향으로 배치된 볼록 렌즈이다. 이 렌즈(50)는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으로 프론트 커버(11) 중앙부의 렌즈 결합홀(11h)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11)는 중앙부의 렌즈 결합홀(11h)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자력 부착부재 결합홀(11g)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자력 부착부재 결합홀(11g)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커버(11)는 위치 기준턱이 형성되고, 베이스(10)의 전면에는 위치 기준홈이 형성되어, 위치 기준턱을 위치 기준홈에 맞추어서 프론트 커버(11)를 베이스(10)의 전면에 결합하면, 프론트 커버(11)의 체결구 결합보스와 베이스(10)의 체결구 결합홀(18)이 자동적으로 맞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베이스(10)의 배터리 수용부(12) 안쪽에서 체결구 결합홀(18)을 관통하는 피스 등의 체결구를 프론트 커버(11) 배면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보스에 체결함으로써 베이스(10)의 전면에 프론트 커버(11)를 결합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하부 위치(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된 스위치(19)와 반대되는 위치)에 전면으로 더 나온 보조 돌출편(11f)이 구비되어 있다. 보조 돌출편(11f)은 광원(20)의 빛이 쉐이드(30) 밖으로 방사되어 나올 때에 쉐이드(30) 아래에 있게 되는 사람의 눈에 과도하게 많은 빛이 비추어서 눈이 부시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프론트 커버(11)의 전면 중앙부 근처에는 렌즈 결합홀(11h)과 제1자력 부착부재 결합홀(11g)의 주위에 오목홈(11k)이 형성되어,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를 베이스(10)측으로 눌러줄 때에 쉐이드(30) 중앙부에 구비된 이너 렌즈편(64)이 프론트 커버(11) 전면의 오목홈(11k)에 수용된 상태로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자력에 의해 밀착되므로, 쉐이드(30)의 중앙부가 안정적으로 눌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10)의 배면 위치에는 브라켓(4)이 구비된다. 브라켓(4)은 양측 단부가 힌지부(4a)를 매개로 베이스(10)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라켓(4)의 하부측 양측 단부가 힌지부(4a)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브라켓(4)의 상단부측이 힌지부(4a)를 중심으로 베이스(10)의 배면에서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4)에는 밴드 걸이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사람이 머리에 두르게 되는 헤드 밴드를 브라켓(4)의 벤드 걸이홀(4h)에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 배면 하부측에는 복수개의 톱니(6)가 구비되고, 브라켓(4)의 하부측 전면에는 각 톱니(6)에 걸려지는 조절턱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조절턱을 각 톱니(6) 사이의 조절홈에 결합함에 따라 브라켓(4)의 상부측 거리(즉, 브라켓(4)이 힌지부(4a)를 중심으로 베이스(10)의 배면에서 회동되는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쉐이드(30)는 돔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광원(20)의 발광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쉐이드(30)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는데, 광원(20)의 빛이 나올 수 있도록 유백색 반투명 고무 재질로 구성된다. 쉐이드(30)는 베이스(10)에서 원래의 형태로 유지되어 있는 노말 모드에서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려져서 형상 변형되는 프레싱 상태(광원(20)의 빛이 직진되도록 하는 직진 모드)로 전환시 광원(20)에서의 빛을 노말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앙부로 더 많이 집광시켜 직진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한다. 즉, 쉐이드(30)의 중심부를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러서 형상 변형되는 직진 모드로 전환시 쉐이드(30)에 오목한 홈 형태의 직진 가이드면(32)이 형성될 수 있다. 쉐이드(30)가 유연성이 있는 고무 재질이라서 쉐이드(30)의 중앙부를 베이스(10) 방향(안쪽 방향)으로 눌러주면 쉐이드(3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형상 변형이 되면서 쉐이드(30)가 오목한 돔형태의 직진 가이드면(32)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쉐이드(30)의 후방측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 플랜지부(3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쉐이드(30)의 후단부 중에서 상하 또는 좌우 위치에는 결합 플랜지부(36)보다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더 돌출된 결합 윙편(38)이 더 구비된다. 