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837B1 -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4837B1 KR101434837B1 KR1020140065053A KR20140065053A KR101434837B1 KR 101434837 B1 KR101434837 B1 KR 101434837B1 KR 1020140065053 A KR1020140065053 A KR 1020140065053A KR 20140065053 A KR20140065053 A KR 20140065053A KR 101434837 B1 KR101434837 B1 KR 101434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ger
- column
- cap
- height
- main colum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09 b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51 cyc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3 fu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10—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상기 교량의 전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교량의 진행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10은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의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기둥상부캡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는 높이 및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주기둥에 대한 수직방향의 시공오차를 2단계에 걸쳐 보정하는 각각의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지점부 구조체의 구조에 관한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4는 가로보의 다양한 실시예 및 보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기둥 및 가로보에 발생한 수평방향의 행태별 시공오차를 보정하는 각각의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는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형 확장인도의 구조이다.
도 17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자전거 및 보행전용 교량이다.
12: 보강리브 20: 기둥상부캡
21: 상부캡 연결판 21a: 제1체결공
21b: 높이조정공 22: 외통부
23: 캡고정편 23a: 캡고정공
23b: 캡고정볼트 24: 높이조정볼트
25: 캡지지대 26: 지지밴드
27: 밴드 고정편 28: 체결볼트
30: 가로보 31: 가로보 연결판
31a: 제2체결공 32: 브레이싱 브라켓
33: 브레이스 33a: 턴버클 수단
34: 긴장재 35: 보강 브라켓
36: 연결판 체결볼트 40: 행거기둥
41: 지점부 행거판 50: 행거빔
51: 행거긴장재
52: 추가지점부 행거판 60: 바닥판 틀
61: 바닥판 거더 62: 바닥판 보강빔
63: 데크플레이트 70: 난간
80: 바닥재 300: 지점부 구조체
500: 추가지점부 구조체 A: 지점부
B: 추가지점부
Claims (9)
- 자전거 및 보행을 위한 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지점부(A)에 주기둥(10)을 설치하고, 상기 주기둥(10)의 상단 내부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다수 개의 높이조정받침(11)을 설치하는 단계;
b) 상부캡 연결판(21)과, 주기둥(10)의 외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가압틈(△)이 형성된 외통부(22)와, 상기 높이조정받침(11)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단부가 지점회전하는 높이조정볼트(24)를 구비한 높이 및 회전각도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기둥상부캡(20)으로 주기둥(10)의 상단부를 씌움으로써, 기둥상부캡(20)을 주기둥(10)에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높이 및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부캡 연결판(21)의 높이 및 수평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주기둥(10)에 대한 수직방향의 시공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d) 가로보(30)와, 상기 가로보(30)의 양 단부에서 상향으로 설치되는 행거기둥(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보(30)의 양 단부와 하면 중앙에는 브레이싱 브라켓(32)과 가로보 연결판(3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행거기둥(40)의 상부에 지점부 행거판(41)이 구비되는 지점부 구조체(300)를 공장에서 제작한 후; 상기 지점부 구조체(300)를 주기둥(10)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
e) 양 단부에 추가지점부 행거판(52)이 구비된 행거빔(50)과, 상기 추가지점부 행거판(52)에 일단부가 고정된 행거긴장재(51)로 이루어지는 추가지점부 구조체(500)를 공장에서 제작한 후, 상기 추가지점부 구조체(500)를 설계 높이만큼 인양하면서 행거긴장재(51)의 타단을 행거기둥(40)의 지점부 행거판(41)에 고정시켜 추가지점부(B)를 형성시키는 단계;
f) 인접한 가로보(30)와의 사이에서 X자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브레이싱 브라켓(32)에 브레이스(33)를 대각선으로 설치하는 브레이스(33) 설치 단계;
g) 브레이스(33)의 각 길이를 조정하고, 높이 및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주기둥(10) 및 가로보(30)에 대한 수평방향의 시공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h) 바닥판 거더(61)와 바닥판 보강빔(6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닥판 틀(60)을 공장에서 조립한 후, 상기 바닥판 틀(60)을 인양하여 가로보(30)와 행거빔(50)의 상면에 설치하는, 바닥판 틀(60) 설치단계;