결합 윙편(38)은 대략 원주형 날개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쉐이드(30)는 반구형 또는 돔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쉐이드(30)의 중앙부에는 결합공(34)이 형성되어, 이러한 쉐이드(30) 중앙부에 렌즈편이 결합되어 베이스(10)측의 렌즈(50) 및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쉐이드(30)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렌즈편은 쉐이드(30)의 중앙부에 구비된 결합공(34)의 바깥과 안쪽에 배치되는 아웃터 렌즈편(62)과 이너 렌즈편(64)으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터 렌즈편(62)은 광원(20)의 발광시 빛을 투과시키도록 투명한 원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아웃터 렌즈편(62)은 배면 중앙부에 상기 프론트 커버(11)에 구비된 렌즈(50)와 마주하는 렌즈 삽입 블록부(62a)가 구비되고, 이 렌즈 삽입 블록부(62a)는 쉐이드(30)의 중앙부를 베이스(10) 방향으로 프레싱하였을 때에 프론트 커버(11)의 렌즈(50)를 수용하는 렌즈홈(62b)이 형성되어 있다. 아웃터 렌즈편(62)의 배면 둘레부에는 테두리 단턱(62c)이 구비되어, 이 테두리 단턱(62c)이 쉐이드(30)의 중앙부에 구비된 단턱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쉐이드(30)의 단턱 결합홈은 중앙부의 결합홈 외곽 위치에 구비된 이너 테두리 돌편과, 이러한 이너 테두리 돌편의 외곽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아웃터 테두리 돌편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쉐이드(30)의 이너 테두리 돌편과 아웃터 테두리 돌편에 의해 형성된 단턱 결합홈에 아웃터 렌즈편(62)의 테두리 단턱(62c)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아웃터 렌즈편(62)의 렌즈 삽입 블록부(62a)는 쉐이드(30) 중앙부의 결합공(34) 안쪽에 끼워진다. 상기 아웃터 렌즈편(62)의 렌즈 삽입 블록부(62a)의 후방측 외주면에도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부가 구비된다.
상기 이너 렌즈편(64)은 중앙부에 렌즈 페이스공(64a)이 형성되고, 렌즈 페이스공(64a) 둘레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루프형 결합 보스(64a)가 구비된다. 이너 렌즈편(64)의 결합 보스가 쉐이드(30) 중앙부의 결합공(34)에 끼워지고, 아웃터 렌즈편(62)의 렌즈 삽입 블록부(62a)가 이너 렌즈편(64)의 루프형 결합 보스(64b) 안쪽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쉐이드(30) 중앙부 내부와 외부에 각각 이너 렌즈편(64)과 아웃터 렌즈편(62)이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이너 렌즈편(64)의 루프형 결합 보스(64a)에는 조립 기준홈이 형성되어 있고, 조립 기준홈은 이너 렌즈편(64)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어서, 이너 렌즈편(64)을 쉐이드(30)의 안쪽에서 중심부의 결합공(34)에 끼울 때에 쉐이드(30)의 중심부 결합공(34) 주위에 구비된 조립 기준 돌편에 이너 렌즈편(64)의 조립 기준홈을 맞추어서 루프형 결합 보스(64a)를 쉐이드(30) 중앙부의 결합공(34)에 끼우게 된다. 또한, 이너 렌즈편(64)의 렌즈 페이스공(64a) 내주면은 후방 위치에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부가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 렌즈편(62)의 렌즈 삽입 블록부(62a)의 후방측 외주면에도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아웃터 렌즈편(62)과 이너 렌즈편(64)을 쉐이드(30)의 중심부 결합공(34) 내부와 외부에서 맞추어 끼울 때에 이너 렌즈편(64)의 테이퍼부와 아웃터 렌즈편(62)의 테이퍼부가 맞아 들어가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너 렌즈편(64)은 베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된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자력 부착부재(10B)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복수개의 제2자력 부착부재(10B) 결합홀에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끼워져 결합된다. 제2자력 부착부재(10B)는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이너 렌즈편(64)의 제2자력 부착부재(10B) 결합홀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자력 부착부재(10B)의 후단부측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된 걸림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이너 렌즈편(64)의 제2자력 부착부재(10B) 결합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앞으로 빠지지 않고 걸림 플랜지부에 의해 걸려지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광원(20)이 쉐이드(30)의 중심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에는 결합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쉐이드(30)의 결합공(34)에 결합되는 렌즈편에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인서트되며, 상기 렌즈편은 쉐이드(30)의 외측 위치에서 결합공(34)에 끼워지는 아웃터 렌즈편(62)과, 쉐이드(30)의 내부 위치에서 결합공(34)에 끼워지면서 아웃터 렌즈편(62)과 결합되며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인서트된 이너 렌즈편(64)을 포함하는 것이다. 아웃터 렌즈편(62)과 이너 렌즈편(64)으로 이루어진 렌즈편의 중심부 근방이 광원(20)과 베이스(10)측 렌즈(50)와 마주하며, 이러한 아웃터 렌즈편(62)과 이너 렌즈편(64)이 베이스(10)측 렌즈(50)와는 다른 렌즈(60)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쉐이드(30)를 눌러서 프레싱 상태로 사용시 쉐이드(30)가 광원(20)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로 유지하는 프레싱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싱 지지수단은 쉐이드(30)가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려져 형상 변형된 프레싱 상태에서 서로 자력에 의해 밀착되어 쉐이드(30)의 눌린 상태를 자력으로 유지하는 자력 부착부재(10A,10B)를 포함하며, 쉐이드(30)는 노말 모드에서 프레싱 상태로 전환시에 광원(20)의 빛을 집광시켜 직진되도록 하는 직진 가이드면(32)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자력 부착부재(10A,10B)는 베이스(10)측에 구비된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쉐이드(30)측에 구비되어 쉐이드(30)가 베이스(10)측으로 눌려질 때에 제1자력 부착부재(10A)에 자력으로 붙어서 쉐이드(30)의 프레싱에 의한 형상 변형 상태를 유지하는 제2자력 부착부재(10B)를 포함한다. 전술한 베이스(10) 전면측의 프론트 커버(11)에 복수개(본 발명에서는 좌우 위치 두 개)로 구비된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쉐이드(30) 중앙부 결합공(34)의 렌즈편에 복수개(본 발명에서는 두 개)로 구비된 제2자력 부착부재(10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제2자력 부착부재(10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금속재로 구성된다. 제1자력 부착부재(10A)가 자성체이고, 제2자력 부착부재(10B)는 제1자력 부착부재(10A)의 자력에 의해 붙게 되는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제2자력 부착부재(10B)는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성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쉐이드(30)는 돔형상으로 구성되고, 제1자력 부착부재(10A)는 쉐이드(30)의 중앙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베이스(10)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는 쉐이드(30)의 중앙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를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러주며녀, 쉐이드(30)가 중앙부를 기준으로 오목한 홈 형태의 직진 가이드면(32)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서로 부착되어 쉐이드(30)의 중앙부가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광원(20)은 베이스(10)측에 구비(정확하게는 베이스(10) 전면의 인쇄회로기판(17)에 탑재)된 엘이디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는 엘이디의 광을 확산시키는 렌즈(50)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 전면의 프론트 커버(11) 중앙부에 렌즈(50)가 구비된다. 이때, 렌즈(50)는 광원(20)의 빛의 확산 각도를 넓혀주도록 볼록한 부분이 전방으로 배치된 볼록 렌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쉐이드(30)에는 베이스(10)의 전면측에 구비된 렌즈(50)와 마주하는 다른 렌즈(60)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쉐이드(30) 중앙부에는 베이스(10) 전면 위치의 프론트 커버(11)에 구비된 렌즈(50)와 마주하는 렌즈 삽입 블록부(62a)를 구비한 아웃터 렌즈편(62)이 구비되고, 이러한 아웃터 렌즈편(62)의 렌즈(50)와 마주하는 면이 다른 렌즈(60)가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주요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 인쇄회로기판(17)이 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10)의 전면에 프론트 커버(11)를 대주고, 베이스(10)의 배터리 수용홈 안쪽에서부터 체결구 결합홀(18)을 관통하는 체결구(볼트나 피스 등이 될 수 있음)를 프론트 커버(11) 배면으로 돌출된 체결구 보스에 체결하여 주면, 상기 베이스(10) 전면에 인쇄회로기판(17)과 프론트 커버(11)가 구비되고, 베이스(10)측의 중앙부에는 광원(20)(엘이디)이 배치된다. 