i) 바닥판틀 위에 바닥재(80)를 시공하는 마감작업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상부캡(20)에 구비되는 높이 및 회전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높이조정볼트(24)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캡 연결판(21)이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캡 연결판(21)에 구비된 높이조정공(21b)과, 외통부(22)의 상기 가압틈(△)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수직으로 돌출된 캡고정편(23)과, 상기 캡고정편(23)에 구비된 캡고정공(23a) 및, 상기 캡고정공(23a)에 체결되는 캡고정볼트(23b)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 가압틈(Δ)은 외통부(22)의 하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부분만 형성되고, 상기 가압틈(Δ)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슬릿(s)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c) 단계에서 주기둥(10)에 대한 수직방향의 시공오차 보정은, ⅰ) 캡고정편(23)에 대한 캡고정볼트(23b)의 느슨한 조임상태에서 기둥상부캡(20)을 상하 이동시켜 요구되는 곳에 위치시킨 후, 캡고정볼트(23b)를 가조임하여 기둥상부캡(20)을 주기둥(10)에 고정시키는 단계, ⅱ) 높이조정공(21b)에 삽입된 높이조정볼트(24)를 회전시켜 상부캡 연결판(21)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가지면서 기둥상부캡(20)이 정확한 높이를 가지도록 미세조정하는 단계; ⅲ) 상기 기둥상부캡(20)을 지지하는 캡지지대(25)를 기둥상부캡(20)의 하부에 접하도록 주기둥(10)에 고정설치하는 단계; ⅳ) 상부캡 연결판(21)에서 높이조정볼트(24)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d) 단계에서 주기둥(10)에 대한 지점부 구조체(300)의 설치는 상부캡 연결판(21)과 가로보 연결판(31)에 각각 구비된 제1, 2체결공(21a, 31a)에 연결판 체결볼트(36)를 삽입하여 체결시킴으로써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체결공(21a, 31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로보(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30)에는 길이방향으로 긴장재(34) 또는 보강브라켓(35)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기둥(40)에는 길이방향으로 긴장재(34)가 더 설치되되, 상기 긴장재(34)의 일단은 가로보(30)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h) 단계의 바닥판틀에는 바닥판 보강빔(62)의 상면에 거치되는 데크플레이트(63)가 더 포함되고, i) 단계에서 시공되는 바닥재(80)는 상기 데크플레이트(63)의 상면에 타설되는 포장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장재의 상면은 바닥판 거더(61)의 상면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i) 단계에서 시공되는 바닥재(80)는 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는 데크이고, 상기 데크는 바닥판 보강빔(62)의 상면에 직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5053A KR101434837B1 (ko) | 2014-05-29 | 2014-05-29 |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5053A KR101434837B1 (ko) | 2014-05-29 | 2014-05-29 |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4837B1 true KR101434837B1 (ko) | 2014-09-02 |
Family
ID=5175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5053A Active KR101434837B1 (ko) | 2014-05-29 | 2014-05-29 |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4837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9061B1 (ko) * | 2015-05-21 | 2015-11-13 | 알엔비이엔지(주) | 수평방향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거더 철골 구조물 |
KR101920039B1 (ko) * | 2018-06-05 | 2019-02-08 | 선풍종합건설 주식회사 |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
CN115045438A (zh) * | 2022-06-29 | 2022-09-13 | 山东宝冶建设有限公司 | 一种钢结构房屋拼装连接用的装配式结构梁 |
KR102489911B1 (ko) * | 2022-09-20 | 2023-01-18 |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 기둥 보강캡이 설치된 진동 저감형 지주식 인도교 |
KR20230082089A (ko) * | 2021-12-01 | 2023-06-08 |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Rc 기둥과 코핑의 접합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
KR102612849B1 (ko) * | 2023-04-07 | 2023-12-11 | 이우연 | 높이조절 및 오차보정이 가능하고 브라켓 파일보강캡이 결합된 지주식 인도교 |
KR102685239B1 (ko) * | 2023-12-06 | 2024-07-17 | (주)케이에스아이 | 수직 탈부착이 가능한 데크로드 구조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4980A (ko) * | 2002-01-29 | 2003-08-06 | 이종환 | 회전 수평조절용 솔 플레이트 |