이때, 프론트 커버(11)는 베이스(10)의 전면 결합홈부를 구성하는 외주연 테두리부에 후방측의 베이스 결합루프(11c)와 패킹 지지턱(11d)이 삽입되는데, 이러한 베이스 결합루프(11c)와 패킹 지지턱(11d) 사이에는 루프형 패킹(11e)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11)와 베이스(10)의 결합 부위 사이의 밀봉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쉐이드(30)의 후방측 내주면에 반경 방향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 플랜지부(36)를 프론트 커버(11) 배면의 쉐이드 결합루프(11a)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된 쉐이드 결합 지지턱(11b)에 끼워서 쉐이드(30)를 베이스(10)의 전면에 결합하면서 광원(20)을 커버하도록 조립한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커버(11)의 배면으로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환형의 쉐이드 결합루프(11a)가 구비되고, 이러한 환형의 쉐이드 결합루프(11a)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쉐이드 결합 지지턱(11b)이 구비되고, 쉐이드 결합 지지턱(11b)과 프론트 커버(11) 사이에 쉐이드(30)의 결합 플랜지부(36)를 삽입할 수 있는 플랜지부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쉐이드(30) 후방측 내주면의 결합 플랜지부(36)를 프론트 커버(11)의 배면과 쉐이드 결합 지지턱(11b) 사이의 플랜지부 끼움홈에 삽입하여 줌으로써 베이스(10) 전면 위치에 쉐이드(30)를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쉐이드(30)의 결합 플랜지부(36)에는 복수개의 조립 기준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에는 조립 기준 절개홈에 대응하는 조립 기준 돌편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조립 기준 절개홈과 조립 기준 돌편을 서로 맞추어준 상태에서 쉐이드(30)를 조립하면 쉐이드(3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자력 부착부재(10B)와 베이스(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자력 부착부재(10A)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자동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에는 베이스(10)측에 구비된 렌즈(50)와는 다른 렌즈(60)가 구비되고, 베이스(10)의 중앙부에는 광원(20)과 렌즈(50)가 구비되어, 쉐이드(30)를 베이스(10) 전면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할 때에 광원(20)과 렌즈(50)가 서로 마주하는 중심부 위치에 배치되고, 쉐이드(30) 중심부의 다른 렌즈(60)도 광원(20)과 베이스(10)측의 렌즈(50)와 동일 선상(즉, 쉐이드(30)의 중심부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쉐이드(30)를 베이스(10)의 전면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쉐이드(30)의 후단부로 연장된 복수개의 윙편이 베이스(10)의 외주면 전방측에 형성된 윙편 결합홈(10wg)에 맞아 들어가는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쉐이드(30)가 베이스(10)에 대해 헛돌지 않고 제자리에 안정되게 자리 잡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10)의 배면에 구비된 브라켓(4)에 헤드 밴드를 결합한 상태에서 헤드 밴드를 사용자가 머리에 끼우고 야간에 등산 등을 즐기는 헤드 램프로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쉐이드(30)가 베이스(10)에 대해 원래의 형상대로 있는 노말 모드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쉐이드(30)가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려져 형상 변형되어 직진 모드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를 베이스(10) 방향으로 누르지 않고 베이스(10)에 결합되어 있는 그 상태대로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스위치(19)를 눌러주면 광원(20)이 발광되면서 빛이 쉐이드(30)를 통해 투과되므로, 야간 등산과 같은 야외 활동시에 노말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노말 모드에서는 쉐이드(30)가 원래의 상태(즉, 돔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므로, 광원(20)에서 나오는 빛의 확산 범위는 직진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넓게 퍼지게 되고, 빛의 조도는 상대적으로 직진 모드에 비하여 약하게 된다.
한편,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를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쉐이드(30)가 고무 재질이라서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 변형이 되면서 오목한 홈 형태의 직진 가이드면(32)이 형성될 수 있고, 직진 가이드면(32)과 이어지는 다른 부분은 광원(20)의 일부 광을 확산 투과시키는 주위 투과면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측에 구비된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쉐이드(30)에 구비된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므로,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가 안쪽으로 움푹하게 눌려져서 직진 가이드면(32)이 형성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쉐이드(30)의 중앙부를 눌러주는 방식에 의해 직진 모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진 모드는 광원(20)에서 나오는 빛의 확산 범위는 노말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적게 퍼지고, 빛의 조도는 직진성으로 인하여 노말 모드에 비하여 더 밝으며 조명은 거리 상으로 보다 멀리 비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가 눌려진 직진 모드에서 다시 노말 모드로 전환하려면 상기 직진 모드에서 형성된 직진 가이드면(32) 외곽 위치의 주위 투과면 부분을 사용자가 두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나 검지, 엄지나 중지 등)으로 함께 눌러주면,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서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쉐이드(30)는 고무 재질의 특성상 자체적으로 원상태로 펴지게 되므로, 상기 직진 모드에서 다시 노말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야간에 등산과 같은 야간 활동시에 쉐이드(30)가 원상태로 있는 노말 모드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 쉐이드(30)의 중앙부를 눌려주면 광원(20)의 빛이 노말 모드에 비하여 직진하는 비율이 많아지는 직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야간 등산 등의 경우에 램프의 빛을 비추어주는 거리 범위와 각도를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광원(20)의 빛의 확산 범위와 거리 범위 조절 한계가 쉽게 확장될 수 있는 노말 모드와 직진 모드로 마음대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야간 산행 등반자가 등반자가 램프의 빛을 보다 멀리 비추어서 사용하거나 보다 좁고 넓게 비추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를 충족시키에 충분하다. 즉, 야간 등반시에 헤드 램프를 머리에 쓰고 등반하는데, 머리에 쓰고 있는 헤드 램프의 빛은 일정하게 정해진 각도와 거리 범위만을 비추는 것이 아니라 광원(20)의 거리와 확산 범위의 조절이 손쉽기 때문에, 야간 등산지의 산악 조건 등에 따라 램프 빛의 각도 범위는 줄이고 보다 멀리 비추고자 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야간 등반자가 요구하는 램프 빛의 조사 조건 조절 등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야간 등반시의 등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데 충분한 기능을 발휘한다. 비단, 야간 등반시에만 본 발명의 효과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타 야간 활동시에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램프 광원(20)(엘이디)와 마주하는 위치에 렌즈(50)(볼록 렌즈)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렌즈(50)가 광원(20) 발광시의 빛의 조도는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빛의 확산 범위는 최대한 넓게 가져갈 수 있으므로, 램프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쉐이드(30)의 중앙부에는 렌즈(60)가 구비되어, 쉐이드(30)의 중앙부를 눌러서 직진 모드로 사용시, 렌즈(60)에 의해 직진성의 빛의 조도를 더욱 높여주고 빛의 직진 범위 반경도 최대한 넓혀주므로, 직진 모드에서 사용시에도 램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야간 캠핑시에 텐트 안에서 램프의 빛을 비추어 주는 것과 같이 여러 야간 활동시에 램프의 빛이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베이스(10)에 금속재의 결합보스(70)가 인서트되어 있고, 결합보스(70)는 내부에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보스(70)에는 지지대(74)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지대(74)는 세 개 내지 네 개의 레그 상단부가 힌지부(4a)를 기준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레그 지지 브라켓(4)에 결합되고, 레그 지지 브라켓(4)에는 볼트 형태의 결합구(76)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대(74)의 결합구(76)를 베이스(10) 저면에 구비된 결합보스(70)에 볼트식으로 결합하면, 본 발명의 헤드 램프를 지지대(74)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헤드 램프를 삼각대에 결합하듯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야간 등산시에 등반자가 머리에 쓰고 사용하는 용도 이외에 텐트의 내부에서 조명용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기타 다른 장소에서 조명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에서 우수하다. 즉, 야간에 텐트 안에서 램프의 빛이 필요하고, 기타 다른 야외에서 야간 활동을 할 때에도 램프의 빛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헤드 램프가 머리에 써서 사용하는 전용 램프 제품으로서, 텐트 안에서 램프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지지대(74) 등을 헤드 램프에 결합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았으나, 본 발명은 지지대(74)를 편리하게 결합하여 삼각대에 헤드 램프가 결합된 것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헤드 램프를 텐트 안이나 다른 야외 활동 장소에서 조명용으로 사용하는데 따른 여러 불편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4. 브라켓 4a. 힌지부