KR100702849B1 (ko) | 2004-06-22 | 2007-04-03 | 보성건설 주식회사 | 레일의 승강조절수단이 구비된 교량상판의 지지장치 |
JP2010065431A (ja) | 2008-09-10 | 2010-03-25 | Kurimoto Technos:Kk | 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パネルの取付構造 |
KR101194390B1 (ko) | 2010-02-02 | 2012-10-25 | 금창준 | 교각에 설치되어 수위변화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천 횡단 자전거 부교 |
-
2014
- 2014-05-29 KR KR1020140065053A patent/KR10143483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4980A (ko) * | 2002-01-29 | 2003-08-06 | 이종환 | 회전 수평조절용 솔 플레이트 |
KR100702849B1 (ko) | 2004-06-22 | 2007-04-03 | 보성건설 주식회사 | 레일의 승강조절수단이 구비된 교량상판의 지지장치 |
JP2010065431A (ja) | 2008-09-10 | 2010-03-25 | Kurimoto Technos:Kk | 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パネルの取付構造 |
KR101194390B1 (ko) | 2010-02-02 | 2012-10-25 | 금창준 | 교각에 설치되어 수위변화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천 횡단 자전거 부교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9061B1 (ko) * | 2015-05-21 | 2015-11-13 | 알엔비이엔지(주) | 수평방향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거더 철골 구조물 |
KR101920039B1 (ko) * | 2018-06-05 | 2019-02-08 | 선풍종합건설 주식회사 |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
KR20230082089A (ko) * | 2021-12-01 | 2023-06-08 |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Rc 기둥과 코핑의 접합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
KR102558424B1 (ko) * | 2021-12-01 | 2023-07-24 |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Rc 기둥과 코핑의 접합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
CN115045438A (zh) * | 2022-06-29 | 2022-09-13 | 山东宝冶建设有限公司 | 一种钢结构房屋拼装连接用的装配式结构梁 |
CN115045438B (zh) * | 2022-06-29 | 2024-02-06 | 山东宝冶建设有限公司 | 一种钢结构房屋拼装连接用的装配式结构梁 |
KR102489911B1 (ko) * | 2022-09-20 | 2023-01-18 |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 기둥 보강캡이 설치된 진동 저감형 지주식 인도교 |
KR102612849B1 (ko) * | 2023-04-07 | 2023-12-11 | 이우연 | 높이조절 및 오차보정이 가능하고 브라켓 파일보강캡이 결합된 지주식 인도교 |
KR102685239B1 (ko) * | 2023-12-06 | 2024-07-17 | (주)케이에스아이 | 수직 탈부착이 가능한 데크로드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4837B1 (ko) |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2128100B1 (ko) | 가변식 탈형 보 데크 | |
KR100760435B1 (ko) | 신축조절 가능한 가설 지주 | |
KR101312759B1 (ko) | 강가로보를 이용한 피에스씨 곡선형 거더의 전도방지 시공 방법 | |
CN111877345B (zh) | 用于水域内钢栈桥施工的钢管桩定位装置及施工方法 | |
KR101406035B1 (ko) |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 |
KR20120003729U (ko) | 시스템서포트 헤드 | |
KR101941942B1 (ko) |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 |
KR200443605Y1 (ko) | 교량상판 타설용 거푸집 지지장치 | |
KR101451877B1 (ko) |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 |
KR200226626Y1 (ko) | 교량상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 |
KR101684438B1 (ko) | 교량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KR20190066754A (ko) |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 |
CN209194354U (zh) | 高空大跨度系梁下承式贝雷支撑结构 | |
CN212452315U (zh) | 拼装模块及模块化施工平台 | |
KR102332718B1 (ko) | 데크로드 | |
JP2000045231A (ja) | アーチ橋梁の架設方法 | |
KR100997106B1 (ko) | 교각용 지그 시스템 | |
JP5645334B2 (ja) | 構造物解体システム | |
KR102222019B1 (ko) | 절곡 거더의 솟음 연결을 위한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
KR200397213Y1 (ko) |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 |
CN110593102A (zh) | 高墩连续梁施工支架 | |
CN112411343B (zh) | 山区超高保通曲线现浇箱梁组合支架及搭设方法 | |
CN110792285B (zh) | 顶升施工位移控制系统及顶升施工中的位移控制方法 | |
CN113585278A (zh) | 变刚度高适应性组合内支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5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 |