6. 톱니 10. 베이스
11. 프론트 커버 12. 배터리 수용부
14. 배터리 커버 16. 기판 그립후크
17. 인쇄회로기판 18. 체결구 결합홀
19. 스위치 20. 광원
30. 쉐이드 32. 직진 가이드면
36. 결합 플랜지부 38. 결합 윙편
40A. 제1자력 부착부재 40B. 제2자력 부착부재
50. 렌즈 60. 렌즈
62. 아웃터 렌즈편 64. 이너 렌즈편
70. 결합보스 74. 지지대
6. 톱니 10. 베이스
11. 프론트 커버 12. 배터리 수용부
14. 배터리 커버 16. 기판 그립후크
17. 인쇄회로기판 18. 체결구 결합홀
19. 스위치 20. 광원
30. 쉐이드 32. 직진 가이드면
36. 결합 플랜지부 38. 결합 윙편
40A. 제1자력 부착부재 40B. 제2자력 부착부재
50. 렌즈 60. 렌즈
62. 아웃터 렌즈편 64. 이너 렌즈편
70. 결합보스 74. 지지대
Claims (9)
-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광원(20)과;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상기 광원(20)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20)을 커버하도록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0)에서 원래의 형태로 유지되어 있는 노말 모드에서 상기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려져서 형상 변형되는 프레싱 상태로 전환시 상기 광원(20)에서의 빛을 상기 노말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앙부로 더 많이 집광시켜 직진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쉐이드(30)와;
상기 쉐이드(30)를 눌러서 상기 프레싱 상태로 사용시 상기 쉐이드(30)가 상기 광원(20)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로 유지하는 프레싱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싱 지지수단은,
상기 쉐이드(30)가 상기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려져 형상 변형된 프레싱 상태에서 서로 자력에 의해 밀착되어 상기 쉐이드(30)의 눌린 상태를 상기 자력으로 유지하는 자력 부착부재(10A,10B)를 포함하며,
상기 쉐이드(30)는 상기 노말 모드에서 상기 프레싱 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광원(20)의 빛을 집광시켜 직진되도록 하는 직진 가이드면(32)이 형성되고,
상기 자력 부착부재(10A,10B)는,
상기 베이스(10)측에 구비된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쉐이드(30)측에 구비되어 상기 쉐이드(30)가 상기 베이스(10)측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에 자력으로 붙어서 상기 쉐이드(30)의 프레싱에 의한 형상 변형 상태를 유지하는 제2자력 부착부재(1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광원(20)은 상기 베이스(10)측에 구비된 엘이디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는 상기 엘이디의 광을 확산시키도록 볼록 렌즈 형태로 된 렌즈(50)가 구비되고, 상기 쉐이드(30)에는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측에 구비된 상기 렌즈(50)와 마주하는 다른 렌즈(6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는 상기 광원(20)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17)을 커버하도록 프론트 커버(11)가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배면에는 환형의 쉐이드 결합루프(11a)가 구비되고, 상기 쉐이드 결합루프(11a)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된 쉐이드 결합 지지턱(11b)이 구비되고, 상기 쉐이드 결합루프(11a)의 배면으로는 환형의 베이스 결합루프(11c)가 구비되고, 베이스 결합루프(11c)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된 패킹 지지턱(11d)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결합루프(11c)의 외주면에 결합된 환형의 패킹(11e)이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배면과 상기 쉐이드 결합루프(11a)에 구비된 쉐이드 결합 지지턱(11b)과 상기 베이스 결합루프(11c)의 패킹 지지턱(11d)에 사이에 개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7)을 고정하기 위한 기판 그립후크(16)가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하부 위치에 전면으로 더 나온 보조 돌출편(11f)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램프.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측에 구비된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쉐이드(30)측에 구비되어 상기 쉐이드(30)가 상기 베이스(10)측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에 자력으로 붙어서 상기 쉐이드(30)의 프레싱에 의한 형상 변형 상태를 유지하는 제2자력 부착부재(1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는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램프.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드(30)는 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는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10)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는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를 상기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러서 상기 쉐이드(30)에 오목한 홈 형태의 직진 가이드면(32)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가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램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드(30)는 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엘이디와 상기 렌즈(50)는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10)에는 복수개의 제1자력 부착부재(10A)가 상기 엘이디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쉐이드(30)에는 중심부의 렌즈(60)를 기준으로 대칭되면서 동시에 상기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마주하도록 복수개의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구비되어,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를 상기 베이스(10) 방향으로 눌러서 상기 쉐이드(30)에 오목한 홈 형태의 직진 가이드면(32)을 형성할 때에 상기 복수개의 제1자력 부착부재(10A)와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 지점에서 자력으로 서로 부착되어 상기 쉐이드(30)의 중앙부가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램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상기 광원(20)이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쉐이드(30)의 중심부에는 결합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쉐이드(30)의 상기 결합공(34)에 결합되는 렌즈편에 상기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인서트되며, 상기 렌즈편은 상기 쉐이드(30)의 외측 위치에서 상기 결합공(34)에 끼워지는 아웃터 렌즈편(62)과, 상기 쉐이드(30)의 내부 위치에서 상기 결합공(34)에 끼워지면서 상기 아웃터 렌즈편(62)과 결합되며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제2자력 부착부재(10B)가 인서트된 이너 렌즈편(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는 결합보스(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3072A KR101433185B1 (ko) | 2012-11-22 | 2012-11-22 | 헤드 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3072A KR101433185B1 (ko) | 2012-11-22 | 2012-11-22 | 헤드 램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954A KR20140065954A (ko) | 2014-05-30 |
KR101433185B1 true KR101433185B1 (ko) | 2014-08-26 |
Family
ID=5089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3072A KR101433185B1 (ko) | 2012-11-22 | 2012-11-22 | 헤드 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318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9271B1 (ko) | 2017-01-05 | 2017-04-06 | (주)프리즘 | 구분 점등구조를 갖는 다용도 헤드 랜턴 |
KR101953239B1 (ko) | 2018-02-26 | 2019-02-28 | 주식회사 프리즘 |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
KR101969069B1 (ko) | 2018-02-26 | 2019-04-15 | 주식회사 프리즘 | 구분 점등구조의 다용도 랜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4502A (ja) * | 1998-02-10 | 1999-08-1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投光ランプ |
KR20080002901U (ko) * | 2007-01-24 | 2008-07-29 | 이수호 | 삼각대 탈부착용 손전등 및 손전등의 고정장치 |
WO2012099173A1 (ja) * | 2011-01-20 | 2012-07-26 | 株式会社 スノーピーク | 照明装置 |
-
2012
- 2012-11-22 KR KR1020120133072A patent/KR10143318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4502A (ja) * | 1998-02-10 | 1999-08-1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投光ランプ |
KR20080002901U (ko) * | 2007-01-24 | 2008-07-29 | 이수호 | 삼각대 탈부착용 손전등 및 손전등의 고정장치 |
WO2012099173A1 (ja) * | 2011-01-20 | 2012-07-26 | 株式会社 スノーピーク | 照明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9271B1 (ko) | 2017-01-05 | 2017-04-06 | (주)프리즘 | 구분 점등구조를 갖는 다용도 헤드 랜턴 |
KR101953239B1 (ko) | 2018-02-26 | 2019-02-28 | 주식회사 프리즘 |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
KR101969069B1 (ko) | 2018-02-26 | 2019-04-15 | 주식회사 프리즘 | 구분 점등구조의 다용도 랜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954A (ko) | 2014-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57403B2 (en) | Light device with detachable clip member | |
ES2647478T3 (es) | Linterna portátil de cabeza | |
US20150267902A1 (en) | Portable lighting device | |
US6877875B2 (en) | Canted head-mounted light | |
ES2374839T3 (es) | Equipo de mejoramiento de iluminación. | |
ES2622729T3 (es) | Dispositivo de iluminación multipropósito | |
KR101719271B1 (ko) | 구분 점등구조를 갖는 다용도 헤드 랜턴 | |
US11805836B2 (en) | Headlamp having a detachable flashlight | |
US20170292659A1 (en) | Dual-Light Flashlight with Pivoting Beam Housing | |
US20210215326A1 (en) | Head lamp | |
KR101433185B1 (ko) | 헤드 램프 | |
KR20210055541A (ko) |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 | |
US8444285B2 (en) | Clip light | |
KR200484472Y1 (ko) | 착탈 구조를 갖는 신발용 발광 장신구 | |
KR101969069B1 (ko) | 구분 점등구조의 다용도 랜턴 | |
KR101981248B1 (ko) | 밴드타입 헤드랜턴 | |
US20050152137A1 (en) | LED flashlight | |
JP6239974B2 (ja) | ヘッドランプ | |
JP3113977U (ja) | 携帯用の多用途光電子探照灯 | |
TWM378349U (en) | Structure of small lamp | |
KR100942318B1 (ko) | 탈부착형 발광기 | |
KR20180006210A (ko) | 회전형 발광장치 | |
US6752511B1 (en) | Miniature hat light | |
KR200420022Y1 (ko) | 광 발산 식별장치 | |
JPWO2012099173A1 (ja) | 照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